KR102660161B1 -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161B1
KR102660161B1 KR1020210192246A KR20210192246A KR102660161B1 KR 102660161 B1 KR102660161 B1 KR 102660161B1 KR 1020210192246 A KR1020210192246 A KR 1020210192246A KR 20210192246 A KR20210192246 A KR 20210192246A KR 102660161 B1 KR102660161 B1 KR 102660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cooled condenser
area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2266A (ko
Inventor
김태형
하종필
최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192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161B1/ko
Publication of KR2023010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24F1/0284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with horizontally arranged f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32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5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de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을 향해 개구된 유입구와 전방을 향해 개구된 토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횡류팬; 압축기, 공랭식 응축기, 수냉식 응축기, 팽창부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 상기 증발기는 상기 유입구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공랭식 응축기는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횡류팬과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압축기, 상기 수냉식 응축기, 상기 팽창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횡류팬, 상기 공랭식 응축기, 상기 증발기는 제2 영역에 배치되는 공조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공조 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에 설치되어 제습기능, 냉난방기능 등을 수행함으로써, 실내의 온, 습도 및 환경 관리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욕실이나 주방에는 통상 환기장치만이 설치되어 있을 뿐 건조장치나 냉난방장치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기 환기장치는 욕실이나 주방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뿐 수분을 증발시키지 못한다. 욕실이나 주방에는 수돗물이 공급되므로 항상 많은 수분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분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젖은 수건 등 욕실이나 주방 물품에 세균을 증식하게 하거나 곰팡이 발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냉난방장치의 예로서 에어컨의 경우, 등록특허 제10-1610836호에 일반적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1610836호을 참조하면, 에어컨은 복수의 실내유닛과 압축기 및 열교환기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실외유닛;과 상기 복수의 실내유닛과 상기 복수의 실외유닛을 접속시키는 고압가스관, 저압가스관, 액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내유닛은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실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외유닛은 상기 고압가스관과 상기 제1실내유닛과 상기 액관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실외유닛과, 상기 액관과 상기 제1실외유닛과 상기 저압가스관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실외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실내유닛과 실외유닛이 별도로 구분되어 설치되는 에어컨은 실내 욕실 등에 설치가 번거롭고, 실내유닛과 실외유닛을 연결하는 배관 등을 설치해야 하므로 별도의 설치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욕실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습기의 경우, 등록특허 제10-1581116호에 일반적인 외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1581116호를 참조하면 제습기는 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 어셈블리,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좌우 양측에 개구되는 손잡이 홀,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습기는 별도의 실외기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나, 냉방 기능이 없고, 사용 후 실내 온도가 상승하여 여름철에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실내 온, 습도 및 환경 관리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별도의 실외기 없이 제습과 냉난방이 모두 가능한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공랭 방식과 수냉 방식을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주위 환경 요구 조건이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공랭과 수냉 간 전환이 가능하며 잦은 온도변화와 높은 습도 환경에 대응 가능한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잦은 온도 변화와 높은 습도 환경에서도 우수한 내구성과 안정적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우수한 공간 활용도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욕실 등 실내 설치가 간편한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는 후방을 향해 개구된 유입구와 전방을 향해 개구된 토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횡류팬 및 압축기, 분기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공랭식 응축기와 수냉식 응축기, 팽창부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은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영역과 타 측에 형성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압축기, 상기 수냉식 응축기, 상기 팽창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횡류팬, 상기 공랭식 응축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유입구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공랭식 응축기는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횡류팬과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조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티션,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파티션에 설치되고, 상기 횡류팬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횡류팬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사이에서 상기 파티션을 관통하여 상기 모터와 상기 횡류팬에 연결되는 모터 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에는 상기 공랭식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1 홀과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랭식 응축기의 일 측 단 부와 상기 증발기의 일 측 단 부는 각각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파티션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 및 상기 하우징의 전방 상부에 형성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횡류팬의 전방에는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서 전방의 토출 유로와 후방의 열교환 영역으로 구획하는 토출 유로 파티션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 유로는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를 서로 소통하게 하며,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토출 유로를 통해 상기 횡류팬의 기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토출 유로 파티션에는 상기 횡류팬의 기류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토출 유로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을 통해 상기 토출 유로를 막아 상기 횡류팬의 기류를 상기 제1 토출구로 안내하거나, 회전 구동을 통해 상기 토출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횡류팬의 기류를 상기 제2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1 에어 가이드 및 상기 토출 유로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 유로를 막아 상기 횡류팬의 기류가 상기 제2 토출구로 토출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토출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횡류팬의 기류가 상기 제2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2 에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유로 파티션에는 상기 제1 에어 가이드와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납하도록 리세스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가이드와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토출 유로를 개방하기 위해 회전 구동되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분기 배관은, 상기 공랭식 응축기에 연결되며, 제1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는 제1 분기관; 및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 연결되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는 제2 분기관을 포함하고, 제습 모드에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혀 상기 공랭식 응축기로 냉매가 흐르고,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히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려 상기 수냉식 응축기로 냉매가 흐르게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수냉식 응축기는 판을 사이에 두고 수돗물과 냉매 간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판형 열교환기로 형성되고,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는 상기 수냉식 응축기로 상수를 공급되게 하는 수돗물 공급라인과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수돗물을 하수로 배출되게 하는 수돗물 배출라인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랭식 응축기와 상기 팽창부를 연결하는 제3 분기관과, 상기 수냉식 응축기와 상기 팽창부를 연결하는 제4 분기관은 상기 팽창부의 상류측에서 하나로 합쳐져 상기 팽창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분기관 과 상기 제4 분기관의 합류 지점의 상류측에는 상기 공랭식 응축기와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서 상기 팽창부로 공급되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는 낙하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부에는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응축수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자연 배출되게 하는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별도의 실외기 없이 냉난방, 습도 등 온습도 제어가 모두 가능한 공조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높은 온도와 습도를 갖는 실내 공기와는 접촉이 불필요한 압축기, 수냉식 응축기, 팽창부, 배관 등의 부품은 하우징의 제1 영역에 배치되도록 하고, 제습과 냉각을 위해 높은 온도와 습도를 갖는 실내 공기와 직접적인 접촉이 필요한 횡류팬, 공랭식 응축기, 증발기는 하우징의 제2 영역에 배치되도록 공조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공조 장치가 잦은 온도 변화와 높은 습도 환경에서도 우수한 내구성과 안정적 성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냉식 응축기와 공랭식 응축기를 사용하여 냉각 및 제습을 구현함으로써, 실내 먼지 및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실내 온, 습도 및 환경 관리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측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하여 증발기, 압축기, 횡류팬 등의 구성요소들을 배치하고 일체화 시킨 하우징 구조를 통해 우수한 공간 활용도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진 공조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공조 장치가 건물의 천장이나 환기구, 창문 등에 편리하게 설치 및 해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토출구가 형성된 전방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다.
도 1b는 도 1a 공조 장치의 하우징에서 냉동 사이클 장치를 분리하여 파티션을 경계로 냉동 사이클 장치 각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다.
도 2는 도 1a의 공조 장치의 후방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다.
도 3은 도 1a의 공조 장치의 내부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다.
도 4는 도 1a의 공조 장치의 제1 영역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다.
도 5는 도 1a의 공조 장치의 제2 영역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다.
도 6은 도 1a의 공조 장치의 제습 동작 시 배관에서 냉매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다.
도 7은 도 1a의 공조 장치의 냉방 동작 시 배관에서 냉매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공조 장치(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토출구가 형성된 전방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 공조 장치의 하우징에서 냉동 사이클 장치를 분리하여 파티션을 경계로 냉동 사이클 장치 각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공조 장치(100)를 전방을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 하우징(110) 내측에는 파티션(111)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1 영역(A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2 영역(A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방과 후방에서 봤을 때는 측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 전방의 하부에는 제1 토출구(114)가 형성되며, 후방의 하부에는 응축수 배출부(118a, 도 2 참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토출구(114)와 응축수 배출부(118a)는 각각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가 일정 각도로 내측을 향하여 테이퍼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0)을 측면에서 봤을 때 하부 형상이 역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영역(A1)에는 압축기(120)와 수냉식 응축기(160)가 분기 배관(182)과 제1 상부 배관(183)을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팽창부(140)는 제1 하부 배관(187)을 통해 수냉식 응축기(160)와 서로 연결(도 2, 도 3 참조)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10) 우측의 제2 영역(A2)에는 증발기(150)와 공랭식 응축기(130)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영역(A1)에서 상기 압축기(120)는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심부에 배치된다. 상기 수냉식 응축기(160)는 상기 하우징(110)의 후면과 측면에 인접한 코너에 배치된다. 상기 팽창부(140)는 상기 제1 영역(A1)의 후방 하측에서 상기 압축기(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후면을 이루는 패널 사이에 배치된다.
분기 배관(182)은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압축기(120)에 연결된다. 분기 배관(182)은 압축기(120)의 상류측에서 분기된다. 분기 배관(182)의 분기된 두 갈래 중 하나는 수냉식 응축기(16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공랭식 응축기(130)에 연결된다. 압축기(12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분기 배관(182)을 하우징(110)의 정면에서 바라보면, 분기 배관(182)은 좌우로 각각 분기되어 수냉식 응축기(160)와 공랭식 응축기(130)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압축기(120)와 공랭식 응축기(130) 사이를 연결하는 한 갈래는 제1 분기관(182a)으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기관(182a)에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191)가 설치된다. 압축기(120)와 수냉식 응축기(160) 사이를 연결하는 다른 한 갈래는 제2 분기관(182b)으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기관(182b)에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192)가 설치된다.
제2 상부 배관(184)은 압축기(120)와 증발기(150)를 연결한다. 제2 상부 배관(184)은 압축기(12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영역(A1)의 상부에서 증발기 배관(151)과 연결된다. 증발기 배관(151)은 제2 상부 배관(184)과 연결되기 위해 제1 영역(A1)으로 일부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 분기관(182a)은 제1 솔레노이드 밸브(191)가 설치되어 압축기(120)와 공랭식 응축기(130)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제2 분기관(182b)은 제2 솔레노이드 밸브(192)가 설치되어 압축기(120)와 수냉식 응축기(160) 사이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1 분기관(182a)과 제2 분기관(182b)은 제1 영역(A1)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구성요소들 사이의 냉매관 연결을 구현한다.
또한,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 팽창부(140) 및 증발기(150) 사이의 배관 연결은 전체적으로 제1 영역(A1)의 하부에서 제1 하부 배관(187)을 통해 이루어진다. 제1 하부 배관(187)은 제1 영역(A1)의 하부에서 냉동 사이클 장치 구성요소들 사이의 냉매관 연결을 구현한다.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는 상기 제2 영역(A2)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횡류팬(170)과 상기 증발기(15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증발기(150)와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 하부에는 횡류팬(170)이 설치된다.
한편, 하우징(110)의 제2 영역(A2) 전방에는 상부 토출구(113)와 하부 토출구(11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부 토출구(113)와 상기 하부 토출구(114)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와 상기 증발기(150)를 통과하여 제습 또는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파티션(111)은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이 상기 제1 영역(A1)과 상기 제2 영역(A2)으로 구획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파티션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파티션(111)은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상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파티션(111)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영역(A1)과 상기 제2 영역(A2)을 전체적으로 분할하면서 구획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171)가 상기 제1 영역(A1)에서 상기 파티션(111)에 설치된다. 상기 모터(171)는 상기 횡류팬(17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171)의 모터 축(171a)은 상기 제1 영역(A1)과 상기 제2 영역(A2)의 사이에서 상기 파티션(111)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모터 축(171a)은 상기 모터(171)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횡류팬(170)에 전달하도록 상기 모터(171)와 상기 횡류팬(170)을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와 상기 증발기(150)는 상기 하우징(110) 내측에 견고하고 안정적인 상태로 고정되어 기류에 영향을 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제습 또는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온도와 습도 등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모터(171)는 상기 파티션(111)에 의해 고온 다습한 공기와는 접촉이 차단되어 내구성이 유지되고, 안정적인 회전력을 상기 횡류팬(17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티션(111)에는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와 상기 증발기(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1 홀(111a)과 제2 홀(111b)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홀(111a)과 제2 홀(111b)은 하우징(110)의 제2 영역(A2)에 설치된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와 상기 증발기(150) 각각의 일 측 단부로 형성되는 배관들(131, 151)이 상기 파티션(111)을 관통하여 제1 영역(A1) 방향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와 상기 증발기(150)가 상기 파티션(111)에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와 상기 증발기(150) 각각의 일 측 단부 배관들(131, 151)은 상기 파티션(111)을 관통하여 제1 영역(A1) 방향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 영역(A1)에 배치된 압축기(120), 팽창부(140), 수냉식 응축기(160) 들과의 배관 연결을 더욱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압축기(120), 공랭식 응축기(130), 수냉식 응축기(160), 팽창부(140) 및 증발기(150)는 실내 공기를 횡류팬(170)을 통해 흡입하여 제습 또는 냉각시키는 장치로서 냉동 사이클 장치로 이름할 수 있다.
압축기(120)는 냉매를 압축시켜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만들어 공랭식 응축기(130)로 유입시킨다. 그리고 공랭식 응축기(130)에서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된 냉매는 팽창부(140)로 유입되어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로 변환된다.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로 변환된 냉매는 증발기(150)에서 증발되는 과정에서 상변환되어 주변의 열을 흡수하고 주변 공기를 냉각시킨다.
일반적인 공랭식 응축기는 압축기로부터 전달받은 냉매를 응축하며, 냉매를 응축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방출한다. 이 때, 응축기가 열을 방출하는 작용을 통해 냉매는 응축되어 액화된다. 이와 같이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열은 대부분 별도로 활용되지 못하고 주변으로 방출된다.
그러나,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는 압축기(120)와 연결된 제1 분기관(182a)에 설치된 제1 솔레노이드 밸브(191)가 공조 장치(100)의 제습 모드와 냉방 모드에 따라 개폐됨에 따라 동작 상태가 On-off 스위칭 될 수 있다. 따라서, 공조 장치(100)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91)가 개방되어 동작 상태가 On 상태일 경우에는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발생된 응축열과 횡류팬(170)으로부터 발생한 기류를 이용하여 온풍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제습 동작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팽창부(140)는 응축기로부터 유입된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 냉매를 교축(throttling) 작용을 통해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로 팽창시켜 증발기로 전달한다. 또한, 팽창부(140)는 동시에 증발기의 열 부하에 대응하여 증발기로 전달되는 냉매의 과열도가 일정하도록 적절한 냉매 유량 공급을 조절한다. 이러한 팽창부(140)의 구체적인 종류와 구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모세관, 정압식 팽창밸브, 전자식 팽창밸브, 플로트식 팽창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증발기(150)는 팽창부(140)를 통해 밀도와 압력이 감소한 냉매를 입수하여 기화시키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공기 온도를 낮춘다. 또한, 이와 같이 온도가 낮아진 공기가 횡류팬(170)으로부터 발생하는 기류를 통해 확산되면서 주변 공기가 냉각되도록 한다. 증발기(150)를 통과한 냉매는 다시 압축기(120)로 전달되어 제습이나 냉각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2는 도 1a의 공조 장치의 후방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조 장치(100)를 후방에서 정면으로 바라뫘을 때, 하우징(110) 내측에는 파티션(111)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2 영역(A2)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1 영역(A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제2 영역(A2) 후방에는 실내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조 장치(100)는 유입구(112)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 증발기(150)로 실내공기를 유입시켜 냉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증발기(150)와 나란하게 배치된 공랭식 응축기(130)로도 실내공기를 유입시켜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우징(110)의 제1 영역(A1)에는 앞서 도 1a 및 도1b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압축기(120)와 수냉식 응축기(160)가 분기 배관(182)과 제1 상부 배관(183)을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팽창부(140)가 제1 하부 배관(187)을 통해 수냉식 응축기(160)와 서로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120), 수냉식 응축기(160), 및 팽창부(140)는 분기 배관(182), 제1 상부 배관(183), 제1 하부 배관(187)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압축기(120), 수냉식 응축기(160), 및 팽창부(140)는 상기 압축기(120)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공랭식 응축기(130)와 증발기(150)를 포함하여 냉동 사이클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에서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와 연결되는 제1 분기관(182a)에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191)가 설치되며, 상기 수냉식 응축기(160)와 연결되는 제2 분기관(182b)에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192)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191)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192)의 개폐 제어에 의해 후술하는 공조 장치(100)의 제습 동작 또는 냉난방 동작 등의 동작 모드를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수냉식 응축기(160)는 내부에 수돗물 냉각라인(186) 및 냉매 순환라인(181)이 서로 열교환될 수 있도록 근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수돗물 냉각라인(186)의 일단부에는 수돗물 공급라인(186a)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수돗물 배출라인(186b)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공조 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돗물 공급라인(186a)을 통해 수돗물을 공급받고, 열교환된 수돗물은 상기 수돗물 배출라인(186b)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수냉식 응축기(160)는 판을 상이에 두고 수돗물과 냉매간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판형 열교환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냉식 응축기(160)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제1 영역(A1)의 공간 활용도 등을 감안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후면과 측면에 인접한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냉식 응축기(160)는 상기 수냉식 응축기(160)로 상수를 공급되게 하는 수돗물 공급라인(186a)과 상기 수냉식 응축기(160)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수돗물을 하수로 배출되게 하는 수돗물 배출라인(186b)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수돗물 공급라인(186a) 및 수돗물 배출라인(186b)은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부 연장된 구조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냉식 응축기(160)의 상기 수돗물 공급라인(186a) 및 수돗물 배출라인(186b)은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부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므로, 스탠드 어론(stand-alone) 형태로 설치되는 공조 장치(100)에 수돗물 공급을 위한 연결관과 배출관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도 1a의 공조 장치의 내부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a의 공조 장치의 제1 영역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a의 공조 장치의 제2 영역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공조 장치(100)는 하우징(110) 내측에서 파티션(111)에 의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이 구획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유입구(112)와 토출구(113, 114)는 제2 영역(A2)에서만 하우징(110)의 후방과 전방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온도 변화와 습도의 영향을 덜 받는 것이 바람직한 압축기(120), 상기 수냉식 응축기(160), 상기 팽창부(140) 등의 냉동 사이클 관련 부품들과 솔레노이드 밸브(191, 192), 기타 제어 모듈(미도시)과 스위치(미도시) 등의 공조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부품들은 제1 영역(A1)에 배치된 상태로 파티션(111)에 의해 온도 변화와 습도의 영향이 차단되어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공조 장치(100)에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13, 114)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114) 및 상기 하우징(110)의 전방 상부에 형성되는 제2 토출구(113)로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2가지 토출구(113, 114) 유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어 가이드(117a, 117b)와 블레이드(114a, 113a) 등을 주변에 설치하여 이들의 개폐 조절을 통해 바닥 건조용, 바디 드라이 또는 벽면 건조용 등의 용도로 공조 장치(100)의 기능이 각각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횡류팬(170)의 전방에는 상기 제2 영역(A2)을 상기 하우징(110)의 전후 방향에서 전방의 토출 유로(115)와 후방의 열교환 영역(HEA)으로 구획하는 토출 유로 파티션(115a)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 유로(115)는 상기 제1 토출구(114)와 상기 제2 토출구(113)를 서로 소통하게 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전방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토출구(113)는 상기 토출 유로(115)를 통해 상기 횡류팬(170)의 기류를 공급받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토출 유로 파티션(115a)은 몸체 부분이 상기 하우징(110)의 제2 영역(A2)에 대응되는 사이즈의 패널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 방향으로 완만하게 절곡된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토출구(113)로 기류가 가이드 되어 원활히 배출되게 하도록 형성된다.
토출 유로 파티션(115a)의 하단은 후술하는 유로 구조물(116b) 등이 형성된다. 따라서, 토출 유로 파티션(115a)의 하단은 하우징(110) 내부의 열교환 영역(HEA)에서 열교환된 기류가 횡류팬(17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토출 유로(115)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횡류팬(170)이 설치된다. 이러한 횡류팬(170)의 전방과 후방에는 하우징(110) 내부의 열교환 영역(HEA)에서 열교환된 기류가 상기 토출 유로(115)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상기 횡류팬(170) 주변의 기류를 가이드하는 유로 구조물들(116a, 116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 구조물들(116a, 116b)은 하우징(110) 내부에서 증발기(150)를 통해 온도가 낮아져 상대적으로 무거워진 상태의 공기를 공랭식 응축기(130)와 증발기(150)의 하부에 배치된 횡류팬(170)의 일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가이드 한다. 또한, 상기 무거워진 공기를 상기 토출 유로(115)로를 거쳐 상기 제1 토출구(114)와 상기 제2 토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공조 장치(10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 유로(115)에는 개폐 구동을 통해 상기 횡류팬(170)으로부터의 기류를 상기 제1 토출구(114) 방향 또는 상기 제2 토출구(113)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이드 하는 에어 가이드(117a, 117b)가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 가이드(117a, 117b)는 상기 토출 유로(115)와 상기 제1 토출구(114)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에어 가이드(117a)와 상기 토출 유로(115) 내부에서 상기 제2 토출구(113) 부근에 설치되는 제2 에어 가이드(117b)로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에어 가이드(117a, 117b)가 상기 토출 유로(115)의 하부에만 설치된 경우, 이러한 에어 가이드는 제1 에어 가이드(117a)로서 회전 구동을 통해 상기 토출 유로(115)를 막아 상기 횡류팬(170)의 기류를 상기 제1 토출구(114)로 안내한다. 또는, 회전 구동을 통해 상기 토출 유로(115)를 개방하여 상기 횡류팬(170)의 기류를 상기 제2 토출구(113)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가이드(117a, 117b)는 상기 토출 유로(115)의 상부에 설치된 경우, 이러한 에어 가이드는 제2 에어 가이드(117b)로서 상기 토출 유로(115) 내부의 공기 흐름을 막아 상기 횡류팬(170)의 기류가 상기 제2 토출구(113)로 토출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토출 유로(115)를 개방하여 상기 횡류팬(170)의 기류가 상기 제2 토출구(113)로 토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117a, 117b)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제1 토출구(114)나 상기 제2 토출구(113)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토출구(114)나 상기 제2 토출구(113)에 모두 설치되어 각각의 토출구로 전달되는 기류의 전달이나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 가이드(117a, 117b)에 의해 개폐가 조절될 수 있는 상기 제1 토출구(114) 및 상기 제2 토출구(113)는 구체적으로 각각의 설치 목적에 따라서 개폐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 유로(115)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 토출구(114)가 개방된 경우에는 공조 장치(100)가 설치되는 실내의 바닥 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유로(115)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2 토출구(113)가 개방된 경우에는 공조 장치(100)가 설치된 실내의 벽면 건조 기능이나, 사용자의 바디 드라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유로 파티션(115a)에는 상기 제1 에어 가이드(117a)와 상기 제2 에어 가이드(117b) 중 적어도 하나를 수납하도록 리세스된 수납부(115a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리세스된 수납부(115aa)를 통해 상기 제1 에어 가이드(117a)와 상기 제2 에어 가이드(117b)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토출 유로(115)를 개방하기 위해 회전 구동 되면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됨으로써, 기류 배출 시 상기 토출 유로(115)에 대한 기류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상기 제2 토출구(113)로의 냉난방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의 토출 작용이 더욱 원활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제2 영역(A2)에서 상기 증발기(150)의 하측에는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로부터 발생하는 낙하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집수부(118)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별도로 집수하여 열교환 영역(HEA)과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공조 장치(100)의 열교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118)에는 상기 집수부(118)에 집수된 응축수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자연 배출되게 하는 배출부(118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토출구(114) 및 상기 제2 토출구(113)에는 이들 토출구(113, 114)만을 직접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블레이드들(113a, 114a)들이 각각 형성되어 공조 장치(100)로부터 토출되는 건조 공기나 냉풍의 방향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1a의 공조 장치의 제습 동작 시 배관에서 냉매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조 장치(100)의 제습 시 분기 배관(182)의 제1 분기관(182a)에 설치된 제1 솔레노이드 밸브(191)는 개방되고, 제2 분기관(182b)에 설치된 제2 솔레노이드 밸브(192)는 폐쇄된다. 따라서 전체 배관 구조에서 수냉식 응축기(160)로 냉매가 전달되는 배관은 폐쇄되고, 압축기(120)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증기 상태인 냉매는 압축기(120)에서 바로 공랭식 응축기(130)로 전달되어 응축된다. 이와 같이 응축된 냉매는 팽창부(140)와 증발기(150)를 순서대로 거치게 되며, 증발기(150)에서 주변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습한다.
구체적으로, 공랭식 응축기(130)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는 팽창부(140)를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로 변환되어 증발기(150)로 전달된다. 이후 증발기(150)에서 열을 흡수하여 저온 저압의 증기 상태로 변환되어, 다시 압축기(12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120)로 전달된 냉매는 다시 고온 고압의 증기 상태로 변환되어 다시 공랭식 응축기(130)로 전달된다.
상기 제습 과정에서 낮아진 주변 공기의 온도는 공랭식 응축기(130)의 재열과정을 통해 보상되고, 냉매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팽창부(140)와 증발기(150)를 거쳐 압축기(120)로 전달되면서 순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와 팽창부(140) 사이의 배관에는 제1 체크 밸브(19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크 밸브(193)는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가 팽창부(140)에서 공랭식 응축기(13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공랭식 응축기(130)가 냉매의 온도 변화를 통해 제습 작용을 하는데 방해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습 작용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도 7은 도 1a의 공조 장치의 냉각 동작 시 배관에서 냉매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조 장치(100)의 제습 시 분기 배관(182)의 제1 분기관(182a)에 설치된 제1 솔레노이드 밸브(191)는 폐쇄되고, 제2 분기관(182b)에 설치된 제2 솔레노이드 밸브(192)는 개방된다. 따라서 전체 배관 구조에서 수냉식 응축기(160)로 냉매가 전달되는 배관이 개방되어 압축기(120)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증기 상태의 냉매가 수냉식 응축기(160)를 통해 수냉 방식으로 열교환되며 냉각됨으로써, 냉매의 냉각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수냉식 응축기(160)를 통과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 상태에서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로 상변환된 냉매는 팽창부(140)로 전달되어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로 변환된다. 이처럼 상변환된 냉매는 증발기(150)로 전달되어 증발기(150)에서 증발열을 흡수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시킴으로써 냉각 과정이 수행된다. 한편, 증발기(150)를 통과한 냉매는 다시 압축기(120)로 전달되어 앞의 냉각 사이클이 반복된다.
여기서, 상기 수냉식 응축기(160)와 팽창부(140) 사이의 배관에는 제2 체크 밸브(194)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2 체크밸브(194)는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가 팽창부(140)에서 수냉식 응축기(16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냉식 응축기(160)의 냉매 상변환을 통한 냉각 과정이 방해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조 장치(100)의 냉각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와 상기 팽창부(140)를 연결하는 배관은 제3 분기관(187a)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수냉식 응축기(160)와 상기 팽창부(140)를 연결하는 배관은 제4 분기관(187b)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분기관(187a)과 제4 분기관(187b)은 상기 팽창부(140)의 상류측에서 하나로 합쳐져 상기 팽창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들(193, 194)은 상기 공랭식 응축기(130)와 상기 수냉식 응축기(160)에서 상기 팽창부(140)로 공급되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체크 밸브들(193, 194)은 상기 제1 배관(184a)과 상기 제2 배관(184b)의 합류 지점의 상류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0 : 공조 장치
110 : 하우징
120 : 압축기
130 : 공랭식 응축기
140 : 팽창부
150 : 증발기
160 : 수냉식 응축기
170 : 횡류팬
182 : 분기 배관

Claims (10)

  1. 공조 장치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 개구된 유입구와 전방을 향해 개구된 토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횡류팬; 및
    압축기, 분기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공랭식 응축기와 수냉식 응축기, 팽창부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은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영역과 타 측에 형성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압축기, 상기 수냉식 응축기, 상기 팽창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횡류팬, 상기 공랭식 응축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유입구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공랭식 응축기는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횡류팬과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공조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티션;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파티션에 설치되고, 상기 횡류팬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횡류팬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사이에서 상기 파티션을 관통하여 상기 모터와 상기 횡류팬에 연결되는 모터 축을 더 포함하는,
    공조 장치.
  2. 삭제
  3. 공조 장치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 개구된 유입구와 전방을 향해 개구된 토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횡류팬; 및
    압축기, 분기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공랭식 응축기와 수냉식 응축기, 팽창부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은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영역과 타 측에 형성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압축기, 상기 수냉식 응축기, 상기 팽창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횡류팬, 상기 공랭식 응축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유입구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공랭식 응축기는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횡류팬과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공조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티션을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에는 상기 공랭식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1 홀과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랭식 응축기의 일 측 단 부와 상기 증발기의 일 측 단 부는 각각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파티션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되고,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상기 공랭식 응축기로부터 발생하는 낙하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부에는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응축수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자연 배출되게 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공조 장치.
  4. 공조 장치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 개구된 유입구와 전방을 향해 개구된 토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횡류팬; 및
    압축기, 분기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공랭식 응축기와 수냉식 응축기, 팽창부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은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영역과 타 측에 형성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압축기, 상기 수냉식 응축기, 상기 팽창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횡류팬, 상기 공랭식 응축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유입구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공랭식 응축기는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횡류팬과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 및
    상기 하우징의 전방 상부에 형성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횡류팬의 전방에는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서 전방의 토출 유로와 후방의 열교환 영역으로 구획하는 토출 유로 파티션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 유로는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를 서로 소통하게 하며,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토출 유로를 통해 상기 횡류팬의 기류를 공급받는 공조 장치.
  5. 공조 장치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 개구된 유입구와 전방을 향해 개구된 토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횡류팬; 및
    압축기, 분기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공랭식 응축기와 수냉식 응축기, 팽창부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은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영역과 타 측에 형성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압축기, 상기 수냉식 응축기, 상기 팽창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횡류팬, 상기 공랭식 응축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유입구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공랭식 응축기는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횡류팬과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배치되며,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 및
    상기 하우징의 전방 상부에 형성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횡류팬의 전방에는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서 전방의 토출 유로와 후방의 열교환 영역으로 구획하는 토출 유로 파티션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 유로는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를 서로 소통하게 하며,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토출 유로를 통해 상기 횡류팬의 기류를 공급받고,
    상기 토출 유로 파티션에는 상기 횡류팬의 기류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토출 유로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을 통해 상기 토출 유로를 막아 상기 횡류팬의 기류를 상기 제1 토출구로 안내하거나, 회전 구동을 통해 상기 토출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횡류팬의 기류를 상기 제2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1 에어 가이드; 및
    상기 토출 유로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 유로를 막아 상기 횡류팬의 기류가 상기 제2 토출구로 토출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토출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횡류팬의 기류가 상기 제2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2 에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
  6. 공조 장치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 개구된 유입구와 전방을 향해 개구된 토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횡류팬; 및
    압축기, 분기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공랭식 응축기와 수냉식 응축기, 팽창부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은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영역과 타 측에 형성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압축기, 상기 수냉식 응축기, 상기 팽창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횡류팬, 상기 공랭식 응축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유입구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공랭식 응축기는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횡류팬과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 및
    상기 하우징의 전방 상부에 형성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횡류팬의 전방에는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서 전방의 토출 유로와 후방의 열교환 영역으로 구획하는 토출 유로 파티션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 유로는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를 서로 소통하게 하며,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토출 유로를 통해 상기 횡류팬의 기류를 공급받고,
    상기 토출 유로 파티션에는 상기 횡류팬의 기류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토출 유로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을 통해 상기 토출 유로를 막아 상기 횡류팬의 기류를 상기 제1 토출구로 안내하거나, 회전 구동을 통해 상기 토출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횡류팬의 기류를 상기 제2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1 에어 가이드; 및
    상기 토출 유로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 유로를 막아 상기 횡류팬의 기류가 상기 제2 토출구로 토출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토출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횡류팬의 기류가 상기 제2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2 에어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 유로 파티션에는 상기 제1 에어 가이드와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납하도록 리세스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가이드와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토출 유로를 개방하기 위해 회전 구동되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공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배관은,
    상기 공랭식 응축기에 연결되며, 제1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는 제1 분기관; 및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 연결되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는 제2 분기관을 포함하고,
    제습 모드에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혀 상기 공랭식 응축기로 냉매가 흐르고,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히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려 상기 수냉식 응축기로 냉매가 흐르게 동작하는 공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냉식 응축기는 판을 사이에 두고 수돗물과 냉매 간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판형 열교환기로 형성되고,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는 상기 수냉식 응축기로 상수를 공급되게 하는 수돗물 공급라인과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수돗물을 하수로 배출되게 하는 수돗물 배출라인이 각각 연결되는 공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랭식 응축기와 상기 팽창부를 연결하는 제3 분기관과, 상기 수냉식 응축기와 상기 팽창부를 연결하는 제4 분기관 은 상기 팽창부의 상류측에서 하나로 합쳐져 상기 팽창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분기관 과 상기 제4 분기관의 합류 지점의 상류측에는 상기 공랭식 응축기와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서 상기 팽창부로 공급되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공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는 낙하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부에는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응축수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자연 배출되게 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공조 장치.

KR1020210192246A 2021-12-30 2021-12-30 공조 장치 KR102660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46A KR102660161B1 (ko) 2021-12-30 2021-12-30 공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46A KR102660161B1 (ko) 2021-12-30 2021-12-30 공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266A KR20230102266A (ko) 2023-07-07
KR102660161B1 true KR102660161B1 (ko) 2024-04-24

Family

ID=8715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246A KR102660161B1 (ko) 2021-12-30 2021-12-30 공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1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688A (ja) 2005-03-25 2006-10-05 Seiko Epson Corp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クリーンブース
JP2006284087A (ja) * 2005-03-31 2006-10-19 Daikin Ind Ltd 空気浄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8078B1 (ko) * 1997-03-12 1999-07-15 윤종용 에어컨 실외기의 성능 검사장치
KR100441104B1 (ko) * 2002-09-03 2004-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688A (ja) 2005-03-25 2006-10-05 Seiko Epson Corp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クリーンブース
JP2006284087A (ja) * 2005-03-31 2006-10-19 Daikin Ind Ltd 空気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266A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6455B1 (ko) 공기 조화 장치
US9121641B2 (en) Retrofittable thermal storage for air conditioning systems
US9863674B2 (en) Fin-coil design for dual suction air conditioning unit
US6874334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00224688A1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and ventilation apparatus
JP4735573B2 (ja) 換気空調装置
JP5066960B2 (ja) 浴室換気空調装置
US20130255309A1 (en) Energy efficiency of room air conditioner or unitary air conditioning system by using dual suction compressor
EP3256790B1 (en) Air conditioner
JP200721211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660161B1 (ko) 공조 장치
KR20130013585A (ko) 열회수형 환기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 냉난방기
KR100728590B1 (ko) 절전형 고효율 히트펌프 환기장치
JP5082522B2 (ja) 換気空調装置
KR101692240B1 (ko) 제습 냉방기
JP3855393B2 (ja) 空気調和装置
JP5082523B2 (ja) 換気空調装置
KR100939019B1 (ko) 수냉식 공조 시스템의 실내기
KR102246320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KR100903487B1 (ko) 수냉식 공조 시스템 및 수냉식 공조 시스템의 실내기
KR100929193B1 (ko) 수냉식 공조 시스템
WO2008059756A1 (fr) Dispositif de ventilation et de climatisation
US20050072179A1 (en) Heat pump air conditioner with all seasons dehumidifing function
KR20210115565A (ko) 외기 처리 환기 장치 및 그 방법
JP3815486B2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