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125B1 -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125B1
KR102660125B1 KR1020230006380A KR20230006380A KR102660125B1 KR 102660125 B1 KR102660125 B1 KR 102660125B1 KR 1020230006380 A KR1020230006380 A KR 1020230006380A KR 20230006380 A KR20230006380 A KR 20230006380A KR 102660125 B1 KR102660125 B1 KR 102660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uplink
data channel
uplink control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5480A (ko
Inventor
김철순
김민현
김지형
문성현
박주호
이정훈
김태중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2885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90617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3001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6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payload signals; piggyb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8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cknowled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단말의 동작 방법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n 또는 슬롯 #(n-l)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슬롯 #(n+k)의 포맷을 지시하는 슬롯 포맷 지시자를 상기 슬롯 #n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 응답을 포함하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슬롯 #(n+k)에서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기지국,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기지국은 하향링크 신호(예를 들어, 제어 정보, 데이터, 참조 신호)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신호(예를 들어, 제어 정보, 데이터, 참조 신호)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제어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로 지칭될 수 있고,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제어 정보는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로 지칭될 수 있다. UCI는 SR(scheduling request), 채널 상태 정보 및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응답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5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new radio) 시스템)은 동적(dynamic) TDD(time division duplex), 빔-센트릭(beam-centric) 통신 또는 저지연 통신을 지원하기 때문에, 슬롯 내에서 UCI 전송이 허용되는 상향링크 심볼들의 개수는 가변적일 수 있다. UCI 전송이 허용되는 상향링크 심볼들의 개수는 제한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 UCI 전송이 허용되는 상향링크 심볼들의 개수는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따라서 UCI 전송이 허용되는 하향링크 심볼들의 개수가 가변적인 경우를 지원하기 위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기술이 필요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n 또는 슬롯 #(n-l)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슬롯 #(n+k)의 포맷을 지시하는 슬롯 포맷 지시자를 상기 슬롯 #n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 응답을 포함하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슬롯 #(n+k)에서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n 및 k 각각은 0 이상의 정수이고, l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여기서, 상기 슬롯 포맷 지시자는 슬롯 #(n+k) 내지 #(n+k+j)의 포맷을 지시하며, j는 1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 #n에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슬롯에 대한 포맷 지시자들이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슬롯 포맷 지시자들 중에서 하나의 슬롯 포맷 지시자는 상기 슬롯 #(n+k)의 포맷을 지시할 수 있고, 나머지 슬롯 포맷 지시자는 상기 슬롯 #(n+k)와 연속하는 슬롯의 포맷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 #n에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슬롯 포맷 지시자들이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슬롯 포맷 지시자들 중에서 하나의 슬롯 포맷 지시자는 상기 슬롯 #(n+k)의 포맷을 지시할 수 있고, 나머지 슬롯 포맷 지시자는 상기 슬롯 #n 이전의 슬롯을 통해 전송된 슬롯 포맷 지시자일 수 있고, 상기 나머지 슬롯 포맷 지시자는 상기 슬롯 #(n+k) 이외의 다른 슬롯의 포맷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 포맷 지시자는 상기 슬롯 #(n+k)에서 적어도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심볼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 포맷 지시자는 상기 슬롯 #n의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 #n과 상기 슬롯 #(n+k) 간의 시간 간격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상기 HARQ 응답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슬롯 #n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슬롯 #(n+l) 내지 슬롯 #(n+l+k)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상기 기지국에 k번 반복 전송하는 단계, 및 슬롯 #(n+m) 내지 슬롯 #(n+m+k')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 응답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k'번 반복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n, l 및 m 각각은 0 이상의 정수이고, k 및 k' 각각은 1 이상의 정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과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동시에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과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 대신에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해 설정된 RE들 중에서 펑쳐링된 RE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해 설정된 하나 이상의 RE에 매핑되는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해 설정된 RE들 중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매핑된 하나 이상의 RE를 제외한 나머지 RE들에 매핑될 수 있고, RE 매핑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레이트 매칭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 #(n+l) 내지 상기 슬롯 #(n+m+k') 중에서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p개의 슬롯이 존재하고 상기 미정 심볼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p개의 슬롯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상기 슬롯 #(n+l) 내지 슬롯 #(n+l+k+p)에서 k번 반복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슬롯 #(n+m) 내지 슬롯 #(n+m+k'+p)에서 k'번 반복 전송될 수 있고, p는 1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 #(n+l) 내지 상기 슬롯 #(n+m+k') 중에서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p개의 슬롯이 존재하고 상기 미정 심볼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p개의 슬롯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상기 슬롯 #(n+l) 내지 상기 슬롯 #(n+l+k)에서 (k-p)번 반복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슬롯 #(n+m) 내지 상기 슬롯 #(n+m+k')에서 (k'-p)번 반복 전송될 수 있고, p는 1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반복 전송 횟수(k)와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반복 전송 횟수(k')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 및 DCI 전송 절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슬롯 #n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슬롯 #(n+l) 내지 슬롯 #(n+l+k)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 응답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k번 반복 전송하는 단계, 및 슬롯 #(n+m) 내지 슬롯 #(n+m+k')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k'번 반복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n은 0 이상의 정수이고, l 및 m 각각은 1 이상의 정수이고, k 및 k' 각각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동시에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 대신에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해 설정된 RE들 중에서 펑쳐링된 RE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해 설정된 하나 이상의 RE에 매핑되는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해 설정된 RE들 중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매핑된 하나 이상의 RE를 제외한 나머지 RE들에 매핑될 수 있고, RE 매핑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레이트 매칭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 #(n+l) 내지 상기 슬롯 #(n+m+k') 중에서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p개의 슬롯이 존재하고 상기 미정 심볼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p개의 슬롯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전송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슬롯 #(n+l) 내지 슬롯 #(n+l+k+p)에서 k번 반복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상기 슬롯 #(n+m) 내지 슬롯 #(n+m+k'+p)에서 k'번 반복 전송될 수 있고, p는 1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 #(n+l) 내지 상기 슬롯 #(n+m+k') 중에서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p개의 슬롯이 존재하고 상기 미정 심볼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p개의 슬롯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전송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슬롯 #(n+l) 내지 상기 슬롯 #(n+l+k)에서 (k-p)번 반복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상기 슬롯 #(n+m) 내지 상기 슬롯 #(n+m+k')에서 (k'-p)번 반복 전송될 수 있고, p는 1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L1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해 설정된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L1 제어 정보는 DM-RS와 이웃한 RE에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L1 제어 정보의 수신 오류가 최소화될 수 있고, L1 제어 정보에 대한 주파수 다중화 이득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제1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위해 설정된 자원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자원을 통해 제2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가 전송되는 것을 지시하는 선점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선점 지시자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대한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HARQ 응답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사용율이 향상될 수 있고, HARQ 응답에 대한 오류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 및 #2를 수신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대한 HARQ 응답 #1 및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에 대한 HARQ 응답 #2 각각을 반복 전송할 수 있다. HARQ 응답 #1 및 #2는 동일한 슬롯을 통해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HARQ 응답의 수신 오류가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에서 TB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에서 TB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TB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a는 L1 제어 정보의 매핑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b는 L1 제어 정보의 매핑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a는 L1 제어 정보의 매핑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b는 L1 제어 정보의 매핑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데이터 채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CC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응답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CC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응답 코드북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CC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응답 코드북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a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2b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3은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응답 전송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4a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4b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5a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5b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5c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6a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6b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6c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6d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7a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7b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7c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7d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8은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9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9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예를 들어,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5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new radio) 시스템)인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UPF(user plane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4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고, 5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및 5G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iltered 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CP(cyclic prefix)-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 및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gNB, ABS(advanced base station), HR-BS(high reliability-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RAS(radio access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릴레이(relay), ARS(advanced relay station), HR-RS(high reliability-relay station)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CA(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제어에 의해 D2D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NR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캐리어(carrier)들을 운영함으로써 DC(dual connectivity) 및 CA(carrier aggregation)를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캐리어들이 운영되는 경우에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응답이 전송되는 물리 채널과 하나의 캐리어가 운영되는 경우에 HARQ 응답이 전송되는 물리 채널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HARQ 응답은 ACK(acknowledgement), NACK(negative ACK) 등일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TB(transport block) 단위로 통신이 수행될 수 있으며, 부호화된 TB는 CW(codeword)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CW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CW를 수신할 수 있다. MIMO가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CW들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CW 마다 하나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이 하나의 캐리어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경우, 단말은 1비트 또는 2비트의 크기를 가지는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경우, 단말은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HARQ 응답을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된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절차)"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와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전송 절차의 조합"을 사용하여 HARQ 응답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 정보(예를 들어, 시간-주파수 자원 정보)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HARQ 응답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 정보는 서브프레임(subframe) 인덱스, 슬롯(slot) 인덱스, 서브슬롯(sub-slot) 인덱스, 미니슬롯(mini-slot) 인덱스 또는 심볼(symbol) 인덱스일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사용하여 HARQ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HARQ 응답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하나 이상의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속된 심볼들은 "UL 슬롯", "UL 서브슬롯" 또는 "UL 미니슬롯"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하나 이상의 UL 슬롯들, 하나 이상의 UL 서브슬롯들 또는 하나 이상의 UL 미니슬롯들로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사용하여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HARQ 응답, 채널 상태 정보 및 SR(scheduling request)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BSR(buffer status report)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수신하고, 제2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를 수신하는 경우,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UCI)의 송수신 방법들은 아래 실시예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과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사용하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속한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에 속한 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낮은 경우,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1 단말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를 제2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위해 설정된 자원들 중에서 일부 또는 전체 자원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이하, "선점 지시자(preemption indicator)"라 함)를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제1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제1 단말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이 전송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대한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 TB 및 CBg(coded block group)의 생성 방법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에 TB는 기지국의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에 TB는 단말의 MAC 계층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에서 TB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TB(300)는 MAC 서브헤더(sub-header)(310) 및 MAC CE(control element)(320)를 포함할 수 있다. MAC 서브헤더(310) 및 MAC CE(320)를 포함하는 TB(300)는 "타입-1 TB"로 지칭될 수 있다. MAC 서브헤더(310)는 MAC CE(320)에 연접(concatenation)될 수 있다. TB(300)는 MAC 서브헤더(310) 대신에 MAC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즉, TB(300)는 MAC 헤더 및 MAC CE(3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에서 TB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TB(400)는 MAC 서브헤더(sub-header)(410) 및 MAC SDU(service data unit)(420)를 포함할 수 있다. MAC 서브헤더(410) 및 MAC SDU(420)를 포함하는 TB(400)는 "타입-2 TB"로 지칭될 수 있다. MAC 서브헤더(410)는 MAC SDU(420)에 연접될 수 있다. TB(400)는 MAC 서브헤더(410) 대신에 MAC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즉, TB(400)는 MAC 헤더 및 MAC SDU(4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하나의 TB는 복수의 CBg들로 나누어(segmentation) 질 수 있다. CBg는 하나 이상의 C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C 계층은 TB를 복수의 CBg들로 나눌 수 있으며, CBg 마다 CRC(cyclic redundancy check) 필드를 붙일(append) 수 있다. CBg는 TB의 크기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TB의 크기가 미리 정의된 크기(예를 들어, 3GPP TS(technical specification)에서 정의된 크기)보다 큰 경우, TB는 하나 이상의 CBg들로 나누어 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러(filler) 비트가 CBg에 붙여질 수 있다. TB의 크기가 미리 정의된 크기(예를 들어, 3GPP TS에서 정의된 크기)보다 작은 경우, 해당 TB는 하나의 CBg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TB가 하나의 CBg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CBg를 위한 CRC 필드 대신에 TB를 위한 CRC 필드가 생성될 수 있다.
TB의 크기에 따라 TB를 구성하는 CBg들의 개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HARQ 응답들의 개수도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Bg 마다 HARQ 응답이 생성되는 경우, CBg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HARQ 응답들의 개수도 증가할 수 있다. 단말은 하향링크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TB의 크기를 알 수 있기 때문에 해당 TB를 위한 HARQ 응답들의 개수를 알 수 있다. CA 또는 TDD(time division duplex)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복수의 하향링크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복수의 HARQ 응답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HARQ 응답들의 개수는 DTx(discontinuous transmission) 개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한편, CBg를 생성하는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CBg들의 개수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는 CBg들의 개수만큼 CBg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CBg들의 개수는 TB의 크기에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CBg들의 개수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HARQ 응답들의 개수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TB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CBg들의 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CBg에 속하는 CB들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TB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하나의 CBg를 구성하는 CB들의 개수는 감소할 수 있고, TB의 크기가 큰 경우에 하나의 CBg를 구성하는 CB들의 개수는 증가할 수 있다.
TB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CBg들의 개수가 많을 필요는 없다. 시스템 정보를 위한 TB의 크기는 크지 않고, 시스템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단말들이 CBg들의 개수를 동일하게 도출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CBg들의 개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은 특정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format)을 사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쥴링할 수 있고, 특정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을 수신한 단말은 특정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에 의해 지시되는 TB의 크기에 따라 CBg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특정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에 의해 결정된 CBg들의 개수만큼 CBg들을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하향링크(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은 하나 이상의 CBg들로 구성될 수 있고, 하향링크(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속한 하나 이상의 CBg들은 하향링크(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2에 의해서 선점될 수 있다. 하향링크(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의 재전송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하향링크(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속한 전체 CBg 혹은 일부 CBg에 대한 재전송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하향링크(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속한 일부 CBg가 재전송되는 경우, 재전송되는 CBg의 개수는 하향링크(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2에 의해 선점된 CBg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하나의 CBg가 복수의 미니슬롯들의 RE(resource element)들에 매핑된 경우, 하향링크(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2가 하나의 미니슬롯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도, 하향링크(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속한 CBg는 복수의 미니슬롯들에 매핑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CBg를 생성하는 다른 방법으로, CBg는 TB의 크기뿐만 아니라 미니슬롯의 경계를 고려한 RE 매핑 방식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CBg가 "타입-1 TB" 단위, "타입-2 TB" 단위 또는 "타입-1 TB + 타입-2 TB" 단위로 생성되는 경우, CBg는 미니슬롯의 경계에 맞도록 RE에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MAC 계층은 하나의 CBg를 하나 이상의 미니슬롯들에 매핑할 수 있다. 또는, MAC 계층은 복수의 CBg들을 하나의 미니슬롯에 매핑할 수 있다. 기지국이 하향링크(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2의 미니슬롯을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심볼들로 구성한 경우, CBg는 최소 미니슬롯의 단위(예를 들어, 1 심볼 단위)에 맞추어 생성될 수 있다. 또는, CBg는 최소 미니슬롯의 단위 대신에 하나 이상의 미니슬롯들의 경계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CBg가 최소 미니슬롯 단위로 생성되고, 오직 하나의 단말이 1개의 심볼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상향링크(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를 송수신하는 경우, 해당 기지국에 속한 다른 단말들도 1개의 심볼 단위로 CBg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버헤드(overhead)를 감소시키기 위해, MAC 계층은 CBg를 하나 이상의 미니슬롯들의 경계에 맞도록 매핑할 수 있다.
수신단의 MAC 계층에서 처리 속도의 향상과 수신단의 PHY 계층에서 소프트 버퍼(soft buffer)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TB에서 별도의 MAC 헤더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고, TB는 "타입-1 TB"와 "타입-2 TB"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별도의 MAC 헤더를 생성하는 방법은 TB 및 TB에 속한 CBg 각각에 CRC 필드를 모두 붙이는 방법일 수 있다. 이 경우, MAC 계층은 수신된 TB에 대한 CRC가 성공한 경우에만 TB의 수신 성공을 상위 계층(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계층)에 보고할 수 있기 때문에, MAC 계층은 CBg들에 대한 CRC가 모두 성공할 때까지 수신된 신호를 소프트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CBg마다 재전송이 독립적으로 허용되는 경우, CRC가 성공된 CBg는 소프트 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CRC가 성공된 CBg가 소프트 버퍼에 저장되는 경우에 오버헤드가 증가되므로, CRC가 성공된 CBg는 MAC 계층으로 보고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TB를 위한 CRC 필드는 생략될 수 있고, CBg를 위한 CRC 필드만이 생성될 수 있다.
별도의 MAC 헤더를 포함하지 않는 TB가 생성될 수 있고, TB는 하나 이상의 CBg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CRC가 성공된 CBg가 MAC 계층으로 보고되는 경우, CRC가 성공된 CBg는 소프트 버퍼에 저장되지 않을 수 있고, MAC 헤더의 수신에 의해 TB에 대한 CRC가 성공할 때까지 CBg 단위로 재전송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TB는 재전송 절차에 의해 수신된 CBg가 순서에 따라 재구성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생성된 TB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TB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TB는 복수의 MAC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MAC 유닛들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타입-1 TB" 또는 도 4에 도시된 "타입-2 TB"일 수 있다. 하나의 MAC 유닛은 하나 이상의 CBg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CBg는 하나 이상의 미니슬롯들에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CBg는 하나 이상의 미니슬롯들의 경계에 맞도록 RE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CBg는 스케쥴링된 대역폭 내에 매핑될 수 있다.
TB를 위한 CRC 필드와 MAC 헤더가 설정되는 경우, TB의 CRC 필드는 TB 내에서 제일 앞쪽 영역 또는 제일 뒤쪽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TB의 MAC 헤더는 TB 내에서 제일 앞쪽 영역 또는 제일 뒤쪽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TB의 CRC 필드는 MAC 헤더와 페이로드(payload)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기지국은 MAC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MAC CE를 사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MAC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MAC CE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TB에 속할 수 있으며, CBg의 생성에 관여할 수 있다. 반면,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를 위한 전송 자원은 기지국의 MAC 계층 대신에 스케쥴러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채널의 전송 용량이 제한적이고, 제어 정보의 양이 많은 경우,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MAC 계층의 관여 없이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의 정의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C 계층의 관여 없이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는 비주기적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 빔 대응관계(beam correspondence)의 관리 정보, 대역 부분(bandwidth part)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번들(bundle)의 크기, 간섭 측정(interference measurement)을 위한 자원 정보, 가상 섹터(예를 들어, 빔)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CSI(예를 들어,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or), CRI(CSI-RS resource indicator)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정보는 "L1 제어 정보"로 지칭될 수 있고,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L1 제어 정보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들이 정의될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L1 제어 정보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들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아래 실시예들에서 L1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1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 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을 지시할 수 있고,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 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은 L1 제어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을 위한 자원 할당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기지국의 스케쥴러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 채널을 위한 TB 또는 CBg들이 점유하는 자원 정보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의 스케쥴러는 데이터 채널을 위한 자원 내에서 L1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L1 제어 정보를 위해 할당된 자원 정보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단말을 위한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없이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의 전송을 단말에 요청할 수 있다.
L1 제어 정보를 위한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 및 부호화율(code rate)은 3GPP TS에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L1 제어 정보를 위한 변조 차수 및 부호화율을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1 제어 정보의 변조 차수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일 수 있고, L1 제어 정보의 부호화율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과의 상대적인 오프셋(offset)으로 지시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와 함께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L1 제어 정보의 크기는 3GPP TS에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L1 제어 정보의 크기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 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에 의해 확인된 L1 제어 정보의 종류, L1 제어 정보의 변조 차수와 부호화율 등에 기초하여 데이터 채널을 위해 설정된 자원 내에서 L1 제어 정보를 위해 할당된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확인된 자원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에 대한 RE 디매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확인된 자원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에 대한 RE 매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채널을 위한 RE 매핑 동작 및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동작은 데이터 채널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중에서 L1 제어 정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자원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L1 제어 정보가 데이터 채널과 함께 RE에 매핑되는 경우, 기지국 또는 단말에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L1 제어 정보의 수신 오류 최소화를 위해, 아래 실시예들과 같이 L1 제어 정보는 주파수 다중화 이득을 획득하기 위해 RS(예를 들어, DM-RS(demodulation-reference signal)) 근처에 매핑될 수 있다.
도 6a는 L1 제어 정보의 매핑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b는 L1 제어 정보의 매핑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하나의 슬롯은 4개의 미니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하향링크 전송 또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Bg #1 내지 #3은 데이터 채널에 속할 수 있고, 스케쥴링된 대역폭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도 6a에서, L1 제어 정보를 위한 CB는 하나의 슬롯에 속한 전체 미니슬롯들에 매핑될 수 있고, L1 제어 정보를 위한 CB는 RS(예를 들어, DM-RS)와 이웃한 RE에 매핑될 수 있다. 도 6b에서, L1 제어 정보를 위한 CB는 일부 미니슬롯들에 매핑될 수 있고, L1 제어 정보를 위한 CB는 RS(예를 들어, DM-RS)와 이웃한 RE에 매핑될 수 있다.
데이터 채널을 위한 DM-RS와 가까운 RE에 L1 제어 정보를 위한 CB가 매핑되는 경우, 채널 추정 이후에 채널 보간 동작에 의한 오류가 감소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레이어(layer)들을 전송하는 MIMO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앞서 설명된 L1 제어 정보의 RE 매핑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1 제어 정보는 하나의 레이어에서만 RE에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L1 제어 정보가 매핑된 레이어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L1 제어 정보가 매핑된 레이어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레이어에서 L1 제어 정보에 대한 디매핑 동작 또는 매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L1 제어 정보가 매핑된 레이어에 대한 포트 정보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의 지시에 따라 레이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 다중화 이득(spatial diversity gain)이 획득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채널이 전송되는 모든 레이어들에 L1 제어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채널의 전송을 위해 사용 가능한 자원이 감소하기 때문에,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적절한 부호화율을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 채널을 위해 할당되는 자원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주파수 다중화 이득(frequency diversity gain)이 획득됨으로써 L1 제어 정보의 수신 오류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L1 제어 자원은 데이터 채널을 위해 스케쥴링된 대역폭 내에서 2개 이상의 주파수 자원(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 서브캐리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 L1 제어 정보의 종류(예를 들어, DCI 타입 또는 UCI 타입)에 따른 RE 매핑 방법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들 각각은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들 각각은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RE 매핑의 위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 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의 우선순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데이터 채널을 위해 스케쥴링된 자원 내에서 L1 제어 정보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크기 및 위치가 동일한 경우,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DCI 타입(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이 RE에 먼저 매핑될 수 있고, 그 이후에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이 RE에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은 상대적으로 RS(예를 들어, DM-RS)와 가까운 RE에 매핑될 수 있으므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의 수신 오류가 감소할 수 있다.
한편, RS 주변의 RE에만 L1 제어 정보가 할당되고, 전송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RS 및 L1 제어 정보가 할당된 RE들을 제외한 나머지 RE들을 통해 어떠한 신호도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자원 사용율은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아래 실시예들과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L1 제어 정보는 RS 주변의 RE가 아닌 다른 RE에 매핑될 수 있다.
도 7a는 L1 제어 정보의 매핑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b는 L1 제어 정보의 매핑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하나의 슬롯은 4개의 미니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슬롯 내에서 데이터 채널이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a에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L1 제어 정보를 위한 CB는 하나의 슬롯에 속한 전체 미니슬롯들에 매핑될 수 있고, RS(예를 들어, DM-RS)와 이웃한 RE에 매핑될 수 있다. 반면,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L1 제어 정보를 위한 CB는 하나의 슬롯에 속한 전체 미니슬롯들에 매핑될 수 있고, RS(예를 들어, DM-RS) 주변의 RE가 아닌 다른 RE들에 매핑될 수 있다.
도 7b에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L1 제어 정보를 위한 CB는 일부 미니슬롯들에 매핑될 수 있고, RS(예를 들어, DM-RS)와 이웃한 RE에 매핑될 수 있다. 반면,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L1 제어 정보를 위한 CB는 일부 미니슬롯들에 매핑될 수 있고, RS(예를 들어, DM-RS) 주변의 RE가 아닌 다른 RE들에 매핑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L1 제어 정보의 매핑 방법들은 하나의 슬롯 또는 하나의 미니슬롯을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L1 제어 정보는 복수의 슬롯들 또는 복수의 미니슬롯들의 경계에 맞도록 RE에 매핑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비주기적인 CSI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경우, 4개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들(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1,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2,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3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4)이 존재할 수 있다. 4개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들 각각은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으며,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의 RE 매핑 방법은 우선순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RI 및 CRI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은 DM-RS 주변의 RE에 매핑될 수 있고, CQI 및 PMI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은 DM-RS 주변의 RE가 아닌 다른 RE에 매핑될 수 있다. 즉,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L1 제어 정보(예를 들어, DCI 타입 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는 DM-RS 주변의 RE가 아닌 다른 RE에도 매핑될 수 있다. 또는, 1개의 DCI 타입 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만이 존재하는 경우, L1 제어 정보(예를 들어, DCI 타입 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타입)는 DM-RS 주변의 RE뿐만 아니라 DM-RS 주변의 RE가 아닌 다른 RE에도 매핑될 수 있다.
■ CBg 기반의 TB 전송 방법
도 8은 데이터 채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시스템 대역폭 내에 복수의 TB들이 설정될 수 있고, 복수의 TB들 각각은 하나의 슬롯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TB는 하나 이상의 CBg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CBg는 하나 이상의 미니슬롯에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B #3은 3개의 CBg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이 4개의 미니슬롯들을 포함하는 경우, TB #3의 CBg #1은 미니슬롯 #0-1에 매핑될 수 있고, TB #3의 CBg #2는 미니슬롯 #1-2에 매핑될 수 있고, TB #3의 CBg #3은 미니슬롯 #3에 매핑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TB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TB가 설정된 슬롯은 "DL 슬롯"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TB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TB가 설정된 슬롯은 "UL 슬롯"으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여 TB를 단말들(예를 들어, 제1 단말, 제2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을 위해 설정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단말을 위해 설정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로 지칭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슬롯 형태(예를 들어, DL 슬롯, DL-센트릭(centric) 슬롯 등)와 무관하게 하나의 슬롯에 속할 수 있으며, 하나의 TB는 하나의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의 RRC 설정 또는 DCI에 따라 미니슬롯마다 주파수 호핑(hopping)이 수행될 수 있다.
TB #3이 매핑되는 자원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로 설정된 경우, TB #3에 속한 하나 이상의 미니슬롯들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가 전송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의 우선순위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경우, TB #3이 매핑되는 자원들 중에서 일부 자원을 통해서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이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위해 설정된 자원들 중에서 일부 자원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이 전송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즉, 선점 지시자)를 제1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선점 지시자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위해 설정된 자원들 중에서 일부 자원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이 전송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선점 지시자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이 전송되지 않는 물리 자원의 위치(즉,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가 전송되는 물리 자원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점 지시자는 특정 슬롯의 시간-주파수 자원 정보, 특정 슬롯 내의 하나 이상의 미니 슬롯들의 시간-주파수 자원 정보 등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슬롯(또는, 미니슬롯)의 시간 자원 정보는 슬롯 인덱스(또는, 미니슬롯 인덱스)일 수 있고, 슬롯 또는 미니슬롯의 주파수 자원 정보는 서브캐리어 인덱스, 서브밴드 인덱스, PRB 등일 수 있다.
제1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선점 지시자를 수신할 수 있고, 선점 지시자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위해 설정된 자원들 중에서 일부 자원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가 전송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이 수신된 경우, 제1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대한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HARQ 응답의 크기는 랭크(rank)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랭크가 1, 2, 3 또는 4인 경우, HARQ 응답의 크기는 1비트일 수 있다. 랭크가 5, 6, 7 또는 8인 경우, HARQ 응답의 크기는 2비트일 수 있다. 단말은 TB 또는 CBg 마다 1개의 HARQ 응답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 HARQ 응답의 전송 방법 1(이하, "방법 1"이라 함)
기지국은 TB를 구성하는 CBg들의 개수를 제1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와 DCI 전송 절차의 조합"을 사용하여 TB를 구성하는 CBg들의 개수를 제1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DCI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 1에서 선점 지시자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의 전송을 지시하는 선점 지시자를 단말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의 전송을 지시하는 선점 지시자가 수신된 경우에도, 제1 단말은 선점 지시자의 고려없이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선점 지시자의 수신과 무관하게 CBg 단위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HARQ 응답의 크기(예를 들어, 1비트 또는 2비트)는 랭크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제1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HARQ 응답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TB #1이 L개의 CBg들을 포함하고, 도 8의 TB #2가 M개의 CBg들을 포함하고, 도 8의 TB #3이 N개의 CBg들을 포함하는 경우, TB #1-3을 수신한 제1 단말은 "L+M+N"개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MIMO, TDD, CA 또는 DC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단말은 복수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들의 HARQ 응답들을 하나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HARQ 응답들의 개수는 복수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들에 속한 CBg들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HARQ 응답의 전송 방법 2(이하, "방법 2"라 함) : 펑쳐링된(punctured) CBg에 대한 HARQ 응답을 생성/전송하지 않는 방법이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의 전송을 지시하는 선점 지시자를 제1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제1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수신한 제1 단말은 TB 또는 CBg 단위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선점 지시자를 고려하여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선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예를 들어, 슬롯, 미니슬롯)에서는 CBg 단위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고, 반면 선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 이외의 자원에서는 TB 단위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생성된 HARQ 응답을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TB #1이 L개의 CBg들을 포함하고, 도 8의 TB #2가 M개의 CBg들을 포함하고, 도 8의 TB #3이 N개의 CBg들을 포함하는 경우, TB #1-3을 수신한 제1 단말은 TB #1에 대한 1비트의 HARQ 응답, TB #2에 대한 1비트의 HARQ 응답 및 TB #3에 대한 1비트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1+1+1"비트의 HARQ 응답을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의 전송 관련 정보(예를 들어, 변조 차수, 부호화율 등)를 모르기 때문에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만을 수신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대한 CBg를 복조할 수 있다.
HARQ 응답의 전송 방법 3(이하, "방법 3"이라 함) : 펑쳐링된 CBg에 대한 HARQ 응답의 세분화(granularity)를 고려하는 방법이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의 전송을 지시하는 선점 지시자를 제1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제1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수신한 제1 단말은 TB 또는 CBg 단위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선점 지시자를 고려하여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선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슬롯에서 수신된 TB를 복수의 CBg들로 나눌수 있으며, 복수의 CBg들 각각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TB #1이 L개의 CBg들을 포함하고, 도 8의 TB #2가 M개의 CBg들을 포함하고, 도 8의 TB #3이 N개의 CBg들을 포함하고, 선점 지시자가 슬롯 #2를 지시하는 경우, TB #1-3을 수신한 제1 단말은 TB #1에 대한 1비트의 HARQ 응답, TB #2에 대한 M비트의 HARQ 응답 및 TB #3에 대한 1비트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1+M+1"비트의 HARQ 응답을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선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정보의 구체성에 따라 "HARQ 응답의 전송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
HARQ 응답의 전송 방법 4(이하, "방법 4"이라 함) : 선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CBg에 대한 HARQ 응답을 생성/전송하지 않는다.
선점 지시자가 도 8의 슬롯 #2를 지시하는 경우, 제1 단말은 슬롯 #2에서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속한 CBg들에 대한 HARQ 응답들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즉, "방법 4"). "방법 4"의 경우, 도 8의 슬롯 #2를 통해 수신된 CBg들에 대한 HARQ 응답들이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방법 4"의 경우, 도 8의 슬롯 #2를 통해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이 3개의 CBg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초전송된 3개의 CBg들은 버퍼에 저장되지 않을 수 있고, 재전송된 3개의 CBg들에 대한 HARQ 컴바이닝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동작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이 할당되는 경우 또는 L1 활성화에 의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이 할당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단말은 NACK을 지시하는 HARQ 응답 비트만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다른 단말에 간섭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TDD, CA 또는 DC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HARQ 응답 코드북(codebook)(예를 들어, HARQ ACK 코드북)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우,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수신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HARQ 응답의 전송 방법 5(이하, "방법 5"라 함) : 선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CBg에 대한 HARQ 응답으로 고정된 HARQ 응답(예를 들어, NACK 또는 ACK)을 생성/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선점 지시자가 도 8의 슬롯 #2를 지시하는 경우, 제1 단말은 슬롯 #2에서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속한 CBg들에 대한 HARQ 응답으로 고정된 HARQ 응답(예를 들어, NACK 또는 ACK)을 생성할 수 있다(즉, "방법 5"). "방법 5"의 경우, 도 8의 슬롯 #2를 통해 수신된 CBg들에 대한 HARQ 응답으로 NACK이 전송될 수 있다.
선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CBg들에 대한 NACK을 전송하는 것은 오버헤드일 수 있으나, 제1 단말로부터 NACK을 수신한 기지국은 선점 지시자가 제1 단말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방법 5"에서 HARQ 컴바이닝 방법은 "방법 4"에서 HARQ 컴바이닝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하나의 캐리어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단말이 1비트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예를 들어, LTE 통신 시스템에서 PUCCH 포맷 1/1a/1b를 고려하는 경우), "방법 4"를 사용하는 제1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고, "방법 5"를 사용하는 제1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NACK을 전송할 수 있다. TDD, CA 또는 DC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단말이 2비트 이상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 "방법 5"를 사용하는 제1 단말은 NACK을 지시하는 HARQ 응답 비트를 부호화할 수 있고, 부호화된 HARQ 응답 비트를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매핑할 수 있다.
한편, 선점 지시자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비트맵(bitmap)일 수 있다. 비트맵은 시간 자원(예를 들어, 슬롯, 미니슬롯, 심볼 등) 및 주파수 자원(예를 들어, 서브대역, 서브캐리어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점 지시자가 도 8의 슬롯 #2 및 0,0,1,0을 지시하는 경우, 0,0,1,0는 슬롯 #2에 속한 미니슬롯 #0-3을 지시할 수 있고, "1"로 표기된 미니슬롯 #2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가 전송될 수 있다.
선점 지시자를 수신한 제1 단말은 슬롯 #2의 미니슬롯 #2에서 수신된 CBg(예를 들어, CBg #2)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슬롯 #2의 미니슬롯 #0-1에서 CBg #1이 수신된 경우, 제1 단말은 CBg #1에 대한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슬롯 #2의 미니슬롯 #3에서 CBg #3이 수신된 경우, 제1 단말은 CBg #3에 대한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슬롯 #2의 미니슬롯 #2에서 수신된 CBg #2에 대한 HARQ 응답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즉, "방법 4"). 또는, 제1 단말은 슬롯 #2의 미니슬롯 #2에서 수신된 CBg #2에 대한 HARQ 응답으로 고정된 HARQ 응답(예를 들어, NACK 또는 ACK)을 생성할 수 있다(즉, "방법 5").
제1 단말은 슬롯 #2를 통해 수신된 CBg들에 대한 HARQ 응답을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방법 4"의 경우, 제1 단말은 "CBg #1에 대한 HARQ 응답 + CBg #3에 대한 HARQ 응답"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방법 5"의 경우, 제1 단말은 "CBg #1에 대한 HARQ 응답 + CBg #2에 대한 고정된 HARQ 응답 + CBg #3에 대한 HARQ 응답"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CBg #2가 초전송된 데이터인 경우, 단말은 CBg #2를 버퍼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CBg #2가 재전송된 데이터인 경우, 단말은 버퍼에 이미 저장된 CBg #2와 재전송된 CBg #2에 대한 HARQ 컴바이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방법 4"에서 CBg #2에 대한 HARQ 응답이 생성되는 경우, CBg #2에 대한 HARQ 응답의 전송 시점은 CBg #1 및 #3에 대한 HARQ 응답들의 전송 시점과 다를 수 있다. CBg #2에 대한 HARQ 응답의 전송 시점은 CBg #2의 재전송을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HARQ 응답의 전송 방법 6(이하, "방법 6"이라 함) : TB에 속한 CBg들 중에서 선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CBg를 제외한 나머지 CBg들에 대한 HARQ 응답들을 번들링(bundling)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방법 5"에서 CBg #2에 대한 고정된 HARQ 응답이 생성되는 경우, 고정된 HARQ 응답은 미리 정의된 시점에서 전송될 수 있다. "방법 6"의 경우, 제1 단말은 CBg #1의 HARQ 응답과 CBg #3의 HARQ 응답에 대한 논리(logical) AND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1개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1개의 HARQ 응답(즉, 번들링된 HARQ 응답)을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방법 6"에 의하면, 제1 단말이 선점 지시자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도,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는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1비트 또는 2비트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CBg #2가 아닌 다른 CBg #1 및 #3에 대한 복호 결과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CBg #2에 대한 고정된 HARQ 응답이 NACK이고, 기지국이 제1 단말로부터 ACK을 수신한 경우, 기지국은 CBg #1 및 3에 대한 HARQ 응답들이 모두 ACK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1 단말로부터 NACK이 수신된 경우, 기지국은 HARQ 응답이 NACK인 CBg를 구별하지 못할 수 있다. 기지국은 CBg #1 및 #3의 HARQ 응답들의 전송 시점과 다른 전송 시점에서 CBg #2의 HARQ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CBg #2에 대한 HARQ 응답의 전송 시점은 CBg #2의 재전송을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선점 지시자는 도 8의 슬롯 #2, 슬롯 #2에 속한 미니슬롯을 지시하는 비트맵(즉, 0,0,1,0) 및 주파수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은 선점 지시자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예를 들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속한 CBg들)과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예를 들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에 속한 CBg들) 간의 충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충돌된 CBg가 초전송된 데이터인 경우, 제1 단말은 해당 CBg를 버퍼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충돌된 CBg가 재전송된 데이터인 경우, 제1 단말은 해당 CBg에 대한 HARQ 컴바이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은 충돌된 CBg에 대한 HARQ 응답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충돌되지 않은 CBg가 초전송된 데이터인 경우, 제1 단말은 해당 CBg를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충돌되지 않은 CBg가 재전송된 데이터인 경우, 제1 단말은 해당 CBg에 대한 HARQ 컴바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은 충돌되지 않은 CBg에 대한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특정 CBg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에 의해 제1 단말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특정 CBg의 복호화가 필요 없는 경우, "방법 4", "방법 5" 또는 "방법 6"이 사용될 수 있다. "방법 4"에서 특정 CBg가 초전송된 데이터인 경우, 제1 단말은 특정 CBg를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반면, "방법 4"에서 특정 CBg가 재전송된 데이터인 경우, 제1 단말은 특정 CBg에 대한 HARQ 컴바이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은 특정 CBg에 대한 HARQ 응답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방법 5"에서 제1 단말은 특정 CBg에 대한 고정된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특정 CBg가 초전송된 데이터인 경우, 제1 단말은 특정 CBg를 버퍼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특정 CBg가 재전송된 데이터인 경우, 제1 단말은 특정 CBg에 대한 HARQ 컴바이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방법 6"에서 제1 단말은 TB에 속한 전체 CBg들 중에서 특정 CBg를 제외한 나머지 CBg들의 HARQ 응답들에 대한 논리 AND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특정 CBg가 초전송된 데이터인 경우, 제1 단말은 특정 CBg를 버퍼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특정 CBg가 재전송된 데이터인 경우, 제1 단말은 특정 CBg에 대한 HARQ 컴바이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은 CBg #1 및 #3의 HARQ 응답들의 전송 시점과 다른 전송 시점에서 CBg #2의 HARQ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CBg #2에 대한 HARQ 응답의 전송 시점은 CBg #2의 재전송을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와 충돌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속한 CBg 인덱스(이하 "충돌 CBg 인덱스"라 함)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충돌 CBg 인덱스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는 선점 지시자 및 특정 CBg의 재전송을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와 구별될 수 있다. 충돌 CBg 인덱스(즉, CBg #2)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1 단말은 CBg #1 및 #3에 대한 복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HARQ 응답들을 생성할 수 있고, CBg #2에 대한 복호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방법 4", "방법 5" 또는 "방법 6"이 적용될 수 있다. 충돌 CBg 인덱스에 해당하는 CBg가 초전송된 데이터인 경우, 제1 단말은 해당 CBg를 버퍼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충돌 CBg 인덱스에 해당하는 CBg가 재전송된 데이터인 경우, 제1 단말은 해당 CBg에 대한 HARQ 컴바이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방법 4"에서 제1 단말은 충돌 CBg 인덱스에 해당하는 CBg에 대한 HARQ 응답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방법 5"에서 제1 단말은 충돌 CBg 인덱스에 해당하는 CBg에 대한 HARQ 응답으로 고정된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방법 6"에서 제1 단말은 TB에 속한 전체 CBg들 중에서 충돌 CBg 인덱스에 해당하는 CBg를 제외한 나머지 CBg들의 HARQ 응답들에 대한 논리 AND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CBg #1 및 #3의 HARQ 응답들의 전송 시점과 다른 전송 시점에서 CBg #2의 HARQ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CBg #2에 대한 HARQ 응답의 전송 시점은 CBg #2의 재전송을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이 CA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CC(component carrier) 마다 하나 이상의 CBg들을 설정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하나 이상의 CBg들이 전송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CA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TDD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롯 인덱스는 CC 인덱스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는 CC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응답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5개의 CC들(예를 들어, CC #0 내지 #4)이 설정될 수 있고, CC #0에서 1개의 CBg가 설정될 수 있고, CC #1에서 2개의 CBg들이 설정될 수 있고, CC #2에서 3개의 CBg들이 설정될 수 있고, CC #3에서 1개의 CBg가 설정될 수 있고, CC #4에서 4개의 CBg들이 설정될 수 있다. CC #0 내지 #4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와 하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절차의 조합"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11개의 CBg들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A(ACK)로 표시된 CBg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통해 수신된 CBg들 중에서 제1 단말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CBg를 지시할 수 있고, N(NACK)로 표시된 CBg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통해 수신된 CBg들 중에서 제1 단말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못한 CBg를 지시할 수 있다. M(missing)으로 표시된 CBg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통해 전송되지 않은 CBg(예를 들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를 통해 전송된 CBg에 의해 자원이 점유되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통해 전송될 수 없었던 CBg)를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M으로 표시된 CBg를 지시하는 선점 지시자가 수신된 경우, 제1 단말은 M으로 표시된 CBg를 구별할 수 있다. 제1 단말이 해당 CBg를 할당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 #1을 복호하지 못한 이유는 기지국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1이 전송되지 않았으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의 전송 때문에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속한 일부의 CBg가 선점되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도 10은 CC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응답 코드북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1은 CC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응답 코드북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CBg에 표시된 숫자는 해당 CBg에 대한 HARQ 응답의 부호화 순서를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서 선점 지시자의 수신 여부에 따라 2가지의 경우의 수를 가지는 HARQ 응답 코드북에 기초하여 HARQ 응답에 대한 복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CC 별로 선점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하나의 CC를 통해 선점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 대한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cross carrier scheduling)을 수행하기 위한 RRC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선점 지시자가 수신된 CC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수신된 CC와 다른 경우에도, 선점 지시자를 고려하여 HARQ 응답이 생성될 수 있다. 즉, "방법 1", "방법 2", "방법 3", "방법 4", "방법 5" 또는 "방법 6"이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은 CC #2의 CBg #1 및 CC #3의 CBg #0을 M으로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 CC #2의 CBg #1 및 CC #3의 CBg #0에 대한 복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미리 정의된 HARQ 응답 코드북에 따라 CBg에 순서를 부여할 수 있고, 부여된 순서에 따라 CBg의 HARQ 응답을 부호화할 수 있다. 단말이 CC #2의 CBg #1 및 CC #3의 CBg #0을 M으로 인식하지 못한 경우, CBg의 HARQ 응답에 대한 부호화 순서는 도 10과 같이 부여될 수 있다. 이 때, 인식되지 못한 CBg는 부호화 순서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은 DAI(downlink assignment index)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DAI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CC #2의 CBg #1 및 CC #3의 CBg #0이 M으로 인식된 경우, 단말은 CC #2의 CBg #1 및 CC #3의 CBg #0에 대한 복호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고, CC #2의 CBg #1 및 CC #3의 CBg #0의 HARQ 응답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전체 CBg들 중에서 CC #2의 CBg #1 및 CC #3의 CBg #0을 제외한 CBg들에 순서를 부여할 수 있고, 부여된 순서에 따라 CBg의 HARQ 응답을 부호화할 수 있다. 이 경우, CBg의 HARQ 응답에 대한 부호화 순서는 도 11과 같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CC #2의 CBg #1 및 CC #3의 CBg #0의 HARQ 응답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지 않을 수 있고, 단말은 미리 정의된 HARQ 응답 코드북에 기초하여 나머지 CBg들의 HARQ 응답들을 부호화할 수 있다.
단말은 DAI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CBg(즉, CC #2의 CBg #1 및 CC #3의 CBg #0)에 대한 복호 동작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은 DAI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지시되는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적용함으로써 HARQ 응답을 부호화할 수 있다.
■ UCI의 전송 방법
다음으로, HARQ 응답 또는 다른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단말에서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시나리오가 설명될 것이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4개 이상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최대 슬롯 길이에 해당하는 14개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는 시간 단위는 서브슬롯(또는, 미니슬롯)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동적 TDD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슬롯의 길이는 가변적이기 때문에,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를 단말에 미리 알려줄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쥴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서빙 기지국이 슬롯 포맷 지시자(slot format indicator)를 포함하는 공통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예를 들어, 그룹-공통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서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슬롯 포맷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슬롯 포맷 지시자는 해당 슬롯에서 DL-UL 심볼의 설정(configuration)을 지시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슬롯 포맷 지시자는 현재 슬롯의 포맷 및 미래 슬롯의 포맷을 모두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은 k개의 슬롯 포맷 지시자들(예를 들어, SFI #1, SFI #2, …, SFI #k)을 포함하는 공통 제어 정보를 슬롯마다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공통 제어 정보 내에서 k개의 슬롯 포맷 지시자들은 연접(concatenate)될 수 있다.
k개의 슬롯 포맷 지시자들을 수신한 단말은 슬롯 포맷 지시자 #1이 현재 슬롯 #n의 포맷을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슬롯 포맷 지시자 #2가 슬롯 #(n+1)의 포맷을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슬롯 포맷 지시자 #k가 슬롯 #(n+k)의 포맷을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과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 응답이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 간의 간격이 k인 경우, 단말은 슬롯 #n에 설정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한 슬롯 포맷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설정된 슬롯 #(n+k)의 포맷을 확인할 수 있다. 슬롯 포맷 지시자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설정된 슬롯의 포맷뿐만 아니라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설정된 슬롯의 포맷도 지시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이 서로 다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시점을 가지는 단말들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단말들을 위한 복수의 슬롯 포맷 지시자들은 공통 제어 정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이 슬롯 #n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고, 제1 단말의 HARQ 응답의 전송 타이밍이 슬롯 #(n+3)인 경우, 제1 단말은 슬롯 #(n+3)에서 상향링크 구간의 길이를 알아야 한다. 제2 단말이 슬롯 #n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고, 제2 단말의 HARQ 응답의 전송 타이밍이 슬롯 #(n+4)인 경우, 제2 단말은 슬롯 #(n+4)에서 상향링크 구간의 길이를 알아야 한다.
단말에서 HARQ 응답(예를 들어, UCI, 상향링크 제어 정보)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은 3GPP TS에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서빙 기지국은 단말의 캐퍼빌러티(capability)를 고려하여 단말에서 HARQ 응답(예를 들어, UCI, 상향링크 제어 정보)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단말에서 HARQ 응답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이 2개의 슬롯들에 대응하는 시간인 경우, 단말은 늦어도 슬롯 #n에서 슬롯 #(n+3)의 포맷(예를 들어, 슬롯 #(n+3)에서 상향링크 구간의 길이)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 경우, 단말은 슬롯 #(n+1) 및 #(n+2)에서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HARQ 응답을 슬롯 #(n+3)에서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에서 HARQ 응답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이 1개의 슬롯에 대응하는 시간인 경우, 단말은 늦어도 슬롯 #(n+2)에서 슬롯 #(n+4)의 포맷(예를 들어, 슬롯 #(n+4)에서 상향링크 구간의 길이)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 경우, 단말은 슬롯 #(n+3)에서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HARQ 응답을 슬롯 #(n+4)에서 전송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시점에서 서로 다른 슬롯의 슬롯 포맷 지시자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동작은 아래 도 12a 및 도 12b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2a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고, 도 12b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서빙 기지국은 슬롯 #n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선점 지시자를 단말 #i(i=1,2)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i는 슬롯 #n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선점 지시자를 수신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 응답을 슬롯 #(n+ki)에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i가 HARQ 응답(예를 들어, UCI, 상향링크 제어 정보)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은 Δi일 수 있다. 여기서, Δi의 시간 단위는 슬롯일 수 있고, Δi는 0 이상의 슬롯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i는 HARQ 응답(예를 들어, UCI, 상향링크 제어 정보)을 전송하기 위해 슬롯 #(n+kii)에서 슬롯 #(n+ki)의 슬롯 포맷 지시자를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서빙 기지국은 단말 #i를 위한 슬롯 포맷 지시자를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12a에서, 서빙 기지국은 동일한 "n+kii"을 가지는 모든 단말 #i를 확인할 수 있고, 슬롯 #(n+ki)에 적용되는 모든 슬롯 포맷 지시자를 슬롯 #(n+kii) 내의 공통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RRC_연결(connected)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들의 개수를 알고 있기 때문에 슬롯 포맷 지시자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공통 제어 채널(예를 들어, 공통 제어 정보)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공통 제어 채널의 수신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은 낮은 부호화율을 사용하여 공통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은 슬롯 포맷 지시자를 2번 이상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에서 서빙 기지국은 슬롯 포맷 지시자를 3번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즉,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복수의 특정 슬롯들에 대한 슬롯 포맷 지시자들이 전송될 수 있고,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서 하나의 특정 슬롯에 대한 슬롯 포맷 지시자는 1회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된 슬롯 포맷 지시자는 현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재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롯 포맷 지시자의 전송 횟수는 도 12b와 같이 3회일 수 있다.
한편,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RE 매핑의 구조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점유하는 심볼의 개수와 무관할 수 있다. 시간 영역에서 부호화 동작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점유하는 심볼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부호화율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영역에서 심볼마다 확산 코드(spreading code)(예를 들어, OCC(orthogonal cover code))가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영역에서 부호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보다 주파수 영역에서 부호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를 알고 있는 경우에 주파수 영역에서 부호화 동작뿐만 아니라 시간 영역에서 부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주파수 영역이 동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설정/지시된 시간-주파수 영역에 대한 부호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 단말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경계에 위치한 경우에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방법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PUCCH, UCI, HARQ 응답)의 반복 전송 횟수를 단말(예를 들어, 기지국의 커버리지 경계에 위치한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이에 따라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반복 전송은 단말의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에서 HARQ 응답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PUCCH 포맷 1/1a/1b를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어,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번들링 전송(예를 들어, TTI 번들링을 통해 서로 다른 RV(redundancy version) 전송)을 단말(예를 들어, 기지국의 커버리지 경계에 위치한 단말)에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번들링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의 커버리지 경계에서 위치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비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더 요구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비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단말에 더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하향링크 적응만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주파수 집성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을 추가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 자원을 더 자주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실시예와 같이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응답의 반복 전송이 완료되기 전에 다른 하향링크 데이터 대한 HARQ 응답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3은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응답 전송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동적 또는 정적 스케쥴링 절차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하나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 응답은 4개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즉, HARQ 응답은 4번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슬롯 #n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수신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대한 HARQ 응답 #1(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채널 #1)을 연속된 슬롯 #(n+4) 내지 #(n+7)에서 반복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슬롯 #(n+2)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를 수신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에 대한 HARQ 응답 #2(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채널 #2)를 연속된 슬롯 #(n+5) 내지 #(n+8)에서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롯 #(n+5) 내지 #(n+7)에서 서로 다른 HARQ 프로세스들에 대한 HARQ 응답들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슬롯 #(n+4) 혹은 #(n+8)를 통해 전송되는 HARQ 응답의 개수는 슬롯 #(n+5) 내지 #(n+7) 각각을 통해 전송되는 HARQ 응답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 전송되는 경우, HARQ 응답의 개수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HARQ 응답은 다양한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ARQ 응답은 TB 단위(또는, 적은 수의 CBg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HARQ 응답)이 반복 전송되는 주파수 자원의 위치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통해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예를 들어, 참조 신호) 또는 정보(예를 들어, 하향링크 경로 감쇄(path loss) 정보, 파워 헤드룸(power headroom) 정보 등)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고, 상향링크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의 정보(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인덱스, PRB 인덱스)를 기지국의 커버리지 경계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는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경계에 위치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참조 신호를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코히어런스 시간(coherence time) 내의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DM-RS를 전송할 수 있고,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DM-RS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복호 오류가 감소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주파수 다중화로 인한 이득이 획득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경계에 위치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양이 많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반복 수신된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소프트 컴바이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포함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종류 및 크기는 항상 동일하거나 매번 다를 수 있으나, 기지국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RE 매핑 정보를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수신된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소프트 컴바이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복조/복호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HARQ 응답을 포함하는 경우에 단말은 3GPP TS에서 정의된 HARQ 응답 코드북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RE에 매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지국은 비트 레벨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소프트 컴바이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HARQ 응답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예를 들어, HARQ 응답)의 크기에 따라 부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예를 들어, HARQ 응답)의 크기가 1비트 또는 2비트인 경우에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부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예를 들어, HARQ 응답)의 크기가 3비트 이상인 경우에 선형 블록 부호(예를 들어, Reed Muller code, Polar code)를 사용하여 부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 전송되도록 설정된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기회(instance) 마다 서로 다른 RV를 가지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서로 다른 RV를 가지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을 전송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타입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RV를 서로 다르게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RV를 가지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타입마다 서로 다른 부호화율이 적용될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RE에 매핑될 수 있다. 기지국은 서로 다른 RV를 가지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소프트 컴바이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법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또는 TDD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점유하는 상향링크 구간의 길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단말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부호화율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동적 TDD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구간의 길이는 가변적이기 때문에, 단말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구간의 길이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가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해당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 응답이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작 심볼 위치(예를 들어, 시작 심볼 인덱스) 등)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n개의 슬롯들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n번 반복 전송하는 경우,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는 슬롯마다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n개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한편, 다른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좁은 구간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 짧은 PUCCH)의 존재,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의 존재 등으로 인해 UL 슬롯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로 사용 가능한 심볼의 개수가 가변적일 수 있다. UL 슬롯에 속한 모든 심볼들이 하나의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해 사용될 수 없으므로, 기지국은 TDD 또는 FDD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도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사용되는 심볼(예를 들어, UL 슬롯별 심볼)의 정보(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종료 심볼 인덱스 등)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사용되는 심볼의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가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사용되는 심볼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작 심볼 인덱스를 알 수 있는 경우에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간 자원을 특정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작 심볼 인덱스는 슬롯 포맷에 해당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작 심볼 인덱스(예를 들어, 슬롯 포맷)를 하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가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작 심볼 인덱스(예를 들어, 슬롯 포맷)를 별도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법에 의하면, 단말은 UL 슬롯들 각각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작 심볼 인덱스 및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사용되는 심볼들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연속된 UL 슬롯들에서 항상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TDD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DL 슬롯에 의해 연속적으로 전송되지 못할 수 있다. 또는, UL 슬롯에 포함된 심볼들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해당 UL 슬롯을 통해 전송되지 못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을 위해 서빙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최대 대역폭(예를 들어, 최대 개수의 PRB)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최대 부호화율(예를 들어, 3GPP TS에서 허용되는 최대 부호화율)보다 높은 부호화율이 요구되는 경우,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해당 UL 슬롯을 통해 전송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서빙 기지국은 미정(unknown) 자원(예를 들어, 미정 심볼, 또는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을 지시하는 슬롯 포맷 지시자(slot format indicator)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이용해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미정 자원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응답(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정보)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미정 자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들은 미정 자원과 송수신을 위한 자원이 일부 겹치는 경우(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상위계층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자원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심볼에서 미정 심볼이 발생)에서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정 자원은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미정 자원은 다양한 용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향링크 채널(예를 들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될 자원(이하, "UL 할당 자원"이라 함)이 미정 자원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UL 할당 자원을 통해 해당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UL 할당 자원이 미정 자원과 일부 중첩되는 경우, 단말은 미정 자원과 중첩된 자원을 UL 할당 자원으로 간주할 수 있고, 간주된 UL 할당 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채널은 미정 자원에 의해 전송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정 자원에 의해 전송되지 못한 상향링크 채널은 상향링크 채널의 반복 전송 횟수로 카운팅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미정 자원에 의해 전송되지 못한 상향링크 채널은 상향링크 채널의 반복 전송 횟수로 카운팅될 수 있다.
도 14a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고, 도 14b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슬롯 #(n+2)는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일 수 있고, 슬롯 #(n+2)를 통해 상향링크 채널(예를 들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정 심볼과 상향링크 채널이 중첩되는 경우, 슬롯 #(n+2)를 통해 상향링크 채널이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상향링크 채널은 시간 영역에서 4번 반복 전송될 수 있고, 주파수 호핑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4a에서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에 의해 전송되지 못한 상향링크 채널은 상향링크 채널의 반복 전송 횟수로 카운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채널이 실제 반복 전송된 횟수(즉, 3회)는 미리 정의된 반복 전송 횟수(즉, 4회)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4b에서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에 의해 전송되지 못한 상향링크 채널은 상향링크 채널의 반복 전송 횟수로 카운팅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채널이 실제 반복 전송된 횟수(즉, 4회)는 미리 정의된 반복 전송 횟수(즉, 4회)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4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수신 오류율은 도 1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수신 오류율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 및 시퀀스 자원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슬롯마다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슬롯들 각각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자원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은 슬롯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복수의 단말들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들은 하나의 슬롯에서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TDD 또는 FDD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UL 슬롯의 길이가 가변적인 경우, 단말은 복수의 UL 슬롯들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부호율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UL 슬롯들에서 서로 다른 시간-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2번 반복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첫 번째 UL 슬롯에서 2개의 심볼들과 12개의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는 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두 번째 UL 슬롯에서 1개의 심볼과 24개의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는 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첫 번째 UL 슬롯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부호화율은 두 번째 UL 슬롯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부호화율과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에서 단말로 시그널링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자원 정보(예를 들어, 자원 인덱스)는 UL 슬롯들 각각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자원(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해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과 주파수 자원(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해 사용되는 PRB의 개수)을 모두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 또는 별도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슬롯 타입을 전송함으로써 UL 슬롯 내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첫 번째 심볼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법들에 의하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시간 자원은 슬롯들 각각에서 서로 다르게 할당될 수 있고, 단말은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연속된 슬롯들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반복 전송에 따른 지연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를 지시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 대신에 별도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UL 슬롯(예를 들어, UL-센트릭(centric) 슬롯)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별도의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마지막 심볼 인덱스를 확인할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마지막 심볼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해 사용되는 심볼들의 개수를 도출할 수 있다. 다만,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 전송되고,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 전송되는 슬롯들 각각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가 다른 경우, 해당 슬롯들 각각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부호화율은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소프트 컴바이닝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서빙 기지국의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설정된 최소 부호화율 또는 3GPP TS에 정의된 최소 부호화율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부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최대 비트 수(k)에 대한 변조 심볼(modulated symbol)의 개수(n)의 비율은 부호화율을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부호화된 비트에 대한 변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볼을 생성할 수 있고, 변조 심볼을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m개의 RE에 매핑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실효적인 부호화율은 k, n 및 m의 함수일 수 있고, 복호화 절차에서 소프트 컴바이닝 동작을 위해 일정하게 유지되는 부호화율은 k 및 n의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olar code에 대한 소프트 컴바이닝을 위해, k 및 n은 고정된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k, n 및 m 각각은 1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부호화율(k, n)을 획득하기 위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크기(m)는 계산될 수 있다. 동적 TDD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4개 심볼들 이상의 시간 자원을 점유하기 때문에, 서빙 기지국은 원하는 부호화율(k, n, m)을 획득할 수 있도록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주파수 자원 정보(즉,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점유하는 대역폭)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즉,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최소 자원을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 단말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k번 이상 반복 전송하는 경우,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반복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 크기(m)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k는 2 이상의 정수일 수 있고, "n ≤ m"일 수 있다. 단말은 부호화율(k, n)을 유지하기 위해 변조 심볼을 반복하여 RE에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m개의 RE들(예를 들어, RE #1, 2, 3, …, m)에 n개의 변조 심볼들(예를 들어, 변조 심볼 #1, 2, 3, …, n)을 매핑할 수 있고, 나머지 "m-n"개의 RE들(예를 들어, RE #(n+1), (n+2), (n+3), …, m)에 "m-n"개의 변조 심볼들(예를 들어, 변조 심볼 #1, 2, 3, …, m-n)을 반복하여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RV를 가지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반복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부호화율(k, n)을 유지하기 위해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RV를 가지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변조 심볼을 서로 다른 개수의 RE들에 반복하여 매핑할 수 있다.
한편,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의 위치는 아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5a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단말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k번 이상 반복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개수는 2개 혹은 그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k는 2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동일한 UL 슬롯 내에서 주파수 호핑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 전송되는 UL 슬롯들에서 동일한 주파수 호핑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동적 또는 정적 TDD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슬롯 내의 일부 심볼들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15b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5b를 참조하면,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2번 이상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UL 슬롯 단위의 주파수 호핑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동일한 UL 슬롯 내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지 않도록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전송됨으로써 주파수 다중화 이득이 획득될 수 있다. 동적 또는 정적 TDD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슬롯 내의 일부 심볼들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15c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5c를 참조하면,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2번 이상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3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단말이 3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도록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동일한 UL 슬롯 내에서 주파수 호핑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주파수 호핑 패턴은 UL 슬롯들 각각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UL 슬롯들 각각에서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이웃하는 UL 슬롯들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호핑에서 적용하는 중심 주파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기지국은 UL 슬롯들 각각의 주파수 호핑 패턴을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호핑 패턴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UL 슬롯 인덱스에 대한 함수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주파수 다중화 이득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주파수 영역 내의 가장자리 대역(edge band)뿐만 아니라 중심 대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3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단말에 알리는 방법의 제1 실시예로서,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반복 전송 횟수(k),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주파수 호핑 대역폭(ΔF) 및 UL 슬롯들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중심 주파수 위치(f1, f2, …, fk)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주파수 호핑 대역폭(ΔF)으로 기지국에 의해 미리 설정된 상향링크 대역폭이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중심 주파수 위치(f1, f2, …, fk)를 단말에 알려주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k번째 UL 슬롯에서 주파수 자원 "fk-ΔF/2" 및 "fk+ΔF/2"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UL 슬롯들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중심 주파수 위치(f1, f2, …, fk)와 UL 슬롯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주파수 대역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3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단말에 알리는 방법의 제2 실시예로서,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UL 슬롯들 각각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의 위치(예를 들어, 주파수 자원의 위치)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단말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을 위해 실제로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와 하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절차의 조합"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설정된 값과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값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설정된 값이 UL 슬롯마다 다르고,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값이 UL 슬롯들에서 동일한 경우, 단말은 UL 슬롯들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3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기지국은 주파수 영역의 가장자리 대역뿐만 아니라 중간 대역에서도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제2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과 공존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들을 스케쥴링하는 경우에 공존에 유리하도록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주파수 호핑 경계 및 DM-RS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단말들은 상향링크 채널의 DM-RS를 CDMA 방식으로 다중화할 수 있고, 기지국은 CDMA 방식에 기초하여 단말들의 DM-RS들을 구별할 수 있다. 여기서, DM-RS는 동일한 시퀀스(예를 들어, Zadoff-Chu 시퀀스,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시퀀스)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 PUSCH 번들링 전송과 PUCCH 반복 전송의 동시 지원 방법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전송 범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반복 전송 횟수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범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반복 전송 횟수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상향링크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요청을 서빙 기지국에 할 수 있고,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쥴링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예를 들어, 하향링크 제어 채널)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서빙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예를 들어, 하향링크 제어 채널)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응답이 전송될 UL 슬롯이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될 UL 슬롯과 동일하면, 단말은 HARQ 응답과 상향링크 데이터를 해당 슬롯 내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여 서빙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HARQ 응답을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영역에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제어 채널과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반복 전송되는 경우,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UL 슬롯들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전송되는 UL 슬롯들과 중첩될 수 있다.
도 16a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고, 도 16b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고, 도 16c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고, 도 16d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를 참조하면,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먼저 할당할 수 있고, 그 후에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4번 반복하여 전송될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정보)은 4번 반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전송될 슬롯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슬롯들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될 슬롯들과 중첩될 수 있다.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상향링크 제어 채널 각각은 주파수 호핑 방식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16a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0-1(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슬롯 #2-3(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슬롯 #4-5(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슬롯 #2-3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도 16b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0-1(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2-3(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슬롯 #4-5(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슬롯 #2-3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동시에 전송되지 않을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전송될 수 있다.
도 16c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0-1(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슬롯 #2가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인 경우에 슬롯 #2를 통해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이 미정 심볼과 중첩되는 경우, 슬롯 #2를 통해 어떠한 신호도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에 의해 전송되지 못한 상향링크 채널은 상향링크 채널의 반복 전송 횟수로 카운팅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3-4(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를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슬롯 #5-6(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슬롯 #3-4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동시에 전송되지 않을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전송될 수 있다.
도 16d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0-1(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슬롯 #2가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인 경우에 슬롯 #2를 통해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이 미정 심볼과 중첩되는 경우, 슬롯 #2를 통해 어떠한 신호도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에 의해 전송되지 못한 상향링크 채널은 상향링크 채널의 반복 전송 횟수로 카운팅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3(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 이후에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전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최초 슬롯(즉, 슬롯 #3)에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슬롯 #4-5(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슬롯 #3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동시에 전송되지 않을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전송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d의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한 PRB의 개수를 계산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제어 정보 비트에 의해 상향링크 데이터가 펑쳐링되거나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 수행되는 것을 예상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빙 기지국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반복 전송이 완료된 후에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슬롯을 단말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크기가 조절됨으로써 앞서 언급된 문제들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달리, 아래 도 17a 내지 도 17d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먼저 할당할 수 있고, 그 후에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7a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고, 도 17b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고, 도 17c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고, 도 17d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d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정보)은 4번 반복하여 전송될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4번 반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될 슬롯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슬롯들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전송될 슬롯들과 중첩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각각은 주파수 호핑 방식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17a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슬롯 #0-1(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 채널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2-3(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4-5(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슬롯 #2-3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도 17b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슬롯 #0-1(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2-3(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4-5(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슬롯 #2-3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동시에 전송되지 않을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전송될 수 있다.
도 17c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슬롯 #0-1(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슬롯 #2가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인 경우에 슬롯 #2를 통해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이 미정 심볼과 중첩되는 경우, 슬롯 #2를 통해 어떠한 신호도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에 의해 전송되지 못한 상향링크 채널은 상향링크 채널의 반복 전송 횟수로 카운팅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3-4(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를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5-6(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슬롯 #3-4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동시에 전송되지 않을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전송될 수 있다.
도 17d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슬롯 #0-1(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슬롯 #2가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인 경우에 슬롯 #2를 통해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이 미정 심볼과 중첩되는 경우, 슬롯 #2를 통해 어떠한 신호도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에 의해 전송되지 못한 상향링크 채널은 상향링크 채널의 반복 전송 횟수로 카운팅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3(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 이후에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전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최초 슬롯(즉, 슬롯 #3)에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 #4-5(예를 들어, UL 슬롯 혹은 UL-센트릭 슬롯)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슬롯 #3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동시에 전송되지 않을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전송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d 실시예에서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한 PRB의 개수를 계산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제어 정보 비트에 의해 상향링크 데이터가 펑쳐링되거나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레이트 매칭이 수행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데이터의 펑쳐링 또는 레이트 매칭을 고려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복호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제어 정보 비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HARQ 응답과 CSI(예를 들어, 주기적 CSI, 준-정적(semi-persistent) CSI)를 포함하는 경우, 서빙 기지국은 해당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고려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HARQ 응답과 비주기적인 CSI를 포함하는 경우에 서빙 기지국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비주기적인 CSI의 전송을 단말에 요청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빙 기지국은 해당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고려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3비트 이상의 HARQ 응답을 포함하고, 해당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상향링크 데이터와 함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1비트 또는 2비트인 HARQ 응답을 포함하고, 해당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상향링크 데이터와 함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펑쳐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된 HARQ 응답 비트를 압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들이 수신된 경우, 단말은 수신된 복수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들에 대한 HARQ 응답들에 대한 논리 AND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1비트 또는 2비트의 HARQ 응답(예를 들어, 공간별 1비트 또는 2비트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1비트 또는 2비트의 HARQ 응답을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펑쳐링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CBg들로 구성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수신된 경우, 단말은 수신된 복수의 CBg들(예를 들어, 동일한 TB에 속한 복수의 CBg들)에 대한 HARQ 응답들에 대한 논리 AND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1비트 또는 2비트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2비트의 HARQ 응답이 생성된 경우, 단말은 2비트의 HARQ 응답에 대한 논리 AND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1비트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1비트 또는 2비트의 HARQ 응답을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펑쳐링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HARQ 응답을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펑쳐링이 수행되는 경우, 1비트 혹은 2비트로 HARQ 응답의 양을 제한하기 때문에 상향링크 데이터의 복호화 과정에서 수신 오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는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8은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9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서빙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로 구성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 집합 #1을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1810)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1800)을 전송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로 구성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 집합 #2를 전송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채널 집합 #1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1800) 이전에 전송될 수 있고, 하향링크 제어 채널 집합 #2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1800)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4회 반복하여 전송되고,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4회 반복하여 전송되는 경우가 고려된다. 도 18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집합 #1과 하향링크 제어 채널 집합 #2는 모두 슬롯 #1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도록 하향링크 제어 채널 집합 #1과 하향링크 제어 채널 집합 #2에 속한 각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서 단말에게 지시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슬롯#1 내지 슬롯 #4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4회 반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반면, 하향링크 제어 채널(1800)에서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슬롯#3에서 전송하도록 단말에게 지시한다. 이 경우, 4회를 반복하여 전송하면 슬롯 #3 내지 슬롯 #6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4회 반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 집합 #1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들에 대한 HARQ 응답(이하, "HARQ 응답 #1"이라 함)의 크기를 알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채널(1800)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1810)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서빙 기지국은 HARQ 응답 #1의 양을 이미 알고 있으므로, HARQ 응답 #1에 의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1810)의 펑쳐링 또는 레이트 매칭을 고려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1810)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단말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 집합 #2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들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들에 대한 HARQ 응답(이하, "HARQ 응답 #2"라 함)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HARQ 응답 #2에 대한 부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HARQ 응답 #1이 존재하는 경우,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슬롯들이 동일하게 겹치기 때문에, HARQ 응답 #1과 HARQ 응답 #2를 모두 포함하여 부호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채널 집합 #2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1800) 이후에 전송되므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1810)의 자원을 할당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1800)의 전송 시점에 기지국은 HARQ 응답 #2 의 양을 알 수 없다. 반면, 위에 서술한 바와 같이, HARQ 응답 #1이 존재한다면, 기지국은 HARQ 응답 #1의 양을 고려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의 지시에 의해서 단말이 동일한 슬롯 #1에서 HARQ 응답 #1과 HARQ 응답 #2를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서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서빙 기지국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1810)이 슬롯 #3과 슬롯 #4에서는 HARQ 응답 #1을 고려하였지만 HARQ 응답 #2를 고려할 수 없는 자원 할당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HARQ 응답 #2에 의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1810)의 성능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HARQ 응답 #2의 양을 감소시키는 동작을 정의할 수 있다. 단말은 HARQ 응답 #2에 대한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HARQ 응답 #2에 대한 논리 AND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1비트 또는 2비트의 HARQ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 집합 #2에서 TB 마다 HARQ 을 생성하는 경우와 CBg 마다 HARQ 을 생성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채널(1800)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1810)을 통해 HARQ 응답 #1이 전송되는 경우(즉, HRAQ 응답 #2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HARQ 응답 #1을 고려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1810)에 대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1800)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1810)을 통해 HARQ 응답 #1 및 HARQ 응답 #2가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HARQ 응답 #1을 고려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1810)에 대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고, HARQ 응답 #2의 전송을 위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1810)에 대한 펑쳐링을 수행할 수 있다.
■ 다양한 페이로드의 구성 방법
아래 실시예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대한 HARQ 응답 #1의 반복 전송이 완료되기 전에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에 대한 HARQ 응답 #2의 반복 전송이 수행되고, HARQ 응답 #1 및 HARQ 응답 #2 각각의 반복 전송이 시작되는 슬롯이 서로 다른 경우, 상향링크 채널(예를 들어, 상향링크 페이로드)의 구성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상향링크 채널이 갖는 자원의 양은 슬롯마다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슬롯 #n에서 전송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를 슬롯 #(n+2)에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슬롯 #n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수신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대한 HARQ 응답 #1(즉, 상향링크 제어 채널 #1)을 슬롯 #(n+4) 내지 #(n+7)에서 4번 반복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슬롯 #(n+2)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를 수신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에 대한 HARQ 응답 #2(즉, 상향링크 제어 채널 #2)를 슬롯 #(n+5) 내지 #(n+8)에서 4번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m 비트의 HARQ 응답 #1을 생성할 수 있고, m' 비트의 HARQ 응답 #2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시그널링 절차" 또는 "상향링크 시그널링 절차와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절차의 조합"을 통해 획득된 CBg의 개수 및 활성화된 DL CC의 개수에 대한 함수에 기초하여 m 및 m'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슬롯 #(n+4)를 위한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를 m 비트로 결정할 수 있고, 슬롯 #(n+5) 내지 #(n+7)을 위한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를 m+m' 비트로 결정할 수 있고, 슬롯 #(n+8)을 위한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를 m' 비트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의 설정에 따라 단일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포맷(예를 들어, NR PUCCH 포맷 3) 또는 복수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포맷들을 사용하여 HARQ 응답 코드북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단일 포맷이 사용되는 경우, m 비트, m+m' 비트 및 m' 비트 각각은 단일 포맷에 의해 지원되는 크기(예를 들어, 심볼의 충분한 개수 내지 자원 블록의 충분한 양)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포맷들이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가 1비트인 경우에 포맷 A(예를 들어, NR PUCCH 포맷 0)를 사용할 수 있고,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가 2비트인 경우에 포맷 B(예를 들어, NR PUCCH 포맷 1)를 사용할 수 있고,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가 3비트 이상인 경우에 포맷 C(예를 들어, NR PUCCH 포맷 2 혹은 포맷 3 혹은 포맷 4)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가 1~2비트인 경우에 포맷 D(예를 들어, LTE PUCCH 포맷 1 혹은 포맷 1a 혹은 포맷 1b)를 사용할 수 있고,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가 3~4비트인 경우에 채널 선택을 가지는 포맷 E(예를 들어, LTE PUCCH 포맷 1b with channel selection)를 사용할 수 있고,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가 3~21비트인 경우에 포맷 F(예를 들어, LTE PUCCH 포맷 3)을 사용할 수 있고,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가 22비트 이상인 경우에 포맷 G(예를 들어, LTE PUCCH 포맷 4 또는 포맷 5)를 사용할 수 있다.
■ 고정된 페이로드의 구성 방법
아래 실시예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대한 HARQ 응답 #1의 반복 전송이 완료되기 전에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에 대한 HARQ 응답 #2의 반복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상향링크 채널(예를 들어, 상향링크 페이로드)의 구성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와 함께 해당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 응답의 전송 타이밍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HARQ 응답의 전송 타이밍 집합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스케쥴링을 위해 사용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HARQ 응답의 전송 타이밍 집합 내에서 선택된 하나의 HARQ 응답의 전송 타이밍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HARQ 응답의 전송 타이밍의 시그널링 방법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구간이 서로 다른 슬롯 기반의 스케쥴링 및 서브슬롯 기반의 스케쥴링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아래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 응답의 전송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9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방식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9에서 DL 슬롯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할 수 있는 슬롯을 의미하며, 반드시 하향링크 슬롯 혹은 하향링크-센트릭 슬롯을 의미하지는 않을 수 있다. 도 19에서 UL 슬롯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는 슬롯을 의미하며, 반드시 상향링크 슬롯 혹은 상향링크-센트릭 슬롯을 의미하지는 않을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 응답(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4번 반복 전송할 수 있다. HARQ 응답의 전송 타이밍(즉, HARQ 응답이 전송되는 UL 슬롯의 첫 번째 위치)은 해당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스케쥴링을 위해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의 자원 할당 정보(예를 들어, DL 슬롯 #n) 및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에 대한 HARQ 응답 #1의 전송 타이밍(예를 들어, UL 슬롯 #(n+4))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의 자원 할당 정보(예를 들어, DL 슬롯 #(n+1)) 및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에 대한 HARQ 응답 #2의 전송 타이밍(예를 들어, UL 슬롯 #(n+8))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한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할당 정보 및 해당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 응답의 전송 타이밍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DL 슬롯 #n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전송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1을 수신한 단말은 UL 슬롯 #(n+4) 내지 #(n+7)에서 HARQ 응답 #1을 4번 반복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DL 슬롯 #(n+1)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를 전송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2를 수신한 단말은 UL 슬롯 #(n+8) 내지 #(n+11)에서 HARQ 응답 #2를 4번 반복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HARQ 응답 코드북의 크기는 UL 슬롯 #(n+4) 내지 #(n+11)에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는 복수의 뉴머놀러지(numerology)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DL 슬롯의 뉴머놀러지와 UL 슬롯의 뉴머놀러지가 다른 경우), TDD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적절한 HARQ 응답의 전송 타이밍을 단말에 알려줌으로써 HARQ 응답의 반복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쥴링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HARQ 응답의 전송 타이밍을 별도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단말에 알려주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반복 전송 횟수(k)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UL 슬롯(또는, UL-센트릭 슬롯)들 중에서 가장 앞선 UL 슬롯(또는, UL-센트릭 슬롯)들을 사용하여 HARQ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최소 처리 시간(예를 들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 응답의 생성/전송을 위해 필요한 최소 처리 시간)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최소 처리 시간은 3GPP TS에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HARQ 응답의 반복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k개의 UL 슬롯(또는, UL-센트릭 슬롯)들에 대응하는 k개의 DL 슬롯(또는, DL-센트릭 슬롯)들이 존재할 수 있다.
■ 소프트 컴바이닝 동작
단말은 서로 다른 RV(redundancy version)를 가지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Polar code가 적용된 HARQ 응답 코드북일 수 있다. 새로운 HARQ 응답 비트가 부호화된 경우, 단말은 부호화된 HARQ 응답 비트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RV를 새롭게 도출할 수 있다.
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단말은 새로운 HARQ 응답 비트가 없는 경우에 "RV a → RV b → RV c → RV d"의 순서에 따라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슬롯 #(n+4)에서, 단말은 m 비트의 HARQ 응답 #1에 대한 부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부호화된 m 비트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RV a를 전송할 수 있다. 슬롯 #(n+5)에서, 단말은 "m 비트의 HARQ 응답 #1 + m' 비트의 HARQ 응답 #2"에 대한 부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부호화된 m+m' 비트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RV a를 전송할 수 있다. 슬롯 #(n+6)에서 단말은 부호화된 m+m' 비트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RV b를 전송할 수 있고, 슬롯 #(n+7)에서 단말은 부호화된 m+m' 비트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RV c를 전송할 수 있다. 슬롯 #(n+8)에서, 단말은 m' 비트의 HARQ 응답 #2에 대한 부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부호화된 m' 비트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RV a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슬롯 #n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슬롯 #(n+l) 내지 슬롯 #(n+l+k)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상기 기지국에 k번 전송하는 단계; 및
    슬롯 #(n+m) 내지 슬롯 #(n+m+k')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응답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k'번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n, l 및 m 각각은 0 이상의 정수이고, k 및 k' 각각은 1 이상의 정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과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동시에 전송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과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 대신에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해 설정된 RE(resource element)들 중에서 펑쳐링된(punctured) RE를 통해 전송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해 설정된 하나 이상의 RE에 매핑되는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해 설정된 RE들 중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매핑된 하나 이상의 RE를 제외한 나머지 RE들에 매핑되고, RE 매핑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동작이 수행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롯 #(n+l) 내지 상기 슬롯 #(n+m+k') 중에서 미정(unknown) 심볼을 포함하는 p개의 슬롯이 존재하고 상기 미정 심볼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p개의 슬롯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전송되지 않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상기 슬롯 #(n+l) 내지 슬롯 #(n+l+k+p)에서 k번 전송되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슬롯 #(n+m) 내지 슬롯 #(n+m+k'+p)에서 k'번 전송되고, p는 1 이상의 정수인, 단말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롯 #(n+l) 내지 상기 슬롯 #(n+m+k') 중에서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p개의 슬롯이 존재하고 상기 미정 심볼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p개의 슬롯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전송되지 않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상기 슬롯 #(n+l) 내지 상기 슬롯 #(n+l+k)에서 (k-p)번 전송되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슬롯 #(n+m) 내지 상기 슬롯 #(n+m+k')에서 (k'-p)번 전송되고, p는 1 이상의 정수인, 단말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횟수(k)와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 횟수(k')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절차 및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전송 절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설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슬롯 #n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슬롯 #(n+l) 내지 슬롯 #(n+l+k)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응답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k번 전송하는 단계; 및
    슬롯 #(n+m) 내지 슬롯 #(n+m+k')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k'번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n은 0 이상의 정수이고, l 및 m 각각은 1 이상의 정수이고, k 및 k' 각각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동시에 전송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 대신에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해 설정된 RE(resource element)들 중에서 펑쳐링된(punctured) RE를 통해 전송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해 설정된 하나 이상의 RE에 매핑되는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해 설정된 RE들 중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매핑된 하나 이상의 RE를 제외한 나머지 RE들에 매핑되고, RE 매핑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동작이 수행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슬롯 #(n+l) 내지 상기 슬롯 #(n+m+k') 중에서 미정(unknown) 심볼을 포함하는 p개의 슬롯이 존재하고 상기 미정 심볼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p개의 슬롯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전송되지 않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슬롯 #(n+l) 내지 슬롯 #(n+l+k+p)에서 k번 전송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상기 슬롯 #(n+m) 내지 슬롯 #(n+m+k'+p)에서 k'번 전송되고, p는 1 이상의 정수인, 단말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슬롯 #(n+l) 내지 상기 슬롯 #(n+m+k') 중에서 미정 심볼을 포함하는 p개의 슬롯이 존재하고 상기 미정 심볼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p개의 슬롯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전송되지 않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슬롯 #(n+l) 내지 상기 슬롯 #(n+l+k)에서 (k-p)번 전송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상기 슬롯 #(n+m) 내지 상기 슬롯 #(n+m+k')에서 (k'-p)번 전송되고, p는 1 이상의 정수인, 단말의 동작 방법.
KR1020230006380A 2017-03-24 2023-01-16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660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37880 2017-03-24
KR1020170037880 2017-03-24
KR20170076863 2017-06-16
KR1020170076863 2017-06-16
KR1020170154246 2017-11-17
KR20170154246 2017-11-17
KR1020170159628 2017-11-27
KR20170159628 2017-11-27
KR20180004444 2018-01-12
KR1020180004444 2018-01-12
KR1020180028852A KR102490617B1 (ko) 2017-03-24 2018-03-12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852A Division KR102490617B1 (ko) 2017-03-24 2018-03-12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480A KR20230015480A (ko) 2023-01-31
KR102660125B1 true KR102660125B1 (ko) 2024-04-23

Family

ID=6358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380A KR102660125B1 (ko) 2017-03-24 2023-01-16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49640B2 (ko)
KR (1) KR102660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6914B2 (en) * 2017-01-06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Unicast data transmission on a downlink common burst of a slot using mini-slots
CN108809530A (zh) * 2017-05-05 2018-11-1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方法、终端设备及基站
CN109152014B (zh) * 2017-06-16 2021-10-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行控制信道传输方法、终端、基站及装置
EP3507929B1 (en) * 2017-08-11 2020-02-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ownlink assignment with different processing times
US10938635B2 (en) 2017-09-15 2021-03-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slot formats with multiple switching points per slot
JPWO2019064445A1 (ja) * 2017-09-28 2020-04-23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タイミング設定方法
CN111247776B (zh) * 2017-10-18 2023-08-22 株式会社Ntt都科摩 通信装置
CN111279740B (zh) * 2017-10-24 2023-12-22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随机接入过程的方法和装置
WO2019099469A1 (en) * 2017-11-15 2019-05-23 Idac Holdings, Inc. New radio transmissions with low-density parity-check codes
EP3729698B1 (en) * 2017-12-21 2022-10-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unlicensed spectrum operation
JP7042350B2 (ja) * 2018-01-11 2022-03-25 大唐移▲動▼通信▲設▼▲備▼有限公司 制御情報伝送リソースの上限の特定方法、装置及び通信機器
US10880914B2 (en) * 2018-02-26 2020-12-29 Qualcomm Incorporated Grant free uplink transmission techniques
JP7116179B6 (ja) * 2018-04-04 2022-10-03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の伝送方法及び端末
US10952220B2 (en) 2018-06-06 2021-03-16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bining received uplink transmissions
CN113169820B (zh) * 2018-07-30 2024-01-09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无线通信方法以及系统
JP7337809B2 (ja) * 2018-08-21 2023-09-04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WO2020056584A1 (zh) * 2018-09-18 2020-03-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确定需要传输的pucch的方法和装置
KR20200054086A (ko) 2018-11-09 2020-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높은 신뢰 조건을 가지는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411690B2 (en) 2018-11-21 2022-08-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hannel based on a plurality of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s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WO2020113589A1 (zh) * 2018-12-07 2020-06-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时隙格式的存储方法和设备
CN111314033B (zh) 2018-12-25 2021-08-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上行控制信息uci的传输方法及终端
CN111385077B (zh) * 2018-12-29 2024-03-1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侧行链路通信的方法、网络设备以及终端设备
US11627560B2 (en) * 2019-01-07 2023-04-11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WO2020144299A1 (en) * 2019-01-10 2020-07-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control information pre-emption
WO2020144401A1 (en) * 2019-01-10 2020-07-16 Nokia Technologies Oy New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design
US11889516B2 (en) 2019-01-11 2024-01-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11296829B2 (en) 2019-02-01 2022-04-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eedback method for repetitive uplink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11252652B2 (en) 2019-04-02 2022-02-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Non-IP data delivery authorization update method and connection release method for non-IP data delivery,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1184108B2 (en) 2019-08-02 2021-11-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using polar code in communication system
US11929835B2 (en) 2019-08-27 2024-03-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 signaling for high reliability channel
US11523389B2 (en) * 2019-09-27 2022-12-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synchronized wireless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21062791A1 (zh) * 2019-09-30 2021-04-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104269B (zh) * 2020-02-04 2023-05-05 哲库科技有限公司 具有紧凑存储器使用的上行链路重传
EP4115555A1 (en) * 2020-03-06 2023-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sub-slot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repetitions
JP7488377B2 (ja) 2020-06-30 2024-05-2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マルチキャスト通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4179771A4 (en) * 2020-07-10 2024-04-10 Jrd Communication Shenzhen Ltd MULTIPLEX PROCEDURE FOR USER DEVICES WITHIN A USER, USER DEVICE AND RADIO NODE TO ACTIVATE THE PROCEDURE
US11641650B2 (en) * 2020-12-10 2023-05-02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dvance (TA) determination for sidelink (SL) communication
JP7430283B2 (ja) * 2021-01-14 2024-02-0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カバレッジの改善
WO2022154581A1 (ko) * 2021-01-14 2022-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버리지 개선
CN115150841B (zh) * 2021-03-30 2024-02-23 南宁富联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上下行覆盖增强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15080A1 (en) 2012-08-09 2015-07-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owledgemen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101895A (en) * 2009-06-24 2011-01-01 Htc Corp Method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for enhancing power control mechanism
WO2011084038A2 (ko) 2010-01-11 2011-07-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
KR101733489B1 (ko) * 2010-01-17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61618B1 (ko) * 2010-06-25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JP5986084B2 (ja) * 2010-08-13 2016-09-06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バイス内干渉軽減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4506437A (ja) * 2011-01-07 2014-03-13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セル高速ダウンリンクパケットアクセス動作に関するフィードバック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385857B2 (en) * 2011-05-02 2016-07-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685650B1 (en) 2011-09-23 2017-03-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same
WO2013048051A2 (ko) * 2011-09-26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9526091B2 (en) 2012-03-16 2016-12-2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self-optimization functions in a wireless network
WO2013166723A1 (en) 2012-05-11 2013-11-14 Nokia Siemens Networks Oy Ack/nak bit bundling in carrier aggregation scenarios
US8885752B2 (en) 2012-07-27 2014-11-1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back in 3D MIMO wireless systems
RU2621002C2 (ru) 2012-09-28 2017-05-30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 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Кодирование подтверждений приема гибридно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запроса на повторение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 несколькими антеннами
ES2764216T3 (es) * 2013-12-03 2020-06-02 Lg Electronics Inc Métodos y aparatos para transmitir enlace ascendente en sistema de acceso inalámbrico que soporta comunicación de tipo máquina
WO2015113214A1 (en) * 2014-01-28 2015-08-06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for enhanced harq mechanism
US20160143030A1 (en) 2014-11-14 2016-05-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transmitting frame for supporting legacy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of searching cell using the same
US9992004B2 (en) 2015-02-03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Code block cluster level HARQ
KR20180018504A (ko) * 2015-06-17 2018-02-21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차세대 lte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을 위한 ack/nack 신호들
WO2017078458A1 (en) * 2015-11-04 2017-05-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frequency retuning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90268903A1 (en) * 2016-06-07 2019-08-29 Lg Electronics Inc. Transmission or recep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462739B2 (en) * 2016-06-21 2019-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s of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6744436B2 (ja) * 2016-07-01 2020-08-1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と端末との間の上りリンク信号の送受信方法及びそれを支援する装置
CN109863708B (zh) * 2016-10-21 2022-02-2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针对未调度的上行链路的harq反馈的方法和装置
US10673593B2 (en) * 2016-11-03 2020-06-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HARQ signaling for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s
US10448423B2 (en) * 2017-03-22 2019-10-15 Ofinno, Llc Data multiplexing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15080A1 (en) 2012-08-09 2015-07-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owled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480A (ko) 2023-01-31
US20180278380A1 (en) 2018-09-27
US10749640B2 (en)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125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303055B1 (ko) 낮은 레이턴시 통신과 레이턴시 내성이 있는 통신의 공존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045336B2 (en) PUCCH resource compression for EPDCCH in TDD mode
US115234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1142488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20016220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hannel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202612B1 (ko) 다운링크 송신들의 구성
KR102410282B1 (ko) 확장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7002028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JP202052394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ダウンリンク信号受信方法及び前記方法を利用する端末
WO2019199213A1 (en) Reference signaling for radio access networks
KR20190086376A (ko) 상향링크 제어채널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8011044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자원 할당 방법 및장치
KR10249061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20050766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20063725A (ko)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및 harq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47166A (ko) 서로 다른 신뢰 조건들을 가지는 상향링크 전송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11328A (ko) 사이드링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csi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1764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