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868B1 -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및 이의 방법 - Google Patents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및 이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9868B1 KR102659868B1 KR1020210157164A KR20210157164A KR102659868B1 KR 102659868 B1 KR102659868 B1 KR 102659868B1 KR 1020210157164 A KR1020210157164 A KR 1020210157164A KR 20210157164 A KR20210157164 A KR 20210157164A KR 102659868 B1 KR102659868 B1 KR 1026598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rrigation
- time
- bed
- seedling
- seedling b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053095 fung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1785 Erysiphal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 of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방법은,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품종 및 관수 관련 실시간 상태 입력 받는 과정; 상기 품종 및 관수 관련 실시간 상태에 대응하는 생육 정보에 따라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에 대한 사용자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육묘용 베드를 상하로 이동시켜 수조에 침지 시키는 과정;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면관수(底面灌水, Subsurface irrigation)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seedling bed) 제어 장치 및 이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육묘용 베드를 자동으로 상하이동시켜 저면관수를 수행하는 장치 및 이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상관수(頭上灌水)는 사람이 직접 호스 또는 살수기를 이용하여 물을 작물의 위쪽에서 뿌려 주는 방법으로, 물을 주는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6미터 폭에 50미터 길이 정도 경작지 규모의 시설에 두상관수를 할 경우 육묘용 베드(또는 트레이)나 분화용 베드에 흡족하게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30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두상관수는 사람이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물을 주어야 때문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물의 공급량을 맞추기 어려우며, 작물이 어느정도 자랐을 때는 살수기의 물살에 쓰러지는 경우가 있어 줄기기가 곧게 자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흰가루병과 같은 곰팡이병원균의 포자가 위에서 살수 되는 물살에 잘 퍼져나가 병의 확산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물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스프링쿨러, 분수호스 등을 이용해 상부의 관수시설을 통해 물을 미스트 형태로 뿜어주는 자동 스프링쿨러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으나, 해당 시스템 또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일반적인 토경(땅을 갈아 작물을 심고 키우는 형태)의 경우 적당히 물을 흩어 뿌려주면 땅속에 물이 스며들어 전체적으로 퍼져 나가기 때문에, 해당 시스템은 매우 편리한 관수 시스템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육묘나 분화 재배의 경우 물이 재배 전면적에 전체적으로 고루 뿌려져야 하는데, 땅속으로 스며들어 퍼져나가는 토경과 달리 상부에서 떨어지는 물이 작물이 있는 트레이 구역이나 화분내에 떨어 지지 않으면 관수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무리 잘 조절을 하고 성능이 좋은 미스트 생성기를 사용해도, 미스트가 도달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기 마련이고, 이러한 경우 보조 인력을 통해 미스트가 도달하지 않은 부분을 두상관수 해야만 한다. 또한 전체적으로 물이 퍼져 나가도록 관수 장치를 잘 조절한다 해도, 작물이 어느 정도 키가 크고, 잎이 우거지면 잎에 바닥이 가려져서 떨어지는 물을 전체적으로 퍼뜨리기 더욱 어렵게 된다. 작물이 쓰러지는 일 또한 자주 발생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생육 초기까지 사용하고, 정작 많은 관수량이 필요한 본생육기에는 사람손으로 직접 잎 사이사이로 작물이 쓰러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관수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한계점에 대한 대안으로, 흙 아래 면에서 물을 주는 저면관수는 전체적으로 고르게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부의 작물에 물을 묻히거나 물살을 보낼 이유가 없어 병의 확산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자라고 있는 작물에 힘을 가하지 않고 관수함으로써 작물이 스트레스 없이 줄기가 곧게 자랄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관련하여, 종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0493호(침지관수식 육묘장 설비, 2018. 10. 29)는 각종 묘목을 대량으로 양묘하기 위한 육묘실에서 묘목의 균일한 생장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인 급수를 침지관수방식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잔수의 제거가 가능하여 동절기에도 동파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육묘실과 작업장 간 포트 이동 작업의 생력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저면관수식 육묘장 설비를 제공한다. 다만, 이는 관수 후 반드시 필요한 육묘의 통풍을 제공하는 수단을 개시하고 있지 않고, 해당 종래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통풍을 제공하기 위해서 관수가 수행될 때마다 잔수를 배수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며, 잔수를 배수한 후 이를 보관할 별도의 공간이 요구된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또한, 육묘가 침지 되는 시간을 제어하기 어렵다는 한계점 및 잔수를 일정수위까지 채운 후 배수하는 종래 등록특허공보는 육묘장의 규모가 크면 클수록 물을 받는 시간이 많이 소모되며 과다하게 물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한계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두상관수의 문제점과 기존의 지면관수의 한계점인 관수 시간, 균일하기 어려운 관수 제어, 물살에 의한 육묘의 쓰러짐, 병원균의 확산 가능성 및 육묘 하부의 통풍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물이나 양액을 담을 수 있는 수조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한 육묘용 베드를 이용함으로써, 관수 시에는 아래로 육묘용 베드를 이동시키고, 이외 육묘용 베드를 위로 이동시켜 통풍 상태를 제공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및 이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방법은,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품종 및 관수 관련 실시간 상태 입력 받는 과정; 상기 품종 및 관수 관련 실시간 상태에 대응하는 생육 정보에 따라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에 대한 사용자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육묘용 베드를 상하로 이동시켜 수조에 침지 시키는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산출된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에 따라 상기 수조에 배수 및 급수를 제어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육묘용 베드를 상하로 이동시켜 수조에 침지 시키는 과정은, 동력원으로부터 수평력을 수직력으로 전환하는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이용하여 상기 육묘용 베드를 상하로 이동시켜 수조에 침지 시키는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는,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품종 및 관수 관련 실시간 상태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 상기 품종 및 관수 관련 실시간 상태에 대응하는 생육 정보에 따라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을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출력된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에 대한 사용자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육묘용 베드를 상하로 이동시켜 수조에 침지 시키는 베드이동부;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에 따라 상기 수조에 배수 및 급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드이동부는 동력원으로부터 수평력을 수직력으로 전환하는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및 이의 방법은, 저면관수를 이용함으로써 상부의 작물이 잎이 우거져도 뿌리쪽으로 직접 물이 스며들어 전면에 고루 관수하며, 작물의 생육중 관수로 인한 스트레스가 전혀 없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두상관수 대비 본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및 이의 방법에 의할 경우, 적은 관수 시간이면 충분(예를 들어, 2분 - 육묘용 베드를 수조의 하부 및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각 10초, 저면관수 1분 30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및 이의 방법에 의할 경우, 작물이 물살에 쓰러지거나, 곰팡이병원균의 포자가 위에서 살수 되는 물살에 잘 퍼져나가 병의 확산이 쉽게 이뤄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및 이의 방법에 의할 경우, 육묘나 분화재배작물에 용이하게 통풍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 시스템(100)을 설명한 후,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다. 이후,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가 도르래를 이용하여 육묘용 베드를 상하 또는 좌우 이동시키는 동작을 도 4부터 도 8을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 시스템(100)은 육묘용 베드(120)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은 물론, 육묘용 베드(120) 및 수조(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110),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이 위치하는 육묘용 베드(120) 및 물이나 양액이 담기는 수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 시스템(100)은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110) 내지 수조(130)를 반드시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일부 구성만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 시스템(100)은 수조(130)의 형태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상의 수조 형태(예를 들어, 직육면체)를 가질 수 있고, 물이 수조(130)의 일정수위까지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저면관수 후 배수할 필요 없이, 육묘용 베드(120)가 위로 이동함으로써 육묘에 통풍을 제공할 수 있어, 종래의 저면관수 시스템을 이용함에 따른, 물을 받는 시간이 많이 소모되며 과다하게 물을 소모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육묘용 베드(120)는 낱개의 모 또는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이 개별적으로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개별 육묘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육묘트레이의 다수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육묘용 베드(120)는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생육 중량 등을 고려하여 골조 구조재(structural frame)의 규격을 달리 가질 수 있으며, 통풍이 잘 되고, 수조(130)로 침지되어 저면관수 시 물의 통수가 용이한 망의 형태일 수 있고, 육묘트레이나 분화재배작물 등이 전체 면적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조(13)는 물 또는 양액이 육묘트레이, 분화 등이 충분히 잠겨 저면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수심(깊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수조(130)에 담기는 물의 총중량을 감안한 골조 구조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장재는 방수력이 좋은 자재가 물이 세는 곳이 없도록 수조(130)의 전면에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수조(130)는 전면관수로 수위가 낮아지면 물을 다시 보충할 수 있도록 급수 또는 배수를 위한 배관장치 포함할 수 있고, 항상 일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수위센서와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조(130)의 배관장치, 수위센서, 밸브 등은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110)는 육묘용 베드(120)를 상하 또는 좌우이동시킴으로써 수조(130)에 저면관수를 하거나 육묘의 뿌리가 공기 중에 위치시켜 기존 저면관수 기술에 의해 육묘트레이나 분화재배작물의 하부에 통풍이 잘 되지 않아 각종 세균성 병원균이 증식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을 해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110)는 미리 갖춰진 수조(130)의 물에 육묘트레이 및 분화가 잠기도록 육묘용 베드(120)를 하부로 이동시켜 저면관수 후 다시 육묘용 베드(120) 상부로 올려 하부의 통풍 공간을 확보한 채 상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육묘용 베드(120)의 전면에 저면관수가 일제히 이루어져 빠른 시간에 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지 시간은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크기별, 종별로 상이할 수 있으나, 보통의 원예용 상토를 사용하는 경우라며, 3분을 넘기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소비되는 물의 양 또한 육묘트레이 및 분화에 흡수된 물의 양만 소모되므로 수조의 전 공간에 물을 채웠다 흘려보내는 기존 저면관수 기술에 비해 상당한 양의 물이 절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육묘용 베드(120)의 상부에는 보온을 위한 보온덮개가 위치할 수 있으며, 보온덮개는 육묘용 베드(120)의 상하 또는 좌우이동과 독립적으로 별도의 구동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육묘용 베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310), 입력된 명령과 메모리(320)에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재배 정보에 기초하여 육묘용 베드를 동작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330) 및 산출된 동작 정보에 따라 육묘용 베드의 움직임을 직접 동작시키는 베드이동부(34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320)는 다양한 종류의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재배 정보로서,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 품종별 침지 시간, 통풍 시간, 일조량, 최저 생육일수, 최고 생육일수, 생육 최적 고온, 생육 최적 저온, 생육한계 최고 온도, 생육한계 최저 온도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310)는 사용자로부터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품종 및 관수 관련 실시간 상태를 입력 받을 수 있다(S210). 품종은 과채류, 엽채류, 근채류 또는 기타채소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관수 관련 실시간 상태는 상토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관수의 요구 정도에 따라 정의된 단계(예를 들어, 상-중-하, 또는 1단계 내지 9단계 등)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30)는 품종 및 관수 관련 실시간 상태에 대응하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생육 정보를 산출하여 관수에 필요한 시간 및 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S220).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30)는 생육 기간 등을 고려하여 특정 알고리즘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30)는 산출된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을 인터페이스(310)에 포함되는 출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출력된 관수 시간에 대한 사용자 응답 정보가 “긍정”인 경우, 해당 관수 시각에 해당 관수 시간만큼 저면관수가 수행될 수 있도록 베드이동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S330).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응답 정보가 “부정”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관수 시각 및 관수 시간을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고, 제어부(330)는 입력된 관수 시각 및 관수 시간에 따라 저면관수가 수행될 수 있도록 베드이동부(34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베드이동부(340)는 사용자로부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육묘용 베드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동 와이어윈치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 등의 동력원과 연계가능한 전동와이어윈치 또는 유압와이어윈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동력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기계에너지를 전달하는 복수의 도르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는 육묘용 베드(401), 수조(402), 도르래고정 구조체(403), 와이어윈치(404), 본선와이어(405), 지선와이어(406), 측부고정 도르래(407), 베드고리 움직도르래(408), 상부고정 도르래(409), 버팀구조체(410), 본선와이어 움직도르래(411) 및 윈치고정 기초부(412)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르래고정 구조체(403)는 고정도르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육묘용 베드(401)의 총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체로서, 설치간격 및 육묘용 베드(401)의 총중량 등을 고려하여 고정도르래의 설치가 용이한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르래고정 구조체(403)와 육묘용 베드(401)와의 높이는 상부에 보온재나 차광재를 덮기 용이한 높이로 결정될 수 있으며, 구조적안정을 감안하여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설치 간격은 육묘용 베드(401)상의 육묘트레이나 분화를 놓을 수 있는 자리의 작업성과 총중량에 의한 베드 골조 구조체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르래고정 구조체(403)은 복수 개의 지선와이어(406)이 함께 구성될 수 있고, 지선와이어(406) 간의 간섭이 없도록 상부에 경사를 적당히 두어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와이어윈치(404)는 육묘용 베드(401)의 총길이에 최대로 무게로 상차될 수 있는 작물의 경우를 대비한 최대 총중량을 감안하고 이에 맞는 중량을 견인할 수 있는 능력의 윈치일 수 있다. 견인능력을 최대 우선으로 하며, 견인의 길이는 매우 짧은 편이므로 감기는 속도(RPM)늦어도 크게 문제가 없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와이어윈치(404)는 DC윈치가 바람직할 수 있다. 와이어윈치(404)를 인장하여 육묘용 베드(401)를 상부로 이동하고 멈추었을 때, 실시예에 따라, 물을 흠뻑 먹은 분화나, 육묘트레이의 총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브레이크장치가 불안정할 경우 베드의 총량에 의해 와이어윈치(404)가 풀려 육묘용 베드(401)가 하강할 수 있다. 와이어윈치(404)의 스위치는 마그네틱이 탑재될 수 있고, 추후 자동, 원격 구동을 위한 전기회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선와이어(405)는 육묘용 베드(401)의 총연장에 발생할 수 있는 최대 하중을 충분히 감안하여 규격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중량이 와이어 한 선에 걸리는 경우, 총하중에 1.5배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와이어 두께 규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지선와이어(406)는 도르래 고정 구조체(403)의 결정 간격에 의해 그 구간의 최대 적재될 수 있는 하중을 계산하여 두께 규격이 결정될 수 있다. 지선와이어(406)는 본선와이어(405)와 와이어클립 등으로 연결될 수 있고, 두 지선와이어(406)가 동시에 같이 유동될 수 있도록 균형을 잘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측부고정 도르래(407)는 경사진 도르래고정 구조체(403)에 부착된 도르래의 높이차에 맞게 간격이 정해질 수 있고, 측부에 설치된 두 개의 고정도로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중의 방향을 수직력에서 수평력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할 수 있고, 도르래 자체에 하중을 받을 수 있어 유격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베드고리 움직도르래(408)는 육묘용 베드(401)와 지선와이어(406)를 연결하는 기능과 동시에 움직도르래를 포함하여 육묘용 베드(401)를 상부로 올릴 때의 인장력을 반감시켜 와이어윈치(404)와 본선와이어(405)의 하중의 부담을 반으로 줄여 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고정 도르래(409)는 도르래 고정 구조체(403)의 경사진 상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수직인장력의 방향을 한번 바꾸어 주는 기능을 하며, 베드고리 움직도르래(408)의 위치와 자리를 잘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버팀구조대(410)는 도르래고정 구조체(403)의 측부 고정도르래(407)가 설치된 사이로 고정될 수 있고, 경사진 바닥에 견고히 부착되어 도르래 고정구조체(403)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도르래고정 구조체(403)가 주선 와이어 구동에 하중을 받아 앞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이것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선와이어 움직도르래(411)는 와이어윈치(404)에서 나온 와이어를 움직도르래에 거쳐 윈치고정 기초부(412)에 연결할 수 있다. 와이어윈치(404)가 구동되면, 본선 와이어 움직도로래(411)를 이동시켜 여기에 연결된 주선와이어가 구동되게 함으로써 와이어윈치(404)에 받는 하중을 반으로 줄여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윈치고정부 기초(412)는 와이어윈치(404)를 고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강재를 이용하거나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전체 하중이 이 윈치 고정부 기초(412)에 집중되므로 육묘용 베드(401)의 최대 총 중량에 유동하지 않을 구조체를 선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는 골조 구조물을 포함하는 육묘용 베드(401)에 베드고리 움직도르래(408)를 설치하고, 상부 고정도르래(409)와 측부도르래(407)를 통해 지선와이어(406)가 포함될 수 있다. 베드고리 움직도르래(408), 상부고정 도르래(409), 측부고정 도르래(407) 및 지선와이어(406)는 육묘용 베드(401)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복수 영역(예를 들어, 2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지선와이어(406)는 본선와이어(405)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본선와이어(405)는 움직도르래(411)에 연결되어 와이어윈치(404)의 구동에 의해 수평으로 당기고 풀어주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통해, 상부 고정도르래(409)와 측부도르래(407)를 통해 본선와이어(405)의 수평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고, 육묘용 베드(401)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분을 포함한 분화, 육묘트레이, 작물의 중량 등을 모두 포함한, 베드의 총 적재 중량이 고려되어, 와이어윈치(404)의 용량과 와이어의 두께 도르래 고정구조체(403) 및 윈치와이어 고정 기초부(412)등의 규격을 정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8에 따르면, 하나의 본선 와이어(405)를 공유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3개가 직렬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는 1층 2층 및 3층으로 층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 사용자로부터 육묘용 베드를 제어하기 위한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품종 및 관수 관련 실시간 상태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는 과정;
다양한 종류의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재배 정보로서,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 품종별 침지 시간, 통풍 시간, 일조량, 최저 생육일수, 최고 생육일수, 생육 최적 고온, 생육 최적 저온, 생육한계 최고 온도, 생육한계 최저 온도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입력 받은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재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육묘용 베드의 동작 정보인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에 따라 육묘용 베드의 움직임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켜 수조에 침지 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되,
상기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을 산출하는 과정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은 상기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품종 및 관수 관련 실시간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생육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생육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육묘용 베드의 동작 정보인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에 따라 상기 수조에 배수 및 급수를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묘용 베드의 움직임을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켜 수조에 침지 시키는 과정은,
동력원으로부터 수평력을 수직력으로 전환하는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이용하여 상기 육묘용 베드를 상하로 이동시켜 수조에 침지 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방법. - 사용자로부터 육묘용 베드를 제어하기 위한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품종 및 관수 관련 실시간 상태를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
다양한 종류의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재배 정보로서,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 품종별 침지 시간, 통풍 시간, 일조량, 최저 생육일수, 최고 생육일수, 생육 최적 고온, 생육 최적 저온, 생육한계 최고 온도, 생육한계 최저 온도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은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재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육묘용 베드의 동작 정보인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에 따라 육묘용 베드의 움직임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켜 수조에 침지 시키는 베드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은 상기 육묘 또는 분화재배작물의 품종 및 관수 관련 실시간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생육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생육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육묘용 베드의 동작 정보인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관수 시간 및 관수 시각에 따라 상기 수조에 배수 및 급수를 제어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이동부는 동력원으로부터 수평력을 수직력으로 전환하는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포함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7164A KR102659868B1 (ko) | 2021-11-16 | 2021-11-16 |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및 이의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7164A KR102659868B1 (ko) | 2021-11-16 | 2021-11-16 |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및 이의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1217A KR20230071217A (ko) | 2023-05-23 |
KR102659868B1 true KR102659868B1 (ko) | 2024-04-22 |
Family
ID=8654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7164A KR102659868B1 (ko) | 2021-11-16 | 2021-11-16 |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및 이의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9868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152469A1 (en) * | 2011-12-14 | 2013-06-20 | Chih-Cheng Kao | Hydroponic system |
KR102096489B1 (ko) * | 2019-06-25 | 2020-04-02 | 이기중 | 스마트 관수제어 시스템 및 관수제어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0493B1 (ko) | 2018-06-25 | 2018-10-29 | 대한민국 | 침지관수식 육묘장 설비 |
-
2021
- 2021-11-16 KR KR1020210157164A patent/KR1026598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152469A1 (en) * | 2011-12-14 | 2013-06-20 | Chih-Cheng Kao | Hydroponic system |
KR102096489B1 (ko) * | 2019-06-25 | 2020-04-02 | 이기중 | 스마트 관수제어 시스템 및 관수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1217A (ko) | 2023-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3884289U (zh) | 用于室内牧草育苗或蔬菜栽植的栽培架 | |
KR101424058B1 (ko) | 산업용 인삼 수경재배 시스템 | |
US4399634A (en) | Simplified root augmentation system for hydroponics | |
JP2006042775A (ja) | 植物栽培容器を用いた立体型植物育成装置 | |
KR102659868B1 (ko) | 저면관수를 이용한 육묘용 베드 제어 장치 및 이의 방법 | |
JP2009183232A (ja) | 緑化装置の培地に植物を定植する方法及びその緑化装置 | |
Yildirim et al. | An automated hydroponics system used in a greenhouse | |
CN110946012A (zh) | 一种苗木无性系快速繁育方法 | |
JP5685688B2 (ja) | 水耕栽培装置 | |
CN110881400A (zh) | 一种悬挂式无土栽培种植槽系统 | |
Maiti et al. | Understanding hydroponics and its scope in India | |
JPH0546260U (ja) | 植物栽培装置 | |
KR101314769B1 (ko) | 양액 재배용 베드 | |
CN207911524U (zh) | 移动牡丹园栽培系统 | |
JP2005000018A (ja) |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 |
JP6110984B1 (ja) | 潅水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 |
JPH06189639A (ja) | 育苗機における潅水制御装置 | |
JPH10117616A (ja) | 胡蝶蘭等の水耕栽培方法および水耕栽培用装置 | |
RU2714639C1 (ru) | Способ вертикального озеленения участков дворовых территорий | |
CN213343607U (zh) | 一种园林绿化育苗装置 | |
JPH09275771A (ja) | チューリップの栽培方法及び栽培装置 | |
JPH05328857A (ja) | 建物壁面緑化ユニット | |
JPS59140821A (ja) | 植物栽培装置 | |
JPH09308391A (ja) | 農業ハウス用プールベンチ | |
Farmers | How To Grow Hydroponics For Beginn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