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242B1 -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242B1
KR102659242B1 KR1020190079900A KR20190079900A KR102659242B1 KR 102659242 B1 KR102659242 B1 KR 102659242B1 KR 1020190079900 A KR1020190079900 A KR 1020190079900A KR 20190079900 A KR20190079900 A KR 20190079900A KR 102659242 B1 KR102659242 B1 KR 102659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ssibility
engine
amou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5337A (ko
Inventor
허지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242B1/ko
Priority to US16/684,467 priority patent/US11370409B2/en
Priority to CN201911213002.8A priority patent/CN112172783A/zh
Publication of KR20210005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20Control strategies involving selection of hybrid configuration, e.g. selection between series or paralle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30Control strategies involving selection of transmission gear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9Improvement of gear change, e.g. by synchronisation or smoothing gear sh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40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prime movers, e.g. for transition between prime 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6Improving the dynamic response of the control system, e.g. improving the speed of regulation or avoiding hunting or overshoot
    • B60W2050/065Improving the dynamic response of the control system, e.g. improving the speed of regulation or avoiding hunting or overshoot by reducing the computational load on the digital processor of the control compu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60W2520/105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3Mile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60W2540/106Rate of 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16H2061/0087Adaptive control, e.g. the control parameters adapted by lea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은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각 변속 패턴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ONG ENGINE ON OF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엔진 온을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차량의 전체 연비가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엔진 온 전략은 하이브리드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사항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부하가 큰 경우에는 엔진의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엔진을 온시키는 전략이 사용되며, 차량의 주행부하가 작을 경우에는 엔진의 효율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전기차 모드 (EV모드)로 주행하는 전략이 사용된다. 또한, 차량의 부하가 작은 경우 SOC 저하 등의 이유로 엔진 온이 필요한 경우에는 엔진의 효율이 좋은 운전점으로 주행하고 모터를 충전시켜 효율을 높이지만, 모터의 충전과 방전으로 인해 효율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엔진 온 전략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전체적인 차량의 연비가 악화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변속 빈도가 높은 상황에서 엔진 온이 잘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에는 변속 빈도가 높은 상황에서 엔진 온이 잘되지 않도록 맵핑을 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운전자의 특성 또는 변속 패턴이 변경되는 경우 맵핑을 새로 해야 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481335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고려하여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도출된 전략에 기반하여 엔진 온을 수행하여 차량의 전체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은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각 변속 패턴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 답입량,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차속 및 차속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변속 패턴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에서, 상기 변속 패턴 영역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변화량 보다 크고, 상기 차속이 기 설정된 값 보다 작으면 제1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2 변화량 보다 작고, 상기 차속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차속 변화량 보다 크면 제2 영역으로 구분하며, 상기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3 변화량 보다 작고, 상기 차속 변화량의 절대값 기 설정된 제2 차속 변화량 보다 작으면 제3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구분된 각 변속 패턴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가능성의 크기는 기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변화량 보다 크고, 상기 차속이 기 설정된 값 보다 작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및 상기 구분된 변속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변속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시간을 기 설정된 제1 시간(i) 및 제2 시간(ii)과 비교하여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1 시간(i)보다 작으면 제1 가능성으로 구분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1 시간(i)보다 크고 상기 제2 시간(ii)보다 작으면 제2 가능성으로 구분하며,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2 시간(ii) 보다 크면 제3 가능성으로 구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2 변화량 보다 작고, 상기 차속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차속 변화량 보다 큰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 및 상기 구분된 변속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변속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시간을 기 설정된 제3 시간(iii) 및 제4 시간(iv)과 비교하여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3 시간(iii)보다 작으면 제1 가능성으로 구분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3 시간(iii)보다 크고 제4 시간(iv)보다 작으면 제2 가능성으로 구분하며,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4 시간(iv)보다 크면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3 변화량 보다 작고, 상기 차속의 변화량의 절대값이 기 설정된 제2 차속 변화량 보다 작은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및 상기 구분된 변속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변속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시간을 기 설정된 제5 시간(v) 및 제6 시간(vi)과 비교하여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5 시간(v)보다 작으면 제1 가능성으로 구분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5 시간(v)보다 크고 상기 제6 시간(vi)보다 작으면 제2 가능성으로 구분하며,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6 시간(vi)보다 크면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3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1 토크 보다 크되, 상기 제1 토크 보다 큰 시간이 제1 일정 시간(α) 유지되면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되도록 하고, 상기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2 토크 이하면 상기 엔진이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2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3 토크 이상이면, 상기 차량의 엔진이 즉시 온되도록 하고, 상기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4 토크 이하면 상기 엔진이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1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5 토크 보다 크되, 상기 제5 토크 보다 큰 시간이 제2 일정 시간(β) 유지되면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되도록 하고, 상기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6 토크 이하면 상기 엔진이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일정 시간(β)은 상기 제1 일정 시간(α)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1 토크, 상기 제2 토크, 상기 제3 토크, 상기 제4 토크, 상기 제5 토크 및 상기 제6 토크의 크기에서, 각 토크별 크기는 기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 엔진의 온 또는 오프가 제어되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 엔진의 온 또는 오프가 제어되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조기 온 되는지 또는 지연 온 되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차량의 변속 패턴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변속 패턴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도출하는 변속 제어기(TCU: Transmission Control Unit); 및 상기 변속 제어기에서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Hybrid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 답입량,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차속 및 차속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속 제어기 및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기의 협조 제어를 통해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차량의 엔진 온 또는 오프가 수행되는 것을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고려하여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도출된 전략에 기반하여 엔진 온 또는 오프를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전체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 클러치 접합과 변속이 동시에 발생하면서 생기는 운전성 악화요인을 개선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에서,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3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엔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2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엔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1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엔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하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에서,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3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엔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2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엔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1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엔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이전에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시스템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시스템은, 변속 제어기(100) 및 하이브리드 제어기(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변속 제어기(100) 및 하이브리드 제어기(200)의 협조 제어를 통해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차량의 엔진 온 또는 오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속 제어기(100)는 추후 설명할 데이터 수집부(300)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차량의 변속 패턴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부(110)에 저장된 각 변속 패턴 영역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변속 제어기(100)는 추후 설명할 데이터 수집부(300)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변속 패턴 구분부, 구분된 각 변속 패턴 영역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도출하는 변속 가능성 도출부 및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 수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제어기(200)는 변속 제어기(100)에서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제어기(200)는 캔통신 네트워크 등의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변속 제어기(100)에서 도출된 변속 가능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가속페달 답입량,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차속 및 차속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수집부(300)는 가속페달의 답입량을 검출하는 가속페달 센서(APS) 및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속페달 센서에서 검출된 가속페달의 답입량 및 차속 센서에서 검출된 차속에 기반하여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및 차속의 변화량을 도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시스템은 변속 제어기(100) 및 하이브리드 제어기(200)의 협조 제어를 통해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차량의 엔진 온 또는 오프가 수행되는 것을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400)는, 변속 제어기(100)에서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하이브리드 제어기(200)에서 도출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는 것을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0)는 클러스터, 헤드업 디스플레이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0)에는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및 구분된 변속 패턴에 기반하여 산출된 해당 차량의 변속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등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400)에는 해당 차량의 변속 예측 시간 등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400)는 산출된 차량의 변속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기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구분된 변속 가능성에 따라 엔진이 상이한 시점에 기동되는 것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속 가능성이 높은 제1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400)에서 엔진 온 시점이 지연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변속 가능성이 낮은 제2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400)에서 엔진이 조기에 온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부(400)는 변속 제어기(100) 및 하이브리드 제어기(200)의 협조 제어를 통해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차량의 엔진 온 또는 오프가 수행함으로써 절약되는 에너지량 또는 연비 향상량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다. 이때, 절약되는 에너지량 또는 연비 향상량 등의 연산은 하이브리드 제어기(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은,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S100), 구분된 각 변속 패턴 영역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도출하는 단계(S200) 및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S100에서는, 차량의 변속 패턴이 제1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 제2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및 제3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S100)에서는, 차량의 가속페달 답입량,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차속 및 차속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차량의 변속 패턴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S100)에서는, 요구토크, 가상의 가속페달 답입량, 모터 속도, 모터 속도의 변화량, 변속기 입력속도, 변속기 출력속도 및 변속기 출력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차량의 변속 패턴 영역을 구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의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차속 및 차속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차량의 변속 패턴 영역을 구분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에서 변속 패턴 영역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은 초기 발진 영역으로, 초기 발진 시 가속페달 답입량(APS)이 증가하는 방향이며 이와 함께 가속도가 증가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S100) 중 제1 영역인지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에서는,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변화량 보다 크고, 차속이 기 설정된 값 보다 작으면 제1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변화량은 30~40%/s이고, 기 설정된 차속 값은 20kph일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은 현 가속도를 유지하는 영역으로, 발진 후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동이 작고 일정한 가속도로 주행하는 영역이며, 변속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영역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S100) 중 제2 영역인지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에서는,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2 변화량 보다 작고, 차속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차속 변화량 보다 크면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변화량은 10%/s이고, 기 설정된 제1 차속 변화량은 15m/s2일 수 있다.
아울러, 제3 영역은 정속 주행을 하는 영역으로 가속페달 답입량(APS)가 줄어들거나 유지되는 영역으로 차속 변화가 작은 영역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S130) 중 제3 영역인지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에서는,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3 변화량 보다 작고, 차속의 변화량의 절대값이 기 설정된 제2 차속 변화량 보다 작으면 제3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 설정된 제3 변화량은 5%/s이고, 기 설정된 제2 차속 변화량은 3~5m/s2일 수 있다.
한편, 구분된 각 변속 패턴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도출하는 단계(S200)는, 제1 영역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S210), 제2 영역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S220) 및 제3 영역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가능성의크기는 기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의 크기는 하기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3가지의 가능성(제1,2,3 가능성)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실시예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3가지 이외의 복수의 가능성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식 1]
A > B > C
A: 제1 가능성의 크기, B: 2 가능성의 크기, C: 제3 가능성의 크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가능성은 변속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의미하며, 실시예에 따라 변속 가능성이 85% 이상인 경우를 제1 가능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능성은 변속 가능성이 높지만 변속이 시작되기까지 시간적인 여유가 있는 경우를 의미하며, 실시예에 따라 변속 가능성이 70% 이상인 경우를 제2 가능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가능성은 당장 변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의미하며, 실시예에 따라 변속 가능성이 55% 이상인 경우를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구체적인 수치는 시험을 통해 설정되는 값이며, 실시예에 따라 학습을 통해서도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험 또는 학습을 통해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서 일정 시간 후에 변속이 일어나는 경우를 데이터화하여 확률 수치 값을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변화량 보다 크고, 차속이 기 설정된 값 보다 작은 제1 영역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S210)는,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및 구분된 변속 패턴에 기반하여, 차량의 변속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211) 및 산출된 시간을 기 설정된 제1 시간(i) 및 제2 시간(ii)과 비교하여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S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및 구분된 변속 패턴에 기반하여, 차량의 변속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211)에서는,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유지된다고 가정하고 현재 차량이 해당되는 변속 패턴에서 변속이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산출된 시간을 기 설정된 제1 시간(i) 및 제2 시간(ii)과 비교하여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S212)에서는, 산출된 시간이 제1 시간(i)보다 작으면 제1 가능성으로 구분하고, 산출된 시간이 제1 시간(i)보다 크고 제2 시간(ii)보다 작으면 제2 가능성으로 구분하며, 산출된 시간이 제2 시간(ii)보다 크면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2 변화량 보다 작고, 차속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차속 변화량 보다 큰 제2 영역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S220)는,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 및 구분된 변속 패턴에 기반하여, 차량의 변속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221) 및 산출된 시간을 기 설정된 제3 시간(iii) 및 제4 시간(iv)과 비교하여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S2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 및 구분된 변속 패턴에 기반하여, 차량의 변속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221)에서는,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이 유지된다고 가정하고 현재 차량이 해당되는 변속 패턴에서 변속이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산출된 시간을 기 설정된 제3 시간(iii) 및 제4 시간(iv)과 비교하여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S222)에서는, 산출된 시간이 제3 시간보다 작으면 제1 가능성으로 구분하고, 산출된 시간이 제3 시간보다 크고 제4 시간보다 작으면 제2 가능성으로 구분하며, 산출된 시간이 제4 시간보다 크면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아울러,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3 변화량 보다 작고, 차속의 변화량의 절대값이 기 설정된 제2 차속 변화량 보다 작은 제3 영역에서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S230)는,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및 구분된 변속 패턴에 기반하여, 차량의 변속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231) 및 산출된 시간을 기 설정된 제5 시간(v) 및 제6 시간(vi)과 비교하여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S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및 구분된 변속 패턴에 기반하여, 차량의 변속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에(S231)서는,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유지된다고 가정하고 현재 차량이 해당되는 변속 패턴에서 변속이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산출된 시간을 기 설정된 제5 시간(v) 및 제6 시간(vi)과 비교하여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S232)에서는, 산출된 시간이 제5 시간(v)보다 작으면 제1 가능성으로 구분하고, 산출된 시간이 제5 시간(v)보다 크고 제6 시간(vi)보다 작으면 제2 가능성으로 구분하며, 산출된 시간이 제6 시간(vi)보다 크면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방식에 따라 각 변속 패턴 영역에서 변속 가능성이 도출된 경우,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각 변속 가능성에 따라 엔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300)에서는,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3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1 토크 보다 크되, 제1 토크 보다 큰 시간이 제1 일정 시간(α) 유지되면 차량의 엔진이 온되도록 하고,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2 토크 이하면 상기 엔진이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제1 토크 보다 큰 시간이 제1 일정 시간(α) 유지되면 차량의 엔진이 온되도록 하는 이유는 제1 토크를 넘는다고 바로 엔진을 온시키면 엔진의 온/오프가 반복되어 오히려 연비가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제1 토크 보다 큰 시간이 제1 일정 시간(α) 유지되면 엔진이 온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엔진의 온/오프가 반복되어 연비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S300)계에서는,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2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3 토크 이상이면, 차량의 엔진이 즉시 온되도록 하고,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4 토크 이하면 엔진이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2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차량의 엔진이 온되도록 하는 기준 토크인 제3 토크 값을 하향조정하여 엔진이 보다 조기에 온되도록 하되, 차량의 엔진이 오프되도록 하는 기준 토크인 제4 토크 값도 하향 조정하여 엔진의 온/오프가 반복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아울러,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300)에서는,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1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5 토크 보다 크되, 제5 토크 보다 큰 시간이 제2 일정 시간(β) 유지되면 차량의 엔진이 온되도록 하고,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6 토크 이하면 엔진이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1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차량의 엔진이 온되도록 하는 기준 토크인 제5 토크 값을 상향조정하여 엔진이 보다 지연되어 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일정 시간(β)은 제1 일정 시간(α)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 토크, 제2 토크, 제3 토크, 제4 토크, 제5 토크 및 제6 토크의 크기에서, 각 토크의 크기는 기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토크, 제2 토크, 제3 토크, 제4 토크, 제5 토크 및 제6 토크의 크기는 하기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각 토크의 크기를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식 2]
제5 토크 크기 > 제1 토크 크기 > 제3 토크 크기 > 제6 토크 크기 > 제2 토크 크기 > 제4 토크 크기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변속 패턴의 영역에서 구분된 변속 가능성에 따라 엔진을 온 시키는 기준 토크 값(제1 토크, 제3 토크 및 제5 토크)을 크기를 상이하게 조정하여 변속 가능성에 따라 엔진의 온/오프 전략을 상이하게 수립함으로써, 차량의 전체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변속 가능성이 가장 낮은 제3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기존에 엔진을 온 시키는 것과 동일하게 엔진을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변속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제1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엔진을 온시키는 것을 최대한 지연해야 하기 때문에, 엔진을 온 시키기 위한 운전자 요구 토크의 비교 값인 제5 토크를 상향 조정하되, 운전자 요구 토크가 제5 토크 이상이 되더라도, 제5 토크보다 큰 시간이 제2 일정 시간(β) 유지된 경우에 엔진이 온되도록 함으로써 엔진 온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변속 가능성이 제2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조기에 엔진은 온 시키기 위해 제3 토크를 하향 조정하되, 엔진의 온/오프의 반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엔진을 오프시키는 기준 값인 제4 토크도 하향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은,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 엔진의 온 또는 오프가 제어되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차량 엔진의 온 또는 오프가 제어되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는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따라 차량의 엔진이 조기 온 되는지 또는 지연 온 되는지 여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제어기 및 하이브리드 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앞서 설명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100: 변속 제어기 110: 저장부
200: 하이브리드 제어기 300: 데이터 수집부
400: 디스플레이부

Claims (18)

  1.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각 변속 패턴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 답입량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변속 패턴 영역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차속 및 차속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변속 패턴 영역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에서,
    상기 변속 패턴 영역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변속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변화량 보다 크고, 상기 차속이 기 설정된 값 보다 작으면 제1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2 변화량 보다 작고, 상기 차속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차속 변화량 보다 크면 제2 영역으로 구분하며,
    상기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3 변화량 보다 작고, 상기 차속의 변화량의 절대값이 기 설정된 제2 차속 변화량 보다 작으면 제3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분된 각 변속 패턴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가능성의 크기는 기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변화량 보다 크고, 상기 차속이 기 설정된 값 보다 작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및 상기 구분된 변속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변속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시간을 기 설정된 제1 시간 및 제2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1 시간보다 작으면 제1 가능성으로 구분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1 시간보다 크고 상기 제2 시간보다 작으면 제2 가능성으로 구분하며,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2 시간보다 크면 제3 가능성으로 구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2 변화량 보다 작고, 상기 차속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차속 변화량 보다 큰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 및 상기 구분된 변속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변속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시간을 기 설정된 제3 시간 및 제4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3 시간보다 작으면 제1 가능성으로 구분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3 시간보다 크고 제4 시간보다 작으면 제2 가능성으로 구분하며,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4 시간보다 크면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3 변화량 보다 작고, 상기 차속의 변화량의 절대값이 기 설정된 제2 차속 변화량 보다 작은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제1 가능성, 제2 가능성 및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및 상기 구분된 변속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변속 시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시간을 기 설정된 제5 시간 및 제6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5 시간보다 작으면 제1 가능성으로 구분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5 시간보다 크고 상기 제6 시간보다 작으면 제2 가능성으로 구분하며, 상기 산출된 시간이 제6 시간보다 크면 제3 가능성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3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1 토크 보다 크되, 상기 제1 토크 보다 큰 시간이 제1 일정 시간 유지되면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되도록 하고, 상기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2 토크 이하면 상기 엔진이 오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2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3 토크 이상이면, 상기 차량의 엔진이 즉시 온되도록 하고, 상기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4 토크 이하면 상기 엔진이 오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이 제1 가능성으로 구분된 경우,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5 토크 보다 크되, 상기 제5 토크 보다 큰 시간이 제2 일정 시간 유지되면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되도록 하고, 상기 운전자의 요구 토크가 기 설정된 제6 토크 이하면 상기 엔진이 오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일정 시간은 상기 제1 일정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토크, 상기 제2 토크, 상기 제3 토크, 상기 제4 토크, 상기 제5 토크 및 상기 제6 토크에서, 각 토크별 크기는 기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 엔진의 온 또는 오프가 제어되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 엔진의 온 또는 오프가 제어되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조기 온 되는지 또는 지연 온 되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16.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차량의 변속 패턴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변속 패턴 영역에서 상기 차량의 변속 가능성을 도출하는 변속 제어기(TCU: Transmission Control Unit); 및
    상기 변속 제어기에서 도출된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 온 전략을 도출하고, 도출된 엔진 온 전략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Hybrid Control Unit)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 답입량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 답입량에 기반하여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 답입량의 변화량, 차속 및 차속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더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시스템.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기 및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기의 협조 제어를 통해 변속 가능성에 기반하여 차량의 엔진 온 또는 오프가 수행되는 것을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시스템.
KR1020190079900A 2019-07-03 2019-07-03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2659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900A KR102659242B1 (ko) 2019-07-03 2019-07-03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16/684,467 US11370409B2 (en) 2019-07-03 2019-11-14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gine on of hybrid vehicle
CN201911213002.8A CN112172783A (zh) 2019-07-03 2019-12-02 用于控制混合动力车辆的发动机启动的方法和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900A KR102659242B1 (ko) 2019-07-03 2019-07-03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337A KR20210005337A (ko) 2021-01-14
KR102659242B1 true KR102659242B1 (ko) 2024-04-19

Family

ID=7391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900A KR102659242B1 (ko) 2019-07-03 2019-07-03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70409B2 (ko)
KR (1) KR102659242B1 (ko)
CN (1) CN11217278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0729A1 (ja) 2013-09-20 2015-03-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5093491A (ja) 2013-11-08 2015-05-1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及び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方法
KR101684168B1 (ko) * 2015-09-10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모드 변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4831A (en) * 1998-04-01 1999-11-16 Eaton Corporation Adaptive upshift jaw clutch engagement control
JP4466514B2 (ja) * 2005-09-08 2010-05-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4530005B2 (ja) * 2007-07-20 2010-08-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KR101481335B1 (ko) 2013-11-20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KR102659047B1 (ko) * 2016-12-16 2024-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모드 전환 제어 방법
KR102331762B1 (ko) * 2017-06-08 2021-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변속 패턴 제어 방법
KR102531298B1 (ko) * 2017-12-21 2023-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7172689B2 (ja) * 2019-02-08 2022-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0729A1 (ja) 2013-09-20 2015-03-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5093491A (ja) 2013-11-08 2015-05-1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及び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方法
KR101684168B1 (ko) * 2015-09-10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모드 변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337A (ko) 2021-01-14
US20210003211A1 (en) 2021-01-07
CN112172783A (zh) 2021-01-05
US11370409B2 (en)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7427B2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engine start
US11590974B2 (en) Method for assisting a driver in the driving of a motor vehicle
CN108016427B (zh) 混合动力车辆和控制变速器的方法
CN109466537B (zh) 车辆和用于控制车辆的方法
JP602024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制御装置
US919959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EP3406498B1 (en) Hybrid vehicle
US10106144B2 (en) Vehicle comprising a vehicle system controller for controlling energy flows within the vehicle
EP2548779A2 (en) Control unit for hybrid vehicle
US11235770B2 (en) Regenerative brake method of vehicle
JP2018050388A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KR10265924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10759414B2 (en) Driving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KR10241753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연료 소모율 결정 방법
CN115214613A (zh) 混动车辆并联驱动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453377B2 (en) Braking force control apparatus
JP2006275175A (ja)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JP2010206927A (ja) 電動車両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電動車両用駆動装置
CN112622873A (zh) 混合动力车辆及控制其变速的方法以及记录介质
US20180057014A1 (en) Controller for vehicl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6773547B2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の制御装置
US20220379731A1 (en) Vehicle Equipped with Electric Mo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veling of Same
KR101694090B1 (ko) 비 구동 소모연료 저감 방법을 수행하는 컨트롤러 및 하이브리드 차량
JP5310105B2 (ja) 電動車両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電動車両用駆動装置
EP3083355A1 (en) Vehicle comprising a vehicle system controller for controlling energy flows within the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