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261B1 -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261B1
KR102658261B1 KR1020220072085A KR20220072085A KR102658261B1 KR 102658261 B1 KR102658261 B1 KR 102658261B1 KR 1020220072085 A KR1020220072085 A KR 1020220072085A KR 20220072085 A KR20220072085 A KR 20220072085A KR 102658261 B1 KR102658261 B1 KR 102658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flow guide
aerosol generating
guide device
generating device
porous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9122A (ko
Inventor
정승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ublication of KR2023005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실시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을 복수의 배출 경로로 안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인 기류 가이드 장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과, 관통홀과 연통되며 양단부가 개방된 원호 형태의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AIR FLOW GUIDING DEVICE OF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USING SAME}
실시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을 복수의 배출 경로로 안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담배는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에 채워진 니코틴을 포함하는 용액을 에어로졸 또는 기체 상태(무화 상태)로 만들어 흡입할 수 있도록 만든 전자기기를 말한다.
이와 같은 전자담배는 일반 담배를 대신하여 흡연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 타르와 같은 유해 성분이 포함되지 않아 담배로부터 유발되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흡연의 간접적 피해를 유발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사용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전자담배는 실내에서 흡연이 가능하고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담배의 피해를 방지하면서 담배를 피우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담배의 맛에 과일 등과 같은 다른 향을 추가하여 다양한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전자담배의 출시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자담배는, 액상 니코틴이 수용된 무화기를 배터리부에 결합하면 무화기의 가열체가 발열하면서 액상 니코틴을 기화시키는 연무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전자담배는, 가열체가 액상 니코틴을 흡수하는 심지와 이 심지를 가열하는 코일로 이루어지므로, 장시간 사용하면 심지가 탄화되면서 연무의 맛과 향이 변화되고, 발열 면적이 작아 연무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실시예는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을 배출 경로로 안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인 기류 가이드 장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과, 관통홀과 연통되며 양단부가 개방된 원호 형태의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또한, 기류 가이드 장치는 복수의 서브 기류 가이드부들로 구성되며, 복수의 서브 기류 가이드부들은 관통홀 주위에 형성되며, 복수의 서브 기류 가이드부들 각각은 상이한 반지름을 지니며, 원호 형태의 홈들이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서브 기류 가이드부들 각각의 홈들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관통홀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로졸 형성 장치는 기류 가이드 장치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며 하측면이 개방된 수용 공간이 형성된 카트리지와, 수용 공간의 하측면에 위치되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접촉하는 제 1 면을 지니는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와,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와 카트리지 사이에 위치되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누액을 방지하는 실링 부재와,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의 제 1 면 이외의 제 2 면에 장착되는 가열부를 구비하고, 기류 가이드 장치와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 사이에 가열부가 배치되고, 기류 가이드 장치의 홈들은 가열부를 향하는 방향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부는 기류 가이드부의 돌출부들 중의 일부분 상측면에 안착되되 복수의 홈들 중의 일부분의 상측면 또는 내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선부와, 돌출부 중의 일부분의 상측에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기류 가이드 장치가 안착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단부와 카트리지의 외측면을 연결하며 기류 가이드 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기류 가이드 장치를 둘러 감싸는 외측 케이스를 구비하고, 외측 케이스와 기류 가이드 장치의 측면과 카트리지의 하측면 및 본체부의 상측면에 의해 연결 통로가 형성되며, 연결 통로는 복수의 홈들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트리지는 연결 통로에 연통되며 상측이 외부 공간으로 개방된 배출 통로를 구비하고, 본체부는 외부 공간과 연통되며 기류 가이드 장치의 관통홀에 연통되는 유입 통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의 기공 직경은 10㎛ ~ 100㎛의 범위에 속하며,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의 기공률은 30% ~ 60%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류 가이드 장치의 홈들의 원호 중심은 배출 통로의 하측이나 하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는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의 무화면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다수의 기류 통로들인 홈들을 통하여 이송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신속하면서 다량의 에어로졸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부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방에서 바라본 세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방에서 바라본 세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면선(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단면선(B-B')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액상이나 겔 상태의 물질로, 예를 들면, 니코틴, 약액, VG, PG, 가향제, 건강식품(홍삼, 도라지액)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부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방에서 바라본 세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상방에서 바라본 세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면선(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단면선(B-B')에 따른 단면도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액상이나 겔 상태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S)과, 일 방향(예를 들면, 상하 방향,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와 연통되며 수용 공간(S)과 분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 통로(12)를 구비하는 카트리지(10)와, 수용 공간(S)의 하측면 또는 저면에 위치되거나 장착되며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접촉하는 적어도 제 1 면(22a)을 지니는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와, 환형이나 튜브 형태로,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와 카트리지(10) 사이에 장착되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누액을 방지하는 실링 부재(30)와,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의 제 1 면(22a) 이외의 제 2 면(22b)에 장착되는 가열부(40)와, 가열부(40)의 하측에 접촉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가열부(40)를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52)이 형성되며, 가열부(40)를 향하는 방향과 양 단부가 개방되며 관통홀(52)과 연통되는 원호 형태의 복수의 홈들(53)이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돌출부들(54)을 구비하는 기류 가이드부(50)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61)을 구비하고, 기류 가이드부(5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기류 가이드부(50)를 둘러 감싸며 복수의 홈들(53) 중의 어느 하나와 배출 통로(12)를 연통시키는 외측 케이스(60)와, 상측면에 기류 가이드부(50)가 안착되며 외측 케이스(60)의 중공(61)에 삽입 장착되며 내부 공간에 가열부(40)로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구비하는 본체부(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세하게는, 카트리지(10)는 입체 형상인 수용 공간(S)의 개방된 하측면을 제외한 다른 내측면들(14)을 형성하며, 수용 공간(S)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 통로(12)를 구비한다. 배출 통로(12)의 상측은 외부 공간으로 개방되며, 배출 통로(12)는 외부 공간과 연통된다. 카트리지(10)의 수용 공간(S) 내에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가 삽입되되, 실링 부재(30)가 카트리지(10)의 내측면(14)과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의 측면(22c) 사이에 위치된다.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는 질화알루미늄(AlN), 질화규소(Si3N4), 탄화규소(SiC), 탄화지르코늄(ZrC), 탄화텅스텐(WC), 알루미나(Al2O3), 코디어라이트(Cordierite), 뮬라이트(Mullite), 마그네슘 실리케이트(Mg2SiO4)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의 기공 직경은 10㎛ ~ 100㎛의 범위에 속하며,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의 기공률은 30% ~ 60%의 범위에 속한다.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의 두께는 1.5mm~2.5mm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의 원재료의 형태는 파우더 혹은 비드(Beads)로 구성되며, 원재료가 소결되어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가 제조된다. 여기서, 원재료가 비드인 경우, 그 비드의 직경은 75~150㎛의 범위에 속한다.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의 제 1 면(22a)에 인접하는 측면들(22c)에는 실링 부재(30)의 일부분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23)이 형성되며,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의 제 2 면(22b)에는 기류 가이드부(50)의 가장 자리의 고정을 위한 복수개의 제 1 홈들(24)과, 기류 가이드부(50)의 중심 영역의 고정을 위한 복수개의 제 2 홈들(26)이 형성된다.
가열부(40)는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에 부착되거나 장착되며, 기류 가이드부(50)의 홈들(53) 중의 일부분 상측면이나 내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선부(42)와, 열선부(42)에는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의 제 1 및 제 2 홈들(24), (26)에 대응하는 형상을 지니거나, 기류 가이드부(50)의 관통홀(52)에 대응하는 형상을 지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부(44)을 구비한다. 특히, 기류 가이드부(50)의 관통홀(5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의 제 2 면(22b)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될 수도 있다. 관통부(44)의 일부분은 돌출부(54)의 상측에 형성된다.
가열부(40)는 열선부(42)와 제어 장치 간의 전기적 배선들(미도시)을 구비한다.
열선부(42)는 금속 열선, 열판, 가열 필름 형태 등을 구성하는 복수의 가열선들로 구성된다.
기류 가이드부(50)는 입체 형상의 베이스(51)와, 베이스(51)의 상측면 가장 자리에 제 1 홈들(24)에 삽입되도록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고정부(56a)와, 베이스(51)의 상측면의 중심 영역에 가열부(40)의 관통홀들(44)을 관통하여 제 2 홈들(26)에 삽입되도록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고정부(56b)를 구비한다. 복수의 고정부들(56a, 56b)은 관통홀(52)에 대하여 대칭적이다. 제 1 및 제 2 고정부(56b)는 돌출부(54)보다 높게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고정부(56b) 각각이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의 제 1 및 제 2 홈들(24, 26) 각각에 삽입되어 가열부(40)와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다. 또한, 열선부(42)의 일부분은 돌출부(54)와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의 제 2 면(22b)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및 제 2 고정부(56b) 각각이 제 1 및 제 2 홈들(24, 26)에 삽입 결합될 때, 열선부(42)가 고정되며 제 2 면(22b)에 밀착될 수 있다.
기류 가이드부(50)는 베이스(51)의 상측면에 외부에 중심(원호의 중심)을 지니는 원호 형태의 복수의 홈(53)과 돌출부(54)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가이드부들(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브 가이드부들(58) 각각의 홈(53)과 돌출부(54)의 원호의 중심은 배출 통로(12) 하방이나 하측에 위치된다.
서브 가이드부들(58) 사이에는 제 2 고정부(56b) 또는 격벽(57)들이 형성되며, 서브 가이드부들(58) 각각의 그 중심에서 가장 먼 홈(53)은 관통홀(52)과 연통된다. 격벽(57)들은 돌출부(54)와 동일한 높이이다. 홈(53)의 양단부는 개방되어서, 에어로졸이 외측 케이스(60) 방향으로 배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 가이드부들(58) 각각의 홈들(53)은 원의 1/4 원호 형태이나, 원의 1/N(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임) 원호의 형태를 지닐 수 있다.
기류 가이드부(50)는 내열성 소재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Peek, 실리콘, Rubber, LCP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된다.
기류 가이드부(50)는 본체부(70)의 상측면에 안착되되, 본체부(70)의 외부 공기의 유입 통로(또는 기류 패스)(72)와 관통홀(52)이 서로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류 가이드부(50)는 직육면체 형상의 베이스(51)의 상측면의 각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는 4개의 서브 가이드부들(58)이 관통홀(52) 주위에 형성되며, 각 서브 가이드부(58)에는 양단부가 개방되며 상이한 반지름을 지니며, 곡선 형태 또는 원호 형태의 홈들(53)이 돌출부(54)를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각 서브 가이드부들(58)의 홈들(53)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관통홀(52)과 연통된다.
외측 케이스(60)는 카트리지(10)의 외측면(16)과 본체부(70)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기류 가이드부(50)의 측면(50a)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기류 가이드부(50)를 둘러 감싸도록 장착된다. 외측 케이스(60)와 기류 가이드부(50)의 측면(50a)과 카트리지(10)의 하측면 및 본체부(70)의 상측면에 의해 연통 통로(62)가 형성되며, 연결 통로(62)는 배출 통로(12)와 연통된다. 즉, 연결 통로(62)는 홈들(53)과 배출 통로(12)를 서로 연통시킨다.
카트리지(10)와 외측 케이스(60)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70)는 외측 케이스(60)와 카트리지(10)를 지지하며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과, 수용 공간의 내부에 제어 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외부 공간으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입 통로(72)를 구비한다.
외측 케이스(60)는 본체부(7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카트리지(10)와 외측 케이스(60) 및 본체부(70)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서의 에어로졸의 배출 과정이 설명된다. 점선 화살표는 기류를 나타낸다. 도 5에서, 본체(70)는 설명을 위해서 그 도시가 생략되었다.
제어 장치는 전원을 가열부(40)에 인가하고, 가열부(40)가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의 제 1 면(흡습면)(22a)을 통하여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흡습되어 제 2 면(무화면)(22b)으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내부의 기공들을 통하여 이송된다. 가열부(40)의 가열 동작에 의한 열 에너지가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에 전달되거나 확산되어, 제 2 면(22b)에서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사용자가 배출 통로(12)를 통하여 또는 배출 통로(12)에 연결된 마우스 피스나 필터 등을 통하여 흡입을 하게 되면, 유입 통로(72)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관통홀(52)을 통하여 기류 가이드부(50)의 홈들(53)을 통하여 이송되면서, 홈들(53) 상측의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2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함께 배출되면서, 연결 통로(62)와 배출 통로(12)를 통하여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홈(53)과 돌출부(54)는 원호 형상이나, 직선 형태, 대각선 형태 등의 다양한 도형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카트리지 20: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
30: 실링 부재 40: 가열부
50: 기류 가이드부

Claims (8)

  1. 베이스와;
    베이스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과;
    관통홀과 연통되며 양단부가 개방된 원호 형태의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기류 가이드 장치는 복수의 서브 기류 가이드부들로 구성되며,
    복수의 서브 기류 가이드부들은 관통홀 주위에 형성되며,
    복수의 서브 기류 가이드부들 각각은 상이한 반지름을 지니며, 원호 형태의 홈들이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서브 기류 가이드부들 각각의 홈들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관통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기류 가이드 장치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며 하측면이 개방된 수용 공간이 형성된 카트리지와;
    수용 공간의 하측면에 위치되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접촉하는 제 1 면을 지니는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와;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와 카트리지 사이에 위치되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누액을 방지하는 실링 부재와;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의 제 1 면 이외의 제 2 면에 장착되는 가열부를 구비하고,
    기류 가이드 장치와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 사이에 가열부가 배치되고,
    기류 가이드 장치의 홈들은 가열부를 향하는 방향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가열부는 기류 가이드부의 돌출부들 중의 일부분 상측면에 안착되되 복수의 홈들 중의 일부분의 상측면 또는 내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선부와, 돌출부 중의 일부분의 상측에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기류 가이드 장치가 안착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단부와 카트리지의 외측면을 연결하며 기류 가이드 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기류 가이드 장치를 둘러 감싸는 외측 케이스를 구비하고,
    외측 케이스와 기류 가이드 장치의 측면과 카트리지의 하측면 및 본체부의 상측면에 의해 연결 통로가 형성되며, 연결 통로는 복수의 홈들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연결 통로에 연통되며 상측이 외부 공간으로 개방된 배출 통로를 구비하고,
    본체부는 외부 공간과 연통되며 기류 가이드 장치의 관통홀에 연통되는 유입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의 기공 직경은 10㎛ ~ 100㎛의 범위에 속하며, 다공성 세라믹 흡습체의 기공률은 30% ~ 60%의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기류 가이드 장치의 홈들의 원호 중심은 배출 통로의 하측이나 하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0220072085A 2021-10-25 2022-06-14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658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744 2021-10-25
KR20210142744 2021-10-25
KR1020210148024 2021-11-01
KR20210148024 2021-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122A KR20230059122A (ko) 2023-05-03
KR102658261B1 true KR102658261B1 (ko) 2024-04-18

Family

ID=8638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085A KR102658261B1 (ko) 2021-10-25 2022-06-14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2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008531U (zh) 2019-04-01 2020-02-04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加热组件、雾化器及电子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4071B (zh) * 2014-12-15 2019-10-1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系統及用於在電熱式氣溶膠產生系統內導引氣流的方法
KR20190051787A (ko)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563349B1 (ko) * 2020-09-24 2023-08-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008531U (zh) 2019-04-01 2020-02-04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加热组件、雾化器及电子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122A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0160B2 (ja) 電子タバコ用霧化コア及びアトマイザー
US11707091B2 (en) Atomizing nozzle and electronic atomizing inhaler
KR20170095188A (ko) 전기 가열식 흡연 시스템용의 분할형 기류 시스템 및 전기 가열식 흡연 시스템 내부 기류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
KR102658261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WO2021018215A1 (zh) 雾化器及电子烟
KR20230076058A (ko) 세라믹 히터를 구비하는 액상 카트리지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647541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647540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40045462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30171651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JP2023535747A (ja) 霧化コア、アトマイザー及び電子霧化装置
KR20230174823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40029154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카트리지 디바이스
KR20240029155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카트리지 디바이스
KR20230153204A (ko) 흡연 물품 및 이를 가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40009615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40029257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30142130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세라믹 무화기
WO2024050719A1 (zh) 一种发热组件、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KR20240029197A (ko) 다공성 세라믹 시트가 부착된 세라믹 무화기
CN214962631U (zh) 雾化装置
KR20230151250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WO2023204626A1 (ko) 흡연 물품 및 이를 가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40029256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CN220000845U (zh) 滤嘴组件及气溶胶生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