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001B1 - 식물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001B1
KR102658001B1 KR1020200181110A KR20200181110A KR102658001B1 KR 102658001 B1 KR102658001 B1 KR 102658001B1 KR 1020200181110 A KR1020200181110 A KR 1020200181110A KR 20200181110 A KR20200181110 A KR 20200181110A KR 102658001 B1 KR102658001 B1 KR 102658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ter
unit
cultiva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0166A (ko
Inventor
유임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001B1/ko
Priority to US17/559,481 priority patent/US20220192107A1/en
Priority to EP21217053.4A priority patent/EP4018817A1/en
Publication of KR20220090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식물 재배 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캐비닛, 베드, 재배부, 커버유로부 및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드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재배부는 상기 베드에 안착되고, 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는 배지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커버유로부는 재배부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유로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유로부에 물을 공급하며,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재배부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배지로 안내된다.

Description

식물 재배 장치{PLANT CULTIV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배부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광 에너지, 수분, 토양, 온도를 인공적으로 공급하여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반적인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구비하는 소정의 재배공간을 형성하고, 소정의 재배공간 내부에서 식물을 재배 및 보관한다.
또한, 식물 재배 장치에는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 및 양분을 공급하는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식물 재배 장치에는 인공적으로 광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식물은 외부 태양에 의해 조사되는 빛을 제공받지 않고 식물 재배 장치 내에서 재배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식물의 재배단계과정에서 주기적으로 수분 또는 양분을 공급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되는 식물은 식물 재배 장치에서 공급되는 양분, 수분 및 광 에너지를 공급받아 성장할 수 있다.
한편, 식물을 재배하는 방식은 양분 및 수분을 식물에 공급하는 토양에 식물을 심어 재배하는 토경재배방식과, 토양을 이용하지 않고 대신에 물에 생육에 필요한 무기양분을 녹인 배양액을 공급하며 식물을 재배하는 수경재배방식으로 구분된다.
한편, 토양에는 식물 식물에 악영향을 주는 생물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수경재배방식은 토양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식물은 생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아 토경재배방식보다 위생적일 수 있다.
또한, 수경재배방식은 날씨나 계절에 상관없이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므로, 토경재배방식보다 유리한 생육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식물에 공급되는 양분, 수분, 광 에너지 등을 인공적으로 공급하는 식물 재배 장치가 실내에서 사용되기 위해선는 토양을 사용하는 토경재배방식보다 수경재배방식이 더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수경재배방식 중 담액식 수경재배(Water Culture) 방식은 식물이 뿌리가 배양액 속에 담기고, 배양액 상부에는 식물의 줄기 및 잎이 성장되도록 재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한국 특허공개특허공보 10-2012-0060087호에는 식물에 필요한 수분을 식물의 하부로 공급하는 담액식 수경재배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 특허공개특허공보 10-2012-0060087호의 식물 재배 장치는 담액식 수경재배방식으로 식물을 재배함으로써, 배양액을 하부로만 공급하여 배양액의 수위에 따라 식물의 발아율이 일정치 못하거나, 식물의 생육이 불량한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식물을 수확할 때 배양액이 사용자에게 노출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특허공보 10-2012-0138947호에는 식물에 필요한 수분이 하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수분이 식물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균등하게 유지하기 위한 식물 재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 특허공개특허공보 10-2012-0138947호의 식물 재배 장치 또한 식물의 뿌리가 항상 배양액 속에 담겨 있어, 식물의 발아율 및 생육이 불량이 초래된다.
따라서, 담액식 수경재배방식(이하, 하부급수방식)에 따른 재배과정에서도, 식물의 발아율을 높이고, 식물의 생육의 불량률을 낮추는 식물 재배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 본 기술분야에서 중요한 과제가 된다.
특허문헌1: 한국 특허공개특허공보 10-2012-0060087A (2012.06.11.) 특허문헌2: 한국 특허공개특허공보 10-2012-0138947A (2012.12.2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배부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고, 배지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는 상부급수방식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지에 균일한 수분 공급을 통하여, 식물의 발아율을 증가시키고, 생장의 불량율을 감소시키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식물이 내장되는 배지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여, 뿌리의 원활한 호흡 및 양분 흡수를 가능하게 마련되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식물의 씨에 충분한 수분에 제공하여 식물의 발아율을 증가시키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물 수확시 재배부 내부에 저장된 물이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부급수모드를 통하여, 재배부 내부에서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비닛, 베드, 재배부, 커버유로부 및 급수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드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재배부는 상기 베드에 안착되고, 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는 배지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재배부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유로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유로부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재배부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배지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상기 재배부는 재배용기 및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재배용기는 상기 베드에 안착될 수 있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재배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배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배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배지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배지수용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배지수용부는 상기 커버유로부로부터 상기 배지로 물을 제공하기 위한 제1유입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부는 제1커버유로 및 제2커버유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커버유로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커버유로는 상기 제1커버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배지 및 배지수용부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배지수용부는 상기 제1커버유로와 상기 제2커버유로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 중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지수용부는 상기 커버유로부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유로부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배지수용부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배지수용부를 둘러싸며 마련될 있고, 상기 제1유입홀은 상기 배지수용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지는 상기 배지수용부의 내측면과 접촉되며 배지의 상단부가 상기 배지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1유입홀은 배지수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커버유로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제1유입홀은 상기 커버유로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배지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홀은 상기 커버유로부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커버유로부에 수용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부의 측벽은 상기 배지수용부와 마주하는 부분이 상기 배지수용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재배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제2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지수용부는 상면이 관통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식물이 성장하며 통과되는 커버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유입홀의 높이는 상기 커버관통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커버유로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커버관통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부는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유입홀은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지수용부보다 상기 급수부에 가깝게 위치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부의 상기 제2유입홀의 높이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커버유로부로 물이 토출되는 토출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토출홀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토출홀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공급되는 커버집수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커버집수부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커버집수부는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재배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표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지부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상기 커버집수부가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커버집수부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커버유로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상기 재배용기는 내부의 물이 상기 베드로 배출되는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드는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 물이 상기 급수부로 회수되는 배출유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버유로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유로부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출유로부는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 물이 상기 저장부로 회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배부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고, 배지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는 상부급수방식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지에 균일한 수분 공급을 통하여, 식물의 발아율을 증가시키고, 생장의 불량율을 감소시키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식물이 내장되는 배지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여, 뿌리의 원활한 호흡 및 양분 흡수를 가능하게 마련되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식물의 씨앗에 충분한 수분에 제공하여 식물의 발아율을 증가시키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물 수확시 재배부 내부에 저장된 물이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부급수모드를 통하여, 재배부 내부에서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금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베드와 재배부의 일 실시예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베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베드와 재배부의 다른 실시예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부에 물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급수부의 내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베드와 배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에서 도어(20)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는 내부에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공간(S1)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재배되는 상기 식물은 통상적으로 쌈 또는 샐러드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엽채, 허브 등과 같이 사용자가 취식 가능하고 재배가 용이하며,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식물들이 재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재배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재배공간(S1)을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면 원기둥, 구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개방된 일면을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방된 개구부가 향하는 방향은 전방으로 설명한다.
상기 도어는 적어도 일부가 투시 가능한 도어패널부(2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부(23)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가 투시가 가능한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재배공간(S1)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재배공간(S1) 내부로부터 상기 식물의 생육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패널부(23)는 색상을 가지거나 유색의 코팅, 금속 증착 또는 필름이 부착될 수 있고, 외부에서 상기 재배공간(S1)이 육안으로 선택적으로 보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는 둘레를 형성하며 중앙부가 개구되는 도어프레임(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패널부(23)는 상기 도어프레임(22)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과 마주하는 상기 도어프레임(22)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프레임(22)의 개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도어실링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가 닫히면, 상기 도어실링부재(24)는 상기 캐비닛(10)과 접촉하고, 상기 재배공간(S1)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실링부재(24)는 상기 도어(20)를 닫힐 때 상기 도어(20)가 상기 캐비닛(10)에 가하는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어, 식물 재배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실링부재(24)는 상기 재배공간(S1)과 캐비닛(10) 외부의 공기 유동을 차단하여, 상기 재배공간(S1)의 온도 및 습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은 단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재배공간(S1)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프레임(22)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캐비닛(10)과 결합되는 도어결합부(2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프레임(22)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결합부(21)는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결합부(21)를 통하여,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재배공간(S1)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프레임(22)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20)의 회전 조작을 위한 도어핸들(25)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하부 캐비닛(19)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캐비닛(1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기를 유입하여 상기 재배공간(S1)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공기조절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베드(50)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 하 두개의 베드(50)가 구비되며,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각각 상부 베드(50)와 하부 베드(50)라 부를 수 있다. 물론, 상기 베드(50)는 상기 캐비닛(10)의 크기에 따라서 2개 이상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드(50)는 식물의 씨앗과 재배에 필요한 양분이 포함된 재배부(60)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베드(5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드(50)는 선반 또는 트레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재배부(60)는 다양한 종류의 씨앗과 그에 적합한 양분이 적합하게 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재배를 원하는 제품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50)는 상기 재배부(60)의 안착 및 안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드(50)에는 급수부(40)에서 공급되는 물이 이동되는 배출유로부(4911, 4913)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50)는 상기 재배부(60)에 상시 수분을 공급 가능하도록 적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베드와 재배부의 일 실시예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에서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베드(50), 급수부(40), 재배부(60)가 도시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베드(50)와, 상기 베드에 안착되고, 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는 배지(64)가 내부에 수용되는 재배부(60)와,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드(50)에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64)는 식물의 종자가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식물의 뿌리가 상기 배지를 관통하여 양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급수부(40)는 후술되는 저장부(43), 공급펌프부(44), 유량센서(45), 분기밸브(46), 연결유로(47)가 내부에 구비되는 급수케이스(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3)는 상기 식물이 필요한 물을 상기 재배부(60)로 공급하고, 상기 식물에 필요한 물이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재배부(60)로부터 회수된 물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에서 캐비닛(10)의 후면에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비단 상기 캐비닛(10)의 후면뿐만 아니라, 상기 캐비닛 내부의 빈공간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식물 재배 장치(1)의 상태 등이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 등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식물 재배 장치(1)에 관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케이스(42)는 상기 베드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캐비닛(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급수케이스(42)로 인해 상기 저장부(43), 공급펌프부(44), 유량센서(45), 분기밸브(46), 연결유로(47)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상기 급수부(4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관이 깔끔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배부(60)는 상기 베드에 안착되어 후술되는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를 통하여 상기 급수부(40)로부터 양액(이하, 물)이 공급될 수 있고, 상기 물이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43)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부(60)는 상기 베드(50)의 상부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복수 개의 재배부(60)는 각각 다른 종류의 식물을 포함할 수 있어, 상기 재배공간(S1)에서는 각각 다른 종류의 식물이 재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재배부(60)는 다양한 종류의 씨앗과 그에 적합한 양분이 적합하게 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재배를 원하는 제품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부(60)는 상기 베드(50)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베드(50)에 안착될 수 있어, 사용자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외부에서 상기 식물의 씨앗이 내장된 배지(64)를 상기 재배부(60)에 수용시키고, 상기 캐비닛(10)이 개구된 일측에서 상기 재배부(60)를 상기 베드(50)로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의 성장이 완료되어 수확시기가 되면, 상기 재배부(60)를 상기 베드(50)에서 분리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외부에서 상기 재배부(60)의 식물을 용이하게 수확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부(6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재배부(60)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재배공간(S1)에서 상기 도어(2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부(60)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베드(50)상에서 어떠한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배부(60)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연장되는 방향과 경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상기 베드(50)에 안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재배부(60)가 연장되는 방향을 제1방향, 인 상기 재배부(60)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방향과 경사되는 방향을 제2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상기 베드(50)는 상기 캐비닛(10)을 구획하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인출입 가이드에 인출입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드(50)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공급부(41)를 통해 물이 공급받도록 마련되는 베드집수부(5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집수부(524)는 상기 베드 내부에 구비되는 배출유로부(4911, 4913)와 연결되어 상기 베드집수부(524)로 공급된 물은 상기 재배부(60)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41)는 상기 상부 베드(50)의 베드집수부(524)까지 연장되는 제1공급유로부(411)와 상기 하부 베드(50)의 베드집수부(524)까지 연장되는 제2공급유로부(412)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 상기 상부 베드(50) 및 상기 하부 베드(50)에 급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41)는 상기 베드집수부(524)와 대응되는 위치에 토출홀(413)이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공급유로부(411) 및 상기 제2공급유로부(412)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베드집수부(524)로 직접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4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41)는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유로가 변형되거나 꺽이게 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물 공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베드(50)와 상기 하부 베드(50)로 급수되는 구조는 그 상하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며, 상기 베드집수부(524)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베드(50)에 장착된 재배부(60)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배부(60)는 상기 베드(50)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재배용기(61)와, 상기 재배용기(61)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커버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배용기(61)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베드(50)에 안착되기 위하여 상기 베드(50)의 상면에 마련되는 베드안착부(521)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배용기(61)는 상기 베드안착부(521)에 수용될 있도록 설정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배를 원하는 식물의 상기 재배부(60)를 선택하여, 상기 베드(50)상의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켜 상기 식물의 재배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용기(61)는 재배용기의 바닥면(611)을 포함하며 상기 배지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용기수용부(6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용기수용부(613)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커버부(62)와 결합되는 용기결합부(6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결합부(6151)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의 용이한 억지끼움 결합을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인입되는 결합인입부(6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용기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배지수용공간의 물이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로 배출되는 배출홀(6135)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지수용공간의 물은 상기 배출홀(6135)을 통해 상기 급수부(40)에서 유입되거나, 다시 상기 급수부(40)로 회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홀(6135)은 상기 재배용기(61)의 바닥면(611)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에 마련되는 배출유로부(4911, 491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재배부(60)는 재배용기(61)의 바닥면(611)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홀(6135)로 배출되거나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재배필터부(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재배필터부(66)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은 식물의 생장과정에서 발생되는 상기 배지(64)의 일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식물의 뿌리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은 후술되는 상부급수구조에 따라 발생되는 식물의 줄기 또는 잎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기 재배필터부(66)는 상기 배출홀(6135)을 차폐하도록 마련될 있으며, 상기 배지수용공간에서 생성될 수 있는 이물질이 상기 급수부(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배용기(61)는 내부에 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는 배지(64)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배지(64)는 상기 재배용기(61)가 형성하는 배지수용공간(S2)에 마련되어 상기 재배용기의 바닥면(611)에서 상기 커버부(62)를 향하여 소정의 높이(H3)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배지(64)에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양분이 포함될 수 있고, 별도의 추가적인 성분의 공급 없이 물만 공급되면 식물의 생장이 적정 속도로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64)는 상기 배지(64)의 외관을 형성하는 배지바디(641)와 상기 배지바디의 상단면에 마련되어 식물의 씨앗이 내장되는 배지홀(6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는 상기 배지수용공간(S2)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상기 배지(64)의 내부의 씨앗 또는 뿌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62)는 상기 재배용기(61)의 배지수용공간(S2)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재배용기(61)의 상부가 개방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커버부(62)는 상기 재배용기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재배용기(61)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지수용공간(S2)에는 상기 배지(64)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재배부의 외부의 공기 및 인공적인 광 공급원(미도시)이 조사하는 빛에 노출되면, 상기 물에서 미생물의 번식이 활발해질 수 있어, 상기 식물의 생장에 악영향을 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62)는 상기 재배용기(61)의 배지수용공간(S2)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지수용공간이 재배부(6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2)로 인하여, 상기 배지수용공간(S2) 내부에 저장된 물은 재배부(60)의 상부에 마련되는 인공적인 광 공급원(미도시)이 조사하는 빛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부(60) 외부의 공기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62)로 인하여, 상기 배지(64) 내에서 생장되는 식물의 뿌리가 상기 광 공급원(미도시)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식물의 생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62)는 상기 용기결합부(6151)의 상부에서 상기 용기결합부(6151)의 상면 및 외면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2)는 상기 용기결합부(6151)와 볼트-너트 구조로써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62)는 상기 용기결합부(6151)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커버부(62)는 상기 용기결합부(6151)와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결합인입부(6153)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결합인입부(6153)에 삽입되는 커버결합부(6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62)는 상기 배지(64)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배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배지수용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수용부(623)로 인해, 상기 커버부(62)가 상기 재배용기에 결합되면 상기 배지(64)는 상기 재배용기(61)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2)는 소정의 높이(H2)를 형성하며,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배지수용부(623)는 커버부(62)의 높이(H2)만큼 상기 배지(64)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지수용부(623)는 상기 배지(64)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배지(64)의 위치고정을 위하여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수는 적어도 상기 배지(64)의 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수용부(623)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의 중심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62)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수의 배지수용부(623) 간에 이격된 거리는 재배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배지수용부(623)는 상기 배지(64)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되어 상기 배지(64)의 상단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커버관통홀(6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수용부가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버관통홀(6233) 또한, 상기 커버부(62)의 상면을 관통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식물은 상기 배지홀(643)에 내장된 씨앗이 발아되고, 식물의 줄기는 상기 커버관통홀(6233)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부(62)의 상부를 향하여 생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물의 원활한 생장을 위하여, 상기 커버관통홀(6233)의 직경은 상기 배지홀(64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있다.
즉, 상부에서 상기 재배부(60)를 바라볼 때, 상기 커버관통홀(6233)은 상기 배지홀(643)의 반경방향을 따라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관통홀(6233)의 직경은 재배되는 식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관통홀(6233)의 중심은 상기 배지홀(643)의 중심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식물이 발아되어 생장되며, 상기 배지(64)의 외부로 노출될 때, 상기 커버관통홀(6233)로 인하여 상기 식물에 대한 인지가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배부(60)는 상기 커버부(62)의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배지(64)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상기 식물의 종자명이 기재될 수 있는 표지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지부(63)는 상기 식물의 종자명이 기재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재배공간(S1)에서 생장되는 식물의 종류가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다.
상기 표지부(63)는 상기 커버부(62)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지부(63)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커버부(62)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커버부(62) 중 상기 커버결합부(624)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재배부(60)의 상부에서 상기 재배부(60)를 바라볼 때, 상기 표지부(63)의 상면(633)이 노출되고, 상기 커버결합부(624)를 제외하고 상기 커버부의 상면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지부(63)는 상기 커버관통홀(6233)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되어 상기 커버관통홀(623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표지홀(631)이 마련되어, 상기 배지(6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식물은 상기 표지홀(631)을 통과하여 상기 재배부(60)의 상부를 향하여 생장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조와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재배부(60)를 하부에서 상부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배용기(61)의 용기수용부(613)는 상기 재배용기(61)의 바닥면(611)에 구비되어 상기 재배용기(61)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인입되는 수용함입부(6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함입부(6133)의 측면에는 상기 배출홀(61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6135)은 후술되는 상기 베드(50)에 마련되는 안착접촉부(514)와 접촉되어 상기 배지수용공간(S2) 내의 물이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로 배출되거나, 상기 공급부(41)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안착접촉부(514)는 상기 베드 중 상부에 마련되는 제1베드부(51)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용함입부(6133)의 최상단부의 직경은 상기 안착접촉부(514)의 크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접촉부(514)의 외주면은 상기 배출홀(6135)과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홀(6135)은 상기 수용함입부(6133)의 측면에 복수 개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배지수용공간(S2) 내부로 상기 급수부(40)에서 공급되는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고, 상기 배지수용공간(S2) 외부로 상기 급수부(40)로 배출되는 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재배부(60)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재배용기(61) 및 상기 커버부(62)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가로길이,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세로길이로 정의한다.
상기 재배용기(61)의 바닥면(611)의 가로길이(V1)는 상기 커버부(62)의 가로길이(V3)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바닥면(611)의 세로길이(W1)는 상기 커버부(62)의 세로길이(W3)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재배용기(61) 내부의 배지(64)는 상기 커버부(62)로 인하여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재배용기(61)의 바닥면(611)의 가로길이(V1) 및 상기 바닥면(611)의 세로길이(W1)는 식물 재배 장치의 크기, 내부에서 재배되는 식물, 상기 배지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배지(64)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재배용기(61)의 용기수용부(613)의 내측면의 최외각 가로길이(V2)는 상기 바닥면()의 가로길이(V1)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재배용기(61)의 용기수용부(613)의 내측면의 최외각 세로길이(W2)는 상기 바닥면()의 세로길이(W1)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부(40)에서 상기 재배용기(61)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배지수용공간(S2)의 내부에서 높이 증가속도가 빠르지 않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지(64)에 물을 충분히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인입부(6153)의 가로길이(V1)는 상기 커버결합부(624)의 가로길이(미도시)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커버부(62)가 상기 재배수용공간()을 완벽히 차폐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베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베드(50)는 복수 개로 구비되더라도 장착 위치만 다를 뿐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복수 개의 베드 중 하나의 베드(5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드(50)는 상기 캐비닛(10)을 구획하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인출입 가이드(미도시)에 인출입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드(50)는 전체적으로 물이 급수되고, 상기 베드(5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2베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베드부(52)는 상기 베드(5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베드부(52)의 양측단에는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베드부(52)와 결합되는 제3베드부(53)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베드부(52)의 상부에는 상기 재배용기가 안착되고,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제1베드부(5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베드부(51)는 상기 제2베드부(52)에 안착되어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2베드부(52)에는 베드안착부(521)가 형성되며, 상기 베드안착부(521)에 상기 제1베드부(51)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드안착부(521)는 상기 제1베드부(51)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베드부(51)에 형성되어 상기 재배용기(61)가 안착되는 재배용기안착부(51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재배용기안착부(511)가 포개어 질 수 있도록 상기 재배용기안착부(5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1베드부(51)의 재배용기안착부(511)는 상기 재배용기(6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상기 재배용기(61)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재배용기(61)가 안착되는 공간인 재배용기안착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베드부(52)에는 베드집수부(524)와 상기 베드집수부(524)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유로부(4911, 49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를 통해 상기 재배부(60)로 공급된 물은 상기 재배부(60)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는 상기 베드집수부(524)와 연통될 수 있고, 배출유로부(4911, 4913)는 후술되는 상기 급수부(40)가 포함하는 저장부(43)와 연통되어 상기 재배부(60)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저장부(43)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베드부(51)는 상기 안착접촉부(514)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재배용기안착부(51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안착연통홀(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연통홀(512)은 하부로는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와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부로는 상기 안착접촉부(514)와 마주하여 상기 배출홀(6135)로부터 배출되거나 유입되는 물이 상기 안착연통홀(512)을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드부(51)는 상기 안착연통홀(512)의 둘레를 따라 상기 재배용기안착부(511)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안착돌기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부(513)는 상부로 상기 안착접촉부(514)와 마주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안착접촉부(514)의 하면과 접촉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베드부(51)는 상기 안착연통홀(512)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안착돌기부(513)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탄성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안착접촉부(514)를 가압하여 상부를 향해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재배용기(61)가 상기 재배용기안착부(511)에 안착되면 상기 재배부(60)의 수용함입부(6133)가 상기 안착접촉부(514)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안착접촉부(514)를 하부로 밀어낼 수 있다.
상기 안착접촉부(514)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안착돌기부(513)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에서 이동된 물은 상기 안착연통홀(512)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안착접촉부(514)와 상기 재배용기안착부(511)의 바닥면 사이로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베드와 재배부의 다른 실시예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조와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식물 재배 장치(1)에서 상기 재배부(60)는 상기 베드(50)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재배용기(61)와, 상기 재배용기(61)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커버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부(60)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는 커버유로부(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4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유로부(65)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유로부(65)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로부(65)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커버유로부(65)는 상기 재배부(60)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급수부(40)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배지로 안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40)는 상기 재배부(6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부(41)와, 상기 재배부(60)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고 회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41)는 상기 베드(50)의 베드집수부(524)에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41)는 상기 커버유로부(65)에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41)는 복수의 베드(50) 중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베드(50)의 커버유로부(65)로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유로부(411)와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베드(50)의 커버유로부(65)로 물을 공급하는 제2공급유로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유로부(411)와 상기 제2공급유로부(412)는 독립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재배부(60)를 향하도록 연장 배치되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공급유로부(411)는 상기 저장부(43)와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저장부(43)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상부로 이동되는 통로인 제1공급이동유로(4111)와, 상기 제1공급이동유로(4111)에서 분기되어 상기 복수의 재배부(60)의 커버유로부(65)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1공급분기유로(4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유로부(412)는 상기 저장부(43)와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저장부(43)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상부로 이동되는 통로인 제2공급이동유로(4121)와, 상기 제2공급이동유로(4121)에서 분기되어 상기 복수의 재배부(60)의 커버유로부(65)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2공급분기유로(4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면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부의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측방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조와 중복된 표현을 생략하고 설명한다.
상기 커버유로부(65)는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유로부(65)는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일면이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로부(65)는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일면을 수용하여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지수용부(623)는 상기 커버유로부(65)로부터 상기 배지(64)로 물을 제공하기 위한 제1유입홀(623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홀(6231)은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내부로 노출되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부(41)에서 상기 커버유로부(65)로 공급된 물은 상기 커버유로부(65)에 수용되어 상기 제1유입홀(6231)로 유입되고, 상기 배지(64)로 공급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유로부(65)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커버유로(6551)와 상기 제1커버유로(6551)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2커버유로(65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유로(6551)가 연장되는 방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재배부(60)가 상기 도어(20)를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유로(6553)가 상기 제1커버유로(6551)에서 분기되어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1커버유로(6551)가 연장되는 방향과 경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버유로(6551)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유로(6553)는 상기 제1커버유로(6551)의 일단 또는 타단에서 분기되어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커버유로(6551)의 일단 또는 타단을 제외한 중간지점에서 분기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로부(65)는 상기 커버부(62)의 상면 중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지수용부(623)는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지(64) 및 배지수용부(623)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유로부(65)는 상기 복수의 배지(64)의 위치와 대응되는 복수의 지점을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지수용부(623)는 상기 제1커버유로(6551)와 상기 제2커버유로(6553)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유로부(65)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하여 마련되는 상기 제1유입홀(6231)은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되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커버유로부(65) 내부의 물이 보다 원활하게 상기 배지(64)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지(64)는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내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배지(64)의 상단부가 상기 배지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유입홀(6231)은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커버유로부(65)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커버유로부(65)에 수용된 물을 상기 배지(64)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유입홀(6231)의 일단은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내부를 향해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유입홀(6231)의 타단은 상기 배지(64)의 상단부와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유입홀(6231)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물이 상기 배지(64)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에서 상기 제1유입홀(6231)까지 높이가 낮게 형성될수록 상기 커버유로부(65)에서 상기 제1유입홀(6231)로 물의 유입이 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유입홀(6231)은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과 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커버유로부(65)에 수용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내부를 향해 노출되는 상기 제1유입홀(6231)의 일단은 직경 중 일부가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과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커버유로부(65)에 공급된 물은 상기 공급부(41)로부터 물의 공급이 종료된 후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에 남아있지 않고, 모두 상기 제1유입홀(6231)로 유입되어 상기 배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로부(65)에 공급된 물은 상기 공급부(41)로부터 물의 공급이 종료된 후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에 남아있지 않아 상기 광 에너지 공급원(미도시)과 외기로 노출되는 커버유로부(65) 내부의 물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용기(61)의 바닥면(611)을 기준으로 상기 제1유입홀(6231)의 높이는 상기 배지(64)의 씨앗이 내장된 상기 배지홀의 최하단의 높이와 대응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유입홀(6231)에서 상기 배지(64)로 직접적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커버유로(6551)가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가로길이(l1)는 상기 제2커버유로(6553)가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세로길이(l2)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가로, 세로길이(l1, l2)는 상기 배지(64)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유로(6553)가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유로부(65)의 폭(l3)은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가로, 세로길이(l1, l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커버유로부(65)상을 이동하는 물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수용부(623)는 상기 커버유로부(65)의 측벽()과 소정 거리(l5)를 형성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배지수용부(623)는 상기 커버유로부(65)의 측벽() 사이 상기 소정 거리(l5)는 상기 커버유로부(65)상을 이동하는 물의 유동이 너무 빠르게 형성되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소정 거리(l5)는 상기 커버유로부(65)가 상기 커버부(62)의 상면에서 인입되는 높이,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크기, 상기 커버유로부(65)에 공급되는 물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수용부(623)가 상기 커버유로부(65)의 측벽()은 상기 배지수용부(623)와 마주하는 부분이 상기 배지수용부(62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커버유로부(65)의 측벽()에서 가장 인접한 배지수용부(623)와 마주되는 부분은 상기 배지수용부(623)와 멀어지도록 소정 거리(l4)로 만입되어 상기 배지수용부(623) 사이에서 소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배지수용부(623)를 둘러싸며 이동하는 물은 상기 배지수용부(623)와 상기 커버유로부(65)의 측벽() 사이의 공간에 보다 많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배지수용부(623)와 상기 커버유로부(65)의 측벽()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물은 상기 배지수용부(623)와 접촉되는 시간이 증가되어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제1유입홀(6231)에 유입되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유로부(65)는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부(62)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지수용부(623)보다 상기 급수부(40)에 가깝게 위치되는 제1돌출부(657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돌출부(657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돌출부(6571)와 상기 제2돌출부(6573)는 상기 제1커버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6571)와 상기 제2돌출부(6573)가 상기 일측 및 타측에 마련되므로,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내부를 이동하는 물의 유동속도가 일정하게 유지 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부(65)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재배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제2유입홀(657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유입홀(6575)은 상기 배지수용공간(S2)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물이 상기 제2유입홀(6575)을 통해 상기 배지(64)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로부(65)로 공급된 물은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상면에 마련된 커버관통홀(6233)로 유입되면 상기 식물의 뿌리로 공급되어야 하는 물의 양이 작아지고, 이는 식물의 발육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을 기준으로 상기 제2유입홀(6575)의 높이(H4)는 상기 커버관통홀(6233)의 높이(H2)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로부(65)로 공급된 물이 상기 커버관통홀(6233)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관통홀(6233)의 높이(H2)까지 형성될 수 없도록, 상기 커버유로부(65) 상의 물의 높이()가 상기 제2유입홀(6575)의 높이(H4) 이상이 되면 상기 커버유로부(65) 내부의 물이 상기 제2유입홀(6575)을 통해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커버유로부(65)로 공급된 물이 상기 커버관통홀(6233)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41)에서 상기 커버유로부(65)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지나치게 많을 때, 상기 제2유입홀(6575)을 통해 상기 커버유로부(65)로 공급된 물을 상기 배지수용공간(S2)으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돌출부(6571)는 상기 제2돌출부(6573)보다 상기 급수부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어, 상기 커버유로부(65) 상의 물의 높이()가 상기 제2유입홀(6575)의 높이(H4)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제1돌출부(6571)의 제2유입홀(6575)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상기 제2돌출부(6573)의 제2유입홀(6575)로 배출되는 물의 양보다 많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돌출부(6573)의 존재로 인해 상기 제1돌출부(6571)에서만 상기 배지수용공간(S2)으로 물이 배출되는 것보다 원활하게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6571)는 상기 배지수용부(623)보다 상기 급수부(40)에 가깝게 위치되어, 상기 급수부(40)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커버관통홀(6233)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배지수용부(623)의 제1유입홀(6231)을 통해 물이 배지로 공급될 때, 공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재배부(6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은 상기 커버유로부(65)가 수용할 수 있는 양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에 마련된 제2유입홀(6575)과 상기 배지수용부에 마련된 제1유입홀(6231)을 통해 상기 배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물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부(41)는 상기 커버유로부(65)로 물이 토출되는 토출홀(413)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62)는 상기 토출홀(413)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토출홀(413)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공급되는 커버집수부(6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부(65)는 상기 커버집수부(625)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집수부(625)는 상기 커버유로부(65)가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657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커버집수부(625)는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657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토출홀(413)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집수하여 상기 커버유로부(65)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집수부(625)는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H4)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집수부(625)는 상기 커버유로부(65)와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커버유로부(65)와 연결되는 일단은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과 연속된 일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홀(413)의 높이가 과도하게 높으면 상기 커버집수부(625)로 낙하되는 물이 상기 커버유로부(65)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커버유로부(65)를 향해 경사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커버집수부(625)로 인하여, 상기 커버집수부(625)로 물이 공급되더라도 상기 커버유로부(65)의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상기 커버유로부(65)로 물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돌출부(6573)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커버집수부(625)는 상기 한 쌍의 제2돌출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재배부는 연장되는 방향인 일측과 타측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돌출부(6573)가 상기 제1돌출부(6571)보다 상기 공급부(41)에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되더라도 상기 재배부(60)는 상기 제1돌출부(6571)가 상기 공급부(41)에 더 가깝게 배치되었을 때 보이는 모습과 동일한 모습으로 구비될 수 있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도 8에서 도시된 재배부에 물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조와 중복된 표현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11(a)와 도 11(b)는 상기 커버유로부(65)를 포함하는 재배부(60)가 상기 베드(5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커버유로부(65)로 공급된 물이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로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와 도 11(b)를 통하여, 상기 공급부(41)에서 공급된 커버유로부(65)의 물의 이동경로를 설명한다.
도 1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41)는 상기 커버집수부(625)와 마주하는 토출홀(413)을 통해 상기 커버집수부(625)에 식물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유로부(65)에 공급된 물의 높이는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집수부(625)와 상기 제2유입홀(6575)의 높이(l6)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커버유로부(65)에 공급된 물의 높이가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집수부(625)와 상기 제2유입홀(6575)의 높이(l6) 이상이 되면,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물은 상기 제2유입홀(6575)을 통해 상기 배지수용공간(S2)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배지수용공간(S2)에 유입된 물은 상기 재배용기(61)의 배출홀(6135)을 통하여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유로부(65)에 공급된 물은 상기 제1유입홀(6231)을 통하여 상기 배지(64)의 상단부()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배지수용공간(S2)에서 생성되는 물의 높이는 상기 배지홀(64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식물의 뿌리가 호흡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식물의 발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부(40)에서 상기 재배부(60)로 물 공급이 종료되고, 상기 제1유입홀(6231)을 통해 상기 커버유로부(65)에 수용된 물은 모두 배지(64)로 공급이 완료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유입홀(6231)은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바닥면(653)과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버유로부(65)의 물은 모두 상기 제1유입홀(623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식물의 발육상태에 따라 상기 배지수용공간(S2)에 유입된 물은 상기 재배용기(61)의 배출홀(6135)을 통하여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로 배출되는 것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배지수용공간(S2)에 유입된 물은 상기 재배용기(61)의 배출홀(6135)을 통하여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41)는 상기 베드(50)의 개수에 대응되어 상기 재배용기안착부(511)의 상부에 마련되므로, 상기 재배부(60)에서 생육된 식물의 수확이 종료되거나, 상기 재배부(60)를 상기 베드(50)에 분리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공급부(41)에서 상기 토출홀(413)을 통해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재배용기안착부(511)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안착연통홀(512)을 통해 상기 공급부(41)에서 공급된 물은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로 배출되어 상기 저장부(43)로 회수될 수 있다.
한편,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급수부의 내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조와 중복된 표현을 생략하고 설명한다.
복수의 베드 중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베드(50)와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베드(50) 사이에는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공간(S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41)는 복수의 베드(50) 중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베드(50)의 커버유로부(65)로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유로부(411)와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베드(50)의 커버유로부(65)로 물을 공급하는 제2공급유로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급유로부(411)와 상기 제2공급유로부(412)는 독립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재배부(60)를 향하도록 연장 배치되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공급유로부(411)는 상기 저장부(43)와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저장부(43)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상부로 이동되는 통로인 제1공급이동유로(4111)와, 상기 제1공급이동유로(4111)에서 분기되어 상기 복수의 재배부(60)의 커버유로부(65)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1공급분기유로(4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급유로부(412)는 상기 저장부(43)와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저장부(43)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상부로 이동되는 통로인 제2공급이동유로(4121)와, 상기 제2공급이동유로(4121)에서 분기되어 상기 복수의 재배부(60)의 커버유로부(65)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2공급분기유로(4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부(40)는 상기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43)와, 상기 저장부(43)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43)의 물을 상기 공급부(41)로 압송하도록 구비되는 공급펌프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부(40)는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재배부(60) 내부의 물의 회수하는 배출유로부(4911, 4913)를 포함하는 마련되는 배출부(4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케이스(42)는 상기 하부 베드(5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저장부(43), 공급펌프부(44), 유량센서(45), 분기밸브(46), 연결유로(47)가 내부에 구비될 있다.
상기 급수부(40)는 상기 급수케이스(42), 상기 급수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는 구성들, 그리로 이들 구성과 연결된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3)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43)에 물을 급수하거나 세척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케이스(42)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유로(47)와 공급펌프부(44), 유량센서(45) 및 분기밸브(46)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급펌프부(44)는 상기 공급부(41)로 물을 압송하도록 마련되는 펌프(441)와 펌프(441)를 상기 캐비닛에 지지하는 펌프지지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43)에는 상기 식물에 필요한 양액이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공급펌프부(44)의 펌프(441)와 연결되는 제1연결유로(471)를 통해 상기 공급부(41)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센서(45)는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재배부(60)로 물이 과도하게 공급되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유량센서(45)를 통한 정량 급수로 상기 재배부(6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배부(60)에 식물의 생육 단계별로 최적의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재배부(60)에 과도하게 수분이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재배부(60)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베드(50) 및 상기 재배공간(S1) 내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기밸브(46)는 상기 펌프(441)의 구동시 개방되어 상기 공급부(41)를 향하여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다. 상기 분기밸브(46)는 상기 공급부(41)가 상기 베드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유로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밸브(46)는 상기 제1공급유로부(411)와 연결되는 제3연결유로(475)와, 상기 제2공급유로부(412)와 연결되는 제4연결유로(47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3)와 상기 펌프(441)는 상기 제1연결유로(471)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펌프(441)와 상기 분기밸브(46)는 제2연결유로(47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유로(473)에서 토출된 물은 상기 분기밸브(46)에 의해 상기 제3연결유로(475) 및 상기 제4연결유로(477)로 각각 이동되고, 상기 제1공급유로부(411)와 상기 제2공급유로부(412)에 각각 물이 공급된다.
즉, 상기 펌프(44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저장부(43)의 물이 상기 분기밸브(46)를 지나 상기 재배부(60) 또는 상기 베드(5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부(40)는 상기 재배부(60)에서 배출되는 물이 회수되어 상기 저장부(43)로 회수되도록 마련되는 상기 배출부(4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49)는 상기 저장부(43)와 연결되는 배출회수유로(49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회수유로(499)는 상기 저장부(43)와 연결되어 상기 후술되는 배출연결유로(493)로부터 물이 회수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베드와 배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조와 중복되는 표현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상기 배출부(49)는 상기 베드(50)의 안착연통홀(512)과 연통되어 상기 배지수용공간(S2)의 물을 회수하는 배출유로부(4911, 49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는 상기 베드(5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베드(50)에 마련되는 제1배출유로(4911), 상기 하부 베드(50)에 마련되는 제2배출유로(49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49)는 상기 배출회수유로(499)와 상기 배출유로부(4911, 4913)를 연결하여 회수되는 물이 이동되는 배출연결유로(4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연결유로(493)는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배출유로(4911)와 제2배출유로(4913)는 각각 상기 배출연결유로(49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부(49)는 상기 배출연결유로(493)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연결유로(493)상의 회수되는 물을 상기 저장부(43)로 압송하는 배출펌프부(49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펌프부(495)의 작동되면, 상기 배지수용공간(S2)의 물이 상기 배출부(49)로 회수될 수 있고, 상기 배출펌프부(495)의 작동이 멈추면 상기 배지수용공간(S2)의 물은 배출부(49)로 회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배출연결유로(493)와 상기 저장부(43)를 연통시키는 배출회수유로(499)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급수케이스(42)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부(43)와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식물재배장치 10: 캐비닛 19: 하부 캐비닛
20: 도어 21: 도어결합부 22: 도어프레임
23: 도어패널 24: 도어실링부재 25: 도어핸들
40: 급수부 41: 공급부 411: 제1공급유로부
4111: 제1공급이동유로 4113: 제1공급분기유로 412: 제2공급유로부
4121: 제2공급이동유로 4123: 제2공급분기유로 413: 토출홀
42: 급수케이스 43: 저장부 44: 공급펌프부
441: 펌프 443: 펌프지지부 45: 유량센서
46: 분기밸브 47: 연결유로 471: 제1연결유로
473: 제2연결유로 475: 제3연결유로 477: 제4연결유로
49: 배출부 4911: 제1배출유로 4913: 제2배출유로
493: 배출연결유로 495: 배출펌프부 499: 배출회수유로
50: 베드 51: 제1베드부 511: 재배용기안착부
512: 안착연통홀 513: 안착돌기부 514: 안착접촉부
52: 제2베드부 521: 베드안착부 524: 베드집수부
53: 제3베드부 60: 재배부 61: 재배용기안착부
613: 용기수용부 6133: 수용함입부 6135: 배출홀
6151: 용기결합부 6153: 결합인입부 62: 커버부
622: 커버바디 623: 배지수용부 6231: 제1유입홀
6233: 커버관통홀 624: 커버결합부 625: 커버집수부
63: 표지부 631: 표지홀 633: 표지상면
64: 배지 641: 배지바디 643: 배지홀
65: 커버유로부 6551: 제1커버유로 6553: 제2커버유로
6571: 제1돌출부 6573: 제2돌출부 6575: 제2유입홀
66: 재배필터부

Claims (19)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베드;
    상기 베드에 안착되고, 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는 배지가 내부에 수용되는 재배부;
    상기 재배부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는 커버유로부;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유로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유로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재배부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배지로 안내되며,
    상기 재배부는,
    상기 재배부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상면에 상기 커버유로부;가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배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배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배지수용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로부와 상기 배지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중첩되며,
    상기 배지수용부는 상기 커버유로부로부터 상기 배지로 물을 제공하기 위한 제1유입홀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커버유로; 및
    상기 제1커버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2커버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지 및 배지수용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배지수용부는 상기 제1커버유로와 상기 제2커버유로의 내부에 위치되는 식물 재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 중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지수용부는 상기 커버유로부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유로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식물 재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배지수용부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배지수용부를 둘러싸며 마련되고,
    상기 제1유입홀은 상기 배지수용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되는 식물 재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상기 배지수용부의 내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배지의 상단부가 상기 배지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유입홀은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커버유로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커버유로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배지로 안내하는 식물 재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홀은 상기 커버유로부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커버유로부에 수용된 물이 유입되는 식물 재배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로부의 측벽은 상기 배지수용부와 마주하는 부분이 상기 배지수용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입되는 식물 재배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재배부 내부와 연통되는 제2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배지수용부는 상면이 관통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식물이 성장하며 통과되는 커버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로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유입홀의 높이는 상기 커버관통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로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커버관통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식물 재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로부는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입홀은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마련되는 식물 재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지수용부보다 상기 급수부에 가깝게 위치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로부의 상기 제2유입홀의 높이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게 마련되는 식물 재배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커버유로부로 물이 토출되는 토출홀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토출홀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토출홀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공급되는 커버집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유로부는 상기 커버집수부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도록 마련되는 식물 재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커버집수부는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 사이에 위치되는 식물 재배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표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지부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상기 커버집수부를 노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급수부는 상기 커버집수부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커버유로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식물 재배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부는 내부의 물이 상기 베드로 배출되는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베드는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 물이 상기 급수부로 회수되는 배출유로부가 마련되는 식물 재배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버유로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유로부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로부는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 물이 상기 저장부로 회수되도록 마련되는 식물 재배 장치.
KR1020200181110A 2020-12-22 2020-12-22 식물 재배 장치 KR102658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110A KR102658001B1 (ko) 2020-12-22 2020-12-22 식물 재배 장치
US17/559,481 US20220192107A1 (en) 2020-12-22 2021-12-22 Plant cultivation apparatus
EP21217053.4A EP4018817A1 (en) 2020-12-22 2021-12-22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110A KR102658001B1 (ko) 2020-12-22 2020-12-22 식물 재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166A KR20220090166A (ko) 2022-06-29
KR102658001B1 true KR102658001B1 (ko) 2024-04-17

Family

ID=7902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110A KR102658001B1 (ko) 2020-12-22 2020-12-22 식물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92107A1 (ko)
EP (1) EP4018817A1 (ko)
KR (1) KR102658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8018S1 (en) * 2020-10-29 202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lant cultivation device
USD997995S1 (en) * 2021-04-20 2023-09-05 Boundless Robotics, Inc. Hydroponics growing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782B1 (ko) * 2011-10-31 2014-06-09 (주)포러스텍 식물 재배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348A (ja) * 2002-02-15 2003-09-09 Kosho Ra 迅速均一散水及び弾性圧力調整が可能なもやし栽培システム
TWI264273B (en) * 2002-04-22 2006-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Plant culture device for ship and its using method
US7278237B2 (en) * 2002-09-20 2007-10-09 Taiyo Kogyo Co., Ltd. Transplant production system
TWI451836B (zh) * 2009-11-30 2014-09-11 Suntory Holdings Ltd 植栽容器
BR112012012582B1 (pt) * 2009-12-21 2018-10-30 Fraunhofer Usa Inc "recipiente e sistema de cultivo hidropônico para plantas"
WO2012040776A1 (en) * 2010-09-29 2012-04-05 Vertical Farm Systems Pty Ltd A watering and drainage arrangement for a multi-layer horticultural structure
KR101260804B1 (ko) 2010-12-01 2013-05-06 (주) 파루 조립식 식물 재배용 베드
KR101850761B1 (ko) 2011-06-16 2018-04-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게임 실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단말 장치, 기록매체
KR20130022838A (ko) * 2011-08-26 2013-03-07 재 묵 김 채소 재배용 포트 및 이를 이용한 채소 재배 장치
US20140069009A1 (en) * 2012-09-11 2014-03-13 Ming-Tsun LIN Hydroponic circulation liquid supply device
JP7004571B2 (ja) * 2016-10-15 2022-01-21 福建省中科生物股▲ふん▼有限公司 水耕栽培ユニットとシステム
WO2018208686A1 (en) * 2017-05-08 2018-11-15 Spiro Daniel S Automated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US20190335691A1 (en) * 2018-05-05 2019-11-07 Gilad Krakover Aeroponic apparatus
KR20200099340A (ko) * 2019-02-14 2020-08-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정용 수경재배기
KR20200100499A (ko) * 2019-02-18 2020-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US11337387B2 (en) * 2019-07-12 2022-05-24 Rise Gardens Inc. Hydroponic system and apparatus having removable growing structures for multiple types of pla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782B1 (ko) * 2011-10-31 2014-06-09 (주)포러스텍 식물 재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166A (ko) 2022-06-29
US20220192107A1 (en) 2022-06-23
EP4018817A1 (en)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001B1 (ko) 식물 재배 장치
KR101232644B1 (ko) 수경 재배용 베드
CN204837273U (zh) 一种育苗装置
EP4018818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170005655A (ko) 식물 공중 재배장치
GB2070403A (en) Hanging plant device
JPH08294335A (ja) 湛水式養液栽培装置
KR101658909B1 (ko) 뿌리작물 재배용 흡수체가 분할된 수경재배 베드
KR101232189B1 (ko) 재배 베드 및 이를 구비한 수경재배 시스템
CN201509478U (zh) 半球形立体种植体的喷雾式立体栽培系统
WO2017104703A1 (ja) 露地水耕栽培キット、露地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植物体の製造方法
WO2022074668A1 (en) Moving sheet aeroponics
CN206851479U (zh) 逆重力栽培装置
JP4507444B2 (ja) 植物水耕栽培装置
JPH10271926A (ja) 養液栽培用の定植板
CN220755810U (zh) 一种种植育苗箱
JP2014030377A (ja) 栽培装置
CN218389187U (zh) 一种逆流缓吸水植物水培自动化种植装置
EP4230013A1 (en) Seed package f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230094556A (ko) 식물재배용기
CN216982805U (zh) 农作物种植用幼苗培养装置
CN217089036U (zh) 一种用于水稻移栽的水培壮根装置
KR102262002B1 (ko) 수경재배용 식물 고정구
CN111699806B (zh) 一种农业园区场景的展示装置及其使用方法
JP3781275B2 (ja) 連結プラグを用いる葉菜類の軽石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