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254B1 -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254B1
KR102657254B1 KR1020190072193A KR20190072193A KR102657254B1 KR 102657254 B1 KR102657254 B1 KR 102657254B1 KR 1020190072193 A KR1020190072193 A KR 1020190072193A KR 20190072193 A KR20190072193 A KR 20190072193A KR 102657254 B1 KR102657254 B1 KR 102657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heat exchanger
vehicle
conditioning case
ty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317A (ko
Inventor
예동희
이세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25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6Self-contained devices, i.e. including own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5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the housing or parts thereof being integrated in other devices, e.g.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from the cooling liquid of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n electric he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6Electric heaters using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차실 내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1 좌석 열과 제2 좌석 열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실 바닥과 천장 사이에 배치되는 평평한 상면, 및 제1 공조풍을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1 공조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TABLE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실시 예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cabin) 내 냉난방을 위한 것으로,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등을 기초로 압축기, 히터 등을 자동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에는 차실 내로 공조풍을 토출하는 복수의 벤트가 형성될 수 있다.
종래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는 차량의 전방 측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주행 중 운전석에는 항상 운전자가 착석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율주행 시스템(autonomous system)에 의해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필요 없고 탑승자의 착석 위치가 문제되지 않기 때문에, 공조풍을 토출하는 공조케이스가 굳이 차량의 전방 측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또한, 차량 전방 측의 좌석 열이 차량 후방을 향해 배치되어 차량 후방 측의 좌석 열과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자율주행차량의 경우, 탑승자와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공조케이스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문제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3310호(2018.09.19., 차량용 공조장치)
실시 예는 차량의 전방 측 좌석 열이 차량의 후방 측 좌석 열과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자율주행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실 내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1 좌석 열과 제2 좌석 열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실 바닥과 천장 사이에 배치되는 평평한 상면, 및 제1 공조풍을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1 공조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제1 블로어 및 제1 열 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조케이스는 차실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 교환기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실 내에 제2 공조풍을 토출하는 제2 공조케이스; 상기 제2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제2 열 교환기; 상기 제1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열 교환기를 상기 냉각수공급모듈에 병렬 연결하는 3방 밸브; 및 상기 제1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열 교환기 중 하나에만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3방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 교환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공급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공급모듈은 상기 제1 열 교환기와 함께 냉동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차실 내에 제2 공조풍을 토출하는 제2 공조케이스; 상기 제2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제2 열 교환기; 상기 제1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열 교환기를 상기 냉매공급모듈에 병렬 연결하는 3방 밸브; 및 상기 제1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열 교환기 중 하나에만 냉매가 공급되도록 상기 3방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실 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실 내 온도가 기 설정 값에 도달하기 전 상기 제2 열 교환기에 냉각수 또는 냉매가 공급되게 하고, 상기 차실 내 온도가 기 설정 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1 열 교환기에 냉각수 또는 냉매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차실 바닥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공조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 공조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열 교환기는 상기 제1 좌석 열 또는 상기 제2 좌석 열과 평행한 제1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제1-1 열 교환기 및 제1-2 열 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로어는 상기 제1-1 열 교환기와 상기 제1-2 열 교환기 사이에서 상기 유입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차실 공기는 상기 제1 블로어와 상기 제1-1 열 교환기 및 상기 제1-2 열 교환기 중 하나를 차례로 거쳐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차실 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토출구는, 상기 제1-1 열 교환기를 거친 제1 공조풍이 토출되는 제1 토출구, 및 상기 제1-2 열 교환기를 거친 제1 공조풍이 토출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토출구는, 상기 제1 공조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1 토출구, 및 상기 제1 공조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2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제1 공조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2-1 토출구, 및 상기 제1 공조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2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조케이스는 상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컵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컵 홀더는 상기 제1-1 열 교환기와 상기 제1 토출구 사이의 유로 또는 상기 제1-2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토출구 사이의 유로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제1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히터는, 상기 제1-1 열 교환기와 상기 제1 토출구 사이의 유로에 배치되는 제1-1 히터, 및 상기 제1-2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토출구 사이의 유로에 배치되는 제1-2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좌석 열과 상기 제2 좌석 열의 각 좌석 별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 및 상기 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정보에 따라 각 좌석 별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 중 탑승자가 착석한 것으로 판단된 좌석과 인접한 토출구만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도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생성부는 탑승자의 착석으로 인해 좌석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생성부는 탑승자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생성부는 탑승자의 착석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조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면상발열체와 제2 면상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상발열체는 상기 제1 좌석 열에 앉은 탑승자의 다리에 열 복사선을 조사하고, 상기 제2 면상발열체는 상기 제2 좌석 열에 앉은 탑승자의 다리에 열 복사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상발열체 및 상기 제2 면상발열체는 상기 제1 좌석 열 또는 상기 제2 좌석 열과 평행한 제1 수평방향과 수직인 제2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상발열체 및 상기 제2 면상발열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제1 공조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상발열체 및 상기 제2 면상발열체는 상기 제1 공조케이스의 하면에 상기 제2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가 테이블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테이블을 대체하여, 서로 마주보고 앉은 탑승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한편 독서, 회의, 다과 등 생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공조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 - I에서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II - II에서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6은 냉각수공급모듈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7은 냉매공급모듈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8은 제어부의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9는 도 1의 제1 공조케이스와 면상발열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요소가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의 차실, 즉 탑승공간 내에는 제1 좌석 열(1a)과 제2 좌석 열(1b)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좌석 열(1a)은 차량(1)의 전방 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좌석 열(1b)은 차량(1)의 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좌석 열(1a)과 제2 좌석 열(1b)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좌석 열(1a)에 앉은 탑승자는 제2 좌석 열(1b)에 앉은 탑승자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1 좌석 열(1a)은 복수의 제1 좌석, 예를 들어 제1-1 좌석(1a-1) 및 제1-2 좌석(1a-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좌석 열(1b)은 복수의 제2 좌석, 예를 들어, 제2-1 좌석(1b-1) 및 제2-2 좌석(1b-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좌석 열(1a)과 제2 좌석 열(1b)은 각각 2인 이상이 착석할 수 있는 크기의 하나의 긴 좌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좌석 열(1a) 및 제2 좌석 열(1b)은 각각 제1 수평방향, 예를 들어 차량의 폭 방향(X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Y 방향(제2 수평방향)은 차량의 전후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X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Z 방향(수직방향)은 상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X 방향 및 Y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2)는 제1 공조케이스(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공조케이스(20) 및/또는 지지부(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공조케이스(10)는 한 쌍의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어 차실 바닥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조케이스(10)는 제1 좌석 열(1b)과 제2 좌석 열(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조케이스(10)는 차실 바닥과 천장 사이에 배치되는 평평한 상면(11)을 제공하여 테이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공조케이스(10)는 제1 공조풍을 차실 내로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1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조풍은 공조장치(2)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 또는 공기의 흐름을 의미할 수 있다.
토출구(12)에는 메쉬, 그릴 또는 루버 형태의 구조체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공조케이스(10)는 제1 공조케이스(10)의 상면(11) 중 일부가 함몰된 형태의 컵 홀더(13)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음료수 병 또는 컵을 컵 홀더(13)에 넣어 보관할 수 있다.
제2 공조케이스(20)는 제2 공조풍을 차실 내로 토출할 수 있다.
제2 공조케이스(20) 내에는 제2 블로어, 제2 열 교환기 및 제2 히터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공조케이스(20)는 차실 천장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실 측면 등 차량 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30)는 차실 바닥으로부터 제1 공조케이스(10)의 X 방향의 양단까지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조케이스(10)의 하면이 노출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 공조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 - I에서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II - II에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공조케이스(10) 내에는 제1 블로어(100) 및 제1 열 교환기(110)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히터(120)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블로어(100)는 차실 공기를 제1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제1 공조케이스(10) 내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제1 공조케이스(10) 내로 유입된 차실 공기는 제1 열 교환기(110) 및 제1 히터(120)와 차례로 열 교환하여 제1 공조풍으로 변환될 수 있고, 복수의 토출구(12)를 통해 차실 내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열 교환기(110)는 X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제1-1 열 교환기(111) 및 제1-2 열 교환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로어(100)는 제1-1 열 교환기(111)와 제1-2 열 교환기(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블로어(100)를 거친 차실 공기 중 일부는 제1-1 열 교환기(111)로 유동할 수 있고, 나머지는 제1-2 열 교환기(112)로 유동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구(12)는 제1 토출구(12a) 및 제2 토출구(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구(12a)는 제1-1 열 교환기(111)를 거친 제1 공조풍의 토출 통로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토출구(12b)는 제1-2 열 교환기(112)를 거친 제1 공조풍의 토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토출구(12a)는 제1-1 토출구(12a-1) 및 제1-2 토출구(12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출구(12b)는 제2-1 토출구(12b-1) 및 제2-2 토출구(12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토출구(12a-1)와 제2-1 토출구(12b-1)는 제1 공조케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되어 X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2 토출구(12a-2)와 제2-2 토출구(12b-2)는 제1 공조케이스(10)의 후면에 형성되어 X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토출구(12)는 복수의 좌석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토출구(12a-1)에서 토출된 제1 공조풍은 제1-1 좌석(1a-1)을 향해 토출될 수 있고, 제1-2 토출구(12a-2)에서 토출된 제1 공조풍은 제2-1 좌석(1b-1)을 향해 토출될 수 있으며, 제2-1 토출구(12b-1)에서 토출된 제1 공조풍은 제1-2 좌석(1a-2)을 향해 토출될 수 있고, 제2-2 토출구(12b-2)에서 토출된 제1 공조풍은 제2-2 좌석(1b-2)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전면은 차량(1)의 전방을 바라보는 면을 의미할 수 있고, 후면은 차량(1)의 후방을 바라보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구(12)는 예를 들어 제1 공조케이스(10)에 결합되는 복수의 도어(14)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좌석 별 개별 공조가 가능해질 수 있다.
도어(14)는 토출구(12)에 연결되는 유로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히터(120)는 제1 열 교환기(110)와 토출구(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차실 내 난방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구동될 수 있다.
제1 히터(120)는 제1-1 히터(121) 및 제1-2 히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히터(121)는 제1-1 열 교환기(111)와 제1 토출구(12a) 사이의 유로에 배치될 수 있고, 제1-2 히터(122)는 제1-2 열 교환기(112)와 제2 토출구(12b) 사이의 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컵 홀더(13)는 제1 히터(120)와 토출구(12) 사이의 유로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컵 홀더(13)는 제1 공조풍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고, 탑승자는 컵 홀더(13)에 음료수 병 또는 컵을 넣어 차가운 또는 따뜻한 상태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공조케이스(10)는 차실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유입구(15)를 구비할 수 있다.
유입구(15)는 제1 공조케이스(10)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블로어(100)는 유입구(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블로어(100)는 원심 팬(centrifugal fan)일 수 있다.
유입구(15)에는 메쉬, 그릴 또는 루버 형태의 구조체 및/또는 프리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등의 필터 어셈블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냉각수공급모듈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7은 냉매공급모듈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8은 제어부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예시로서, 제1 열 교환기(110) 및 제2 열 교환기(200)는 한 쌍의 3방 밸브(60)를 통해 냉각수공급모듈(40)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냉각수공급모듈(40)은 차량(1)에 탑재될 수 있고,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온도센서(61)는 차량(1)에 설치될 수 있고, 차실 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62)는 냉각수공급모듈(40)이 제1 열 교환기(110)와 제2 열 교환기(200) 중 하나에만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한 쌍의 3방 밸브(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2)는 온도센서(61)의 감지 결과에 따라 한 쌍의 3방 밸브(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2)는 차량(1)의 시동이 켜진 후 차실 내 온도가 기 설정 값에 도달하기 전까지 제2 열 교환기(200)에 냉각수가 공급되게 할 수 있고, 차실 내 온도가 기 설정 값에 도달하면 제1 열 교환기(110)에 냉각수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예시로서, 제1 열 교환기(110) 및 제2 열 교환기(200)는 한 쌍의 3방 밸브(60)를 통해 냉매공급모듈(50)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냉매공급모듈(50)은 차량(1)에 탑재될 수 있고,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냉매공급모듈(50)은 제1 열 교환기(110) 또는 제2 열 교환기(200)와 함께 냉동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냉매공급모듈(50)은 압축기(51), 응축기(52) 및 팽창밸브(5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열 교환기(110) 및 제2 열 교환기(200)는 증발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온도센서(61)는 차량(1)에 설치될 수 있고, 차실 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62)는 냉매공급모듈(50)이 제1 열 교환기(110)와 제2 열 교환기(200) 중 하나에만 냉매를 공급하도록 한 쌍의 3방 밸브(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2)는 온도센서(61)의 감지 결과에 따라 한 쌍의 3방 밸브(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2)는 차량(1)의 시동이 켜진 후 차실 내 온도가 기 설정 값에 도달하기 전까지 제2 열 교환기(200)에 냉매가 공급되게 할 수 있고, 차실 내 온도가 기 설정 값에 도달하면 제1 열 교환기(110)에 냉매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62)는 정보생성부(63)에서 생성된 정보에 따라 복수의 도어(14)를 개별 제어할 수 있다.
정보생성부(63)는 제1 좌석 열(1a)과 제2 좌석 열(1b)의 각 좌석 별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정보생성부(63)는 탑승자의 착석으로 인해 좌석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좌석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정보생성부(63)는 탑승자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센서는 차실 천장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정보생성부(63)는 탑승자의 착석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 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는 버튼,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공조케이스(10)의 전면, 후면,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62)는 정보생성부(63)에서 생성된 정보에 따라 각 좌석 별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복수의 토출구(12) 중 탑승자가 착석한 것으로 판단된 좌석과 인접한 토출구만 개방되도록 복수의 도어(14) 또는 복수의 도어(14)를 개별 구동하는 모터 등의 도어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제1 공조케이스와 면상발열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공조케이스(10)의 하부에는 제1 면상발열체(71) 및 제2 면상발열체(7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면상발열체(71)는 제1 좌석 열(1a)에 앉은 탑승자의 다리에, 제2 면상발열체(72)는 제2 좌석 열(1b)에 앉은 탑승자의 다리에 열 복사선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면상발열체(71) 및 제2 면상발열체(72)에서 조사하는 열 복사선은 적외선일 수 있다.
제1 면상발열체(71) 및 제2 면상발열체(72)는 Y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면상발열체(71) 및 제2 면상발열체(72)의 경사 각도는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상발열체(71)의 일단과 제2 면상발열체(72)의 일단은 회전축(7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회전축(73)의 양단은 제1 공조케이스(10)에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 바(74)에 Z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바(74)에는 Z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홀(74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면상발열체(71)의 타단과 제2 면상발열체(72)의 타단은 제1 공조케이스(10)의 하면에 Y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차량 1a: 제1 좌석 열
1a-1: 제1-1 좌석 1a-2: 제1-2 좌석
1b: 제2 좌석 열 1b-1: 제2-1 좌석
1b-2: 제2-2 좌석 2: 공조장치
10: 제1 공조케이스 11: 상면
12: 토출구 12a: 제1 토출구
12a-1: 제1-1 토출구 12a-2: 제1-2 토출구
12b: 제2 토출구 12b-1: 제2-1 토출구
12b-2: 제2-2 토출구 13: 컵 홀더
14: 도어 15: 유입구
20: 제2 공조케이스 30: 지지부
40: 냉각수공급모듈 50: 냉매공급모듈
51: 압축기 52: 응축기
53: 팽창밸브 60: 3방 밸브
61: 온도센서 62: 제어부
63: 정보생성부 71: 제1 면상발열체
72: 제2 면상발열체 73: 회전축
74: 가이드 바 74a: 가이드 홀
100: 제1 블로어 110: 제1 열 교환기
111: 제1-1 열 교환기 112: 제1-2 열 교환기
120: 제1 히터 121: 제1-1 히터
122: 제1-2 히터 200: 제2 열 교환기

Claims (20)

  1. 차실 내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1 좌석 열과 제2 좌석 열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실 바닥과 천장 사이에 배치되는 평평한 상면, 및 제1 공조풍을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1 공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제1 블로어 및 제1 열 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조케이스는 차실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차실 바닥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공조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열 교환기는 상기 제1 좌석 열 또는 상기 제2 좌석 열과 평행한 제1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제1-1 열 교환기 및 제1-2 열 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로어는 상기 제1-1 열 교환기와 상기 제1-2 열 교환기 사이에서 상기 유입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차실 공기는 상기 제1 블로어와 상기 제1-1 열 교환기 및 상기 제1-2 열 교환기 중 하나를 차례로 거쳐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차실 내로 토출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교환기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실 내에 제2 공조풍을 토출하는 제2 공조케이스;
    상기 제2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제2 열 교환기;
    상기 제1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열 교환기를 상기 냉각수공급모듈에 병렬 연결하는 3방 밸브; 및
    상기 제1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열 교환기 중 하나에만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3방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교환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공급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공급모듈은 상기 제1 열 교환기와 함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실 내에 제2 공조풍을 토출하는 제2 공조케이스;
    상기 제2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제2 열 교환기;
    상기 제1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열 교환기를 상기 냉매공급모듈에 병렬 연결하는 3방 밸브; 및
    상기 제1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열 교환기 중 하나에만 냉매가 공급되도록 상기 3방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실 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실 내 온도가 기 설정 값에 도달하기 전 상기 제2 열 교환기에 냉각수 또는 냉매가 공급되게 하고,
    상기 차실 내 온도가 기 설정 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1 열 교환기에 냉각수 또는 냉매가 공급되게 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 공조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구는, 상기 제1-1 열 교환기를 거친 제1 공조풍이 토출되는 제1 토출구, 및 상기 제1-2 열 교환기를 거친 제1 공조풍이 토출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토출구는, 상기 제1 공조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1 토출구, 및 상기 제1 공조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2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제1 공조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2-1 토출구, 및 상기 제1 공조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2 토출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조케이스는 상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컵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컵 홀더는 상기 제1-1 열 교환기와 상기 제1 토출구 사이의 유로 또는 상기 제1-2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토출구 사이의 유로 내로 연장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제1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히터는, 상기 제1-1 열 교환기와 상기 제1 토출구 사이의 유로에 배치되는 제1-1 히터, 및 상기 제1-2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토출구 사이의 유로에 배치되는 제1-2 히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석 열과 상기 제2 좌석 열의 각 좌석 별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 및
    상기 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정보에 따라 각 좌석 별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 중 탑승자가 착석한 것으로 판단된 좌석과 인접한 토출구만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도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생성부는 탑승자의 착석으로 인해 좌석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생성부는 탑승자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생성부는 탑승자의 착석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조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면상발열체와 제2 면상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상발열체는 상기 제1 좌석 열에 앉은 탑승자의 다리에 열 복사선을 조사하고,
    상기 제2 면상발열체는 상기 제2 좌석 열에 앉은 탑승자의 다리에 열 복사선을 조사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상발열체 및 상기 제2 면상발열체는 상기 제1 좌석 열 또는 상기 제2 좌석 열과 평행한 제1 수평방향과 수직인 제2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상발열체 및 상기 제2 면상발열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제1 공조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상발열체 및 상기 제2 면상발열체는 상기 제1 공조케이스의 하면에 상기 제2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KR1020190072193A 2019-06-18 2019-06-18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KR102657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93A KR102657254B1 (ko) 2019-06-18 2019-06-18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93A KR102657254B1 (ko) 2019-06-18 2019-06-18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17A KR20200144317A (ko) 2020-12-29
KR102657254B1 true KR102657254B1 (ko) 2024-04-16

Family

ID=7409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193A KR102657254B1 (ko) 2019-06-18 2019-06-18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2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2344A (ja) * 2004-12-02 2006-07-13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空調装置
US20110146319A1 (en) * 2009-12-17 2011-06-23 William C Branning Outdoor apparatus with thermally conditioned air
CN106969448A (zh) 2017-04-13 2017-07-21 西安工程大学 适用于火锅桌的蒸发冷却空调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690B1 (ko) 2017-03-09 2021-04-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98074B1 (ko) * 2017-09-12 2019-07-09 아트원 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2344A (ja) * 2004-12-02 2006-07-13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空調装置
US20110146319A1 (en) * 2009-12-17 2011-06-23 William C Branning Outdoor apparatus with thermally conditioned air
CN106969448A (zh) 2017-04-13 2017-07-21 西安工程大学 适用于火锅桌的蒸发冷却空调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17A (ko)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0083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45147B1 (ko) 통합 독립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642934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US9682608B2 (en) Supplemental heating and cooling sources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6696815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20160039261A1 (en) Air-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JP201119507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804372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3112100A (ja) 車両用シート
JP6078575B2 (ja) 車両用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装置
KR102657254B1 (ko)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JP6772892B2 (ja) シート送風装置
JP7409095B2 (ja) 空調装置
JP2019059260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20199990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2020029241A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JP5062523B2 (ja) 自動車用シート空調装置
JP200827349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9093766A (ja) 空調システム
WO2020162097A1 (ja) 空調装置
JP2013193688A (ja) 座席用送風装置、車両、および送風制御方法
KR101425078B1 (ko) 차량 후석용 통풍시트
JP2012106667A (ja) 車両における空調装置
JP6898821B2 (ja) シート空調装置
JPH05139143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