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178B1 -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178B1
KR102657178B1 KR1020220020133A KR20220020133A KR102657178B1 KR 102657178 B1 KR102657178 B1 KR 102657178B1 KR 1020220020133 A KR1020220020133 A KR 1020220020133A KR 20220020133 A KR20220020133 A KR 20220020133A KR 102657178 B1 KR102657178 B1 KR 102657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on
option button
button
input patter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3234A (ko
Inventor
류한영
정승은
이소연
최지원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0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178B1/ko
Publication of KR2023012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사전에 선택한 옵션 버튼을 변형하는 옵션 영역이 표시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입력 패턴에 따라 변형된 변형 옵션 버튼을 돌출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상기 변형 옵션 버튼이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STRETCHABLE DISPLAY DEVICE PROVIDED ON ONE SIDE OF A STEERING DEVICE OF A VEHICL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PTION BUTTEN UIS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적으로 출력되도록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간과 단말기기 사이에서 다양한 감각 수단을 이용하여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인터랙션은 사용자가 음성, 키보드, 펜 등으로 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음성, 그래픽, 음악 및 멀티미디어 등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종래의 가상 실험 등에서 이용되는 인터랙션은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하거나, 영상 내에 마련되는 영역을 선택하여, 사전에 준비되는 영상을 재생하는 등의 형태가 대부분이다.
또한, 인터랙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는 접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 수 있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만든 구부리거나 접어도 똑같은 화질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이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 없으므로 매우 얇다. 또한,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합하다.
플렉서블 OLED와 일반 OLED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기판(Substrate)에 사용하는 소재로 유리가 아닌 PI(Polyimide),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굴곡성이 좋고, 높은 열을 견디며, 충격에 강하기 때문에 구부리거나 휘어도 깨지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에서도 화면이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 일례로, 도 1(a)를 참조하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는 스트레처블 기판(100)은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보이드 기판(130) 및 하부 기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은, 그래핀(graphene)을 이용한 투명 유연 전극 또는 나노 와이어(nanowire)를 이용한 투명 유연 전극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각각 그래핀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투명 유연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레처블 기판(100)이 결합된 OLED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색상은 스트레처블 기판(100)의 방해없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보이드 기판(130)의 보이드 간격 및 높이를 조절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는 입체적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전극(110)은, 보이드 기판(130)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보이드 기판(130)에는 제1 전극(110)에 형성된 전극이 패터닝될 수 있다. 이에 따른, 보이드 기판(130)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보이드 패턴을 갖는 고분자 필름으로서, 엘라스토머를 갖는 기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보이드 패턴을 갖는 보이드 기판(130)은, 부분적인 표면 단차를 발생시키기 위해, 보이드 기판(130)에 형성된 각각의 보이드의 위치에 따라 패터닝되며, 전기적인 입력에 따라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변형하기 위해, 보이드 기판(130)의 표면 모폴로지(surface morphology)를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을 고려한 형상이 입체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제2 전극(120)은, 하부 기판(14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기판(140)에는 제2 전극(120)에 형성된 전극이 패터닝될 수 있다. 이에 따른, 하부 기판(140)은 엘라스토머 기판, 유리 기판 또는 PET(PolyEthylene Terepthhalete)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전극(120)에는 하나의 전압이 인가되거나, 복수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극(120)에 하나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보이드 기판(130)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에 따라 하부 기판(140)을 동일한 높이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2 전극(120)에 복수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보이드 패턴마다 상이한 높이로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b)를 참조하면, 제1 전극(110)에는 +전극이 패터닝되고, 제2 전극(120)에는 -전극이 패터닝되어 각각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에 연결된 제어부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즉, 제어부를 이용하여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도록 전압의 세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제어부에서 설정된 전압이 인가되거나,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을 입체적인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이 제어부에서 설정된 전압으로 인가되면,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 사이에 맥스웰 스트레스(Maxwell stress)가 발생한다. 맥스웰 스트레스는 보이드의 높이 방향으로 발생하고, 이를 토대로, 보이드의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 사이에 발생하는 맥스웰 스트레스는 종래에 알려진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에 전압이 인가되어 맥스웰 스트레스 즉, 전기적 인력이 발생하면,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은 인접하고, 각 전극 간 누르는 힘에 의해 보이드 기판(130)의 표면 모폴러지가 변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이 투명 유연 전극으로 마련되며, 보이드 기판(130)의 표면 모폴러지 변형에 따라 제1 전극 및 제2 전극도 변형되어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보이드 기판(130) 및 하부 기판(140)으로 마련된 스트레처블 기판(10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기 위해,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설정하고, 설정한 전압을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에 인가하여 스트레처블 기판(1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이 입체적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하고, 발생한 인력에 따라 보이드 기판(130)의 보이드 높이가 변형되어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보이드 기판(130) 및 하부 기판(140)이 변형되어 스트레처블 기판(100)이 결합된 디스플레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이 입체적인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스트레처블 기판(100)을 이용하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마련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로 변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형상, 패턴 및 재질이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처블 기판(100)의 구성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0475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2(a)를 참조하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는 스트레처블 기판(100)은 제1 연결 전극(160), 제2 연결 전극(170) 및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트레처블 기판(100)은 제1 연결 전극(160) 및 제2 연결 전극(170)이 복수 층으로 마련되어 전기활성폴리머(Electroactive Poltmer, EAP) 기판(150) 양면에 각각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은 전압이 인가되면 전극 쪽으로 변형되어 두께가 조절되는 기판으로서, 전압이 인가되면, 전압이 인가된 전극 방향으로 압축되어 두께가 얇아지고, 전압이 제거되면, 자체 탄성에 의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특성을 가지는 기판이다.
이에 따라, 도 2(b)를 참조하면,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은 제1 연결 전극(160) 및 제2 전극(270)에 연결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두께가 변형될 수 있고,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제1 연결 전극(160) 및 제2 연결 전극(170)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설정하여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의 두께를 변형할 수 있다.
한편, 스트레처블 기판(100)은 제1 연결 전극(160), 제2 연결 전극(170) 및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으로 마련되는 경우,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 사각 형태의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이 복수 개 연결되어, 각각의 제1 연결 전극(160) 및 제2 연결 전극(170)이 적층되는 하나의 기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은,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을 입체적 형태로 돌출되기 위해,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사각형 형태로 마련되고, 미세한 직경으로 마련된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 연결된 형태로 마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미세한 직경을 가진 복수 개의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의 제1 연결 전극(160) 및 제2 연결 전극(170)의 전압 세기를 각각 달리 설정하고, 각각 달리 설정된 전압을 각각의 제1 연결 전극(160) 및 제2 연결 전극(170)에 인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재질이 스트레처블 기판(100)에 입체적인 형태로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트레처블 기판(10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세한 직경으로 마련된 전기활성폴리 기판(250)이 제어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이 입체적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또 다른 일례의 스트레처블 기판(100)을 이용하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마련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로 변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형상, 패턴 및 재질이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또 다른 일례의 스트레처블 기판(100)의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9215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상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발명은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이를 이용하는 활용 기술은 연구되지 않아 이에 대한 활용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04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921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옵션 버튼을 입체적으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옵션 버튼을 입체적으로 출력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사전에 선택한 옵션 버튼을 변형하는 옵션 영역이 표시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입력 패턴에 따라 변형된 변형 옵션 버튼을 돌출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상기 변형 옵션 버튼이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 옵션 버튼 조작에 따라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형 옵션 버튼은, 사용자가 사전에 크루즈 옵션을 선택할 경우, 휠 버튼으로 변형되어 사용자의 상하 회전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차량의 크루즈 관련 기능을 제어하는 제1 변형 옵션 버튼; 사용자가 사전에 오디오 설정 옵션을 선택할 경우, 다이얼 버튼으로 변형되어 사용자의 좌우 회전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오디오 관련 기능을 제어하는 제2 변형 옵션 버튼;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옵션 버튼이 삭제 또는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기타 기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설정 옵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변형 옵션 버튼의 휠을 윗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크루즈 설정 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변형 옵션 버튼의 휠을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크루즈 설정 속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제2 변형 옵션 버튼의 다이얼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오디오 볼륨이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2 변형 옵션 버튼의 다이얼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오디오 볼륨이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옵션 영역을 터치하여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을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 패턴이 복수 회인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을 삭제 또는 결합하는 변형 여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옵션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변형 여부 메시지의 삭제 버튼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을 상기 옵션 영역에서 삭제하고, 사용자가 상기 변형 여부 메시지의 결합 버튼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드레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옵션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드레그 입력 패턴에 따라 초기에 터치한 제1 터치 위치의 제1 옵션 버튼과 마지막으로 터치한 제2 터치 위치의 제2 옵션 버튼을 결합하여 상기 제1 터치 위치에 상기 사용자 설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 패턴이 기 설정된 시간 간격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의 아이콘 수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옵션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을 상기 옵션 버튼의 아이콘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옵션 영역 일측에 표시된 완료 메시지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입력 패턴에 따라 변형된 상기 변형 옵션 버튼을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은, 사전에 선택된 옵션 버튼을 변형하는 옵션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옵션 영역에 포함된 상기 옵션 버튼을 변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하는 단계; 및 상기 변형 옵션 버튼을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돌출하는 단계;를 포함 한다.
또한, 상기 옵션 버튼 제공 방법은, 상기 변형 옵션 버튼 조작에 따라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형 옵션 버튼은, 사전에 크루즈 옵션이 선택될 경우, 휠 버튼으로 변형되어 상하 회전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차량의 크루즈 관련 기능을 제어하는 제1 변형 옵션 버튼; 사전에 오디오 설정 옵션이 선택될 경우, 다이얼 버튼으로 변형되어 좌우 회전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오디오 관련 기능을 제어하는 제2 변형 옵션 버튼; 및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옵션 버튼이 삭제 또는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기타 기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설정 옵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변형 옵션 버튼의 휠을 윗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크루즈 설정 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변형 옵션 버튼의 휠을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크루즈 설정 속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변형 옵션 버튼의 다이얼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차량의 오디오 볼륨이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변형 옵션 버튼의 다이얼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차량의 오디오 볼륨이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받은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을 변형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변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 패턴이 복수 회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을 삭제 또는 결합하는 변형 여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옵션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변형 여부 메시지의 삭제 버튼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을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서 삭제하고, 상기 변형 여부 메시지의 결합 버튼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드레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옵션 영역에 표시하고, 입력된 드레그 입력 패턴에 따라 초기에 터치된 제1 터치 위치의 제1 옵션 버튼과 마지막으로 터치된 제2 터치 위치의 제2 옵션 버튼을 결합하여 상기 제1 터치 위치에 상기 사용자 설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 패턴이 기 설정된 시간 간격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의 아이콘 수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을 상기 옵션 버튼의 아이콘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돌출하는 단계는, 상기 옵션 영역 일측에 표시된 완료 메시지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입력 패턴에 따라 변형된 상기 변형 옵션 버튼을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가 입력에 따라 커스터마이징 된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옵션 버튼을 원하는 위치에 삭제 및 결합하여 차량을 기능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a는 입체적 형상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구조 도면이다.
도 1b는 입체적 형상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대한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2a는 입체적 형상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단면 도면이다.
도 2b는 입체적 형상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변형 옵션 버튼이 출력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변형 옵션 버튼을 사용자가 접촉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제2 변형 옵션 버튼을 사용자가 접촉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이콘을 변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옵션 변형이 완료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차량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단말과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의 흐름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변형 옵션 버튼이 출력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제1 변형 옵션 버튼을 사용자가 접촉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제2 변형 옵션 버튼을 사용자가 접촉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이콘을 변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옵션 변형이 완료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차량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단말과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20)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장치(200)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마련되어 각각의 사용자가 설정하여 커스터마이징 된 스티어링 장치(20)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어부(210), 저장부(230) 및 통신부(250)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옵션 버튼(201) 제공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제어부(210), 저장부(230) 및 통신부(250)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옵션 버튼(201) 제공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별도의 단말이거나 또는 일부 모듈일 수 있다. 제어부(210), 저장부(230) 및 통신부(250)의 구성은 통합 모듈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각 구성은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20)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사전에 선택한 옵션 버튼(201)을 변형하는 옵션 영역이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사전에 선택한 옵션 버튼(201)을 변형하는 옵션 영역은, 사용자가 차량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구매업체에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옵션 버튼(201)을 선택하여 차량을 구매하고, 구매업체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된 옵션 버튼(201)을 포함하는 옵션 영역을 생성하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달하는 옵션 영역일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어부(210), 저장부(230) 및 통신부(250)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부(250)를 통해 구매업체로부터 사용자가 사전에 선택한 옵션 버튼(201)이 포함된 옵션 영역을 전달받고, 저장부(230)에 저장하며,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옵션 영역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패턴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입력 패턴에 따라 변형된 변형 옵션 버튼(202)을 돌출한다.
한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제어부(210)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 패턴에 따라 옵션 영역에 포함된 옵션 버튼(201)을 변형 옵션 버튼(202)으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변형 옵션 버튼(202)이 돌출되는 형태로 출력되도록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변형 옵션 버튼(202)을 조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을 더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가 사전에 선택한 옵션 버튼(201)을 변형하는 옵션 영역을 표시하기 이전에, 모드 결정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모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모드 결정 메시지는, 옵션 버튼(201)에 따라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드라이브 모드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옵션 버튼(201)을 변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설정 모드를 포함하여 어느 하나의 모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메시지로서, 제어부(210)에서 생성되어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하여 설정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사전에 선택된 옵션 버튼(201)을 포함하는 옵션 영역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패턴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옵션 버튼(201)을 제1 변형 옵션 버튼(203)과 제2 변형 옵션 버튼(204)과 옵션 버튼(201)이 삭제 또는 결합된 사용자 설정 옵션 버튼을 포함하는 변형 옵션 버튼(202)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사전에 크루즈 옵션을 선택할 경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일측에 휠 버튼으로 변형된 제1 변형 옵션 버튼(203)으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1 변형 옵션 버튼(203)에 햅틱 기능을 더 추가하여 사용자가 제1 변형 옵션 버튼(203)을 조작할 시 사용자에게 진동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진동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차량의 모드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드라이브 모드로 입력 받고, 사용자가 휠 버튼을 조작하여 입력한 상하 회전 입력 패턴에 따라 차량의 크루즈 관련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제1 변형 옵션 버튼(203)의 휠을 윗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차량의 크루즈 설정 속도를 증가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윗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한 횟수에 따라 횟수에 대응하는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제1 변형 옵션 버튼(203)의 휠을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차량의 크루즈 설정 속도를 감소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아랫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한 횟수에 따라 횟수에 대응하는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사전에 오디오 설정 옵션을 선택할 경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타측에 다이얼 버튼으로 변형된 제2 변형 옵션 버튼(204)으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2 변형 옵션 버튼(204)에 햅틱 기능을 더 추가하여 사용자가 제2 변형 옵션 버튼(204)을 조작할 시 사용자에게 진동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차량의 모드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드라이브 모드로 입력 받고, 사용자가 다이얼 버튼을 조작하여 입력한 좌우 회전 입력 패턴에 따라 차량의 크루즈 관련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우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좌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를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제2 변형 옵션 버튼(204)의 다이얼을 우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차량의 오디오 볼륨을 증가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한 횟수에 따라 횟수에 대응하는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제2 변형 옵션 버튼(204)의 다이얼을 좌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차량의 오디오 볼륨을 감소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한 횟수에 따라 횟수에 대응하는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옵션 영역을 터치하여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한 옵션 영역에서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확인하여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옵션 버튼(201)을 변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10)가 변형하는 옵션 버튼(201)은 크루즈 관련 기능 및 오디오 관련 기능을 제외한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옵션 버튼(201)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기능은 차량의 와이퍼를 제어하는 와이퍼 제어 기능, 차량의 온도를 제어하는 A/C 기능 및 차량의 앞 유리의 성에를 제거하는 성에 제거 기능 등 기본적인 차량에 포함된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각각의 차량에 포함된 기능에 따라 옵션 버튼(201)이 제어하는 기능은 달라질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 패턴의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 패턴이 복수 회인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옵션 버튼(201)을 삭제 또는 결합하는 변형 여부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옵션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입력 패턴의 횟수는 2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하여 변형 여부 메시지의 삭제 버튼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옵션 버튼(201)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옵션 영역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하여 변형 여부 메시지의 결합 버튼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드레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옵션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드레그하여 입력한 드레그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초기에 터치한 제1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제1 옵션 버튼과 마지막으로 터치한 제2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제2 옵션 버튼을 결합하여 제1 터치 위치에 사용자 설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 패턴이 단수 회인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옵션 버튼(201)이 제어하는 차량의 기능을 기능 설명 메시지로 생성하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옵션 영역에 표시되도록 더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8를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터치 입력 패턴이 기 설정된 시간 간격동안 유지되는 경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옵션 버튼(201)의 아이콘 수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옵션 영역에 표시되도록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 수정 메시지는 사용자가 선택한 옵션 버튼(201)의 아이콘이 변경 가능한 아이콘 리스트로서 생성될 수 있다.
이에,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저장부(230)에는 사전에 사용자가 선택한 옵션 버튼(201)에 대한 서로 다른 아이콘 및 각각의 옵션 버튼(201)이 변경될 수 있는 아이콘 리스트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아이콘 수정 메시지를 터치 입력하여 선택한 아이콘을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선택된 옵션 버튼(201)의 아이콘으로 수정하고, 아이콘이 수정된 옵션 버튼(201)은 변형 옵션 버튼(202)으로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을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옵션 영역 일측에 설정 모드를 종료하는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하여 완료 메시지를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 모드가 수행되는 시간 간격 동안 변형된 변형 옵션 버튼(202)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도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 모드가 수행되는 시간 간격 동안 변형된 적어도 하나의 변형 옵션 버튼(202) 및 변형 옵션 버튼(202)의 위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 필드를 생성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차량을 판매한 구매 업체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도 10을 참조하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의 차량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단말(30)과 연결되고,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단말(30)에 업데이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라 제어되는 차량의 기능을 사용자 차량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단말(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제어된 차량의 기능을 차량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단말(30)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의 흐름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버튼(201) 제공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차량 스티어링 장치(20)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상에서 진행되므로, 도 3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 스티어링 장치(20) 일측에 마련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이용한 옵션 버튼(201) 제공 방법은, 사전에 선택된 옵션 버튼(201)을 변형하는 옵션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410),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단계(430), 입력 패턴에 따라 옵션 영역에 포함된 옵션 버튼(201)을 변형 옵션 버튼(202)으로 변형하는 단계(450) 및 변형 옵션 버튼(202)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돌출하는 단계(470)를 포함한다.
이때, 변형 옵션 버튼(202)은, 사전에 크루즈 옵션이 선택될 경우, 휠 버튼으로 변형되어 상하 회전 입력 패턴에 따라 차량의 크루즈 관련 기능을 제어하는 제1 변형 옵션 버튼(203), 사전에 오디오 설정 옵션이 선택될 경우, 다이얼 버튼으로 변형되어 좌우 회전 입력 패턴에 따라 차량의 오디오 관련 기능을 제어하는 제2 변형 옵션 버튼(204) 및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옵션 버튼(201)이 삭제 또는 결합되고, 차량의 기타 기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설정 옵션 버튼(20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옵션 버튼(201) 제공 방법은, 변형 옵션 버튼(202) 조작에 따라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변형 옵션 버튼(202) 조작에 따라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1 변형 옵션 버튼(203) 및 제2 변형 옵션 버튼(204)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변형 옵션 버튼(202) 조작에 따라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1 변형 옵션 버튼(203)의 휠을 윗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크루즈 설정 속도가 증가하도록 차량을 제어하고, 제1 변형 옵션 버튼(203)의 휠을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크루즈 설정 속도를 감소하도록 차량을 더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변형 옵션 버튼(202) 조작에 따라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2 변형 옵션 버튼(204)의 다이얼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차량의 오디오 볼륨이 증가하도록 차량을 제어하고, 제2 변형 옵션 변형의 다이얼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차량의 오디오 볼륨이 감소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입력 패턴에 따라 옵션 영역에 포함된 옵션 버튼(201)을 변형 옵션 버튼(202)으로 변형하는 단계(450)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터치 입력을 받은 위치를 확인하여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옵션 버튼(201)을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패턴에 따라 옵션 영역에 포함된 옵션 버튼(201)을 변형 옵션 버튼(202)으로 변형하는 단계(450)는 터치 입력 패턴이 복수 회 입력된 경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옵션 버튼(201)을 삭제 또는 결합하는 변형 여부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옵션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입력 패턴에 따라 옵션 영역에 포함된 옵션 버튼(201)을 변형 옵션 버튼(202)으로 변형하는 단계(450)는 변형 여부 메시지의 삭제 버튼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옵션 버튼(201)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패턴에 따라 옵션 영역에 포함된 옵션 버튼(201)을 변형 옵션 버튼(202)으로 변형하는 단계(450)는 변형 여부 메시지의 결합 버튼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드레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옵션 영역에 표시하고, 입력된 드레그 입력 패턴에 따라 초기에 터치된 제1 터치 위치의 제1 옵션 버튼과 마지막으로 터치된 제2 터치 위치의 제2 옵션 버튼을 결합하여 제1 터치 위치에 사용자 설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패턴에 따라 옵션 영역에 포함된 옵션 버튼(201)을 변형 옵션 버튼(202)으로 변형하는 단계(450)는 터치 입력 패턴이 기 설정된 시간 간격동안 유지되는 경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옵션 버튼(201)의 아이콘 수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입력 패턴에 따라 옵션 영역에 포함된 옵션 버튼(201)을 변형 옵션 버튼(202)으로 변형하는 단계(450)는 아이콘 수정 메시지를 터치하여 입력된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을 옵션 버튼(201)의 아이콘으로 수정할 수 있다.
한편, 변형 옵션 버튼(202)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돌출하는 단계(470)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옵션 영역 일측에 표시된 완료 메시지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입력 패턴에 따라 변형된 변형 옵션 버튼(202)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스트레처블 기판
110 : 제1 전극
120 : 제2 전극
130 : 보이드 기판
140 : 하부 기판
150 : 전기활성폴리머 기판
160 : 제1 연결 전극
170 : 제2 연결 전극
20 : 차량 스티어링 장치
200 :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201 : 옵션 버튼
202 : 변형 옵션 버튼
203 : 제1 변형 옵션 버튼
204 : 제2 변형 옵션 버튼
210 : 제어부
230 : 저장부
250 : 통신부
30 :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단말

Claims (20)

  1.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사전에 선택한 옵션 버튼을 변형하는 옵션 영역이 표시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입력 패턴에 따라 변형된 변형 옵션 버튼을 돌출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상기 변형 옵션 버튼이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 옵션 버튼 조작에 따라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변형 옵션 버튼은,
    사용자가 사전에 크루즈 옵션을 선택할 경우, 휠 버튼으로 변형되어 사용자의 상하 회전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차량의 크루즈 관련 기능을 제어하는 제1 변형 옵션 버튼;
    사용자가 사전에 오디오 설정 옵션을 선택할 경우, 다이얼 버튼으로 변형되어 사용자의 좌우 회전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오디오 관련 기능을 제어하는 제2 변형 옵션 버튼;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옵션 버튼이 삭제 또는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기타 기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설정 옵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옵션 영역을 터치하여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을 변형하며,
    상기 터치 입력 패턴이 복수 회인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을 삭제 또는 결합하는 변형 여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옵션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변형 여부 메시지의 삭제 버튼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을 상기 옵션 영역에서 삭제하고,
    사용자가 상기 변형 여부 메시지의 결합 버튼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드레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옵션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드레그 입력 패턴에 따라 초기에 터치한 제1 터치 위치의 제1 옵션 버튼과 마지막으로 터치한 제2 터치 위치의 제2 옵션 버튼을 결합하여 상기 제1 터치 위치에 상기 사용자 설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 패턴이 단수 회인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옵션 버튼이 제어하는 차량의 기능을 기능 설명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옵션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변형 옵션 버튼의 휠을 윗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크루즈 설정 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변형 옵션 버튼의 휠을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크루즈 설정 속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제2 변형 옵션 버튼의 다이얼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오디오 볼륨이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2 변형 옵션 버튼의 다이얼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오디오 볼륨이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 패턴이 기 설정된 시간 간격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의 아이콘 수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옵션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을 상기 옵션 버튼의 아이콘으로 수정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옵션 영역 일측에 표시된 완료 메시지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입력 패턴에 따라 변형된 상기 변형 옵션 버튼을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전에 선택된 옵션 버튼을 변형하는 옵션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옵션 영역에 포함된 상기 옵션 버튼을 변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하는 단계; 및
    상기 변형 옵션 버튼을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돌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옵션 버튼 조작에 따라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형 옵션 버튼은,
    사전에 크루즈 옵션이 선택될 경우, 휠 버튼으로 변형되어 상하 회전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차량의 크루즈 관련 기능을 제어하는 제1 변형 옵션 버튼;
    사전에 오디오 설정 옵션이 선택될 경우, 다이얼 버튼으로 변형되어 좌우 회전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오디오 관련 기능을 제어하는 제2 변형 옵션 버튼; 및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옵션 버튼이 삭제 또는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기타 기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설정 옵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터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을 변형하며,
    상기 변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 패턴이 복수 회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을 삭제 또는 결합하는 변형 여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옵션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변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변형 여부 메시지의 삭제 버튼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을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서 삭제하고,
    상기 변형 여부 메시지의 결합 버튼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드레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옵션 영역에 표시하고, 입력된 드레그 입력 패턴에 따라 초기에 터치된 제1 터치 위치의 제1 옵션 버튼과 마지막으로 터치된 제2 터치 위치의 제2 옵션 버튼을 결합하여 상기 제1 터치 위치에 상기 사용자 설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하며,
    상기 변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 패턴이 단수 회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옵션 버튼이 제어하는 차량의 기능을 기능 설명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옵션 영역에 표시하는, 옵션 버튼 제공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변형 옵션 버튼의 휠을 윗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크루즈 설정 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변형 옵션 버튼의 휠을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크루즈 설정 속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옵션 버튼 제공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변형 옵션 버튼의 다이얼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차량의 오디오 볼륨이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변형 옵션 버튼의 다이얼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차량의 오디오 볼륨이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옵션 버튼 제공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옵션 버튼으로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 패턴이 기 설정된 시간 간격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옵션 버튼의 아이콘 수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을 상기 옵션 버튼의 아이콘으로 수정하는, 옵션 버튼 제공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돌출하는 단계는,
    상기 옵션 영역 일측에 표시된 완료 메시지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입력 패턴에 따라 변형된 상기 변형 옵션 버튼을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옵션 버튼 제공 방법.
KR1020220020133A 2022-02-16 2022-02-16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 KR102657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133A KR102657178B1 (ko) 2022-02-16 2022-02-16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133A KR102657178B1 (ko) 2022-02-16 2022-02-16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234A KR20230123234A (ko) 2023-08-23
KR102657178B1 true KR102657178B1 (ko) 2024-04-12

Family

ID=87849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133A KR102657178B1 (ko) 2022-02-16 2022-02-16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1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4502A1 (en) * 2010-03-25 2011-09-29 Yun Tiffany Physically reconfigurable input and output systems and methods
JP2013079061A (ja) 2011-09-21 2013-05-02 Jvc Kenwood Corp 車両における操作対象装置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163B1 (ko) * 2011-05-30 2013-09-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스티어링휠
KR101250420B1 (ko) * 2011-09-22 2013-04-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입력 장치
KR101886711B1 (ko) * 2014-10-02 2018-08-09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자성 촉각 제공 장치
KR20170028128A (ko) * 2015-09-03 2017-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10475A (ko) 2017-03-29 2018-10-10 한국과학기술원 질감 표현을 위한 투명 햅틱 인터페이스 장치
KR20210054410A (ko) * 2019-11-05 2021-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입력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129215B1 (ko) 2019-12-17 2020-07-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층구조 스마트 물질 모듈 기반 3d 형상 변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4502A1 (en) * 2010-03-25 2011-09-29 Yun Tiffany Physically reconfigurable input and output systems and methods
JP2013079061A (ja) 2011-09-21 2013-05-02 Jvc Kenwood Corp 車両における操作対象装置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234A (ko)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67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iction displays and additional haptic effects
US104961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rface elements that provide electrostatic haptic effects
US98299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oint haptic feedback texture systems
US98361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feedforward and feedback with haptic effects
US201803648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uced Electrostatic Haptic Effects
CN102736791B (zh) 操作输入装置和用于控制操作输入装置的方法
US201801303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 Surface Elements
EP29232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de or state awareness using a programmable surface texture
US20180246573A1 (en) Electrostatic Haptic Actuator and User Interface With an Electrostatic Haptic Actuator
US20070139391A1 (en) Input device
JP2014102660A (ja) 操作支援システム、操作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80110475A (ko) 질감 표현을 위한 투명 햅틱 인터페이스 장치
US111757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ximity-based haptic feedback
JP2020144896A5 (ja) 車載装置、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車載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249981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JP6700034B2 (ja) 相互システムの情報を伝達するために触覚制御装置の触覚表面を動的に変化するための技術
KR102657178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
KR102657180B1 (ko) 샐러브리티 npc가 구비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인공지능 스피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제공 방법
US88848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haptic information, and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657181B1 (ko) 영상 제공 장치와 연동되는 메타버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125416A (ko)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
CN110789344A (zh) 一种车载控制器自定义触摸按键装置及其控制方法
TWI767727B (zh) 觸覺板系統及其之形成方法
KR20230123246A (ko)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
KR102490227B1 (ko)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가방에 신상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