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246A -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246A
KR20230123246A KR1020220020157A KR20220020157A KR20230123246A KR 20230123246 A KR20230123246 A KR 20230123246A KR 1020220020157 A KR1020220020157 A KR 1020220020157A KR 20220020157 A KR20220020157 A KR 20220020157A KR 20230123246 A KR20230123246 A KR 20230123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 toy
concept
metaverse
unit
fa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한영
정승은
윤해람
이소연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0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246A/ko
Publication of KR20230123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24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chitectu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SD) 아트토이 장치로써,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로 형성되는 SD 아트토이 및 상기 SD 아트토이에 패션 콘셉트에 따라 돌출된 형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SD 아트토이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고,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SD 아트토이의 아바타가 구현된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SD 아트토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SD) 아트토이 장치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에 있어서, SD 아트토이에 패션 콘셉트를 미리보기로 나타내는 콘셉트 제공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콘셉트를 상기 SD 아트토이에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콘셉트 표시 단계, 주위 환경을 반영하여 상기 패션 콘셉트를 변경하는 환경 반영 단계 및 상기 SD 아트토이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하고,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SD 아트토이의 아바타가 구현된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메타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Stretchable Display toy device for real space and virtual space interior,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i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아트토이를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연동하여 동일하게 배치시킴으로써, 현실공간과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동일한 인테리어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간과 단말기기 사이에서 다양한 감각 수단을 이용하여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인터랙션은 사용자가 음성, 키보드, 펜 등으로 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음성, 그래픽, 음악 및 멀티미디어 등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종래의 가상 실험 등에서 이용되는 인터랙션은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하거나, 영상 내에 마련되는 영역을 선택하여, 사전에 준비되는 영상을 재생하는 등의 형태가 대부분이다.
또한, 인터랙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는 접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 수 있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만든 구부리거나 접어도 똑같은 화질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이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 없으므로 매우 얇다. 또한,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합하다.
플렉서블 OLED와 일반 OLED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기판(Substrate)에 사용하는 소재로 유리가 아닌 PI(Polyimide),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굴곡성이 좋고, 높은 열을 견디며, 충격에 강하기 때문에 구부리거나 휘어도 깨지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에서도 화면이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 일례로, 도 1(a)를 참조하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는 스트레처블 기판(10)은 제1 전극(101), 제2 전극(102), 보이드 기판(103) 및 하부 기판(1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은, 그래핀(graphene)을 이용한 투명 유연 전극 또는 나노 와이어(nanowire)를 이용한 투명 유연 전극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각각 그래핀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투명 유연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레처블 기판(10)이 결합된 OLED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색상은 스트레처블 기판(10)의 방해없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보이드 기판(103)의 보이드 간격 및 높이를 조절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는 입체적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전극(101)은, 보이드 기판(103)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보이드 기판(103)에는 제1 전극(101)에 형성된 전극이 패터닝될 수 있다. 이에 따른, 보이드 기판(103)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보이드 패턴을 갖는 고분자 필름으로서, 엘라스토머를 갖는 기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보이드 패턴을 갖는 보이드 기판(103)은, 부분적인 표면 단차를 발생시키기 위해, 보이드 기판(103)에 형성된 각각의 보이드의 위치에 따라 패터닝되며, 전기적인 입력에 따라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변형하기 위해, 보이드 기판(103)의 표면 모폴로지(surface morphology)를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을 고려한 형상이 입체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제2 전극(102)은, 하부 기판(104)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기판(104)에는 제2 전극(102)에 형성된 전극이 패터닝될 수 있다. 이에 따른, 하부 기판(104)은 엘라스토머 기판, 유리 기판 또는 PET(PolyEthylene Terepthhalete)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전극(102)에는 하나의 전압이 인가되거나, 복수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극(102)에 하나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보이드 기판(103)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에 따라 하부 기판(104)을 동일한 높이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2 전극(102)에 복수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보이드 패턴마다 상이한 높이로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b)를 참조하면, 제1 전극(101)에는 +전극이 패터닝되고, 제2 전극(102)에는 -전극이 패터닝되어 각각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에 연결된 제어부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즉, 제어부를 이용하여 제1 전극(101)과 제2 전극(102)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도록 전압의 세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제어부에서 설정된 전압이 인가되거나,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을 입체적인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이 제어부에서 설정된 전압으로 인가되면,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 사이에 맥스웰 스트레스(Maxwell stress)가 발생한다. 맥스웰 스트레스는 보이드의 높이 방향으로 발생하고, 이를 토대로, 보이드의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 사이에 발생하는 맥스웰 스트레스는 종래에 알려진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에 전압이 인가되어 맥스웰 스트레스 즉, 전기적 인력이 발생하면,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은 인접하고, 각 전극 간 누르는 힘에 의해 보이드 기판(103)의 표면 모폴러지가 변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이 투명 유연 전극으로 마련되며, 보이드 기판(103)의 표면 모폴러지 변형에 따라 제1 전극 및 제2 전극도 변형되어 제1 전극(101), 제2 전극(102), 보이드 기판(103) 및 하부 기판(104)으로 마련된 스트레처블 기판(1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기 위해,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설정하고, 설정한 전압을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에 인가하여 스트레처블 기판(1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이 입체적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하고, 발생한 인력에 따라 보이드 기판(103)의 보이드 높이가 변형되어 제1 전극(101), 제2 전극(102), 보이드 기판(103) 및 하부 기판(104)이 변형되어 스트레처블 기판(10)이 결합된 디스플레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이 입체적인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스트레처블 기판(10)을 이용하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마련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로 변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형상, 패턴 및 재질이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처블 기판(10)의 구성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0475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2(a)를 참조하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는 스트레처블 기판(10)은 제1 연결 전극(106), 제2 연결 전극(107) 및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0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트레처블 기판(10)은 제1 연결 전극(106) 및 제2 연결 전극(107)이 복수 층으로 마련되어 전기활성폴리머(Electroactive Poltmer, EAP) 기판(150) 양면에 각각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05)은 전압이 인가되면 전극 쪽으로 변형되어 두께가 조절되는 기판으로서, 전압이 인가되면, 전압이 인가된 전극 방향으로 압축되어 두께가 얇아지고, 전압이 제거되면, 자체 탄성에 의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특성을 가지는 기판이다.
이에 따라, 도 2(b)를 참조하면,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05)은 제1 연결 전극(106) 및 제2 연결 전극(107)에 연결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두께가 변형될 수 있고,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제1 연결 전극(106) 및 제2 연결 전극(107)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설정하여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05)의 두께를 변형할 수 있다.
한편, 스트레처블 기판(10)은 제1 연결 전극(106), 제2 연결 전극(107) 및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05)으로 마련되는 경우,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 사각 형태의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05)이 복수 개 연결되어, 각각의 제1 연결 전극(106) 및 제2 연결 전극(107)이 적층되는 하나의 기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05)은,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을 입체적 형태로 돌출되기 위해,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사각형 형태로 마련되고, 미세한 직경으로 마련된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05)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 연결된 형태로 마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미세한 직경을 가진 복수 개의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05)의 제1 연결 전극(106) 및 제2 연결 전극(107)의 전압 세기를 각각 달리 설정하고, 각각 달리 설정된 전압을 각각의 제1 연결 전극(106) 및 제2 연결 전극(107)에 인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재질이 스트레처블 기판(10)에 입체적인 형태로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트레처블 기판(1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세한 직경으로 마련된 전기활성폴리 기판(250)이 제어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이 입체적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또 다른 일례의 스트레처블 기판(10)을 이용하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마련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로 변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형상, 패턴 및 재질이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또 다른 일례의 스트레처블 기판(10)의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9215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상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발명은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이를 이용하는 활용 기술은 연구되지 않아 이에 대한 활용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04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9215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아트토이를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연동하여 동일하게 배치시킴으로써, 현실공간과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동일한 인테리어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는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SD) 아트토이 장치로써,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로 형성되는 SD 아트토이 및 상기 SD 아트토이에 패션 콘셉트에 따라 돌출된 형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SD 아트토이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고,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SD 아트토이의 아바타가 구현된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SD 아트토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패션 콘셉트를 제공하는 패션 브랜드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SD 아트토이에 상기 패션 콘셉트를 미리보기로 나타내는 콘셉트 제공부;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콘셉트를 상기 SD 아트토이에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콘셉트 표시부; 주위 환경을 반영하여 상기 패션 콘셉트를 변경하는 환경 반영부 및 상기 SD 아트토이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하고,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SD 아트토이의 아바타가 구현된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메타버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셉트 제공부는, 상기 SD 아트토이에 상기 패션 콘셉트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리스트 제공부; 상기 리스트 중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콘셉트를 상기 SD 아트토이에 적용하여 미리보기로 보여주는 미리보기 표시부 및 사용자가 상기 패션 콘셉트에 대해 구매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패션 콘셉트의 결제를 진행하는 콘셉트 결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 반영부는, 상기 SD 아트토이의 주변의 인테리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주변의 인테리어에 따라 상기 SD 아트토이에 표시된 상기 패션 콘셉트의 아이템 또는 디자인의 색상, 반짝임, 움직임, 형태, 개수, 무늬 배열 및 무늬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콘셉트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버스부는, 상기 SD 아트토이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는 단말 연동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SD 아트토이의 아바타를 구현하여 상기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출력하는 메타버스 구현부 및 사용자가 선택한 효과가 상기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반영되도록 설정하는 효과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연동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설정된 효과 중 음악을 재생할 경우 상기 SD 아트토이에서 해당 음악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도안을 상기 SD 아트토이에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인터페이스 활성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활성화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SD 아트토이의 활성화 영역을 설정하는 활성화 영역 설정부 및 설정된 활성화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그림 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그림판을 활성화하는 그림판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은 SD 아트토이에 패션 콘셉트를 미리보기로 나타내는 콘셉트 제공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콘셉트를 상기 SD 아트토이에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콘셉트 표시 단계; 주위 환경을 반영하여 상기 패션 콘셉트를 변경하는 환경 반영 단계 및 상기 SD 아트토이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하고,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SD 아트토이의 아바타가 구현된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메타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셉트 제공 단계는, 상기 SD 아트토이에 상기 패션 콘셉트의 리스트를 나타내고, 상기 리스트 중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콘셉트를 상기 SD 아트토이에 적용하여 미리보기로 보여주는 미리보기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패션 콘셉트에 대해 구매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패션 콘셉트의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 반영 단계는, 상기 SD 아트토이의 주변의 인테리어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및 감지된 주변의 인테리어에 따라 상기 SD 아트토이에 표시된 상기 패션 콘셉트의 아이템 또는 디자인의 색상, 반짝임, 움직임, 형태, 개수, 무늬 배열 및 무늬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변경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버스 제공 단계는, 상기 SD 아트토이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는 단말 연동 단계; 상기 SD 아트토이의 아바타가 구현된 상기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메타버스 구현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효과를 선택 받아, 상기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반영되도록 설정하는 효과 설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아트토이를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연동하여 동일하게 배치시킴으로써, 현실공간과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동일한 인테리어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콘셉트에 따라 다양하고 입체적인 형태의 표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주위 환경(인테리어 등)을 인식하여 무드에 맞게 색상 등이 변경될 수 있어, 심미성 및 환경 조화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적용된 음악을 SD 아트토이를 통해 청취할 수 있다.
도 1a 는 입체적 형상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구조도.
도 1b 는 입체적 형상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대한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a 는 입체적 형상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단면도.
도 2b 는 입체적 형상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의 개략적인 동작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도 5의 콘셉트 제공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도 6의 리스트 제공부에서 SD 아트토이 장치에 패션 콘셉트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도 6의 미리보기 표시부에서 SD 아트토이 장치에 선택된 패션 콘셉트를 미리보기로 보여주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도 5의 환경 반영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도 9의 콘셉트 변경부에서 SD 아트토이 장치에 표시된 패션 콘셉트를 변경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도 5의 메타버스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12는 도 11의 메타버스 구현부에서 SD 아트토이 장치를 연동시켜 사용자 단말에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도 11의 메타버스부를 통해 메타버스 가상공간의 음악이 SD 아트토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15는 도 14의 메타버스 제공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의 개략적인 동작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콘셉트 제공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의 리스트 제공부에서 SD 아트토이 장치에 패션 콘셉트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미리보기 표시부에서 SD 아트토이 장치에 선택된 패션 콘셉트를 미리보기로 보여주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5의 환경 반영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콘셉트 변경부에서 SD 아트토이 장치에 표시된 패션 콘셉트를 변경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도 5의 메타버스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메타버스 구현부에서 SD 아트토이 장치를 연동시켜 사용자 단말에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메타버스부를 통해 메타버스 가상공간의 음악이 SD 아트토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아트토이 장치(1, 이하 'SD 아트토이 장치'라 함)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이하 'SD'라 함) 아트토이(11)의 디자인을 패션 브랜드 서버(2)로부터 제공되는 패션 콘셉트에 따라 변화시키고, SD 아트토이(11)를 사용자 단말(3)에 표시되는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연동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 동일한 인테리어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SD 아트토이 장치(1)는 SD 아트토이(11) 및 제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D 아트토이 장치(1)는 음악 등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제스처에 따라 SD 아트토이(1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충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 패션 브랜드 서버(2), 사용자 단말(3)과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D 아트토이(11)는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달되는 입력 데이터값에 따라 표면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로 구현된 것으로, 머리, 팔, 다리 등 인체의 구조를 포함하는 3D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SD 아트토이(11)는 제어부(12)로부터 표시되는 패션 콘셉트에 따라 형태와 디자인이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SD 아트토이(11)에 패션 콘셉트에 따라 돌출된 형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SD 아트토이(11)와 사용자 단말(3)을 연동시켜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SD 아트토이(11)의 아바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2)는 콘셉트 제공부(120), 콘셉트 표시부(121), 환경 반영부(122) 및 메타버스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12)는 SD 아트토이(11)를 제어하기 위해, SD 아트토이(11)의 일부에 형성되거나 FPCB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는 SD 아트토이(11)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콘셉트 제공부(120), 콘셉트 표시부(121), 환경 반영부(122) 및 메타버스부(123) 등의 구성은 상기 제어부(12)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어부(12)는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될 수 있는데,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별도의 단말이거나 또는 단말의 일부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콘셉트 제공부(120), 콘셉트 표시부(121), 환경 반영부(122) 및 메타버스부(123) 등의 구성은 통합 모듈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어부(12)의 콘셉트 제공부(120)는 패션 콘셉트를 제공하는 패션 브랜드 서버(2)와 연동되어, SD 아트토이(11)에 패션 콘셉트를 미리보기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여러 패션 콘셉트가 적용된 SD 아트토이(11)의 모습을 미리 확인할 수 있어, 원하는 디자인을 보다 용이하게 선택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패션 콘셉트는 아이템 및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D 아트토이(11)가 얼굴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아이템은 돌출되는 형태로 얼굴을 꾸밀 수 있는 눈 모양, 선글라스, 썬캡 등일 수 있으며, 디자인은 얼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색상, 형태, 무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콘셉트 제공부(120)는 리스트 제공부(120a), 미리보기 표시부(120b) 및 콘셉트 결제부(120c)를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 제공부(120a)는 SD 아트토이(11)에 패션 브랜드 서버(2)로부터 제공받은 패션 콘셉트의 리스트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연동된 패션 브랜드 서버(2)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므로, 패션 콘셉트의 리스트를 패션 브랜드 별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션 브랜드 별로 구분하지 않고 통합하여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리스트 제공부(120a)는 새로운 패션 콘셉트가 출시될 경우, SD 아트토이(11)에 알림이 발생되도록 하고, 새롭게 출시된 패션 콘셉트의 리스트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알림은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띠링' 소리와 함께 '새로운 패션 콘셉트가 출시되었습니다.'라는 알림이 SD 아트토이(11)에서 발생하여, 사용자가 리스트를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이므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미리보기 표시부(120b)는 리스트 중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콘셉트를 SD 아트토이(11)에 적용하여 미리보기로 보여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SD 아트토이(11)에 알림과 함께 SD 아트토이(11) 하단에 새롭게 출시된 'Hot Summer', 'On the Beach' 등 패션 콘셉트의 리스트가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가 SD 아트토이(11) 하단에 나타난 패션 콘셉트 중 'Hot Summer'를 클릭하자 미리보기로 적용되어, 도 8의 (a)와 같이, 기존 SD 아트토이(11)의 눈 모양이 사라지고 돌출되게, 즉 입체적으로 선글라스가 나타나며, 얼굴 주변의 꽃잎 형태, 색상 및 무늬도 변경된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패션 콘셉트인 'On the Beach'를 클릭하여 미리보기를 적용하자, 도 8의 (b)와 같이, SD 아트토이(11)에서 선글라스가 사라지고 입체적으로 썬캡이 나타나며, 얼굴 주변의 꽃잎 색상이 초록 파스텔 톤에서 분홍 파스텔 톤으로 변경되고, 꽃잎 형태 및 무늬도 변경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패션 콘셉트를 구매하기 전에, 패션 콘셉트가 SD 아트토이(11)에 적용된 모습을 미리 확인할 수 있어, 원하는 디자인을 보다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콘셉트 결제부(120c)는 사용자가 패션 콘셉트에 대해 구매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패션 콘셉트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D 아트토이(11)에 패션 콘셉트가 미리보기로 적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SD 아트토이(11)에 나타난 구매 버튼을 누르면 미리보기로 적용된 해당 패션 콘셉트의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콘셉트 표시부(121)는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콘셉트를 SD 아트토이(11)에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콘셉트 표시부(121)는 사용자가 SD 아트토이(11)에 표시한 패션 콘셉트를 선택하도록, SD 아트토이(11)에 구매한 패션 콘셉트를 리스트로 나타내어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패션 콘셉트를 선택 받을 수 있다.
환경 반영부(122)는 주위 환경을 반영하여 패션 콘셉트를 변경할 수 있는데, 아이템 또는 디자인의 색상, 반짝임, 움직임, 형태, 개수, 무늬 배열 및 무늬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환경 반영부(122)는 감지부(122a) 및 콘셉트 변경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22a)는 SD 아트토이(11)의 주변 인테리어를 감지할 수 있는데, 카메라 등 시각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감지부(122a)는 시각 센서로 구성되어 SD 아트토이(11)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인테리어의 색상을 인식할 수 있다. 색상에 한정되지 않고, 인테리어의 분위기, 특징, 패턴 등을 인식하여 이를 반영할 수도 있다.
콘셉트 변경부(122b)는 인식된 인테리어의 색상 등에 따라 패션 콘셉트의 아이템 또는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데, 예로, 아이템 또는 디자인의 색상, 반짝임, 움직임, 형태, 개수, 무늬 배열 및 무늬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콘셉트 변경부(122b)는 패션 콘셉트의 변경을 완료함에 따라 SD 아트토이(11)가 기 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스처는 고갯짓, 몸짓, 손짓, 발짓, 회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SD 아트토이(11)의 패션 콘셉트를 주위 환경에 따라 변경하고자, 감지부(122a)를 구동시키는 버튼을 누르면, '인테리어를 인지 중 입니다.'라는 음성이 나오면서, 인식된 인테리어에 따라 패션 콘셉트의 디자인 색상이 분홍 파스텔 톤에서 하늘 파스텔 톤으로 변경된다. 패션 콘셉트의 변경이 완료됨에 따라 SD 아트토이(11)가 제스처를 취하여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메타버스부(123)는 SD 아트토이(11)와 사용자 단말(3)을 연동하고, 연동된 사용자 단말(3)에 SD 아트토이(11)의 아바타가 구현된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메타버스부(123)는 단말 연동부(123a), 메타버스 구현부(123b) 및 효과 설정부(123c)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연동부(123a)는 SD 아트토이(11)와 사용자 단말(3)을 연동시킬 수 있다.
메타버스 구현부(123b)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생성하고,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연동된 SD 아트토이(11)의 아바타를 구현하여, 사용자 단말(3)에 SD 아트토이(11)의 아바타가 구현된 메타버스 가상공간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을 통해 SD 아트토이(11)의 아바타가 구현된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체험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패션 콘셉트가 적용된 SD 아트토이(11) 모습 그대로 SD 아트토이(11)의 아바타가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구현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을 통해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접속해 패션 콘셉트가 적용된 아바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 동일한 SD 아트토이(11)가 배치되므로, 동일한 인테리어 제품을 적용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구현부(123b)는 SD 아트토이(11)에 표시되는 패션 콘셉트가 변경될 경우, SD 아트토이(11)의 아바타에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구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SD 아트토이(11)의 아바타를 업데이트 시킴에 따라 사용자 단말(3)에 알림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에 "'On the Beach'콘셉트가 가상공간에도 적용되었습니다"라는 알림이 울릴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효과 설정부(123c)는 사용자가 선택한 효과가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반영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효과는 음악, 배경, 가구, 소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효과 설정부(123c)는 효과 목록을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효과목록에서 효과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효과 설정부(123c)는 감지부(122a)로부터 얻은 인테리어 데이터로부터 벽 정보를 추출하여, 하나의 배경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현실공간의 실제 벽과 같은 배경을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 보다 동일한 인테리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효과가 설정됨에 따라, 도 13과 같이, 단말 연동부(123a)는 사용자 단말(3)을 통해 사용자가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설정된 효과 중 음악을 재생할 경우, SD 아트토이(11)에서 해당 음악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인터페이스 활성화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활성화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도안을 SD 아트토이(11)에 표시되도록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활성화부는 영역 설정부 및 그림판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 설정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SD 아트토이(11)의 활성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역 설정부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SD 아트토이(11)를 터치하면 SD 아트토이(11)의 활성화 영역이 설정되도록 한다.
그림판 제공부는 설정된 활성화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그림 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그림판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쓰는 것으로 도안을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도안이 SD 아트토이(1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제어 장치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에 대하여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메타버스 제공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은 콘셉트 제공 단계(S100), 콘셉트 표시 단계(S200), 환경 반영 단계(S300) 및 메타버스 제공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콘셉트 제공 단계(S100)는 제어부(12)가 SD 아트토이(11)에 패션 콘셉트를 미리보기로 나타내는 단계로, 미리보기단계 및 결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보기단계는 SD 아트토이(11)에 패션 콘셉트의 리스트를 나타내고, 리스트 중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콘셉트를 SD 아트토이(11)에 적용하여 미리보기로 보여줄 수 있다.
결제단계는 사용자가 패션 콘셉트에 대해 구매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패션 콘셉트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콘셉트 표시 단계(S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콘셉트를 SD 아트토이(11)에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환경 반영 단계(S300)는 주위 환경을 반영하여 SD 아트토이(11)에 적용된 패션 콘셉트를 변경하는 단계로, 감지단계 및 변경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단계는 SD 아트토이(11)의 주변의 인테리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인테리어의 색상을 인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변경단계는 감지된 주변의 인테리어에 따라 SD 아트토이(11)에 표시된 상기 패션 콘셉트의 아이템 또는 디자인의 색상, 반짝임, 움직임, 형태, 개수, 무늬 배열 및 무늬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변경단계는 패션 콘셉트의 변경이 완료됨에 따라, SD 아트토이(11)를 동작시켜 제스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메타버스 제공 단계(S400)는 SD 아트토이(11)와 사용자 단말(3)을 연동하고, 연동된 사용자 단말(3)에 SD 아트토이(11)의 아바타가 구현된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S400 단계는 단말 연동 단계(S410), 메타버스 구현 단계(S420) 및 효과 설정 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연동 단계(S410)는 SD 아트토이(11)와 사용자 단말(3)을 연동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3)에 연동된 SD 아트토이(11)가 아바타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에 제공되는 메타버스 가상공간에서 재생되는 음악이 SD 아트토이(11)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메타버스 구현 단계(S420)는 SD 아트토이(11)의 아바타가 구현된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3)에 전달하여 메타버스 가상공간이 출력되도록 한다.
효과 설정 단계(S430)는 사용자 단말(3)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효과를 선택 받아,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반영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S400 단계는 음악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악 재생 단계는 사용자 단말(3)을 통해 사용자가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설정된 효과 중 음악을 재생할 경우, SD 아트토이(11)에서 해당 음악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아트토이 장치를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연동하여 동일하게 배치시킴으로써, 현실공간과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동일한 인테리어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콘셉트에 따라 다양하고 입체적인 형태의 표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주위 환경(인테리어 등)을 인식하여 무드에 맞게 색상 등이 변경될 수 있어, 심미성 및 환경 조화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적용된 음악을 SD 아트토이 장치를 통해 청취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SD 아트토이 장치
11: SD 아트토이
12: 제어부
120: 콘셉트 제공부
120a: 리스트 제공부
120b: 미리보기 표시부
120c: 콘셉트 결제부
121: 콘셉트 표시부
122: 환경 반영부
122a: 감지부
122b: 콘셉트 변경부
123: 메타버스부
123a: 단말 연동부
123b: 메타버스 구현부
123c: 효과 설정부
2: 패션 브랜드 서버
3: 사용자 단말

Claims (12)

  1.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SD) 아트토이 장치로써,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로 형성되는 SD 아트토이 및
    상기 SD 아트토이에 패션 콘셉트에 따라 돌출된 형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SD 아트토이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고,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SD 아트토이의 아바타가 구현된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SD 아트토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패션 콘셉트를 제공하는 패션 브랜드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SD 아트토이에 상기 패션 콘셉트를 미리보기로 나타내는 콘셉트 제공부;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콘셉트를 상기 SD 아트토이에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콘셉트 표시부;
    주위 환경을 반영하여 상기 패션 콘셉트를 변경하는 환경 반영부 및
    상기 SD 아트토이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하고,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SD 아트토이의 아바타가 구현된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메타버스부를 포함하는 SD 아트토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셉트 제공부는,
    상기 SD 아트토이에 상기 패션 콘셉트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리스트 제공부;
    상기 리스트 중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콘셉트를 상기 SD 아트토이에 적용하여 미리보기로 보여주는 미리보기 표시부 및
    사용자가 상기 패션 콘셉트에 대해 구매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패션 콘셉트의 결제를 진행하는 콘셉트 결제부를 포함하는 SD 아트토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반영부는,
    상기 SD 아트토이의 주변의 인테리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주변의 인테리어에 따라 상기 SD 아트토이에 표시된 상기 패션 콘셉트의 아이템 또는 디자인의 색상, 반짝임, 움직임, 형태, 개수, 무늬 배열 및 무늬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콘셉트 변경부를 포함하는 SD 아트토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부는,
    상기 SD 아트토이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는 단말 연동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SD 아트토이의 아바타를 구현하여 상기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출력하는 메타버스 구현부 및
    사용자가 선택한 효과가 상기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반영되도록 설정하는 효과 설정부를 포함하는 SD 아트토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연동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설정된 효과 중 음악을 재생할 경우 상기 SD 아트토이에서 해당 음악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 아트토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도안을 상기 SD 아트토이에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인터페이스 활성화부를 더 포함하는 SD 아트토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SD 아트토이의 활성화 영역을 설정하는 활성화 영역 설정부 및
    설정된 활성화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그림 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그림판을 활성화하는 그림판 제공부를 포함하는 SD 아트토이 장치.
  9.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SD) 아트토이 장치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에 있어서,
    SD 아트토이에 패션 콘셉트를 미리보기로 나타내는 콘셉트 제공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콘셉트를 상기 SD 아트토이에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콘셉트 표시 단계;
    주위 환경을 반영하여 상기 패션 콘셉트를 변경하는 환경 반영 단계 및
    상기 SD 아트토이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하고,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SD 아트토이의 아바타가 구현된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메타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셉트 제공 단계는,
    상기 SD 아트토이에 상기 패션 콘셉트의 리스트를 나타내고, 상기 리스트 중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콘셉트를 상기 SD 아트토이에 적용하여 미리보기로 보여주는 미리보기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패션 콘셉트에 대해 구매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패션 콘셉트의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반영 단계는,
    상기 SD 아트토이의 주변의 인테리어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및
    감지된 주변의 인테리어에 따라 상기 SD 아트토이에 표시된 상기 패션 콘셉트의 아이템 또는 디자인의 색상, 반짝임, 움직임, 형태, 개수, 무늬 배열 및 무늬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변경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제공 단계는,
    상기 SD 아트토이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는 단말 연동 단계;
    상기 SD 아트토이의 아바타가 구현된 상기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메타버스 구현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효과를 선택 받아, 상기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반영되도록 설정하는 효과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제공 방법.
KR1020220020157A 2022-02-16 2022-02-16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 KR20230123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157A KR20230123246A (ko) 2022-02-16 2022-02-16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157A KR20230123246A (ko) 2022-02-16 2022-02-16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246A true KR20230123246A (ko) 2023-08-23

Family

ID=8784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157A KR20230123246A (ko) 2022-02-16 2022-02-16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324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475A (ko) 2017-03-29 2018-10-10 한국과학기술원 질감 표현을 위한 투명 햅틱 인터페이스 장치
KR102129215B1 (ko) 2019-12-17 2020-07-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층구조 스마트 물질 모듈 기반 3d 형상 변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475A (ko) 2017-03-29 2018-10-10 한국과학기술원 질감 표현을 위한 투명 햅틱 인터페이스 장치
KR102129215B1 (ko) 2019-12-17 2020-07-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층구조 스마트 물질 모듈 기반 3d 형상 변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5462B2 (ja) 発光ユーザ入力デバイス
CN110832441B (zh) 用于虚拟、增强和混合现实显示系统的键盘
US9542067B2 (en) Panel system for use as digital showroom displaying life-size 3D digital objects representing real products
US104742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affective touch
US9906856B2 (en) Hand-hel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80204420A1 (en) Low relief tactile interface with visual overlay
WO2015121969A1 (ja) 触感提供装置、及び、システム
CN102934069A (zh) 自动变形自适应用户接口装置和方法
US201801648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liance Illusions With Haptics
JPWO2008111245A1 (ja) 仮想感覚提示装置
EP33672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affective touch
Maeda et al. Fingeret: a wearable fingerpad-free haptic device for mixed reality
Wischgoll et al. Display infrastructure for virtual environments
KR20230123246A (ko)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sd 아트토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공 방법
JP6218221B2 (ja) 毛状で柔軟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Zhang et al. Pulling, pressing, and sensing with In-Flat: Transparent touch overlay for smartphones
US20220383601A1 (en) Virtual avatars and physical object interaction i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JP4427968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型形状及び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02657181B1 (ko) 영상 제공 장치와 연동되는 메타버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94173A (ko) 특정 모션 패턴디자인 범위설정 에디터 및 그 방법
KR20230125416A (ko)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
KR102665099B1 (ko)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스피커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TWI778621B (zh) 智慧型穿戴系統及其實境訓練學習方法
KR20230123550A (ko) 커뮤니케이션용 디지털 아트 토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JP7371820B1 (ja) アニメーション操作方法、アニメーション操作プログラム及びアニメーション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