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416A -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416A
KR20230125416A KR1020220022011A KR20220022011A KR20230125416A KR 20230125416 A KR20230125416 A KR 20230125416A KR 1020220022011 A KR1020220022011 A KR 1020220022011A KR 20220022011 A KR20220022011 A KR 20220022011A KR 20230125416 A KR20230125416 A KR 20230125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stretchable display
button
use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한영
정승은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2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416A/ko
Publication of KR20230125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단 패널 내부에 복수개의 핀이 구비되고,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핀이 각각 상하로 돌출 또는 침강 작동되어 상기 상단 패널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핀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의 기능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STRETCH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PUT FUNCTION UIS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마련되는 입력 버튼 위치가 돌출 또는 침강 작동하여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인터랙션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간과 단말기기 사이에서 다양한 감각 수단을 이용하여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인터랙션은 사용자가 음성, 키보드, 펜 등으로 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음성, 그래픽, 음악 및 멀티미디어 등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종래의 가상 실험 등에서 이용되는 인터랙션은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하거나, 영상 내에 마련되는 영역을 선택하여, 사전에 준비되는 영상을 재생하는 등의 형태가 대부분이다.
또한, 인터랙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는 접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 수 있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만든 구부리거나 접어도 똑같은 화질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이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 없으므로 매우 얇다. 또한,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합하다.
플렉서블 OLED와 일반 OLED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기판(Substrate)에 사용하는 소재로 유리가 아닌 PI(Polyimide),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굴곡성이 좋고, 높은 열을 견디며, 충격에 강하기 때문에 구부리거나 휘어도 깨지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에서도 화면이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 일례로, 도 1(a)를 참조하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는 스트레처블 기판(100)은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보이드 기판(130) 및 하부 기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은, 그래핀(graphene)을 이용한 투명 유연 전극 또는 나노 와이어(nanowire)를 이용한 투명 유연 전극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각각 그래핀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투명 유연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레처블 기판(100)이 결합된 OLED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색상은 스트레처블 기판(100)의 방해없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보이드 기판(130)의 보이드 간격 및 높이를 조절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는 입체적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전극(110)은, 보이드 기판(130)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보이드 기판(130)에는 제1 전극(110)에 형성된 전극이 패터닝될 수 있다. 이에 따른, 보이드 기판(130)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보이드 패턴을 갖는 고분자 필름으로서, 엘라스토머를 갖는 기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보이드 패턴을 갖는 보이드 기판(130)은, 부분적인 표면 단차를 발생시키기 위해, 보이드 기판(130)에 형성된 각각의 보이드의 위치에 따라 패터닝되며, 전기적인 입력에 따라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변형하기 위해, 보이드 기판(130)의 표면 모폴로지(surface morphology)를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을 고려한 형상이 입체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제2 전극(120)은, 하부 기판(14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기판(140)에는 제2 전극(120)에 형성된 전극이 패터닝될 수 있다. 이에 따른, 하부 기판(140)은 엘라스토머 기판, 유리 기판 또는 PET(PolyEthylene Terepthhalete)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전극(120)에는 하나의 전압이 인가되거나, 복수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극(120)에 하나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보이드 기판(130)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에 따라 하부 기판(140)을 동일한 높이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2 전극(120)에 복수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보이드 패턴마다 상이한 높이로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b)를 참조하면, 제1 전극(110)에는 +전극이 패터닝되고, 제2 전극(120)에는 -전극이 패터닝되어 각각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에 연결된 제어부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즉, 제어부를 이용하여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도록 전압의 세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제어부에서 설정된 전압이 인가되거나,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을 입체적인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이 제어부에서 설정된 전압으로 인가되면,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 사이에 맥스웰 스트레스(Maxwell stress)가 발생한다. 맥스웰 스트레스는 보이드의 높이 방향으로 발생하고, 이를 토대로, 보이드의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 사이에 발생하는 맥스웰 스트레스는 종래에 알려진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에 전압이 인가되어 맥스웰 스트레스 즉, 전기적 인력이 발생하면,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은 인접하고, 각 전극 간 누르는 힘에 의해 보이드 기판(130)의 표면 모폴러지가 변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이 투명 유연 전극으로 마련되며, 보이드 기판(130)의 표면 모폴러지 변형에 따라 제1 전극 및 제2 전극도 변형되어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보이드 기판(130) 및 하부 기판(140)으로 마련된 스트레처블 기판(10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기 위해,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설정하고, 설정한 전압을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에 인가하여 스트레처블 기판(1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이 입체적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하고, 발생한 인력에 따라 보이드 기판(130)의 보이드 높이가 변형되어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보이드 기판(130) 및 하부 기판(140)이 변형되어 스트레처블 기판(100)이 결합된 디스플레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이 입체적인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스트레처블 기판(100)을 이용하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마련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로 변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형상, 패턴 및 재질이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처블 기판(100)의 구성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0475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2(a)를 참조하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는 스트레처블 기판(100)은 제1 연결 전극(160), 제2 연결 전극(170) 및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트레처블 기판(100)은 제1 연결 전극(160) 및 제2 연결 전극(170)이 복수 층으로 마련되어 전기활성폴리머(Electroactive Poltmer, EAP) 기판(150) 양면에 각각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은 전압이 인가되면 전극 쪽으로 변형되어 두께가 조절되는 기판으로서, 전압이 인가되면, 전압이 인가된 전극 방향으로 압축되어 두께가 얇아지고, 전압이 제거되면, 자체 탄성에 의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특성을 가지는 기판이다.
이에 따라, 도 2(b)를 참조하면,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은 제1 연결 전극(160) 및 제2 전극(270)에 연결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두께가 변형될 수 있고,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에 따라 제1 연결 전극(160) 및 제2 연결 전극(170)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설정하여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의 두께를 변형할 수 있다.
한편, 스트레처블 기판(100)은 제1 연결 전극(160), 제2 연결 전극(170) 및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으로 마련되는 경우,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 사각 형태의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이 복수 개 연결되어, 각각의 제1 연결 전극(160) 및 제2 연결 전극(170)이 적층되는 하나의 기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은,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을 입체적 형태로 돌출되기 위해,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사각형 형태로 마련되고, 미세한 직경으로 마련된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 연결된 형태로 마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미세한 직경을 가진 복수 개의 전기활성폴리머 기판(150)의 제1 연결 전극(160) 및 제2 연결 전극(170)의 전압 세기를 각각 달리 설정하고, 각각 달리 설정된 전압을 각각의 제1 연결 전극(160) 및 제2 연결 전극(170)에 인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재질이 스트레처블 기판(100)에 입체적인 형태로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트레처블 기판(10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세한 직경으로 마련된 전기활성폴리 기판(250)이 제어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이 입체적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또 다른 일례의 스트레처블 기판(100)을 이용하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마련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패턴 및 재질로 변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형상, 패턴 및 재질이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또 다른 일례의 스트레처블 기판(100)의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9215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상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발명은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이를 이용하는 활용 기술은 연구되지 않아 이에 대한 활용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04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9215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마련되는 입력 버튼 위치가 돌출 또는 침강 작동하여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인터랙션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단 패널 내부에 복수개의 핀이 구비되고,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핀이 각각 상하로 돌출 또는 침강 작동되어 상기 상단 패널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핀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의 기능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기능 및 사용자로부터 추가 설정되는 기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복수개의 핀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핀 일부가 상하로 돌출 또는 침강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핀이 동시에 일부 돌출되고 일부 침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의 돌출 또는 침강 높이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입체적으로 구현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구현되는 터치 버튼, 돌출 또는 침강 버튼 및 복합 버튼의 형상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는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랙션 방식의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 입력시 진동 또는 기 설정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핀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여 활성화된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입력 버튼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하며, 사용자 입력 버튼의 기능을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핀의 높이를 상이하게 제어하여 상기 상단 패널이 다양한 재질의 표면으로 구현되도록 하거나 출력되는 이미지가 입체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 거리 내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은, 제어부가 사용자 입력 버튼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 상단 패널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핀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상단 패널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입력 버튼의 기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능 및 사용자로부터 추가 설정되는 기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복수개의 핀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핀 일부가 상하로 돌출 또는 침강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핀이 동시에 일부 돌출되고 일부 침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핀의 돌출 또는 침강 높이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입체적으로 구현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구현되는 터치 버튼, 돌출 또는 침강 버튼 및 복합 버튼의 형상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는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랙션 방식의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 입력시 진동 또는 기 설정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핀을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핀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여 활성화된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입력 버튼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하며, 사용자 입력 버튼의 기능을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설정 거리 내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신호에 따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마련되는 입력 버튼 위치가 돌출 또는 침강 작동하여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인터랙션 기능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심미성까지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개인이 원하는 대로 버튼의 기능, 위치 및 입력 방식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고, 버튼을 2D 및 2.5D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되는 다양한 기기에서 다양한 입력 수단 형태로 응용될 수 있어 적용 분야가 매우 광범위해질 수 있다.
도 1a는 입체적 형상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구조 도면이다.
도 1b는 입체적 형상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대한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2a는 입체적 형상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단면 도면이다.
도 2b는 입체적 형상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돌출 형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의 구현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침강 형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의 구현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돌출과 침강 복합 형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의 구현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의 적용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돌출 형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의 구현 예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침강 형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의 구현 예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돌출과 침강 복합 형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의 구현 예시 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화면이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로 마련되어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 커스터마이징 된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 제어부(220), 저장부(230) 및 통신부(24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버튼 제공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제어부(220), 저장부(230) 및 통신부(240)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별도의 단말이거나 또는 일부 모듈일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 제어부(220), 저장부(230) 및 통신부(240)의 구성은 통합 모듈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각 구성은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는 화면이 탄력적으로 늘어나고, 상단 패널(211) 내부에 복수개의 핀(212)이 구비되며, 제어부(22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핀(212)이 각각 상하로 돌출 또는 침강 작동되어 상단 패널(211)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한다.
이때,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현되는 터치 버튼, 돌출 또는 침강 버튼 및 복합 버튼의 형상으로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각각 돌출 형상, 침강 형상 및 돌출과 침강이 복합된 형상으로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는 사물과 사물 사이 또는 사물과 사용자 사이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인터페이스(interface) 또는 사용자 간 커뮤니케이션 뿐만 아니라 서로 간 행위의 소통 자체를 위한 인터랙션(interaction) 방식의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방식의 입력 기능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의 일부에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이 2D 형태의 터치 버튼 또는 누름 버튼 등으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기능, 태블릿 PC 등과 연동하여 커버 화면에서 알림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양면 사용 기능, 서로 다른 형태 및 크기가 형태가 자동으로 맞춰지는 반응형 인터페이스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방식의 입력 기능은 사용자 입력 버튼이 2.5D 형태의 터치 버튼, 돌출 버튼, 침강 버튼 및 돌출과 침강이 복합된 복합 버튼 등으로 제공되어, 내부 화면을 이용한 태블릿 PC의 사용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확장과 연동 멀티 윈도우 기능, 사용자 맞춤형으로 버튼의 위치 및 기능을 설정하는 버튼 커스터마이징 기능, 메타버스 게임 아바타가 2.5D 형상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에게 대화를 유도하는 입체 알림 기능, 형태 변경시 블러링하고 형태 변경 완료 후 형태에 맞추어 패턴 이미지를 새롭게 픽셀라이즈하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블러링과 픽셀라이즈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인터랙션 방식의 입력 기능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의 일부에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이 2D 형태의 모션 인식 버튼, 터치 버튼, 누름 버튼 등으로 제공되어, 스마트폰 앱 별로 호출 인터랙션 패턴을 설정하는 호출 패턴 설정 기능,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스마트폰의 메신저, 뮤직 플레이어 및 일정 관리 등의 앱을 실행 및 조작하는 연동 조작 기능, 사용자의 손 모양 인터랙션을 통해 페이지를 이동하고 정보를 확인하는 손모양 모션 인식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랙션 방식의 입력 기능은 사용자 입력 버튼이 2.5D 형태의 터치 버튼, 돌출 버튼, 침강 버튼 및 돌출과 침강이 복합된 복합 버튼 등으로 제공되어, 물리적인 키보드 형상으로 터치 버튼을 제공하는 키보드 돌출 기능, 사용자 맞춤형으로 버튼의 위치 및 기능을 설정하는 버튼 돌출 커스터마이징 기능, 사용자의 손 위치에 적합한 컨트롤러 버튼을 생성하거나 게임의 유형별 사용자의 손 모양 위치에 따른 물리적 버튼 생성과 햅틱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손 위치에 따른 버튼 돌출 기능, 근접한 사용자 인식 시 인터페이스를 돌출하는 사용자 인식에 따른 버튼 돌출 기능, 상황에 맞는 입체적인 버튼 도출 기능, 상황에 맞는 침강 버튼 도출 기능, 상황에 맞는 복합 버튼 도출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는 제어부(220)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 입력 버튼 입력시 진동 또는 기 설정된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시 진동하는 햅틱 기능 및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이펙트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사용자 입력 버튼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개의 핀(212)을 제어하고, 사용자 입력 버튼의 기능을 처리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기 설정된 기능 및 사용자로부터 추가 설정되는 기능에 대응하여 사용자 입력 버튼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핀(212)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핀(212) 일부가 상하로 돌출 또는 침강되도록 제어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핀(212)이 동시에 일부 돌출되고 일부 침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핀(212)의 돌출 또는 침강 높이를 제어하여 사용자 입력 버튼이 입체적으로 구현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별로 돌출 또는 침강 높이를 제어하여 구현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이 더욱 입체적으로 보여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핀(212)의 높이를 제어하여 사용자 입력 버튼이 입체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은, 종래의 보이드 기판의 보이드 간격 및 높이를 조절하여 입체적인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과 유사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보이드 높이를 조절하여 전극에 접해지는 종래의 발명과는 다르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핀(212)의 높이에 상관없이 핀(212) 자체가 전기적 기능을 하고 있으므로 이와는 전혀 다르게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복수개의 핀(212)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여 활성화된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입력 버튼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하며, 사용자 입력 버튼의 기능을 추가 및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각각의 핀(212)의 높이를 상이하게 제어하여 사용자 입력 버튼의 기능 이외에도 상단 패널(211)이 다양한 재질의 표면으로 구현되도록 하거나 출력되는 이미지가 입체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어부(220)가 상단 패널(211) 내부에 촘촘하게 구비된 각각의 핀(212)을 돌출(핀 높이 상승)과 침강(핀 높이 하강)이 순차 반복되도록 제어하면 상단 패널(211)이 오돌토돌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돌출과 침강 주기를 조절하면 상단 패널(211)의 표면이 다양한 재질로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출력되는 이미지의 픽셀 부분에 해당하는 핀(212)을 돌출 제어하여 상단 패널(211)에서 원하는 이미지 또는 패턴 부분만 2.5D 형상으로 돌출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기 설정 거리 내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사용자 입력 버튼이 활성화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추가 설정되거거나 최근 설정된 기능들을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통신부(240)는 타 단말 또는 기기와의 신호를 송수신하여 제어부(220)에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먼저 화면이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20)가 사용자 입력 버튼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0).
S10 단계에서 제어부(220)는 기 설정된 기능 및 사용자로부터 추가 설정되는 기능에 대응하여 사용자 입력 버튼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복수개의 핀(212)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복수개의 핀(212) 일부가 상하로 돌출 또는 침강되도록 제어하거나 복수개의 핀(212)이 동시에 일부 돌출되고 일부 침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기 설정 거리 내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사용자 입력 버튼이 활성화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핀(212)의 돌출 또는 침강 높이를 제어하여 사용자 입력 버튼이 입체적으로 구현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제어부(220)가 S10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 상단 패널(211)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핀(212)을 제어한다(S20).
이때,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복수개의 핀(212)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여 활성화된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입력 버튼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하며, 사용자 입력 버튼의 기능을 추가 및 삭제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가 S10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단 패널(211)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한다(S30).
이때, S30 단계는 S10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현되는 터치 버튼, 돌출 또는 침강 버튼 및 복합 버튼의 형상으로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는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랙션 방식의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방식의 입력 기능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의 일부에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이 2D 형태의 터치 버튼 또는 누름 버튼 등으로 제공되거나, 2.5D 형태의 터치 버튼, 돌출 버튼, 침강 버튼 및 돌출과 침강이 복합된 복합 버튼 등으로 제공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랙션 방식의 입력 기능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의 일부에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이 2D 형태의 모션 인식 버튼, 터치 버튼, 누름 버튼 등으로 제공되거나, 2.5D 형태의 터치 버튼, 돌출 버튼, 침강 버튼 및 돌출과 침강이 복합된 복합 버튼 등으로 제공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는 제어부(220)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 입력 버튼 입력시 진동 또는 기 설정된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사용자로부터 S30 단계에서 제공한 사용자 입력 버튼이 입력되면, 제어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 버튼의 기능을 처리한다(S40, S50).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의 적용 예이다.
먼저, 도 8은 차량 스티어링 장치(20) 일측에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적용되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들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에서와 같이 차량 스티어링 장치(20)에 적용되는 스트레처블 장치(200)를 통해 기 설정된 옵션을 수행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커스마이징된 사용자 입력 버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는, 사용자 입력 버튼으로 사용자 맞춤형으로 버튼의 위치 및 기능을 설정하는 버튼 커스터마이징 기능으로 제공되는 2.5D 형상의 인터페이스 입력 방식, 상황에 맞는 입체적인 버튼 도출 기능, 햅틱 및 사운드 효과 기능을 제공하는 2.5D 형상의 인터랙션 입력 방식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는 셀러브리티 NPC가 구비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인공지능 스피커 장치(30)에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적용되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들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9에서와 같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인공지능 스피커 장치(30)에 적용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손을 흔드는 형태로 변형된 셀러브리티 NPC를 2.5D(pseudo-3D)형태로 출력하고, 셀러브리티 NPC 모델의 음성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인사말을 같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은 영상 제공 장치(40)와 연동되는 메타버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제공 장치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들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0에서와 같이 영상 제공 장치(40)와 연동되는 메타버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제공 장치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게임 아바타가 돌출되는 형태로 출력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버튼 제공부(210)는 외부 장치의 아바타를 돌출되는 형태로 출력하되, 버튼 제어부(230)에서 변환된 음성 정보도 더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게임 알람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기기에서 다양한 입력 수단 형태로 응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은 제어 신호에 따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마련되는 입력 버튼 위치가 돌출 또는 침강 작동하여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인터랙션 기능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심미성까지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개인이 원하는 대로 버튼의 기능, 위치 및 입력 방식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고, 버튼을 2D 및 2.5D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되는 다양한 기기에서 다양한 입력 수단 형태로 응용될 수 있어 적용 분야가 매우 광범위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스트레처블 기판 110 : 제1 전극
120 : 제2 전극 130 : 보이드 기판
140 : 하부 기판 150 : 전기활성폴리머 기판
160 : 제1 연결 전극 170 : 제2 연결 전극
200 :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210 :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
211 : 상단 패널 212 : 핀
220 : 제어부 230 : 저장부
240 : 통신부

Claims (17)

  1. 화면이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단 패널 내부에 복수개의 핀이 구비되고,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핀이 각각 상하로 돌출 또는 침강 작동되어 상기 상단 패널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핀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의 기능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기능 및 사용자로부터 추가 설정되는 기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복수개의 핀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핀 일부가 상하로 돌출 또는 침강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핀이 동시에 일부 돌출되고 일부 침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의 돌출 또는 침강 높이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입체적으로 구현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구현되는 터치 버튼, 돌출 또는 침강 버튼 및 복합 버튼의 형상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는,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랙션 방식의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 입력시 진동 또는 기 설정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핀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여 활성화된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입력 버튼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하며, 사용자 입력 버튼의 기능을 추가 및 삭제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핀의 높이를 상이하게 제어하여 상기 상단 패널이 다양한 재질의 표면으로 구현되도록 하거나 출력되는 이미지가 입체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 거리 내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화면이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사용자 입력 버튼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 상단 패널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핀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상단 패널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입력 버튼의 기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기능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능 및 사용자로부터 추가 설정되는 기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복수개의 핀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핀 일부가 상하로 돌출 또는 침강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핀이 동시에 일부 돌출되고 일부 침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기능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핀의 돌출 또는 침강 높이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입체적으로 구현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기능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구현되는 터치 버튼, 돌출 또는 침강 버튼 및 복합 버튼의 형상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을 제공하는 입력 기능 제공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는,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랙션 방식의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입력 기능 제공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 입력시 진동 또는 기 설정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입력 기능 제공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핀을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핀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여 활성화된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입력 버튼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하며, 사용자 입력 버튼의 기능을 추가 및 삭제하는 입력 기능 제공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설정 거리 내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기능 제공 방법.
KR1020220022011A 2022-02-21 2022-02-21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 KR20230125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011A KR20230125416A (ko) 2022-02-21 2022-02-21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011A KR20230125416A (ko) 2022-02-21 2022-02-21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416A true KR20230125416A (ko) 2023-08-29

Family

ID=8780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011A KR20230125416A (ko) 2022-02-21 2022-02-21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541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475A (ko) 2017-03-29 2018-10-10 한국과학기술원 질감 표현을 위한 투명 햅틱 인터페이스 장치
KR102129215B1 (ko) 2019-12-17 2020-07-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층구조 스마트 물질 모듈 기반 3d 형상 변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475A (ko) 2017-03-29 2018-10-10 한국과학기술원 질감 표현을 위한 투명 햅틱 인터페이스 장치
KR102129215B1 (ko) 2019-12-17 2020-07-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층구조 스마트 물질 모듈 기반 3d 형상 변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375B1 (ko) 능동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능동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5519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through gestures in real space and providing associated haptic effects
US201801303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 Surface Elements
JP2019050003A (ja) 触覚セルのアレイを用いた有形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インタラクション及びジェスチャのシミュレーション
US9921737B2 (en)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742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affective touch
CN109076009B (zh) 触觉信息提供方法及触觉信息提供装置
EP358207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lized haptic effects to a display screen
CN102934069A (zh) 自动变形自适应用户接口装置和方法
CN104641322A (zh) 用于提供局部反馈的用户终端装置及其方法
KR20180110475A (ko) 질감 표현을 위한 투명 햅틱 인터페이스 장치
CN105122187A (zh) 组合显示面板电路
US201801648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liance Illusions With Haptics
KR20150126285A (ko)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KR102657681B1 (ko) 화면의 부분 영역을 빠르게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77813A (ko) 표시 장치와 그의 햅틱 피드백 방법
US11928260B2 (e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positions with different pressure value
EP33672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affective touch
JP2019514150A (ja) 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KR20230125416A (ko)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기능 제공 방법
JP2015207242A (ja) 電子機器
KR20210119002A (ko) 전자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120068416A (ko) 시촉각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구비한 단말
KR102657181B1 (ko) 영상 제공 장치와 연동되는 메타버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57178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일측에 마련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옵션 버튼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