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167B1 -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제어밸브 - Google Patents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167B1
KR102657167B1 KR1020190148823A KR20190148823A KR102657167B1 KR 102657167 B1 KR102657167 B1 KR 102657167B1 KR 1020190148823 A KR1020190148823 A KR 1020190148823A KR 20190148823 A KR20190148823 A KR 20190148823A KR 102657167 B1 KR102657167 B1 KR 102657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water column
control valve
support
vibr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2750A (ko
Inventor
최종수
김길원
조수길
이정기
김경환
고태경
박세완
찬 노
임창혁
박지용
김성순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48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1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2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wave movements to drive a motor or turb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04Valv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5/00Controlling
    • F03B15/02Controlling by varying liquid flow
    • F03B15/04Controlling by varying liquid flow of turbines
    • F03B15/06Regulating, i.e. acting automa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는, 해상에서 발생되는 파랑에 의해 해수가 유입되고 유출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구조물에 마련되는 진동수주챔버; 상기 진동수주챔버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유동되는 유체가 외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구조물에 마련되는 유체이동로; 상기 유체이동로로 유동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생산하도록 상기 유체이동로의 내부에 마련되는 발전터빈; 상기 발전터빈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발전터빈 쪽에 배치되는 제1 덕트와 상기 진동수주챔버 쪽에 배치되는 제2 덕트로 이루어진 유량제어덕트; 및 상기 제어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진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유체이동로 내부에,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진동수주챔버 쪽에 배치되는 제2 덕트 사이에 마련되는 중공형의 외부 지지체 및 상기 외부 지지체의 정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지지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환형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부 지지체로 이루어진 지지체; 상기 내부 지지체를 중심으로 상기 유로에 방사형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외부 지지체와 내부 지지체 사이에 회전지지 되어 설정된 각도 내에서 회전 작동하여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다수개의 베인들;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베인들을 동시에 개폐 작동시키도록 상기 지지체에 마련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제어밸브{FLOW CONTROL VALVE FOR OSCILLATING WATER COLUMN WAVE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에서 터빈을 작동시키는 유체(공기)의 통과량을 파랑에너지의 변동성에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밸브를 제공함은 물론, 유량제어밸브를 정격 제어하여 터빈의 정격 발전용량, 즉 파랑에너지의 변동성에도 발전량이 정격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력발전 장치는 해상에서 발생되는 파랑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한 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것으로, 현재 환경을 고려한 에너지 사용에 관한 필요성이 급격히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태양에너지와 함께 무한 청정에너지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 친화적인 파력발전 장치는 파랑운동에너지를 변환하는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수면에 떠 있는 부체가 파랑의 운동에 의하여 상하 또는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여 발전기를 가동시키는 가동물체형 방식과, 파랑의 작용에 의하여 유체실 내의 수위가 변동함에 따라 유체실 내의 유체가 압축, 팽창될 때 노즐을 통하여 발생하는 유체 흐름으로 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진동수주방식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파력발전 설비는 해양플랜트로 제작하므로 제작비가 비싸고 유지관리가 어려워 발전 단가가 상승하였고 이로 인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으며, 챔버의 스커트 길이가 고정되어 있는 파력발전 설비의 경우 조수간만의 차가 큰 해상의 환경에서는 정수면의 위치가 낮아지면 발전성능이 저하 또는 파력발전으로 인한 발전이 중지되고, 해양플랜트로 설치되는 가동물체형 파력발전은 발전설비의 단가가 높고 발전설비를 해저에 고정하는 장치의 완충으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은 파랑에너지를 유체의 유동에너지로 변환하고, 유체의 유동에너지를 이용하여 터빈등의 회전을 통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하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은 파랑에너지의 편차에 따라 터빈으로 이동되는 유체의 유량이 변함으로써 터빈을 통한 전력 생산량이 불규칙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파랑에 의한 파고, 파주기 등에 따른 파력의 변화에 따라 안정적으로 정격용량의 전력을 생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의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85907호(공고일 : 2011.11.22)에는 파랑을 가지는 유체에 의해 하부면이 마감되는 유체챔버를 구비하고, 파랑에 의한 유체챔버 내의 유체 유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에 있어서, 기둥지지체의 상측에 고정되며 그 크기가 변하는 가변형 유체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가변형 유체챔버는, 제 1챔버부와, 상기 제 1챔버부에 결합된 상태로 전·후진 이동하여 유체챔버의 내부폭을 변화시키는 제 2챔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는, 유체 챔버의 크기를 변화시켜, 유체 챔버의 내부 부피를 가변시킴으로써, 파랑에 의한 파고, 파주기 등의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71249호(공고일 : 2018.06.27)에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의 가변형 챔버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변형 챔버를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는, 챔버를 구성하는 스커트가 정수면에서 수면의 하부로 잠기는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파랑에 의한 최적의 발전 효율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들은, 구조물의 구조가 변경되어야 함으로써, 초기 시공비용이 상승하고 공시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챔버 내부의 체적을 가변시키야 함으로써,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과, 파랑의 급격한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85907호(공고일 : 2011.11.22)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71249호(공고일 : 2018.06.27)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에서 터빈을 작동시키는 유체의 통과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어하여 유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챔버로 입사되는 파랑에너지의 변동성에도 발전량이 정격값이하로 유지되도록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해상에서 발생되는 파랑에 의해 해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구조물에 마련되는 진동수주챔버; 상기 진동수주챔버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유동되는 유체를 외부로 안내하도록 제1,2 덕트로 이루어진 유량제어덕트를 구비하여 상기 구조물에 마련되는 유체이동로; 상기 유체이동로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생산하도록 상기 유량제어덕트 또는 상기 유체이동로에 마련되는 발전터빈; 상기 발전터빈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유량제어덕트에 마련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제어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진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유체이동로 내부에,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진동수주챔버 쪽에 배치되는 제2 덕트 사이에 마련되는 중공형의 외부 지지체 및 상기 외부 지지체의 정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지지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환형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부 지지체로 이루어진 지지체; 상기 내부 지지체를 중심으로 상기 유로에 방사형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외부 지지체와 내부 지지체 사이에 회전지지 되어 설정된 각도 내에서 회전 작동하여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다수개의 베인들;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베인들을 동시에 개폐 작동시키도록 상기 지지체에 마련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외부 지지체의 외주면에, 상기 베인들과 대응되는 수로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부 지지체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기 베인들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여 상기 베인들을 개폐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1 엑츄에이터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동수단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지지체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형 회전 지지체; 상기 외부 지지체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기 베인들의 각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 결합 되는 각각의 제1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축 결합되는 각각의 제2 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 지지체에 고정 결합되는 각각의 제3 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 지지체를 연결하는 링크부; 및 일단이 상기 회전 지지체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타단에 축 결합되는 작동로드를 구비하여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드를 밀고 당기는 작동으로 상기 회전 지지체를 설정된 각도 내에서 정회전 및 역회전시켜 상기 베인들을 개폐 작동시키기 위한 제2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진 개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회전 지지체의 양쪽에 각각 구비되고, 한쪽의 제2 엑츄에이터가 미는 작동을 할 때 반대쪽의 제2 엑츄에이터는 당기는 작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인들은, 상기 외부 지지체 쪽에서 상기 내부 지지체 쪽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터빈을 기준으로, 상기 진동수주챔버 측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챔버측 압력계; 및 상기 발전터빈의 외부측 압력을 감지하도기 위한 외부측 압력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챔버측 압력계가 감지한 챔버측 압력값에서 상기 외부측 압력계가 감지한 입구측 압력값을 뺀 압력 차이의 절대값을 산출한 후 상기 압력 차이의 절대값을 기 저장된 압력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압력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압력 기준값과 같거나 작으면 상기 베인이 원점 상태를 유지하여 완전개방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압력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베인이 폐쇄 또는 폐쇄방향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의 유체이동로에, 환형의 유로를 형성하는 지지체와, 상기 유로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베인들 및 각 베인들을 개폐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제어밸브가 구비됨으로써, 터빈을 작동시키는 유체의 통과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어하여 유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량제어덕트의 내부 또는 유체이동로의 내부에서, 발전터빈을 기준으로 입구측의 압력과 출구측 압력을 측정하고, 압력 차이값을 토대로 제어밸브의 개폐여부 또는 개폐각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파력의 크고 작음에 따른 진동수주챔버 내부의 압력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유량제어덕트 또는 유체이동로를 통과하여 발전터빈에 작용하는 유량을 정격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과도한 압력이 발전터빈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될 수 있음으로써 발전터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의 설치상태를 표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의 일부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가 적용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압력과 유량을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의 설치상태를 표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의 일부확대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다. 또한,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가 적용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10)은, 해상에서 발생되는 파랑에 의해 해수가 유입되고 유출되는 공간(24)이 형성되어 구조물(20)에 마련되는 진동수주챔버(22)와, 진동수주챔버(22)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유동되는 유체가 외측과 연통되도록 구조물(20)에 마련되는 유체이동로(26)와, 유체이동로(26)로 유동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생산하도록 유체이동로(26)의 내부에 마련되는 발전터빈(30)와, 발전터빈(30)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40)를 구비한 유량제어덕트(50)와, 제어밸브(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진동수주챔버(22)가 구비된 구조물(20), 유체이동로(26), 발전터빈(30) 등은 공지된 기술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밸브(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이동로(26) 내부에, 발전터빈(30) 쪽에 배치되는 제1 덕트(50A)와 진동수주챔버(22) 쪽에 배치되는 제2 덕트(50B) 사이에 마련되는 중공형의 외부 지지체(42A) 및 외부 지지체(42A)의 내부 정중앙에 배치되어 외부 지지체(42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환형의 유로(43)를 형성하는 내부 지지체(42B)로 이루어진 지지체(42)와, 내부 지지체(42B)를 중심으로 유로(43)에 방사형으로 각각 배치되고 외부 지지체(42A)와 내부 지지체(42B) 사이에 회전지지 되어 설정된 각도 내에서 회전 작동하여 유로(4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다수개의 베인(44)들과, 제어부(60)에 의해 베인(44)들을 동시에 개폐 작동시키도록 지지체(42)에 마련되는 작동수단(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체(42)는, 유체이동로(26) 내부에 설치되는 중공형 관체 구조를 갖는 것으로, 진동수주챔버(22) 내부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압축되는 유체가 발전터빈(30)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유량제어덕트(50)의 제1 덕트(50A)와 제2 덕트(50B)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1 덕트(50A)는 발전터빈(30) 쪽에 배치되고, 제2 덕트(50B)는 진동수주챔버(22) 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체(42)는, 제1 덕트(50A)와 제2 덕트(50B)와 같은 직경을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제1 덕트(50A)와 제2 덕트(50B)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체(42)는, 길이방향 양쪽이 제1 덕트(50A)와 제2 덕트(50B)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외부 지지체(42A)와, 외부 지지체(42A)의 내부 정중앙에 배치되어 외부 지지체(42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환형의 유로(43)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내부 지지체(42B)로 이루어진다. 내부 지지체(42B)는 별도의 지지부재에 의해 외부 지지체(42A)의 내부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는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도록 그 단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인(44)은, 다수개로 내부 지지체(42B)와 외부 지지체(42A) 사이에 방사형으로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지지체(42A) 쪽에서 내부 지지체(42B) 쪽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베인(44)은 환형(도넛 형태)의 유로(43) 전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위한 것으로, 유로(43)를 개방할 때에는 유체의 흐름방향(제1,2 덕트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회전되고, 폐쇄할 때에는 유체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회전된다. 물론, 회전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인(44)의 하단(내부 지지체 쪽)은 하부 회전축(44A)에 의해 내부 지지체(42B)에 회전 지지되고, 상단(외부 지지체 쪽)은 상부 회전축(44B)에 의해 외부 지지체(42A)에 회전 지지된다. 그리고, 베인(44)은 중앙에서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어 전체적을 유선형을 이룬다.
작동수단(46)은, 제어부(60)에 의해 작동되어 베인(44)들을 동시에 회전 작동시켜 유로(43)를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작동수단(46)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 지지체(42A)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형 회전 지지체(46A)와, 외부 지지체(42A)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베인(44)들의 각 회전축(44B)에 일단이 고정 결합 되는 각각의 제1 링크(46B)와, 제1 링크(46B)의 타단에 일단이 축 결합되는 각각의 제2 링크(46C)와, 일단이 제2 링크(46C)의 타단과 축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 지지체(46A)에 고정 결합되는 각각의 제3 링크(46D)를 포함하여 회전축(44B)과 회전 지지체(46A)를 연결하는 링크부(46E)와, 일단이 회전 지지체(46A)에 결합되는 브라켓(46F)과, 브라켓(46F)의 타단에 축 결합되는 작동로드(46G)를 구비하여 프레임(F)에 설치되어 작동로드(46G)를 밀고 당기는 작동으로 회전 지지체(46A)를 설정된 각도 내에서 정회전 및 역회전시켜 베인(44)들을 개폐 작동시키기 위한 제2 엑츄에이터(46H)로 이루어진 개폐 구동부(46J)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링형 회전 지지체(46A)는, 베어링 등에 의해 외부 지지체(4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링크부(46E)에 의해 각 베인(44)들과 연결된 상태에서 개폐 구동부(46J)에 의해 소정의 각도 내에서 정회전 및 역회전하여 각 베인(44)들을 동시에 개폐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각 베인(44)들이 링크부(46E)에 의해 링형 회전 지지체(46A)와 연결된 상태가 되므로, 개폐 구동부(46J)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회전 지지체(46A)가 각 베인(44)를 동시에 개폐 작동시키는 것이다.
링크부(46E)는, 각 베인(44)들과 회전 지지체(46A)를 연결하는 것으로, 각각의 제1 링크(46B)과 제2 링크(46C) 및 제3 링크(46D), 그리고 브라켓(46F)의 단부(연결부위)가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결합된다.
개폐 구동부(46J)는, 회전 지지체(46A)를 소정의 각도 내에서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 엑츄에이터(46H)가 브라켓(46F)를 밀고 당기는 작동에 의해 회전 지지체(46A)가 소정의 각도 내에서 정회전 역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개폐 구동부(46J)는, 회전 지지체(46A)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에, 한쪽의 제2 엑츄에이터(46H)가 미는 작동을 할 때 반대쪽의 제2 엑츄에이터(46H-1)는 당기는 작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엑츄에이터(46H,46H-1)는, 공압이나 유압실린더 또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60)는,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제어밸브(40)를 개폐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60)는, 진동수주챔버(22)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여 진동수주챔버(22)로부터 유량제어덕트(50)를 통과하여 발전터빈(3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진동수주챔버(22)의 수위가 낮아져 외부의 공기가 발전터빈(30)에 작용하는 경우에 유체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챔버측 압력과 외부측 압력의 차이를 토대로 제어밸브(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부(60)는, 발전터빈(30)을 기준으로, 진동수주챔버(22) 측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진동수주챔버(22), 유량제어덕트(50) 내부, 또는 발전터빈(30)에 근접한 유량제어덕트(50)의 내부에 챔버측 압력계(PR1)와, 발전터빈(30)의 외부측 압력을 감지하도록 발전터빈(30)과 외부측 사이에 마련되는 유량제어덕트(50)에 마련되는 외부측 압력계(PR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챔버측 압력계(PR1)과 외부측 압력계(PR2)는 보다 구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챔버측 압력계(PR1)는 진동수주챔버(22) 쪽에 마련되어 챔버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압력계(PR1-1)와, 진동수주챔버(22)와 발전터빈(30) 사이의 유량제어덕트(50) 내부에서 발전터빈(30) 쪽으로 치우쳐 마련되어 발전터빈(30)의 앞쪽(챔버쪽)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압력계(PR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측 압력계(PR2)는 발전터빈(30)과 외부측 사이의 유량제어덕트(50)에 마련되는 제3 압력계(PR2-1)와, 외부측에 치우쳐 마련되는 제4 압력계(PR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측 압력계(PR1)가 감지한 챔버측 압력값(P1)에서 외부측 압력계(PR2)가 감지한 입구측 압력값(P2)을 뺀 압력 차이의 절대값(ΔP)을 산출한 후 압력 차이의 절대값(ΔP)을 기 저장된 압력 기준값(ΔPref)과 비교하여 압력 차이의 절대값(ΔP)이 압력 기준값(ΔPref)과 같거나 작으면 베인(44)이 원점 상태를 유지하여 완전개방 상태가 되도록 제어밸브(40)를 제어하고, 압력 차이의 절대값(ΔP)이 압력 기준값(ΔPref)보다 크면 베인(44)이 폐쇄 또는 폐쇄방향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제어밸브(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은 발전터빈(30)을 통과하는 유체동력(PHydro)에 비례하여 발전량이 증가하는데, 유체동력(PHydro = 1/2 × ρ × U^3 × A = 1/2 ×ρ× Q^3 / A^2 )은 터빈을 지나가는 유량(Q = U A)에 비례한다.
PELECTRIC = η PHydro
즉, PHydro ∝ Q^3
여기서 ρ는 공기밀도, U는 평균유속, A는 유체가 지나는 투영면적, η는 효율이다.
이에 근거하여 제어부(60)로 제어밸브(40)를 제어하여 유량을 제어(제한)함으로써 발전량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량을 알기 위해서는 유속을 계측하여 평균 유속이나 유량으로 환산하는 것이 통상적이나, 몇 개 지점의 유속 계측만으로 평균 유속이나 유량의 계측이 어려움이 있다. 이는 공간적 유속 불균일과 유속 공간분포의 예측의 어려움으로 인해 몇 곳의 유속계측만으로 전체 평균 유속 또는 유량의 계측이 어려운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압력의 계측은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고 전체를 대표하기에 어려움이 적기 때문에, 발전터빈(30)을 기준으로, 챔버측 압력값(P1)과 외부측 압력값(P2)의 압력차를 통해 평균 유속 또는 유량을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압력차를 이용해서 유량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 발전터빈(30)의 특성(유량과 압력차의 관계(비선형 비례관계))을 이용하며 압력차로서 유량을 예측할 수 있다. 즉, 평균유속 또는 유량을 일정 기준치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계측 신뢰도가 높은 압력차를 일정 기준치 이하로 유지하도록 제어밸브(4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는 유량과 압력차가 비례(비선형 포함) 관계를 갖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60)가 챔버측 압력값(P1)과 외부측 압력값(P2)을 토대로 베인(44)의 제어값을 산출하여 베인(44)의 개폐여부 및 개폐각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정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40)는 작동수단(46)이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작동수단(46)은, 회전 지지체(46A)의 외주면에, 베인(44)들과 대응되는 수로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엑츄에이터(47)들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때, 제1 엑츄에이터(47)는, 회전 지지체(46A)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베인(44)들의 회전축(44B)에 연결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1 엑츄에이터(47)들이 제어부(60)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여 베인(44)들을 동시에 개폐 작동시키거나, 개폐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엑츄에이터(47)는, 스탭핑 모터나 기타 구동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모터가 직접 회전축(44B)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구동기어와 피동 감속기어 등으로 구성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44B)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수단(46)은 각 제1 엑츄에이터(47)들이 각 베인(44)들을 개별로 개폐 작동시킴으로써, 각 베인(44)들의 작동 응답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제1 엑츄에이터(47)들 중에서 선택된 제1 엑츄에이터(47)들만 개폐 작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유량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4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수주챔버(22) 내부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진동수주챔버(22)내부의 압력과 유량제어덕트(50) 내부의 압력은 변화된다.
따라서, 제어부(60)는, 진동수주챔버(22)와 연통된 제2 덕트(50B)의 압력을 감지하는 챔버측 압력계(PR1)가 감지한 압력, 즉 유량제어덕트(50)의 진동수주챔버(22) 측 압력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밸브(40)와 발전터빈(30)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 압력계(PR1-2)가 감지한 챔버측 압력값(P1)과, 발전터빈(30)과 외부 사이의 제1 덕트(50A) 내부의 압력, 즉 외부측 압력을 감지하는 외부측 압력계(PR2),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3 압력계(PR2-1)가 감지한 외부측 압력값(P2)을 토대로 제어밸브(40)를 개폐여부 및 개폐각도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외부측 압력계(PR2)가 감지한 외부측 압력값(P2)에서 챔버측 압력계(PR1)가 감지한 챔버측 압력값(P1)을 뺀 압력 차이의 절대값(ΔP)을 산출한 후 압력 차이의 절대값(ΔP)을 기 저장된 압력 기준값(ΔPref) 비교하여, 압력 차이의 절대값(ΔP)이 압력 기준값(ΔPref)과 작거나 같으면 베인(44)의 현상태를 유지(완전 개방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압력 차이의 절대값(ΔP)이 압력 기준값(ΔPref)보다 크면 베인(44)을 폐쇄 또는 폐쇄방향으로 각도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60)가 베인(44)을 폐쇄 작동시키는 경우에, 바이패스 통로(미 도시됨)는 개방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60)가 각 챔버측 압력계(PR1)와 외부측 압력계(PR2)가 감지한 압력을 토대로, 유로(43)를 개폐하여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40)의 각 베인(44)들을 동시에 개폐하거나 개폐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파력의 급격한 변화, 또는 파력의 크고 작음(파랑에너지의 변동성)에 관계없이 발전터빈(30) 발전량의 변동성을 감소시켜 발전 가능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즉, 진동수주파력이 클 때에는 발전터빈(30)으로 이동하는 유량을 줄인 후 바이패스시켜 진동수주파력이 클 때에도 발전터빈(30)이 발전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전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20 : 구조물 30 : 발전터빈
40 : 제어밸브 42 : 지지체
42A : 외부 지지체 42B: 내부 지지체
44 : 베인 46 : 작동수단
46A : 회전 지지체 46E : 링크부
46J : 개폐 구동부 46H, 46H-1 : 제2 엑츄에이터
47 : 제2 엑츄에이터 50 : 유량제어덕트
60 : 제어부

Claims (6)

  1. 해상에서 발생되는 파랑에 의해 해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구조물에 마련되는 진동수주챔버; 상기 진동수주챔버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유동되는 유체를 외부로 안내하도록 제1,2 덕트로 이루어진 유량제어덕트를 구비하여 상기 구조물에 마련되는 유체이동로; 상기 유체이동로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생산하도록 상기 유량제어덕트 또는 상기 유체이동로에 마련되는 발전터빈; 상기 발전터빈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유량제어덕트에 마련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제어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진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유체이동로 내부에,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진동수주챔버 쪽에 배치되는 제2 덕트 사이에 마련되는 중공형의 외부 지지체 및 상기 외부 지지체의 정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지지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환형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부 지지체로 이루어진 지지체; 상기 내부 지지체를 중심으로 상기 유로에 방사형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외부 지지체와 내부 지지체 사이에 회전지지 되어 설정된 각도 내에서 회전 작동하여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다수개의 베인들;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베인들을 동시에 개폐 작동시키도록 상기 지지체에 마련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수단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지지체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형 회전 지지체; 상기 외부 지지체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기 베인들의 각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 결합 되는 각각의 제1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축 결합되는 각각의 제2 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 지지체에 고정 결합되는 각각의 제3 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 지지체를 연결하는 링크부; 및 일단이 상기 회전 지지체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타단에 축 결합되는 작동로드를 구비하여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드를 밀고 당기는 작동으로 상기 회전 지지체를 설정된 각도 내에서 정회전 및 역회전시켜 상기 베인들을 개폐 작동시키기 위한 제2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진 개폐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회전 지지체의 양쪽에 각각 구비되고, 한쪽의 제2 엑츄에이터가 미는 작동을 할 때 반대쪽의 제2 엑츄에이터는 당기는 작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들은,
    상기 외부 지지체 쪽에서 상기 내부 지지체 쪽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터빈을 기준으로,
    상기 진동수주챔버 측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챔버측 압력계; 및 상기 발전터빈의 외부측 압력을 감지하도기 위한 외부측 압력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챔버측 압력계가 감지한 챔버측 압력값에서 상기 외부측 압력계가 감지한 입구측 압력값을 뺀 압력 차이의 절대값을 산출한 후 상기 압력 차이의 절대값을 기 저장된 압력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압력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압력 기준값과 같거나 작으면 상기 베인이 원점 상태를 유지하여 완전개방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압력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베인이 폐쇄 또는 폐쇄방향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 제어밸브.

KR1020190148823A 2019-11-19 2019-11-19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제어밸브 KR102657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823A KR102657167B1 (ko) 2019-11-19 2019-11-19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제어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823A KR102657167B1 (ko) 2019-11-19 2019-11-19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제어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750A KR20210062750A (ko) 2021-06-01
KR102657167B1 true KR102657167B1 (ko) 2024-04-11

Family

ID=7637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823A KR102657167B1 (ko) 2019-11-19 2019-11-19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제어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1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1717A1 (en) * 2017-11-13 2019-05-16 Sener, Ingenieria Y Sistemas, S.A. Air turbine for extracting energy from oscillating water column devices
CN110081187A (zh) * 2019-03-29 2019-08-02 张美华 一种用于调节中央空调风量大小的阀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907B1 (ko) 2009-12-28 2011-11-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
KR101871249B1 (ko) 2017-02-22 2018-06-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의 가변형 챔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1717A1 (en) * 2017-11-13 2019-05-16 Sener, Ingenieria Y Sistemas, S.A. Air turbine for extracting energy from oscillating water column devices
CN110081187A (zh) * 2019-03-29 2019-08-02 张美华 一种用于调节中央空调风量大小的阀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750A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1578B1 (en) Wind turbine provided with a controller for adjusting active annular plane area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JP4535378B2 (ja) 地下水に配置された回転水力タービン
JP5681459B2 (ja) 水流発電装置
US8390141B2 (en) Hydropower device
US9086047B2 (en) Renewable energy extraction device
KR101564475B1 (ko) 터빈 어셈블리
KR102271940B1 (ko) 휴대용 회전 스크류를 갖는 초소수력 발전 장치
KR102054957B1 (ko)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JP2014530987A (ja) 特に潮力発電所のための水力タービンのロータおよび当該発電所の運転方法
KR102657167B1 (ko)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용 유량제어밸브
JP2006507448A (ja) 水圧ホイール
JP2011074854A (ja) 波力発電用タービン
KR101777966B1 (ko) 풍향 또는 풍속에 따라 최적 에너지 수집이 가능한 횡류형 수직 풍력 발전 시스템
KR101871703B1 (ko) 수력 발전시스템
EP3483423B1 (en) Air turbine for extracting energy from oscillating water column devices
KR101802714B1 (ko) 회전각도 가변 기능을 갖는 회전날개결합구조를 구비한 펌프
KR101989482B1 (ko) 풍력 및 파력 발전 시스템
JP5950324B2 (ja) 波力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90099812A (ko) 부유식 풍력 발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0123454A2 (en) Power generation
JP6143709B2 (ja) 潮流発電装置
KR102364377B1 (ko) 주름관 형상의 나선형 초소수력 발전 장치
JP5826354B1 (ja) 発電装置
RU2483160C2 (ru) Гид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замкнутого цикла
AU2022281059A1 (en) Hermetic cap tidal pulse respo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