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957B1 -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957B1
KR102054957B1 KR1020180152186A KR20180152186A KR102054957B1 KR 102054957 B1 KR102054957 B1 KR 102054957B1 KR 1020180152186 A KR1020180152186 A KR 1020180152186A KR 20180152186 A KR20180152186 A KR 20180152186A KR 102054957 B1 KR102054957 B1 KR 102054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turbine
air
control
gener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원
최종수
이정기
고태경
임창혁
박지용
오정환
노찬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52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957B1/ko
Priority to PCT/KR2018/015320 priority patent/WO202011136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141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with a static energy collector
    • F03B13/14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with a static energy collector which creates an oscillating water colum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04Valv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2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to produce a flow of air, e.g. to drive an air turb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5/00Controlling
    • F03B15/02Controlling by varying liqui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6Stators
    • F03B3/18Stator blades; Guide conduits or vanes, e.g. adjust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 Y02E10/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의 파랑에너지를 이용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구비된 해수유입구를 통해 내부에 해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진동수주챔버, 상기 진동수주챔버의 내부와 연결되고 해수의 유입 또는 배출에 따라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유동로, 상기 공기유동로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동로를 통한 공기의 유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 상기 공기유동로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 정도를 조절하는 유량제어덕트 및 상기 유량제어덕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제어덕트는, 내부관로를 형성하는 내부관, 상기 내부관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내부관으로부터 이격되어 외부관로를 형성하는 외부관 및 상기 외부관로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여부가 결정되는 제어밸브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터빈의 RPM에 대한 정보로부터 유량제어덕트의 내부관로와 외부관로를 이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터빈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정격용량 유지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OSCILLATING WATER COLUMN WAVE-POWER GENERATION SYSTEM WITH FLOW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터빈의 정격용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터빈을 회전시키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력 에너지는 태양 에너지나 풍력 에너지 등에 비하여 예측이 가능하여 전력망을 이용하여 급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익성이 높다. 이러한 파력에너지를 이용한 발전기 중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은 구조가 간단하고 방파제 등 기존의 구조물과 복합 이용이 용이하여 국내외적으로 널리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은 파랑에너지를 공기의 유동에너지로 변환하고, 공기의 유동에너지를 이용하여 터빈 등의 회전을 통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이러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은 파랑에너지의 편차에 따라 터빈으로 이동되는 공기의 유량에 변하므로 전력 생산량이 불규칙한 문제점이 있고, 파랑에 의한 파고, 파주기 등에 따른 변화에 따라 안정적으로 정격용량의 전력을 생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5907호에서는 공기챔버의 일측을 이동시키면서 내부 부피를 가변시켜 공기챔버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나 해수의 부피을 조절함으로써 파랑에 의한 파고나 파주기 등의 변화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1249호에서는 래크기어와 피니언기어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챔버스커트의 일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유입되는 해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구조가 개시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초기 설치비용과 공사기간이 증가하는 단점과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5907호(등록일:11.11.16.) (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1249호(등록일:18.06.20.)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되는 전력의 정격유지가 용이한 동시에 설치비용의 감소와 공사 기간의 단축이 가능한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오작동 시 교체가 편리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은 해상의 파랑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에 구비된 해수유입구를 통해 내부에 해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진동수주챔버, 진동수주챔버의 내부와 연결되고 해수의 유입 또는 배출에 따라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유동로, 공기유동로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 공기유동로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 정도를 조절하는 유량제어덕트 및 유량제어덕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유량제어덕트는, 내부관로를 형성하는 내부관, 내부관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부관으로부터 이격되어 외부관로를 형성하는 외부관 및 외부관로에 구비되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여부가 결정되는 제어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터빈은 내부관의 중심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터빈의 RPM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터빈의 RPM이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제어밸브를 개방시키고, 터빈의 RPM이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제어밸브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밸브는 내부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가 구비되고, 제어부는 복수의 제어밸브를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터빈의 RPM에 따라 복수의 제어밸브 중 개방되는 제어밸브의 비율을 차등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내부관은 진동수주챔버에서 터빈의 방향으로 점차 내부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내부관로에 구비되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 정도가 결정되는 보조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유동 정도가 조절되므로 터빈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정격용량을 유지하기 용이하다.
또한, 제어부를 통하여 터빈의 RPM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밸브 등의 개폐정도가 조절되므로 자동적으로 설정된 전력 생산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빈의 RPM 피크 값을 낮추는 효과가 있으므로 터빈의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덕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덕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력발전 시스템은 해상에서 발생되는 파랑의 왕복운동에 따라 공기를 유동시켜 터빈(400)을 발전시키는 시스템으로, 해저에 지지되거나 방파제 등의 구조물에 지지된 상태로 파랑에너지를 터빈의 회전에 따른 기계에너지로, 기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은 해상의 파랑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에 구비된 해수유입구(110)를 통해 내부에 해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진동수주챔버(100), 상기 진동수주챔버(100)의 내부와 연결되고 해수의 유입 또는 배출에 따라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유동로(200), 상기 공기유동로(2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동로(200)를 통한 공기의 유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400), 상기 공기유동로(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 정도를 조절하는 유량제어덕트(300) 및 상기 유량제어덕트(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수주챔버(100)는 일측에 개구된 해수유입구(110)가 구비되며, 진동수주챔버(100)의 내부는 공기와 해수로 점유된다. 파랑에 의해 상기 해수유입구(110)로 해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면서 진동수주챔버(100) 내부의 해수 수위는 가변된다. 해수 수위가 가변됨에 따라 진동수주챔버(100) 내부에서 해수의 상부에 위치한 공기가 유동된다. 상기 진동수주챔버(100)의 형상과 소재 및 구조는 파랑에 의해 내부에 위치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공기유동로(200)는 상기 진동수주챔버(100)의 내부와 연결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으로, 상기 해수유입구(110)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유동로(200)는 일측이 상기 진동수주챔버(100)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외부와 연통되어 파랑에 의해 진동수주챔버(100) 내부의 공기가 공기유동로(200)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이동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진동수주챔버(1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공기의 이동은 상기 터빈(400)을 회전시키면서 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터빈(400)은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덕트(3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제어밸브(322)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제어밸브(322)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유동로(200)에는 공기의 유동 정도를 조절하는 유량제어덕트(300)가 구비된다. 상기 유량제어덕트(300)는 상기 공기유동로(200)를 통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진동수주챔버(100) 내부에 위치된 공기는 상기 유량제어덕트(300)를 통해서만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량제어덕트(300)는 이중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량제어덕트(300)는 내부관로(311)를 형성하는 내부관(310), 상기 내부관(3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내부관(310)으로부터 이격되어 외부관로(321)를 형성하는 외부관(320) 및 상기 외부관로(32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500)의 신호에 따라 개폐여부가 결정되는 제어밸브(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관(31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관로(311)와, 상기 내부관(310)과 외부관(320) 사이에 형성된 외부관로(321)로 공기가 이동되며, 상기 내부관로(311)와 상기 외부관로(321)는 서로 차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유량제어덕트(300)는 얇은 판 형상으로 상기 공기유동로(200)의 일측에 기립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내부관로(311)를 형성하는 내부관(310)은 상기 유량제어덕트(300)와 동심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상기 외부관로(321)를 형성하는 외부관(320)은 상기 내부관(310)과 동심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관(310)과 외부관(320)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내부관(310)과 외부관(320)은 원통형상으로 상기 유량제어덕트(300)와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부관로(311)를 이동하는 공기와 외부관로(321)를 이동하는 공기는 서로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내부관로(311)와 외부관로(321)를 별도로 구획함으로써 내부관로(311)를 통과하는 공기 및/또는 외부관로(32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터빈(400)으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을 정격용량으로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빈(400)은 상기 내부관(310)의 중심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관로(311)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터빈(400)의 회전에 보다 큰 영향력을 끼치고, 상기 외부관로(321)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터빈(400)의 회전에 보다 작은 영향력을 끼친다. 즉, 외부관로(32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 조절에 따라 상기 터빈(400)의 RPM을 조절하여 생산되는 전력의 정격용량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외부관로(321) 또는 외부관(320)에는 제어밸브(322)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밸브(322)는 외부관로(32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한다. 상기 제어밸브(322)가 개방되는 경우 외부관로(321)를 통해 공기가 이동할 수 있으나 폐쇄되는 경우 공기는 내부관로(311)만을 통과한다.
상기 제어밸브(322)는 상기 외부관로(321)를 차단한 상태에서 개폐정도가 조절되는 스로틀밸브(throttle valve)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제어밸브(322)의 개폐는 제어부(500)의 개폐신호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밸브(322)는 복수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제어밸브(322)는 상기 유량제어덕트(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밸브(322)는 상기 내부관(3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제어밸브(322)는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정도가 조절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복수의 제어밸브(322)를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밸브(322)는 본 발명의 제어부(500)에 의해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어밸브(322), 터빈(400) 등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개폐신호를 상기 제어밸브(322)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어밸브(322), 터빈(400) 등과 통신 가능하다면 공기유동로(200) 외부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500)를 통한 공기 유량제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빈(400)의 RPM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터빈(400)의 RPM이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밸브(322)를 개방시키고, 상기 터빈(400)의 RPM이 상기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밸브(322)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빈(400)의 RPM이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터빈(400)을 통한 전력 생산이 과도한 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밸브(322)를 개방시켜 내부관로(311)와 외부관로(321)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켜 터빈(400)의 RPM을 낮추고, 상기 터빈(400)의 RPM이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상기 터번을 통한 전력 생산이 과소한 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밸브(322)를 폐쇄시켜 내부관로(311)로만 공기를 유동시켜 터빈(400)의 RPM을 높이는 메커니즘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어밸브(322)의 개폐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빈(400)의 RPM을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1부터 N까지의 설정된 구간으로 나누고, N부터 1까지의 구간에 해당되는 RPM에 따라 상기 제어밸브(322)를 완전 개방에서 완전 폐쇄까지 단계적으로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빈(400)의 RPM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어밸브(322) 중 개방되는 제어밸브(322)의 비율을 차등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빈(400)의 RPM이 1부터 N까지 설정된 구간으로 나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제어밸브(322)는 N부터 1까지의 구간에 해당되는 RPM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어밸브(322)들 중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제어밸브(322)의 개수를 단계적으로 조절한다.
위와 같은 메커니즘을 적용할 경우 터빈(400)의 RPM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밸브(322)를 조절하여 요구되는 정격용량을 유지하기 더욱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관로(311)에는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개폐신호를 전달받아 개폐정도가 조절되는 보조밸브(3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밸브(312)는 상기 제어밸브(322)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밸브(322)와 독립적으로 개폐정도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어밸브(322)를 폐쇄시키고 상기 보조밸브(312)의 개방 비율을 낮춰 보조밸브(312)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여 상기 터빈(400)의 RPM을 높일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제어밸브(322)와 보조밸브(312)를 모두 개방하여 상기 터빈(400)의 RPM을 낮출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덕트(3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관(310)은 상기 진동수주챔버(100)에서 상기 터빈(400)의 방향으로 점차 내부 직경이 감소할 있다. 상기 내부관(310)의 직경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내부관로(311)의 단면적은 상기 터빈(400)의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데, 이에 따라 상기 진동수주챔버(100)에서 터빈(400)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압축되어 상기 터빈(400)의 전력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관(320)은 상기 진동수주챔버(100)에서 상기 터빈(400)의 방향으로 점차 내부 직경이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관로(321)의 단면적은 상기 터빈(400)의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커지게 된다.
위와 같은 형상을 갖는 외부관(320)은 상기 제어밸브(322)를 개방시켰을 때 제어밸브(322)를 통과하는 공기가 외부관로(321)의 단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진동수주챔버(100)에서 터빈(400)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팽창하므로 과도한 RPM이 측정되었을 대 설정된 RPM으로 낮추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내부관(310)이 터빈(400)의 방향으로 점차 내부 직경이 감소되는 구조와 외부관(320)이 터빈(400)의 방향으로 점차 내부 직경이 증가하는 구조는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량제어덕트(300)는 복수일 수 있으며, 하나의 유량제어덕트(300)가 상기 진동수주챔버(100)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유량제어덕트(300)는 외부의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유량제어덕트(300) 사이에 상기 터빈(400)이 위치되며 상기 진동수주챔버(100)에서 공기유동로(200)로 이동되는 공기는 진동수주챔버(100)의 방향에 배치된 유량제어덕트(300)를 통해 조절하고, 외부에서 공기유동로(200)로 이동하는 공기는 외부 방향에 배치된 유량제어덕트(300)를 통해 조절된다.
예를 들어, 터빈(400)의 RPM을 높이고자 할 때 진동수주챔버(100)에서 터빈(400)의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경우 진동수주챔버(100)의 방향으로 배치된 유량제어덕트(300)의 제어밸브(322)를 폐쇄시키기고 보조밸브(31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외부 방향으로 배치된 유량제어덕트(300)의 제어밸브(322)와 보조밸브(312)를 모두 개방시키고, 외부에서 터빈(400)의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경우 외부 방향으로 배치된 유량제어덕트(300)의 제어밸브(322)를 폐쇄시키고 보조밸브(31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진동수주챔버(100)의 방향으로 배치된 유량제어덕트(300)의 제어밸브(322)와 보조밸브(31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량제어덕트(300)를 통하여 공기 유량을 조절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진동수주챔버(100)의 내부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상기 진동수주챔버(100)의 방향으로 배치된 유량제어덕트(300)와 상기 외부 방향으로 배치된 유량제어덕트(300)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정격용량의 전력 생산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유량제어덕트(300)는 내부관(310)끼리 서로 연결되거나 외부관(320)끼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부관(310)끼리 서로 연결된 복수의 유량제어덕트(300)는 서로 연결된 내부관로(311)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서만 터빈(400)이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덕트(300)를 이용한 공기의 유량 제어는 파랑에너지의 편차에 관계없이 터빈(400)의 설정된 전력 생산 용량을 유지할 수 있으며, 과도하게 터빈(400)의 RPM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터빈(400)의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100 : 진동수주챔버 110 : 해수유입구
200 : 공기유동로
300 : 유량제어덕트 310 : 내부관
311 : 내부관로 312 : 보조밸브
320 : 외부관 321 : 외부관로
322 : 제어밸브
400 : 터빈
500 : 제어부

Claims (7)

  1. 해상의 파랑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에 구비된 해수유입구를 통해 내부에 해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진동수주챔버;
    상기 진동수주챔버의 내부와 연결되고 해수의 유입 또는 배출에 따라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유동로;
    상기 공기유동로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 정도를 조절하는 유량제어덕트;
    상기 유량제어덕트에 의해 조절된, 상기 공기 유동로를 통한 공기의 유동에 따라 회전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 및
    상기 유량제어덕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량제어덕트는,
    내부관로를 형성하는 내부관;
    상기 내부관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내부관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외부관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부관; 및
    상기 복수의 외부관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외부관로 각각을 개폐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은 상기 내부관의 중심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관로를 통한 공기의 유동에 따라 전력을 생산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빈의 RPM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관 각각에 구비된 상기 제어밸브의 개폐를 결정하여 상기 내부관로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절하여 상기 터빈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빈의 RPM이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터빈의 RPM이 상기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밸브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빈의 RPM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어밸브 중 개방되는 제어밸브의 비율을 차등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은 상기 진동수주챔버에서 상기 터빈의 방향으로 점차 내부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로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 정도가 결정되는 보조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KR1020180152186A 2018-11-30 2018-11-30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KR102054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186A KR102054957B1 (ko) 2018-11-30 2018-11-30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PCT/KR2018/015320 WO2020111360A1 (ko) 2018-11-30 2018-12-05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186A KR102054957B1 (ko) 2018-11-30 2018-11-30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957B1 true KR102054957B1 (ko) 2020-01-22

Family

ID=6936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186A KR102054957B1 (ko) 2018-11-30 2018-11-30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4957B1 (ko)
WO (1) WO202011136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840B1 (ko) 2020-03-02 2020-12-23 조창휘 파력 발전 장치
KR102372082B1 (ko) * 2020-11-23 2022-03-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의 정격출력 제어 성능 시험장치
KR102374093B1 (ko) * 2021-12-07 2022-03-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직경 가변이 가능한 터빈 시스템
KR102385082B1 (ko) 2020-12-14 2022-04-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성 구체의 왕복운동을 이용한 파력발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1787A (zh) * 2021-10-16 2022-01-14 长沙理工大学 一种利用防波堤的振荡水柱式波浪能发电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441B1 (ko) * 2006-07-31 2008-01-22 신덕호 인공 기압차 유도 풍력발전기
KR101085907B1 (ko) 2009-12-28 2011-11-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
JP2013036376A (ja) * 2011-08-06 2013-02-21 Kaiyo Energy Engineering Kk 波力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742317B1 (ko) * 2016-11-08 2017-05-3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용 에너지변환장치 실해역 성능시험 시스템
KR101871249B1 (ko) 2017-02-22 2018-06-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의 가변형 챔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593B1 (ko) * 2008-08-21 2011-03-17 김경순 간석지 발전장치
DE102011100756B3 (de) * 2011-05-06 2012-08-02 Voith Patent Gmbh Turbinenanlage zum Nutzen von Energie aus Meereswell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441B1 (ko) * 2006-07-31 2008-01-22 신덕호 인공 기압차 유도 풍력발전기
KR101085907B1 (ko) 2009-12-28 2011-11-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
JP2013036376A (ja) * 2011-08-06 2013-02-21 Kaiyo Energy Engineering Kk 波力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742317B1 (ko) * 2016-11-08 2017-05-3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용 에너지변환장치 실해역 성능시험 시스템
KR101871249B1 (ko) 2017-02-22 2018-06-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의 가변형 챔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840B1 (ko) 2020-03-02 2020-12-23 조창휘 파력 발전 장치
KR102372082B1 (ko) * 2020-11-23 2022-03-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의 정격출력 제어 성능 시험장치
KR102385082B1 (ko) 2020-12-14 2022-04-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성 구체의 왕복운동을 이용한 파력발전 시스템
KR102374093B1 (ko) * 2021-12-07 2022-03-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직경 가변이 가능한 터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360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957B1 (ko) 유량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
KR101501912B1 (ko) 에너지 변환하기 위한 수력 설비 및 그 제어 방법
US4117676A (en) Incorporable hydromotive assembly
US4261171A (en) Functionally transformable dam with tidal power station
US10895165B2 (en) Double-flow type volute casing having structure for changing direction of flow in turbine inlet
KR20090083421A (ko) 풍력장치, 주위 공기로부터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 및 움직이는 주위 공기로부터 전력을 생성하는 방법
CN101652560A (zh) 水力发电装置以及具备该装置的水力发电系统
JP2013515890A (ja) オフショアプラットフォームの柱に添う振動水柱を利用する波エネルギー抽出システム
JP2008095569A (ja) 波力発電用タービン
US4341959A (en) Wave energy power station
WO2009103332A1 (en) A hydropower device
JP2011074854A (ja) 波力発電用タービン
US1656006A (en) Hydraulic machine
JP2016056787A (ja) 水力機械のランナ
WO2016067006A1 (en) Tidal power plant with air and water turbines
KR102374093B1 (ko) 직경 가변이 가능한 터빈 시스템
EP1273762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inlet stage of a steam turbine and steam turbine
KR101615599B1 (ko) 토네이도를 이용한 복합 발전장치
JP2001153021A (ja) 低落差用水力発電装置
WO2013051113A1 (ja) 水力発電用フランシス水車
US8206089B2 (en) Flow control device
JP2002061771A (ja) 流量制御弁
KR101273647B1 (ko) 조류 발전기용 샤프트 및 이를 갖는 조류 발전기
KR102097034B1 (ko) 용수 순환식 수력 발전장치
JP2007255316A (ja) 水力発電用フランシス水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