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827B1 -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 Google Patents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827B1
KR102656827B1 KR1020220041328A KR20220041328A KR102656827B1 KR 102656827 B1 KR102656827 B1 KR 102656827B1 KR 1020220041328 A KR1020220041328 A KR 1020220041328A KR 20220041328 A KR20220041328 A KR 20220041328A KR 102656827 B1 KR102656827 B1 KR 102656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installation
frame
panel
specially equi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2279A (ko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카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827B1/ko
Publication of KR20230142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35Mounting or fastening of the hous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3292Compressor drive is electric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장비, 산업차량, 농기계, 상용차 등에 탑재되는 에어컨에서 구동력을 엔진 회전력으로 작동되지 않고, 배터리 전원 공급으로 작동됨으로써, 특장차 작업 특성을 높이면서 에어컨디셔너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되면서 환경도 보호하는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특장차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셔(compressor); 상기 컴프레셔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콘덴서(condenser); 상기 콘덴서에서 응축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팽창밸브(expansion valve);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에바포레이터(evaporator); 및 상기 컴프레셔, 콘덴서, 팽창밸브, 에바포레이터가 내부에 설치된 에어컨본체 케이스(21)를 구비하는 에어컨 본체를 포함하는 무시동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본체 케이스(21)를 특장차의 차량차체에 고정시키는 에어컨설치부(3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에어컨설치부(30)는, 특장차의 차량차체에 고정되는 프레임인 설치프레임(31); 및 상기 설치프레임(31)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패널(33)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프레임(31)은, 건설장비 및 특장차 등의 차량차체에 고정되는 차체고정프레임(311); 상기 차체고정프레임(31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공간을 형성하는 측방프레임(312); 및 상기 양측 측방프레임(312) 사이의 아래에 위치되는 저면프레임(313)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AIR CONDITIONER WITHOUT STARTING THE ENGINE FOR SPECIAL VEHICLE}
본 발명은 특장차용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장비, 산업차량, 농기계, 상용차 등에 탑재되는 에어컨에서 구동력을 엔진 회전력으로 작동되지 않고, 배터리 전원 공급으로 작동됨으로써, 특장차 작업 특성을 높이면서 에어컨디셔너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되면서 환경도 보호하는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시스템은 차량의 실내와 실외에 걸쳐 냉매가 흐르는 중에 차량의 실내의 더운 열기를 실외로 배출하게 하여 실내 온도를 낮추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장치에서 냉매의 흐름을 반대로 할 경우 겨울철 난방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한 장치구성으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에바포레이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장치들을 파이프로 연결되어 냉매가 연속해서 흐르게 된다.
일반적인 대부분의 엔진구동하는 차량의 경우 가솔린이나 디젤 등 연료를 연소하는 엔진 구동력으로 에어컨 컴프레셔, 및 각종 팬들을 구동시키게 된다. 반면 무시동에어컨의 경우 엔진의 배터리 전원으로 컴프레셔나 각 팬들을 구동하거나 또는 연소식 엔진이 없이 순수 충전되었던 배터리 전원으로만 컴프레셔, 각 팬들을 구동하게 된다.
이에 특장차의 경우 굴삭기, 로더, 건설장비, 산업차량, 농기계, 상용차, 지게차, 지하수 굴착기 등의 경우 특수한 목적을 위해 작동하는 것으로, 대체로 엔진 작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거나 아니면 대부분의 경우 유압력을 발생시켜, 유압에 의하여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회전시키거나 또는 굴삭 작업을 하는 등 다양한 목적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엔진 동력의 세기를 직간접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엔진 동력을 기타 다른 곳으로의 이용을 될 수 있으면 줄여야 할 것이다.
반면 에어컨의 작동을 위해서 회전동력, 펌핑, 팬 작동 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전통적으로는 엔진 부근에 설치되어 엔진 동력을 이용하게 되어 있다. 이럴 경우 특장차의 본래 작업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특장차의 엔진 부근에 에어컨 구성들을 설치할 경우 엔진 구조 및 작업기들의 구조가 더욱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특장차의 경우 엔진과 이격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에어컨디셔너의 구성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등록특허번호 제10-0477303호(2015년 05월 28일 공고)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06215호(2010년 10월 01일 공개) 공개특허번호 제10-2012-0002224호(2012년 01월 05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에바포레이터(증발기) 등의 장치들로 이루어지는 무시동 에어컨을 특장차의 엔진과 이격된 후방에 장착함으로써 특장차의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설치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장차의 운행 및 에어컨의 작동에 의해서도 특장차의 본래 작업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환경 보호에도 이바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장차의 후방에 설치할 경우 별도의 프레임을 차체에 고정시킨 다음에 에어컨을 손쉽게 장착함으로써 장착 작업 시간을 줄이고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장차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셔(compressor); 상기 컴프레셔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콘덴서(condenser); 상기 콘덴서에서 응축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팽창밸브(expansion valve);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에바포레이터(evaporator); 및 상기 컴프레셔, 콘덴서, 팽창밸브, 에바포레이터가 내부에 설치된 에어컨본체 케이스(21)를 구비하는 에어컨 본체를 포함하는 무시동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본체 케이스(21)를 특장차의 차량차체에 고정시키는 에어컨설치부(3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에어컨설치부(30)는, 특장차의 차량차체에 고정되는 프레임인 설치프레임(31); 및 상기 설치프레임(31)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패널(33)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프레임(31)은, 특장차의 차량차체에 고정되는 차체고정프레임(311); 상기 차체고정프레임(31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공간을 형성하는 측방프레임(312); 및 상기 양측 측방프레임(312) 사이의 아래에 위치되는 저면프레임(313)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33)은, 상기 설치프레임(31)의 측방프레임(312)에 고정설치되고 다공이 형성된 측방다공패널(331); 상기 설치프레임(31)의 양측 측방프레임(312)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전방으로 일부가 경사면을 이루어 단차를 상부경사단차패널(332); 및 상기 설치프레임(31)의 양측 측방프레임(312)의 후방에 고정설치되고 다공이 형성된 후방다공패널(3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31) 내부의 아래에 위치되는 설치베이스패널(34); 및 상기 에어컨본체 케이스(21) 아래에 고정되는 패널인 에어컨저부패널(40)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베이스패널(34)의 상부로 에어컨본체 케이스(21) 및 에어컨저부패널(40)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치베이스패널(34)의 전방 측으로 위치되고 전방향 폭이 후방향 폭보다 좁은 전방설치유도가이드(35)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컨저부패널(40)의 전방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전방유도봉(41)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유도봉(41)이 전방설치유도가이드(35)에 의해 유도되어 정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방설치유도가이드(35)는, 전방향으로 향하는 막대 형태로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양측 전방의 폭이 후방보다 좁은 형태를 이루는 집중유도부(351); 상기 집중유도부(351)의 전방으로 원형의 정점지지라운드(353)에 막힌 전방유도봉(41)이 위치되는 유도정점위치부(352); 유도정점위치부(352)에 위치된 전방유도봉(41)의 전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원호 형상의 정점지지라운드(353); 및 양측 집중유도부(351)의 외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베이스패널(34)에 고정되는 가이드고정편(3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저부패널(40)의 후방 양측에서 하향으로 반추 형태로 돌출되는 후방고정볼(42)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베이스패널(34)의 후방 양측으로 위치되고 상기 후방고정볼(42)이 위치되는 원형 홈이 형성되고 블록형태로 된 고정볼정위치부(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정위치부(37)는, 후방고정볼(42)이 위치되는 원형 홈인 고정볼위치홈(371); 상기 고정볼위치홈(371)의 아래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인 고정볼체결공(372); 및 상기 고정볼체결공(372)으로 삽입되어 고정볼위치홈(371)에 위치된 후방고정볼(42)의 나사홈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체결볼트(3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에바포레이터(증발기) 등의 장치들로 이루어지는 무시동 에어컨을 특장차의 엔진과 이격된 후방에 장착함으로써 특장차의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설치구조를 이루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건설장비 및 특장차의 운행 및 에어컨의 작동에 의해서도 건설장비 및 특장차의 본래 작업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환경 보호에도 이바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건설장비 및 특장차의 후방에 설치할 경우 별도의 프레임을 차체에 고정시킨 다음에 에어컨을 손쉽게 장착함으로써 장착 작업 시간을 줄이고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이 건설장비인 굴삭기 후방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의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이 설치되는 프레임 및 패널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본체와 아래의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본체와 아래의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본체의 설치를 위한 상부의 에어컨저부패널과 아래의 설치베이스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본체가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본체 아래에 설치된 전방유도봉이 아래 프레임에 구비된 유도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본체 아래에 마련된 후방고정볼이 고정볼정위치부에 위치된 상태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본체 아래에 마련된 후방고정볼이 고정볼정위치부에 위치된 상태의 단면으로, 상하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본체에 대한 일 시시 예시를 보인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 등에서와 같이, 굴삭기, 로더, 건설장비, 산업차량, 농기계, 상용차, 지게차, 지하수 굴착기 등과 같은 건설장비 및 특장차에 설치되는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이에 도 1의 설치 예에서는 굴삭기(10)의 후방 상부에 에어컨 본체(20)가 설치됨을 예로 보인 것으로, 기타 다른 건설장비 및 특장차의 경우에도 설치 위치나 방식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의 각 구성을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후술되는 본 발명에서의 각 구성으로써, 설치프레임(31) 및 에어컨저부패널(40) 등을 각 건설장비 및 특장차 등에 맞춤형으로 구비한 상태에서, 바로 에어컨 본체(20)를 손쉽게 결합하기만 하면 손쉽게 에어컨을 거치하여 설치작업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의 경우 에어컨 본체(20)를 건설장비 및 특장차 등의 엔진에 붙여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각 건설장비 및 특장차 등의 설치 환경에 맞춰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 제약없이 에어컨디셔너의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의 경우 엔진 구동의 건설장비 및 특장차 등을 비롯하여, 전동지게차, 전동 굴삭기 등과 같이 엔진 없는 전동식의 건설장비 및 특장차 등에도 자유롭게 거치하여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특장차로부터 전원만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손쉽게 설치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이로써 에어컨 작동을 위해 엔진 구동이 없기 때문에, 화석연료의 연소가 없으므로 환경 보호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의 에어컨 본체(20)를 비롯한 각 세부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에어컨의 경우, 주요 구성으로서 건설장비 및 특장차 등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셔(compressor), 상기 컴프레셔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콘덴서(condenser), 상기 콘덴서에서 응축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팽창밸브(expansion valve),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에바포레이터(evaporator)를 비롯한 각종 팬이나 냉매 흐름의 구성 등이 마련되는 것이다. 특히 컴프레셔, 팬 등은 건설장비 및 특장차 등의 전원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별도의 엔진과 같은 동력의 전달없이도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3 및 도 4 등에서와 같이 상기 컴프레셔, 콘덴서, 팽창밸브, 에바포레이터가 내부에 설치된 에어컨본체 케이스(21)를 구비하는 에어컨 본체(20)를 포함하여 무시동 에어컨이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에어컨본체 케이스(21)를 특장차의 차량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에어컨설치부(30)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컨설치부(30)는 차량차체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이를 감싸는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에어컨설치부(30)의 상세 구성으로, 특장차의 차량차체에 고정되는 프레임인 설치프레임(31)을 구비하는 것으로, 이러한 설치프레임(31)은 뼈대를 이루면서 특장차의 차량차체에 고정되는 것이다. 대체로 특장차의 후방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작업자가 작업하는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설치프레임(31)의 세부 구성을 보면, 특장차의 차량차체에 고정되는 차체고정프레임(311)이 마련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예로 보면, 이러한 차체고정프레임(311)은 에어컨 본체(20)의 전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차체고정프레임(311)은 차량차체의 후방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차체고정프레임(31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공간을 형성하는 측방프레임(312)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양측 측방프레임(312) 사이의 아래에 위치되는 저면프레임(313)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설치프레임(31)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패널(33)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커버패널(33)은, 내부에 위치된 에어컨을 외부 빗물이나 물체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즉 특장차의 경우 대체로 작업환경이 좋지 않은 작업장에서의 작업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많은 물체들이 날아들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커버패널(33)에 의하여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패널(33)의 세부 구성을 보면, 상기 설치프레임(31)의 측방프레임(312)에 고정설치되고 다공이 형성된 측방다공패널(331)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31)의 양측 측방프레임(312)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전방으로 일부가 경사면을 이루어 단차를 형성한 상부경사단차패널(332)이 구비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설치프레임(31)의 양측 측방프레임(312)의 후방에 고정설치되고 다공이 형성된 후방다공패널(333)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측방다공패널(331) 및 후방다공패널(333) 등은 다공이 형성된 것으로, 에어컨디셔너로부터 열교환된 열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설치프레임(31) 내부의 아래에 위치되는 설치베이스패널(34)이 마련된다. 즉 이러한 설치베이스패널(34)의 상부로 에어컨 본체(20)가 위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특장차의 차량차체에 먼저 에어컨설치부(30)의 설치프레임(31)을 고정 설치시킨 다음에, 설치프레임(31) 내부 아래에 설치베이스패널(34)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런 다음 이러한 설치베이스패널(34) 상부인 에어컨설치부(30) 내부로 에어컨 본체(20)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에어컨본체 케이스(21) 아래에 고정되는 패널인 에어컨저부패널(40)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설치베이스패널(34)의 상부로 에어컨본체 케이스(21) 및 에어컨저부패널(40)이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에어컨설치부(30) 내부로 에어컨 본체(20)를 결합시키고 전원 등의 연결을 완료한 다음에, 최종적으로 커버패널(33) 부재들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에 이처럼 에어컨설치부(30)로 에어컨 본체(20)를 좀더 용이하게 거치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되는 것이다.
즉 상기 설치베이스패널(34)의 전방 측으로 위치되고 전방향 폭이 후방향 폭보다 좁은 전방설치유도가이드(35)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대응되어 상기 에어컨저부패널(40)의 전방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전방유도봉(41)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전방유도봉(41)이 전방설치유도가이드(35)에 의해 유도되어 정위치에 위치되는 것이다. 즉 아래에 전방유도봉(41)이 마련된 에어컨 본체(20) 및 에어컨저부패널(40) 등을 에어컨설치부(30)의 설치베이스패널(34)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미는 과정 만으로도, 에어컨 본체(20)가 에어컨설치부(30) 내부에 정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전방설치유도가이드(35)의 세부 구성을 보면, 도 7 내지 도 9 등에서와 같이, 전방향으로 향하는 막대 형태로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양측 전방의 폭이 후방보다 좁은 형태를 이루는 집중유도부(351)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집중유도부(351)는 후방으로 벌어진 형태를 이루고, 전방향으로 점차로 양측 집중유도부(35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양측 집중유도부(351) 사이에 전방유도봉(41)이 위치된 상태에서,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9의 예에서와 같이, 정위하게 되는 곳으로 양측 집중유도부(351)가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전방설치유도가이드(35)에는, 상기 집중유도부(351)의 전방으로 원형의 정점지지라운드(353)에 막힌 전방유도봉(41)이 위치되는 유도정점위치부(352)가 마련되는 것이다. 즉 양측 집중유도부(351)에 의해 가이드되어 최 전방인 유도정점위치부(352)로 전방유도봉(41)이 위치되는 것이다.
이처럼 전방유도봉(41)이 유도정점위치부(352)로 위치되면, 에어컨본체 케이스(21)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편(22)은 도 8에서처럼 설치프레임(31)의 차체고정프레임(311)에 형성된 설치공과 접하게 됨으로서, 볼트 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는 에어컨본체 케이스(21) 양옆으로 고정편(22)을 구성함을 예로 하였으며, 기타 에어컨본체 케이스 저면이나 전면 등에 고정을 위한 구성이 마련될 수 있는 등, 실시되는 양태에 알맞게 에어컨본체를 프레임에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도정점위치부(352)에 위치된 전방유도봉(41)의 전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원호 형상의 정점지지라운드(353)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정점지지라운드(353)에 의하여 유도정점위치부(352)에 위치된 전방유도봉(41)이 전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즉 특장차의 경우 굴삭기나 지게차 등과 같이 작업을 하는 중에는 수많은 요동과 충격이 가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에어컨 본체(20)도 흔들릴 수 있으나, 전방유도봉(41)이 정점지지라운드(353)에 의하여 고정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결국 에어컨 본체(20)는 고정편(22)에 의한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양측 집중유도부(351)의 외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베이스패널(34)에 고정되는 가이드고정편(354)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전방설치유도가이드(35)가 설치베이스패널(34)에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컨저부패널(40)의 후방 양측에서 하향으로 반추 형태로 돌출되는 후방고정볼(42)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치베이스패널(34)의 후방 양측으로 위치되고 상기 후방고정볼(42)이 위치되는 원형 홈이 형성되고 블록형태로 된 고정볼정위치부(37)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도 7, 도 10 내지 도 11 등에서와 같이, 에어컨본체 케이스(21) 아래의 에어컨저부패널(40)에 구비된 전방유도봉(41)이, 설치베이스패널(34)의 전방설치유도가이드(35)에 가이드되어, 유도정점위치부(352)에 위치된 상태에서, 에어컨본체 케이스(21) 양측 편의 고정편(22)이 차체고정프레임(311)의 설치구멍에 맞게 위치되는 것이다. 또한 후방으로는 에어컨저부패널(40) 후방에서 아래로 돌출된 후방고정볼(42)이, 설치베이스패널(34) 후방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는 블록 형태의 고정볼정위치부(37)의 원형 홈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처럼 후방고정볼(42)이 고정볼정위치부(37)의 홈에 위치된 다음에 볼트 등으로 양부재들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고정볼정위치부(37)는, 도 10, 도 11 등에서처럼 후방고정볼(42)이 위치되는 원형 홈인 고정볼위치홈(371)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볼위치홈(371)의 아래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인 고정볼체결공(372)이 구비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고정볼체결공(372)으로 삽입되어 고정볼위치홈(371)에 위치된 후방고정볼(42)의 나사홈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체결볼트(373)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고정볼위치홈(371)에 후방고정볼(42)이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볼체결공(372)을 지나는 고정볼체결볼트(373)가 후방고정볼(42)의 나사홈과 나사결합됨으로써, 후방고정볼(42)이 고정볼정위치부(37)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도면의 예에서와 같이 후방고정볼(42) 및 고정볼정위치부(37) 등은 양측으로 각각 마련함으로써, 특장차 및 에어컨 본체(20) 등이 흔들릴 경우라도 서로의 결합된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도 10에서와 같이 고정볼정위치부(37)에 위치된 후방고정볼(42)과의 사이에 볼유격공간(374)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후방고정볼(42) 보다 약간 넓은 너비로 고정볼정위치부(37)가 형성됨으로써, 후방고정볼(42)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굴삭기 12 : 차량차체
20 : 에어컨 본체 21 : 에어컨본체 케이스
30 : 에어컨설치부 31 : 설치프레임
33 : 커버패널 34 : 설치베이스패널
35 : 전방설치유도가이드 37 : 고정볼정위치부
40 : 에어컨저부패널

Claims (5)

  1. 특장차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셔(compressor);
    상기 컴프레셔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콘덴서(condenser);
    상기 콘덴서에서 응축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팽창밸브(expansion valve);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에바포레이터(evaporator); 및
    상기 컴프레셔, 콘덴서, 팽창밸브, 에바포레이터가 내부에 설치된 에어컨본체 케이스(21)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컨본체 케이스(21)를 특장차의 차량차체에 고정시키는 에어컨설치부(30)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컨설치부(30)는,
    특장차의 차량차체에 고정되는 프레임인 설치프레임(31); 및
    상기 설치프레임(31)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패널(33)을 포함하는 에어컨 본체를 포함하는 무시동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31)은,
    특장차의 차량차체에 고정되는 차체고정프레임(311);
    상기 차체고정프레임(31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공간을 형성하는 측방프레임(312); 및
    상기 양측 측방프레임(312) 사이의 아래에 위치되는 저면프레임(313)으로 구비되고,
    상기 설치프레임(31) 내부의 아래에 위치되는 설치베이스패널(34); 및
    상기 에어컨본체 케이스(21) 아래에 고정되는 패널인 에어컨저부패널(40)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베이스패널(34)의 상부로 에어컨본체 케이스(21) 및 에어컨저부패널(40)이 위치되고,
    상기 설치베이스패널(34)의 전방 측으로 위치되고 전방향 폭이 후방향 폭보다 좁은 전방설치유도가이드(35)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컨저부패널(40)의 전방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전방유도봉(41)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유도봉(41)이 전방설치유도가이드(35)에 의해 유도되어 정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전방설치유도가이드(35)는,
    전방향으로 향하는 막대 형태로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양측 전방의 폭이 후방보다 좁은 형태를 이루는 집중유도부(351);
    상기 집중유도부(351)의 전방으로 원형의 정점지지라운드(353)에 막힌 전방유도봉(41)이 위치되는 유도정점위치부(352);
    유도정점위치부(352)에 위치된 전방유도봉(41)의 전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원호 형상의 정점지지라운드(353); 및
    양측 집중유도부(351)의 외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베이스패널(34)에 고정되는 가이드고정편(3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33)은,
    상기 설치프레임(31)의 측방프레임(312)에 고정설치되고 다공이 형성된 측방다공패널(331);
    상기 설치프레임(31)의 양측 측방프레임(312)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전방으로 일부가 경사면을 이루어 단차를 형성한 상부경사단차패널(332); 및
    상기 설치프레임(31)의 양측 측방프레임(312)의 후방에 고정설치되고 다공이 형성된 후방다공패널(3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저부패널(40)의 후방 양측에서 하향으로 반추 형태로 돌출되는 후방고정볼(42)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베이스패널(34)의 후방 양측으로 위치되고 상기 후방고정볼(42)이 위치되는 원형 홈이 형성되고 블록형태로 된 고정볼정위치부(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KR1020220041328A 2022-04-01 2022-04-01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KR10265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328A KR102656827B1 (ko) 2022-04-01 2022-04-01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328A KR102656827B1 (ko) 2022-04-01 2022-04-01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279A KR20230142279A (ko) 2023-10-11
KR102656827B1 true KR102656827B1 (ko) 2024-04-12

Family

ID=8829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328A KR102656827B1 (ko) 2022-04-01 2022-04-01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8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663B1 (ko) * 2007-10-12 2008-12-03 임철수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8115B2 (ja) 2001-10-04 2006-09-06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ジェクタサイクル
DE202009004071U1 (de) 2009-03-23 2010-08-12 Liebherr-France Sas, Colmar Antrieb für einen Hydraulikbagger
KR20120002224A (ko)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보성테크 차량용 냉난방시스템
KR20180071569A (ko) * 2016-12-20 2018-06-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동 지게차의 공조장치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663B1 (ko) * 2007-10-12 2008-12-03 임철수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279A (ko)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3006C (zh) 工程机械
US6932148B1 (en) Vehicle heating and cooling system
CN101253071B (zh) 建筑机械的框架结构
US8631890B2 (en) Electric construction machine
EP1943121B1 (en) Cooling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US20120146361A1 (en) Work vehicle equipped with rear monitoring camera apparatus
CN101410603B (zh) 工作车辆的冷却结构
KR102656827B1 (ko) 건설장비 및 특장차용 거치식 무시동 에어컨
JP2002276554A (ja) 移動車のエンジンに搭載される電動機内蔵の圧縮機
KR20180071569A (ko) 전동 지게차의 공조장치 설치 구조
WO2013179697A1 (ja) 作業車両の車体構造
CN202756096U (zh) 安装支架、发动机安装结构总成和车辆
JP2006082661A (ja) 建設機械
JP5311381B2 (ja) 作業機械
JP4771867B2 (ja) トラクタ
JPH11193943A (ja) 空調機室外機の防振架台
JPH11240340A (ja) 産業用車両
WO2023276374A1 (ja) 作業機
CN113335024A (zh) 驻车空调的安装结构及具有该结构的一体式驻车空调
KR20210127705A (ko) 동력기계용 환기 시스템
JP2571757Y2 (ja) バックホーにおけるラジエータ用シロッコファンの駆動構造
JP2003048419A (ja) キャビンの構造
CN209738747U (zh) 车用空调系统
JP5941976B1 (ja) 車両用一体型空調ユニット
JP7118932B2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