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370B1 - 주형보의 지점 형성이 가능한 지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주형보의 지점 형성이 가능한 지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370B1
KR102656370B1 KR1020230043537A KR20230043537A KR102656370B1 KR 102656370 B1 KR102656370 B1 KR 102656370B1 KR 1020230043537 A KR1020230043537 A KR 1020230043537A KR 20230043537 A KR20230043537 A KR 20230043537A KR 102656370 B1 KR102656370 B1 KR 102656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eams
support beam
axial force
forc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Priority to KR102023004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측파일과, 외측파일의 상단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주형보와, 주형보 하부를 지지하는 주형 지지보와, 주형보 상부에 거치되는 복공판과, 대향되는 상기 외측파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일정부위를 연결하는 버팀보를 포함하는 골격부와, 외측파일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주형 지지보와 주형보에 동시에 접촉하여 서로 결속시키는 브라켓 형태의 버팀화부재와, 상기 주형 지지보와 외측파일에 동시에 접촉하여 서로 결속시키는 브라켓 형태의 피스 브라켓을 포함하는 지점 형성부를 포함함으로써, 토압이 외측 파일의 상단에서 저지될 수 있으면서도 종래보다 가로 방향의 버팀보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버팀보가 설치될 자리에 버팀보 없이도 지점이 형성가능함으로써, 지하 시설물이 설치 가능한 공간이 대폭 증가될 수 있는 지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주형보의 지점 형성이 가능한 지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Underground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a supporting point of a molded bea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시설물이 건설될 기초 대지의 지반을 굴착할 때 주위의 지반이 침하되거나 붕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축조되어 토압 또는 수압에 저항하는 벽체와 그 지보공을 의미하는 지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도시로의 인구집중현상으로 인한 사회시설의 고밀도화로 용지면적의 부족현상이 초래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용지활용을 위한 지하공간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된다. 이로 인해 최근 건설되는 시설물들은 그 시공을 위하여 인접한 재래 시설물들에 근접한 지하 굴착공사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보통 흙막이는 굴착의 진행과 동시에 설치되며 지하부분의 공사가 완료되는 동시에 철거된다. 이런 흙막이의 골조는 사용기간이 짧고 부재가 반복 사용되며 보통의 영구적 구조물에 비하여 통상적으로 안전성이 낮다. 그리고 이에 작용하는 토압, 수압 등의 하중은 지반의 상태뿐만 하니라 굴착의 방법과 공사의 진행 방법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이와 같이 흙막이는 터파기가 안전하게 수행되도록 강도와 강성을 가지게 설계되어야 하고, 공사 중이나 공사완료 후에 뒷면 토립자의 유출, 구조체 변형 및 배수에 의한 주위지반의 침하 등이 생겨 인접한 도로, 구조물 또는 지하매설물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설계단계에서 충분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검토단계에서 가시설공법의 선정에는 소음이나 진동, 교통처리계획 등 외적요인 및 지하구조물이 건설된 지역의 토질조건, 지하수 여건, 공사기간 및 인접 건물의 형태, 공사비 등의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도심지에서의 흙막이 시공시 상수관, 하수박스등 거대한 지장물이 많은 상태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외측파일에 가해지는 토압이 지지되도록 서로 대향되는 외측 파일 사이에 일정한 높이마다 버팀보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버팀보는 토압에 의한 외측파일의 변형을 최소화시키려면 많이 설치되어야 하나, 그 경우 도 2a의 왼쪽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팀보와 지장물 간의 간섭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지표면을 기준으로 지중구조물 토류 구조물의 엄지 말뚝이나 외측 파일은 버팀보와 같은 지보재가 없는 경우 외팔보 구조로 변위가 크고 단면력이 커서 설계기준을 만족시킬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도 2a의 왼쪽에 도시된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외측 파일의 상단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주형보는 주형보 상부에 설치된 복공판으로부터 가해지는 차량의 하중만을 받도록 설계되어, 토압에 견딜 수 있도록 외측 파일과 주형보의 연결부위에 지점을 형성 해 주지는 못한다.
이처럼 주형보가 외측 파일에 지점을 형성 해 주지는 못하므로 현재로서는 버팀보의 다량 설치가 불가피하다. 버팀보 설치 이외에 외측 파일의 외팔보 거동을지지 해 줄 수 있는 대안으로서는 어스 앵커나 레커(Raker)가 있으나, 어스앵커의 경우에는 굴착 과정에서 인근 대지로 강연선이 침입하는 구조이므로 인근 대지의 지반이 연약할 경우 강연선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고, 레커는 경사 버팀보의 형태이므로 토벽 측의 수평 반력을 온전하게 버티기 힘들 수 있어 자칫 붕괴가 초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외측 파일 또는 엄지 말뚝의 외팔보 거동이 억제되도록 안정적으로 지점을 형성시켜 주되, 버팀보처럼 지장물 과의 간섭이 초래되지 않는 가 시설 구조물 기술이 절실하게 요청되는 상황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55726호(공개일자: 2022.11.24.)
이에 본 발명은 지중구조물에서 양 측에서 가해지는 토압이 외측 파일의 상단에서 저지될 수 있으면서도 종래보다 가로 방향의 버팀보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버팀보가 설치될 자리에 버팀보 없이도 지점이 형성 가능함으로써, 지하 시설물이 설치 가능한 공간이 대폭 증가될 수 있는 지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구조물은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대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외측파일과, 외측파일의 상단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주형보와, 주형보 하부를 지지하는 주형 지지보와, 주형보 상부에 거치되는 복공판과, 대향되는 상기 외측파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일정부위를 연결하는 버팀보를 포함하는 골격부와, 상기 외측파일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주형 지지보와 주형보에 동시에 접촉하여 서로 결속시키는 브라켓 형태의 버팀화부재와, 상기 주형 지지보와 외측파일에 동시에 접촉하여 서로 결속시키는 브라켓 형태의 피스 브라켓을 포함하는 지점 형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점 형성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파일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주형 지지보와 주형보에 동시에 접촉하며 주형보에 압축력을 가하여 긴장시키는 스크류 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팀화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류 잭과 주형보에 동시에 접촉하여 상기 스크류 잭과 상기 주형보를 서로 결속시킴으로써, 상기 주형보는 긴장된 상태로 상기 주형 지지보와 상기 외측파일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외측파일 간의 거리가 일정한 경간 이상인 경우 상기 주형보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 이상이 서로 이어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주형보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서 어느 하나의 주형보의 일단과 이어지는 주형보의 타단은 소정 길이만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주형보가 단부에서 소정 길이만큼 평행하게 배치되는 부위의 하부에는 주형보에 직각인 방향으로 두 개의 주형 지지보가 이격되게 설치되어 주형보를 지지하되, 어느 하나의 상기 주형보의 길이 방향 축력이 버팀화 부재와 주형 지지보를 통하여 나머지 주형보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주형 지지보에 동시에 고정 결합되는 축력 전달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력 전달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형 지지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고, 축력 전달재 중에서 상기 주형 지지보의 상부에 설치되는 축력 전달재는 단부끼리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기 주형보 중 어느 하나의 양 측에 각각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주형 지지보의 하부에 설치되는 축력 전달재는 주형 지지보의 상부에 설치되는 축력 전달재에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주형보와 주형보 사이에 설치되는 축력 전달재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밀착된 두 개의 주형보의 각각의 하부 플랜지의 상면에 축력 전달재의 양 측이 각각 거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축력 전달재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면에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주형 지지보의 상부 플랜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주형보의 하부 플랜지를 거쳐 상기 축력 전달재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전달재 고정용 볼트가 설치되며, 상기 축력 전달재와 상기 하부 플랜지는 축력 전달재의 양 측에 각각 용접되거나 또는 상기 전달재 고정용 볼트는 상기 축력 전달재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기 축력 전달재로 인해 두 개의 주형보와 두 개의 주형 지지보가 하나의 축력 전달재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력 전달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 수직 상부로 측벽이 연장 형성되고, 축력 전달재는 상부가 개방된 채널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상판이 결합되어 하나의 강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지중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외측 파일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형태의 대지 둘레를 따라 복수 개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외측 파일로 둘러싸이는 상기 대지에 터파기를 실시하면서 상기 외측 파일 사이에 흙막이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터파기의 깊이가 일정한 깊이 이상이 될 경우에 상기 대지 둘레를 따라 보 걸이와 상기 외측 파일을 연결하는 형태로 띠장을 상기 보 걸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띠장이 설치된 지점에서 서로 대향되는 외측 파일 사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대향되는 상기 띠장과 상기 띠장에 대향되는 띠장을 연결하는 버팀보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터파기를 추가 실시하면서 상기 흙막이의 설치와 버팀보의 설치를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외측 파일의 상단의 근접 부위에 피스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대지 둘레를 따라 상기 피스 브라켓의 상부에 상기 외측 파일의 상부의 측면을 연결하는 형태로 주형 지지보를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외측 파일의 상단에 외측 파일을 연결하는 주철근과 주철근을 둘러싸는 띠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외측 파일의 상단 둘레에 타설하여 캡빔을 형성하는 단계와, 서로 대향되는 상기 외측 파일의 상단을 가로지르며 연결하는 형태로 주형보를 상기 주형 지지보의 상부에 고정 거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형보의 저면과 상기 주형 지지보의 측면 또는 상기 주형보의 저면과 상기 캡빔의 측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챔버 또는 브라켓 형태의 버팀화 부재를 상기 주형보의 저면과 주형 지지보의 측면에 체결 부재로 고정 결합하여 주형보와 주형 지지보를 일체로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형 지지보를 일체로 결속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팀화 부재와 상기 주형 지지보의 측면 사이에 상기 주형보에 압축력을 가하여 긴장시키는 스크류 잭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피스 브라켓의 노출된 측면 중에서 상기 주형 지지보의 하부 지점에 선반 형태의 보 걸이를 설치한 다음, 상기 버팀화 부재와 상기 주형 지지보의 측면 사이에 띠장을 추가로 상기 보 걸이 상부에 거치되는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형보를 상기 주형 지지보의 상부에 고정 거치하는 단계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한 상기 외측파일 간의 거리가 일정한 경간 이상인 경우 상기 주형보를 두 개 이상으로 마련하여 주형보 간의 단부가 서로 엇갈리면서 평행하게 잇는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형보 간의 단부가 서로 엇갈리면서 평행하게 배치된 부위의 하부에 주형보에 직각인 방향으로 두 개의 주형 지지보를 이격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두 개의 주형보 사이에 두 개의 버팀화 부재와, 상기 두 개의 주형 지지보를 연결하는 축력 전달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력 전달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력 전달재를 주형 지지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두 개의 주형 지지보의 상부와 하부를 모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력 전달재를 주형 지지보의 상부에 설치할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력 전달재의 폭 방향의 일 측은 서로 엇갈리는 상기 주형보 중 어느 하나의 하부 플랜지 상면에 거치하고 축력 전달재의 폭 방향의 타 측은 상기 주형보 중 나머지 하나의 하부 플랜지의 상면에 거치하고, 상기 주형 지지보의 상부 플랜지와 상기 주형보의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축력 전달재의 저면을 용접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전달재 고정용 볼트로 설치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복수 개의 외측 파일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형태의 대지 둘레를 따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대지에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외측 파일의 상부 측면에 피스 브라켓을 설치하고, 피스 브라켓 상부에 상기 외측 파일의 상단에 인접한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외측 파일을 연결하는 주형 지지보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형 지지보 상부에 주형 지지보에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주형보를 설치하고, 상기 주형 지지보의 측면과 주형보의 저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브라켓 형태의 버팀화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주형 지지보와 주형보를 서로 연결하여 수평력이 서로 이격된 주형 지지보 사이에서 주형보를 따라 전달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주형보의 저면과 상기 버팀화부재의 상면을 체결부재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버팀화부재의 측면과 상기 주형 지지보의 측면을 체결부재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주형보와 상기 주형 지지보를 일체로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형 지지보를 일체로 결속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팀화 부재와 상기 주형 지지보의 사이에, 상기 주형보의 모멘트를 감소시키며 주형보와 버팀화부재의 밀착력을 높이도록 압축력을 가하여 긴장하는 스크류 잭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버팀화 부재와 상기 주형 지지보의 측면 사이에 띠장을 추가로 거치하고 상기 띠장의 하부에 선반 형태의 보 걸이를 상기 피스 브라켓의 측면에 고정 설치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추가 띠장 설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복수 개의 외측 파일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형태의 대지 둘레를 따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대지에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외측 파일의 상단에 주철근과 주철근을 둘러 싸는 띠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캡빔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캡빔의 상면에 상기 주형보를 거치하고 상기 캡빔 측면에 버팀화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형보의 저면과 상기 버팀화부재의 상면을 체결부재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버팀화부재의 측면과 상기 캡빔의 측면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주형보와 상기 캡빔을 일체로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주철근과 상기 콘크리트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상기 주형보의 반력과 상기 터파기로 형성된 토벽의 토압에 대해 모두 저항력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구조물은 양 측에서 가해지는 토압이 외측 파일의 상단에서 저지될 수 있으면서도 종래보다 가로 방향의 버팀보 개수를 줄일 수 있음으로써, 지하 시설물이 설치 가능한 공간이 대폭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기본 개념과 종래의 지중구조물의 비교도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지점 형성부를 각각 구체화한 확대도이다.
도 2c는 도 2b에서 오른쪽 도면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2d 내지 도 2f는 도 2c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일부 평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해당하는 부위를 도 1에서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3에서 축력 전달재의 두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확대도와 정단면도를 각각 표현한 도면이다.
도 도 6a와 도 6b는 축력 전달재의 구조에 대한 두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7은 축력 전달재의 평면 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축력의 전달 경로를 표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축력으로 인한 주형보의 모멘트 선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구조물은 골격부(10)와, 지점 형성부(20)를 포함한다.
골격부(10)는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외측파일(11)과, 외측파일(11)의 상단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주형보(13)와, 주형보(13)의 하부를 지지하는 주형 지지보(14)와, 주형보(13)의 상부에 거치되는 복공판(15)과, 대향되는 외측파일(11)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일정부위를 연결하는 버팀보(12)를 포함한다.
이때 두 외측파일(11)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 파일(19)이 설치될 수 있으며, 중간 파일(19)이 설치된 지점에는 두 개의 주형 지지보(14)가 중간 파일(19) 상단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중간 파일(19)은 두 개의 주형 지지보(14)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지점 형성부(20)는 종래에 버팀보(12)가 설치되는 자리에 버팀보(12)가 없어도 외측파일(11)이 토압에 버틸 수 있도록 버틸 수 있는 지지 포인트인 지점을 형성 해 주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지점 형성부(20)는 도 1 및 도 2b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파일(11)에 근접 배치되고 주형 지지보(14)와 주형보(13)에 동시에 접촉하여 서로 결속시키는 브라켓 형태의 버팀화 부재(21)와, 주형 지지보(14)와 외측파일(11)에 동시에 접촉하여 서로 결속시키는 브라켓 형태의 피스 브라켓(22)을 포함을 포함한다.
즉 피스 브라켓(22)은 주형 지지보(14)와 외측파일(11)을 견고하게 결속시키고, 이때 버팀화 부재(21)가 주형 지지보(14)와 주형보(13)를 견고하게 결속시킴으로써, 주형보(13)로부터 외측 파일(11)까지 일체로 토압을 지지할 수 있고, 특히 주형보(13)의 길이 방향이 토압에 저항하는 축력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버팀보(12)의 결합위치에 형성되던 토압에 저항하는 지지 포인트인 지점이 본 발명에서는 버팀보(12) 없이도 주형보(13)의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통상의 주형보(13)는 차량의 하중만 받는 구조물로 설계되어, 지점 형성이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버팀화 부재(21)가 설치되면, 캔틸레버처럼 작동하는 외측파일(11)이 견고하게 지지되고, 주형보(13)는 축 방향의 축력이 형성될 수 있어 토압에 대한 반력을 생성하면서 지점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보(13)의 어느 한 측에는 외측파일(11)에 근접 배치되고 주형 지지보(14)와 주형보(13)에 동시에 접촉하며 주형보(13)에 압축력을 가하여 긴장시키는 스크류 잭(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잭(25)은 스크류 잭(25)과 고정 결합된 버팀화 부재(21)를 통하여 버팀보(12)에 압축력을 가한다. 이때 압축력이 가해진 버팀보(12)는 토압에 반력을 가하여, 토압으로 인해 외측파일(11)이 캔틸레버처럼 내측으로 처지는 변형이 생기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형태로 스크류 잭(25) 또한 지점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 토압의 크기에 따라 필요할 경우에는 도 2d와 같이 추가적인 띠장인 ‘지점 추가 띠장(18)’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점 추가 띠장(18)과 피스 브라켓(22) 사이에는 지점 추가 띠장(18)을 지지하는 보 걸이(23)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점 추가 띠장(18)과 보 걸이(23)와 같은 부재들이 별도로 각각 설치되면서 부자재의 비용과 공간 축소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 2e 및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빔(24)이 타설되어 지점을 형성해 줄 수도 있다.
캡 빔(24)은 도 2e와 같이 외측 파일(11)이 빔 형태의 어미 말뚝이나 또는 CIP 공법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파일 형태인 경우 모두에 적용 가능하며, 외측 파일(11)의 상단을 연결하는 형태로 주철근(241)이 배근되고, 주철근(241)을 둘러싸는 띠철근(242)이 배근된 자리에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되는 캡 빔(24)은 지점 형성 및 전단력에 저항하는 저항력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외측 파일(11) 간의 거리가 일정한 경간 이상인 경우 주형보(13)는 두 개 이상이 서로 이어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주형보(13)가 이어지는 형태는 주형보(13)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서 어느 하나의 주형보(13)의 일단과 이어지는 주형보(13)의 타단은 소정 길이만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형태가 된다. 즉 주형보(13)와 주형보(13)의 연결은 현장 시공성으로 인해 서로 완전히 단부가 일치하는 형태로 연결되긴 힘들고, 설사 주형보(13) 간의 연결이 마치 하나의 긴 주형보(13)와 같은 형태로 이어진다고 하더라도 양 측에서 받는 토압으로 인해 휨이 발생되므로 주형보(13)의 연결은 단부가 서로 어긋나면서 서로 평행하게 도 3과 같은 형태로 연결된다.
주형보(13)가 서로 단부끼리 연결되는 부위는 하부에 두 개의 주형 지지보(14)가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지지 해 준다. 이때 주형 지지보(14) 간의 간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파일(19)이 설치되어 유지시켜 주며, 중간 파일(19)은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 브라켓(22)으로 주형 지지보(14)와 견고하게 결속되며, 이때 주형 지지보(14)에는 외측 파일(11)에서와 마찬가지로 버팀화 부재(21)가 주형보(13)와 주형 지지보(14)를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그런데 주형보(13)의 축 방향을 통해 전달되는 토압이 주형보(13)로 저지되면서 실질적으로 지점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양 측의 토압이 서로 일정정도 상쇄 되면서 주형보(13)의 처짐을 방지시키도록 주형보(13)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서 축력이 전달되어야 한다. 이러한 주형보(13)의 길이방향을 통한 축력의 전달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 및 도 3의 왼쪽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종래의 주형보(13)와 주형보(13)의 연결은 주형보(13)와 결합된 주형 지지보 (14)및 주형 지지보(14) 사이에 설치된 중간 파일(19)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때 주형보(13)와 주형보(13)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이상 축력이 효과적으로 주형보 사이에 도 3과 같이 편심되어 흐르기는 힘들며, 오히려 주형보(13)와 직각으로 연결된 주형 지지보(14)에 휨 모멘트로만 작용될 뿐이다.
또한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주형보(13)와 주형보(13)의 연결이 서로 단부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은 현장 시공상의 문제로 사실상 불가능하며 설령 단부가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주형보(13)가 연결되더라도 연결지점이 축력을 견디기 힘든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중구조물에서는 주형보(13)와 주형보(13)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주형보(13)의 길이 방향 축력이 주형 지지보(14)를 통하여 나머지 주형보로 전달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주형 지지보(14)에 동시에 고정 결합되는 축력 전달재(30)가 마련될 수 있다.
축력 전달재(40)는 주형 지지보(14)에 고정 결합되지만, 주형보(13) 간의 축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보(13)에도 고정 결합되거나, 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보(13)에 밀착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축력 전달재(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 지지보(14)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주형 지지보(14)의 상부에 설치되는 축력 전달재(30)는 축력 전달재(30)의 길이 방향이 주형보(13)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주형보(13)에 밀착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주형 지지보(14)의 상부에 설치되는 축력 전달재(30)는 도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주형보(13) 사이에 설치되거나 또는 두 개의 주형 보(13)의 사이와 외측에 각각 모두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주형 지지보(14)의 하부에 설치되는 축력 전달재(30)는 주형 지지보(14)의 상부에 설치되는 축력 전달재(30) 중에서 두 개의 주형보(13) 사이에 설치되는 축력 전달재(30)의 수직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축력 전달재(30)의 보다 구체적인 설치 위치에는 도 5a와 도 5b의 두 가지 실시예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축력 전달재(30)는 주형보(13)의 양 측에 설치된 축력 전달재(30) 중 어느 하나가 주형보(13)와 주형보(13) 사이에 설치되되, 이때 주형보(13)와 주형보(13) 사이 간격은 축력 전달재(30)의 폭 만큼이거나 또는 그보다 미세하게 더 클 수 있다.
이 경우, 축력 전달재(30)와 주형 지지보(14)의 결합은 용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접 외의 또다른 실시예로서는 전달재 고정용 볼트(35)가 아래로부터 차례로 주형 지지보(14)의 상부 플랜지(141)와 축력 전달재(30)의 하판을 관통한 다음 축력 전달재(30)의 바닥을 뚫고 올라온 부위가 볼트 고정 너트(33)에 결합되는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축력 전달재(30)의 배치에 관한 두 번째 실시예는 주형보(13)의 양측에 설치된 축력 전달재(30) 중 어느 하나가 주형보(13)와 주형보(13) 사이에 설치되는 것은 첫 번째 실시예인 도 5a와 동일하나, 주형보(13)와 주형보(13) 사이의 간격은 축력 전달재(30)의 폭 보다 작거나 또는 주형보(13) 사이가 밀착되고, 축력 전달재(30)는 폭 방향의 일 측은 어느 한 쪽의 주형보의 하부 플랜지(131)의 상면에 거치되고, 타 측은 나머지 한 쪽의 주형보의 하부 플랜지(131)의 상면에 거치되는 형태이다.
즉 축력 전달재(30)는 두 개의 주형보(13)가 밀착하면서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될 때는 H 빔 형태의 어느 하나의 주형보(30)를 이루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중에서 하부 플랜지의 상면에 용접 또는 전달재 고정용 볼트로 설치되고, 두 개의 주형보(13)가 축력 전달재(30)의 폭 만큼 이격되어 축력 전달재(30)가 두 개의 주형보(13) 사이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될 때는 축력 전달재(30)는 주형 지지보(14)의 상면에 용접 또는 전달재 고정용 볼트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역시 축력 전달재(30)의 설치는 용접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전달재 고정용 볼트(35)가 차례로 주형 지지보의 상부 플랜지(141)의 저면부터 주형보의 하부 플랜지(131)와 축력 전달재(30)의 하판을 차례로 관통하여 볼트 고정 너트(33)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처럼 주형보(13)와 주형 지지보(14)와 축력 전달재(30)가 일체로 결속되어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축력이 약간 편심 되면서 어느 하나의 주형보(13)로부터 이어지는 나머지 주형보(13)로 전달될 수 있다.
축력 전달재의 구체적인 형태는 H 빔(도시되지 않음)이나 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앵글이나 또는 채널 형태나, 또는 채널과 그 상부를 밀폐하는 상판이 결합되어 하나의 강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축력 전달재(30)가 용접으로 설치될 때는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볼트 고정용 너트(33)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설치 과정이 까다로울 수 있으므로 아래와 같은 실시예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도 6a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력 전달재(30)의 바닥 면에 미리 형성된 볼트용 홀(36)의 상부에 볼트 고정용 너트(33)가 사전에 용접이 이루어진 다음에 도 6b와 같이 상판(32)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판(32)은 도 6b와 같이 용접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축력 전달재(30)의 몸체(31)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도시되지 않음)와 상판(32)이 별도로 마련된 볼트로 결합될 수도 있다.(도시되지 않음)
축력 전달재(30) 내부에 이처럼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고정용 너트(33)가 미리 설치됨으로써, 현장에서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별도로 너트 설치가 필요 없어 간편하고 신속하게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축력 전달재(30)는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두 주형보(13)에 각각 어느 한 측이 거치되고 결합되므로 볼트 고정용 너트(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두 개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축력 전달재(30)와 버팀화 부재(21)가 설치됨으로써 주형보(13)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서로 이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더라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압이 주형보(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달되며, 특히 주형보(13)는 스크류 잭(25)으로 긴장되어 토압으로 인한 외측 파일(11)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반력을 제공하므로, 주형보(13) 상부의 복공판(15)으로부터 전달되는 상부의 차량 하중에도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지중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지중구조물의 내용과 상당 부분이 중복되므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형보(13)의 지점 형성이 가능한 지중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외측 파일(11)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형태의 대지 둘레를 따라 복수 개를 설치하는 단계와, 외측 파일(11)로 둘러싸이는 상기 대지에 터파기를 실시하면서 상기 외측 파일(11) 사이에 흙막이를 설치하는 단계와, 터파기의 깊이가 일정한 깊이 이상이 될 경우에 상기 대지 둘레를 따라 보걸이(23)와 상기 외측 파일(11)을 연결하는 형태로 띠장(17)을 상기 보걸이(23)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띠장(17)이 설치된 지점에서 서로 대향되는 외측 파일(11) 사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서로 대향되는 띠장(17)과 띠장(17)에 대향되는 띠장(17)을 연결하는 버팀보(12)를 설치하는 단계와, 터파기를 추가 실시하면서 상기 흙막이의 설치와 버팀보(12)의 설치를 반복하는 단계로 시작된다.
버팀보(12)의 설치를 반복하는 단계 이후에는 외측 파일(11)의 상단의 근접 부위에 피스 브라켓(22)을 설치하고, 상기 대지 둘레를 따라 피스 브라켓(22)의 상부에 외측 파일(11)의 상부의 측면을 연결하는 형태로 주형 지지보(14)를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외측 파일(11)의 상단에 외측 파일(11)을 연결하는 주철근(241)과 주철근(241)을 둘러싸는 띠철근(242)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외측 파일(11)의 상단 둘레에 타설하여 캡 빔(24)을 형성하는 단계와, 서로 대향되는 외측 파일(11)의 상단을 가로지르며 연결하는 형태로 주형보(13)를 주형 지지보(14)의 상부에 고정 거치하는 단계와, 주형보(13)의 저면과 주형 지지보(14)의 측면 또는 주형보(13)의 저면과 캡 빔(24)의 측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브라켓 형태의 버팀화 부재(21)를 주형보(13)의 저면과 주형 지지보(14)의 측면에 체결 부재로 고정 결합하여 주형보(13)와 주형 지지보(14)를 일체로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형 지지보(14)를 일체로 결속하는 단계는 버팀화 부재(21)와 주형 지지보(14)의 측면 사이에 주형보(13)에 압축력을 가하여 긴장시키는 스크류 잭(25)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피스 브라켓(22)의 노출된 측면 중에서 주형 지지보(14)의 하부 지점에 선반 형태의 보 걸이를 설치한 다음, 버팀화 부재(21)와 주형 지지보(14)의 측면 사이에 지점 추가 띠장(18)을 추가로 보 걸이(23) 상부에 거치되는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주형 지지보(14)와 주형보(13)가 만나는 지점에서 스크류 잭(25)의 설치 여부와 지점 추가 띠장(18)의 설치 여부는 토압에 따른 지점 형성이 가능한지에 따른 선택 사항이 되는 것이다.
이때 주형보(13)를 주형 지지보(14)의 상부에 고정 거치하는 단계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한 외측 파일(11) 간의 거리가 일정한 경간 이상인 경우, 주형보(13)를 두 개 이상으로 마련하여, 두 개 이상의 주형보(13) 간의 단부가 서로 엇갈리면서 평행하게 이어지는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와, 주형보(13) 간의 단부가 서로 엇갈리면서 평행하게 배치된 부위의 하부에 주형보(13)에 직각인 방향으로 두 개의 주형 지지보(14)를 이격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두 개의 주형보(13) 사이에 두 개의 버팀화 부재(21)와, 두 개의 주형 지지보(14)를 연결하는 축력 전달재(30)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축력 전달재(30)를 설치하는 단계는 축력 전달재(30)를 주형 지지보(14)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하여, 두 개의 주형 지지보(14)의 상부와 하부를 모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축력 전달재(30)를 주형 지지보(14)의 상부에 설치할 때, 축력 전달재(30)의 폭 방향의 일 측은 서로 엇갈리는 주형보(13) 중 어느 하나의 하부 플랜지(131) 상면에 거치하고 축력 전달재(30)의 폭 방향의 타 측은 주형보 중 나머지 하나의 하부 플랜지(131)의 상면에 거치하며, 주형 지지보의 상부 플랜지(141)와 주형보의 하부 플랜지(131) 및 축력 전달재(30)의 저면을 모두 관통하는 전달재 고정용 볼트(35)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축력 전달재(30)를 주형 지지보(14)의 상부에 설치할 때, 축력 전달재(30)를 두 개의 주형보(13)의 사이에 배치하고, 축력 전달재(30)를 용접으로 고정하거나 또는 주형 지지보(14)의 상부 플랜지(141)와 축력 전달재(30)의 저면을 함께 관통하는 전달재 고정용 볼트(35)를 설치함으로써 주형 지지보(14)와 축력 전달재(30)가 일체로 거동하도록 결속할 수 있다.
여기서 축력 전달재(30)는 단순한 판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형태일 수도 있으며, 상판이 있는 강관 형태도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시공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는 복수 개의 외측 파일(11)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형태의 대지 둘레를 따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대지에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와, 외측 파일(11)의 상부 측면에 피스 브라켓(22)을 설치하고, 피스 브라켓(22) 상부에 외측 파일(11)의 상단에 인접한 측면에 접촉하여 외측 파일(11)을 연결하는 주형 지지보(14)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주형 지지보(14) 상부에 주형 지지보(14)에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주형보(13)를 설치하고, 주형 지지보(14)의 측면과 주형보(13)의 저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브라켓 형태의 버팀화부재(21)를 설치함으로써, 주형 지지보(14)와 주형보(13)를 서로 연결하여 수평력이 서로 이격된 주형 지지보(14) 사이에서 주형보(13)를 따라 전달되게 하는 단계와, 주형보(13)의 저면과 버팀화부재(21)의 상면을 체결부재로 고정 결합하고, 버팀화부재(21)의 측면과 주형 지지보(14)의 측면을 체결부재로 고정함으로써, 주형보(13)와 주형 지지보(14)를 일체로 결속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주형 지지보(14)를 일체로 결속하는 단계는 버팀화부재(21)와 주형 지지보(14)의 사이에, 주형보(13)의 모멘트를 감소시키며 주형보(13)와 버팀화부재(21)의 밀착력을 높이도록 압축력을 가하여 긴장하는 스크류 잭(25)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버팀화 부재(21)와 주형 지지보(14)의 측면 사이에 띠장(17)을 추가로 거치하고 띠장(17)의 하부에 선반 형태의 보 걸이(23)를 피스 브라켓(22)의 측면에 고정 설치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추가 띠장 설치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복수 개의 외측 파일(11)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형태의 대지 둘레를 따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대지에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와, 외측 파일(11)의 상단에 주철근(241)과 주철근(241)을 둘러싸는 띠철근(242)을 배근하고 전면 상단에 앵글(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캡빔(24)을 형성하는 단계와, 캡빔(24)의 상면에 주형보(13)를 거치하고 캡빔(24) 측면에 버팀화 부재(21)를 설치하는 단계와, 주형보(13)의 저면과 버팀화부재(21)의 상면을 체결부재로 고정 결합하고, 버팀화부재(21)의 측면과 캡빔(24)의 측면을 결합함으로써, 주형보(13)와 캡빔(24)을 일체로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주철근(241)과 콘크리트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주형보(13)의 반력과 상기 터파기로 형성된 토벽의 토압에 대해 모두 저항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D : 지점 E : 토압 진행 방향
G : 기초 R : 휨 모멘트 선도
S : 신설 구조물 10 : 골격부
11 : 외측 파일 12 : 버팀보
13 : 주형보 14 : 주형 지지보
15 : 복공판 16 : 콘크리트 파일
17 : 띠장 18 : 지점 추가 띠장
19 : 중간 파일 20 : 지점 형성부
21 : 버팀화 부재 22 : 피스 브라켓
23 : 보 걸이 24 : 캡 빔
25 : 스크류 잭 30 : 축력 전달재
31 : 몸체 32 : 상판
33 : 볼트 고정용 너트 34 : 용접 층
35 : 전달재 고정용 볼트 36 : 볼트용 홀
131 : 주형보의 하부 플랜지 141 : 주형 지지보의 상부 플랜지
213 : 버팀화 부재 고정 볼트 214 : 전단 키
241 : 주철근 242 : 띠 철근

Claims (13)

  1.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대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외측파일과, 외측파일의 상단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주형보와, 주형보 하부를 지지하는 주형 지지보와, 주형보 상부에 거치되는 복공판과, 대향되는 상기 외측파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일정부위를 연결하는 버팀보를 포함하는 골격부와;
    상기 외측파일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주형 지지보와 주형보에 동시에 접촉하여 서로 결속시키는 브라켓 형태의 버팀화부재와, 상기 주형 지지보와 외측파일에 동시에 접촉하여 서로 결속시키는 브라켓 형태의 피스 브라켓을 포함하는 지점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점 형성부는 상기 외측파일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주형 지지보와 주형보에 동시에 접촉하며 주형보에 압축력을 가하여 긴장시키는 스크류 잭을 포함하고,
    상기 버팀화부재는 상기 스크류 잭과 주형보에 동시에 접촉하여 상기 스크류 잭과 상기 주형보를 서로 결속시킴으로써, 상기 주형보는 긴장된 상태로 상기 주형 지지보와 상기 외측파일에 고정 결합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외측파일 간의 거리가 일정한 경간 이상인 경우 상기 주형보는 두 개 이상이 서로 이어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주형보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서 어느 하나의 주형보의 일단과 이어지는 주형보의 타단은 소정 길이만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주형보가 단부에서 소정 길이만큼 평행하게 배치되는 부위의 하부에는 주형보에 직각인 방향으로 두 개의 주형 지지보가 이격되게 설치되어 주형보를 지지하되, 어느 하나의 상기 주형보의 길이 방향 축력이 버팀화 부재와 주형 지지보를 통하여 나머지 주형보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주형 지지보에 동시에 고정 결합되는 축력 전달재가 마련되며,
    상기 축력 전달재는 상기 주형 지지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력 전달재 중에서 상기 주형 지지보의 상부에 설치되는 축력 전달재는 주형 지지보의 상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주형보의 사이 또는 두 개의 주형보의 외측에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주형 지지보의 하부에 설치되는 축력 전달재는 주형 지지보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두 개의 주형보의 수직 하부 또는 상기 주형 지지보의 상부에 설치되는 축력 전달재 중에서 두 개의 주형보의 사이에 축력 전달재가 설치될 때 그 수직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주형보 사이에 설치되는 축력 전달재는, 두 개의 주형보가 서로 밀착될 때는 두 개의 주형보의 외측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두 개의 주형보가 축력 전달재의 폭 만큼 이격될 때는 두 개의 주형보 사이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축력 전달재는 주형 지지보의 상면에 용접 또는 전달재 고정용 볼트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력 전달재는 바닥면의 양 측에 수직 상부로 측벽이 연장 형성되고,
    축력 전달재는 H 빔이나 또는 상부가 개방된 앵글이나 또는 채널 형태나, 또는 채널과 그 상부를 밀폐하는 상판이 결합되어 하나의 강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구조물.
  7.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으로 이루어지는 지중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외측 파일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형태의 대지 둘레를 따라 복수 개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외측 파일로 둘러싸이는 상기 대지에 터파기를 실시하면서 상기 외측 파일 사이에 흙막이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터파기의 깊이가 일정한 깊이 이상이 될 경우에 상기 대지 둘레를 따라 보 걸이와 상기 외측 파일을 연결하는 형태로 띠장을 상기 보 걸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띠장이 설치된 지점에서 서로 대향되는 외측 파일 사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대향되는 상기 띠장과 상기 띠장에 대향되는 띠장을 연결하는 버팀보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터파기를 추가 실시하면서 상기 흙막이의 설치와 버팀보의 설치를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외측 파일의 상단의 근접 부위에 피스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대지 둘레를 따라 상기 피스 브라켓의 상부에 상기 외측 파일의 상부의 측면을 연결하는 형태로 주형 지지보를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외측 파일의 상단에 외측 파일을 연결하는 주철근과 주철근을 둘러싸는 띠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외측 파일의 상단 둘레에 타설하여 캡빔을 형성하는 단계와;
    서로 대향되는 상기 외측 파일의 상단을 가로지르며 연결하는 형태로 주형보를 상기 주형 지지보의 상부에 고정 거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형보의 저면과 상기 주형 지지보의 측면 또는 상기 주형보의 저면과 상기 캡빔의 측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챔버 또는 브라켓 형태의 버팀화 부재를 상기 주형보의 저면과 주형 지지보의 측면에 체결 부재로 고정 결합하여 주형보와 주형 지지보를 일체로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중구조물의 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지지보를 일체로 결속하는 단계는 상기 버팀화 부재와 상기 주형 지지보의 측면 사이에 상기 주형보에 압축력을 가하여 긴장시키는 스크류 잭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피스 브라켓의 노출된 측면 중에서 상기 주형 지지보의 하부 지점에 선반 형태의 보 걸이를 설치한 다음, 상기 버팀화 부재와 상기 주형 지지보의 측면 사이에 띠장을 추가로 상기 보 걸이 상부에 거치되는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구조물의 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보를 상기 주형 지지보의 상부에 고정 거치하는 단계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한 상기 외측파일 간의 거리가 일정한 경간 이상인 경우 상기 주형보를 두 개 이상으로 마련하여 주형보 간의 단부가 서로 엇갈리면서 평행하게 잇는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형보 간의 단부가 서로 엇갈리면서 평행하게 배치된 부위의 하부에 주형보에 직각인 방향으로 두 개의 주형 지지보를 이격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두 개의 주형보 사이에 두 개의 버팀화 부재와, 상기 두 개의 주형 지지보를 연결하는 축력 전달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구조물의 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력 전달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축력 전달재를 주형 지지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용접 또는 볼트로 설치하되,
    상기 축력 전달재 중에서 상기 주형 지지보의 상부에 설치하는 축력 전달재는 주형 지지보의 상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주형보의 사이 또는 두 개의 주형보의 외측에 인접하게 설치하고,
    상기 주형 지지보의 하부에 설치하는 축력 전달재는 주형 지지보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두 개의 주형보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의 수직 하부에 설치하며,
    상기 두 개의 주형보 사이에 설치하는 축력 전달재는, 두 개의 주형보가 서로 밀착될 때는 두 개의 주형보의 외측에 인접하게 설치하고, 두 개의 주형보가 축력 전달재의 폭 만큼 이격될 때는 두 개의 주형보 사이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구조물의 시공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30043537A 2023-04-03 2023-04-03 주형보의 지점 형성이 가능한 지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656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537A KR102656370B1 (ko) 2023-04-03 2023-04-03 주형보의 지점 형성이 가능한 지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537A KR102656370B1 (ko) 2023-04-03 2023-04-03 주형보의 지점 형성이 가능한 지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370B1 true KR102656370B1 (ko) 2024-04-12

Family

ID=9067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537A KR102656370B1 (ko) 2023-04-03 2023-04-03 주형보의 지점 형성이 가능한 지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3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21B1 (ko) * 2006-11-13 2007-08-30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주형보의 압축반력을 이용하여 시설물설치공간부를 형성한지중토류벽시공방법.
KR20100133163A (ko) * 2009-06-11 2010-12-21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교통처리를 감안한 가시설용 주형보 연결공법
KR20150010421A (ko) * 2013-07-19 2015-01-28 (주)써포텍 캡빔 구조체
KR20170083694A (ko) * 2016-01-08 2017-07-19 (주)엔아이스틸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102141679B1 (ko) * 2020-05-19 2020-08-05 정택동 I형 지지체를 갖는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20220155726A (ko)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가우리안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21B1 (ko) * 2006-11-13 2007-08-30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주형보의 압축반력을 이용하여 시설물설치공간부를 형성한지중토류벽시공방법.
KR20100133163A (ko) * 2009-06-11 2010-12-21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교통처리를 감안한 가시설용 주형보 연결공법
KR20150010421A (ko) * 2013-07-19 2015-01-28 (주)써포텍 캡빔 구조체
KR20170083694A (ko) * 2016-01-08 2017-07-19 (주)엔아이스틸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102141679B1 (ko) * 2020-05-19 2020-08-05 정택동 I형 지지체를 갖는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20220155726A (ko)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가우리안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097B1 (ko)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KR101274974B1 (ko) 흙막이 겸용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44063B1 (ko) 강합성 지하차도 시공 공법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0531385B1 (ko)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167511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562158B1 (ko) 지중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공법 및 그 루프구조체, 및 그 강관의 구조
KR101296857B1 (ko)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24231B1 (ko) 소일 시멘트벽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00265484A (ja) PCa杭地中壁による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20110052360A (ko) 띠장을 설치하지 않고 슬래브의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구조물 하향 시공방법
KR102656370B1 (ko) 주형보의 지점 형성이 가능한 지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60117746A (ko)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62524B1 (ko) 수평 뼈대구조와 이를 이용한 지하 흙막이 버팀 공법
KR20120122024A (ko) 커플러와 볼트를 활용하여 가설 흙막이벽과 지하실 외벽을 일체화하는 공법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JP2012031678A (ja) 構造物用基礎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0640244B1 (ko) 테두리보가 생략된 이렉션 파일을 이용한 지하층의슬래브-외벽 동시 타설 구축방법
KR20100118482A (ko)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한 측면이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KR102482690B1 (ko)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JP5184393B2 (ja) 防護壁及び防護壁形成方法
KR200354467Y1 (ko) 지중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루프 구조체
KR102202598B1 (ko)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JPH1077644A (ja) 耐震杭基礎工法
JP2021134522A (ja) 地下構造体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