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467Y1 - 지중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루프 구조체 - Google Patents
지중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루프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4467Y1 KR200354467Y1 KR20-2004-0007368U KR20040007368U KR200354467Y1 KR 200354467 Y1 KR200354467 Y1 KR 200354467Y1 KR 20040007368 U KR20040007368 U KR 20040007368U KR 200354467 Y1 KR200354467 Y1 KR 2003544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steel
- flange
- clasp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100338765 Danio rerio hamp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43052 Hamp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5—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forcing prefabricated elements through the ground, e.g. by pushing lining from an access pit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5—Transport or application of concrete specially adapted for the lining of tunnels or galleries ; Backfilling the space between main build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rock, e.g. with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착이 불가능하여 비개착공법이 요구될 경우 지중에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비개착 강관루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강관의 외부 일측면에 상하 2개의 플랜지가 부착되고 타측면에는 타강관의 플랜지와 대응 연결되는 걸쇠강판이 상하로 부착되고, 강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인접한 강관을 서로 결합하는 정착철물을 관통설치하기 위한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된다. 플랜지의 끝단은 T자형으로 형성되고 걸쇠강판의 끝단은 ㄱ자형 또는 연결고리형으로 형성된다. 관통공을 관통한 정착철물은 상기 플랜지의 끝단에 형성된 커플러에 연결되거나, 용접부착되거나, 또는 인접한 강관에 형성된 정착철물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강관의 내부 및 인접한 강관과의 연결시 형성되는 폐합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전한다. 이로써, 견고한 횡방향 강성으로 인해 별도의 횡방향 지지보의 설치없이 가설기둥만 설치하여 내부의 토공 작업이 가능하므로, 가설루프의 규모가 줄어들고 시공공정도 단순하게 된다. 루프구조체내의 토공작업시 구분굴착을 실시하여 시공중 터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구조물이 설치될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굴착한 후 구조물을 설치한 후 상부하중을 지탱하고 있는 잔여부에 대한 토공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시공 중에 지반변위억제와 안정성확보 뿐만 아니라 공기단축 및 시공비절감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강관루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조된 루프 구조체의 견고한 횡방향 강성으로 인해 별도의 횡방향 지지보의 설치없이 기둥만 설치하여 내부의 토공 작업이 가능하므로, 가설루프의 규모가 줄어들고 시공 공정도 단순하게 하는 강관루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기존 도로 및 철도 하부를 횡단해서 하수암거나 지하차도, 터널구조물 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 공사에 따른 지장물의 이전이 곤란하거나, 지장물 저촉, 차량 소통의 장애 등으로 개착이 불가능하여 비개착공법이 요구될 경우 지중에 구조물을 축조하는 비개착 강관루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구조물을 축조하는 방식으로 개착 및 비개착에 의한 구조물 축조방식이 있다. 기존 도로 및 철도 하부를 횡단해서 하수암거나 지하차도, 터널구조물 등을 설치해야하는 경우 공사에 따른 지장물의 이전이 곤란하거나, 지장물 저촉, 차량 소통의 장애 등으로 개착이 불가능하여 비개착공법이 요구되는데, 비개착에 의한 구조물 축조공법에는 횡단하는 도로나 지장물의 양측으로 작업구 개념의 전진기지와 도달기지가 필수적이며, 대표적인 비개착식 지중구조물 축조공법으로는 함체견인공법과 강관루프공법 등을 들 수 있다.
함체견인공법은 함체가 통과할 지중에 미리 600mm내외의 함체지지용 가설용 강관을 전진기지에서 도달기지 방향으로 수평으로 압입 관통시킨 후 견인할 함체의 반대 측 도달기지로부터 지중을 횡단하여 이어진 다수의 P.C.강선을 현장에서 제작된 함체와 결속한 후, 견인하여 함체내의 내부토사를 제거하고, 이와 같은 견인과 굴착작업을 반복하여 지중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함체추진시 함체의 추진하중이나 추진함체와 이미 지중에 설치된 가설강관과의 틈에 의해 함체 상부의 도로나 지장물에 침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함체가 미리 제작되어 견인 설치되므로 함체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견인에 제약이 따르게 되고 작업장의규모가 큰 편이므로 심도가 깊은 지하공간에서의 작업이 곤란하다. 그리고 함체간의 연결부의 처리가 미흡하게 되면 누수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함체견인공법의 단점 등에 의하여 비개착식 지중구조물 축조공법으로는 강관루프 공법이 많이 적용되는 편이다.
본 고안은 주로 비개착 방식의 루프 공법에도 적용되는 것이므로, 기존의 강관루프 공법에 대한 예를 설명함으로써 고안의 이해를 도모할 것이다.
이하 종래의 강관루프 공법과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종래의 강관루프 공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강관루프 공법은 구조물이 형성될 지중에 미리 강관(1)을 순차적으로 압입 연결하여, 강관 루프를 형성하고, 강관 루프의 안쪽의 내부 토사를 전부 제거하고 구조물을 축조하게 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 시 발생하는 상부나 측면하중은 횡방향 지지보(4) 및 가설기둥(5)등의 가설재로 지지된다.
강관루프의 축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진기지에서 조성할 구체의 크기를 고려하여 구체 외곽 면에 600-800mm 정도의 가설용 강관(1)을 수평 압입하고 강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강관 루프를 형성한다(도 2). 전진기지로부터 구조물이 축조될 루프내부를 굴착하게 되는데 굴착은 상부하중과 측압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상층의 루프 강관 부위로부터 하향으로 단계별로 굴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굴착은 1차로 강관 루프하면을 3m내외의 심도로 굴착하게 되는데 루프에 사용된 강관(1)과 강관(1)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한 고리형태(2, 3)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강관루프 하면과 측면에 강관과 직각방향으로 H형 강재로횡방향 지지보(4)를 설치하고 다수의 가설기둥(5)으로 받쳐, 전 구간에 걸쳐 하중을 지지시켜야 한다(도 3). 다시 말하면 기존의 강관루프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관 측면 중앙부에 한 쌍의 ㄱ 자형 고리(2)와 T 자형 걸쇠(3)가 부착된 요철의 연결구조로 기 압입된 강관들을 상호 고리형태로 연결하여 시공함으로써 하중에 견디는 역할보다는 강관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개념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기 강관루프의 연결부간에 횡방향 강성을 확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횡방향 지지보(4)와 보다 많은 갯수의 가설기둥(5)이 설치되어야 하며, 지지보(4)만큼 이격되어 구조물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가시설의 규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후 2차, 3차로 굴진하면서 이미 설치된 가설기둥(5)을 조심스럽게 하향으로 연장하여(5', 5") 구조물의 설치심도까지 내부의 토사 굴착을 완료한 후(도 4 및 도 5) 최종으로 상부슬래브(60), 벽체(65), 및 하부슬래브(80) 등을 위한 철근과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중축조물의 구조체를 완성한다. 이렇게 축조되는 종래의 강관루프 공법은 이미 설치된 가설기둥을 굴착한 후, 설치심도까지 하향으로 연장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시공 중 침하의 우려가 높고, 기존에 설치된 가설재(4, 5)와의 저촉문제로 공사 속도가 늦어진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관루프를 이용한 지중 축조물 공사 시에 지중 축조물 공사의 규모나 심도에 관계없이 별도의 횡방향 지지보의 설치없이 가설 기둥만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가설루프의 규모가 줄어들고 시공 공정도 단순하게 하는 강관루프 구조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토공작업을 단계별로 실시하는 것으로서 루프구조체내에서 1차, 2차, 3차 등과 같이 다단계별로 구분굴착을 실시하여 시공중 터널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개념으로, 구조물이 설치될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굴착한 후 구조물을 설치하고 이후 상부하중을 지탱하고 있는 잔여부에 대한 토공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시공 중에 지반 변위억제와 안정성확보 뿐만 아니라 시공 공기 단축 및 시공비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비개착 강관루프 구조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기존 비개착 구조물 축조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도.
도 2 내지 도 5는 기존 강관루프 공법의 시공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비개착 강관루프 구조체를 이용한 지중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비개착 강관루프 공법의 시공 순서도.
도 13은 기존 공법의 강관의 연결구조 상세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플랜지 및 걸쇠강판이 부착되고 다수의 정착철물 설치용 관통공이 형성된 강관 상세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강관의 연결 상세도.
도 1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커플러 부착 플랜지 및 걸쇠강판이 부착되고, 다수의 정착철물 설치용 관통공이 형성된 강관 상세도.
도 17은 도 18에 도시한 강관의 연결 상세도.
도 1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플랜지 및 걸쇠 연결고리가 부착되고, 다수의 정착철물 설치용 관통공이 형성된 강관 상세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강관의 연결 상세도.
도 2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정착철물이 커플러부착 플랜지에 연결되는 개념도.
도 21은 본 고안의 비개착식 강관루프 공법이 터널에 적용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강관, 12...플랜지
40...가설기둥, 50...가설용 파일
60...상부 슬래브, 65...벽체
70, 75...버팀보, 80...하부 슬래브
100...걸쇠강판, 110...커플러
120...T자형 플레이트, 130...정착철물
135...정착철물 관통공, 140...나사
150...정착플레이트, 200...고정볼트
300...라이닝 콘크리트
본 고안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중에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공법에 적용되는 강관루프 구조체에 있어서, 횡단할 도로나 지장물의 양측에 작업구를 설치한 후 설치될 구조물의 외곽선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압입 설치되는, 각각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가 구비되고 타측에 걸쇠강판이 구비되고, 인접한 강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정착철물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강관; 상기 강관을 지중에 오거로 굴착을 병행하면서 순차적으로 압입 설치하고, 한 강관의 플랜지가 타 강관의 걸쇠강판에 연결 고정되고, 정착철물 관통공을 통해 관통삽입된 정착철물을 이용하여 강관들을 연결시키도록 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관루프 구조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강관 내부에 몰탈이나 콘크리트를 타설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의 끝단은 T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쇠강판의 끝단은 ㄱ자형 또는 연결고리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플랜지 및 상기 걸쇠강판은 강관의 양측부의 상하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상하 플랜지 및 상기 상하 걸쇠강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몰탈이나 콘크리트를 타설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비개착 강관루프 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고안의 비개착 강관루프 구조체를 이용한 지중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비개착 강관루프 구조체에 의한 축조된 구조물도 종래의 공법과 마찬가지로 강관루프 구조체하에 상하부 슬래브(60, 80) 및 벽부(65)를 두고 있다. 그러나, 강관루프 구조체에 상부 하중에 견디기 위하여 횡방향지지보(도 5의 4)를 두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강관루프 구조체에 적용되는 강관의 구조가 플랜지(도 14, 도 16, 도 18의 12)과 걸쇠강판(도 15, 도 17, 도 19의 100)이 부착되고, 인접한 강관들을 연결하기 위한 정착철물(130) 설치관통공(135)을 다수개 형성한 강관(10)을 사용하고 이후 강관내에 타설된 콘크리트, 및 플랜지(12) 및 걸쇠강판(1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정착철물(130)과 일체화 되어 내하력을 키웠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서는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할 예정이지만, 강관의 외부 일 측면에 플랜지(12)가 상하로 부착되고 플랜지(12)의 끝단에는 T자형 플레이트(도 14의 120) 또는 커플러(110)가 부착된 T자형 플레이트(도 16, 도 18의 120)가 달려있고 다른 측면에는 걸쇠강판(도 14, 도 16의 100) 또는 연결고리(도 18의 100)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강관을 서로 연결시켜 연속적으로 설치하게 되면 플랜지와 걸쇠강판에 의해 강재로 폐합된 공간(6)이 형성된다. 물론 강관(10)의 내부 및 강관과 강관의 플랜지 및 걸쇠강판 등의 연결장치에 의해 형성된 공간(6)에 몰탈이나 콘크리트를 충전함으로써 상부 토사 하중을 보다 잘 지탱할 수 있는 일체화된 횡방향 연속 가설 루프구조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비개착 강관루프 공법을 설명하기 전에,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강관루프 구조체에 적용되는 강관의 구조에 대해서 첨부된 도 14 내지 도 19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강관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강관(10)은 강관의 외부 일 측면 상ㆍ하부에 플랜지(12)가 부착되어 있고, 다른 측면에는 한 강관의 플랜지(12)와 다른 강관을 결합시키는 걸쇠강판(100)이 부착되어 있다. 도 14에서와 같이 플랜지(12)의 끝단에는 T자형 플레이트(120)가 부착되어있어 인접강관에 부착된 ㄱ자 걸쇠강판(100)에 걸리게 되어 강관의 압압시 압입에 따른 시공 중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7에서 걸쇠강판(100)의 끝단의 형상은 ㄱ자로 굽은 구조이나, 플랜지(12)의 T자형 플레이트(120)가 걸리도록 하는 구조이면 관계 없으므로, 걸쇠강판의 끝단 형태를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부 개구된 원형고리 형상으로 제작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횡방향의 인장력을 지탱하는 개념은 강관 설치 후 강관의 내부에서 측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정착철물 설치 관통공(135)을 통해 인접한 강관을 텐션볼트와 같은 정착철물(13)을 관통결합하여 강관을 상호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2) 끝에 설치된 T자형 플레이트(120)의 나사부(140)에 정착철물(130)을 돌려서 정착시키거나,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2)의 끝단의 커플러(110)가 부착된 T자형 플레이트(120)가 연결고리(100)에 삽입고정되고, 정착철물(130)이 정착철물 관통공(135)을 통하여 상기 커플러(110)에 고정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T자형 플레이트(120)를 걸쇠강판(100)에 용접 고정시켜 플랜지(12)가 인장력을 받을 수 있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연속강관의 설치를 완료한 후 강관의 내부 및 인접강관의 연결부에 형성된 공간에 몰탈이나 콘크리트를 충전하게 되면 강관루프는 횡방향으로 강성을 갖는 구조가 되어 기존의 도 1에서와 같은 강관루프공법에서의 루프 밑에 설치하는 횡방향지지보(4)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강관을 사용하여 루프구조체를 축조하는 경우, 횡방향 지지보(4)가 필요없게되어 횡방향지지보가 점유한 높이만큼 가설 강관루프의 규모도 줄어들게 되고, 가설강재도 수적으로 적게 사용된다. 또한 루프구조체내의 토공작업에 있어서는 1차 토공작업에 의해 확보된 통로를 이용하여 장비를 투입하여, 벽체와 기둥부에 선택적으로 흙막이 가설용 파일을 설치하고, 2차로 토사를 제거하고 벽체, 기둥, 상부슬라브 등 구조물을 축조한 후 3차로 상부하중을 지탱하고있는 잔여부에 대한 토공작업을 수행하고 하부슬라브를 축조하므로, 기존 강관루프공법의 루프 내부의 토사를 전부 제거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지반침하 등이 발생치 않아 시공 중의 안정성 확보 뿐만 아니라 가시설의 규모가 축소되어 시공 공기 단축 및 시공비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강관루프 구조체를 지중 구조물의 축조시 먼저 상술한 구조의 강관을 지중구조물의 작업구에서 압입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강관루프 구조체 및 그를 적용한 비개착 강관루프 공법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비개착 강관루프 공법의 시공 순서도이다. 시공순서를 통해 본 공법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단계로 강관을 압입하고 연결한 후 강관내부에 몰탈이나 콘크리트를 충전한다. 즉, 횡단할 도로나 지장물의 양측에 작업구를 설치한 후 설치될 구조물의 외곽선에 맞추어 플랜지(12)가 달린 강관(10)을 걸쇠강판(도 14, 도 16의 100) 또는 연결고리(도 18의 100)에 삽입하여 강관을 오거로 굴착을 병행하면서 압입한다. 압입된 강관 측벽의 정착철물 관통공(135)을 통해 정착철물(130)을 타강관과 관통결합시키거나(도 15), 플랜지(12)의 T자형 플레이트(120)를 타강관의 걸쇠강판(100)의 커플러(110)에 텐션볼트와 같은 정착철물(130)을 연결하거나(도 17), T자형 플레이트(120)를 걸쇠강판(100)에 용접 고정시키거나, T자형 플레이트(120)를 연결고리(100)에 삽입하여 T자형 플레이트(120)를 타강관의 걸쇠강판(100)의 커플러(110)에 텐션볼트와 같은 정착철물(130)을 연결고정한다(도 19). 그 후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T자형 플레이트(120)와 걸쇠강판 또는 연결고리(100)에 의해 형성된 폐합공간에 그라우팅을 실시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단계로 내부 1차 굴착을 하고 가설기둥(40)을 설치한다. 즉, 상기 형성된 강관루프 구조체의 하면을 소형장비가 진입할 수 있는 심도로 굴착하면서 상부 하중을 적당한 간격으로 H-빔(40)(가설기둥)을 설치하여 지지시킨다. 이때 횡방향 지지보는 설치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단계로 확보된 작업공간을 이용하여 소형 장비를 진입시켜 벽체와 기둥부에 가설용 H-파일(50)을 설치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단계로 2차 토공을 실시하면서 벽체 및 중간 기둥설치용 가시설(버팀보: 75)을 설치하고, 그 설치된 가시설 내에서 철근 및 거푸집을 조립하여 벽체(65) 및 상부 슬래브(60)를 축조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단계로 3차로 내부 잔여 토사 제거 및 가시설을 철거 한 후 바닥 슬래브에 버팀보(7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 슬래브(80)를 설치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단계로 중앙벽체 및 슬래브 표면처리를 하고 현장정리를 하여, 원하는 지중 구조물의 축조를 완성한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비개착 강관루프 공법은 강관루프 구조체로 감싸진 내부 굴착에 있어서는 먼저 소형 장비가 진입할 수 있는 통로를 1차적으로 확보해서 소형 장비를 이용하여 벽체와 기둥이 설치될 부위에 흙막이 가설용 H말뚝을 설치하여 토류 가시설을 축조하고 2차 토공을 실시 한 후 벽체와 기둥 및 슬래브를 형성하여 원하는 구조물을 조성하게 된다. 이로써, 구조물이 설치될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굴착한 후 구조물을 설치하고 이후 상부하중을 지탱하고 있는 잔여부에 대한 토공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시공 중에 지반의 변위억제와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다. 따라서 축조된 강관루프내의 토공 작업 시 1차, 2차 단계별로 굴진하면서 기 설치된 기둥의 지지부를 굴착, 부재를 연결하고 루프내의 모든 토사를 제거한 후 구조물을 시공하는 기존 강관루프공법에서 발생하는 침하문제나 안정성 결여가 해소된다.
또한 횡방향으로 인장력을 받을 수 있는 구조시스템은 도 6에서와 같이 강관의 내부에서 측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정착철물 관통공(135)을 통해 정착철물(130)을 타강관과 관통결합시키거나(도 15), 플랜지(12)의 T자형 플레이트(120)를 타강관의 걸쇠강판(100)의 커플러(110)에 텐션볼트와 같은 정착철물(130)을 연결하거나(도 17), T자형 플레이트(120)를 걸쇠강판(100)에 용접 고정시키거나, T자형 플레이트(120)를 연결고리(100)에 삽입하여 T자형 플레이트(120)를 타강관의 걸쇠강판(100)의 커플러(110)에 텐션볼트와 같은 정착철물(130)을 연결고정시키고(도 19), 이어 강관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시키고 연결장치인 연결 고리와 T자형 걸쇠 사이의 틈에 그라우팅 액을 주입하여 충전시키면 횡방향 강성을 갖는 강관으로 합성된 구조체의 특성을 갖게 된다.
도 21은 본 고안의 비개착식 강관루프 공법이 터널에 적용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비개착 강관루프 공법은 터널과 같은 아치식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1에서, 터널식 구조물을 축조할 때에는, 본 고안의 플랜지(120) 및 걸쇠강판 또는 연결고리(100)가 부착된 강관(10)을 아치상으로 압입하고 관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강관과 강관사이의 플랜지 부위에 암반보강용 고정볼트(200)를 적절하게 설치하여 상부 하중을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기타 유사 터널식 비개착 강관루프 공법에서는 강관의 압입을 통하여 강관루프 구조체를 형성한 후, 강관루프 구조체에 상술한 순서대로 상하부 슬래브(60, 80) 및 측벽(65) 대신에 라이닝 콘크리트(300)를 타설하여 원하는 구조체를 제작할 수가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지금까지는 본 고안을 비개착 강관루프 구조체에 한정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비개착식 뿐만 아니라 개착식 복공구조의 토공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강관과 같은 강관 뿐만 아니라 형강도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강관과 강관의 연결부에 콘크리트를 충전 할 수 있는 폐합 공간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강관의 상ㆍ하단 외측부에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플랜지(12)가 부착된 강관과 강관에 부착된 플랜지(12)와 인접 강관을 연결할 수 있는 걸쇠강판, T자형 플레이트, 및 정착철물과 같은 연결장치(100, 120, 130)를 고안하고, 고안된 강관을 지중에 압입하고 서로 연결시킨 후 강관의 내부에서 측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관통공을 통해 정착철물(130)을 이용하여 인접강관들을 연결시켜 정착시키거나, 플랜지의 T자형 플레이트(120)에 부착된 커플러(110)에 정착철물(130)을 연결하거나 용접으로 고정시키거나, T자형 플레이트(120)를 연결고리(100)에 삽입하여 T자형 플레이트(120)를 타강관의걸쇠강판(100)의 커플러(110)에 텐션볼트와 같은 정착철물(130)을 연결고정시키고, 강관의 내부 또는 연결부의 폐합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전함으로서 횡방향으로 결속력을 갖는 강 콘크리트 합성체 루프를 축조함으로써, 구조물 축조를 위한 내부의 토공 작업 시에는 루프 구조체의 횡방향 강성으로 인해 별도의 횡방향 지지보의 설치 없이 가설 기둥만 설치하여 토공작업이 가능하므로 가설루프의 규모가 줄어들고 시공공정도 단순하게 된다.
또한 루프구조체내의 토공작업에 있어서는 1차 토공작업에 의해 확보된 통로를 이용하여 천공장비를 투입, 벽체와 기둥이 축조될 부위에 선택적으로 흙막이 가설용 파일을 설치, 2차로 토사를 제거하고 구조물을 축조한 후 3차로 상부하중을 지탱하고 있는 잔여부에 대한 토공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기존 강관루프공법의 루프 내부의 토사를 전부 제거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지반침하 등이 발생치 않아 시공 중의 안정성 확보 뿐만 아니라 가시설의 규모가 축소되어 시공 공기 단축 및 시공비 절감을 이룰 수 있다.
Claims (3)
- 지중에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공법에 적용되는 강관루프 구조체에 있어서,횡단할 도로나 지장물의 양측에 작업구를 설치한 후 설치될 구조물의 외곽선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압입 설치되는, 각각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가 구비되고 타측에 걸쇠강판이 구비되고, 인접한 강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정착철물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강관; 및상기 강관을 지중에 오거로 굴착을 병행하면서 순차적으로 압입 설치하고, 한 강관의 플랜지가 타 강관의 걸쇠강판에 연결 고정되고, 정착철물 관통공을 통해 관통삽입된 정착철물을 이용하여 강관들을 연결시키도록 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관루프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및 상기 걸쇠강판은 강관의 양측부의 상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강관 내부 또는 상기 플랜지 및 걸쇠강판에 의해 형성되는 폐합공간에 몰탈이나 콘크리트를 타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루프 구조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끝단은 T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쇠강판의 끝단은 ㄱ자형 또는 연결고리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루프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7368U KR200354467Y1 (ko) | 2004-03-17 | 2004-03-17 | 지중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루프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7368U KR200354467Y1 (ko) | 2004-03-17 | 2004-03-17 | 지중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루프 구조체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7999A Division KR100562158B1 (ko) | 2004-03-17 | 2004-03-17 | 지중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공법 및 그 루프구조체, 및 그 강관의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4467Y1 true KR200354467Y1 (ko) | 2004-06-29 |
Family
ID=4943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7368U KR200354467Y1 (ko) | 2004-03-17 | 2004-03-17 | 지중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루프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4467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0202B1 (ko) | 2007-04-12 | 2007-10-25 | 윤인병 | 강관루프 구조체의 추진 가이드 장치 |
KR100801776B1 (ko) * | 2006-05-01 | 2008-02-11 |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 비개착으로 지중에 설치되는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KR100833700B1 (ko) | 2007-06-28 | 2008-05-29 | 한미기초개발주식회사 | 강관루프 구조체 |
KR100911457B1 (ko) * | 2008-11-26 | 2009-08-11 |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 강관 구조체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강관 구조체 |
KR100967904B1 (ko) | 2008-06-03 | 2010-07-06 | 전승배 | 추진체를 이용한 비차단형 철도교 확장공법 |
KR101285987B1 (ko) * | 2011-11-24 | 2013-07-15 | 주식회사 건화 | 토목, 도로, 철도, 단지, 수자원, 구조, 항만, 상하수도 및 환경분야에 적용되는 개량된 복합형 루프식 터널 공법 |
-
2004
- 2004-03-17 KR KR20-2004-0007368U patent/KR20035446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1776B1 (ko) * | 2006-05-01 | 2008-02-11 |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 비개착으로 지중에 설치되는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KR100770202B1 (ko) | 2007-04-12 | 2007-10-25 | 윤인병 | 강관루프 구조체의 추진 가이드 장치 |
KR100833700B1 (ko) | 2007-06-28 | 2008-05-29 | 한미기초개발주식회사 | 강관루프 구조체 |
KR100967904B1 (ko) | 2008-06-03 | 2010-07-06 | 전승배 | 추진체를 이용한 비차단형 철도교 확장공법 |
KR100911457B1 (ko) * | 2008-11-26 | 2009-08-11 |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 강관 구조체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강관 구조체 |
KR101285987B1 (ko) * | 2011-11-24 | 2013-07-15 | 주식회사 건화 | 토목, 도로, 철도, 단지, 수자원, 구조, 항만, 상하수도 및 환경분야에 적용되는 개량된 복합형 루프식 터널 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4974B1 (ko) | 흙막이 겸용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 |
WO2010019014A2 (ko) | 의자형 자립식 흙막이벽의 시공방법 | |
KR100633796B1 (ko) |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 |
KR100656194B1 (ko) | 터널공법을 적용한 개착식 공법 | |
KR100562158B1 (ko) | 지중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공법 및 그 루프구조체, 및 그 강관의 구조 | |
KR100569703B1 (ko) | 지중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공법에 적용되는 강관의구조 및 그를 적용한 강관루프 구조체 및 그 강관루프공법 | |
KR100712593B1 (ko) | 강관루프 구조체의 시공방법 | |
KR20200124949A (ko) | 앵커 인장식 흙막이 구조 및 흙막이 공법 | |
KR20070075506A (ko) | 충전강관 루프와 콘크리트 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축조방법 | |
KR20090114863A (ko) | 병렬 연결형 추진 강관 및 그를 이용한 지중 구조체의시공방법 | |
KR20190022132A (ko) |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 |
KR20060097891A (ko) | 강관루프 구조체 및 이 강관루프 구조체의 시공방법 | |
KR20070076553A (ko) | 충전강관 루프와 콘크리트 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축조방법 | |
KR100806867B1 (ko) | 강관루프 구조체 및 그 강관루프 구조체를 이용한터널구조체 시공방법 | |
KR20070052109A (ko) | 슬림형 합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슬라브와 외벽의 동시 타설 및 지하 역타설 동시구축방법 | |
KR200354467Y1 (ko) | 지중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루프 구조체 | |
KR102223856B1 (ko) | 폐기물 매립장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2184900B1 (ko) | 원형강관을 이용한 가설 흙막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20130021952A (ko) |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200385542Y1 (ko) | 강관루프 구조체 | |
KR20060117746A (ko) |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2310091B1 (ko) | 가설기둥의 설치가 필요없는 지하구조물 설치공법 | |
KR100813910B1 (ko) | 강관루프 구조체 | |
KR20190142547A (ko) | 개량된 흙막이 띠장 프리스트레스 공법 | |
JPS584094A (ja) | 低路交差の建設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