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762B1 -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762B1
KR102655762B1 KR1020207001378A KR20207001378A KR102655762B1 KR 102655762 B1 KR102655762 B1 KR 102655762B1 KR 1020207001378 A KR1020207001378 A KR 1020207001378A KR 20207001378 A KR20207001378 A KR 20207001378A KR 102655762 B1 KR102655762 B1 KR 102655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pdu session
network
additionally
rq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502A (ko
Inventor
유다이 가와사끼
야스오 스가와라
마사후미 아라모또
즈요시 다까꾸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7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 장치 주도나 네트워크 주도로 RQoS를 제어하기 위해서나, DN에 의한 인증 승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마다 폭주 관리 등의 관리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 단말 장치나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가 등록 수속이나 PDU 세션 확립 수속에서 각 기능에 대한 능력 정보를 교환하고, 유저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패킷에 추가의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단말 장치 주도의 RQoS의 제어를 실현하고, 하향 링크 패킷에 추가의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치 주도의 RQoS의 제어를 실현한다. 또한, DN에 의한 인증 승인 기능을 위한 전용 제어 메시지나 정보를 정의함으로써, DN에 의한 인증 승인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단말 장치나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마다의 타이머나 제어 처리를 가짐으로써, 네트워크 슬라이스마다의 폭주 관리 등의 관리 처리를 실현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본 발명은 단말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7년 6월 19일에 일본에 있어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119515호에 대하여,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것을 참조함으로써, 그 내용 전부가 본 출원에 포함되는 것이다.
근년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표준화 활동을 행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LTE(Long Term Evolution)의 시스템 아키텍처인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의 검토를 행하고 있다. 3GPP는, 올 IP(Internet Protocol)화를 실현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EPS(Evolved Packet System)의 사양화를 행하고 있다. 또한, EPS를 구성하는 코어 네트워크는 EPC(Evolved Packet Core)라고 불린다.
또한, 근년 3GPP에서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5G(5th Generation) 이동 통신 시스템의 차세대 통신 기술이나 시스템 아키텍처의 검토도 행하고 있으며, 특히 5G 이동 통신 시스템을 실현하는 시스템으로서, 5GS(5G System)의 사양화를 행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 참조). 5GS에서는, 다종다양한 단말기를 셀룰러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기술 과제를 추출하여, 해결책을 사양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종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를 서포트하는 단말기에 따른, 계속적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서포트하기 위한 통신 수속의 최적화 및 다양화나, 통신 수속의 최적화 및 다양화에 맞춘 시스템 아키텍처의 최적화 등도 요구 조건으로서 예시되어 있다.
3GPP TS 23.501 v1.0.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System Architecture for the 5G System; Stage 2(Release 15) 3GPP TS 23.502 v0.4.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Procedures for the 5G System; Stage 2(Release 15)
5GS에서는, 4G에 있어서의 QoS(Quality of Service)에 상당하는 유저 데이터 통신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구조에 추가하여, 특정한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특별한 QoS를 제공하는 RQoS(Reflective QoS)에 대해서도 검토되고 있다. 또한, 새로운 기능으로서, PDU 세션(PDU Session)에 대한,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에 의한 인증 승인 기능이나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에 대해서도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이 특별한 RQoS에 있어서, 네트워크 주도로 RQoS를 제어하는 구조의 일부는 규정되어 있지만, 네트워크 주도로 RQoS를 제어하는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되어 있지 않고, 단말 장치 주도로 RQoS를 제어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아직 정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데이터 네트워크에 의한 인증 승인 기능에 있어서, 기능의 개요는 규정되어 있지만, 단말 장치나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 데이터 네트워크 내의 장치가 인증 승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서로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내용 등의 데이터 네트워크에 의한 인증 승인 기능의 상세도 명확하게 되어 있지 있다. 또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접속 가능한 것은 규정되어 있지만, 단말 장치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접속하였을 때 실시하는 관리 처리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단말 장치 주도나 네트워크 주도로 RQoS를 제어하는 구조나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나, 데이터 네트워크에 의한 인증 승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조나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 또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마다의 폭주 관리 등의 관리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구조나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에 의해 주도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제1 RQoS(Reflective Quality of Service)를 상기 단말 장치의 서포트를 나타내는 제1 정보, 및 상기 제1 RQoS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의 변경의 요구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제1 RQoS를 상기 네트워크의 서포트를 나타내는 제3 정보, 상기 제1 RQoS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의 변경의 허락을 나타내는 제4 정보, 및 상기 제1 RQoS를 위한 타이머의 값을 나타내는 제5 정보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제3 정보, 상기 제4 정보, 또는 상기 제5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RQoS의 사용이 허락되었음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하향 링크 패킷을,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RQoS를 유효화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1 RQoS를 적용할 QoS 플로우를 식별하기 위한 QFI(QoS Flow Identity)가, 상기 하향 링크 패킷의 암호화 헤더에 포함됨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QFI로 식별되는 QoS 플로우에 대하여, 상기 제1 RQoS를 적용하고, 상기 제5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값으로 세트된, 상기 제1 RQoS를 위한 타이머를 개시하는 것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네트워크에 의해 주도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제1 RQoS(Reflective Quality of Service)를 상기 단말 장치의 서포트를 나타내는 제1 정보, 및 상기 제1 RQoS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의 변경의 요구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RQoS를 상기 네트워크의 서포트를 나타내는 제3 정보, 상기 제1 RQoS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의 변경의 허락을 나타내는 제4 정보, 및 상기 제1 RQoS를 위한 타이머의 값을 나타내는 제5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정보, 상기 제4 정보, 또는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RQoS의 사용이 허락되었음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되고, 하향 링크 패킷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하향 링크 패킷의 암호화 헤더에는, 상기 제1 RQoS를 유효화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1 RQoS를 적용할 QoS 플로우를 식별하기 위한 QFI(QoS Flow Identity)가 포함되고, 상기 제5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값은, 상기 단말 장치 내의 상기 제1 RQoS를 위한 타이머를 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5GS를 구성하는 단말 장치나,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단말 장치 주도나 네트워크 주도로 RQoS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5GS를 구성하는 단말 장치나,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 데이터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데이터 네트워크에 의한 인증 승인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5GS를 구성하는 단말 장치나,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마다, 폭주 관리 등의 관리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이동 통신 시스템 내의 액세스 네트워크의 구성 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이동 통신 시스템 내의 코어 네트워크의 구성 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UE의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eNB/NR node/WAG의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AMF의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SMF/UPF의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초기 수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등록 수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PDU 세션 확립 수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RQoS 유효화 수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실시 형태]
[1.1. 시스템 개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에 대하여, 도 1, 도 2,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이동 통신 시스템 중,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세를 기재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 통신 시스템 중, 주로 코어 네트워크의 상세를 기재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동 통신 시스템(1)(5GS라고도 칭함)은, 단말 장치(유저 장치, 이동 단말기 장치라고도 칭함) UE(User Equipment)_A(10), 액세스 네트워크(AN; Access Network)_B, 코어 네트워크(CN; Core Network)_B(190) 및 데이터 네트워크(DN; Data Network)_A(5), DN_B(10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UE_A(10)는, 3GPP 액세스(3GPP access 또는 3GPP access network라고도 칭함) 및/또는 non-3GPP 액세스(non-3GPP access 또는 non-3GPP access network라고도 칭함)를 통하여,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하여 접속 가능한 장치여도 된다. 또한, UE_A(10)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나 eUICC(Embedded UICC)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무선 접속 가능한 단말 장치여도 되고,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 또는 CIoT(Cellular Internet of Things) 단말기(CIoT UE) 등이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와 접속할 수 있다. 또한, UE_A(10)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DN_A(5)와 접속할 수 있다. UE_A(10)는, DN_A(5)와의 사이에서, PDU(Protocol Data Unit 또는 Packet Data Unit) 세션을 사용하여, 유저 데이터를 송수신(통신)한다. 또한, 유저 데이터의 통신은, IP(Internet Protocol) 통신에 한하지 않고, non-IP 통신이어도 된다.
여기서, IP 통신이란, IP를 사용한 데이터의 통신을 말하며, IP 헤더가 부여된 IP 패킷의 송수신에 의해 실현되는 데이터 통신을 말한다. 또한, IP 패킷을 구성하는 페이로드부에는 UE_A(10)가 송수신하는 유저 데이터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non-IP 통신이란, IP를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의 통신을 말하며, IP 헤더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의 송수신에 의해 실현되는 데이터 통신을 말한다. 예를 들어, non-IP 통신은, IP 패킷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송수신에 의해 실현되는 데이터 통신이어도 되고, 맥 헤더나 Ethernet(등록 상표) 프레임 헤더 등의 다른 헤더를 부여하여 UE_A(10)가 송수신하는 유저 데이터를 송수신해도 된다.
또한, PDU 세션이란, PDU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UE_A(10)와 DN_A(5) 및/또는 DN_B(105)의 사이에서 확립되는 접속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PDU 세션은, UE_A(10)와 외부 게이트웨이의 사이에서 확립하는 접속성이어도 된다. 여기서, 외부 게이트웨이는, UPF나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등이어도 된다. 또한, PDU 세션은, UE_A(10)와, 코어 네트워크 및/또는 DN(DN_A(5) 및/또는 DN_B(105))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확립되는 통신로여도 되고, PDU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로여도 된다. 또한, PDU 세션은, UE_A(10)와, 코어 네트워크 및/또는 DN(DN_A(5) 및/또는 DN_B(105))의 사이에서 확립되는 세션이어도 되고, 이동 통신 시스템(1) 내의 각 장치간의 1 이상의 베어러 등의 전송로로 구성되는 논리적인 통신로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PDU 세션은, UE_A(10)가, 코어 네트워크_B(190) 및/또는 외부 게이트웨이와의 사이에 확립하는 커넥션이어도 되고, UE_A(10)와 UPF(UPF_A(235) 및/또는 UPF_B(237))의 사이에 확립하는 커넥션이어도 된다. 또한, PDU 세션은, NR node_A(122)를 통한 UE_A(10)와 UPF(UPF_A(235) 및/또는 UPF_B(237))의 사이의 접속성 및/또는 커넥션이어도 된다. 또한, PDU 세션은, PDU 세션 ID 및/또는 EPS 베어러 ID로 식별되어도 된다.
또한, UE_A(10)는, DN_A(5) 및/또는 DN_B(105)에 배치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의 장치와, PDU 세션을 사용하여 유저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PDU 세션은, UE_A(10)와 DN_A(5) 및/또는 DN_B(105)에 배치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의 장치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유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각 장치(UE_A(10),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 및/또는 데이터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PDU 세션에 대하여,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해도 된다. 또한, 이들 식별 정보에는, APN(Access Point Name), TFT(Traffic Flow Template), 세션 타입,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N_A(5) 및/또는 DN_B(105)의 식별 정보, NSI(Network Slice Instance) 식별 정보, 및 DCN(Dedicated Core Network) 식별 정보, 및 액세스 네트워크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도 되고, 그 밖의 정보가 더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PDU 세션을 복수 확립하는 경우에는, PDU 세션에 대응지어지는 각 식별 정보는, 동일한 내용이어도 되고, 상이한 내용이어도 된다. 또한, NSI 식별 정보는, NSI를 식별하는 정보이며, 이하 NSI ID 또는 Slice Instance ID여도 된다.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_B로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_A(80), 5G-RAN_A(120), WLAN ANc(125)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E-UTRAN_A(80) 및/또는 5G-RAN_A(120)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라고도 칭하며, WLAN ANc(125)는 non-3GPP 액세스 네트워크라고 칭해도 된다. 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는, UE_A(10)가 실제로 접속하는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나 액세스 포인트) 등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E-UTRAN_A(80)는, LTE의 액세스 네트워크이며, 1 이상의 eNB_A(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eNB_A(45)는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로 UE_A(10)가 접속하는 무선 기지국이다. 또한, E-UTRAN_A(80) 내에 복수의 eNB가 있는 경우, 각 eNB는 서로 접속해도 된다.
또한, 5G-RAN_A(120)는, 5G의 액세스 네트워크이며, 1 이상의 NR node(New Radio Access Technology node)_A(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NR node_A(122)는 5G의 무선 액세스(5G Radio Access)로 UE_A(10)가 접속하는 무선 기지국이다. 또한, 5G-RAN_A(120) 내에 복수의 NR node_A(122)가 있는 경우, 각 NR node_A(122)는 서로 접속해도 된다.
또한, 5G-RAN_A(120)는, E-UTRA 및/또는 5G Radio Access로 구성되는 액세스 네트워크여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5G-RAN_A(120)에는, eNB_A(45)가 포함되어도 되고, NR node_A(122)가 포함되어도 되며, 그 양쪽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 경우, eNB_A(45)와 NR node_A(122)는 마찬가지의 장치여도 된다. 따라서, NR node_A(122)는, eNB_A(45)와 치환할 수 있다.
또한, WLAN ANc(125)는, 무선 LAN 액세스 네트워크이며, 1 이상의 WAG(WLAN Access Gateway)_A(126)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WAG_A(126)는, 무선 LAN 액세스로 UE_A(10)가 접속하는 무선 기지국이다. 또한, WAG_A(126)는 코어 네트워크_B(190)와 WLAN ANc(125)의 게이트웨이여도 된다. 또한, WAG_A(126)는, 무선 기지국의 기능부와 게이트웨이의 기능부가 다른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UE_A(10)가 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다고 하는 것은, 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기지국 장치나 액세스 포인트 등에 접속되는 것이며, 송수신되는 데이터나 신호 등도, 기지국 장치나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한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UE_A(10)와 코어 네트워크_B(190)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제어 메시지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종류에 구애되지 않고, 동일한 제어 메시지여도 된다. 따라서, UE_A(10)와 코어 네트워크_B(190)가 NR node_A(122)를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한다고 하는 것은, UE_A(10)와 코어 네트워크_B(190)가 eNB_A(45) 및/또는 WAG_A(126)를 통하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과 동일해도 된다.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는, UE_A(10)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와 접속한 무선 네트워크를 말한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여도 되고, non-3GPP 액세스 네트워크여도 된다. 또한, 3GPP 액세스 네트워크는, E-UTRAN_A(80), 5G-RAN(Radio Access Network)_A(120)여도 되고, non-3GPP 액세스 네트워크는, WLAN ANc(125)여도 된다. 또한, UE_A(10)는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해도 되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해도 된다.
또한, DN_A(5) 및 DN_B(105)는, UE_A(1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이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으로서 구성되어도 되고, 서비스마다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DN_A(5) 및 DN_B(105)는, 접속된 통신 단말기를 포함해도 된다. 따라서, DN_A(5) 및/또는 DN_B(105)와 접속하는 것은, DN_A(5) 및/또는 DN_B(105)에 배치된 통신 단말기나 서버 장치와 접속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DN_A(5) 및/또는 DN_B(105)와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은, DN_A(5) 및/또는 DN_B(105)에 배치된 통신 단말기나 서버 장치와 유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DN_A(5) 및/또는 DN_B(105)는, 도 1에서는 코어 네트워크의 밖에 있지만, 코어 네트워크 내에 있어도 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_B(190)는, 1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_B(190)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처리 또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하는 장치여도 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라고 칭해도 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또는 DN_A(5)와 접속한 이동체 통신 사업자(MNO; Mobile Network Operator)가 운용하는 IP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말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 시스템(1)을 운용,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를 위한 코어 네트워크여도 되고,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MVNE(Mobile Virtual Network Enabler) 등의 가상 이동 통신 사업자나 가상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코어 네트워크여도 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_B(190)는, EPS(Evolved Packet System)를 구성하는 EPC(Evolved Packet Core)여도 되고, 5GS를 구성하는 5GC(5G Core Network)여도 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_B(190)는, 5G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여도 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_B(19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여도 된다.
이어서, 코어 네트워크_B(190)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어 네트워크_B(190)에는, AUSF(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_A(240), SDSF(Structured Data Storage network function), UDSF(Unstructured Data Storage network function), NEF(Network Exposure Function), NRF(NF Repository Function), PCF(Policy Control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_A(230),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_B(232), UDM(Unified Data Management), UPF(User Plane Function)_A(235), UPF(User Plane Function)_B(237), AF(Application Function), N3IWF(Non-3GPP InterWorking Function)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들은 NF(Network Function)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NF란, 네트워크 내에 구성되는 처리 기능을 가리켜도 된다.
도 3에는, 간단화를 위해, 이들 중, AMF(AMF_A(240)), SMF(SMF_A(230) 및 SMF_B(232)) 및 UPF(UPF_A(235) 및 UPF_B(237))에 대해서만 기재되어 있지만, 이들 이외의 것(장치 및/또는 NF)이 포함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간단화를 위해, UE_A(10)는 UE, AMF_A(240)는 AMF, SMF_A(230) 및 SMF_B(232)는 SMF, UPF_A(235) 및 UPF_B(237)는 UPF, DN_A(5) 및 DN_B(105)는 DN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도 3에는, N1 인터페이스(이하, 참조점, reference point라고도 칭함), N2 인터페이스, N3 인터페이스, N4 인터페이스, N6 인터페이스, N9 인터페이스, N11 인터페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N1 인터페이스는 UE와 AMF의 사이의 인터페이스이고, N2 인터페이스는 (R)AN(액세스 네트워크)과 AMF의 사이의 인터페이스이고, N3 인터페이스는 (R)AN(액세스 네트워크)과 UPF의 사이의 인터페이스이고, N4 인터페이스는 SMF와 UPF의 사이의 인터페이스이고, N6 인터페이스는 UPF와 DN의 사이의 인터페이스이고, N9 인터페이스는 UPF와 UPF의 사이의 인터페이스이고, N11 인터페이스는 AMF와 SMF의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이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각 장치간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UE가, 복수의 PDU 세션을 사용하여, 2개의 DN에 동시에 액세스하는 경우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2개의 상이한 PDU 세션에 대하여, 2개의 SMF가 선택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SMF_A(230)와 UPF_A(235)가 2개씩 있다.
이하, 코어 네트워크_B(190) 내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간단한 설명을 행한다.
우선, AMF_A(240)는, 다른 AMF, SMF(SMF_A(230) 및/또는 SMF_B(232)), 액세스 네트워크(즉, E-UTRAN_A(80)와 5G-RAN_A(120)와 WLAN ANc(125)), UDM, AUSF, PCF에 접속된다. AMF_A(240)는, 등록 관리(Registration management), 접속 관리(Connection management), 도달 가능성 관리(Reachability management), UE_A(10) 등의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UE와 SMF간의 SM(Session Management) 메시지의 전송, 액세스 인증(Access Authentication, Access Authorization), 시큐리티 앵커 기능(SEA; Security Anchor Function), 시큐리티 컨텍스트 관리(SCM; Security Context Management), N3IWF에 대한 N2 인터페이스의 서포트, N3IWF를 통한 UE와의 NAS 신호의 송수신의 서포트, N3IWF를 통하여 접속하는 UE의 인증, RM 상태(Registration Management states)의 관리, CM 상태(Connection Management states)의 관리 등의 역할을 담당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코어 네트워크_B(190) 내에 1 이상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1 이상의 NSI(Network Slice Instance)를 관리하는 NF여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복수의 NSI간에서 공유되는 공유 CP 펑션(CCNF; Common CPNF(Control Plane Network Function))이어도 된다.
또한, RM 상태로서는, 비등록 상태(RM-DEREGISTERED state)와, 등록 상태(RM-REGISTERED state)가 있다. RM-DEREGISTERED 상태에서는, UE는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AMF에 있어서의 UE 컨텍스트가, 그 UE에 대하여 유효한 장소의 정보나 라우팅의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AMF는 UE에 도달할 수 없는 상태이다. 또한, RM-REGISTERED 상태에서는, UE는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UE는 네트워크와의 등록이 필요한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CM 상태로서는, 비접속 상태(CM-IDLE state)와, 접속 상태(CM-CONNECTED state)가 있다. CM-IDLE 상태에서는, UE는 RM-REGISTERED 상태에 있지만, N1 인터페이스를 통한 AMF와의 사이에서 확립되는 NAS 시그널링 접속(NAS signaling connection)을 갖고 있지 않다. 또한, CM-IDLE 상태에서는, UE는 N2 인터페이스의 접속(N2 connection) 및 N3 인터페이스의 접속(N3 connection)을 갖고 있지 않다. 한편, CM-CONNECTED 상태에서는, N1 인터페이스를 통한 AMF와의 사이에서 확립되는 NAS 시그널링 접속(NAS signaling connection)을 갖고 있다. 또한, CM-CONNECTED 상태에서는, UE는 N2 인터페이스의 접속(N2 connection) 및/또는 N3 인터페이스의 접속(N3 connection)을 가져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AMF_A(240), UPF_A(235), UDM, PCF에 접속된다. SMF_B(232)는, AMF_A(240), UPF_B(237), UDM, PCF에 접속된다. SMF_A(230) 및 SMF_B(232)는, PDU 세션 등의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 UE에 대한 IP 어드레스 할당(IP address allocation), UPF의 선택과 제어, 적절한 목적지에 트래픽을 라우팅하기 위한 UPF의 설정, 하향 링크의 데이터가 도착하였음을 통지하는 기능(Downlink Data Notification), AMF를 통하여 AN에 대하여 N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송신되는, AN 특유의 (AN마다의) SM 정보의 식별자, 세션에 대한 SSC 모드(Session and Service Continuity mode)의 결정, 로밍 기능 등의 역할을 담당해도 된다. 또한, SMF_A(230) 및 SMF_B(232)는, 별개의 장치 또는 NF로서 기재하였지만, 동일한 장치 또는 기능이어도 된다.
또한, UPF_A(235)는, DN_A(5), SMF_A(230), 다른 UPF, 및 액세스 네트워크(즉, E-UTRAN_A(80)와 5G-RAN_A(120)와 WLAN ANc(125))에 접속된다. UPF_B(237)는, DN_B(105), SMF_B(232), 다른 UPF, 및 액세스 네트워크(즉, E-UTRAN_A(80)와 5G-RAN_A(120)와 WLAN ANc(125))에 접속된다. UPF_A(235) 및 UPF_B(237)는, intra-RAT mobility 또는 inter-RAT mobility에 대한 앵커, 패킷의 라우팅과 전송(Packet routing & forwarding), 하나의 DN에 대하여 복수의 트래픽 플로우의 라우팅을 서포트하는 UL CL(Uplink Classifier) 기능, 멀티 홈 PDU 세션(multi-homed PDU session)을 서포트하는 Branching point 기능, user plane에 대한 QoS 처리, 상향 링크 트래픽의 검증(verification), 하향 링크 패킷의 버퍼링, 하향 링크 데이터 통지(Downlink Data Notification)의 트리거 기능 등의 역할을 담당해도 된다. 또한, UPF_A(235) 및 UPF_B(237)는, 각각 DN_A(5)와 코어 네트워크_B(190)의 사이의 게이트웨이, 및 DN_B(105)와 코어 네트워크_B(190)의 사이의 게이트웨이로서, 유저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중계 장치여도 된다. 또한, UPF_A(235) 및 UPF_B(237)는, IP 통신 및/또는 non-IP 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이여도 된다. 또한, UPF_A(235) 및 UPF_B(237)는, IP 통신을 전송하는 기능을 가져도 되고, non-IP 통신과 IP 통신을 변환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한 복수 배치되는 게이트웨이는, 코어 네트워크_B(190)와 단일의 DN을 접속하는 게이트웨이여도 된다. 또한, UPF_A(235) 및 UPF_B(237)는, 다른 NF와의 접속성을 구비해도 되고, 다른 NF를 통하여 각 장치에 접속해도 된다.
또한, UPF_A(235) 및 UPF_B(237)는, 별개의 장치 또는 NF로서 기재하였지만, UPF_A(235)와 액세스 네트워크의 사이, 및 UPF_B(237)와 액세스 네트워크의 사이에, UPF_A(235) 및 UPF_B(237)와는 상이한 UPF이며, 공통의 UPF_C(239)(branching point 또는 uplink classifier라고도 칭함)가 존재해도 된다. UPF_C(239)가 존재하는 경우, UE_A(10)와 DN_A(5)의 사이의 PDU 세션은, 액세스 네트워크, UPF_C(239), UPF_A(235)를 통하여 확립되고, UE_A(10)와 DN_B(105)의 사이의 PDU 세션은, 액세스 네트워크, UPF_C(239), UPF_B(237)를 통하여 확립되게 된다.
또한, U-Plane(User Plane)이란, 유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로여도 되고, 복수의 베어러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C-Plane(Control Plane)이란,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로여도 되고, 복수의 베어러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AUSF는 UDM, AMF_A(240)에 접속되어 있다. AUSF는, 인증 서버로서 기능한다.
SDSF는, NEF가, 구조화된 데이터(structured data)로서, 정보를 보존하거나, 취득하거나 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UDSF는, 모든 NF가, 구조화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unstructured data)로서, 정보를 보존하거나, 취득하거나 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NEF는, 3GPP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ㆍ능력을 안전하게 제공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다른 NF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구조화된 데이터(structured data)로서 보존한다.
NRF는, NF 인스턴스로부터 NF 발견 요구(NF Discovery Request)를 수신하면, 그 NF에 대하여, 발견한 NF 인스턴스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용 가능한 NF 인스턴스나, 그 인스턴스가 서포트하는 서비스의 정보를 유지하거나 한다.
PCF는, SMF(SMF_A(230), SMF_B(232)), AF, AMF_A(240)에 접속되어 있다. 폴리시 룰(policy rule) 등을 제공한다.
UDM은, AMF_A(240), SMF(SMF_A(230), SMF_B(232)), AUSF, PCF에 접속된다. UDM은, UDM FE(application front end)와 UDR(User Data Repository)을 포함한다. UDM FE는, 인증 정보(credentials), 장소 관리(location management), 가입자 관리(subscription management) 등의 처리를 행한다. UDR은, UDM FE가 제공되는 데 필요한 데이터와, PCF가 필요로 하는 폴리시 프로파일(policy profiles)을 보존한다.
AF는, PCF에 접속된다. AF는, 트래픽 라우팅에 대하여 영향을 주거나, 폴리시 제어에 관여하거나 한다.
N3IWF는, UE와의 IPsec 터널의 확립, UE와 AMF간의 NAS(N1) 시그널링의 중계(relaying), SMF로부터 송신되어 AMF에 의해 릴레이된 N2 시그널링의 처리, IPsec Security Association(IPsec SA)의 확립, UE와 UPF간의 user plane 패킷의 중계(relaying), AMF 선택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1.2. 각 장치의 구성]
이하, 각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기 각 장치 및 각 장치의 각 부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물리적인 하드웨어 상에서 동작하는 것이어도 되고, 범용적인 하드웨어 상에 가상적으로 구성된 논리적인 하드웨어 상에서 동작하는 것이어도 된다.
[1.2.1. UE의 구성]
우선, UE_A(10)의 장치 구성예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_A(10)는, 제어부_A(400), 송수신부_A(420), 기억부_A(440)로 구성된다. 송수신부_A(420) 및 기억부_A(440)는, 제어부_A(400)와 버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부_A(420)에는, 외부 안테나(41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_A(440)는, UE 컨텍스트(442)를 기억하고 있다.
제어부_A(400)는, UE_A(10)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부이며, 기억부_A(440)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정보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UE_A(10) 전체의 각종 처리를 실현한다.
송수신부_A(420)는, UE_A(10)가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E-UTRAN_A(80)와 5G-RAN_A(120))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WLAN ANc(125))에 접속하여,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기능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UE_A(10)는, 송수신부_A(420)에 접속된 외부 안테나(410)를 통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E_A(10)는, 송수신부_A(420)에 접속된 외부 안테나(410)를 통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억부_A(440)는, UE_A(10)의 각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기능부이며,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_A(440)는, 후술하는 통신 수속 내에서 송수신하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 제어 정보, 플래그,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기억부_A(440)에서 기억되는 UE 컨텍스트(442)로서는, 액세스 네트워크_B(80/120/125)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UE 컨텍스트와, 코어 네트워크_B(190)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UE 컨텍스트가 있어도 된다. 또한, UE 컨텍스트(442)로서는, UE마다 기억되는 UE 컨텍스트, PDU 세션마다 기억되는 UE 컨텍스트, 베어러마다 기억되는 UE 컨텍스트가 있어도 된다. UE마다 기억되는 UE 컨텍스트로서는, IMSI, EMM State, GUTI, ME Identity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PDU 세션마다 기억되는 UE 컨텍스트로서는, APN in Use, Assigned Session Type, IP Address(es), Default Bearer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베어러마다 기억되는 UE 컨텍스트로서는, EPS Bearer ID, TI, TFT를 포함해도 된다.
[1.2.2. eNB/NR node/WAG의 구성]
이어서, eNB_A(45), NR node_A(122) 및 WAG_A(126)의 장치 구성예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eNB_A(45), NR node_A(122) 및 WAG_A(126)는, 제어부_B(500), 네트워크 접속부_B(520), 송수신부_B(530), 기억부_B(540)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접속부_B(520), 송수신부_B(530) 및 기억부_B(540)는, 제어부_B(500)와 버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부_B(530)에는, 외부 안테나(510)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_B(500)는, eNB_A(45), NR node_A(122) 및 WAG_A(126)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부이며, 기억부_B(540)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정보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eNB_A(45), NR node_A(122) 및 WAG_A(126) 전체의 각종 처리를 실현한다.
네트워크 접속부_B(520)는, eNB_A(45), NR node_A(122) 및 WAG_A(126)가, 코어 네트워크 내의 AMF_A(240)나 UPF_A(235)와 접속하기 위한 기능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eNB_A(45), NR node_A(122) 및 WAG_A(126)는, 네트워크 접속부_B(520)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 내의 AMF_A(240)나 UPF_A(235)와 접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eNB_A(45), NR node_A(122) 및 WAG_A(126)는, 네트워크 접속부_B(520)를 통하여, AMF_A(240) 및/또는 UPF_A(235)와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_B(530)는, eNB_A(45), NR node_A(122) 및 WAG_A(126)가, UE_A(10)와 접속하기 위한 기능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eNB_A(45), NR node_A(122) 및 WAG_A(126)는, 송수신부_B(530)를 통하여, UE_A(10)와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억부_B(540)는, eNB_A(45), NR node_A(122) 및 WAG_A(126)의 각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기능부이다. 기억부_B(540)는,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나, HDD, SSD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_B(540)는, 후술하는 통신 수속 내에서 송수신하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 제어 정보, 플래그,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기억부_B(540)는, 이들 정보를 컨텍스트로서 UE_A(10)마다 기억해도 된다.
[1.2.3. AMF의 구성]
이어서, AMF_A(240)의 장치 구성예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MF_A(240)는, 제어부_C(600), 네트워크 접속부_C(620), 기억부_C(640)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접속부_C(620) 및 기억부_C(640)는, 제어부_C(600)와 버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_C(640)는, 컨텍스트(642)를 기억하고 있다.
제어부_C(600)는, AMF_A(240)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부이며, 기억부_C(640)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정보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AMF_A(240) 전체의 각종 처리를 실현한다.
네트워크 접속부_C(620)는, AMF_A(240)가, 다른 AMF_A(240), SMF_A(230),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E-UTRAN_A(80)와 5G-RAN_A(120))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WLAN ANc(125)), UDM, AUSF, PCF와 접속하기 위한 기능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AMF_A(240)는, 네트워크 접속부_C(620)를 통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 UDM, AUSF, PCF와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억부_C(640)는, AMF_A(240)의 각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기능부이다. 기억부_C(640)는,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나, HDD, SSD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_C(640)는, 후술하는 통신 수속 내에서 송수신하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 제어 정보, 플래그,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기억부_C(640)에 기억되어 있는 컨텍스트(642)로서는, UE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 PDU 세션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 베어러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가 있어도 된다. UE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로서는, IMSI, MSISDN, MM State, GUTI, ME Identity, UE Radio Access Capability, UE Network Capability, MS Network Capability, Access Restriction, MME F-TEID, SGW F-TEID, eNB Address, MME UE S1AP ID, eNB UE S1AP ID, NR node Address, NR node ID, WAG Address, WAG ID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PDU 세션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로서는, APN in Use, Assigned Session Type, IP Address(es), PGW F-TEID, SCEF ID, Default bearer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베어러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로서는, EPS Bearer ID, TI, TFT, SGW F-TEID, PGW F-TEID, MME F-TEID, eNB Address, NR node Address, WAG Address, eNB ID, NR node ID, WAG ID를 포함해도 된다.
[1.2.4. SMF의 구성]
이어서, SMF_A(230) 및 SMF_B(232)의 장치 구성예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MF_A(230)는, 각각 제어부_D(700), 네트워크 접속부_D(720), 기억부_D(740)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접속부_D(720) 및 기억부_D(740)는, 제어부_D(700)와 버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_D(740)는, 컨텍스트(742)를 기억하고 있다.
SMF_A(230)의 제어부_D(700)는, SMF_A(230)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부이며, 기억부_D(740)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정보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SMF_A(230) 전체의 각종 처리를 실현한다.
또한, SMF_A(230)의 네트워크 접속부_D(720)는, SMF_A(230)가, AMF_A(240), UPF_A(235), UDM, PCF와 접속하기 위한 기능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SMF_A(230)는, 네트워크 접속부_D(720)를 통하여, AMF_A(240), UPF_A(235), UDM, PCF와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SMF_A(230)의 기억부_D(740)는, SMF_A(230)의 각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기능부이다. SMF_A(230)의 기억부_D(740)는,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나, HDD, SSD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SMF_A(230)의 기억부_D(740)는, 후술하는 통신 수속 내에서 송수신하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 제어 정보, 플래그,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SMF_A(230)의 기억부_D(740)에서 기억되는 컨텍스트(742)로서는, UE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와, APN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와, PDU 세션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와, 베어러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가 있어도 된다. UE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는, IMSI, ME Identity, MSISDN, RAT type을 포함해도 된다. APN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는, APN in use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APN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는, Data Network Identifier마다 기억되어도 된다. PDU 세션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는, Assigned Session Type, IP Address(es), SGW F-TEID, PGWF-TEID, Default Bearer를 포함해도 된다. 베어러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는, EPS Bearer ID, TFT, SGW F-TEID, PGW F-TEID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SMF_B(232)도, SMA_A(230)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1.2.5. UPF의 구성]
이어서, UPF_A(235) 및 UPF_B(237)의 장치 구성예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PF_A(235)는, 각각 제어부_D(700), 네트워크 접속부_D(720), 기억부_D(740)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접속부_D(720) 및 기억부_D(740)는, 제어부_D(700)와 버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_D(740)는, 컨텍스트(742)를 기억하고 있다.
UPF_A(235)의 제어부_D(700)는, UPF_A(235)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부이며, 기억부_D(740)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정보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UPF_A(235) 전체의 각종 처리를 실현한다.
또한, UPF_A(235)의 네트워크 접속부_D(720)는, UPF_A(235)가, DN(즉, DN_A(5) 및/또는 DN_B(105)), SMF_A(230), 다른 UPF_A(235), 및 액세스 네트워크(즉, E-UTRAN_A(80)와 5G-RAN_A(120)와 WLAN ANc(125))와 접속하기 위한 기능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UPF_A(235)는, 네트워크 접속부_D(720)를 통하여, DN(즉, DN_A(5) 및/또는 DN_B(105)), SMF_A(230), 다른 UPF_A(235), 및 액세스 네트워크(즉, E-UTRAN_A(80)와 5G-RAN_A(120)와 WLAN ANc(125))와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UPF_A(235)의 기억부_D(740)는, UPF_A(235)의 각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기능부이다. UPF_A(235)의 기억부_D(740)는,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나, HDD, SSD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UPF_A(235)의 기억부_D(740)는, 후술하는 통신 수속 내에서 송수신하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 제어 정보, 플래그,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UPF_A(235)의 기억부_D(740)에서 기억되는 컨텍스트(742)로서는, UE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와, APN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와, PDU 세션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와, 베어러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가 있어도 된다. UE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는, IMSI, ME Identity, MSISDN, RAT type을 포함해도 된다. APN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는, APN in use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APN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는, Data Network Identifier마다 기억되어도 된다. PDU 세션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는, Assigned Session Type, IP Address(es), SGW F-TEID, PGWF-TEID, Default Bearer를 포함해도 된다. 베어러마다 기억되는 컨텍스트는, EPS Bearer ID, TFT, SGW F-TEID, PGW F-TEID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UPF_B(237)도, UPF_A(235)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1.2.6. 상기 각 장치의 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
이어서, 상기 각 장치의 기억부에서 기억되는 각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는, 가입자(유저)의 영구적인 식별 정보이며, UE를 사용하는 유저에게 할당되는 식별 정보이다. UE_A(10) 및 MME_A(40)/CPF_A(140)/AMF_A(2400) 및 SGW_A(35)가 기억하는 IMSI는, HSS_A(50)가 기억하는 IMSI와 동등해도 된다.
EMM State/MM State는, UE_A(10) 또는 MME_A(40)/CPF_A(140)/AMF_A(240)의 이동 관리(Mobility management)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EMM State/MM State는, UE_A(10)가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 EMM-REGISTERED 상태(등록 상태), 및/또는 UE_A(10)가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EMM-DEREGISTERD 상태(비등록 상태)여도 된다. 또한, EMM State/MM State는, UE_A(10)와 코어 네트워크간의 접속이 유지되어 있는 ECM-CONNECTED 상태, 및/또는 접속이 해방되어 있는 ECM-IDLE 상태여도 된다. 또한, EMM State/MM State는, UE_A(10)가 EPC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와, NGC 또는 5GC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여도 된다.
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ty)는, UE_A(10)의 일시적인 식별 정보이다. GUTI는, MME_A(40)/CPF_A(140)/AMF_A(240)의 식별 정보(GUMMEI(Globally Unique MME Identifier))와 특정 MME_A(40)/CPF_A(140)/AMF_A(240) 내에서의 UE_A(10)의 식별 정보(M-TMSI(M-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에 의해 구성된다. ME Identity는, UE_A(10) 또는 ME의 ID이며, 예를 들어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나 IMEISV(IMEI Software Version)여도 된다. MSISDN은, UE_A(10)의 기본적인 전화 번호를 나타낸다. MME_A(40)/CPF_A(140)/AMF_A(240)가 기억하는 MSISDN은 HSS_A(50)의 기억부에 의해 나타난 정보여도 된다. 또한, GUTI에는, CPF_A(140)를 식별하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MME F-TEID는, MME_A(40)/CPF_A(140)/AMF_A(240)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MME F-TEID에는, MME_A(40)/CPF_A(140)/AMF_A(240)의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되고, MME_A(40)/CPF_A(140)/AMF_A(240)의 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가 포함되어도 되며, 이들 양쪽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MME_A(40)/CPF_A(140)/AMF_A(240)의 IP 어드레스와 MME_A(40)/CPF_A(140)/AMF_A(240)의 TEID는 독립적으로 기억되어도 된다. 또한, MME F-TEID는, 유저 데이터용 식별 정보여도 되고, 제어 정보용 식별 정보여도 된다.
SGW F-TEID는, SGW_A(35)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SGW F-TEID에는, SGW_A(35)의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되고, SGW_A(35)의 TEID가 포함되어도 되며, 이들 양쪽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SGW_A(35)의 IP 어드레스와 SGW_A(35)의 TEID는, 독립적으로 기억되어도 된다. 또한, SGW F-TEID는, 유저 데이터용 식별 정보여도 되고, 제어 정보용 식별 정보여도 된다.
PGW F-TEID는, PGW_A(30)/UPGW_A(130)/SMF_A(230)/UPF_A(235)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PGW F-TEID에는, PGW_A(30)/UPGW_A(130)/SMF_A(230)/UPF_A(235)의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되고, PGW_A(30)/UPGW_A(130)/SMF_A(230)/UPF_A(235)의 TEID가 포함되어도 되며, 이들 양쪽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PGW_A(30)/UPGW_A(130)/SMF_A(230)/UPF_A(235)의 IP 어드레스와 PGW_A(30)/UPGW_A(130)/SMF_A(230)/UPF_A(235)의 TEID는 독립적으로 기억되어도 된다. 또한, PGW F-TEID는, 유저 데이터용 식별 정보여도 되고, 제어 정보용 식별 정보여도 된다.
eNB F-TEID는 eNB_A(45)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eNB F-TEID에는, eNB_A(45)의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되고, eNB_A(45)의 TEID가 포함되어도 되며, 이들 양쪽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eNB_A(45)의 IP 어드레스와 SGW_A(35)의 TEID는, 독립적으로 기억되어도 된다. 또한, eNB F-TEID는, 유저 데이터용 식별 정보여도 되고, 제어 정보용 식별 정보여도 된다.
또한, APN은, 코어 네트워크와 DN 등의 외부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여도 된다. 또한, APN은, 코어 네트워크 A_90을 접속하는 PGW_A(30)/UPGW_A(130)/UPF_A(235) 등의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정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APN은, DNN(Data Network Name)이어도 된다. 따라서, APN을 DNN이라고 표현해도 되고, DNN을 APN이라고 표현해도 된다.
또한, APN은, 이러한 게이트웨이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여도 되고, DN 등의 외부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여도 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와 DN을 접속하는 게이트웨이가 복수 배치되는 경우에는, APN에 의해 선택 가능한 게이트웨이는 복수 있어도 된다. 또한, APN 이외의 식별 정보를 사용한 다른 방법에 의해, 이러한 복수의 게이트웨이 중에서 하나의 게이트웨이를 선택해도 된다.
UE Radio Access Capability는, UE_A(10)의 무선 액세스 능력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이다. UE Network Capability는, UE_A(10)에 서포트되는 시큐리티의 알고리즘과 키 파생 함수를 포함시킨다. MS Network Capability는, GERAN_A(25) 및/또는 UTRAN_A(20) 기능을 갖는 UE_A(10)에 대하여, SGSN_A(42)에 필요한 1 이상의 정보를 포함시키는 정보이다. Access Restriction은, 액세스 제한의 등록 정보이다. eNB Address는, eNB_A(45)의 IP 어드레스이다. MME UE S1AP ID는, MME_A(40)/CPF_A(140)/AMF_A(240) 내에서 UE_A(10)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eNB UE S1AP ID는, eNB_A(45) 내에서 UE_A(10)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APN in Use는, 최근 사용된 APN이다. APN in Use는 Data Network Identifier여도 된다. 이 APN은,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와, 디폴트의 오퍼레이터의 식별 정보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APN in Use는, PDU 세션의 확립처의 DN을 식별하는 정보여도 된다.
Assigned Session Type은, PDU 세션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Assigned Session Type은 Assigned PDN Type이어도 된다. PDU 세션의 타입은, IP여도 되고, non-IP여도 된다. 또한, PDU 세션의 타입이 IP인 경우, 네트워크로부터 할당된 PDN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해도 된다. 또한, Assigned Session Type은, IPv4, IPv6, 또는 IPv4v6이어도 된다.
또한, 특별히 기재가 없는 경우에는, IP Address는, UE에 할당된 IP 어드레스이다. IP 어드레스는, IPv4 어드레스여도 되고, IPv6 어드레스여도 되고, IPv6 프리픽스여도 되고, 인터페이스 ID여도 된다. 또한, Assigned Session Type이 non-IP를 나타내는 경우, IP Address의 요소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DN ID는, 코어 네트워크_B(190)와 DN 등의 외부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이다. 또한, DN ID는, 코어 네트워크_B(190)를 접속하는 UPGW_A(130) 또는 PF_A(235) 등의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정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DN ID는, 이러한 게이트웨이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여도 되고, DN 등의 외부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여도 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_B(190)와 DN을 접속하는 게이트웨이가 복수 배치되는 경우에는, DN ID에 의해 선택 가능한 게이트웨이는 복수 있어도 된다. 또한, DN ID 이외의 식별 정보를 사용한 다른 방법에 의해, 이러한 복수의 게이트웨이 중에서 하나의 게이트웨이를 선택해도 된다.
또한, DN ID는, APN과 동등한 정보여도 되고, APN과는 상이한 정보여도 된다. 또한, DN ID와 APN이 상이한 정보인 경우, 각 장치는, DN ID와 APN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해도 되고, DN ID를 사용하여 APN을 문의하는 수속을 실시해도 되고, APN을 사용하여 DN ID를 문의하는 수속을 실시해도 된다.
SCEF ID는, PDU 세션에서 사용되고 있는 SCEF_A(46)의 IP 어드레스이다. Default Bearer는, PDU 세션 확립 시에 취득 및/또는 생성하는 정보이며, PDU 세션에 대응지어진 디폴트 베어러(default bearer)를 식별하기 위한 EPS 베어러 식별 정보이다.
EPS Bearer ID는, EPS 베어러의 식별 정보이다. 또한, EPS Bearer ID는, SRB(Signalling Radio Bearer) 및/또는 CRB(Control-plane Radio bearer)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여도 되고, DRB(Data Radio Bearer)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여도 된다. TI(Transaction Identifier)는, 쌍방향의 메시지 플로우(Transaction)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이다. 또한, EPS Bearer ID는, 데디케이티드 베어러(dedicated bearer)를 식별하는 EPS 베어러 식별 정보여도 된다. 따라서, 디폴트 베어러와는 상이한 EPS 베어러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여도 된다. TFT는, EPS 베어러와 관련지어진 모든 패킷 필터를 나타낸다. TFT는 송수신할 유저 데이터의 일부를 식별하는 정보이며, UE_A(10)는, TFT에 의해 식별된 유저 데이터를, TFT에 관련지은 EPS 베어러를 사용하여 송수신한다. 또한, 바꾸어 말하면, UE_A(10)는, TFT에 의해 식별된 유저 데이터를, TFT에 관련지은 RB(Radio Bearer)를 사용하여 송수신한다. 또한, TFT는, 송수신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의 유저 데이터를 적절한 전송로에 대응짓는 것이어도 되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여도 된다. 또한, UE_A(10)는, TFT로 식별할 수 없는 유저 데이터를, 디폴트 베어러를 사용하여 송수신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디폴트 베어러에 관련지어진 TFT를 미리 기억해 두어도 된다.
Default Bearer는, PDU 세션에 대응지어진 디폴트 베어러를 식별하는 EPS 베어러 식별 정보이다. 또한, EPS 베어러란, UE_A(10)와 PGW_A(30)/UPGW_A(130)/UPF_A(235)의 사이에서 확립하는 논리적인 통신로여도 되고, PDN 커넥션/PDU 세션을 구성하는 통신로여도 된다. 또한, EPS 베어러는, 디폴트 베어러여도 되고, 데디케이티드 베어러여도 된다. 또한, EPS 베어러는, UE_A(10)와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의 사이에서 확립하는 R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RB와 EPS 베어러는 일대일로 대응지어져도 된다. 그 때문에, RB의 식별 정보는, EPS 베어러의 식별 정보와 일대일로 대응지어져도 되며, 동일한 식별 정보여도 된다. 또한, RB는, SRB 및/또는 CRB여도 되고, DRB여도 된다. 또한, Default Bearer는, PDU 세션 확립 시에 UE_A(10) 및/또는 SGW_A(35) 및/또는 PGW_A(30)/UPGW_A(130)/SMF_A(230)/UPF_A(235)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취득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디폴트 베어러란, PDN 커넥션/PDU 세션 중에서 최초로 확립되는 EPS 베어러이며, 하나의 PDN 커넥션/PDU 세션 중에, 하나밖에 확립할 수 없는 EPS 베어러이다. 디폴트 베어러는, TFT에 대응지어져 있지 않은 유저 데이터의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EPS 베어러여도 된다. 또한, 데디케이티드 베어러란, PDN 커넥션/PDU 세션 중에서 디폴트 베어러가 확립된 후에 확립되는 EPS 베어러이며, 하나의 PDN 커넥션/PDU 세션 중에, 복수 확립할 수 있는 EPS 베어러이다. 데디케이티드 베어러는, TFT에 대응지어진 유저 데이터의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EPS 베어러이다.
User Identity는, 가입자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User Identity는, IMSI여도 되고, MSISDN이어도 된다. 또한, User Identity는, IMSI, MSISDN 이외의 식별 정보여도 된다. Serving Node Information은, PDU 세션에서 사용되고 있는 MME_A(40)/CPF_A(140)/AMF_A(240)를 식별하는 정보이며, MME_A(40)/CPF_A(140)/AMF_A(240)의 IP 어드레스여도 된다.
eNB Address는, eNB_A(45)의 IP 어드레스이다. eNB ID는, eNB_A(45) 내에서 UE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MME Address는, MME_A(40)/CPF_A(140)/AMF_A(240)의 IP 어드레스이다. MME ID는, MME_A(40)/CPF_A(140)/AMF_A(240)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NR node Address는, NR node_A(122)의 IP 어드레스이다. NR node ID는, NR node_A(122)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WAG Address는, WAG_A(126)의 IP 어드레스이다. WAG ID는, WAG_A(126)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1.3. 초기 수속의 설명]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초기 수속의 상세 수순을 설명하기 전에,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 특유한 용어나, 각 수속에 사용하는 주요한 식별 정보를 미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란, 액세스 네트워크_B(80/120/125), 코어 네트워크_B(190), DN_A(5) 및 DN_B(105) 중 적어도 일부를 가리킨다.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_B(80/120/125), 코어 네트워크_B(190), DN_A(5) 및 DN_B(105) 중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는 1 이상의 장치를,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장치라고 칭해도 된다. 즉, 네트워크가 메시지의 송수신 및/또는 수속을 실행한다고 하는 것은, 네트워크 내의 장치(네트워크 장치)가 메시지의 송수신 및/또는 수속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션 매니지먼트(SM; Session Management) 메시지(NAS(Non-Access-Stratum) SM 메시지라고도 칭함)는, SM을 위한 수속에서 사용되는 NAS 메시지여도 되고, AMF_A(240)를 통하여 UE_A(10)와 SMF_A(230) 또는 SMF_B(232)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메시지여도 된다. 또한, SM 메시지에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 PDU 세션 완료 메시지, PDU 세션 거절 메시지, PDU 세션 변경 요구 메시지, PDU 세션 변경 수락 메시지, PDU 세션 변경 거절 메시지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SM을 위한 수속에는, PDU 세션 확립 수속, PDU 세션 변경 수속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트래킹 에어리어(TA; Tracking Area라고도 칭함)은, 코어 네트워크가 관리하는, UE_A(10)의 위치 정보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한 범위이며, 예를 들어 1 이상의 셀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TA는, 페이징 메시지 등의 제어 메시지가 브로드캐스트되는 범위여도 되고, UE_A(10)가 핸드오버 수속을 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TA 리스트(TA list)는, 네트워크가 UE_A(10)에 할당한 1 이상의 TA가 포함되는 리스트이다. 또한, UE_A(10)는, TA 리스트에 포함되는 1 이상의 TA 내를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등록 수속을 실행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어서 좋다. 바꾸어 말하면, TA 리스트는, UE_A(10)가 등록 수속을 실행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정보군이어도 된다. S1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RQoS(Reflective QoS(Quality of Service))는, 5GC(5G Core)에 있어서 서포트되는 QoS이다. RQoS는, 수신한 하향 링크 패킷, 및/또는 하향 링크 트래픽을 기초로 UE_A(10)가 QoS 룰(Derived QoS rule)을 작성함으로써 실현되는 QoS이다. 또한, 각 장치는, 동일한 PDU 세션에 있어서, RQoS와 RQoS가 아닌 QoS를 동시에 적응시키는 것이 가능해도 된다. 또한, RQoS의 트래픽에의 적응을 실현하기 위해, 상향 링크 패킷의 QoS에는, 쌍으로 되는 하향 링크 패킷의 QoS와 동일한 QoS가 적응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QoS 룰(Derived QoS rule)은, RQoS를 사용한 유저 데이터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룰이다. QoS 룰에는, 패킷 필터(Packet Filter), 및/또는 QFI(QoS Flow Identity), 및/또는 선행값(Precedence value)이 포함되어도 된다. 여기서, QFI는, QoS 플로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여도 된다. 또한, 선행값은, 우선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값이 작을수록 우선도는 높아진다. 또한, 상향 링크 패킷의 패킷 필터는, 하향 링크 패킷을 기초로 생성되어도 된다. 또한, User Plane을 통한 RQoS가 유효화된 경우, QoS 룰의 선행값은, 표준화된 값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Control Plane을 통한 RQoS가 유효화된 경우, QoS 룰의 선행값은, Control Plane을 통한 제어 메시지로 송수신된 값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UE_A(10)는, QoS 룰을 작성함으로써 RQoS를 유효화시켜도 되고, QoS 룰을 삭제함으로써 RQoS를 무효화시켜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RQoS 타이머(Reflective QoS Timer)는 RQoS의 유효화를 관리하기 위한 타이머이다. 각 장치는, RQoS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만, RQoS를 유효화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각 장치는, RQoS 타이머의 개시에 기초하여, RQoS를 유효화해도 되고, RQoS 타이머의 만료에 기초하여, RQoS를 무효화해도 된다. 또한, RQoS의 타이머의 값은, PDU 세션 확립 수속 등에서, 네트워크로부터 UE_A(10)로 송신된 값이어도 되고, 미리 설정된 값이어도 된다. 또한, RQ 타이머(RQ Timer)여도 된다. 또한, RQoS 타이머는, RQoS의 유효화를 관리하기 위한 타이머여도 되며,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T2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증 승인 요구 정보는, UE_A(10)가 DN 인증 승인 수속의 기동을 요구하는 정보이며, DN 인증 승인 수속의 기동을 희망하는지 희망하지 않는지를 나타내는 변수여도 되고, 서비스를 특정하는 이름 공간이어도 되고, 유저 식별자여도 되고, 유저의 프로파일을 특정하는 식별자여도 된다. 또한, DN 인증 승인 수속은,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증/승인 정보는, 3GPP NW로부터의 DN 인증 승인 수속에 대한 응답 시에 인증 승인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인증 승인할지 하지 않을지를 나타내는 변수여도 되고, 서비스를 특정하는 이름 공간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N 인증 승인 응답 정보는, DN이 발행하는 인증/승인 정보에 대하여 UE_A(10)가 응답하는 정보에 대하여, UE_A(10)가 응답할 때 얹는, 서비스를 특정하는 이름 공간이어도 되고, DN으로부터의 인증/승인 정보에 대한 메시지 응답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저 ID는, DN 인증 승인에 있어서, 유저를 특정하는 식별자이다. 유저 ID는, UE_A(10)가 DN 인증 승인 수속의 기동을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저 프로파일 ID는, DN 인증 승인에 있어서, 유저의 프로파일을 특정하는 식별자이다. UE_A(10)가 DN 인증 승인 수속의 기동을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N 인증 승인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5G 이동 통신 시스템의 차세대 시큐리티 시스템이다. PDU 세션 확립 수속 중에 DN에 의한 인증 승인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며, 종래의 4G 시스템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시스템이어도 된다. 또한, 차세대 시큐리티 시스템에서는, DN 인증 승인과 관련하여, 인증과 승인을 분리해도 된다. 또한, 인증과 승인을 분리함으로써, 인증 리소스와 승인 리소스의 오너가 각각의 책임에 있어서 인증 승인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도 되고, 이동 통신 시스템을 사용한 유연한 서비스 전개가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T3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타이머는, PDU 세션 확립 수속 등의 세션 매니지먼트를 위한 수속 개시, 및/또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 등의 SM(Session Management) 메시지의 송신을 관리하는 타이머이다. 제1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는, 각 장치의, 세션 매니지먼트를 위한 수속의 개시, 및/또는 SM 메시지의 송수신은 금지되어도 된다. 또한, 제1 타이머는, 적어도 APN/DNN 또는 슬라이스 단위 중 어느 한쪽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SM 메시지는, 세션 매니지먼트를 위한 수속에서 사용되는 NAS 메시지여도 되고, AMF_A(240)를 통하여 UE_A(10)와 SMF_A(230)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메시지여도 된다. 또한, SM 메시지에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 PDU 세션 완료 메시지, PDU 세션 거절 메시지, PDU 세션 변경 요구 메시지, PDU 세션 변경 수락 메시지, PDU 세션 변경 거절 메시지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세션 매니지먼트를 위한 수속에는, PDU 세션 확립 수속, PDU 세션 변경 수속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란, 특정한 네트워크 능력 및 네트워크 특성을 제공하는 논리적인 네트워크이다. 이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NW 슬라이스라고 칭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NSI; Network Slice Instance)란, 네트워크 기능(NF)의 인스턴스(실체)와, 필요한 리소스의 세트로 구성되며, 배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형성한다. 여기서, NF란,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처리 기능이며, 3GPP에서 채용 또는 정의된 것이다. NSI는 코어 네트워크_B(190) 내에 1 이상 구성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의 실체이다. 또한, NSI는 NST(Network Slice Template)를 사용하여 생성된 가상적인 NF(Network Function)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NST란, 요구되는 통신 서비스나 능력(capability)을 제공하기 위한 리소스 요구에 관련지어지며, 1 이상의 NF(Network Function)의 논리적 표현이다. 즉, NSI란, 복수의 NF에 의해 구성된 코어 네트워크_B(190) 내의 집합체여도 된다. 또한, NSI는 서비스 등에 의해 배송되는 유저 데이터를 나누기 위해 구성된 논리적인 네트워크여도 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에는, 1 이상의 NF가 구성되어도 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구성되는 NF는,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공유되는 장치여도 되고, 그렇지 않아도 된다. UE_A(10)는, UE usage type 및/또는 1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 ID 및/또는 1 이상의 NS ID 등의 등록 정보 및/또는 APN에 기초하여, 1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할당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SI(Network Slice Instance)란, 코어 네트워크_B(190) 내에 1 또는 복수 구성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의 실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SI는 NST(Network Slice Template)를 사용하여 생성된 가상적인 NF(Network Function)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NST란, 요구되는 통신 서비스나 능력(capability)을 제공하기 위한 리소스 요구에 관련지어지며, 1 또는 복수의 NF(Network Function)의 논리적 표현이다. 즉, NSI란, 복수의 NF에 의해 구성된 코어 네트워크_B(190) 내의 집합체여도 된다. 또한, NSI는 서비스 등에 의해 배송되는 유저 데이터를 나누기 위해 구성된 논리적인 네트워크여도 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NF가 구성되어도 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구성되는 NF는,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공유되는 장치여도 되고, 그렇지 않아도 된다. UE_A(10) 및/또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NSSAI, 및/또는 S-NSSAI, 및/또는 UE usage type, 및/또는 1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 ID, 및/또는 1 또는 복수의 NS ID 등의 등록 정보, 및/또는 APN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할당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S-NSSAI는, 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의 약칭이며,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S-NSSAI는, SST(Slice/Service type)와 SD(Slice Differentiator)로 구성되어도 된다. S-NSSAI는 SST만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SST와 SD의 양쪽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SST란, 기능과 서비스의 면에서 기대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SD는, SST로 나타나는 복수의 NSI로부터 하나의 NSI를 선택할 때, SST를 보완하는 정보여도 된다. S-NSSAI는, PLMN마다 특유한 정보여도 되고, PLMN간에서 공통화된 표준의 정보여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는, 디폴트의 S-NSSAI로서, UE_A(10)의 등록 정보에 하나 또는 복수의 S-NSSAI를 기억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는 S-NSSAI의 집합이다. NSSAI에 포함되는, 각 S-NSSAI는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코어 네트워크가 NSI를 선택하는 것을 어시스트하는 정보이다. UE_A(10)는 PLMN마다 네트워크로부터 허가된 NSSAI를 기억해도 된다. 또한, NSSAI는 AMF_A(240)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NW 슬라이스는, UE_A(10)가 특정한 DN에 접속할 때 확립 PDU 세션이 속하는 NW 슬라이스이다. 제1 NW 슬라이스는, 오퍼레이터 A망 내에서 관리되는 NW 슬라이스여도 되고, 오퍼레이터 B망 내에서 공통으로 관리되는 NW 슬라이스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NW 슬라이스는, 제1 NW 슬라이스에 속하는 PDU 세션이 접속처로 되어 있는 DN에 접속할 수 있는 다른 PDU 세션이 속하는 NW 슬라이스이다. 제1 NW 슬라이스와 제2 NW 슬라이스는, 동일한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어도 되고, 상이한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 A망은, 오퍼레이터 A가 운용하고 있는 네트워크이다. 오퍼레이터 B와 공통의 NW 슬라이스를 전개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 B망은, 오퍼레이터 B가 운용하고 있는 네트워크이다. 오퍼레이터 A와 공통의 NW 슬라이스를 전개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re-attempt 정보는, 거절된 PDU 세션에 대하여, 동일한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재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NW가 UE_A(10)에 지시하는 정보이다. 또한, re-attempt 정보는, UTRAN 액세스, E-UTRAN 액세스, NR 액세스마다 설정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거동이란, UE_A(10)가,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있어서 송신한 슬라이스 정보를, 송신한 PDU 세션 식별자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거동이다. 제1 거동에서는, UE_A(10)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로 송신한 슬라이스 정보를 기억해 두어도 되고,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되었을 때 수신하는 슬라이스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거동이란, UE_A(10)가, 이전에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로 지정한 슬라이스 정보와는 상이한 슬라이스 정보를 사용하여, 이전에 송신한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로 지정한 APN/DNN과 동일한 APN/DNN에 접속하기 위한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거동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거동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백오프 타이머값이 제로 혹은 무효인 경우, 이전에 송신한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로 지정한 슬라이스 정보와는 다른 슬라이스 정보를 사용하여, 이전에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와 동일한 APN/DNN에 접속하기 위한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거동이어도 된다. 또한, 제2 거동은, 지정한 APN/DNN이 접속하고 있는 특정한 PLMN의 무선으로 서포트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전에 송신한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된 경우, 혹은 일시적인 이유로, 이전에 송신한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된 경우에, 이전에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로 지정한 슬라이스 정보와는 다른 슬라이스 정보를 사용하여, 이전에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로 지정한 APN/DNN과 동일한 APN/DNN에 접속하기 위한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거동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거동이란, UE_A(10)가,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되었을 때, 제1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동일한 식별 정보를 사용한,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거동이다. 구체적으로는, 제3 거동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백오프 타이머값이 제로도 무효도 아닌 경우, 제1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동일한 식별 정보를 사용한,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거동이어도 된다. 또한, 제3 거동은, 다른 PLMN을 선택한 경우, 혹은 다른 NW 슬라이스를 선택한 경우에, 네트워크 운용의 설정 장해에 관한 거절 이유를 수신한 경우,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되었을 때 수신한 백오프 타이머가 기동되고 있는 경우에, 제1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동일한 식별 정보를 사용한,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거동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4 거동이란, UE_A(10)가, Registration 수속에 얹어 송신한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되었을 때, 제1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슬라이스 정보, 및/또는 DNN/APN 정보를 얹지 않는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거동이다. 구체적으로는, 제4 거동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백오프 타이머가 제로도 무효도 아닌 경우, 제1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슬라이스 정보, 및/또는 DNN/APN 정보를 얹지 않는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거동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5 거동이란, UE_A(10)가,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되었을 때, 동일한 식별 정보를 사용한,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거동이다. 구체적으로는, 제5 거동은, UE_A(10)와 네트워크에 있어서 서포트하고 있는 PDU type이 상이한 경우에 균등 PLMN에 재권되어 있는 경우, 동일한 식별 정보를 사용한,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거동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6 거동이란, UE_A(10)가,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되었을 때, 동일한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초기 수속으로서,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거동이다. 구체적으로는, 제6 거동은,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non 3GPP로부터의 핸드오버에 있어서 대상의 PDN 세션 컨텍스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거절된 경우, 동일한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초기 수속으로서,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거동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7 거동이란, PLMN 선택 수속에 있어서, 다른 NW 슬라이스를 선택한 경우, 전회의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되었을 때 수신한 백오프 타이머를 계속하는 거동이다. 구체적으로는, 제7 거동은,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되었을 때, PLMN 선택을 행한 경우이며, 선택처의 PLMN에 있어서,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로 지정한 NW 슬라이스와 공통의 NW 슬라이스의 지정이 가능한 경우,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되었을 때 수신한 백오프 타이머를 계속하는 거동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8 거동이란, UE_A(10)가, 제1 타이머값을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값으로 설정해도 되며, 사전에 UE_A(10)에 설정된 값으로 설정하는 거동이다. 구체적으로는, 제8 거동은, UE_A(10)가,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의 거절 통지에서 수신한 백오프 타이머값을 제1 타이머값으로서 설정하는 거동이어도 되고, 사전에 UE_A(10)에 설정, 혹은 유지하는 값을 제1 타이머값으로서 설정하는 거동이어도 된다. 또한, 사전에 UE_A(10)에 설정, 혹은 유지하는 타이머를 제1 타이머값으로서 설정하는 경우의 제8 거동은, HPLMN, 혹은 균등 PLMN 재권 시에 한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9 거동이란, UE_A(10)가,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되었을 때, 단말기 전원 온/오프, 혹은 USIM 삽입 발출까지,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거동이다. 구체적으로는, 제9 거동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백오프 타이머가 무효인 경우, 혹은 PDU 세션 거절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유가 UE_A(10)와 NW의 사이에서 PDU type이 상이한 경우에, 단말기 전원 온/오프, 혹은 USIM 삽입 발출까지,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거동이어도 된다. 또한, 제9 거동은, 지정한 APN/DNN이 접속하고 있는 PLMN의 무선으로 서포트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된 경우이며, 네트워크로부터의 백오프 타이머의 정보 요소가 없고, Re-attempt 정보가 없는 경우, 혹은 균등 PLMN에의 PDU 세션의 재접속이 허용되고 있는 경우, 접속하고 있는 PLMN에서는, 단말기 전원 온/오프, 혹은 USIM 삽입 발출까지,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거동이어도 된다. 또한, 제9 거동은, 지정한 APN/DNN이 접속하고 있는 PLMN의 무선으로 서포트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된 경우이며, 네트워크로부터의 백오프 타이머의 정보 요소가 없고, Re-attempt 정보가 없는 경우, 혹은 균등 PLMN에의 PDU 세션의 재접속이 허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 접속하고 있는 PLMN에서는, 단말기 전원 온/오프, 혹은 USIM 삽입 발출까지,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거동이어도 된다. 또한, 제9 거동은, 지정한 APN/DNN이 접속하고 있는 PLMN의 무선으로 서포트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된 경우이며, 네트워크로부터의 백오프 타이머가 제로도 무효도 아닌 경우, 단말기 전원 온/오프, 혹은 USIM 삽입 발출까지,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거동이어도 된다. 또한, 제9 거동은, 지정한 APN/DNN이 접속하고 있는 PLMN의 무선으로 서포트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된 경우이며, 네트워크로부터의 백오프 타이머가 무효인 경우, 단말기 전원 온/오프, 혹은 USIM 삽입 발출까지,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거동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0 거동이란, UE_A(10)가,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되었을 때,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거동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0 거동은, NW로부터 수신한 백오프 타이머가 제로인 경우, 혹은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일시적인 이유로 거절된 경우이며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되는 백오프 타이머 정보 요소 자체가 없는 경우,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거동이어도 된다. 또한, 제10 거동은, 다른 PLMN을 선택한 경우, 혹은 다른 NW 슬라이스를 선택한 경우이고,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일시적인 이유로 거절된 경우이며, 선택한 PLMN에서 대상의 APN/DNN에 대하여 백오프 타이머가 기동되고 있지 않은 경우, 혹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백오프 타이머가 무효인 경우,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거동이어도 된다. 또한, 제10 거동은,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UE_A(10)와 네트워크의 PDU type이 상이하기 때문에 거절된 경우이며, 상이한 PLMN을 선택하였을 때, Re-attempt 정보를 수신하지 않거나, 혹은 균등 PLMN 리스트에 없는 PLMN을 선택한 경우, 혹은 PDP type이 변경된 경우, 혹은 단말기 전원 온/오프, 혹은 USIM의 삽입 발출을 한 경우,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거동이어도 된다. 또한, 제10 거동은, 지정한 APN/DNN이 접속하고 있는 PLMN의 무선으로 서포트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PDU 세션이 거절된 경우이며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를 받은 백오프 타이머가 제로인 경우, 새로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거동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1 거동이란, UE_A(10)가, 제1 타이머 및 Re-attempt 정보를 무시하는 거동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1 거동은,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non 3GPP로부터의 핸드오버에 있어서 대상의 PDN 세션 컨텍스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된 경우, 혹은 당해 PDN connection에 있어서 붙여져 있는 베어러의 수가 최대 허용수에 도달하였기 때문에,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거절된 경우, UE_A(10)가, 제1 타이머 및 Re-attempt 정보를 무시하는 거동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균등 PLMN은,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HPLMN과 동일한 PLMN인 것 같이 취급되는 PLMN을 말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별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식별 정보는, UE_A(10)가 Reflective Quality of Service(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1 식별 정보는, UE_A(10)가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 및/또는 UE_A(10)가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란, UE 주도의 RQoS 유효화 수속에서 유효화되는 RQoS여도 되고, 제1 RQoS 비활성화 수속에서 무효화되는 RQoS여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란, 네트워크 주도의 RQoS 유효화 수속에서 유효화되는 RQoS여도 되고, 제2 RQoS 비활성화 수속에서 무효화되는 RQoS여도 된다. 또한, 제1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 또는 제5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1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UE_A(10)가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1 식별 정보는, 제2 식별 정보 및/또는 제3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1 식별 정보는, UE_A(10)가 Control Plane 및/또는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유효화 및/또는 무효화되는 RQoS여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란, User Plane을 통하여 유효화 및/또는 무효화되는 RQoS여도 된다. 또한, 제1 식별 정보는, 제6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1 식별 정보는, UE_A(10)가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또한 UE_A(10)가 RQoS를 요구함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식별 정보는, UE_A(10)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2 식별 정보는, UE_A(10)가 UE 주도로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 및/또는 UE_A(10)가 네트워크 주도로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2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 또는 제5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2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UE_A(10)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2 식별 정보는, 제7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2 식별 정보는, UE_A(10)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또한 UE_A(10)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요구함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식별 정보는, UE_A(10)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3 식별 정보는, UE_A(10)가 UE 주도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 및/또는 UE_A(10)가 네트워크 주도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3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 또는 제5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3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UE_A(10)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3 식별 정보는, 제8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3 식별 정보는, UE_A(10)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또한 UE_A(10)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요구함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4 식별 정보는, DNN(Data Network Name)이다. DNN은, DN(Data Network)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5 식별 정보는, PDU 세션 ID(PDU Session ID)이다. PDU 세션 ID는, PDU 세션(PDU Session)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6 식별 정보는, UE_A(10)가 RQoS를 enabled(사용 가능한 상태)로 변경하게 하는 것을 요구함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6 식별 정보는, UE_A(10)가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게 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 및/또는 UE_A(10)가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게 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RQoS를 enabled로 변경하게 하는 것을 요구한다는 것은, RQoS의 사용 허가를 요구한다고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6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 및/또는 제5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6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UE_A(10)가 RQoS를 enabled로 변경하게 하는 것을 요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6 식별 정보는, 제7 식별 정보 및/또는 제8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6 식별 정보는, UE_A(10)가 Control Plane 및/또는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게 하는 것을 요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7 식별 정보는, UE_A(10)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게 하는 것을 요구함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7 식별 정보는, UE_A(10)가 UE 주도로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게 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 및/또는 UE_A(10)가 네트워크 주도로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게 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7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 또는 제5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7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UE_A(10)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게 하는 것을 요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8 식별 정보는, UE_A(10)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게 하는 것을 요구함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8 식별 정보는, UE_A(10)가 UE 주도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게 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 및/또는 UE_A(10)가 네트워크 주도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게 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8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 또는 제5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8 식별 정보는, 제8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UE_A(10)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게 하는 것을 요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61 식별 정보는, DN 접속에 있어서, 3GPP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DN에 의한 서비스 인증/승인을 요구하는 정보이다. 또한, 제61 식별 정보는, 등록 수속 및/또는 PDU 세션 확립 수속에 있어서,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의 실행을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61 식별 정보는, 등록 수속 및/또는 PDU 세션 확립 수속에 있어서, 3GPP 인터페이스를 통한 DN에 의한 서비스 인증/승인을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구체예로서는, 제61 식별 정보는, DN 서비스 인증/승인을 요구하는 플래그여도 되고, 특정한 DN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명이어도 되고, 유저 식별자여도 되고, 유저 프로파일 식별자여도 된다. 또한, 제61 식별 정보는, 인증 승인 요구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71 식별 정보는, 제1 NW 슬라이스에 속하는 것을 식별하는 정보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71 식별 정보는, 제1 NW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을 UE_A(10)가 바라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구체예로서는, 제71 식별 정보는 제1 NW 슬라이스를 식별하는 NSSAI여도 된다. 또한, 제71 식별 정보는, 오퍼레이터 A망 내에 있어서 특정한 NW 슬라이스를 식별하는 정보여도 되고, 오퍼레이터 B 내(오퍼레이터 A 이외의 기타 오퍼레이터)에서도 공통으로 동일한 NW 슬라이스를 식별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71 식별 정보는, HPLMN으로부터 설정된 제1 NW 슬라이스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레지스트레이션 수속에서 AMF_A(240)로부터 취득한 제1 NW 슬라이스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네트워크로부터 허가된 제1 NW 슬라이스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71 식별 정보는, PLMN마다 기억된 제1 NW 슬라이스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1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11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 및/또는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11 식별 정보는, 제14 식별 정보 또는 제15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11 식별 정보는, 제14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1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11 식별 정보는, 제12 식별 정보 및/또는 제13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11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 및/또는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11 식별 정보는, 제17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11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또한 네트워크가 RQoS를 수락함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2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12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E 주도로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 및/또는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주도로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12 식별 정보는, 제14 식별 정보 또는 제15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12 식별 정보는, 제14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1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12 식별 정보는, 제18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12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또한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수락함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3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13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E 주도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 및/또는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주도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13 식별 정보는, 제14 식별 정보 또는 제15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13 식별 정보는, 제14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1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13 식별 정보는, 제19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13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또한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수락함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4 식별 정보는, DNN이다. 제14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허가한 DNN이어도 되고, 네트워크가 선택한 DNN이어도 된다. 또한, 제14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와 동일한 DNN이어도 되고, 상이한 DNN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5 식별 정보는, PDU 세션 ID이다. 제15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허가한 PDU 세션 ID여도 되고, 네트워크가 선택한 PDU 세션 ID여도 된다. 또한, 제15 식별 정보는, 제5 식별 정보와 동일한 PDU 세션 ID여도 되고, 상이한 PDU 세션 ID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6 식별 정보는, RQoS의 타이머의 타이머값이다. 제16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값은,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가 결정한 값이어도 되고, 오퍼레이터가 결정한 값이어도 되고, 오퍼레이터 이외의 서비스 사업자가 결정한 값이어도 된다. 또한, 제16 식별 정보는, 제11 내지 제13 식별 정보, 제17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대응지어 송수신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7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수락함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17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수락하는 것, 및/또는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수락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수락한다는 것은, RQoS의 사용을 허가한다고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17 식별 정보는, 제14 식별 정보 또는 제15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17 식별 정보는, 제14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1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수락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17 식별 정보는, 제18 식별 정보 및/또는 제19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17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 및/또는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수락함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8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수락함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18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E 주도로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수락하는 것, 및/또는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주도로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수락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18 식별 정보는, 제14 식별 정보 또는 제15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18 식별 정보는, 제14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1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수락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9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수락함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19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E 주도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수락하는 것, 및/또는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주도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수락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19 식별 정보는, 제14 식별 정보 또는 제15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19 식별 정보는, 제14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1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수락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1 식별 정보는, Cause value이다. Cause value란, 거절의 이유를 나타내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거절하는) 것, Control Plane 및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거절하는) 것,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만을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거절하는) 것,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만을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거절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거절한다는 것은, RQoS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21 식별 정보는, 일부의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제21 식별 정보는, 제22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또는 복수의 식별 정보로 나타나는 의미를 포함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21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 또는 제26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21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에 대한 Cause value, 또는 제26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한 Cause value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21 식별 정보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RA; Registration Area), 트래킹 에어리어(TA; Tracking Area),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AN; Access Network)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21 식별 정보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트래킹 에어리어,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Cause value를 의미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1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에 있어서 RQoS가 허가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Cause value여도 되고, 제26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있어서 RQoS가 허가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Cause value여도 된다. 또한, 제21 식별 정보는, UE_A(10)가 현재 속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및/또는 트래킹 에어리어에 있어서 RQoS가 허가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Cause value여도 되고, UE_A(10)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RQoS가 허가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Cause value여도 된다. 또한, 제21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Cause value는, 이들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2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RQoS를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22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는 것, 및/또는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22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 또는 제26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22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26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RQoS를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22 식별 정보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트래킹 에어리어,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22 식별 정보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트래킹 에어리어,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RQoS를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22 식별 정보는, 제23 식별 정보 및/또는 제24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22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 및/또는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22 식별 정보는, 제27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22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RQoS를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며, 또한 네트워크가 RQoS를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3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23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E 주도로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는 것, 및/또는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주도로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23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 또는 제26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23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26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23 식별 정보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트래킹 에어리어,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23 식별 정보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트래킹 에어리어,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23 식별 정보는, 제28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23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며, 또한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4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24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E 주도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는 것, 및/또는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주도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24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 또는 제26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24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26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24 식별 정보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트래킹 에어리어,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24 식별 정보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트래킹 에어리어,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24 식별 정보는, 제29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24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며, 또한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5 식별 정보는, DNN이다. 제25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허가하지 않은 DNN이어도 되고, 제4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NN이 허가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25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와 동일한 DNN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6 식별 정보는, PDU Session ID이다. 제26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허가하지 않은 PDU 세션 ID여도 되고, 제5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PDU 세션 ID가 허가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26 식별 정보는, 제5 식별 정보와 동일한 PDU 세션 ID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7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27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거절하는) 것, 및/또는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거절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27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 또는 제26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27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26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27 식별 정보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트래킹 에어리어,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27 식별 정보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트래킹 에어리어,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27 식별 정보는, 제28 식별 정보 및/또는 제29 식별 정보의 의미를 겸비하는 정보여도 된다. 즉, 제27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 및/또는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8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28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E 주도로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거절하는) 것, 및/또는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주도로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거절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28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 또는 제26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28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26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28 식별 정보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트래킹 에어리어,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28 식별 정보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트래킹 에어리어,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9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29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E 주도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거절하는) 것, 및/또는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주도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거절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29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 또는 제26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29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과의 사이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또는 제26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또한, 제29 식별 정보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트래킹 에어리어,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29 식별 정보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트래킹 에어리어,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enabled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72 식별 정보는, 본 수속이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이유값(cause)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제72 식별 정보는, DN에 접속하는 PDU 세션의 확립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72 식별 정보는, 제1 슬라이스에 속하는 PDU 세션의 확립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제1 슬라이스에 속하는 PDU 세션의 확립이 허가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여기서, 제1 슬라이스는, 제71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슬라이스여도 되고, 상이한 슬라이스여도 된다. 또한, 제72 식별 정보는, 제25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DN에 있어서 제1 슬라이스에 속하는 PDU 세션의 확립이 허가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제26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PDU 세션에 있어서 제1 슬라이스에 속하는 PDU 세션의 확립이 허가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72 식별 정보는, UE_A(10)가 현재 속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및/또는 트래킹 에어리어에 있어서 제1 슬라이스에 속하는 PDU 세션의 확립이 허가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UE_A(10)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제1 슬라이스에 속하는 PDU 세션의 확립이 허가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7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본 수속이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이유값은, 이들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72 식별 정보는, 제1 타이머의 값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UE_A(10)는, 제72 식별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여, 제1 타이머에 제72 식별 정보로 나타난 값을 설정해도 되고, 다른 방법으로 설정된 타이머값을 설정해도 되고, 랜덤값을 설정해도 된다. 또한, 제72 식별 정보는, 거절된 PDU 세션 요구가 속하는 NW 슬라이스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자여도 된다. 또한, 제7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NW 슬라이스는, 제71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NW 슬라이스와 동일한 NW 슬라이스여도 되고, 상이한 NW 슬라이스여도 된다. 또한, 제72 식별 정보는, PDU 세션이 거절된 후, NW가 재접속을 지시하는 식별자여도 된다. 또한, UE_A(10)는, 거절 이유값, NW 슬라이스 정보, NW로부터의 재접속을 지시하는 식별자에 기초하여, 설정한 타이머의 실행을 개시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1 식별 정보는, RQI(Reflective QoS Indication)이다. RQI는, RQoS를 유효화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RQoS를 유효화함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1 식별 정보는, 하향 링크 패킷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RQoS를 유효화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상향 링크 패킷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RQoS를 유효화함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31 식별 정보는, 상향 링크 패킷의 유저 데이터 통신을 위한 QoS 룰의 작성을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2 식별 정보는, QFI이다. 제32 식별 정보는, QoS 플로우를 식별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32 식별 정보는, RQoS를 유효화한 하향 링크 패킷이 전송되는 플로우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RQoS를 유효화한 후에 상향 링크 패킷이 전송되는 플로우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32 식별 정보는, 상향 링크 패킷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제3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QoS 플로우를 사용하는 것을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32 식별 정보는, 제3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QoS 플로우를 사용한 상향 링크 패킷의 유저 데이터 통신을 위한 QoS 룰의 작성을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41 식별 정보는, UE 주도로 RQoS를 요구함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UE 주도로 RQoS의 유효화를 요구함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41 식별 정보는, 상향 링크 패킷 및/또는 하향 링크 패킷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의 유효화를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41 식별 정보는, 상향 링크 패킷 및/또는 하향 링크 패킷의 유저 데이터 통신을 위한 QoS 룰의 작성을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41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 주도의 RQoS 유효화 수속의 개시를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42 식별 정보는, QFI(QoS Flow ID)이다. QFI는, RQoS를 적용할 플로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다. 제42 식별 정보는, QoS 플로우를 식별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42 식별 정보는, RQoS를 유효화한 후에 상향 링크 패킷 및/또는 하향 링크 패킷이 전송되는 플로우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42 식별 정보는, 상향 링크 패킷 및/또는 하향 링크 패킷의 유저 데이터 통신에, 제4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QoS 플로우를 사용하는 것을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42 식별 정보는, 제4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QoS 플로우를 사용한 상향 링크 패킷 및/또는 하향 링크 패킷의 유저 데이터 통신을 위한 QoS 룰의 작성을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42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 주도의 RQoS 유효화 수속의 개시를 요구하는 정보여도 되고, 네트워크 주도의 RQoS 유효화 수속에 있어서 사용되는 QoS 플로우를 제4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RQoS 플로우로 하는 것을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51 식별 정보는, RQoS를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RQoS의 유효화의 요구를 허가하지 않음(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제51 식별 정보는, UE_A(10)의 요구가 거절된 이유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UE_A(10)의 요구가 거절된 이유는, UE_A(1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또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및/또는 트래킹 에어리어에 있어서, RQoS를 유효화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UE_A(10)가 RQoS의 유효화를 요구한 상향 링크 패킷에 있어서, RQoS를 유효화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UE_A(10)의 요구가 거절된 이유는, 일시적으로 RQoS의 유효화가 금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UE 주도의 RQoS 유효화 수속이 금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UE_A(10)의 요구가 거절된 이유는, 네트워크가 UE 주도의 RQoS 유효화 수속을 수락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며,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62 식별 정보는, SMF_A(230)가 DN과의 인증/승인 수순에 있어서 취득한 DN이 발행하는 인증/승인 정보이다. 구체예로서는, 제62 식별 정보는 DN이 인증/승인하는 서비스명이어도 되고, 승인 플래그여도 된다. 또한, 제62 식별 정보는, DN_A(5)가, PDU 세션, 및/또는 UE_A(10),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증 및/또는 승인의 실시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62 식별 정보는, UE_A(10),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유저의, 제6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DN이 발행하는 인증/승인 정보의 확인을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62 식별 정보는, UE_A(10),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유저의, 제6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DN이 인증/승인하는 서비스명 중에서의 서비스 이용 선택을 요구하는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63 식별 정보는, SMF_A(230)가 DN과의 인증/승인 수순에 있어서 취득한 DN이 발행하는 인증/승인 정보에 대한 응답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구체예로서는, 제63 식별 정보는, 제62 식별 정보에 대한 메시지 응답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제6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정보와 동일한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제62 식별 정보에 있는 서비스명 중에서 UE_A(10)가 서비스 이용 선택한 서비스명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63 식별 정보는, UE_A(10),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유저의, 제6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DN이 발행하는 인증/승인 정보의 확인이 실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63 식별 정보는, UE_A(10),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유저의, 제6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DN이 인증/승인하는 서비스명 중에서의 서비스 이용 선택이 실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63 식별 정보는, DN 인증 승인 응답 정보여도 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초기 수속을,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초기 수속은 본 수속이라고도 칭하며, 초기 수속(본 수속)에는, 등록 수속(Registration procedure), PDU 세션 확립 수속(PDU session establishment procedure), RQoS(Reflective QoS(Quality of Service)) 유효화 수속이 포함된다. 등록 수속, PDU 세션 확립 수속, RQoS 유효화 수속의 상세는, 후술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장치가 등록 수속(S800)을 실행함으로써, UE_A(10)는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RM-REGISTERED 상태)로 천이한다. 이어서, 각 장치가 PDU 세션 확립 수속(S802)을 실행함으로써, UE_A(10)는, 코어 네트워크_B(190)를 통하여, PDU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DN_A(5)와의 사이에서 PDU 세션을 확립하고, 각 장치간에서 PDU 세션이 확립된 상태로 천이한다. 또한, 이 PDU 세션은, 액세스 네트워크, UPF_A(235)를 통하여 확립된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UPF_A(235)와 액세스 네트워크의 사이에, UPF_A(235)와는 상이한 UPF(UPF_C(239))가 존재해도 된다. 이때, 이 PDU 세션은, 액세스 네트워크, UPF_C(239), UPF_A(235)를 통하여 확립되게 된다.
이어서, 각 장치는, RQoS 유효화 수속(S804)을 실행함으로써, 특정한 유저 데이터에 대한 특정한 QoS 룰을 작성한다. 또한, 각 장치는, 특정한 QoS 룰의 작성에 기초하여, 특정한 유저 데이터에 대하여, 특정한 QoS 룰에 대응지어진 특정한 QoS 플로우를 사용한 유저 데이터 통신이 실행 가능한 상태로 천이한다.
이어서, 각 장치는, 특정한 QoS 플로우를 사용한 유저 데이터 통신이 실행 가능한 상태로 천이한 후에, RQoS 비활성화 수속을 실행하고, 특정한 유저 데이터에 대한 특정한 QoS 룰을 삭제한다. 또한, 각 장치는, 특정한 QoS 룰의 삭제에 기초하여, 특정한 유저 데이터에 대하여, 특정한 QoS 룰에 대응지어진 특정한 QoS 플로우를 사용한 유저 데이터 통신이 실행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천이한다. 이상에 의해, 본 수속은 완료된다.
또한, 각 장치는, 등록 수속 및/또는 PDU 세션 확립 수속에 있어서, 각 장치의 각종 능력 정보 및/또는 각종 요구 정보를 교환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각종 정보의 교환 및/또는 각종 요구의 교섭을 등록 수속에서 실시한 경우, 각종 정보의 교환 및/또는 각종 요구의 교섭을 PDU 세션 확립 수속에서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각종 정보의 교환 및/또는 각종 요구의 교섭을 등록 수속에서 실시하지 않은 경우, 각종 정보의 교환 및/또는 각종 요구의 교섭을 PDU 세션 확립 수속에서 실시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각종 정보의 교환 및/또는 각종 요구의 교섭을 등록 수속에서 실시한 경우에도, 각종 정보의 교환 및/또는 각종 요구의 교섭을 PDU 세션 확립 수속에서 실시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PDU 세션 확립 수속을, 등록 수속 중에 실행해도 되고, 등록 수속의 완료 후에 실행해도 된다. 또한, PDU 세션 확립 수속이 등록 수속 중에 실행되는 경우,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는 등록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송수신되어도 되고,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는 등록 수락 메시지에 포함되어 송수신되어도 되고, PDU 세션 확립 완료 메시지는 등록 완료 메시지에 포함되어 송수신되어도 되고,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는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되어 송수신되어도 된다. 또한, PDU 세션 확립 수속이 등록 수속 중에 실행된 경우, 각 장치는, 등록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PDU 세션을 확립해도 되고, 각 장치간에서 PDU 세션이 확립된 상태로 천이해도 된다.
또한, 본 수속에 관한 각 장치는, 본 수속에서 설명하는 각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각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송수신하고, 송수신한 각 식별 정보를 컨텍스트로서 기억해도 된다.
[1.3.1. 등록 수속의 개요]
우선, 등록 수속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등록 수속은, UE_A(10)가 주도하여 네트워크(액세스 네트워크,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_B(190), 및/또는 DN(DN_A(5)))에 등록하기 위한 수속이다. UE_A(10)는,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전원 투입 시 등의 임의의 타이밍에 본 수속을 실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UE_A(10)는, 비등록 상태(RM-DEREGISTERED state)라면 임의의 타이밍에 본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등록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등록 상태(RM-REGISTERED state)로 천이해도 된다.
또한, 본 수속은,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UE_A(10)의 위치 등록 정보를 갱신, 및/또는 UE_A(10)로부터 네트워크로 정기적으로 UE_A(10)의 상태를 통지, 및/또는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UE_A(10)에 관한 특정한 파라미터를 갱신하기 위한 수속이어도 된다.
UE_A(10)는, TA를 넘는 모빌리티를 하였을 때, 본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UE_A(10)는, 유지하고 있는 TA 리스트로 나타나는 TA와는 상이한 TA로 이동하였을 때, 본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실행하고 있는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때 본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PDU 세션의 절단이나 무효화(비활성화라고도 칭함)가 원인으로 각 장치의 컨텍스트의 갱신이 필요할 때 본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UE_A(10)의 PDU 세션 확립에 관한, 능력 정보 및/또는 프리퍼런스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 본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정기적으로 본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PDU 세션이 확립된 상태라면, 임의의 타이밍에 본 수속을 실행할 수 있다.
[1.3.1.1. 등록 수속 예]
도 9를 사용하여, 등록 수속을 실행하는 수순의 예를 설명한다. 본장에서는, 본 수속이란 등록 수속을 가리킨다. 이하, 본 수속의 각 스텝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UE_A(10)는, NR node(gNB라고도 칭함)_A(122)를 통하여, AMF_A(240)에 등록 요구(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S900)(S902)(S904), 등록 수속을 개시한다. 또한, UE_A(10)는, 등록 요구 메시지에 SM(Session Management) 메시지(예를 들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또는 등록 요구 메시지와 함께 SM 메시지(예를 들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등록 수속 중에 PDU 세션 확립 수속 등의 SM을 위한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UE_A(10)는, 등록 요구 메시지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NR node_A(122)에 송신한다(S900). NR node_A(122)는, 등록 요구 메시지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RRC 메시지 중에서 등록 요구 메시지를 취출하고, 등록 요구 메시지의 라우팅처의 NF 또는 공유 CP 펑션으로서, AMF_A(240)를 선택한다(S902). 여기서, NR node_A(122)는, RRC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AMF_A(240)를 선택해도 된다. NR node_A(122)는, 선택한 AMF_A(240)에, 등록 요구 메시지를 송신 또는 전송한다(S904).
또한, 등록 요구 메시지는, N1 인터페이스 상에서 송수신되는 NAS(Non-Access-Stratum) 메시지이다. 또한, RRC 메시지는, UE_A(10)와 NR node_A(122)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메시지이다. 또한, NAS 메시지는 NAS 레이어에서 처리되고, RRC 메시지는 RRC 레이어에서 처리되며, NAS 레이어는 RR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이다.
또한, UE_A(10)는, 등록을 요구하는 NSI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NSI마다 등록 요구 메시지를 송신해도 되고, 복수의 등록 요구 메시지를, 1 이상의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등록 요구 메시지를 하나의 등록 요구 메시지로서, 1 이상의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UE_A(10)는, 등록 요구 메시지 및/또는 RRC 메시지에,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제61 식별 정보, 제71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된다. 또한, 이들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는, 1 이상의 식별 정보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 및/또는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 및/또는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UE_A(10)는, 제1 식별 정보, 및/또는 제2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식별 정보, 및/또는 제7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 및/또는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UE_A(10)는,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8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 및/또는 RRC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고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식별 정보, 및/또는 제2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식별 정보, 및/또는 제7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 및/또는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식별 정보, 및/또는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식별 정보, 및/또는 제8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 및/또는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UE_A(10)는, 제2 식별 정보 및/또는 제7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 및/또는 RRC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고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식별 정보, 및/또는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식별 정보, 및/또는 제8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 및/또는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4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4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N에 대하여 확립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5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5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 및/또는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 및/또는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2 식별 정보 및 제3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6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7 식별 정보 및 제8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이들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가 1 이상의 식별 정보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들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 하며, 또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혹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며, 또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6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 식별 정보, 및/또는 제5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 및/또는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3GPP 인터페이스(N6 인터페이스 등)를 통한 DN에 의한 서비스 인증/승인을 요구해도 되고, 본 수속에 있어서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을 실행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UE_A(10)는, 제61 식별 정보와 제4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4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N에 대하여 확립되는 PDU 세션에 있어서, 3GPP 인터페이스를 통한 DN_A(5)에 의한 서비스 인증/승인을 요구해도 되고, 본 수속에 있어서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을 실행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61 식별 정보와 제5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5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PDU 세션에 있어서, 3GPP 인터페이스를 통한 DN_A(5)에 의한 서비스 인증/승인을 요구해도 되고, 본 수속에 있어서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을 실행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7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 식별 정보, 및/또는 제5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 및/또는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을 요구해도 되고, UE_A(10)가 요구하는, PDU 세션이 속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이 앞으로 속할 예정인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UE_A(10)는, 제71 식별 정보와 제4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4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N에 대하여 확립되는 PDU 세션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을 요구해도 되고, UE_A(10)가 요구하는, PDU 세션이 속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이 앞으로 속할 예정인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71 식별 정보와 제5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5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PDU 세션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을 요구해도 되고, UE_A(10)가 요구하는, PDU 세션이 속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이 앞으로 속할 예정인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제61 식별 정보, 제71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를 조합하여 송신함으로써, 상술한 사항을 조합한 요구를 행해도 된다. 또한, UE_A(10)가 각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나타내는 사항은 이들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제61 식별 정보, 제71 식별 정보 중, 어느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에 넣을지를, UE_A(10)의 능력 정보, 및/또는 UE 폴리시 등의 폴리시, 및/또는 UE_A(10)의 프리퍼런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상위층)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에 넣을지의 UE_A(10)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UE_A(10)는, 이들 식별 정보를, 등록 요구 메시지와는 상이한 제어 메시지(예를 들어 NAS 메시지 또는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AMF_A(240)는, 등록 요구 메시지 및/또는 등록 요구 메시지와는 상이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조건 판별을 실행한다. 제1 조건 판별은, AMF_A(240)가 UE_A(10)의 요구를 수락할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조건 판별에 있어서, AMF_A(240)는 제1 조건 판별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정한다. AMF_A(240)는, 제1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즉, 네트워크가 UE_A(10)의 요구를 수락하는 경우),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을 개시하고, 제1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즉, 네트워크가 UE_A(10)의 요구를 수락하지 않는 경우),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을 개시한다.
이하, 제1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의 스텝, 즉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의 각 스텝을 설명한다. AMF_A(240)는, 제4 조건 판별을 실행하고,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을 개시한다. 제4 조건 판별은, AMF_A(240)가 SMF_A(230)와의 사이에서 SM 메시지의 송수신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4 조건 판별은, AMF_A(240)가 본 수속 중에서, PDU 세션 확립 수속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어도 된다. AMF_A(240)는, 제4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즉, AMF_A(240)가 SMF_A(230)와의 사이에서 SM 메시지의 송수신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SMF_A(230)의 선택, 및 선택한 SMF_A(230)와의 사이에서 SM 메시지의 송수신을 실행하고, 제4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즉, AMF_A(240)가 SMF_A(230)와의 사이에서 SM 메시지의 송수신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것들을 생략한다(S906). 또한, AMF_A(240)는, SMF_A(230)로부터 거절을 나타내는 SM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을 중지하고,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UE_A(10)로부터의 등록 요구 메시지의 수신, 및/또는 SMF_A(230)와의 사이의 SM 메시지의 송수신의 완료에 기초하여, NR node_A(122)를 통하여, UE_A(10)에 등록 수락(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송신한다(S908). 예를 들어, 제4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 AMF_A(240)는, UE_A(10)로부터의 등록 요구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등록 수락 메시지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제4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 AMF_A(240)는, SMF_A(230)와의 사이의 SM 메시지의 송수신의 완료에 기초하여, 등록 수락 메시지를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등록 수락 메시지는, 등록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등록 수락 메시지는, N1 인터페이스 상에서 송수신되는 NAS 메시지이며, 예를 들어 AMF_A(240)는 NR node_A(122)에 대하여 N2 인터페이스의 제어 메시지로서 송신하고, 이것을 수신한 NR node_A(122)는 UE_A(10)에 대하여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또한, 제4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 AMF_A(240)는, 등록 수락 메시지에, SM 메시지(예를 들어,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를 포함시켜 송신하거나, 또는 등록 수락 메시지와 함께, SM 메시지(예를 들어,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를 송신해도 된다. 이 송신 방법은, 등록 요구 메시지 중에 SM 메시지(예를 들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제4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에,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이 송신 방법은, 등록 요구 메시지와 함께 SM 메시지(예를 들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제4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에, 실행되어도 된다. AMF_A(240)는, 이러한 송신 방법을 행함으로써, SM을 위한 수속이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여기서, AMF_A(240)는, 등록 수락 메시지에,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UE_A(10)의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이들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는, 1 이상의 식별 정보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등록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AMF_A(240)는, 제11 식별 정보, 및/또는 제12 식별 정보, 및/또는 제17 식별 정보, 및/또는 제18 식별 정보를 등록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AMF_A(240)는, 제13 식별 정보 및/또는 제19 식별 정보를 등록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고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11 식별 정보, 및/또는 제12 식별 정보, 및/또는 제17 식별 정보, 및/또는 제18 식별 정보를 등록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11 식별 정보, 및/또는 제13 식별 정보, 및/또는 제17 식별 정보, 및/또는 제19 식별 정보를 등록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AMF_A(240)는, 제12 식별 정보 및/또는 제18 식별 정보를 등록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고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11 식별 정보, 및/또는 제13 식별 정보, 및/또는 제17 식별 정보, 및/또는 제19 식별 정보를 등록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11 내지 제13 식별 정보, 제17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14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14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N에 대하여 확립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11 내지 제13 식별 정보, 제17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15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15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등록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등록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11 내지 제15 식별 정보, 제17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16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적용하는 RQoS의 유효 기간을 나타내도 되고,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유효화한 후에 RQoS가 유효한 기간을 나타내도 되고,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유효화하였을 때 개시되는 RQoS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의 기간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1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12 식별 정보 및 제13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17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18 식별 정보 및 제19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이들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가 1 이상의 식별 정보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들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고, 또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고, 또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를 조합하여 송신함으로써, 상술한 사항을 조합한 요구를 행해도 된다. 또한, AMF_A(240)가 각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나타내는 사항은 이들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어느 식별 정보를 등록 수락 메시지에 넣을지 여부를, 수신한 식별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능력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 및/또는 네트워크의 상태, 및/또는 유저의 등록 정보(user subscription) 등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1 식별 정보 및/또는 제17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RQoS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 및/또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12 식별 정보 및/또는 제18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 및/또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13 식별 정보 및/또는 제19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 및/또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14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DNN과 동일한 DNN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상이한 DNN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15 식별 정보는, 제5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PDU 세션 ID와 동일한 PDU 세션 ID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상이한 PDU 세션 ID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등록 수락 메시지에 넣을지의 AMF_A(240)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UE_A(10)는, NR node_A(122)를 통하여, 등록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다(S908). UE_A(10)는, 등록 수락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등록 수락 메시지에 포함되는 각종 식별 정보의 내용을 인식한다.
UE_A(10)는, 등록 수락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추가로 제1 처리를 실시한다(S909). 또한, UE_A(10)는, 제1 처리를, 등록 완료 메시지의 송신에 기초하여 실시해도 되고, 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실시해도 된다.
여기서, 제1 처리는, UE_A(10)가, AMF_A(240)에 의해 나타난 사항을 인식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1 처리는, UE_A(10)가, 수신한 식별 정보를 컨텍스트로서 기억하는 처리여도 되고, 수신한 식별 정보를 상위층 및/또는 하위층에 전송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1 처리는, UE_A(10)가, 본 수속의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인식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_A(10)가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처리는, UE_A(10)가, RQoS 유효화 수속을, PDU 세션이 확립된 후의 임의의 타이밍에 실행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여도 되고, PDU 세션이 확립된 후에 RQoS 유효화 수속을 개시하는 처리여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UE_A(10)가 제11 식별 정보, 및/또는 제12 식별 정보, 및/또는 제17 식별 정보, 및/또는 제1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처리는,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을, PDU 세션이 확립된 후의 임의의 타이밍에 실행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_A(10)가 제11 식별 정보, 및/또는 제13 식별 정보, 및/또는 제17 식별 정보, 및/또는 제19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처리는,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을, PDU 세션이 확립된 후의 임의의 타이밍에 실행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_A(10)가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16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처리는, UE_A(10)가, 제16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값을 RQoS의 타이머값으로 설정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1 처리는 이들 처리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이어서, UE_A(10)는, 등록 수락 메시지의 수신, 및/또는 제1 처리의 완료에 기초하여, 등록 완료(Registration Complete) 메시지를, AMF_A(240)에 송신한다(S910). 또한, UE_A(10)는,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 등의 SM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등록 완료 메시지에, PDU 세션 확립 완료 메시지 등의 SM 메시지를 포함시켜 송신해도 되고, SM 메시지를 포함시킴으로써, SM을 위한 수속을 완료함을 나타내도 된다. 여기서, 등록 완료 메시지는, 등록 수락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등록 완료 메시지는, N1 인터페이스 상에서 송수신되는 NAS 메시지이며, 예를 들어 UE_A(10)는 NR node_A(122)에 대하여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하고, 이것을 수신한 NR node_A(122)는 AMF_A(240)에 대하여 N2 인터페이스의 제어 메시지로서 송신해도 된다.
AMF_A(240)는, 등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S910). 또한, 각 장치는, 등록 수락 메시지 및/또는 등록 완료 메시지의 송수신에 기초하여,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을 완료한다.
이어서, 제1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의 스텝, 즉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의 각 스텝을 설명한다. AMF_A(240)는, NR node_A(122)를 통하여, UE_A(10)에 등록 거절(Registration Reject)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S912),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을 개시한다. 여기서, 등록 거절 메시지는, 등록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등록 거절 메시지는, N1 인터페이스 상에서 송수신되는 NAS 메시지이며, 예를 들어 AMF_A(240)는 NR node_A(122)에 대하여 N2 인터페이스의 제어 메시지로서 송신하고, 이것을 수신한 NR node_A(122)는 UE_A(10)에 대하여 RRC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또한, AMF_A(240)가 송신하는 등록 거절 메시지는, UE_A(10)의 요구를 거절하는 메시지라면,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은,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을 중지한 경우에 개시되는 경우도 있다. (A)의 수속에 있어서, 제4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 AMF_A(240)는, 등록 거절 메시지에,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 등의 거절을 의미하는 SM 메시지를 포함시켜 송신해도 되고, 거절을 의미하는 SM 메시지를 포함시킴으로써, SM을 위한 수속이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그 경우, UE_A(10)는, 추가로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 등의 거절을 의미하는 SM 메시지를 수신해도 되고, SM을 위한 수속이 거절되었음을 인식해도 된다.
여기서, AMF_A(240)는, 등록 거절 메시지에,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제72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UE_A(10)의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이들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는, 1 이상의 식별 정보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AMF_A(240)는, 제21 식별 정보, 및/또는 제22 식별 정보, 및/또는 제23 식별 정보, 및/또는 제27 식별 정보, 및/또는 제28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AMF_A(240)는, 제24 식별 정보 및/또는 제29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고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21 식별 정보, 및/또는 제22 식별 정보, 및/또는 제24 식별 정보, 및/또는 제27 식별 정보, 및/또는 제29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AMF_A(240)는, 제23 식별 정보 및/또는 제28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지 않고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21 식별 정보를 송신, 및/또는 제22 내지 제24 식별 정보, 제27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25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AMF_A(240)가 수신한 제4 식별 정보, 및/또는 제25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N에 대하여 확립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21 식별 정보를 송신, 및/또는 제22 내지 제24 식별 정보, 제27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26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AMF_A(240)가 수신한 제5 식별 정보, 및/또는 제26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_A(10)가 현재 속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Registration Area: RA) 및/또는 트래킹 에어리어(Tracking Area: TA)에 대하여,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_A(1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하여,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21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22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23 식별 정보 및 제24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27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28 식별 정보 및 제29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이들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가 1 이상의 식별 정보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들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고, 또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고, 또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72 식별 정보, 및/또는 제25 식별 정보, 및/또는 제26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이 속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이 속하는 것이 거절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AMF_A(240)는, 제72 식별 정보와 제25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25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N에 대하여 확립되는 PDU 세션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을 속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61 식별 정보와 제26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26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PDU 세션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을 속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72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_A(10)가 현재 속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및/또는 트래킹 에어리어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을 속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72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_A(1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을 속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72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제1 타이머의 값을 나타내도 되고, 본 수속의 완료 후에, 본 수속과 동일한 수속을 다시 실시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및/또는 제72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를 조합하여 송신함으로써, 상술한 사항을 조합한 요구를 행해도 된다. 또한, AMF_A(240)가 각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나타내는 사항은 이들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AMF_A(240)는,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제72 식별 정보 중, 어느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넣을지를, 수신한 식별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능력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 등의 폴리시, 및/또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1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RQoS를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경우, 및/또는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22 식별 정보 및/또는 제27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RQoS를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경우, 및/또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23 식별 정보 및/또는 제28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 및/또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24 식별 정보 및/또는 제29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 및/또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25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DNN과 동일한 DNN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26 식별 정보는, 제5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PDU 세션 ID와 동일한 PDU 세션 ID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72 식별 정보는, 제71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또는 제71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네트워크에 의해 허가되지 않은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넣을지의 AMF_A(240)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UE_A(10)는, 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다. UE_A(10)는, 등록 거절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제2 처리를 실시한다(S914). 또한, UE_A(10)는, 제2 처리를 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실시해도 된다.
여기서, 제2 처리는, UE_A(10)가, AMF_A(240)에 의해 나타난 사항을 인식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2 처리는, UE_A(10)가, 수신한 식별 정보를 컨텍스트로서 기억하는 처리여도 되고, 수신한 식별 정보를 상위층 및/또는 하위층에 전송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2 처리는, UE_A(10)가, 본 수속의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인식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_A(10)가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처리는, UE_A(10)가, RQoS 유효화 수속이 실행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 또는 RQoS를 적용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UE_A(10)가 제22 식별 정보, 및/또는 제23 식별 정보, 및/또는 제27 식별 정보, 및/또는 제2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처리는,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이 실행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_A(10)가 제22 식별 정보, 및/또는 제24 식별 정보, 및/또는 제27 식별 정보, 및/또는 제29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처리는,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이 실행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_A(10)가 제72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처리는, UE_A(10)가, 제7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값을 제1 타이머값으로 설정하는 처리여도 되고, 타이머값을 설정한 제1 타이머를 개시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_A(10)가 제72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처리는, 제1 내지 제11 거동 중 1 이상의 거동을 실행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2 처리는, UE_A(10)가, 일정 기간 후에 다시 본 수속을 개시하는 처리여도 되는 UE_A(10)의 요구가 한정된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2 처리는 이들 처리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UE_A(10)는, 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혹은 등록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UE_A(10)의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인식해도 된다. 각 장치는, 등록 거절 메시지의 송수신에 기초하여,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을 완료한다.
각 장치는, 본 수속 중의 (A) 또는 (B)의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본 수속(등록 수속)을 완료한다. 또한, 각 장치는,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UE_A(10)가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RM_REGISTERED state)로 천이해도 되고,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UE_A(10)가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RM_DEREGISTERED state)를 유지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의 각 상태의 천이는, 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행해져도 되고, PDU 세션의 확립에 기초하여 행해져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본 수속에서 송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한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UE_A(10)는, 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제1 처리를 실시해도 되고, 제2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제1 조건 판별은, 등록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 및/또는 가입자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에 기초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조건 판별은, UE_A(10)의 요구를 네트워크가 허가하는 경우, 참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조건 판별은, UE_A(10)의 요구를 네트워크가 허가하지 않은 경우,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조건 판별은, UE_A(10)의 등록처의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가, UE_A(10)가 요구하는 기능을,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는 참이어도 되고,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조건 판별은, 네트워크가, 폭주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는 참이어도 되고, 폭주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는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조건 판별의 진위가 결정되는 조건은 전술한 조건으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4 조건 판별은, AMF_A(240)가 SM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실행되어도 되고, 등록 요구 메시지에 SM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지에 기초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4 조건 판별은, AMF_A(240)가 SM을 수신한 경우, 및/또는 등록 요구 메시지에 SM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참이어도 되고, AMF_A(240)가 SM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및/또는 등록 요구 메시지에 SM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4 조건 판별의 진위가 결정되는 조건은 전술한 조건으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1.3.2. PDU 세션 확립 수속의 개요]
이어서, DN_A(5)에 대한 PDU 세션을 확립하기 위해 행하는 PDU 세션 확립 수속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PDU 세션 확립 수속은, 본 수속이라고도 칭한다. 본 수속은, 각 장치가 PDU 세션을 확립하기 위한 수속이다. 또한, 각 장치는, 본 수속을, 등록 수속을 완료한 상태에서 실행해도 되고, 등록 수속 중에 실행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등록 상태에서 본 수속을 개시해도 되고, 등록 수속 후의 임의의 타이밍에 본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PDU 세션 확립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PDU 세션을 확립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본 수속을 복수회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PDU 세션을 확립해도 된다.
[1.3.2.1. PDU 세션 확립 수속 예]
도 10을 사용하여, PDU 세션 확립 수속을 실행하는 수순의 예를 설명한다. 이하, 본 수속의 각 스텝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UE_A(10)는, NR node_A(122)와 AMF_A(240)를 통하여, SMF_A(230)에 PDU 세션 확립 요구(PDU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S1000)(S1002)(S1004), PDU 세션 확립 수속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UE_A(10)는, N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NR node_A(122)를 통하여, AMF_A(240)에,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S1000). AMF_A(240)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의 라우팅처의 NF로서 SMF_A(230)를 선택하고(S1002), N1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선택한 SMF_A(230)에,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 또는 전송한다(S1004). 여기서, AMF_A(240)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라우팅처의 SMF_A(230)를 선택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AMF_A(240)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취득한 각 식별 정보, 및/또는 가입자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능력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 및/또는 네트워크의 상태, 및/또는 AMF_A(240)가 이미 유지하고 있는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라우팅처의 SMF_A(230)를 선택해도 된다.
또한,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는, NAS 메시지여도 된다. 또한,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는, PDU 세션의 확립을 요구하는 메시지이면 되며,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UE_A(10)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제61 식별 정보, 제71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UE_A(10)의 요구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이들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는, 1 이상의 식별 정보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UE_A(10)는, 제1 식별 정보, 및/또는 제2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식별 정보, 및/또는 제7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UE_A(10)는,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8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고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식별 정보, 및/또는 제2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식별 정보, 및/또는 제7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식별 정보, 및/또는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식별 정보, 및/또는 제8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UE_A(10)는, 제2 식별 정보 및/또는 제7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고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식별 정보, 및/또는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식별 정보, 및/또는 제8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4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4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N에 대하여 확립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5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5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2 식별 정보 및 제3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6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7 식별 정보 및 제8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이들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가 1 이상의 식별 정보의 식별 정보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들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하고, 또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UE_A(10)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혹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고, 또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6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 식별 정보, 및/또는 제5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3GPP 인터페이스(N6 인터페이스 등)를 통한 DN에 의한 서비스 인증/승인을 요구해도 되고, 본 수속에 있어서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을 실행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UE_A(10)는, 제61 식별 정보와 제4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4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N에 대하여 확립되는 PDU 세션에 있어서, 3GPP 인터페이스를 통한 DN_A(5)에 의한 서비스 인증/승인을 요구해도 되고, 본 수속에 있어서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을 실행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61 식별 정보와 제5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5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PDU 세션에 있어서, 3GPP 인터페이스를 통한 DN_A(5)에 의한 서비스 인증/승인을 요구해도 되고, 본 수속에 있어서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을 실행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7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 식별 정보, 및/또는 제5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을 요구해도 되고, UE_A(10)가 요구하는, PDU 세션이 속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이 앞으로 속할 예정인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UE_A(10)는, 제71 식별 정보와 제4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4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N에 대하여 확립되는 PDU 세션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을 요구해도 되고, UE_A(10)가 요구하는, PDU 세션이 속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이 앞으로 속할 예정인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61 식별 정보와 제5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5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PDU 세션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을 요구해도 되고, UE_A(10)가 요구하는, PDU 세션이 속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이 앞으로 속할 예정인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제61 식별 정보, 제71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를 조합하여 송신함으로써, 상술한 사항을 조합한 요구를 행해도 된다. 또한, UE_A(10)가 각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나타내는 사항은 이들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제61 식별 정보, 제71 식별 정보 중, 어느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넣을지를, UE_A(10)의 능력 정보, 및/또는 UE 폴리시 등의 폴리시, 및/또는 UE_A(10)의 프리퍼런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상위층)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넣을지의 UE_A(10)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SMF_A(230)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3 조건 판별을 실행한다. 제3 조건 판별은, SMF_A(230)가, UE_A(10)의 요구를 수락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제3 조건 판별에 있어서, SMF_A(230)는 제3 조건 판별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정한다. SMF_A(230)는, 제3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에는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을 개시하고, 제3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에는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을 개시한다. 또한, 제3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의 스텝은 후술한다.
이하, 제3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의 스텝, 즉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의 각 스텝을 설명한다. SMF_A(230)는, PDU 세션의 확립처의 UPF_A(235)를 선택하고, 제11 조건 판별을 실행한다.
여기서, 제11 조건 판별은, 각 장치가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을 실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제11 조건 판별에 있어서, SMF_A(230)는 제11 조건 판별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정한다. SMF_A(230)는, 제11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에는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을 개시하고(S1005), 제11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에는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을 생략한다. 또한,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의 상세는 후술한다.
이어서, SMF_A(230)는, 제11 조건 판별, 및/또는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선택한 UPF_A(235)에 세션 확립 요구(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고(S1006),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을 개시한다. 또한, SMF_A(230)는,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을 개시하지 않고,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여기서, SMF_A(230)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취득한 각 식별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능력 정보, 및/또는 가입자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 및/또는 네트워크의 상태, 및/또는 SMF_A(230)가 이미 유지하고 있는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1 이상의 UPF_A(235)를 선택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UPF_A(235)가 선택된 경우, SMF_A(230)는, 각각의 UPF_A(235)에 대하여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해도 된다.
UPF_A(235)는,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PDU 세션을 위한 컨텍스트를 작성한다. 또한, UPF_A(235)는,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수신, 및/또는 PDU 세션을 위한 컨텍스트의 작성에 기초하여, SMF_A(230)에 세션 확립 응답(Session Establishment 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한다(S1008). 또한, SMF_A(230)는, 세션 확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 및 세션 확립 응답 메시지는, N4 인터페이스 상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메시지여도 된다. 또한, 세션 확립 응답 메시지는,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여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의 수신, 및/또는 UPF_A(235)의 선택, 및/또는 세션 확립 응답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UE_A(10)에 할당할 어드레스의 어드레스 할당을 행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UE_A(10)에 할당할 어드레스의 어드레스 할당을 PDU 세션 확립 수속 중에 행해도 되고, PDU 세션 확립 수속의 완료 후에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SMF_A(230)는, DHCPv4를 사용하지 않고 IPv4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경우, PDU 세션 확립 수속 중에, 어드레스 할당을 행해도 되고, 할당한 어드레스를 UE_A(10)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DHCPv4 또는 DHCPv6 또는 SLAAC(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를 사용하여 IPv4 어드레스, 및/또는 IPv6 어드레스, 및/또는 IPv6 프리픽스를 할당하는 경우, PDU 세션 확립 수속 후에, 어드레스 할당을 행해도 되고, 할당한 어드레스를 UE_A(10)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SMF_A(230)가 실시하는 어드레스 할당은 이들로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SMF_A(230)는, UE_A(10)에 할당할 어드레스의 어드레스 할당의 완료에 기초하여, 할당한 어드레스를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UE_A(10)에 송신해도 되고, PDU 세션 확립 수속의 완료 후에, UE_A(10)에 송신해도 된다.
SMF_A(230)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의 수신, 및/또는 UPF_A(235)의 선택, 및/또는 세션 확립 응답 메시지의 수신, 및/또는 UE_A(10)에 할당할 어드레스의 어드레스 할당의 완료에 기초하여, AMF_A(240)를 통하여 UE_A(10)에 PDU 세션 확립 수락(PDU session establishment accept) 메시지를 송신한다(S1010).
구체적으로는, SMF_A(230)는, N1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AMF_A(240)에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를 송신하고,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 AMF_A(240)가, N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UE_A(10)에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PDU 세션이 PDN 커넥션인 경우,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는 PDN 접속 수락(PDN connectivity accept) 메시지여도 된다. 또한,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는, N11 인터페이스 및 N1 인터페이스 상에서 송수신되는 NAS 메시지여도 된다. 또한,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PDU 세션의 확립이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면 된다.
여기서, SMF_A(230)는,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에,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UE_A(10)의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이들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는, 1 이상의 식별 정보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SMF_A(230)는, 제11 식별 정보, 및/또는 제12 식별 정보, 및/또는 제17 식별 정보, 및/또는 제18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SMF_A(230)는, 제13 식별 정보 및/또는 제19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고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11 식별 정보, 및/또는 제12 식별 정보, 및/또는 제17 식별 정보, 및/또는 제18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11 식별 정보, 및/또는 제13 식별 정보, 및/또는 제17 식별 정보, 및/또는 제19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SMF_A(230)는, 제12 식별 정보 및/또는 제18 식별 정보를 등록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고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11 식별 정보, 및/또는 제13 식별 정보, 및/또는 제17 식별 정보, 및/또는 제19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11 내지 제13 식별 정보, 제17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14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14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N에 대하여 확립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11 내지 제13 식별 정보, 제17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15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15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되고,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11 내지 제15 식별 정보, 제17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16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적용하는 RQoS의 유효 기간을 나타내도 되고,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유효화한 후에 RQoS가 유효한 기간을 나타내도 되고,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유효화하였을 때 개시되는 RQoS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의 기간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11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12 식별 정보 및 제13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17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18 식별 정보 및 제19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이들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가 1 이상의 식별 정보의 식별 정보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들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고, 또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고, 또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를 조합하여 송신함으로써, 상술한 사항을 조합한 요구를 행해도 된다. 또한, SMF_A(230)가 각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나타내는 사항은 이들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어느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에 넣을지를, 수신한 식별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능력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 등의 폴리시, 및/또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1 식별 정보 및/또는 제17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RQoS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 및/또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12 식별 정보 및/또는 제18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 및/또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13 식별 정보 및/또는 제19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 및/또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14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DNN과 동일한 DNN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상이한 DNN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15 식별 정보는, 제5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PDU 세션 ID와 동일한 PDU 세션 ID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상이한 PDU 세션 ID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에 넣을지의 SMF_A(230)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UE_A(10)는,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다. UE_A(10)는,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에 포함되는 각종 식별 정보의 내용을 인식한다.
UE_A(10)는,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추가로 제3 처리를 실시한다(S1012). 또한, UE_A(10)는, 제3 처리를, PDU 세션 확립 완료 메시지의 송신에 기초하여 실시해도 되고, 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실시해도 된다.
여기서, 제3 처리는, UE_A(10)가, SMF_A(230)에 의해 나타난 사항을 인식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3 처리는, UE_A(10)가, 수신한 식별 정보를 컨텍스트로서 기억하는 처리여도 되고, 수신한 식별 정보를 상위층 및/또는 하위층에 전송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3 처리는, UE_A(10)가, 본 수속의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인식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_A(10)가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3 처리는, UE_A(10)가, RQoS 유효화 수속을 임의의 타이밍에 실행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여도 되고, RQoS 유효화 수속을 개시하는 처리여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UE_A(10)가 제11 식별 정보, 및/또는 제12 식별 정보, 및/또는 제17 식별 정보, 및/또는 제1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3 처리는,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을 임의의 타이밍에 실행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_A(10)가 제11 식별 정보, 및/또는 제13 식별 정보, 및/또는 제17 식별 정보, 및/또는 제19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3 처리는,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을 임의의 타이밍에 실행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_A(10)가 제11 내지 제1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16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3 처리는, UE_A(10)가, 제16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값을 RQoS의 타이머값으로 설정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3 처리는 이들 처리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이어서, UE_A(10)는,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의 수신, 및/또는 제3 처리의 완료에 기초하여, AMF_A(240)를 통하여 SMF_A(230)에 PDU 세션 확립 완료(PDU session establishment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한다(S1014). 또한, SMF_A(230)는, PDU 세션 확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조건 판별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UE_A(10)는, N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AMF_A(240)에 PDU 세션 확립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PDU 세션 확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AMF_A(240)가, N1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SMF_A(230)에 PDU 세션 확립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PDU 세션이 PDN 커넥션인 경우, PDU 세션 확립 완료 메시지는, PDN 접속 완료(PDN Connectivity complete) 메시지여도 되고, 디폴트 EPS 베어러 컨텍스트 액티브화 수락(Activate default EPS bearer context accept) 메시지여도 된다. 또한, PDU 세션 확립 완료 메시지는, N1 인터페이스 및 N11 인터페이스 상에서 송수신되는 NAS 메시지여도 된다. 또한, PDU 세션 확립 완료 메시지는,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면 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PDU 세션 확립 수속이 완료됨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면 된다.
제2 조건 판별은, SMF_A(230)가, 송수신되는 N4 인터페이스 상의 메시지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 SMF_A(230)는 UPF_A(235)에 세션 변경 요구 메시지(Session Modification request)를 송신하고(S1018), 또한 세션 변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UPF_A(235)가 송신한 세션 변경 수락(Session Modification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다(S1020). 또한, 제2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 SMF_A(230)는 UPF_A(235)에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S1018), 또한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UPF_A(235)가 송신한 세션 변경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다(S1020).
각 장치는, PDU 세션 확립 완료 메시지의 송수신, 및/또는 세션 변경 응답 메시지의 송수신, 및/또는 세션 확립 응답 메시지의 송수신, 및/또는 RA의 송수신에 기초하여,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을 완료한다.
이어서, 제3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의 스텝, 즉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의 각 스텝을 설명한다. SMF_A(230)는, AMF_A(240)를 통하여 UE_A(10)에 PDU 세션 확립 거절(PDU session establishment reject) 메시지를 송신하고(S1022),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SMF_A(230)는, N1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AMF_A(240)에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를 송신하고,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AMF_A(240)가, N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UE_A(10)에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PDU 세션이 PDN 커넥션인 경우,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는 PDN 접속 거절(PDN connectivity reject) 메시지여도 된다. 또한,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는, N11 인터페이스 및 N1 인터페이스 상에서 송수신되는 NAS 메시지여도 된다. 또한,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PDU 세션의 확립이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면 된다.
여기서, SMF_A(230)는,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에,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제72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UE_A(10)의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이들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는, 1 이상의 식별 정보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SMF_A(230)는, 제21 식별 정보, 및/또는 제22 식별 정보, 및/또는 제23 식별 정보, 및/또는 제27 식별 정보, 및/또는 제28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SMF_A(230)는, 제24 식별 정보 및/또는 제29 식별 정보를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고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21 식별 정보, 및/또는 제22 식별 정보, 및/또는 제24 식별 정보, 및/또는 제27 식별 정보, 및/또는 제29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SMF_A(230)는, 제23 식별 정보 및/또는 제28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지 않고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함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21 식별 정보를 송신, 및/또는 제22 내지 제24 식별 정보, 제27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25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SMF_A(230)가 수신한 제4 식별 정보, 및/또는 제25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N에 대하여 확립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21 식별 정보를 송신, 및/또는 제22 내지 제24 식별 정보, 제27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와 제26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SMF_A(230)가 수신한 제5 식별 정보, 제26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PDU 세션에 대하여,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_A(10)가 현재 속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및/또는 트래킹 에어리어에 대하여,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_A(1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하여,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21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22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23 식별 정보 및 제24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27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제28 식별 정보 및 제29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혹은 이들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가 1 이상의 식별 정보의 식별 정보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들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고, 또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네트워크가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고, 또한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72 식별 정보, 및/또는 제25 식별 정보, 및/또는 제26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을 속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SMF_A(230)는, 제72 식별 정보와 제25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25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N에 대하여 확립되는 PDU 세션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을 속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61 식별 정보와 제26 식별 정보를 대응지어 송신함으로써, 제26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PDU 세션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을 속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72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_A(10)가 현재 속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에어리어 및/또는 트래킹 에어리어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을 속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72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_A(1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한 PDU 세션의 확립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되고, PDU 세션을 속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72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제1 타이머의 값을 나타내도 되고, 본 수속의 완료 후에, 본 수속과 동일한 수속을 다시 실시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및/또는 제72 식별 정보 중 2 이상의 식별 정보를 조합하여 송신함으로써, 상술한 사항을 조합한 요구를 행해도 된다. 또한, SMF_A(230)가 각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나타내는 사항은 이들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제72 식별 정보 중, 어느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에 넣을지를, 수신한 식별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능력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 등의 폴리시, 및/또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1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RQoS를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경우, 및/또는 제1 내지 제8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22 식별 정보 및/또는 제27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RQoS를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경우, 및/또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23 식별 정보 및/또는 제28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 및/또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24 식별 정보 및/또는 제29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가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 및/또는 제1 내지 제3 식별 정보, 및/또는 제6 내지 제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25 식별 정보는, 제4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DNN과 동일한 DNN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26 식별 정보는, 제5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PDU 세션 ID와 동일한 PDU 세션 ID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72 식별 정보는, 제71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또는 제71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네트워크에 의해 허가되지 않은 경우에 송신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에 넣을지의 SMF_A(230)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UE_A(10)는,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다. UE_A(10)는,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제4 처리를 실시한다(S1024). 또한, UE_A(10)는, 제4 처리를 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실시해도 된다.
여기서, 제4 처리는, UE_A(10)가, SMF_A(230)에 의해 나타난 사항을 인식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4 처리는, UE_A(10)가, 수신한 식별 정보를 컨텍스트로서 기억하는 처리여도 되고, 수신한 식별 정보를 상위층 및/또는 하위층에 전송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4 처리는, UE_A(10)가, 본 수속의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인식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_A(10)가 제21 내지 제29 식별 정보 중 1 이상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4 처리는, UE_A(10)가, RQoS 유효화 수속이 실행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 또는 RQoS를 적용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UE_A(10)가 제22 식별 정보, 및/또는 제23 식별 정보, 및/또는 제27 식별 정보, 및/또는 제28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4 처리는, 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이 실행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_A(10)가 제22 식별 정보, 및/또는 제24 식별 정보, 및/또는 제27 식별 정보, 및/또는 제29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4 처리는,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이 실행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_A(10)가 제72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4 처리는, UE_A(10)가, 제7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값을 제1 타이머값으로 설정하는 처리여도 되고, 타이머값을 설정한 제1 타이머를 개시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_A(10)가 제72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4 처리는, 제1 내지 제11 거동 중 1 이상의 거동을 실행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4 처리는, UE_A(10)가, 일정 기간 후에 다시 본 수속을 개시하는 처리여도 되는 UE_A(10)의 요구가 한정된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4 처리는 이들 처리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UE_A(10)는,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혹은 PDU 세션 확립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UE_A(10)의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인식해도 된다. 각 장치는,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의 송수신에 기초하여,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을 완료한다.
각 장치는, 본 수속 중의 (A) 또는 (B)의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본 수속을 완료한다. 또한, 각 장치는,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PDU 세션이 확립된 상태로 천이해도 되고,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본 수속이 거절되었음을 인식해도 되고, PDU 세션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로 천이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본 수속에서 송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한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UE_A(10)는, 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제3 처리를 실시해도 되고, 제4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제3 조건 판별은,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 및/또는 가입자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에 기초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3 조건 판별은, UE_A(10)의 요구를 네트워크가 허가하는 경우, 참이어도 된다. 또한, 제3 조건 판별은, UE_A(10)의 요구를 네트워크가 허가하지 않는 경우,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3 조건 판별은, UE_A(10)의 접속처의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가, UE_A(10)가 요구하는 기능을,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는 참이어도 되고, 서포트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3 조건 판별은, 네트워크가, 폭주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는 참이어도 되고, 폭주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는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3 조건 판별의 진위가 결정되는 조건은 전술한 조건으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2 조건 판별은, PDU 세션을 위한 N4 인터페이스 상의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조건 판별은, PDU 세션을 위한 N4 인터페이스 상의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는 참이어도 되고,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조건 판별의 진위가 결정되는 조건은 전술한 조건으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11 조건 판별은,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 및/또는 가입자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에 기초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1 조건 판별은, DN_A(5)에 의한 인증 및/또는 승인을 본 수속 중에 실시하는 것을 네트워크가 허가하는 경우, 참이어도 된다. 또한, 제11 조건 판별은, DN_A(5)에 의한 인증 및/또는 승인을 본 수속 중에 실시하는 것을 네트워크가 허가하지 않은 경우,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11 조건 판별은, UE_A(10)의 접속처의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가, DN_A(5)에 의한 인증 및/또는 승인을 본 수속 중에 실시하는 것을,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는 참이어도 되고,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11 조건 판별은, 제61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는 참이어도 되고, 수신하지 않은 경우는 거짓이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1 조건 판별은, SM PDU DN Request Container 등의 정보, 및/또는 복수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수신한 경우는 참이어도 되고, 수신하지 않은 경우는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11 조건 판별의 진위가 결정되는 조건은 전술한 조건으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1.3.3.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의 개요]
이어서, DN_A(5)가 PDU 세션에 대하여 인증 및/또는 승인을 실시하기 위해 행하는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은, 본 수속이라고도 칭한다. 본 수속은,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가 PDU 세션에 대하여 인증 및/또는 승인을 하기 위한 수속이다. 또한, 각 장치는, 본 수속을, PDU 세션을 확립한 상태에서 실행해도 되고, PDU 세션 확립 수속 중에 실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SMF_A(230)는, 등록 수속 및/또는 PDU 세션 확립 수속에 있어서, 적어도 제6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본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SMF_A(230)는, 등록 수속 및/또는 PDU 세션 확립 수속에 있어서, 제21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에 본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PDU 세션 확립 수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본 수속을 개시해도 되고, PDU 세션 확립 수속 후의 임의의 타이밍에 본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PDU 세션이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에 의해 인증 및/또는 승인된 상태로 천이해도 된다.
[1.3.3.1.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 예]
도 11을 사용하여,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을 실행하는 수순의 예를 설명한다. 이하, 본 수속의 각 스텝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SMF_A(230)는, UPF_A(235)를 통하여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에, 인증/승인 요구(Authentication/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S1100), PDU 세션 확립 인증 승인 수속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SMF_A(230)는, UPF_A(235), 및/또는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를 선택하고, N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선택한 UPF_A(235)에,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UPF_A(235)는,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N6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에,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를 송신 또는 전송한다. 여기서, SMF_A(230)는, UE_A(10),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 및/또는 SMF_A(230)가 유지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UPF_A(235), 및/또는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를 선택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SMF_A(230)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취득한 각 식별 정보,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에 대한 문의에서 얻은 정보, 및/또는 가입자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능력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 및/또는 네트워크의 상태, 및/또는 AMF_A(240)가 이미 유지하고 있는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를 선택해도 된다.
또한,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는, NAS 메시지여도 된다. 또한,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는, PDU 세션의 확립을 요구하는 메시지이면 되며,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 교환을 포함하는 DN_A(5)에 대한 인증/승인의 리소스 공개는, 오퍼레이터가 DN_A(5), 및/또는 DN_A(5)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여도 된다. 또한,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는, SMF_A(230), 및/또는 UPF_A(235)와 DN_A(5), 및/또는 DN_A(5)에 포함되는 장치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고, DN_A(5)에 의한 인증 및/또는 승인을 요구하는 메시지이면 되며,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SMF_A(230)는, UE_A(10),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 및/또는 SMF_A(230)가 유지하는 정보를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되고,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UE_A(10) 및/또는 SMF_A(230)의 요구를 나타내도 된다.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는,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는,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제21 조건 판별을 실행해도 된다. 제21 조건 판별은,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가 DN_A(5)에 의한 PDU 세션의 인증 및/또는 승인의 수속을 실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제21 조건 판별에 있어서,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는 제21 조건 판별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정한다.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는, 제21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에는 본 수속을 계속해도 되고, 제21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에는 본 수속을 계속하지 않고, 거절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UPF_A(235)를 통하여 SMF_A(230)에 송신해도 된다.
이어서,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는,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의 수신, 및/또는 제21 조건 판별에 기초하여, UPF_A(235)를 통하여 SMF_A(230)에 인증/승인 요구(authentication/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S1102).
구체적으로는,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는, N6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UPF_A(235)에,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UPF_A(235)는,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N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SMF_A(230)에,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를 송신 또는 전송한다.
SMF_A(230)는,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AMF_A(240)를 통하여 UE_A(10)에 PDU 세션 인증 요구(PDU session authent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S1104).
구체적으로는, SMF_A(230)는, N1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AMF_A(240)에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AMF_A(240)가, N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UE_A(10)에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DN_A(5)에 의한 PDU 세션의 인증/승인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면 된다.
여기서, SMF_A(230)는,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에, 제62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의 요구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62 식별 정보를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DN_A(5)가, PDU 세션, 및/또는 UE_A(10),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증 및/또는 승인을 실시함을 나타내도 되고, UE_A(10),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유저에 의한 DN_A(5)의 인증/승인 정보의 확인 및/또는 선택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62 식별 정보를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에 넣을지를, 수신한 식별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능력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 등의 폴리시, 및/또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SMF_A(230)는, 등록 수속 및/또는 PDU 세션 확립 수속에 있어서, 제6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PDU 세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제62 식별 정보를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에 넣을지의 SMF_A(230)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UE_A(10)는,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 UE_A(10)는,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각종 식별 정보의 내용을 인식한다.
UE_A(10)는,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추가로 제5 처리를 실시한다(S1106). 또한, UE_A(10)는, 제5 처리를,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의 송신에 기초하여 실시해도 되고, PDU 세션 인증 거절 메시지의 송신에 기초하여 실시해도 되고, 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실시해도 된다.
여기서, 제5 처리는, UE_A(10)가, SMF_A(230)에 의해 나타난 사항을 인식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5 처리는, UE_A(10)가, 수신한 식별 정보를 컨텍스트로서 기억하는 처리여도 되고, 수신한 식별 정보를 상위층 및/또는 하위층에 전송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5 처리는, UE_A(10)가, 제6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인증/승인 정보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여도 되고, 수신한 제6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인증/승인 정보가 적절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63 식별 정보에 넣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5 처리는, UE_A(10)가, 제6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인증/승인 정보가 DN의 인증/허가 정보라고 인식하는 처리여도 되고, 수신한 제62 식별 정보에 대한 응답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63 식별 정보에 넣는 처리여도 되고, 수신한 제62 식별 정보와 동일한 인증/승인 정보를 제63 식별 정보에 넣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5 처리는, UE_A(10)가, 제6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인증/승인 정보 중에서 적절한 인증/승인 정보를 선택하는 처리여도 되고, 제62 식별 정보를 기초로 선택한 인증/승인 정보를 제63 식별 정보에 넣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5 처리는, UE_A(10)가 상위층, 및/또는 유저에 제62 식별 정보를 통지하는 처리여도 되고, 제62 식별 정보가 통지된 상위층, 및/또는 유저가 제6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인증/승인 정보 중에서 적절한 인증/승인 정보를 선택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5 처리는, UE_A(10)가, 통지된 제62 식별 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인증/승인 정보를 상위층 및/또는 유저로부터 취득하는 처리여도 되고, 상위층, 및/또는 유저로부터 취득한 인증/승인 정보를 제63 식별 정보에 넣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5 처리는, UE_A(10)가, 제22 조건 판별을 실행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5 처리는 이들 처리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UE_A(10)는, PDU 세션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의 수신, 및/또는 제5 처리의 완료에 기초하여, 제22 조건 판별을 실행한다. 제22 조건 판별은, UE_A(10)가 DN_A(5)에 의한 PDU 세션의 인증 및/또는 승인의 수속을 수락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제22 조건 판별에 있어서, UE_A(10)는 제22 조건 판별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정한다. UE_A(10)는, 제22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에는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을 개시하고, 제22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에는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을 개시한다. 또한, 제22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의 스텝은 후술한다.
이하, 제22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의 스텝, 즉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의 각 스텝을 설명한다. UE_A(10)는, PDU 세션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의 수신, 및/또는 제5 처리의 완료, 및/또는 제22 조건 판별에 기초하여, AMF_A(240)를 통하여 SMF_A(230)에 PDU 세션 인증 수락(PDU session authentication accept) 메시지를 송신한다(S1108).
구체적으로는, UE_A(10)는, N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AMF_A(240)에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를 송신하고,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 AMF_A(240)가, N1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SMF_A(230)에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는, N1 인터페이스 및 N11 인터페이스 상에서 송수신되는 NAS 메시지여도 된다. 또한,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는,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면 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PDU 세션 확립 인증/승인 수속이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면 된다.
여기서, UE_A(10)는,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에, 제63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네트워크의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63 식별 정보를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_A(10),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유저가, DN_A(5)의 인증/승인 정보를, 확인하였음을 나타내도 되고, 수락하였음을 나타내도 되고, 선택하였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63 식별 정보를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에 넣을지를, 수신한 식별 정보, 및/또는 UE_A(10)의 능력 정보, 및/또는 UE_A(10)의 폴리시, 및/또는 UE_A(10)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UE_A(10)는, 제62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또는 수신한 제62 식별 정보를 수락할 수 있는 경우, 제63 식별 정보를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에 넣을지의 UE_A(10)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SMF_A(230)는,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각 장치는,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의 송수신에 기초하여,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을 완료한다.
이어서, 제22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의 스텝, 즉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의 각 스텝을 설명한다. UE_A(10)는, PDU 세션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의 수신, 및/또는 제5 처리의 완료, 및/또는 제22 조건 판별에 기초하여, AMF_A(240)를 통하여 SMF_A(230)에 PDU 세션 인증 거절(PDU session authentication reject) 메시지를 송신한다(S1110).
구체적으로는, UE_A(10)는, N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AMF_A(240)에 PDU 세션 인증 거절 메시지를 송신하고, PDU 세션 인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 AMF_A(240)가, N1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SMF_A(230)에 PDU 세션 인증 거절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PDU 세션 인증 거절 메시지는, N1 인터페이스 및 N11 인터페이스 상에서 송수신되는 NAS 메시지여도 된다. 또한, PDU 세션 인증 거절 메시지는,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면 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PDU 세션 확립 인증/승인 수속이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면 된다.
여기서, UE_A(10)는, PDU 세션 인증 거절 메시지에,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가 거절된 이유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네트워크의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가 거절된 이유를 나타내는 정보를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_A(10),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유저가, DN_A(5)의 인증/승인 정보를, 수락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되고, 선택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가 거절된 이유 중, 어느 식별 정보를 PDU 세션 인증 거절 메시지에 넣을지를, 수신한 식별 정보, 및/또는 UE_A(10)의 능력 정보, 및/또는 UE_A(10)의 폴리시, 및/또는 UE_A(10)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PDU 세션 인증 거절 메시지에 넣을지의 UE_A(10)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SMF_A(230)는, PDU 세션 인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각 장치는, PDU 세션 인증 거절 메시지의 송수신에 기초하여,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을 완료한다.
SMF_A(230)는,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의 완료, 및/또는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인증/승인 응답(Authentication/Authorization Response) 메시지를, UPF_A(235)를 통하여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에 송신한다(S1112). 바꾸어 말하면, SMF_A(230)는,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의 수신, 및/또는 PDU 세션 인증 거절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인증/승인 응답 메시지를, UPF_A(235)를 통하여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SMF_A(230)는, N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UPF_A(235)에, 인증/승인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UPF_A(235)는, 인증/승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N6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에, 인증/승인 응답 메시지를 송신 또는 전송한다.
또한, 인증/승인 응답 메시지 교환을 포함하는 DN_A(5)에 대한 인증/승인의 리소스 공개는, 오퍼레이터가 DN_A(5), 및/또는 DN_A(5)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여도 된다. 또한, 인증/승인 응답 메시지는, SMF_A(230), 및/또는 UPF_A(235)와 DN_A(5), 및/또는 DN_A(5)에 포함되는 장치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고,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면 되며,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SMF_A(230)는, UE_A(10),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 및/또는 SMF_A(230)가 유지하는 정보를 인증/승인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UE_A(10) 및/또는 SMF_A(230)의 요구를 나타내도 된다.
여기서, SMF_A(230)는, 제63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인증/승인 응답 메시지에, 제63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의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가 거절된 이유를 수신한 경우, 인증/승인 응답 메시지에,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가 거절된 이유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의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어느 식별 정보를 인증/승인 응답 메시지에 넣을지를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 및/또는 PDU 세션 인증 거절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취득한 각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인증/승인 응답 메시지에 넣을지의 SMF_A(230)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는, 인증/승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각 장치는, PDU 세션 인증 수락 메시지의 송수신, 및/또는 PDU 세션 인증 거절 메시지의 송수신, 및/또는 인증/승인 응답 메시지의 송수신에 기초하여, 본 수속을 완료한다. 또한, 각 장치는,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PDU 세션이 DN_A(5)에 의해 인증 및/또는 승인된 상태로 천이해도 되고,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본 수속이 거절되었음을 인식해도 되고, PDU 세션이 DN_A(5)에 의해 인증 및/또는 승인되지 않은 상태로 천이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본 수속에서 송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한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UE_A(10)는, 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취득 및/또는 선택한 DN_A(5) 발행의 인증/승인 정보를 적응시켜도 된다.
또한, 제21 조건 판별은, 인증/승인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 및/또는 가입자 정보, 및/또는 DN_A(5)의 폴리시에 기초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1 조건 판별은, UE_A(10)의 요구를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가 허가하는 경우, 참이어도 된다. 또한, 제21 조건 판별은, UE_A(10)의 요구를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가 허가하지 않는 경우,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21 조건 판별은, UE_A(10)의 접속처의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가, DN_A(5)에 의한 PDU 세션의 인증 및/또는 승인을 위한 기능을,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는 참이어도 되고,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21 조건 판별의 진위가 결정되는 조건은 전술한 조건으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22 조건 판별은, PDU 세션 인증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 및/또는 UE_A(10)의 능력 정보, 및/또는 UE_A(10)의 폴리시, 및/또는 UE_A(10)의 상태에 기초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2 조건 판별은, DN_A(5)에 의한 PDU 세션의 인증 및/또는 승인의 요구를 UE_A(10)가 허가하는 경우, 참이어도 된다. 또한, 제22 조건 판별은, DN_A(5)에 의한 PDU 세션의 인증 및/또는 승인의 요구를 UE_A(10)가 허가하지 않는 경우,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22 조건 판별의 진위가 결정되는 조건은 전술한 조건으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1.3.4. RQoS 유효화(활성화) 수속의 개요]
이어서,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유효화(활성화)하기 위해 행하는 RQoS 유효화(활성화) 수속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장에서는, RQoS 유효화 수속은, 본 수속이라고도 칭한다. 본 수속은, 각 장치가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유효화하기 위한 수속이다. 본 수속은, UE_A(10)가 주도하여 개시하는,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과,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가 주도하여 개시하는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이 있다.
또한, 각 장치는, 본 수속을, PDU 세션을 확립한 상태에서 실행해도 되고, 유저 데이터 통신 중에서 실행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PDU 세션 확립 수속 후의 임의의 타이밍에 본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RQoS 유효화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유효화해도 되고, RQoS를 사용한 유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해도 된다. 또한,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유효화한다는 것은,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컨트롤한다고 하는 것이어도 되고, 특정한 유저 데이터 플로우에 대하여 RQoS를 유효화한다고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유효화한다는 것은, UE_A(10)가, 수신한 하향 링크 패킷, 및/또는 하향 링크 패킷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트래픽, 및/또는 상향 링크 패킷을 위한 QoS 룰(Derived QoS Rule이라고도 칭함)을 작성하고, 작성한 QoS 룰의 사용을 개시하는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본 수속은, 각 장치가,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User plane을 통하여 유효화하기 위한 수속이어도 되며,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이라고 칭해도 된다.
[1.3.4.1.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 예]
도 12를 사용하여,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을 실행하는 수순의 예를 설명한다. 본장에서는,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은, 본 수속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본 수속은, UE 주도의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이라고 칭해도 된다. 본 수속의 각 스텝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UE_A(10)는, NR node_A(122)를 통하여 UPF_A(235)에 상향 링크 패킷을 송신함으로써(S1200),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UE_A(10)는, 무선 베어러, 및/또는 N3 인터페이스, 및/또는 N9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UPF_A(235)에 상향 링크 패킷을 송신한다. 여기서, UE_A(10)는, UE_A(10)가 유지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라우팅처의 UPF_A(235)를 선택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UE_A(10)는, 상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와, UE_A(10)가 유지하는 라우팅 룰, 및/또는 QoS 룰을 비교함으로써, 상향 링크 패킷의 송신에 사용할 QoS 플로우, 및/또는 UPF_A(235)를 선택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상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에 합치하는 라우팅 룰, 및/또는 QoS 룰이 없는 경우, 디폴트의 라우팅 룰, 및/또는 디폴트의 QoS 룰을 사용하여 상향 링크 패킷의 송신에 사용할 QoS 플로우, 및/또는 UPF_A(235)를 선택해도 된다. 또한, 디폴트의 QoS 룰에는, QoS 룰 ID(QoS rule identifier), QoS 플로우의 QFI, 1 이상의 패킷 필터, 선행값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 디폴트의 QoS 룰은, 이들 구성 요소 중, 패킷 필터를 포함시키지 않고 구성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선행값을 최댓값으로 설정한다. 즉, 우선도는 최저로 한다.
여기서, 상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정보여도 되고, 5 투플이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는, 송신처의 IP 어드레스(target IP address), 및/또는 송신원의 IP 어드레스(source IP address), 및/또는 프로토콜 번호(protocol number), 및/또는 송신처의 포트 번호(target port number), 및/또는 송신원의 포트 번호(source port number)여도 되고, 이들을 조합한 정보여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는, 이들로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향 링크 패킷은, 유저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UE_A(10)로부터 액세스 네트워크,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및/또는 DN_A(5)에 대하여 송신되는 메시지여도 된다. 따라서, 상향 링크 패킷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은, 상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이어도 되고, 상향 링크 패킷의 메시지의 헤더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이어도 되고, 상향 링크 패킷의 메시지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UE_A(10)는,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에 송신해야 할 상향 링크 패킷이 없는 경우, 더미의 상향 링크 패킷을 UPF_A(235)에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UE_A(10)는, 상향 링크 패킷에, 제4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2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의 유효화를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4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2 식별 정보를 상향 링크 패킷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UE 주도로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유효화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4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2 식별 정보를 상향 링크 패킷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상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로 나타나는 상향 링크 패킷의 송수신에서 사용되는 QoS 플로우를, 제4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QoS 플로우로 변경하는 것을 요구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제41 식별 정보, 제42 식별 정보 중, 어느 식별 정보를 상향 링크 패킷에 넣을지를, UE_A(10)의 능력 정보, 및/또는 UE 폴리시 등의 폴리시, 및/또는 UE_A(10)의 프리퍼런스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상향 링크 패킷에 넣을지의 UE_A(10)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UPF_A(235)는, 상향 링크 패킷을 수신한다(S1200). UPF_A(235)는, 상향 링크 패킷의 수신에 기초하여, DN_A(5), 및/또는 DN_A(5)에 포함되는 장치에 수신한 상향 링크 패킷을 전송해도 된다.
이어서, UPF_A(235)는, 상향 링크 패킷의 수신, 및/또는 상향 링크 패킷의 전송에 기초하여, SMF_A(230)에 요구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S1202). 구체적으로는, UPF_A(235)는, N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SMF_A(230)에 요구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요구 통지 메시지는,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의 유효화의 요구를 나타내는 메시지라면,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UPF_A(235)는, 요구 통지 메시지에, 수신한 상향 링크 패킷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UPF_A(235)는, 요구 통지 메시지에, 수신한 제4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2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해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의 유효화를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SMF_A(230)는, 요구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S1202), 제31 조건 판별을 실행한다. 제31 조건 판별은, SMF_A(230)가, UE_A(10)의 요구를 수락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제31 조건 판별에 있어서, SMF_A(230)는 제31 조건 판별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정한다. SMF_A(230)는, 제31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즉, UE_A(10)의 요구를 수락하는 경우)에는,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을 개시하고, 제31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즉, UE_A(10)의 요구를 거절하는 경우)에는,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을 개시한다. 또한, 제31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의 스텝은 후술한다.
이하, 제31 조건 판별이 참인 경우의 스텝, 즉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의 각 스텝을 설명한다. SMF_A(230)는, 제31 조건 판별, 및/또는 요구 통지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UPF_A(235)에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고(S1204),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SMF_A(230)는, N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UPF_A(235)에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의 유효화를 나타내는 메시지이면 된다.
여기서, SMF_A(230)는,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에, 제31 식별 정보 및/또는 제32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UE_A(10)의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31 식별 정보 및/또는 제32 식별 정보를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RQoS의 유효화의 요구를 수락하였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를 유효화함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31 식별 정보 및/또는 제32 식별 정보를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특정한 하향 링크 패킷의 송수신에서 사용되는 QoS 플로우를, 제3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QoS 플로우로 변경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31 식별 정보, 제32 식별 정보 중, 어느 식별 정보를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에 넣을지를, 수신한 식별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능력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 등의 폴리시, 및/또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SMF_A(230)는, 제4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2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또는 수신한 제4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요구를 수락하는 경우, 제31 식별 정보 및/또는 제32 식별 정보를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또한, 제32 식별 정보는, 제4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32 식별 정보는, 제4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QoS 플로우와 동일한 QoS 플로우를 식별하는 정보여도 되고, 제4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QoS 플로우와는 상이한 QoS 플로우를 식별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에 넣을지의 SMF_A(230)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SMF_A(230)는, 요구 통지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취득한 각 식별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능력 정보, 및/또는 가입자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 및/또는 네트워크의 상태, 및/또는 SMF_A(230)가 이미 유지하고 있는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RQoS를 위한 컨텍스트를 작성해도 된다.
UPF_A(235)는,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다(S1204). UPF_A(235)는,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는 각종 식별 정보의 내용을 인식한다. UPF_A(235)는,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의 수신에서 취득한 각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RQoS를 위한 QoS 룰, 및/또는 컨텍스트를 작성해도 된다.
또한, UPF_A(235)는,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가 송신한 하향 링크 패킷을 수신해도 된다(S1206). UPF_A(235)는,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의 수신, 및/또는 DN_A(5)로부터의 하향 링크 패킷의 수신에 기초하여, UE_A(10)에 하향 링크 패킷을 송신한다(S1206).
구체적으로는, UPF_A(235)는, N9 인터페이스, 및/또는 N3 인터페이스, 및/또는 무선 베어러를 사용하여 UE_A(10)에 하향 링크 패킷을 송신한다. 여기서, UPF_A(235)는, UPF_A(235)가 유지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라우팅처의 UE_A(10)를 선택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UPF_A(235)는, 하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와, UPF_A(235)가 유지하는 라우팅 룰, 및/또는 QoS 룰을 비교함으로써, 하향 링크 패킷의 송신에 사용할 QoS 플로우, 및/또는 UE_A(10)를 선택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하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에 합치하는 라우팅 룰, 및/또는 QoS 룰이 없는 경우, 디폴트의 라우팅 룰, 및/또는 디폴트의 QoS 룰을 사용하여 하향 링크 패킷의 송신에 사용할 QoS 플로우, 및/또는 UPF_A(235)를 선택해도 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정보여도 되고, 5 투플이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는, 송신처의 IP 어드레스, 및/또는 송신원의 IP 어드레스, 및/또는 프로토콜 번호, 송신처의 포트 번호, 및/또는 송신원의 포트 번호여도 되고, 이들을 조합한 정보여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는, 이들로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하향 링크 패킷은, 유저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로부터 UE_A(10)에 대하여 송신되는 메시지여도 되고,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로부터 UE_A(10)에 대하여 송신되는 메시지여도 되고, 이들 유저 데이터 통신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여도 된다. 따라서, 하향 링크 패킷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은,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이어도 되고, 전송에 사용할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는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이어도 되고, 하향 링크 패킷의 전송에 사용할 메시지의 헤더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이어도 되고, 하향 링크 패킷의 전송에 사용할 메시지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UPF_A(235)는,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하향 링크 패킷이 없는 경우, 더미의 하향 링크 패킷을 UE_A(10)에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UPF_A(235)는, 하향 링크 패킷에, 제31 식별 정보 및/또는 제32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들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유효화함을 나타내도 되고, UE_A(10)의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PF_A(235)는, 제31 식별 정보 및/또는 제32 식별 정보를 하향 링크 패킷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RQoS의 유효화의 요구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를 유효화함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PF_A(235)는, 제31 식별 정보 및/또는 제32 식별 정보를 하향 링크 패킷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특정한 하향 링크 패킷의 송수신에서 사용되는 QoS 플로우를, 제3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QoS 플로우로 변경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PF_A(235)는, 제31 식별 정보, 제32 식별 정보 중, 어느 식별 정보를 하향 링크 패킷에 넣을지를, 수신한 식별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능력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 등의 폴리시, 및/또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UPF_A(235)는, 제31 식별 정보 및/또는 제32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또는 제4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2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또는 수신한 제4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요구를 수락할 수 있다고 SMF_A(230)가 판단한 경우, 제31 식별 정보 및/또는 제32 식별 정보를 하향 링크 패킷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또한, 제32 식별 정보는, 제4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32 식별 정보는, 제4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QoS 플로우와 동일한 QoS 플로우를 식별하는 정보여도 되고, 제4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QoS 플로우와는 상이한 QoS 플로우를 식별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하향 링크 패킷에 넣을지의 UPF_A(235)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UE_A(10)는, 하향 링크 패킷을 수신한다(S1206). UE_A(10)는, 하향 링크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하향 링크 패킷에 포함되는 각종 식별 정보의 내용을 인식한다.
UE_A(10)는, 하향 링크 패킷의 수신에 기초하여 추가로 제6 처리를 실시한다(S1208).
여기서, 제6 처리는, UE_A(10)가, UPF_A(235)에 의해 나타난 사항을 인식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6 처리는, UE_A(10)가, 수신한 식별 정보를 컨텍스트로서 기억하는 처리여도 되고, 수신한 식별 정보 및/또는 유저 데이터를 상위층 및/또는 하위층에 전송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6 처리는, UE_A(10)가,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유효화하는 처리여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6 처리는, UE_A(10)가, 수신한 하향 링크 패킷을 기초로, 상향 링크 패킷을 위한 QoS 룰(Derived QoS Rule) 및/또는 라우팅 룰을 작성하는 처리여도 되고, 작성한 QoS 룰, 및/또는 라우팅 룰을 유효화하는 처리여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6 처리는, UE_A(10)가, 수신한 하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와 쌍으로 되는 상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에 대응지어진 QoS 룰, 및/또는 라우팅 룰을 작성해도 되고, 작성한 QoS 룰, 및/또는 라우팅 룰을 유효화해도 된다. 또한, 작성된 QoS 룰, 및/또는 라우팅 룰이 나타내는 상향 링크 패킷의 전송에 사용되는 QoS 플로우는, 제3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QoS 플로우여도 된다.
또한, 제6 처리는, UE_A(10)가, 수신한 하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에 대응지어진 QoS 플로우, 및/또는 QoS 룰, 및/또는 라우팅 룰을 인식하는 처리여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6 처리는, UE_A(10)가, 수신한 하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가 나타내는 하향 링크 패킷의 전송에 사용되는 QoS 플로우는, 제3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QoS 플로우임을 인식해도 된다.
또한, 제6 처리는, UE_A(10)가, RQoS 타이머(Reflective QoS Timer: RQ 타이머라고도 칭함)를 개시하는 처리여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6 처리는, UE_A(10)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타이머값, 및/또는 UE_A(10)가 유지하고 있는 타이머값을 설정한 RQoS 타이머를 개시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RQoS 타이머의 개시는, QoS 룰, 및/또는 라우팅 룰의 작성, 및/또는 유효화에 기초하여, 행해져도 된다. 또한, 수신한 하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와 쌍으로 되는 상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에 대응지어진 QoS 룰, 및/또는 라우팅 룰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 UE_A(10)는, 실행하고 있는 RQoS 타이머를 리스타트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타이머값은, 등록 수속 및/또는 PDU 세션 확립 수속에서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타이머값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등록 수속 및/또는 PDU 세션 확립 수속에서 수신한 제16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타이머값이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타이머값은, UE_A(10)가 제6 처리 전에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타이머값이어도 되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UE_A(10)가 유지하고 있는 타이머값은, 출하 시에 미리 UE_A(10)에 설정된 타이머값이어도 된다. 또한, UE_A(10)가 유지하고 있는 타이머값은, UE_A(10)에 설정된 타이머값이면 되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UE_A(10)가 제4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 링크 패킷을 이전에 송신한 경우, 제6 처리는, UE_A(10)가,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이 네트워크에 의해 수락되었음을 인식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6 처리는 이들 처리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이어서, UE_A(10)는, 하향 링크 패킷의 수신, 및/또는 제6 처리의 완료에 기초하여, UPF_A(235)에 상향 링크 패킷을 송신해도 된다(S1210). 또한, UPF_A(235)는, 상향 링크 패킷을 수신하면,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에, 수신한 상향 링크 패킷을 전송해도 된다(S1210). 이 경우,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는, 상향 링크 패킷을 수신한다.
또한, UE_A(10)는, 상향 링크 패킷의 송신에, 제6 처리에서 생성된 QoS 룰, 및/또는 라우팅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패킷은, 이전에 송신한 상향 링크 패킷(S1200)과 동일한 메시지여도 되고, 상이한 메시지여도 된다.
각 장치는, 하향 링크 패킷의 송수신(S1206), 및/또는 제6 처리의 완료(S1208), 및/또는 상향 링크 패킷의 송수신(S1210)에 기초하여,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을 완료한다.
이어서, 제31 조건 판별이 거짓인 경우의 스텝, 즉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의 각 스텝을 설명한다. SMF_A(230)는, 제31 조건 판별, 및/또는 요구 통지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UPF_A(235)에 RQoS 유효화 거절 메시지를 송신하고(S1212),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SMF_A(230)는, N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UPF_A(235)에 RQoS 유효화 거절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RQoS 유효화 거절 메시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의 유효화의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면 된다.
여기서, SMF_A(230)는, RQoS 유효화 거절 메시지에, 제51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UE_A(10)의 요구를 거절하였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51 식별 정보를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RQoS의 유효화의 요구를 거절하였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의 유효화의 요구를 거절한 이유를 나타내도 되고, RQoS를 유효화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SMF_A(230)는, 제51 식별 정보를 RQoS 유효화 거절 메시지에 넣을지를, 수신한 식별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능력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 등의 폴리시, 및/또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SMF_A(230)는, 제4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2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또는 수신한 제4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요구를 수락할 수 없는 경우, 제51 식별 정보를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RQoS 유효화 거절 메시지에 넣을지의 SMF_A(230)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UPF_A(235)는, RQoS 유효화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다(S1212). UPF_A(235)는, RQoS 유효화 거절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RQoS 유효화 거절 메시지에 포함되는 각종 식별 정보의 내용을 인식한다.
또한, UPF_A(235)는,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가 송신한 하향 링크 패킷을 수신해도 된다(S1214). UPF_A(235)는, RQoS 유효화 거절 메시지의 수신, 및/또는 DN_A(5)로부터의 하향 링크 패킷의 수신에 기초하여, UE_A(10)에 하향 링크 패킷을 송신한다(S1214).
구체적으로는, UPF_A(235)는, N9 인터페이스, 및/또는 N3 인터페이스, 및/또는 무선 베어러를 사용하여 UE_A(10)에 하향 링크 패킷을 송신한다. 여기서, UPF_A(235)는, UPF_A(235)가 유지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라우팅처의 UE_A(10)를 선택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UPF_A(235)는, 하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와, UPF_A(235)가 유지하는 라우팅 룰, 및/또는 QoS 룰을 비교함으로써, 하향 링크 패킷의 송신에 사용할 QoS 플로우, 및/또는 UE_A(10)를 선택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하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에 합치하는 라우팅 룰, 및/또는 QoS 룰이 없는 경우, 디폴트의 라우팅 룰, 및/또는 디폴트의 QoS 룰을 사용하여 하향 링크 패킷의 송신에 사용할 QoS 플로우, 및/또는 UPF_A(235)를 선택해도 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정보여도 되고, 5 투플이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는, 송신처의 IP 어드레스, 및/또는 송신원의 IP 어드레스, 및/또는 프로토콜 번호, 송신처의 포트 번호, 및/또는 송신원의 포트 번호여도 되고, 이들을 조합한 정보여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 패킷의 라우팅 정보는, 이들로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하향 링크 패킷은, 유저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로부터 UE_A(10)에 대하여 송신되는 메시지여도 되고,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로부터 UE_A(10)에 대하여 송신되는 메시지여도 되고, 이들 유저 데이터 통신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여도 된다. 따라서, 하향 링크 패킷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은,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이어도 되고, 전송에 사용할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는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이어도 되고, 하향 링크 패킷의 전송에 사용할 메시지의 헤더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이어도 되고, 하향 링크 패킷의 전송에 사용할 메시지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UPF_A(235)는, DN_A(5), 및/또는 DN_A(5) 내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하향 링크 패킷이 없는 경우, 더미의 하향 링크 패킷을 UE_A(10)에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UPF_A(235)는, 하향 링크 패킷에, 제51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도 되며, 이 식별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가 유효화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도 되고, UE_A(10)의 요구가 수락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PF_A(235)는, 제51 식별 정보를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RQoS의 유효화의 요구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도 되고, RQoS의 유효화의 요구가 거절된 이유를 나타내도 되고, RQoS를 유효화할 수 없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UPF_A(235)는, 제51 식별 정보를 하향 링크 패킷에 넣을지를, 수신한 식별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능력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 등의 폴리시, 및/또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UPF_A(235)는, 제51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또는 제4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2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또는 수신한 제4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2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요구를 수락할 수 없다고 SMF_A(230)가 판단한 경우, 제51 식별 정보를 RQoS 유효화 통지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또한, 어느 식별 정보를 하향 링크 패킷에 넣을지의 UPF_A(235)에 의한 결정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UE_A(10)는, 하향 링크 패킷을 수신한다(S1214). UE_A(10)는, 하향 링크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하향 링크 패킷에 포함되는 각종 식별 정보의 내용을 인식한다.
UE_A(10)는, 하향 링크 패킷의 수신에 기초하여, 추가로 제7 처리를 실시한다(S1216).
여기서, UE_A(10)가 제41 식별 정보 및/또는 제4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 링크 패킷을 이전에 송신한 경우, 제7 처리는, UE_A(10)가,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이 네트워크에 의해 거절되었음을 인식하는 처리여도 되고, 거절된 이유를 인식하는 처리여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7 처리는, UE_A(10)가, 수신한 제5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이 허가되지 않음을 인식하는 처리여도 되고, 허가되지 않는 이유를 인식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7 처리는, UE_A(10)가,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의 개시를 일정 기간 금지하기 위한 백오프 타이머를 개시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의 개시를 일정 기간 금지하기 위한 백오프 타이머의 값은, UE_A(10)에 미리 설정된 값이어도 되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타이머값이어도 된다.
또한, 제7 처리는, UE_A(10)가, 일정 기간 후에 다시 본 수속을 개시하는 처리여도 되고, 확립되어 있는 PDU 세션을 변경 및/또는 절단하기 위한 수속을 개시하는 처리여도 되고, UE_A(10)의 요구가 한정된 상태로 천이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제7 처리는 이들 처리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각 장치는, 하향 링크 패킷의 송수신(S1214), 및/또는 제7 처리의 완료(S1216)에 기초하여,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을 완료한다.
각 장치는, 본 수속 중의 (A) 또는 (B)의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본 수속을 완료한다. 또한, 각 장치는, 본 수속 중의 (A)의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가 유효화된 상태로 천이해도 되고, 본 수속 중의 (B)의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본 수속이 거절되었음을 인식해도 되고,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가 유효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천이해도 되고, 유저 데이터 통신에 대한 RQoS를 적용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본 수속에서 송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한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UE_A(10)는, 본 수속의 완료에 기초하여, 제6 처리를 실시해도 되고, 제7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본 수속의 완료 후에, 본 수속에서 유효화한, QoS 룰, 및/또는 라우팅 룰을 사용한 유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는, 본 수속의 완료 후에, RQoS 비활성화 수속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제31 조건 판별은, 상향 링크 패킷, 및/또는 요구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 및/또는 가입자 정보, 및/또는 오퍼레이터 폴리시에 기초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31 조건 판별은, UE_A(10)의 요구를 네트워크가 허가하는 경우, 참이어도 된다. 또한, 제31 조건 판별은, UE_A(10)의 요구를 네트워크가 허가하지 않는 경우,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31 조건 판별은, UE_A(10)의 등록처의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가, UE_A(10)가 요구하는 기능을,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는 참이어도 되고,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거짓이어도 된다. 또한, 제31 조건 판별의 진위가 결정되는 조건은 전술한 조건으로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1.3.4.2.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 예]
도 12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을 실행하는 수순의 예를 설명한다. 본장에서는,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은, 본 수속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본 수속은, 네트워크 주도의 User Plane을 통하여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이라고 칭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은, UE 주도로 제어되는 RQoS 유효화 수속 중의 (A)의 수속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UE_A(10)는, 하향 링크 패킷의 수신(S1206)에 기초하여, 상술한 제6 처리(S1208)를 실시한다. 제6 처리에 있어서, UE_A(10)는, 추가로 RQoS의 적용을 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UE_A(10)는, RQoS의 적용을 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 링크 패킷을 UPF_A(235)에 송신한다(S1210).
[1.3.5. RQoS 비활성화 수속의 개요]
이어서, 활성화(유효화라고도 칭함)한 Reflective QoS(RQoS)를 비활성화(무효화라고도 칭함)하는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RQoS를 비활성화하는 수순으로서는, UE 주도로 개시되는 제1 비활성화 수순, 네트워크 주도로 개시되는 제2 비활성화 수순이 있다. 이들 수순은, UP(User Plane)를 통하여 제어되는 RQoS가 유효한 동안에 개시된다. 바꾸어 말하면, 이들 수순은, RQoS 타이머의 값이 소멸되지 않는 동안에 개시된다.
또한, 이들 수순은, 네트워크 주도로 유효화된 UP를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무효화하기 위해서도 사용 가능하고, UE 주도로 유효화된 UP를 통하여 제어되는 RQoS를 무효화하기 위해서도 사용 가능하다.
[1.3.5.1. 제1 RQoS 비활성화 수속의 개요]
우선, 제1 비활성화 수순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UE_A(10)는,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상향 링크 패킷의 헤더 중에, 비활성화하고 싶은 QoS 플로우를 식별하기 위한 QFI(QoS Flow ID)와, 비활성화의 요구(deactivation request)를 나타내는 RQI(Reflective QoS Indication)를 포함시켜 송신한다. RQI가 1비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0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1로 설정해도 된다. 또한, RQI가 복수 비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모두 0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모두 1로 설정해도 된다. 또한, UE_A(10)는, 송신하는 상향 링크 패킷의 헤더 중에, RQI 대신에, 비활성화의 요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QoS 플로우에 대하여 비활성화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상향 링크 패킷의 헤더 중에, QFI와 RQI의 세트, 또는 QFI와 비활성화의 요구를 나타내는 정보의 세트를, 복수개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모든 QoS 플로우에 대한 비활성화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QFI를 포함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UE_A(10)가 상향 링크 패킷의 헤더 중에 QFI나 RQI 등의 정보를 넣는다고 하는 것은, UE_A(10)가 상향 링크 패킷에 QFI나 RQI 등의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이어도 된다.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UE_A(10)로부터, QFI와 RQI의 1 이상의 세트, 또는 QFI와 비활성화의 요구를 나타내는 정보의 1 이상의 세트를 포함하는 상향 링크 패킷의 헤더를 수신한다. 여기서,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UE_A(10)로부터 복수의 QoS 플로우에 대하여 비활성화가 요구된 경우에는, 모든 QoS 플로우에 대한 비활성화의 요구를 수락해도 되고, 모든 QoS 플로우에 대한 비활성화의 요구를 거절해도 되고, 일부의 QoS 플로우에 대한 비활성화의 요구를 수락하고, 남은 QoS 플로우에 대한 비활성화의 요구를 거절해도 된다.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어떤 QoS 플로우에 대한 비활성화의 요구를 수락하는 경우에는, 그 QoS 플로우에 대응하는 QFI와, 비활성화의 요구를 수락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포함시켜, UE_A(10)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어떤 QoS 플로우에 대한 비활성화의 요구를 거절하는 경우에는, 그 QoS 플로우에 대응하는 QFI와, 비활성화의 요구를 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포함시켜, UE_A(10)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이들 정보는, 하나의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되고, 각각 별개의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모든 QoS 플로우에 대한 비활성화의 요구를 수락 또는 거절하는 경우에는, QFI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가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 중에 QFI나 RQI 등의 정보를 넣는다고 하는 것은,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가 하향 링크 패킷에 QFI나 RQI 등의 정보를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이어도 된다.
UE_A(10)는, QFI와, 비활성화의 요구를 수락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를 수신하면, RQoS 타이머의 값이 소멸되어 있지 않아도, QFI로 식별되는 QoS 플로우에 대응하는 RQoS에 관한 설정을 삭제한다. 바꾸어 말하면, UE_A(10)는, QFI와, 비활성화의 요구를 수락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를 수신하면, RQoS 타이머의 실행이 만료되어 있지 않아도, QFI로 식별되는 QoS 플로우에 대응하는 RQoS에 관한 설정을 삭제한다. 이때, UE_A(10)는, 그 QoS 플로우에 대하여, 디폴트 QoS를 적용한다. 반대로, UE_A(10)는, QFI와, 비활성화의 요구를 거절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를 수신한 경우에는, UE_A(10)는, QFI로 식별되는 QoS 플로우에 대응하는 RQoS에 관한 설정을 유지한다.
또한, 제1 비활성화 수순에 대한 설명에서는, 각종 정보를 모두, 헤더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것을 기재하였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UE_A(10)는, 송신해야 할 상향 링크의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상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포함시켜 송신하던 각종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상향 링크의 데이터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이때, 네트워크측은, 상향 링크의 데이터에 포함된 각종 정보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송신해야 할 하향 링크의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포함시켜 송신하던 각종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하향 링크의 데이터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이때, UE_A(10)측은, 하향 링크의 데이터에 포함된 각종 정보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다.
[1.3.5.2. 제2 RQoS 비활성화 수속의 개요]
이어서, 제2 비활성화 수순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1 이상의 모든 QoS 플로우에 대하여 비활성화해도 되고, 일부의 QoS 플로우에 대하여 비활성화해도 되고, 일부의 QoS 플로우에 대하여 비활성화해도 된다.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어떤 QoS 플로우에 대하여 비활성화하는 경우에는, 그 QoS 플로우에 대응하는 QFI와, 비활성화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포함시켜, UE_A(10)에 대하여 송신한다. 어떤 QoS 플로우에 대하여 비활성화하는 경우에는, 이들 정보를, 하나의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되고, 각각 별개의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모든 QoS 플로우에 대하여 비활성화하는 경우에는, QFI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어떤 QoS 플로우에 대하여 비활성화하지 않는 경우에는, 아무것도 송신하지 않는다.
UE_A(10)는, QFI와, 비활성화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를 수신하면, RQoS 타이머의 값이 소멸되어 있지 않아도, QFI로 식별되는 QoS 플로우에 대응하는 RQoS에 관한 설정을 삭제한다. 바꾸어 말하면, UE_A(10)는, QFI와, 비활성화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를 수신하면, RQoS 타이머의 실행이 만료되어 있지 않아도, QFI로 식별되는 QoS 플로우에 대응하는 RQoS에 관한 설정을 삭제한다. 이때, UE_A(10)는, 그 QoS 플로우에 대하여, 디폴트 QoS를 적용한다. 반대로, UE_A(10)는, QFI와, 비활성화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UE_A(10)는, QFI로 식별되는 QoS 플로우에 대응하는 RQoS에 관한 설정을 유지한다.
또한, 제2 비활성화 수순에 대한 설명에서는, 각종 정보를 전부 헤더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것을 기재하였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송신해야 할 하향 링크의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하향 링크 패킷의 헤더에 포함시켜 송신하던 각종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하향 링크의 데이터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이때, UE_A(10)측은, 하향 링크의 데이터에 포함된 각종 정보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다.
[2. 변형예]
본 발명에 관한 장치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Central Processing Unit(CPU) 등을 제어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프로그램 혹은 프로그램에 의해 취급되는 정보는, 일시적으로 Random Access Memory(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 혹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나 Hard Disk Drive(HDD), 혹은 그 밖의 기억 장치 시스템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도 된다.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게 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이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기로 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반도체 기록 매체, 광기록 매체, 자기 기록 매체, 단시간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매체, 혹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그 밖의 기록 매체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사용한 장치의 각 기능 블록 또는 제반 특징은, 전기 회로, 예를 들어 집적 회로 혹은 복수의 집적 회로에 실장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전기 회로는, 범용 용도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특정 용도용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그 밖의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디스크리트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포함해도 된다. 범용 용도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여도 되고, 종래형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스테이트 머신이어도 된다. 전술한 전기 회로는, 디지털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현재의 집적 회로를 대체할 집적 회로화 기술이 출현할 경우,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태는 당해 기술에 의한 새로운 집적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의 일례를 기재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옥내외에 설치되는 거치형, 또는 비가동형 전자 기기, 예를 들어 AV 기기, 키친 기기, 청소ㆍ세탁 기기, 공조 기기, 오피스 기기, 자동 판매기, 기타 생활 기기 등의 단말 장치 혹은 통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상이한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요소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끼리를 치환한 구성도 포함된다.
1: 이동 통신 시스템
5: DN_A
10: UE_A
45: eNB_A
80: E-UTRAN_A
105: DN_B
120: 5G-RAN_A
122: NR node_A
125: WLAN ANc
126: WAG_A
190: 코어 네트워크_B
230: SMF_A
232: SMF_B
235: UPF_A
237: UPF_B
240: AMF_A

Claims (8)

  1. 사용자 장치(UE)이며,
    상기 UE 는,
    PDU 세션 확립 절차에서 제1 패킷 데이터 유닛(PDU) 세션 확립 요청(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 상기 PDU 세션 확립 절차 동안 상기 UE에 의해 단일-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S-NSSAI)가 없고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DNN)이 없는 조합이 제공됨 -,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PDU 세션 확립 거절(SESSION ESTABLISHMENT REJECT)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상기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는 백-오프 타이머 값을 포함하고, 상기 백-오프 타이머 값은 0이 아니고 무효(deactivated)도 아님 -
    구성된 송수신 회로와,
    상기 백-오프 타이머 값으로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 회로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S-NSSAI가 없고 DNN이 없는 상기 조합에 대한 제2 PDU 세션 확립 요청(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전송하지 않도록 더 구성된, 사용자 장치.
  2. 사용자 장치(UE)를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PDU 세션 확립 절차에서 제1 패킷 데이터 유닛(PDU) 세션 확립 요청(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PDU 세션 확립 절차 동안 상기 UE에 의해 단일-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S-NSSAI)가 없고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DNN)이 없는 조합이 제공됨 -;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PDU 세션 확립 거절(SESSION ESTABLISHMENT REJEC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PDU 세션 확립 거절 메시지는 백-오프 타이머 값을 포함하고, 상기 백-오프 타이머 값은 0이 아니고 무효(deactivated)도 아님 -;
    상기 백-오프 타이머 값으로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S-NSSAI가 없고 DNN이 없는 상기 조합에 대한 제2 PDU 세션 확립 요청(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전송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7001378A 2017-06-19 2018-06-19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KR102655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19515A JP6698587B2 (ja) 2017-06-19 2017-06-19 Ue及びueの通信制御方法
JPJP-P-2017-119515 2017-06-19
PCT/JP2018/023200 WO2018235793A1 (ja) 2017-06-19 2018-06-19 端末装置及び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502A KR20200017502A (ko) 2020-02-18
KR102655762B1 true KR102655762B1 (ko) 2024-04-09

Family

ID=6473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378A KR102655762B1 (ko) 2017-06-19 2018-06-19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190930B2 (ko)
EP (1) EP3644647B1 (ko)
JP (1) JP6698587B2 (ko)
KR (1) KR102655762B1 (ko)
CN (1) CN110754114A (ko)
BR (1) BR112019027007A2 (ko)
CA (1) CA3067783A1 (ko)
ES (1) ES2899678T3 (ko)
IL (1) IL271591B2 (ko)
PL (1) PL3644647T3 (ko)
RU (1) RU2767983C2 (ko)
SG (1) SG11201912042XA (ko)
WO (1) WO2018235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1592B (zh) * 2017-08-08 2021-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功能服务的发现方法及设备
CN109982391B (zh) * 2017-12-28 2023-04-11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EP3753300A4 (en) 2018-02-16 2021-03-24 NEC Corporation DISTINCTION BETWEEN GENERAL NAS LEVEL OVERLOAD AND S-NSSAI-RELATED OVERLOAD CONTROL
JP6855431B2 (ja) * 2018-11-16 2021-04-07 シャープ株式会社 Ue及びueの通信制御方法
CN113747522A (zh) * 2020-05-30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及装置
US11864026B2 (en) * 2020-09-18 2024-01-0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 barring based on slice information
CN112235777B (zh) * 2020-10-16 2022-11-2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20220141705A1 (en) * 2020-10-29 2022-05-05 Apple Inc. Reflective QoS Enhancements
CN112672381B (zh) * 2021-01-13 2022-11-11 深圳市恒扬数据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关联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EP4309422A4 (en) * 2022-03-21 2024-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PROCEDURES FOR REASSESSING POLICY RULES FOR SELECTING USER EQUIPMENT ROUTES
WO2023204641A1 (en) * 2022-04-20 2023-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ue in telecommunication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3380A1 (en) * 2011-10-27 2014-08-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quality of service of up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364035C2 (ru) * 2004-06-16 2009-08-1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линией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9974090B2 (en) * 2013-07-03 2018-05-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PC enhancements for proximity services
WO2015102444A1 (ko) * 2014-01-04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통신을 위한 탐지 신호 전송 방법 및 사용자 장치
JP6700782B2 (ja) 2015-12-28 2020-05-27 日立造船株式会社 内面電子線照射装置
KR102580332B1 (ko) * 2016-10-31 2023-09-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비스 별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691171B (zh) * 2017-08-18 2022-01-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反射业务质量配置的方法及装置和信息发送方法及装置
US10893434B2 (en) * 2017-10-13 2021-01-12 Nokia Technologies Oy UE session management QoS capability negotiation and QoS control realization
US20190306744A1 (en) * 2018-03-28 2019-10-03 Mediatek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rmining reflective quality of service (rqos) support by an rq timer
US11190989B2 (en) * 2018-05-22 2021-11-30 Apple Inc. Mobility management for inter-gNB (next generation node-b) handover in new radio (NR) systems
KR20200062793A (ko) * 2018-11-27 202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어러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171529A1 (en) * 2019-02-22 2020-08-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related to packet switch data of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3380A1 (en) * 2011-10-27 2014-08-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quality of service of up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164548
3GPP S2-164960
3GPP S2-165267
3GPP TR23.799 v1.0.1
ETRI, S2-171070, 23.501: Reflective QoS Deactivation and Derived QoS Rule handling, 3GPP TSG SA WG2 #119, 3GPP 서버공개일(2017.02.07.) 1부.*
Intel et al., S2-174038, 23.501 Corrections to Reflective QoS, 3GPP TSG SA WG2 #121, 3GPP 서버공개일(2017.05.2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4647A4 (en) 2020-06-03
BR112019027007A2 (pt) 2020-06-30
IL271591B2 (en) 2024-05-01
CA3067783A1 (en) 2018-12-27
IL271591B1 (en) 2024-01-01
US11190930B2 (en) 2021-11-30
KR20200017502A (ko) 2020-02-18
RU2020101662A3 (ko) 2021-10-04
RU2767983C2 (ru) 2022-03-22
IL271591A (en) 2020-02-27
JP2019004408A (ja) 2019-01-10
PL3644647T3 (pl) 2022-02-21
EP3644647B1 (en) 2021-10-13
SG11201912042XA (en) 2020-01-30
CN110754114A (zh) 2020-02-04
WO2018235793A1 (ja) 2018-12-27
EP3644647A1 (en) 2020-04-29
US20200196133A1 (en) 2020-06-18
ES2899678T3 (es) 2022-03-14
RU2020101662A (ru) 2021-07-20
JP6698587B2 (ja)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5762B1 (ko)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JP6854712B2 (ja) Ue及びueの通信制御方法
JP7045808B2 (ja) Ue及びueの通信制御方法
RU2770651C2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пользовател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для оборудова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устройство опорной сет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опорной сети, smf,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для smf, upf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для upf
WO2019098392A1 (ja) Ue及びueの通信制御方法
JP2021166359A (ja) UE(User Equipment)
WO2020145305A1 (ja) Ue、及びsmf
WO2020100637A1 (ja) Ueおよびsmf
KR20200088434A (ko) Ue 및 ue의 통신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