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220B1 -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 - Google Patents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220B1
KR102655220B1 KR1020210130456A KR20210130456A KR102655220B1 KR 102655220 B1 KR102655220 B1 KR 102655220B1 KR 1020210130456 A KR1020210130456 A KR 1020210130456A KR 20210130456 A KR20210130456 A KR 20210130456A KR 102655220 B1 KR102655220 B1 KR 102655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ase
lens
unit
moving block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6895A (ko
Inventor
박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13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220B1/ko
Publication of KR2023004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6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related to manufacture, e.g. testing after manufa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는, 장착그릴에 설치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피씨비조립체와, 피씨비조립체를 커버하도록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에 구비되고, 장착그릴에서 전측으로 노출되어 피씨비조립체를 통해 배터리 충전량과 충전상태 정보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INTEGRATED TYPE BATTERY INDICATOR}
본 발명은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디케이터와 콘트롤을 통합형으로 1개의 부품으로 제작함으로써, 조립공간을 줄일 수 있어 조립 위치 자유도가 향상되고, 부품수를 절감하여 제품 안정성 및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는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자동차와 같이 친환경 차량에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커넥터, 배터리 충전 완료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램프 등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가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충전장치의 충전 완료 표시 램프는 충전 커넥터가 있는 위치에 구비되며, 보통 ON/OFF 타입의 램프로 이루어져 점등 여부에 따라 충전 작업자가 충전 완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종래의 인디케이터에는 충전량과 충전상태에 따른 정보를 전달하는 콘트롤(control)이 별도로 분리되어 장착되어 있다. 콘트롤에서 인디케이터로 전달된 정보는 인디케이터의 정면부의 램프를 통해 표현이 되며, 충전량과 충전상태에 따라 점등구간 및 색상이 변화되는 특징을 가지며, 버튼을 통한 충전 제어 역할도 수행한다.
그런데, 기존에는 콘트롤과 인디케이터가 2개의 부품으로 별도로 분리되어 형성됨에 따라 조립공간의 확보가 필요하고, 이 2개의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및 와이어링등이 추가로 필요하며, 조립을 위한 맨아워가 증가함에 따라 작업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96318호(2016.08.16, 발명의 명칭: 전기자동차의 충전게이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인디케이터와 콘트롤을 통합형으로 1개의 부품으로 제작함으로써, 조립공간을 줄일 수 있어 조립 위치 자유도가 향상되고, 부품수를 절감하여 제품 안정성 및 작업공수를 줄일수 있는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는, 장착그릴에 설치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피씨비조립체; 상기 피씨비조립체를 커버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그릴에서 전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피씨비조립체를 통해 배터리 충전량과 충전상태 정보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케이스는 체결부를 통해 상기 장착그릴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장착그릴에 형성되는 나사홀부; 상기 상부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홀부에 대응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나사홀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케이스를 상기 장착그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는 결속부에 의해 상호 결속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결속홀부가 형성되는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홀부에 걸림 장착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디케이터유닛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에 다수개 구비되어 배터리 충전량 정보를 알려주는 충전량알림부; 상기 설치부에 다수개 구비되어 배터리 충전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온오프버튼부; 및 상기 충전량알림부와 상기 온오프버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인디케이터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량알림부는, 상기 설치부에 구비되고, 다수개의 칸으로 분리 형성되는 렌즈홀부; 상기 렌즈홀부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피씨비조립체에 다수개 구비되어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완충시 색상이 변경되는 엘이디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오프버튼부는, 상기 설치부에 구비되고, 개방공간을 형성하는 개방공간부; 상기 개방공간부에 구비되어 상하로 작동하고, 상측에 온오프버튼이 구비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에 눌려지도록 상기 피씨비조립체에 구비되는 접촉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디케이터덮개부는, 상기 렌즈부와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설치부에 결합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의 충전정보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개방홀부; 및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를 통해 충전이 완료된 경우 작동하여 상기 온오프버튼부를 눌러 상기 이동블록을 작동하는 작동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는 구속부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구속 설치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설치부에 둘레에 장착홀부를 가지면서 젖혀지도록 형성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홀부에 걸림 장착되어 상기 커버부를 상기 설치부에 구속하는 구속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는, 인디케이터와 콘트롤을 통합형으로 1개의 부품으로 제작함으로써, 조립공간을 줄일 수 있어 조립 위치 자유도가 향상되고, 부품수를 절감하여 제품 안정성 및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장착그릴 전면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장착그릴 후면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저면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A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장착그릴 전면 설치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장착그릴 후면 설치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저면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A-A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는, 상부케이스(100), 피씨비조립체(200), 하부케이스(300) 및 인디케이터유닛(400)을 포함한다.
상부케이스(100)는 장착그릴(10)에 설치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수용공간은 상부케이스(100)하부에서 피씨비조림체(200)를 수용 가능한 공간이다.
여기서, 장착그릴(10)은 자동차용 전면그릴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자동차에서 장착그릴(10)이 전면그릴 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배터리를 충전할 때, 충전량과 충전상태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장착그릴(10)에는 개방도어(20)가 구비된다. 개방도어(20)는 평상시 장착그릴(10)에 설치되어 있으나, 배터리 충전량 정보 및 충전상태 확인시 오픈된다.
상부케이스(100)는 체결부(150)를 통해 장착그릴(1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50)는, 장착그릴(10)에 형성되는 나사홀부(151)와, 상부케이스(100)에 구비되고, 나사홀부(151)에 대응하는 지지부재(152)와, 지지부재(152)를 통해 나사홀부(151)에 체결되어 상부케이스(100)를 장착그릴(10)에 고정하는 체결부재(153)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52)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다수개의 보강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재(153)는 볼트 또는 나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152)는 도면상으로 대략 3개정도 구비될 수 있으나, 지지부재(152)와 체결부재(153)가 구비되는 개수는 체결정도를 감안하여 증감 가능하다.
피씨비조립체(200)는 상부케이스(100)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피씨비조립체(200)는 배터리 저장량 정보와 충전상태 정보를 커넥터를 통해 배터리와 연결되어 처리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300)는 피씨비조립체(200)를 커버하도록 상부케이스(100)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300)는 결속부(350)에 의해 상호 결속될 수 있다.
결속부(350)는, 상부케이스(10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결속홀부(352)가 형성되는 결속부재(351)와, 결속홀부(352)에 걸림 장착되도록 하부케이스(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후크(353)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300)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실링부재(360)가 설치된다. 실링부재(360)는 원형 단면을 갖는 오링을 포함한다.
상부케이스(100), 피씨비조립체(200), 하부케이스(300)의 조립과정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하부케이스(300)에 피씨비조립체(200)를 안착시키고서, 결합부재(220)를 피씨비조립체(200)에 관통 형성된 끼움홀(210)에 끼운 후, 하부케이스(300)의 결합홀(230)에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피씨비조립체(200)가 하부케이스(300)에 설치된다.
연이어, 상부케이스(100)를 하부케이스(300) 측으로 진입시키면, 결속부재(351)가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하부케이스(300)의 걸림후크(353)측으로 진입된다.
그다음, 결속부재(351)의 결속홀부(352)가 걸림후크(353)에 도달하는 순간 젖혀졌던 결속부재(351)가 원상복귀하면서, 걸림후크(353)가 결속홀부(352)에 걸림 장착되어 상부케이스(100)가 피씨비조립체(200)를 커버하는 상태로 하부케이스(300)에 결합된다.
인디케이터유닛(300)은 상부케이스(100)에 구비되고, 장착그릴(10)에서 전측으로 노출되어 피씨비조립체(200)를 통해 배터리 충전량과 충전상태 정보를 알려주는 구성이다.
인디케이터유닛(300)은, 상부케이스(100)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설치부(410)와, 설치부(410)에 다수개 구비되어 배터리 충전량 정보를 알려주는 충전량알림부(420)와, 설치부(410)에 다수개 구비되어 배터리 충전상태에 따라 사용자에세 표시하는 온오프버튼부(430)와, 충전량알림부(420)와 온오프버튼부(430)를 커버하도록 설치부(410)에 설치되는 인디케이터덮개부(460)를 포함한다.
설치부(410)는 상부케이스(100)의 일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장착그릴(10)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충전량알림부(420)는, 설치부(410)에 구비되고, 다수개의 칸으로 분리 형성되는 렌즈홀부(421)와, 렌즈홀부(421)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렌즈부(422)와, 렌즈부(422)에 각각 대응되도록 피씨비조립체(200)에 다수개 구비되어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완충시 색상이 변경되는 엘이디소자(423)를 포함한다.
렌즈부(422)는 투명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엘이디소자(423)에서 투사되는 조명을 투과하여 장착그릴(10)의 전면으로 조사시킨다.
엘이디소자(423)는 3개정도 구비된다. 엘이디소자(423)는 처음 단계에서 1개 작동하고, 중간단계에서 2개 작동하며, 완충시 3개 작동하면서 색상이 전환(예를들어 적색에서 녹색으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완전충전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렌즈부(422)의 둘레에는 안내걸림돌기부(424)가 형성되고, 렌즈홀부(421)에는 안내걸림돌기부(424)를 가이드하여 렌즈부(422)가 엘이디소자(423)와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부(410)에서 렌즈부(422)를 지지하는 안내걸림홈부(425)가 형성된다.
안내걸림돌기부(424)는 렌즈부(422)의 어느 일측에 하단부에 걸림 가능하게 돌출 형성된다.
온오프버튼부(430)는, 설치부(410)에 구비되고, 개방공간을 형성하는 개방공간부(431)와, 개방공간부(431)에 구비되어 상하로 작동하고, 상측에 온오프버튼(432a)이 구비되는 이동블록(432)과, 이동블록(432)에 눌려지도록 피씨비조립체(200)에 구비되는 접촉스위치(433)를 포함한다.
이동블록(432)은 상하이동부(435)에 의해 승강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하이동부(435)는, 개방공간부(431)의 내측면에 다수개 구비되는 슬라이드홈부(436)와, 슬라이드홈부(436)에 끼워져 상하 이동하도록 이동블록(432)의 측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슬라이드돌기부(437)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돌기부(437)은 이동블록(432)의 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이동블록(432)이 개방공간부(431)에서 좌우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한다.
이동블록(432)은 상승제한부(440)에 의해 조립 후 상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승제한부(440)는, 개방공간부(431)의 하측 내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상승제한홈부(441)와, 상승제한홈부(441)에 걸려져 이동블록(432)의 상승이 제한되도록 이동블록(532)의 하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상승제한돌기부(442)를 포함한다.
이동블록(432)은 하강제한부(450)에 의해 조립후 과도한 눌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접촉스위치(433)는 과도한 눌림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하강제한부(450)는, 개방공간부(431)의 상측 내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하강제한홈부(451)와, 하강제한홈부(451)에 걸려져 접촉스위치(433)를 누를 때 이동블록(432)의 과도한 하강이 제한되도록 이동블록(432)의 상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하강제한돌기부(452)를 포함한다.
인디케이터덮개부(460)는, 렌즈부(422)와 이동블록(432)을 설치부(410)에 결합하는 커버부(461)와, 커버부(461)에 구비되고, 렌즈부(422)의 충전정보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개방홀부(462)와, 커버부(461)에 구비되고, 렌즈부(422)를 통해 충전이 완료된 경우 작동하여 온오프버튼(432a)을 눌러 이동블록(432)을 작동하는 작동홀부(463)를 포함한다.
커버부(461)는 구속부(470)에 의해 설치부(410)에 구속 설치될 수 있다.
구속부(470)는, 설치부(410)에 둘레에 장착홀부(472)를 가지면서 젖혀지도록 형성되는 장착부재(471)와, 장착홀부(472)에 걸림 장착되도록 커버부(4610의 외측에 구비되고, 커버부(461)를 설치부(410)에 구속하는 구속돌기부(473)를 포함한다.
설치부(410)와 커버부(461) 사이에는 밀봉부재(480)가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봉부재(480)는 원형 단면을 갖는 오링을 포함한다.
구속부(470)의 조립과정을 살펴 보면, 커버부(461)를 설치부(410) 측으로 진입시키면, 커버부(461)의 외측에 형성된 구속돌기부(473)가 장착부재(471) 측으로 진입하면서 장착부재(471)가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연이어, 커버부(461)가 더 하강하게 되면서, 구속돌기부(473)가 장착부재(471)의 장착홀부(472)에 진입하는 순간 젖혀졌던 장착부재(471)가 원상복귀하면서, 커버부(461)가 설치부(410)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는, 인디케이터와 콘트롤을 통합형으로 1개의 부품으로 제작함으로써, 조립공간을 줄일 수 있어 조립 위치 자유도가 향상되고, 부품수를 절감하여 제품 안정성 및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장착그릴 100: 상부케이스
150: 체결부 151: 나사홀부
152: 지지부재 153: 체결부재
200: 피씨비조립체 300: 하부케이스
350: 결속부 351: 결속부재
352: 결속홀부 353: 걸림후크
360: 실링부재 400: 인디케이터유닛
410: 설치부 420: 충전량알림부
421: 렌즈홀부 422: 렌즈부
423: 엘이디소자 424: 안내걸림돌기부
425: 안내걸림홈부 430: 온오프버튼부
431: 개방공간부 432: 이동블록
433: 접촉스위치 435: 상하이동부
436: 슬라이드홈부 440: 상승제한부
441: 상승제한홈부 442: 상승제한돌기부
450: 하강제한부 451: 하강제한홈부
452: 하강제한돌기부 460: 인디케이터덮개부
461: 커버부 462: 개방홀부
463: 작동홀부 470: 구속부
471: 장착부재 472: 장착홀부
473: 구속돌기부 480: 밀봉부재

Claims (8)

  1. 장착그릴에 설치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피씨비조립체; 상기 피씨비조립체를 커버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그릴에서 전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피씨비조립체를 통해 배터리 충전량과 충전상태 정보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유닛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에 다수개 구비되어 배터리 충전량 정보를 알려주는 충전량알림부; 상기 설치부에 다수개 구비되어 배터리 충전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온오프버튼부; 및 상기 충전량알림부와 상기 온오프버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인디케이터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오프버튼부는, 상기 설치부에 구비되고, 개방공간을 형성하는 개방공간부; 상기 개방공간부에 구비되어 상하로 작동하고, 상측에 온오프버튼이 구비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에 눌려지도록 상기 피씨비조립체에 구비되는 접촉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블록은 하강제한부에 의해 과도한 눌림이 방지되고, 상기 하강제한부는, 상기 개방공간부의 상측 내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하강제한홈부; 및 상기 하강제한홈부에 걸려져 상기 접촉스위치를 누를 때 상기 이동블록의 과도한 하강이 제한되도록 상기 이동블록의 상측 둘레에 돌출되는 하강제한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량알림부는, 상기 설치부에 구비되고, 다수개의 칸으로 분리 형성되는 렌즈홀부; 상기 렌즈홀부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피씨비조립체에 다수개 구비되어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완충시 색상이 변경되는 엘이디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의 둘레에는 안내걸림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홀부에는 상기 안내걸림돌기부를 가이드하여 상기 렌즈부가 상기 엘이디소자와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부에서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는 안내걸림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걸림돌기부는 상기 렌즈부의 어느 일측 하단부에 걸림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록은 상하이동부에 의해 승강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개방공간부의 내측면에 다수개 구비되는 슬라이드홈부;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끼워져 상하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블록의 측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슬라이드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돌기부는 상기 이동블록의 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블록이 상기 개방공간부에서 좌우로 유동없이 승강하도록 안내하며,
    상기 이동블록은 상승제한부에 의해 조립 후 상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상승제한부는, 상기 개방공간부의 하측 내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상승제한홈부; 및 상기 상승제한홈부에 걸려져 상기 이동블록의 상승이 제한되도록 상기 이동블록의 하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상승제한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체결부를 통해 상기 장착그릴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장착그릴에 형성되는 나사홀부;
    상기 상부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홀부에 대응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나사홀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케이스를 상기 장착그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는 결속부에 의해 상호 결속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결속홀부가 형성되는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홀부에 걸림 장착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덮개부는,
    상기 충전량알림부에 구비된 렌즈부와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설치부에 결합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의 충전정보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개방홀부; 및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를 통해 충전이 완료된 경우 작동하여 상기 온오프버튼부를 눌러 상기 이동블록을 작동하는 작동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구속부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구속 설치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설치부에 둘레에 장착홀부를 가지면서 젖혀지도록 형성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홀부에 걸림 장착되어 상기 커버부를 상기 설치부에 구속하는 구속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
KR1020210130456A 2021-09-30 2021-09-30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 KR102655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456A KR102655220B1 (ko) 2021-09-30 2021-09-30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456A KR102655220B1 (ko) 2021-09-30 2021-09-30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895A KR20230046895A (ko) 2023-04-06
KR102655220B1 true KR102655220B1 (ko) 2024-04-05

Family

ID=8591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456A KR102655220B1 (ko) 2021-09-30 2021-09-30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2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781B1 (ko) * 2016-01-26 2016-10-14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전기 자전거용 다기능 배터리장치
KR102094383B1 (ko) * 2019-03-27 2020-03-27 곽호영 배터리 관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4990B2 (ja) * 2011-05-31 2015-09-24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表示装置
DE102016117440A1 (de) * 2016-09-16 2018-03-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Korrektur eines Ladestands einer Ladestandsanzei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781B1 (ko) * 2016-01-26 2016-10-14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전기 자전거용 다기능 배터리장치
KR102094383B1 (ko) * 2019-03-27 2020-03-27 곽호영 배터리 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895A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86087B (zh) 连接器盒及其组装方法
EP3293850B1 (en) Charger
US4241870A (en) Remote transmitter and housing
US20120218779A1 (en) Lighting structure of charging connector
KR101441265B1 (ko) 실내 램프의 고정 구조물
CN102644906B (zh) 用于充电连接器的照明单元
EP2690733B1 (en) Storage box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CN111904328B (zh) 吸尘器
US5646457A (en) Neutral safety switch control device using a rotatable magnet for controlling remote vehicle starting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manual transmission
KR102655220B1 (ko) 통합형 배터리 인디케이터
EP1608910B1 (en) A flashlight or lighting device
EP3822129B1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9989211B2 (en) Vehicle lamp with particular sealing gasket
CN211055074U (zh) 车辆电源插口
CN1551264A (zh) 电磁继电器
CN100443782C (zh) 用于自动变速器车辆的指示器
CN102255196A (zh) 插座及具备该插座的充电装置
US20050048834A1 (en) Parts half-mounting prevention connection block and electric connection box provided with same
CN109131143A (zh) 车辆的内饰面板
JP3545961B2 (ja) 電話機ホルダー
CN106926775A (zh) 照明装置的安装结构
CN214189483U (zh) 一种新型汽车顶灯
CN210467644U (zh) 一种车辆的辅助功能的开关
CN104246232A (zh) 换气扇
CN218768659U (zh) 一种车载电源控制机构和车载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