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644B1 -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644B1
KR102654644B1 KR1020220017707A KR20220017707A KR102654644B1 KR 102654644 B1 KR102654644 B1 KR 102654644B1 KR 1020220017707 A KR1020220017707 A KR 1020220017707A KR 20220017707 A KR20220017707 A KR 20220017707A KR 102654644 B1 KR102654644 B1 KR 102654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steam
tunnel
film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0895A (ko
Inventor
홍성곤
Original Assignee
홍성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곤 filed Critical 홍성곤
Priority to KR1020220017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644B1/ko
Publication of KR20230120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3/00Shrinking wrappers, containers, or container covers during or after packaging
    • B65B53/02Shrinking wrappers, containers, or container covers during or after packaging by heat
    • B65B53/06Shrinking wrappers, containers, or container covers during or after packaging by heat supplied by gases, e.g. hot-air jets
    • B65B53/063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는, 열풍과 스팀을 열원으로 사용하여 열 수축성 필름을 제품용기에 수축 포장하기 위한 필름 수축 포장장치에 있어서, 포장대상물인 필름이 씌워진 상태의 제품용기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수평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가 구비된 이송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수평 이송되는 상기 제품용기를 향해 열풍과 고열의 스팀을 분사하여 가열하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 후단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제1가열부를 통과한 상기 제품용기를 향해 열풍을 분사하여 가열하는 제2가열부; 상기 이송부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제1가열부에 고열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보일러; 및 상기 이송부 하부 타측에 설치되고, 열풍 온도, 열풍 공급 속도, 스팀 온도, 컨베이어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필름 수축 포장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FILM SHRINK WRAP DEVICE USING HOT AIR AND STEAM}
본 발명은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품용기에 필름 수축 포장을 하는 데 있어서, 열풍과 스팀을 함께 이용하여 필름을 수축 포장함으로써, 필름 수축 포장의 완성도는 높이고, 필름 수축 포장 과정 중 스팀에 의해 필름에 맺히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로 필름 수축 포장을 완료할 수 있어 즉시 박스 포장작업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풍과 스팀을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 수축 포장장치는 각종 내용물을 채운 병, 캔, 튜브와 같은 제품용기의 표면에 플라스틱을 연화점보다 조금 낮은 온도로 단 방향 또는 종횡 양 방향으로 연신 냉각하여 일정 이상의 열량을 공급할 때 잔류응력의 해소를 위해 수축하는 성질을 부여한 열 수축성 필름을 사용하여 느슨한 필름 커버로 덧입힌 후 열풍 또는 스팀으로 가열 수축시켜 제품용기의 표면 보호 및 밀봉 포장을 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필름 수축 포장장치는 수축 필름에 감싸여진 제품용기가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되는 과정에서 스팀 수축 포장유닛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수축 포장유닛은 스팀 또는 히터의 열기를 제품용기에 전달함으로써 수축필름이 제품용기의 외형에 꼭 맞게 수축작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필름 수축 포장장치는 필름을 수축시키는 열원에 따라 크게 열풍을 이용하는 열풍방식과 고열의 스팀을 이용하는 스팀방식이 있다.
열풍방식의 경우 수축필름에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을 송풍하여 필름을 수축시키는 방식으로, 수축 포장이 완료되면 즉시 박스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제품용기의 표면 전체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는데 한계가 있어 복잡한 형상의 제품용기에는 필름 수축 시 제품의 완성도가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스팀방식의 경우 수축필름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여 필름을 수축시키는 방식으로, 스팀 특성상 공간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제품용기 표면 전체에 고르게 열을 전달할 수 있어 제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필름 수축 포장이 완료된 이후 필름 표면에 스팀에 의한 물기가 잔존함에 따라 물기를 제거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여 즉시 박스포장이 이루어질 수 없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내부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외부로 새어나와 필름 수축 포장장치 주변에 잔존함에 따라 주변 시설물을 부식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열 수축성 필름 재질의 포장재로 포장하는 과정에 열원으로 사용하는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포장기의 스팀 공급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29532)'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팀 포장기의 스팀 공급장치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용기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분사되는 스팀의 위치와 양을 간편하게 조절 및 조절된 스팀을 넓고 고르게 공급하여 덧입혀지는 열 수축성 필름 재질의 포장파우치를 빠르고 고르게 제품용기의 표면에 수축 압착시켜 포장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스팀 포장기의 스팀 공급장치는 일종의 스팀방식의 필름 수축 포장장치로서, 제품용기에 필름 수축 포장을 한 이후 스팀에 의해 제품용기의 필름 표면에 물기가 잔존할 수 있지만 이러한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필름 수축 포장이 완료되더라도 즉시 박스 포장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필름 수축 포장을 하는 데 있어서, 스팀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상의 제품용기에 대응하도록 하여 필름 수축 포장 완성도는 높이고, 스팀에 의해 발생하는 필름 표면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된 필름 수축 포장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29532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용기에 필름 수축 포장을 하는 데 있어서,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여 필름을 수축 포장함으로써, 필름 수축 포장의 완성도는 높이고, 필름 수축 포장 과정 중 스팀에 의해 필름에 맺히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로 필름 수축 포장을 완료할 수 있어 즉시 박스 포장작업까지 이루어질 수 있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는, 열풍과 스팀을 열원으로 사용하여 열 수축성 필름을 제품용기에 수축 포장하기 위한 필름 수축 포장장치에 있어서, 포장대상물인 필름이 씌워진 상태의 제품용기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수평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가 구비된 이송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수평 이송되는 상기 제품용기를 향해 열풍과 고열의 스팀을 분사하여 가열하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 후단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제1가열부를 통과한 상기 제품용기를 향해 열풍을 분사하여 가열하는 제2가열부; 상기 이송부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제1가열부에 고열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보일러; 및 상기 이송부 하부 타측에 설치되고, 열풍 온도, 열풍 공급 속도, 스팀 온도, 컨베이어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필름 수축 포장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컨베이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품용기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통과하기 위해 중심부분에 통로가 구비되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열풍이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홀과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분사노즐이 설치되는 제1터널부; 상기 제1터널부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터널부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제1송풍기; 및 상기 제1터널부 내부 공간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수평 배치되고,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제1터널부 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 및 스팀을 회수한 후 상기 제1터널부의 통로로 재공급시키는 제1리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리턴부는, 상기 제1터널부 상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1재순환펌프; 일측이 상기 제1재순환펌프의 흡입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터널부의 입구 부근에 위치되도록 연장되는 제1흡입배관; 일측이 상기 제1재순환펌프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터널부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제1토출배관; 및 상기 제1토출배관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토출배관을 통해 토출되는 열풍 및 스팀이 상기 제1터널부의 통로로 공급되면 대류를 형성하여 다시 상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하측 방향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공간이 확장되도록 상협하광 형태로 하단이 개구된 가이드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덕트에는, 상기 제1재순환펌프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 및 스팀에 의해 회전하는 무동력 방식의 임펠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홀은,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배열되어 타공되되,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과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출구 부근에 각각 형성되는 제1열풍홀; 및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는 제2열풍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열풍홀과 상기 제2열풍홀은 타공된 홀의 모양 및 형태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열풍홀은,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에 설치되는 것은,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에서 상기 컨베이어 진행방향을 향해 방향성을 가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출구 부근에 설치되는 것은,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출구 부근에서 상기 컨베이어 진행 반대방향을 향해 방향성을 가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고, 토출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토출공간이 확장되고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분사노즐은,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배열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에 설치되는 일부는 상기 제품용기에 대해 하부 범위에만 스팀이 분사되도록 하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분사노즐은, 각각이, 45° 또는 60°의 분사각도를 가지도록 이루어진 스파이럴 노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컨베이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품용기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통과하기 위해 중심부분에 통로가 구비되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열풍이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홀이 설치되는 제2터널부; 상기 제2터널부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터널부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제2송풍기; 및 상기 제2터널부 내부 공간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수평 배치되고,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제2터널부 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을 회수한 후 상기 제2터널부의 통로로 재공급시키는 제2리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리턴부는, 상기 제2터널부 상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재순환펌프; 일측이 상기 제2재순환펌프의 흡입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터널부의 입구 부근에 위치되도록 연장되는 제2흡입배관; 일측이 상기 제2재순환펌프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터널부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제2토출배관; 및 상기 제2토출배관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토출배관을 통해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제2터널부의 통로로 공급되면 대류를 형성하여 다시 상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하측 방향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공간이 확장되도록 상협하광 형태로 하단이 개구된 가이드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덕트에는, 상기 제2재순환펌프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에 의해 회전하는 무동력 방식의 임펠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컨베이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품용기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통과하기 위해 중심부분에 통로가 구비되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열풍이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홀과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분사노즐이 설치되는 제1터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컨베이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품용기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통과하기 위해 중심부분에 통로가 구비되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열풍이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홀이 설치되는 제2터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터널부의 열풍홀은,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배열되어 타공되고, 상기 제2터널부의 열풍홀은, 상기 제2터널부 양측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배열되어 타공되며, 상기 제2터널부의 열풍홀은 상기 제1터널부의 열풍홀보다 더 좁은 간격마다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단부에는, 상기 제1터널부의 통로로 공급된 열풍 및 스팀이 상기 제1터널부 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보다 더 돌출 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된 유체 흐름방지판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는, 제품용기에 필름 수축 포장을 하는 데 있어서, 열풍과 스팀을 동시에 이용하여 필름을 수축 포장함으로써, 필름 수축 포장의 완성도는 높이고, 필름 수축 포장 과정 중 스팀에 의해 필름에 맺히는 물기를 최종적으로 열풍을 이용하여 완전히 제거한 상태로 필름 수축 포장을 완료할 수 있어 필름 수축 포장이 완료된 이후 즉시 박스 포장작업까지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완성도는 높이면서 작업의 효율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되는 스팀이 필름 수축 포장장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강제 흡입 후 재순환시킴으로써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단속함은 물론 재순환되어 공급되는 스팀의 열에너지를 재활용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일 수 있고, 필름 수축 포장장치가 설치된 공간 주변에 스팀 잔존함에 따른 주변시설의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측면도.
도 3은 제1터널부 및 제2터널부의 열풍홀 부분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제1리턴부를 통해 순환하는 열풍 및 스팀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2리턴부를 통해 순환하는 열풍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유체 흐름방지판이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터널부의 평면부분 요부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는 제품용기에 필름 수축 포장을 하는 데 있어서,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여 필름을 수축 포장함으로써, 필름 수축 포장의 완성도는 높이고, 필름 수축 포장 과정 중 스팀에 의해 필름에 맺히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로 필름 수축 포장을 완료할 수 있어 즉시 박스 포장작업까지 이루어질 수 있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이하, 필름 수축 포장장치라 함)는 크게 이송부(10), 제1가열부(20), 제2가열부(30), 스팀보일러(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송부(10)는 포장대상물인 필름(F)이 씌워진 상태의 제품용기(1)를 설치 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진행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11)는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제품용기(1)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으로, 설정 속도에 따라 복수 개의 제품용기(1)를 순차적으로 상차된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이송부(10)는 기본적으로 상기 컨베이어(11)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수평상으로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프레임(13)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3)은 후술하는 제1가열부(20) 및 제2가열부(3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 및 설치면을 제공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3) 하부에는 후술하는 스팀보일러(40) 및 제어부(50)가 설치되기 위한 거치대(15)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기 지지프레임(13)은 기본 베이스 프레임에 해당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프레임(13) 일측에는 상기 컨베이어(1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3) 하부에는 일측이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3)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14)가 설치될 수 있고, 용이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바퀴)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프레임(13)은 복수 개의 개별 프레임들의 조합에 의해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고, 형태 및 구성은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필름 수축 포장장치의 각 구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 및 설치면을 제공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이송부(10)는 제품용기(1)의 수축 필름 포장 공정이 진행되기 위해 수평 이동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컨베이어(11)가 설치되기 위한 기본 프레임에 해당하고, 또한 제1가열부(20), 제2가열부(30), 스팀보일러(40) 및 제어부(50)가 설치되기 위한 프레임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제1가열부(20)는 상기 컨베이어(11)를 통해 수평 이송되는 필름(F)이 씌워진 상태의 상기 제품용기(1)를 향해 1차적으로 열풍과 고열의 스팀을 분사하여 가열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가열부(20)는 상기 컨베이어(11) 상부에 배치(상차)되고, 상기 제품용기(1)가 상기 컨베이어(11)를 통해 통과하기 위해 중심부분에 통로(22)가 구비되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열풍이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홀(23)과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분사노즐(24)이 설치되는 제1터널부(21), 상기 제1터널부(21)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터널부(21)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제1송풍기(25) 및 상기 제1터널부(21) 내부 공간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수평 배치되고, 상기 제1송풍기(25)를 통해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봉(2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인버터(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제1송풍기(25)를 통해 상기 제1터널부(21)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제1터널부(21)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히팅봉(26)에 의해 주입된 공기가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열풍)는 상기 제1터널부(21) 내측면에 형성된 열풍홀(23)을 통해 통로(22)를 향해 분사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11)를 통해 이송되는 제품용기(1)의 필름(F)으로 열풍이 분사되어 필름 수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열풍홀(23)을 통해 분사되는 열풍과 더불어 후술하는 스팀보일러(40)에서 생성되어 전달되는 스팀이 상기 제1터널부(21)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스팀분사노즐(24)을 통해 분사되는 스팀이 상기 컨베이어(11)를 통해 제1터널부(21)의 통로를 통과하는 제품용기(1)에 전달되어 접촉됨으로써 필름(F) 수축이 이루어져 제품용기(1)의 1차적인 필름 수축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팀분사노즐(24)은 상기 제1터널부(21) 양측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배열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터널부(21)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에 설치되는 일부는 상기 제품용기(1)에 대해 하부 범위에만 스팀이 분사되도록 하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최초 컨베이어(11)에 의해 제1터널부(21)의 통로(22)로 진입한 제품용기(1)에 필름(F)이 씌워진 상태에서 하부를 일부 수축시켜 전체를 가열할 경우 필름(F)이 상측으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열풍과 스팀을 동시에 분사 및 공급함으로써 필름(F)의 과수축 또는 미수축이 발생하는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분사노즐(24)은 각각이, 45° 또는 60°의 분사각도를 가지도록 이루어진 스파이럴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분사노즐(24)은 유량이 설정 각도로 미립화된 형태로 스팀이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스팀이 제품용기(1)의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가열부(30)는 상기 제1가열부(20) 후단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11)를 통해 상기 제1가열부(20)를 통과한 상기 제품용기(1)를 향해 2차적으로 열풍을 분사하여 가열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2가열부(30)는 상기 컨베이어(11)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품용기(1)가 상기 컨베이어(11)를 통해 통과하기 위해 중심부분에 통로(32)가 구비되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열풍이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홀(33)이 설치되는 제2터널부(31), 상기 제2터널부(31)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터널부(31)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제2송풍기(34) 및 상기 제2터널부(31) 내부 공간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수평 배치되고, 상기 제2송풍기(34)를 통해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봉(3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인버터(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제2송풍기(34)를 통해 상기 제2터널부(31)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제2터널부(31)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히팅봉(35)에 의해 주입된 공기가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열풍)는 상기 제2터널부(31) 내측면에 형성된 열풍홀(33)을 통해 통로(32)를 향해 분사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11)를 통해 이송되는 제품용기(1)의 필름(F)으로 열풍이 분사되어 필름 수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1가열부(20)를 통해 1차적으로 열풍과 스팀에 의해 필름 수축 공정이 이루어진 이후, 상기 제2가열부(30)에 도달한 제품용기(1)는 2차적으로 열풍홀(33)에서 분사되는 열풍과 접촉함으로써 필름 수축 공정의 최종단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가열부(30)의 히팅봉(35)은 상기 제1가열부(20)의 히팅봉(26)에 비해 높은 온도로 세팅되어 가열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30° 이상 높은 온도로 세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가열부(30)의 열풍홀(33)을 통해 분사되는 열풍은 상기 제1가열부(20)의 열풍홀(23)을 통해 분사되는 열풍에 비해 높은 온도를 가진 상태로 분사되어, 필름 수축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1가열부(20)를 통과하면서 제품용기(1) 표면에 흡착된 물기(스팀)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동시에 높은 온도로 열풍을 공급하여 필름(F)의 색몰림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최종적인 필름 수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제1터널부 및 제2터널부의 열풍홀 부분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열풍홀(23)은 상기 제1터널부(21) 양측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배열되어 타공되되, 상기 제1터널부(21)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과 상기 제1터널부(21) 양측의 내측면 중 출구 부근에 각각 형성되는 제1열풍홀(23a) 및 상기 제1터널부(21)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는 제2열풍홀(23b)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열풍홀(23a)과 상기 제2열풍홀(23b)은 타공된 홀의 모양 및 형태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열풍홀(23a)은 상기 제1터널부(21)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에 설치되는 것은,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제1터널부(21)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에서 상기 컨베이어 진행방향을 향해 방향성을 가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터널부(21) 양측의 내측면 중 출구 부근에 설치되는 것은,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제1터널부(21) 양측의 내측면 중 출구 부근에서 상기 컨베이어 진행 반대방향을 향해 방향성을 가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고, 토출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토출공간이 확장되고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열풍홀(23a)은 상기 제1터널부(21)의 통로(22)로 분사되는 열풍을 포함하는 스팀이 역류하여 상기 제1터널부(21)의 터널 입구와 상기 제2터널부(31)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가열부(20)는 상기 컨베이어(11)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품용기(1)가 상기 컨베이어(11)를 통해 통과하기 위해 중심부분에 통로(22)가 구비되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열풍이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홀(23)과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분사노즐(24)이 설치되는 제1터널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열부(30)는 상기 컨베이어(11)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품용기(1)가 상기 컨베이어(11)를 통해 통과하기 위해 중심부분에 통로(32)가 구비되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열풍이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홀(33)이 설치되는 제2터널부(31)를 포함하되, 상기 제1터널부(21)의 열풍홀(23)은, 상기 제1터널부(21) 양측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배열되어 타공되고, 상기 제2터널부(31)의 열풍홀(33)은, 상기 제2터널부(31) 양측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배열되어 타공되며, 상기 제2터널부(31)의 열풍홀(33)은 상기 제1터널부(21)의 열풍홀(23)보다 더 좁은 간격마다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타공될 수 있다.
도 4는 제1리턴부를 통해 순환하는 열풍 및 스팀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가열부(20)는 상기 제1터널부(21) 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 및 스팀을 회수한 후 상기 제1터널부(21)의 통로(22)로 재공급시키는 제1리턴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턴부(210)는 상기 제1터널부(21) 상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1재순환펌프(211), 일측이 상기 제1재순환펌프(211)의 흡입측(21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터널부(21)의 입구 부근에 위치되도록 연장되는 제1흡입배관(214), 일측이 상기 제1재순환펌프(211)의 토출측(213)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터널부(21)의 통로(22)까지 연장되는 제1토출배관(215) 및 상기 제1토출배관(215)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토출배관(215)을 통해 토출되는 열풍 및 스팀이 상기 제1터널부(21)의 통로(22)로 공급되면 대류를 형성하여 다시 상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하측 방향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공간이 확장되도록 상협하광 형태로 하단이 개구된 가이드덕트(2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덕트(216)에는 상기 제1재순환펌프(211)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 및 스팀에 의해 회전하는 무동력 방식의 임펠러(217)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리턴부(210)를 통해 상기 제1터널부(21) 외부로 배출되는 열풍 및 스팀이 회수되어 재순환 후 다시 통로(22)로 공급될 경우, 상기 제1재순환펌프(211)의 분사 압력에 의해 상기 임펠러(217)가 회전하면서 회수된 열풍 및 스팀이 넓은 면적으로 확산되어 통로(22)로 공급될 수 있어 열량을 통로(22) 공간 전체에 고르게 확산시켜 에너지 사용량을 줄여 열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리턴부(210)는 열풍을 재순환시킴으로써 상층으로 이동하는 열풍이 한 곳에 밀집되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고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공간 전체에 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열풍홀(23)을 통해 통로(22) 공간에 토출되는 열풍과 함께 회수되어 재순환하여 공급되는 열량이 누적되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리턴부(210)에 의해 제1가열부(20)에서 발생하는 스팀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고 내부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어, 실내공간에 설치될 경우 스팀 발생에 의해 어려움이 있는 설치장소에도 설치하는 데 문제가 없으며,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완전히 배출시키기 위한 배관 등의 추가적인 구조물 설계가 필요하지 않아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제2리턴부를 통해 순환하는 열풍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2가열부(30)는 상기 제2터널부(31) 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을 회수한 후 상기 제2터널부(31)의 통로(32)로 재공급시키는 제2리턴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리턴부(310)는 상기 제2터널부(31) 상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재순환펌프(311), 일측이 상기 제2재순환펌프(311)의 흡입측(31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터널부(31)의 입구 부근에 위치되도록 연장되는 제2흡입배관(314), 일측이 상기 제2재순환펌프(311)의 토출측(313)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터널부(31)의 통로(32)까지 연장되는 제2토출배관(315) 및 상기 제2토출배관(315)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토출배관(315)을 통해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제2터널부(31)의 통로(32)로 공급되면 대류를 형성하여 다시 상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하측 방향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공간이 확장되도록 상협하광 형태로 하단이 개구된 가이드덕트(3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덕트(316)에는 상기 제2재순환펌프(311)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에 의해 회전하는 무동력 방식의 임펠러(317)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리턴부(310)를 통해 상기 제2터널부(31) 외부로 배출되는 열풍이 회수되어 재순환 후 다시 통로(32)로 공급될 경우, 상기 제2재순환펌프(311)의 분사 압력에 의해 상기 임펠러(317)가 회전하면서 회수된 열풍이 넓은 면적으로 확산되어 통로(32)로 공급될 수 있어 열량을 통로(32) 공간 전체에 고르게 확산시켜 에너지 사용량을 줄여 열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유체 흐름방지판이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터널부의 평면부분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터널부(21)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단부에는, 상기 제1터널부(21)의 통로(22)로 공급된 열풍 및 스팀이 상기 제1터널부(21) 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터널부(21) 양측의 내측면보다 더 돌출 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된 유체 흐름방지판(2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체 흐름방지판(27)은 상기 제1터널부(21)의 통로(22)에 잔류하는 잔량의 열풍 및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1터널부(21)의 내측면을 타고 이송되는 스팀을 다시 통로(22) 내부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터널부(21)의 통로(22)에 잔존하는 열풍 및 스팀은 제1열풍홀(23a), 제1리턴부(210), 유체 흐름방지판(27)을 통해 외부 배출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스팀보일러(40)는 상기 이송부(10)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제1가열부(20)에 고열의 스팀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상기 스팀보일러(40)는 상기 지지프레임(13)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수분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수분을 포함하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통상의 스팀보일러로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가열부(20)의 스팀분사노즐(24)과 연결되는 분기배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50)는 상기 이송부(10) 하부 타측에 설치되고, 열풍 온도, 열풍 공급 속도, 스팀 온도, 컨베이어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필름 수축 포장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어부(50)는 기본적으로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 조작 및 데이터를 입력하여 조작하는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각종 센서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시스템 상태를 판단하는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사용자에 의해 시스템 작동을 제어하고, 수집된 측정 데이터가 입력/전송되면 이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필름 수축 포장장치는 제품용기(1)에 필름(F)을 씌운 후 열풍과 스팀을 가하여 필름을 수축하여 포장하는 장치로서, 열풍 및 스팀의 공급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 경우, 상기 제1가열부(20) 및 제2가열부(30) 내에 온도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시스템 가동 중 측정된 온도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50)로 보내지게 되고 상기 제어부(50)를 통해 스팀보일러(40)의 가동 여부 및 제1송풍기(25), 제2송풍기(34)의 모터 가동 정도를 세밀하게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제1가열부(20)와 제2가열부(30)의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가열부(20)와 상기 제2가열부(30)는 공급 온도 또는 공간의 온도가 각각 서로 다르게 유지되어 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시 상기 제1가열부(20)와 상기 제2가열부(30)가 설정 온도로 유지되고 있는지 체크하여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가열부(20)와 상기 제2가열부(30) 사이에 설치된 제2리턴부(310)를 통해 각각의 공간에서 열기가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가열부(20)와 상기 제2가열부(30) 사이는 설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온도센서(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온도값과 기설정된 온도값을 비교하여 기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열풍온도, 송풍기의 송풍량을 정보를 종합하여 판단한 후 제품용기(1)에 가해지는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도리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는, 제품용기(1)에 필름 수축 포장을 하는 데 있어서, 열풍과 스팀을 동시에 이용하여 필름을 수축 포장함으로써, 필름 수축 포장의 완성도는 높이고, 필름 수축 포장 과정 중 스팀에 의해 필름(F)에 맺히는 물기를 최종적으로 열풍을 이용하여 완전히 제거한 상태로 필름 수축 포장을 완료할 수 있어 필름 수축 포장이 완료된 이후 즉시 박스 포장작업까지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완성도는 높이면서 작업의 효율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분사되는 스팀이 필름 수축 포장장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강제 흡입 후 재순환시킴으로써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단속함은 물론 재순환되어 공급되는 스팀의 열에너지를 재활용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일 수 있고, 필름 수축 포장장치가 설치된 공간 주변에 스팀 잔존함에 따른 주변시설의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제품용기 F: 필름
10: 이송부 11: 컨베이어
12: 구동모터 13: 지지프레임
14: 받침부재 15: 거치대
20: 제1가열부 21: 제1터널부
22: 통로 23: 열풍홀
23a: 제1열풍홀 23b: 제2열풍홀
24: 스팀분사노즐 25: 제1송풍기
26: 히팅봉 27: 유체 흐름방지판
210: 제1리턴부 211: 제1재순환펌프
212: 흡입측 213: 토출측
214: 제1흡입배관 215: 제1토출배관
216: 가이드덕트 217: 임펠러
30: 제2가열부 31: 제2터널부
32: 통로 33: 열풍홀
34: 제2송풍기 35: 히팅봉
310: 제2리턴부 311: 제2재순환펌프
312: 흡입측 313: 토출측
314: 제2흡입배관 315: 제2토출배관
316: 가이드덕트 317: 임펠러
40: 스팀보일러 50: 제어부

Claims (15)

  1. 열풍과 스팀을 열원으로 사용하여 열 수축성 필름을 제품용기에 수축 포장하기 위한 필름 수축 포장장치에 있어서,
    포장대상물인 필름이 씌워진 상태의 제품용기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수평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가 구비된 이송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수평 이송되는 상기 제품용기를 향해 열풍과 고열의 스팀을 분사하여 가열하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 후단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제1가열부를 통과한 상기 제품용기를 향해 열풍을 분사하여 가열하는 제2가열부;
    상기 이송부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제1가열부에 고열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보일러; 및
    상기 이송부 하부 타측에 설치되고, 열풍 온도, 열풍 공급 속도, 스팀 온도, 컨베이어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필름 수축 포장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컨베이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품용기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통과하기 위해 중심부분에 통로가 구비되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열풍이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홀과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분사노즐이 설치되는 제1터널부;
    상기 제1터널부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터널부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제1송풍기; 및
    상기 제1터널부 내부 공간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수평 배치되고,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제1터널부 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 및 스팀을 회수한 후 상기 제1터널부의 통로로 재공급시키는 제1리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턴부는,
    상기 제1터널부 상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1재순환펌프;
    일측이 상기 제1재순환펌프의 흡입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터널부의 입구 부근에 위치되도록 연장되는 제1흡입배관;
    일측이 상기 제1재순환펌프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터널부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제1토출배관; 및
    상기 제1토출배관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토출배관을 통해 토출되는 열풍 및 스팀이 상기 제1터널부의 통로로 공급되면 대류를 형성하여 다시 상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하측 방향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공간이 확장되도록 상협하광 형태로 하단이 개구된 가이드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덕트에는,
    상기 제1재순환펌프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 및 스팀에 의해 회전하는 무동력 방식의 임펠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홀은,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배열되어 타공되되,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과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출구 부근에 각각 형성되는 제1열풍홀; 및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는 제2열풍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열풍홀과 상기 제2열풍홀은 타공된 홀의 모양 및 형태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풍홀은,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에 설치되는 것은,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에서 상기 컨베이어 진행방향을 향해 방향성을 가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출구 부근에 설치되는 것은,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출구 부근에서 상기 컨베이어 진행 반대방향을 향해 방향성을 가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고,
    토출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토출공간이 확장되고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분사노즐은,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배열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부근에 설치되는 일부는 상기 제품용기에 대해 하부 범위에만 스팀이 분사되도록 하부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분사노즐은,
    각각이, 45° 또는 60°의 분사각도를 가지도록 이루어진 스파이럴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컨베이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품용기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통과하기 위해 중심부분에 통로가 구비되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열풍이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홀이 설치되는 제2터널부;
    상기 제2터널부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터널부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제2송풍기; 및
    상기 제2터널부 내부 공간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수평 배치되고,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제2터널부 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을 회수한 후 상기 제2터널부의 통로로 재공급시키는 제2리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턴부는,
    상기 제2터널부 상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재순환펌프;
    일측이 상기 제2재순환펌프의 흡입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터널부의 입구 부근에 위치되도록 연장되는 제2흡입배관;
    일측이 상기 제2재순환펌프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터널부의 통로까지 연장되는 제2토출배관; 및
    상기 제2토출배관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토출배관을 통해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제2터널부의 통로로 공급되면 대류를 형성하여 다시 상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하측 방향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공간이 확장되도록 상협하광 형태로 하단이 개구된 가이드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덕트에는,
    상기 제2재순환펌프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에 의해 회전하는 무동력 방식의 임펠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컨베이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품용기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통과하기 위해 중심부분에 통로가 구비되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열풍이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홀과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분사노즐이 설치되는 제1터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컨베이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품용기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통과하기 위해 중심부분에 통로가 구비되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열풍이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홀이 설치되는 제2터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터널부의 열풍홀은,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배열되어 타공되고,
    상기 제2터널부의 열풍홀은, 상기 제2터널부 양측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배열되어 타공되며,
    상기 제2터널부의 열풍홀은 상기 제1터널부의 열풍홀보다 더 좁은 간격마다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 중 입구 단부에는,
    상기 제1터널부의 통로로 공급된 열풍 및 스팀이 상기 제1터널부 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터널부 양측의 내측면보다 더 돌출 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된 유체 흐름방지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KR1020220017707A 2022-02-10 2022-02-10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KR102654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07A KR102654644B1 (ko) 2022-02-10 2022-02-10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07A KR102654644B1 (ko) 2022-02-10 2022-02-10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895A KR20230120895A (ko) 2023-08-17
KR102654644B1 true KR102654644B1 (ko) 2024-04-03

Family

ID=8780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707A KR102654644B1 (ko) 2022-02-10 2022-02-10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64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532A (ko) 2014-09-05 2016-03-15 김승섭 스팀 포장기의 스팀 공급장치
KR101846415B1 (ko) * 2016-09-13 2018-04-06 박정곤 캔용기 필름부착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895A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05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 shrinking film around a product
EP27071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 shrinking a film wrapping an object
US3312811A (en) Shrink tunnel
KR940009663B1 (ko) 용기상에 라벨을 열 수축시키는 장치 및 방법
US57110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drying in superheated steam
US7891157B2 (en) Machine for shrink-fitting of shrink wrap film onto packages
US5022165A (en) Sterilization tunnel
US11549753B2 (en) Laminar flow shrink oven
CN101356094B (zh) 用于制造包裹件的收缩工艺以及实施这种收缩工艺的设备
JP5328426B2 (ja) シュリンク装置
JP2009545495A (ja) 包装用品に収縮フィルムを収縮装着する方法並びに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KR102341905B1 (ko) 쉬링크 라벨의 가열수축장치
RU9610503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сушки перегретым паром
CA26265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rinking a heat shrink film placed around a stack of items
KR102654644B1 (ko)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는 필름 수축 포장장치
JP4830463B2 (ja) 連続加熱装置
JP2008050041A (ja) 熱収縮性フィルムによる熱収縮包装方法及び熱収縮性フィルムの加熱装置、並びに熱収縮包装装置
US3826017A (en) Heating system
JP3537703B2 (ja) シュリンクラベルの収縮方法及びその装置
JPS6294528A (ja) 包装装置
US64219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rinking a foil onto an object
JP2000062011A (ja) プリフォームの加熱装置
JP3907436B2 (ja) 加熱装置
JP3284360B2 (ja) ベルト式乾燥機における供給ノズルの目詰まり防止装置
KR20210003588A (ko) 비닐수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