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372B1 - 야구 배트 - Google Patents

야구 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372B1
KR102654372B1 KR1020230063783A KR20230063783A KR102654372B1 KR 102654372 B1 KR102654372 B1 KR 102654372B1 KR 1020230063783 A KR1020230063783 A KR 1020230063783A KR 20230063783 A KR20230063783 A KR 20230063783A KR 102654372 B1 KR102654372 B1 KR 102654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grip
user
baseball bat
base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준
Original Assignee
오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준 filed Critical 오승준
Priority to KR1020230063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63B59/58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0Handles with means for indicating correct hold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구 배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노브 자체를 그립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어 종래의 야구 배트에 비하여 사용자의 그립 위치와 타격면 간의 이격 거리가 증가되도록 하고, 그립의 안정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야구공을 타격하였을 시, 스윙력을 향상시켜 타구 비거리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야구 배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야구 배트{BASEBALL BAT}
본 발명은 야구 배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노브 자체를 그립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어 종래의 야구 배트에 비하여 사용자의 그립 위치와 타격점 간의 이격 거리가 증가되도록 하고, 그립의 안정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야구공을 타격하였을 시, 스윙력을 향상시켜 타구 비거리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야구 배트에 관한 것이다.
야구는 상대편 투수가 던진 야구공을 야구 배트로 타격하여 경기장 내 3개의 베이스를 밟고 홈으로 돌아오면 득점하는 구기 종목이다.
이러한 야구 경기의 특성상 많은 득점을 획득하려면 야구 배트로 야구공을 멀리 타격하는 것이 핵심인바, 야구 배트로 야구공을 멀리 타격하려면 타격의 정확성과 타격 자세를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타격의 정확성은 타자의 동체 시력 또는 운동 감각과 같은 타자 본인의 재능 및 오랜 기간 노력한 경험치에 의하여 좌우될 수 있는 반면, 타격 자세는 훈련 코치와 같은 조력자에 의하여 교정될 수 있다.
타격 자세는 타격을 준비하는 자세 또는 타격 시 타자가 취하는 자세를 말할 수 있으며, 광범위하게는 야구 배트를 그립하는 위치 및 자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윗 스팟(Sweet Spot)이라 하는 타격 지점은 야구 배트에 야구공이 타격되었을 시, 야구공이 가장 멀리 날아갈 수 있는 지점 또는 야구공을 맞혀 최대의 힘을 가할 수 있는 지점을 말할 수 있다.
타자가 상기 스윗 스팟에 야구공을 겨냥하기 위해서는 타격의 정확성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타자가 배트를 그립할 때의 그립 위치가 적절해야 하며, 아울러 상기 그립 위치가 스윗 스팟과 되도록 먼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스윗 스팟과 같은 히팅 포인트를 교정하기 위한 발명으로 '히팅 포인트 교정용 야구 배트(특허등록번호 제10-1744178호)'가 개발되었지만, 상기 발명은 배트의 타격 지점에 타격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타격 지점을 청각 또는 촉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야구 배트에 관한 것으로서, 해당 발명은 타자가 야구 배트를 그립할 때의 위치와 스윗 스팟과 그립 위치 간의 거리를 활용한 방법이 아니기에 스윗 스팟을 겨냥하여 스윙력을 향상시키거나 타구의 비거리를 향상시키려는 목적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고안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744178호(2017.05.31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노브 자체를 그립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어 종래의 야구 배트에 비하여 사용자의 그립 위치와 타격면 간의 이격 거리가 증가되도록 하고, 그립의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야구 배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야구 배트는, 타격면을 형성하는 배럴 및 사용자의 손이 안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배트본체 및 상기 그립부 말단에 위치하되, 일면에 상기 그립부 말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면 및 상기 연장면을 기준으로 소저으이 각도로 절단되어 형성된 절단면을 포함하는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노브는, 상기 연장면과 상기 절단면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바닥이 맞닿는 면을 제공하는 노브그립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브를 그립하였을 시,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안착되도록 하는 손가락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야구 배트는, 타격면을 형성하는 배럴 및 상기 배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배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아 사용자의 손이 안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배트본체 및 상기 그립부 말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면, 상기 연장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단되어 평면과 곡면이 혼합적으로 구성된 제1 및 제2 그립면 및 스윙 시 사용자의 손이 야구 배트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부채꼴의 호 형상의 부분 노브를 포함하는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그립부와 상기 연장면이 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턱은 사용자가 상기 노브를 그립할 시, 사용자의 손가락 간의 간격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노브 자체를 그립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그립 위치와 타격면 간의 이격 거리가 증가되도록 하고, 그립의 안정감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스윗 스팟을 겨냥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스윙력을 향상시켜 타구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사용자가 종래의 야구 배트를 그립하고 있는 모습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를 그립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a는 타자가 원형의 노브를 포함하는 야구 배트를 스윙하였을 때에 타자의 손목이 원형의 노브에 걸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b는 타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를 스윙하였을 때에 타자의 손목이 노브에 걸리지 않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실제 제1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를 여러 방식으로 쥐어 본 사진, 그리고 기존의 야구 배트를 쥐어 본 사진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브의 연장면과 절단면이 예각을 이룰 때와 둔각을 이룰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a 내지 도5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를 다양한 각도로 촬영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의 탈착형 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의 가이드 노브를 개념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노브의 활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의 악력감지 필름및 악력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고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고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는 종래의 야구 배트에 비하여 사용자의 그립 위치와 타격점 간의 이격 거리가 증가되도록 하고, 그립의 안정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야구공을 타격하였을 시, 스윙력을 향상시켜 타구 비거리를 향상시켜줄 수 있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스윙력은 사용자가 야구 배트(1)를 회전시키려는 회전력, 회전 속도에 비례하는 값으로서, 사용자의 스윙에 의하여 야구공에 전달되는 힘의 값을 말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사용자의 그립 위치와 타격면 간의 이격 거리는 도2를 설명할 때에 다시 한번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는 배트본체(10) 및 노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트본체(10)는 배럴(11) 및 그립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배럴(11)은 타격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스윙을 하였을 시, 야구공을 타격하도록 마련된 구성이다.
그립부(12)는 배럴(11)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가져 사용자가 두 손을 안착하여 그립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노브(20)는 그립부(12) 말단에 위치하되, 일면에 그립부(12) 말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면(21a), 상기 연장면(21a)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단되어 형성된 절단면(21b)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참고로, 종래의 야구 배트 노브(Knob)는 사용자가 스윙할 시, 사용자의 손이 야구 배트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둥근 형상으로 사용자의 손을 안착시키도록 마련되었지만, 본 발명의 노브(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윙할 때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브(20) 자체를 그립할 수 있도록 연장면(21a)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단된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노브(20)는 노브그립부(21) 및 손가락안착부(2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노브(20)의 구성요소를 통하여 사용자는 그립의 안정감을 제공받고 스윙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노브그립부(21)는 연장면(21a) 및 절단면(21b)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바닥이 맞닿는 면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노브그립부(21)의 특징에 의하여 사용자는 야구 배트(1)의 말단까지 활용하여 배럴과의 이격 거리를 최대한으로 가져갈 수 있어 사용자가 야구공을 타격하였을 시, 스윙력을 향상시켜 타구 비거리를 증가시켜줄 수 있다.
손가락안착부(22)는 사용자가 상기 노브(20)를 그립하였을 시, 보다 정확하게는 노브그립부(21)에 사용자의 손바닥이 맞닿았을 시,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안착되도록 하여 그립의 안정감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도2는 사용자가 종래의 야구 배트를 그립하고 있는 모습(A)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를 그립하고 있는 모습(B)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야구 배트를 통하여 홈런 또는 안타 등의 좋은 성적을 거두려면 배럴(11)의 상단 무게 중심에 해당하는 스윗 스팟(Sweet Spot)을 겨냥하여 야구공을 타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에, 상기 스윗 스팟과 최대한 이격 거리를 두어 타격 거리를 조절하고 스윙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한 최적의 방법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는 노브그립부(21)를 통하여 노브(20)를 그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노브의 높이(또는 두께)만큼 스윗 스팟 간의 이격 거리를 둘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2를 참고하면, 종래의 야구 배트는 원형의 노브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스윗 스팟 간의 이격 거리(L1)를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야구 배트(1)는 사용자가 노브그립부(21)를 통하여 노브(20)를 그립할 수 있도록 하여 L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스윗 스팟 간의 이격거리(L2)를 형성할 수 있다.
도3a는 타자가 원형의 노브를 포함하는 야구 배트(1′)를 스윙하였을 때에 타자의 손목이 원형의 노브에 걸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b는 타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를 스윙하였을 때에 타자의 손목이 노브(20)에 걸리지 않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를 참고할 때 타자의 왼손 손목 부분이 더 배트의 수직축에 가깝게 근접하여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3c는 앞선 도면들에서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었던 타자의 손모양을 확인하고자 한 것으로 도면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야구 배트를 두 가지 방식으로 쥔 모습을 나타내며, (c)는 종래의 레귤러 노브를 가지는 야구 배트를 쥐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c의 (a)를 살펴볼 때, 붉은색 A의 점선 내에는 타자가 왼손으로 배트를 쥐고 있으며, 이 때 왼손 새끼 손가락이 손가락안착부(도 1의 도면부호 22) 상에 얹혀져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붉은색 B의 점선 내에는 손바닥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하단에 위치하는 근육이 노브그립부(21)에 밀착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붉은색C의 점선 내에는 야구 배트를 쥔 왼손의 손목이 부드럽게 굽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c의 (b)는 또 다른 그립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살펴볼 때 붉은색 A'의 점선 내에는 손가락안착부의 측면부를 새끼 손가락이 감싸도록 쥐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타자가 더 극단적으로 야구 배트를 길게 잡고자 한 그립 방식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손가락안착부(22)의 측면 일부에는 상기 타자의 새끼 손가락이 더 편안하게 감싸질 수 있도록 새끼 손가락에 맞는 홈이 카빙(carving)될 수 있다. 붉은색 B'의 점선 내에는 손바닥 우측하단의 근육이 노브그립부(21)에 밀착된 모습, 그리고 붉은색C'의 점선 내에는 야구 배트를 쥔 왼손의 손목이 역시 부드럽게 굽어질 수 있음(도 3c의 (a) 그립 방식에 비해서는 손목이 상대적으로 덜 굽어짐)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c의 (c)는 기존 야구 배트를 쥐었을 때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타자는 필요에 따라 야구 배트를 길게 잡고자 할 경우 (c)의 모습과 같이 그립을 잡을 수 있는데, 붉은색D 점선 내에는 라운드형(round) 노브에 의해 타자의 손바닥이 그립에 밀착되지 못하는 모습, 그리고 붉은색E 점선 내에는 라운드형 노브의 존재로 인해 손목이 자연스럽게 굽히지 못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도 3c의 (c)와 비교할 때, 야구 배트를 길게 잡고자 하는 타자의 입장에서는 (a), (b)의 본 발명에 따른 야구 배트를 쥐었을 때 더 편안하고 자연스러움을 알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a)의 그립 방식으로 야구 배트를 쥘 수 있을 때에 손바닥 하부를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손목의 회전 반경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는 타자가 야구 배트(1)를 스윙할 때에 타자의 손목이 노브(20)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타자 손목의 가동 범위를 증가시켜 타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스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타자가 라운드형의 노브를 포함하는 종래의 야구 배트(1′)를 스윙할 때에는 손목이 뻗어지면서 타자의 손목이 원형의 노브에 의하여 의도치 않게 꺾여 타자 손목의 가동 범위가 줄어들게 할 수 있는 반면, 타자가 도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야구 배트(1)를 스윙 할 때에는 타자의 손목 부분이 걸릴 수 있는 부분(예. 원형의 노브 일부)이 절단되어 타자 손목의 가동 범위가 증가하여, 타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스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타자가 지속적으로 종래의 야구 배트(1′)를 통하여 스윙 연습을 하게 되면 스윙할 때마다 타자의 손목이 원형의 노브에 의하여 꺾이게 되어 손목 부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타자의 손목 부상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브(20)의 연장면(21a)과 절단면(21b)이 예각을 이룰 때(A)와 둔각을 이룰 때(B)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노브그립부(21)는 사용자의 손바닥이 맞닿는 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노브(20)를 그립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노브그립부(21)를 그립하였을 시,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손가락이 손가락안착부(22)에 안착되어 사용자에게 그립의 안정감을 제공하지만, 이 때,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크기(또는 구조)에 따라 원하는 그립의 형태가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노브그립부(21)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면, 사용자가 어린 아이거나 여자인 경우 상대적으로 손의 크기가 작아 노브그립부(21)를 제대로 그립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며, 반대로 노브그립부(21)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으면, 사용자가 성인 남성인 경우 노브그립부(21) 자체가 스윙의 방해요소가 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노브그립부(21)는 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사용자를 위한 절단면(21b)과 연장면(21a)이 예각을 이루는 형태(A)와 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사용자를 위한 절단면(21b)과 연장면(21a)이 둔각을 이루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를 다양한 각도로 촬영한 도면이다.
도5a 및 도5e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의 배트 본체(10)및 노브(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트 본체(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타격면을 형성하는 배럴(11) 및 배럴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배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아 사용자의 손이 안착되는 그립부(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브(20′)는 연장면(21a′), 제1 및 제2 그립면(21b-1′, 21b-2′) 및 부분 노브(22′)를 포함한다.
연장면(21a′)은 상기 배트 본체(10)의 그립부(12) 말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면으로서, 후술할 제1 및 제2 그립면(21b-1′, 21b-2′)과 함께 사용자가 노브(20′)를 그립할 때에 사용자의 손바닥이 맞닿는 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5c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 그립면(21b-1′, 21b-2′)은 상기 연장면(21a′)을 저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정의될 수 있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예, 예각 또는 둔각)로 절단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P)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면(R1, R2)이 혼합적으로 구성된 면이다.
제1 및 제2 그립면(21b-1′, 21b-2′)은 연장면(21a′)과 함께 사용자가 노브(20′)를 그립할 때에 사용자의 손바닥이 맞닿는 면을 제공할 수 있다.
부분 노브(22′)는 종래의 원형 노브와 마찬가지로 스윙 시 사용자의 손이 야구 배트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그립면(21b-1′, 21b-2′)이 사용자에게 그립면을 제공하고자 원형의 노브에서 일부 절단된 부채꼴의 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5d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야구 배트(10)는 배트 본체(10)의 그립부(12)와 연장면(21a′)이 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턱(23)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턱(23)은 사용자가 노브(20′)를 그립할 시, 사용자의 손가락 간의 간격을 형성해주어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다시 도 5d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브(20′)의 밑면은 일부 평면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로 야구 배트(10)를 그립할 수 있도록 하며, 야구 배트(10)를 세워 보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5 실시예는 사용자의 스윙 보조 학습을 위한 실시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야구 배트(1)는 야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것을 원하는 사용자 등을 위하여 스윙 자세, 그립 위치, 야구 배트를 쥐는 적정의 힘(악력) 등을 가이드해주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의 탈착형 노브(30)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는 사용자의 스윙력 향상과 타구 비거리를 향상시키고자 그립 위치와 스윗 스팟 간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킨다고 설명하였지만, 특정 야구 경기에서는 기 정해진 경기 규칙에 따라 원형의 노브를 포함하는 야구 배트를 공인 배트로 지정할 수도 있는바, 상기 특정 야구 경기에 대한 스윙을 연습하기 위해서는 원형의 노브를 포함하는 야구 배트로 연습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원형의 노브를 포함하는 야구 배트(1)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형 노브(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노브(30)는 노브그립부(21)에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브(20)를 원형의 노브로 활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탈착형 노브(30)의 소재는 나무, 알루미늄 등과 같이 야구 배트(1)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일 수 있으나, 노브그립부(21)와의 체결이 우수하고, 중량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탈착형 노브(30)의 형상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브(20)와 결합되었을 시, 원형의 노브가 되는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탈착형 노브(30)가 노브(20)와 결합되는 방식은 탈착형 노브(30)가 캡(Cap) 형상을 하고 있어 노브(20)의 일면 또는 전면에 끼워지는 방식 및 노브(20)에 소정의 형상으로 음각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이 마련되어 있고 탈착형 노브(30) 일면에 상기 결합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돌기가 마련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한 암수결합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나, 탈착형 노브(30) 노브(20) 간의 결합 방식은 앞서 언급한 결합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한 결합 방식이라면 본 발명의 결합 방식이 될 수 있다.
도7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의 가이드 노브(40)를 개념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노브(40)의 활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사용자 본인만의 그립 위치를 표시하거나 가이드하고, 사용자가 야구 배트(1)를 그립하였을 시, 손가락 관절(예. 중수지절관절)이 일치하도록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노브(40)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각자 신체 구조가 다르고 사용하는 근육 또는 발달된 근육이 상이하기에 소정의 운동을 실시할 때에 본인만의 자세(또는 포즈)가 있을 것이며, 본인만의 자세를 중요시하는 숙련자는 본인의 자세를 기억해두는 것이 좋은 성적을 이루어 내는 것에 중요한 포인트가 되겠지만, 초심자는 특정 운동을 실시하기 위한 표준의 자세를 취해야만 부상과 운동 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인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는 숙련자에게는 본인만의 그립 위치를 기억 또는 가이드 해주며, 초심자에게는 표준의 그립 위치를 가이드해주는 가이드 노브(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7을 참고하면, 가이드 노브(40)는 배트본체(10)의 그립부(12)에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그립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가이드 노브(40)를 그립부(12)에 결합하여 야구 배트(1)를 그립하기 이전에 그립하고자 하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윙을 한 이후에 본인만의 그립 위치를 찾았다면 해당 그립 위치에 가이드 노브(40)를 결합하여 사용자 본인만의 그립위치를 기록 또는 가이드 할 수 있다.
참고로, 도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가이드 노브(40)는 사용자가 야구 배트(1)를 그립하였을 시, 사용자 양손의 최상단에 가이드 노브(40)가 위치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가이드 노브(40)는 사용자 양손의 최하단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 양손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야구 배트를 그립하였을 시, 양손의 손가락 관절(예. 중수지절관절)의 배열 형태에 따라 일자형 그립, X자형 그립 등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그립 형태는 사용자가 추구하는 그립 자세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어린아이, 여성 또는 초심자에게는 손목 부상을 우려하여 일자형 그립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일자형 그립을 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맞춤형 그립 자세를 기록할 수 있도록 가이드 노드(40) 일면 또는 노드 그립부(21)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 표시선(40a, 40b)이 위치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게 일자형 그립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가이드 노브(40)의 일면 및 상기 노브그립부(21)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표시선이 배치되어, 가이드 노브(40)의 제1 가이드 표시선(40a)과 노브그립부(21)의 제2 가이드 표시선(40b)이 사용자의 손가락 관절이 일치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1)는 상기 가이드 표시선을 통하여 일자형 그립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좋은 성적을 거두었던 그립 위치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본인만의 맞춤형 그립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야구 배트의 악력감지 필름및 악력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배트 스윙에 있어서 악력은 스윙 속도를 향상시키고 야구 배트를 컨트롤 하는 것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만일 사용자의 악력이 야구공을 타격하기 위한 적정 악력 미만일 경우, 타격 시 야구 배트가 야구공에 밀리거나 야구 배트를 놓쳐버릴 수 있고, 타격에 의한 진동으로 부상으로도 이어질 수도 있는바, 사용자가 스윙을 연습할 때에 야구 배트를 그립하는 최소한의 악력 또는 적정 악력을 확인하는 것은 좋은 성적을 거두거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야구 배트(1)는 사용자 야구 배트(1)를 그립하였을 때의 악력을 감지하는 악력감지 필름(50) 및 현재 사용자의 악력이 부상 방지를 위한 최소한의 악력인지 또는 적정 악력인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악력 표시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악력감지 필름(50)은 그립부(12), 노브그립부(21) 또는 손가락 안착부(22) 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악력을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가압되는 압력을 센싱하는 필름 형태의 센서이다.
악력 표시부(60)는 그립부(12) 또는 노브(20) 일면에 배치되어, 악력 감지 필름(50)이 감지한 결과값과 기 설정된 적정 악력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적정 악력을 가하였는지에 대한 여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로 표시할 수 있다.
악력 표시부(6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팔 또는 배트에 고정될 수 있는 밴드 형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악력 감지 필름(50)이 사용자로부터 악력을 감지하여 감지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적정 악력 값보다 작으면, 빨간 불빛의 LED가 출력될 수 있으며, 반대로 악력 감지 필름(50)이 사용자로부터 악력을 감지하여 감지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적정 악력 값 이상이면, 초록 불빛의 LED가 출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야구 배트
10: 배트 본체
11: 배럴
12: 그립부
20, 20′: 노브
21a, 21a′: 연장면
21b: 절단면 21b-1′: 제1 그립면 21b-2′: 제2 그립면
21: 노브그립부
22: 손가락 안착부 22′: 부분 노브
23: 턱
30: 탈착형 노브
40: 가이드 노브
40a: 제1 가이드 표시선 40b: 제2 가이드 표시선
50: 악력감지 필름
60: 악력 표시부

Claims (5)

  1. 야구 배트에 있어서,
    타격면을 형성하는 배럴, 및 사용자의 손이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럴로부터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배트본체;
    부채꼴 형상의 것으로서 상기 그립부 말단에 위치하되, 일면에 상기 그립부 말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면 및 상기 연장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단되어 형성된 절단면을 포함하는 노브;
    상기 그립부와 상기 연장면이 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턱(23); 및
    상기 노브의 일면에 끼워지는 탈착형 노브;
    을 포함하되,
    상기 노브는,
    상기 연장면과 상기 절단면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바닥이 맞닿는 면을 제공하는 노브그립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브를 그립하였을 시,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안착되도록 하는 손가락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면은, 제1 그립면 및 제2 그립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그립면 및 제2 그립면은 상기 연장면을 저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정의될 수 있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단되어 하나의 평면(P) 및 두 개의 곡면(R1, R2)들이 혼합적으로 구성된 면이며,
    상기 노브의 밑면 중 일부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야구 배트를 세워 보관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탈착형 노브 및 상기 노브가 결합되어 원형의 노브 형상을 형성하는,
    야구 배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안착부의 측면 일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새끼 손가락이 감싸도록 카빙된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배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과 연장면은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배트.
  4. 삭제
  5. 삭제
KR1020230063783A 2023-05-17 2023-05-17 야구 배트 KR102654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783A KR102654372B1 (ko) 2023-05-17 2023-05-17 야구 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783A KR102654372B1 (ko) 2023-05-17 2023-05-17 야구 배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372B1 true KR102654372B1 (ko) 2024-04-03

Family

ID=9066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3783A KR102654372B1 (ko) 2023-05-17 2023-05-17 야구 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3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1206A1 (en) * 2007-11-15 2009-05-21 Leinert Bruce R Baseball bat
KR101744178B1 (ko) 2016-11-03 2017-06-08 최백칠 히팅 포인트 교정용 야구 배트
JP3228402U (ja) * 2014-09-02 2020-10-22 豊治 深江 バットグリップ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1206A1 (en) * 2007-11-15 2009-05-21 Leinert Bruce R Baseball bat
JP3228402U (ja) * 2014-09-02 2020-10-22 豊治 深江 バットグリップ構造
KR101744178B1 (ko) 2016-11-03 2017-06-08 최백칠 히팅 포인트 교정용 야구 배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1439B2 (en) Grip for a golf club
KR100986905B1 (ko)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
US8944942B2 (en) Apparatus suspension system
US200300690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athletic proficiency
CN106999755B (zh) 高尔夫球杆的握把
US20200074881A1 (en) Centerline face-forward method of putting
KR102654372B1 (ko) 야구 배트
KR20040076594A (ko) 골프 클럽 샤프트와 그립 및 골프 클럽을 파지하는 방법
US7658684B2 (en) Golf club grip
US7086973B2 (en) Baseball bat
JP2006296462A (ja) スイング練習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ング練習機
US9908025B2 (en) Portable guiding device for the practice of golf
CN101272831B (zh) 高尔夫球棒把手
US20220233935A1 (en) Weighted swing training bat
KR102214797B1 (ko) 골프 클럽의 그립
KR20230149750A (ko) 스포츠용품 손잡이 그립용 보조기구
AU2011341804B2 (en) A grip for a cricket bat handle
JPH09294834A (ja) ゴルフクラブ
JP2023120064A (ja) 打撃練習具
US20090098953A1 (en) Method for teaching a golf swing using simple thought imagery and very limited body awareness
KR20230041180A (ko) 손목안정성이 향상된 골프 퍼터용 그립
KR940007715Y1 (ko) 탁구 배트
JP2006255304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KR20160035912A (ko) 골프클럽인 퍼터의 헤드
JP2000217953A (ja) 多目的なゴルフクラ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