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737B1 - 블로어 - Google Patents

블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737B1
KR102653737B1 KR1020217035476A KR20217035476A KR102653737B1 KR 102653737 B1 KR102653737 B1 KR 102653737B1 KR 1020217035476 A KR1020217035476 A KR 1020217035476A KR 20217035476 A KR20217035476 A KR 20217035476A KR 102653737 B1 KR102653737 B1 KR 102653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gas passage
shaft
blower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5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1860A (ko
Inventor
카즈오 사카타
카오루 오쿠노
타츠오 키노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소우후우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소우후우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소우후우키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15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fluid-driven
    • F04D25/045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fluid-driven the pump wheel carrying the fluid driving means, e.g. turbin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34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with compressors, turbines or the like in the recirculation pass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0Shaft sealings
    • F04D29/12Shaft sealings using sealing-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0Shaft sealings
    • F04D29/12Shaft sealings using sealing-rings
    • F04D29/122Shaft sealings using sealing-ring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36Pressing means
    • F16J15/3452Pressing means the pressing force resulting from the action of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4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by means of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가스 통로(11)가 형성된 케이싱(10)의 축공(12)에 삽입된 회전축(21)과, 이것에 지지된 임펠러(22)와, 축공(12)을 씰링하는 씰장치(30)를 구비한 블로어로, 씰장치(30)가, 축공(12)의 근방에서 회전축(21)을 둘러싸는 제1 및 제2의 씰링(31, 32)과, 이들을 둘러싸는 축봉박스(33)와, 그 내방에 가스 통로(11) 내부 이상으로 고압의 씰 에어를 도입하는 메인 씰실(42)을 형성하고, 가스 통로(11)로부터 대기측으로의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정압 가스 씰수단(40)과, 축봉박스(33)에 대하여 축 방향 외방측에서 회전축(21)을 둘러싸는 환상의 제3의 씰링(61)을 갖고, 메인 씰실(42)로부터 대기측으로의 씰 에어의 누설을 제한하는 보조 씰실(62)을 형성하는 백업 씰수단(60)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블로어
본 발명은, 블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의 엔진의 배기 재순환 시스템에 적합한 블로어에 관한 것이다.
송풍 대상인 가스를 흡입하여 승압시키는 블로어로서, 종래, 동력이나 전력을 출력하는 시스템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승압하여 동 시스템에 재순환시키는 재순환 블로어나, 동 시스템에의 공급가스(저압 재순환 가스를 포함함)를 승압하는 보조 블로어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선박용 디젤엔진 등의 엔진의 배기 이미션(emission) 저감 기술의 하나로서, 엔진의 배기가스의 일부를 그 엔진의 흡기측(소기(掃氣) 작용을 하는 경우는 그 급기(給氣)측의 뜻)에 환류시켜 재순환시키고, 배기 중의 NOx(질소산화물)를 저감시키는 EGR시스템(배기 재순환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는데, 그러한 EGR시스템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 가능한 압력으로 승압하는 EGR 블로어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는, 재순환 배기가스 유량을 자신의 블로어 회전수에 따라 제어가능한 것으로, 블로어 회전수를 계측하는 회전 센서를 부착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게다가, 특허문헌 4에는, 임펠러와 회전축이 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하우징에 수납된 원심 블로어로, 그 회전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복수 개소에, 회전축의 외주면과 대략 동일 직경의 내주면을 갖는 불소계 수지제의 제1, 제2의 씰링이 마련됨과 함께, 양 씰링 사이의 하우징 내부 공간에 씰 에어를 공급하도록 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1-157959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12-172647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02-332919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16-89671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블로어에 있어서는, 임펠러 케이싱 내에서 승압되고 엔진에 재순환되어야 하는 EGR가스가, 임펠러 회전축의 축공을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 공간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하우징 내부의 임펠러측 공간으로 공급하는 씰 에어의 압력을 임펠러 케이싱의 내부보다 충분히 크게 설정하면, 임펠러측 공간으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대기측)에 연통하는 모터측 공간측으로 누출되는 씰 에어량이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종래의 블로어에 있어서는, 씰 에어 공급원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의 소비 동력이 증가한다는 문제나, 선박 내에 마련되는 선박용 엔진의 EGR 블로어 등에는 채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씰 에어 공급원의 소비 동력을 억제할 수 있는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아울러, 선박용의 엔진의 EGR 블로어에 적합한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스 통로와 이 가스 통로에 연통하는 축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기 축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상기 케이싱 내에 수납되는 임펠러와, 상기 축공을 씰링하는 씰장치를 구비한 블로어로서, 상기 씰장치가, 상기 축공의 근방에서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환상(環狀)의 제1 및 제2의 씰링과, 상기 제1 및 제2의 씰링을 둘러싸는 환상 벽부와 이 환상 벽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의 양측에서 일체로 결합하는 한쌍의 내측 벽부를 갖는 환상의 축봉(軸封)박스와, 상기 축봉박스 내부에 상기 가스 통로 내부 이상으로 고압의 씰 에어를 도입함과 함께 상기 제1 및 제2의 씰링을 상기 한쌍의 내측 벽부에 밀접시킨 메인 씰실(室)을 형성하고, 상기 가스 통로로부터 대기측으로의 상기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정압(靜壓) 가스 씰수단과, 상기 축봉박스에 대하여 상기 가스 통로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 외방측(外方側)에서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환상의 제3의 씰링을 갖고, 상기 메인 씰실로부터 대기측으로의 씰 에어의 누설을 제한하는 보조 씰실을 형성하는 백업 씰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제1, 제2의 씰링의 사이에 형성되는 메인 씰실 내에 정압 가스 씰수단에 의해 가스 통로 내부보다도 고압의 씰 에어가 도입됨으로써, 블로어 내의 배기가스가 가스 통로측으로부터 대기측으로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게다가, 제2의 씰링의 전후 차압(差壓)이 백업 씰수단의 제3의 씰링에 의해 억제될 때, 제3의 씰링의 전후 차압도 억제되는 점에서, 각 씰링의 전후 차압에 따른 씰 에어의 대기측으로의 누설 유량을 유효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상기 케이싱에, 엔진의 배기가스의 일부를 도입가능한 상기 가스 통로와 이 가스 통로에 연통하는 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임펠러가, 상기 가스 통로에 도입하고 승압한 배기가스를 상기 엔진에 재순환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NOx 등의 저감을 위해 엔진의 배기를 재순환시키는 EGR 블로어에 적합하게 된다.
(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제2의 씰링 중 적어도 대기측의 상기 제2의 씰링이,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원호 형상의 세그먼트 씰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씰부재끼리가,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넓어지면서 둘레 방향으로 대면하는 제1 대향면과, 상기 둘레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넓어지면서 축 방향으로 대면하는 제2 대향면을 갖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세그먼트 씰부재의 내주면 형상이나 단부 형상에 따라 그들 사이의 미소 간극 형상을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제2의 씰링의 미소 간극을 통과하는 씰 에어의 유량 및 제2의 씰링의 전후 차압을 안정적으로 확보가능해진다.
(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상기 백업 씰수단이, 상기 축봉박스에 대하여 상기 가스 통로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 외방측에서 상기 제3의 씰링을 직경 방향의 외측 및 축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덮는 외부 부착 환상 부재와, 상기 제3의 씰링을 상기 외부 부착 환상 부재에 밀접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부세하는 탄성 부재를 추가로 갖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3의 씰링 및 외부 부착 환상 부재에 의해 보조 씰실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제3의 씰링의 안정된 씰자세를 설정가능하게 되고, 운전 중의 씰 에어의 대기측으로의 누설을 보다 유효하게 저감가능하게 된다.
(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상기 외부 부착 환상 부재가, 상기 축봉박스에 대하여 상기 가스 통로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 외방측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기존의 블로어에, 제3의 씰링 및 외부 부착 환상 부재를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과 상기 모터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팩트한 블로어를 제작가능하게 된다.
(7)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상기 외부 부착 환상 부재보다 상기 축 방향 외방측의 상기 회전축 상에, 상기 외부 부착 환상 부재의 내주경(內周徑)보다 대경(大徑)의 둥근 고리 판 형상의 털어냄판(shake off plate)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보조 씰실로부터 축 방향의 외측에 누출되는 씰 에어를 털어냄판에 의해 주위의 진애(塵埃) 등과 함께 방사(放射)상 외측 방향으로 털어낼 수 있고, 모터측으로의 진애의 침입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8)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선박용의 엔진의 배기가스의 일부를 도입가능한 가스 통로와 이 가스 통로에 연통하는 축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기 축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상기 케이싱 내에 수납되고, 상기 가스 통로에 도입하고 승압한 EGR가스를 상기 엔진에 재순환시키는 임펠러를 구비한 블로어에 장착되고, 상기 축공을 씰링하는 EGR 블로어의 씰장치로서, 상기 축공의 근방에서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환상의 제1 및 제2의 씰링과, 상기 제1 및 제2의 씰링을 둘러싸는 환상 벽부와 이 환상 벽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의 양측에서 일체로 결합하는 한쌍의 내측 벽부를 갖는 환상의 축봉박스와, 상기 축봉박스 내부에 상기 가스 통로 내부 이상으로 고압의 씰 에어를 도입함과 함께 상기 제1 및 제2의 씰링을 상기 한쌍의 내측 벽부에 밀접시킨 메인 씰실을 형성하고, 상기 가스 통로로부터 대기측으로의 상기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정압 가스 씰수단과, 상기 축봉박스에 대하여 상기 가스 통로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 외방측에서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환상의 제3의 씰링을 갖고, 상기 메인 씰실로부터 대기측으로의 씰 에어의 누설을 제한하는 보조 씰실을 형성하는 백업 씰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블로어 내의 배기가스가 가스 통로측으로부터 선박 내의 대기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정압 가스 씰수단의 가압된 씰 에어에 의해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씰 에어의 대기측으로의 누설량을 정압 가스 씰수단 및 백업 씰수단의 협동에 의해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씰 에어 공급원의 소비 동력을 억제할 수 있는 블로어를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선박용의 엔진의 EGR 블로어에 적합한 블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EGR 블로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선박용 엔진의 EGR시스템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EGR 블로어의 축공 근방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이점쇄선으로 둘러싼 M부분을 추가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EGR 블로어에 있어서의 세그먼트씰형의 씰링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EGR 블로어에 있어서의 세그먼트씰형의 씰링의 구성도이며, 도 4a 중의 B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EGR 블로어의 축공 근방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일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로어를, EGR 장치 부착의 동력시스템 중에 EGR 블로어로서 마련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동력시스템(100)은, 다기통의 대형 2사이클의 디젤기관인 엔진(110)과, 터보 과급기(120)와, EGR장치(1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이 전부 도시하지 않은 선박의 기관실에 탑재되도록 되어 있다.
엔진(110)은, 예를 들어 외양 항해선의 주기관으로서 사용가능한 전자제어식의 대출력의 엔진이며, 다기통의 기관 본체(101)에, 연료 공급 유닛(102), 급기 리시버(103) 및 배기 리시버(104) 등을 장착한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용으로 하고 있으나, 선박용 이외로 하는 경우, 엔진(110)은, 예를 들어 발전소의 발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정치(定置) 기관으로서도 사용가능하다.
다기통의 기관 본체(101)에는, 복수의 실린더(111)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실린더(111)는, 각각 소기 포트(113)를 개재하여 급기 리시버(103)에 접속되는 한편, 대응하는 각각의 배기밸브(114)의 밸브 개방 시에 배기 리시버(104) 내부에 배기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실린더(111) 내부에서는, 소기에 의해 취입(取入)된 후에 피스톤(112)에 의해 발화점 이상으로 압축된 공기와 그 공기 중에 분사된 연료가 연소될 때, 연소가스가 팽창하여 피스톤(112)이 구동됨과 함께 배기가스가 발생한다. 그리고, 각 실린더(111)로부터의 배기가스가 배기 리시버(104) 내부에 간헐적으로 송출되게 되어 있다.
연료 공급 유닛(102)은, 연료 청정기로 청정화한 선박용 디젤연료를 펌프가압하고, 기통마다의 연료밸브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밸브 개방될 때, 기관 본체(101)의 각 실린더(111) 내부에 연료를 분사·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급기 리시버(103)는, 기관 본체(101)의 각 실린더(111) 내부의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면서 새로운 공기로 채우는 소기 작용을 하기 위한 압축 공기 저장소(소기받이)로 되어 있고, 배기 리시버(104)는, 기관 본체(101)의 각 기통으로부터의 배기를 축압(蓄壓) 저류하면서 그 대부분을 터보 과급기(120)측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배기 저장소로 되어 있다.
터보 과급기(120)는, 배기 리시버(104)측으로부터 공급된 배기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121)과, 터빈(121)에 의해 구동될 때 외기를 도입 및 압축하여 급기 리시버(103)내에 공급하는 컴프레서(122)를 갖고 있다.
EGR장치(130)는, 배기 리시버(104)로부터의 배기의 일부를 급기 리시버(103)측으로의 재순환 경로(Le)에 취입하여 정화하는 습식의 스크러버 유닛(131)과, 스크러버 유닛(131)에 의해 정화된 배기가스(이하, EGR가스라고 함)를 열교환에 의해 냉각하는 EGR쿨러(132)와, EGR쿨러(132)로 냉각된 EGR가스를, 터보 과급기(120)의 컴프레서(122)로부터 급기 리시버(103)로의 과급 통로(Lc) 중에 공급가능한 압력 레벨로 승압시키는 EGR 블로어(1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습식의 스크러버 유닛(131)은, 예를 들어 재순환 경로(Le)에 취입된 배기가스 중의 황산화물을 중화가능한 액적으로 분무시키거나, 배기가스 중의 매연 입자의 흡수나 재순환 경로(Le) 중의 환류 배기가스의 1차 냉각에 적합한 액적의 크기로 하거나 할 수 있는 스크러버(scrubber)와, 스크러버의 내바닥부측에서 환류 배기가스 정화 후의 액적을 수집하는 미스트캐처(mist catcher)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EGR쿨러(132)에는, 상세 사항을 도시하지 않으나, 스크러버 유닛(131)을 통과하고 정화 및 1차 냉각된 EGR가스를 통과하는 EGR가스 통로와, 외부로부터의 냉각수를 통과시키는 냉각수 통로를 갖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있고, 양 통로를 통과하는 유체 사이에서의 열교환에 의해 EGR가스를 냉각(2차 냉각)할 수 있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있다.
EGR 블로어(133)는, EGR쿨러(132)를 통과한 EGR가스가 도입되는 가스 통로(11)와 그 가스 통로(11)에 연통하는 축공(12)이 형성된 케이싱(10)과, 케이싱(10)의 축공(1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회전축(21)과, 회전축(21)에 지지되어 케이싱(10)내에 수납되는 임펠러(22)와, 축공(12)을 씰링하는 씰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봉박스(33)에 대하여 케이싱(10)의 가스 통로(11)로부터 이격되는 외면측(도 1 중의 우측)에는, 회전축(21)을 회전 구동하는 출력축(71)을 갖는 모터(70)가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가스 통로(11)는, 케이싱(10)의 외측 단부 측인 도 1 중의 좌단측에서 대구경(大口徑)으로 개구하는 한편, 동 도면 중의 우측(내방측(內方側))으로 회전축(21)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내방측에서 축경(縮徑)된 도입 통로(11a)와, 도입 통로(11a)의 내측 단부를 둘러싸는 스크롤 통로(11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케이싱(10)은, 도입 통로(11a)의 외측 단부 측에서 대구경으로 개구되는 도입구부(11c)와, 스크롤 통로(11b)의 하류 단부를 도입구부(11c)보다 직경 방향의 외방측으로 돌출시키는 분출구부(11d)를 갖고 있다.
케이싱(10)은, 이 가스 통로(11)를 형성함과 함께 모터 설치면측이 개구되는 본체부(13)와, 본체부(13)의 모터 설치면측을 폐색(閉塞)하는 대략 원판 형상이고 그 중심부에서 축공(12)을 형성하는 모터 설치판(14)과, 본체부(13)에 대하여 모터 설치판(14)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10)의 모터 설치판(14)에는 모터(7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브라켓(73)이, 케이싱(10)의 배면측에는 모터(7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브라켓(74)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설치브라켓(73) 및 지지브라켓(74)을 개재하여, 케이싱(10)과 모터(70)의 케이스(72)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1)은, 모터(70)의 출력축(71)에 대하여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할 수 있는 덮개부착의 통상체로 되어 있고, 모터(70)의 출력축(71)에 소정의 감합(嵌合) 압력으로 감합하는 단부착의 대략 원통체(23)와, 임펠러(22) 내부의 대략 원통체(23)의 일단에 동심적(同心的)으로 감합하고 그 일단을 폐지(閉止)하는 덮개체(24)와, 덮개체(24)와 모터(70)의 출력축(71)과의 사이에 개재하고 대략 원통체(23) 및 덮개체(24)를 모터(70)의 출력축(71)에 대하여 축 방향 소정위치에 위치 결정가능한 환상의 스페이서(25)와, 모터(70)의 출력축(71)에 대하여 대략 원통체(23), 덮개체(24) 및 스페이서(25)를 일체로 체결고정하는 볼트(26)를 갖고 있다.
케이싱(10) 내에서 회전축(21)에 지지된 임펠러(22)는, 가스 통로(11) 중 도입 통로(11a)의 내측 단부에 근접하는 입구부(22a)와, 스크롤 통로(11b) 내부에서 방사상 외측 방향을 향하여 개구하는 출구부(22b)와, 입구부(22a)로부터 출구부(22b)로 연장되면서 상호 등각도 간격으로 이간(離間)하는 복수의 날개부(22c)를 갖고 있다. 이 임펠러(22)는, 케이싱(10) 및 회전축(21)과 함께 원심식(遠心式)의 송풍기를 구성하고, 회전축(21)을 개재하여 모터(70)에 의해 회전 구동될 때, 케이싱(10)의 가스 통로(11)에 도입된 EGR가스를 엔진(110)에 재순환가능하게 승압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씰장치(30)는, 케이싱(10)과 회전축(21)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축공(12) 내부의 회전축(21)의 주위의 간극(G)을 폐색하고 있다.
이 씰장치(30)는, 축공(12)의 일단 근방에서 회전축(21)을 둘러싸는 환상의 제1 및 제2의 씰링(31, 32)과, 제1 및 제2의 씰링(31, 32)을 수납하는 환상의 축봉박스(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씰장치(30)는, 정압 가스 씰수단(40)과, 백업 씰수단(60)을 구비하고 있다.
축봉박스(33)는, 제1 및 제2의 씰링(31, 32)을 둘러싸는 원환 내주면 형상의 환상 벽부(33a)와, 그 환상 벽부(33a)에 대하여 회전축(21)의 축 방향의 양측에서 대략 직교하도록 일체로 결합한 한쌍의 내측 벽부(33b, 33c)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축봉박스(33)는, 외면측에서 복수의 볼트(33g)에 의해 케이싱(10)의 축공(12)의 주위에 고정된 제1 환상체(34)와, 한쌍 중 편측(片側)의 내측 벽부(33b)를 형성함과 함께 제1 환상체(34)의 내면측(도 2 중의 좌단면측)에 볼트 고정된 제2 환상체(35)와, 제1 환상체(34)의 외면측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한쌍 중 편측의 내측 벽부(33b)에 대향하도록 다른 편측의 내측 벽부(33c)를 형성하는 제3 환상체(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정압 가스 씰수단(40)은, 축봉박스(33) 내부의 제1 및 제2의 씰링(31, 32)의 사이에 복수의 압축 코일 스프링(41)을 둘레 방향 등간격(등각도 간격)으로 축설(縮設)하여, 제1 및 제2의 씰링(31, 32)을 축봉박스(33)의 한쌍의 내측 벽부(33b, 33c)에 밀접시키도록 부세(付勢)함으로써, 축봉박스(33) 내부에 환상의 메인 씰실(42)을 형성하고 있다. 이 메인 씰실(42) 내부에는, 도 3에 나타내는 씰 에어(씰용의 공기) 공급 회로(45)로부터, 케이싱(10)의 가스 통로(11) 및 축공(12) 내부 이상으로 고압의 씰 에어가 도입되게 되어 있고, 케이싱(10) 내의 가스 통로(11)로부터 대기측으로의 배기가스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씰 에어 공급 회로(45)는, 축봉박스(33)의 제1 환상체(34)에 형성된 씰 에어 통로(34h)에 연통하는 에어 공급 통로(45h) 상에, 역지(逆止) 밸브(46)와, 도시하지 않은 압력계나 유량계, 릴리프 밸브, 필터 등을 포함한 조압(調壓) 유닛(47)과, 개폐 밸브(48)와, 에어 펌프 등의 공기 공급원(4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압 유닛(47) 및 개폐 밸브(48)는, 예를 들어 엔진(110)의 회전 속도[rpm], 부하, 가스 통로(11) 내부의 압력 등에 따라 제어되도록 되어 있고, 씰 에어 공급 회로(45)는, 가스 통로(11)에 연통하는 축공(12) 내부의 간극(G)의 압력 이상으로 높은 공급압으로 씰 에어를 메인 씰실(42) 내부에 상시 공급함으로써, 케이싱(10)내의 가스 통로(11)로부터 축공(12)을 통과하여 대기측에 EGR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상시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씰 에어의 공급압은, 상시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서, 배기 리시버(104)의 출구측 압력이나 터보 과급기(120)의 터빈(121) 측으로부터의 배압, 급기 리시버(103)의 입구측 압력이나 터보 과급기(120)의 컴프레서(122) 측으로부터의 과급압, 모터(70)의 회전 속도[rpm] 등의 어느 하나에 따라, 가스 통로(11) 내부의 압력(임펠러(22)의 배면측의 압력)이 상승할 때, 그 압력 이상으로 높은 압력으로 조압될 수 있다. 이 씰 에어의 공급압은, 단계적으로 증감될 수도 있다.
정압 가스 씰수단(40)의 제1, 제2의 씰링(31, 32) 중 대기측의 제2의 씰링(32)은,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원호 형상의 세그먼트 씰부재(51)와, 이들 복수의 세그먼트 씰부재(51)를 회전축(21) 측에 부세하면서 탄성적으로 일체로 구속하는 가터스프링(52, garter spring)으로 구성된 분할 씰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의 씰링(32)뿐만 아니라 케이싱(10)의 축공(12)에 근접하는 제1의 씰링(31)도,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원호 형상의 세그먼트 씰부재(51)와, 이들 복수의 세그먼트 씰부재(51)를 회전축(21) 측에 부세하면서 탄성적으로 일체로 구속하는 가터스프링(52)으로 구성된 분할 씰 구조를 갖고 있다.
제1, 제2의 씰링(31, 32)의 각각 복수의 세그먼트 씰부재(51)는, 각각의 편면측(片面側)에 소정 각도 간격을 둔 한쌍의 노크핀(knock pin) 구멍(51k)을 가짐과 함께, 다른 편면측에 복수의 압축 코일 스프링(41)의 단부를 유지가능한 복수의 오목 형상의 유지 구멍(51n)을 갖고 있다. 또한, 제1의 씰링(31)과 제2의 씰링(32)은, 각각의 오목 형상의 유지 구멍(51n)끼리 및 노크핀 구멍(51k)끼리가 회전축(2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역방향으로 열리도록,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세그먼트 씰부재(51)끼리가,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넓어지면서 미소 간극(Ec)을 두고 둘레 방향으로 대면하는 제1 대향면(51a)과, 둘레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넓어지면서 슬라이드 이동 간극(Ed)을 두고 축 방향으로 대면하는 제2 대향면(51b)을 가지도록, 동일 원주 상에 배치됨과 함께, 복수쌍의 노크핀 구멍(51k)에 자유롭게 감합된 축봉박스(33) 측의 복수의 노크핀(33j, 33k)에 의해 회전축(21) 상에 안내됨과 함께, 외주측의 가터스프링(52)에 의해 회전축(21)의 외주면 상에 소정의 접촉 압력으로 부세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축(2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소 간극(Ec)은, 제1, 제2의 씰링(31, 32)의 외주면측 및 상호 대면측(오목 형상의 유지 구멍(51n)측)에서는 전혀 덮이는 일이 없는 한편, 제1, 제2의 씰링(31, 32)이 한쌍의 내측 벽부(33b, 33c)에 밀접하는 밀접면측(노크핀 구멍(51k)측)에서는, 한쌍의 내측 벽부(33b, 33c)에 의해 덮여 좁아지고 있다.
또한, 제1, 제2의 씰링(31, 32)의 축 방향 양면측에서는, 회전축(2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소 간극(Ec)의 둘레 방향 위치가 어긋나 있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이동 간극(Ed)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의 씰링(31, 32)의 축 방향 양면측의 미소 간극(Ec)의 사이에서 역방향의 굴곡을 이룸과 함께, 축 방향 양면측의 미소 간극(Ec)보다 좁아져 있다. 이들 미소 간극(Ec) 및 미소 간극(Ec)은, 압력 손실이 큰 오리피스 형상의 누설 통로(51e)를 구성하고 있다.
백업 씰수단(60)은, 케이싱(10)의 가스 통로(11)로부터 이격되는 축봉박스(33)의 외면측(도 2 중의 우단측)에 배치되고, 회전축(21)을 둘러싸는 환상의 제3의 씰링(61)과, 이 제3의 씰링(61)을 직경 방향의 외측 및 축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마련되고, 축봉박스(33)의 제1 환상체(34)에 볼트(66)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외부 부착 환상 부재(63)와, 제3의 씰링(61)을 외부 부착 환상 부재(63)의 내측 벽부(63a)에 밀접하도록 회전축(21)의 축 방향 외방측에 부세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64)와, 축봉박스(33)의 제1 환상체(34)와 외부 부착 환상 부재(63)의 사이에 개재된 고무탄성링으로 이루어지는 하메티칼씰(65, hermetical seal)을 갖고 있다.
이 백업 씰수단(60)은, 축봉박스(33)와 외부 부착 환상 부재(63)의 사이에, 정압 가스 씰수단(40)의 메인 씰실(42)로부터 대기측으로의 씰 에어의 누설을 제한하는 보조 씰실(6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백업 씰수단(60)의 제3의 씰링(61)은, 상세 사항을 도시하지 않으나, 정압 가스 씰수단(40)의 대기측의 제2의 씰링(32)과 대략 동일하게,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원호 형상의 세그먼트 씰부재(51에 상당)와, 이들 복수의 세그먼트 씰부재를 회전축(21) 측에 부세하면서 탄성적으로 일체로 구속하는 가터스프링(52에 상당)으로 구성된 분할 씰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3의 씰링(61)의 복수의 세그먼트 씰부재도, 도 4a, 도 4b에 나타내는 제2의 씰링(32)의 복수의 원호 형상의 세그먼트 씰부재(51)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세그먼트 씰부재에 의해 압력 손실이 큰 오리피스 형상의 누설 통로(동 도면 중에 괄호부착부호 61e로 나타낸다)를 갖고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씰장치(30)에 있어서는, 메인 씰실(42)로의 씰 에어의 공급압이 대기압보다 충분히 높은 압력(P1)[MPa]일 때, 제2의 씰링(32)의 누설 통로(51e)로부터 누출되는 씰 에어가 이른바 초크(choke) 흐름이 되는 조건((P2+0.1)/(P1+0.1)이 임계 압력비(b) 이하)이 성립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씰실(42)로부터 보조 씰실(62) 측으로 씰 에어가 누출될 때에 제2의 씰링(32)에 의해 상류 압력(P1)에 따른 큰 압력 손실이 생기게 되고, 메인 씰실(42)로부터 보조 씰실(62) 측으로 누출되는 씰 에어의 질량 유량이 유효하게 제한된다.
또한, 이 경우, 보조 씰실(62) 내부의 압력(P2)은, 대기압 이상일지라도 메인 씰실(42) 내부의 씰 에어의 압력(P1)보다 충분히 작은 소정압 이하가 되고, 제3의 씰링(61)의 상류 압력인 보조 씰실(62) 내부의 압력(P2)에 대하여, 하류 압력인 대기압(P3[MPa])의 압력비가 비교적 커진다. 따라서, 제3의 씰링(61)의 오리피스 형상의 누설 통로(61e)로부터 누출되는 씰 에어가 이른바 아음속 흐름이 되는 조건((P3+0.1)/(P2+0.1)이 임계 압력비(b)보다 크다)이 성립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씰실(62)로부터 대기측으로 누출되는 씰 에어의 질량 유량은, 보조 씰실(62) 내부의 압력(P2) 및 대기압(P3)의 쌍방에 의존하는 것이 되고, 제3의 씰링(61)에 의해 충분히(보조 씰실(62) 내부가 압력(P1) 정도로 고압이고 초크 흐름이 되는 경우보다도 작은 유량으로) 제한된다.
한편, 메인 씰실(42)로의 씰 에어의 공급압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이어도 그다지 고압이 아닌 경우이거나, 혹은, 메인 씰실(42)로의 씰 에어의 공급압이 대기압보다 충분히 높은 압력(P1)일지라도 보조 씰실(62) 내부의 압력(P2)이 비교적 높은 경우, 제2의 씰링(32)의 오리피스 형상의 누설 통로(51e)로부터 누출되는 씰 에어가 아음속 흐름이 되는 조건((P2+0.1)/(P1+0.1)이 임계 압력비(b)보다 크다)이 성립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메인 씰실(42)로부터 보조 씰실(62)측으로 누출되는 씰 에어의 질량 유량은, 메인 씰실(42) 내부의 압력(P1) 및 보조 씰실(62) 내부의 압력(P2)의 쌍방에 의존하는 것이 되어, 제2의 씰링(32)에 의해 충분히(초크 흐름이 되는 경우보다도 작은 유량으로) 제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씰장치(30)를 갖는 EGR 블로어(133)는, 씰장치(30)의 정압 가스 씰수단(40) 및 백업 씰수단(60)을 협동시킴으로써, 케이싱(10)의 축공(12)을 통하여 대기측에 누출되는 씰 에어의 누설량을 충분히 저감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10)에 대하여 외부 부착 환상 부재(63)보다 축 방향 외방측에 위치하는 회전축(21) 상에는, 외부 부착 환상 부재(63)의 내주경보다 대경의 둥근 고리 판 형상의 털어냄판(81)이 배치되어 있다. 이 털어냄판(81)은, 회전축(21)의 외주면 상에 대략 수직인 배플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보조 씰실(62)로부터 회전축(21)의 축 방향으로 누출되는 씰 에어를, 주위의 진애 등과 함께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털어냄으로써, 모터(70)측으로의 진애의 침입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터보 과급기(120)에서는, 엔진(110)의 배기 리시버(104)로부터의 배기에너지에 의해 터빈(121)이 회전 구동될 때, 컴프레서(122)에 취입되는 신기(新氣)(밖으로부터의 공기) 및 EGR가스가 가압되고, 엔진(110)의 급기 리시버(103)측에 소정의 과급압으로 과급된다. 이 터보 과급기(120)는, 미리 설정된 운전조건에 따라, 터빈(121)으로의 배기의 취입을 가변노즐기능에 의해 제어하거나, 배기를 바이패스시킴과 함께 그 바이패스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 경우, 엔진(110)의 운전상태에 따라 배기 리시버(104)로부터의 배기의 에너지가 변화할 수 있는 것에 반해, 터보 과급기(120)에 의한 과급압을 적절하게 제어가능해진다.
또한, EGR장치(130)는, 엔진의 회전수[rpm]에 따라, 혹은 미리 설정된 운전조건에 따라, 재순환 경로(Le)를 좁히거나 차단하거나 함으로써, 그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엔진의 회전수[rpm]나 선박의 항행 해역에 따른 NOx의 선택적인 배출 제한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씰장치(30)를 구비한 EGR 블로어(133)에 있어서는, 제1, 제2의 씰링(31, 32)의 사이에 형성되는 메인 씰실(42) 내부에 정압 가스 씰수단(40)에 의해 가스 통로(11)에 연통하는 축공(12) 내부보다도 고압의 씰 에어가 도입됨으로써, EGR 블로어(133) 내의 배기가스가 가스 통로(11)측으로부터 대기측으로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제2의 씰링(32)의 전후 차압이 백업 씰수단(60)의 제3의 씰링(61)에 의해 억제됨과 함께, 제3의 씰링(61)의 전후 차압도 억제되는 점에서, 각 씰링(32, 61)의 전후 차압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대기측으로의 씰 에어의 누설 유량이, 정압 가스 씰수단(40) 및 백업 씰수단(60)의 협동에 의해 유효하게 제한된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10)에, 엔진(110)의 배기가스의 일부를 도입가능한 가스 통로(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가스 통로(11)에 연통하는 축공(12)에 회전축(21)이 삽입되어 임펠러(22)가 지지되고, 가스 통로(11)에 도입한 배기가스를 엔진(110)에 재순환가능하게 승압시키는 블로어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NOx 등의 배출량의 저감을 위해 엔진(110)의 배기를 재순환시킬 수 있는 EGR 블로어(133)에 적합한 것이 된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의 씰링(31, 32) 중 적어도 대기측의 제2의 씰링(32)이, 복수의 원호 형상의 세그먼트 씰부재(51)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세그먼트 씰부재(51)의 내주면 형상이나 단부 형상에 따라 그들 사이의 미소 간극(Ec, Ed) 등을 적당한 형상이나 사이즈로 설정할 수 있고, 제2의 씰링(32)의 미소 간극을 통과하는 씰 에어의 누설 유량 및 제2의 씰링(32)의 전후 차압을 안정확보 가능해진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업 씰수단(60)이 제3의 씰링(61)을 직경 방향의 외측 및 축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덮는 외부 부착 환상 부재(63)와, 제3의 씰링(61)을 외부 부착 환상 부재(63)에 밀접하도록 회전축(21)의 축 방향으로 부세하는 탄성 부재(64)를 갖고 있으므로, 제3의 씰링(61) 및 외부 부착 환상 부재(63)에 의해 보조 씰실(62)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제3의 씰링(61)이 안정된 씰 자세를 설정가능하게 되고, 운전 중인 씰 에어의 대기측으로의 누설을 보다 유효하게 저감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부착 환상 부재(63)가 축봉박스(33)에 대하여 가스 통로(11)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 외방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블로어에, 제3의 씰링(61) 및 외부 부착 환상 부재(63)를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축봉박스(33)에 대하여 가스 통로(11)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 외방측에 회전축(21)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70)가 배치되어 있고, 케이싱(10)과 모터(70)의 케이스(72)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컴팩트한 EGR 블로어(133)를 제작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부착 환상 부재(63)보다 축 방향의 외측의 회전축(21) 상에, 외부 부착 환상 부재(63)의 내주경(도 2 중의 반경(R1)에 대응하는 구멍직경(2R1))보다 대경의 둥근 고리 판 형상의 털어냄판(81)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보조 씰실(62)로부터 축 방향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씰 에어를 털어냄판(81)에 의해 주위의 진애 등과 함께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털어낼 수 있고, 모터(70)측으로의 진애의 침입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EGR 블로어(133)의 축공(12)을 폐색하는 메카니컬씰(mechanical seal) 방식의 씰장치(30)가, 축공(12)의 근방에서 회전축(21)을 둘러싸는 환상의 제1 및 제2의 씰링(31, 32)과, 제1 및 제2의 씰링(31, 32)을 둘러싸는 환상 벽부(33a)와 그 환상 벽부(33a)에 대하여 회전축(21)의 축 방향의 양측에서 일체로 결합하는 한쌍의 내측 벽부(33b, 33c)를 갖는 환상의 축봉박스(33)와, 축봉박스(33) 내부에 가스 통로(11) 내부 이상으로 고압의 씰 에어를 도입함과 함께 제1 및 제2의 씰링(31, 32)을 한쌍의 내측 벽부(33b, 33c)에 밀접시킨 메인 씰실(42)을 형성하고, 가스 통로(11)로부터 대기측으로의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정압 가스 씰수단(40)과, 축봉박스(33)에 대하여 가스 통로(11)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 외방측에서 회전축(21)을 둘러싸는 환상의 제3의 씰링(61)을 갖고, 메인 씰실(42)로부터 대기측으로의 씰 에어의 누설을 제한하는 보조 씰실(62)을 형성하는 백업 씰수단(60)을 포함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EGR 블로어(133) 내부의 배기가스가 가스 통로(11)측으로부터 선박 내의 대기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정압 가스 씰수단(40)의 가압된 씰 에어에 의해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씰 에어의 대기측으로의 누설량을 정압 가스 씰수단(40) 및 백업 씰수단(60)의 협동에 의해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EGR 블로어(133)에 있어서는, 회전축(21)이 모터(70)의 출력축(71)에 일체로 체결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21)이 모터(70)의 출력축(71)에 일체로 체결되는 대략 원통체(23)와는 별도로, 대략 원통체(23)의 외주면 상에 회전 방지 고정된 씰 전용의 회전 슬립(27)을 갖고 있으며, 그 회전 슬립(27)에, 씰링(31, 32, 61)과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한 마찰저항이 작고, 또한, 내마모성이 우수한 슬라이드 이동면을 형성하는 표면처리부(27a)가 마련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씰링(31, 32, 61)은 모두 동일한 분할 씰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1의 씰링(31) 또는 제3의 씰링(61)이 제2의 씰링(32)과는 상이한 씰 구조일 수도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나아가, 일실시형태에서는 엔진(110)을 선박용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선박용 이외의 대형의 기관, 예를 들어 발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정치 기관 등으로서, 그 발전기 및 정치 기관 등이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씰 에어 공급원의 소비 동력을 억제할 수 있는 블로어를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선박용의 엔진의 EGR 블로어에 적합한 블로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대형의 엔진의 배기 재순환 시스템에 적합한 블로어 전반에 유용하다.
10 케이싱
11 가스 통로
12 축공
21 회전축
22 임펠러
30 씰장치
31 제1의 씰링
32 제2의 씰링
33 축봉박스
33a 환상 벽부
33b, 33c 한쌍의 내측 벽부
34h 씰 에어 통로
40 정압 가스 씰수단
42 메인 씰실
45 씰 에어 공급 회로
51 세그먼트 씰부재
51a 제1 대향면
51b 제2 대향면
51e, 61e 누설 통로
60 백업 씰수단
61 제3의 씰링
62 보조 씰실
63 외부 부착 환상 부재
63a 내측 벽부
64 탄성 부재
65 하메티칼씰
70 모터
71 출력축
81 털어냄판
100 동력시스템
103 급기 리시버
104 배기 리시버
110 엔진
120 터보 과급기
130 EGR장치
133 EGR 블로어
Ec 미소 간극
Ed 슬라이드 이동 간극
Lc 과급 통로
Le 재순환 경로
P1 압력(메인 씰실 내의 압력)
P2 압력(보조 씰실 내의 압력)
P3 대기압

Claims (8)

  1. 가스 통로와 상기 가스 통로에 연통하는 축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기 축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상기 케이싱 내에 수납되는 임펠러와, 상기 축공을 씰링하는 씰장치를 구비한 블로어로서,
    상기 씰장치가,
    상기 축공의 근방에서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환상의 제1 및 제2의 씰링과,
    상기 제1 및 제2의 씰링을 둘러싸는 환상 벽부와 상기 환상 벽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의 양측에서 일체로 결합하는 한쌍의 내측 벽부를 갖는 환상의 축봉박스와,
    상기 축봉박스 내부에 상기 가스 통로 내부 이상으로 고압의 씰 에어를 도입함과 함께 상기 제1 및 제2의 씰링을 상기 한쌍의 내측 벽부에 밀접시킨 메인 씰실을 형성하고, 상기 가스 통로로부터 대기측으로의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정압 가스 씰수단과,
    상기 축봉박스에 대하여 상기 가스 통로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 외방측에서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환상의 제3의 씰링을 갖고, 상기 메인 씰실로부터 대기측으로의 씰 에어의 누설을 제한하는 보조 씰실을 형성하는 백업 씰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엔진의 배기가스의 일부를 도입가능한 상기 가스 통로와 상기 가스 통로에 연통하는 상기 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임펠러가, 상기 가스 통로에 도입하고 승압한 배기가스를 상기 엔진에 재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의 씰링 중 적어도 대기측의 상기 제2의 씰링이,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원호 형상의 세그먼트 씰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씰부재끼리가,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넓어지면서 둘레 방향으로 대면하는 제1 대향면과, 상기 둘레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넓어지면서 축 방향으로 대면하는 제2 대향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씰수단이, 상기 축봉박스에 대하여 상기 가스 통로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 외방측에서 상기 제3의 씰링을 직경 방향의 외측 및 축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덮는 외부 부착 환상 부재와, 상기 제3의 씰링을 상기 외부 부착 환상 부재에 밀접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부세하는 탄성 부재를 더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착 환상 부재가, 상기 축봉박스에 대하여 상기 가스 통로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 외방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과 상기 모터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착 환상 부재보다 상기 축 방향 외방측의 상기 회전축 상에, 상기 외부 부착 환상 부재의 내주경보다 대경의 둥근 고리 판 형상의 털어냄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
  8. 엔진의 배기가스의 일부를 도입가능한 가스 통로와 상기 가스 통로에 연통하는 축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기 축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상기 케이싱 내에 수납되고, 상기 가스 통로에 도입하고 승압한 EGR가스를 상기 엔진에 재순환시키는 임펠러를 구비한 블로어에 장착되고, 상기 축공을 씰링하는 EGR 블로어의 씰장치로서,
    상기 축공의 근방에서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환상의 제1 및 제2의 씰링과,
    상기 제1 및 제2의 씰링을 둘러싸는 환상 벽부와 상기 환상 벽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의 양측에서 일체로 결합하는 한쌍의 내측 벽부를 갖는 환상의 축봉박스와,
    상기 축봉박스 내부에 상기 가스 통로 내부 이상으로 고압의 씰 에어를 도입함과 함께 상기 제1 및 제2의 씰링을 상기 한쌍의 내측 벽부에 밀접시킨 메인 씰실을 형성하고, 상기 가스 통로로부터 대기측으로의 상기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정압 가스 씰수단과,
    상기 축봉박스에 대하여 상기 가스 통로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 외방측에서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환상의 제3의 씰링을 갖고, 상기 메인 씰실로부터 대기측으로의 씰 에어의 누설을 제한하는 보조 씰실을 형성하는 백업 씰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의 씰장치.
KR1020217035476A 2020-06-04 2021-03-23 블로어 KR102653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97939 2020-06-04
JPJP-P-2020-097939 2020-06-04
PCT/JP2021/011827 WO2021246029A1 (ja) 2020-06-04 2021-03-23 ブロ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860A KR20210151860A (ko) 2021-12-14
KR102653737B1 true KR102653737B1 (ko) 2024-04-01

Family

ID=7883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5476A KR102653737B1 (ko) 2020-06-04 2021-03-23 블로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19636B2 (ko)
KR (1) KR102653737B1 (ko)
CN (1) CN114207287B (ko)
WO (1) WO20212460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291B1 (ko) * 2023-07-14 2024-02-28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소우후우키세이사쿠쇼 블로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7609A (ja) 2010-10-22 2012-06-07 Kobe Steel Ltd 圧縮機
JP2016089671A (ja) 2014-10-31 2016-05-23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送風機、排ガス再循環システム、および送風機の製造方法
WO2020017635A1 (ja) 2018-07-19 2020-01-23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シールシステム、および該シールシステムを備えたポンプシステム
JP2020017635A (ja) 2018-07-25 2020-01-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シート材、回路基板、回路基板を作成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マイクロカプセル、熱膨張性材料、及び、ボタン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7340B2 (ko) * 1972-09-08 1975-12-02
JPH0222526Y2 (ko) * 1985-06-24 1990-06-18
JPS624663A (ja) * 1985-07-01 1987-01-1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故障診断装置
JPH0932797A (ja) * 1995-07-21 1997-02-04 Ube Ind Ltd ポンプ軸封部のシール構造
DE29600707U1 (de) * 1996-01-17 1996-03-07 Burgmann Dichtungswerk Feodor Abdichtungsanordnung
JP2002332919A (ja) 2001-02-26 2002-11-22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再循環システム
DE102008027232B3 (de) * 2008-06-06 2009-09-03 Uhde Gmbh Sperrung des NO-Kompressors und des Restgasexpanders in einer Salpetersäureanlage
JP4997336B2 (ja) 2010-01-29 2012-08-08 エムエーエヌ・ディーゼル・アンド・ターボ・フィリアル・アフ・エムエーエヌ・ディーゼル・アンド・ターボ・エスイー・ティスクランド 排ガス再循環システムを備える大型2サイクルディーゼル機関
JP2012172647A (ja) 2011-02-24 2012-09-1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ターボ過給機を備えたエンジンの排熱回収システム
CN202646137U (zh) * 2012-03-30 2013-01-02 江苏乘帆压缩机有限公司 离心式气体压缩设备的轴端密封装置
JP2014125986A (ja) * 2012-12-27 2014-07-07 Hitachi Ltd シール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転機械
EP3208468A1 (en) * 2016-02-22 2017-08-23 Siemens Turbomachinery Equipment GmbH Radial compress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7609A (ja) 2010-10-22 2012-06-07 Kobe Steel Ltd 圧縮機
JP2016089671A (ja) 2014-10-31 2016-05-23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送風機、排ガス再循環システム、および送風機の製造方法
WO2020017635A1 (ja) 2018-07-19 2020-01-23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シールシステム、および該シールシステムを備えたポンプシステム
JP2020017635A (ja) 2018-07-25 2020-01-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シート材、回路基板、回路基板を作成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マイクロカプセル、熱膨張性材料、及び、ボタン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246029A1 (ko) 2021-12-09
CN114207287A (zh) 2022-03-18
KR20210151860A (ko) 2021-12-14
WO2021246029A1 (ja) 2021-12-09
JP7319636B2 (ja) 2023-08-02
CN114207287B (zh)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0687B2 (ja) ピストン内燃機関
US8333073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two-stage turbo charging system
US20150345373A1 (en) Compressing device with thermal protection
US20070196206A1 (en) Pressure load compressor diffuser
JP2002303145A (ja) ターボチャージャ付き内燃機関
US11965470B2 (en) High efficiency turbocharger with EGR system
KR102653737B1 (ko) 블로어
EP3441577B1 (en) Turbocharger with gas and liquid flow paths
US10018164B2 (en) Gas compressor pressure relief noise reduction
JP2009270524A (ja) 過給機付き内燃機関
JP2001020747A (ja) 大型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の過給機グループ
CN110036193B (zh) 内燃机
FI123489B (fi) Suuren polttomoottorin kaksoisturboahdinjärjestely
CN111173654B (zh) Egr单元及发动机系统
JP2011017326A (ja) 可変容量型ターボチャージャ
US20140165561A1 (en) Supercharger Turbocharger Bypass Back Draft Inlet Damper for Series Operation
JP7042650B2 (ja) ターボチャージャ
JP3918260B2 (ja) ターボチャージャの排気再循環装置
KR100774336B1 (ko) 디젤 엔진의 터보 차저 시스템
GB2564691B (en) An EGR system having a turbine driven auxiliary compressor
SU1370274A1 (ru) Четырехтактный дизель с газотурбинным наддувом
KR20110062132A (ko) 디젤 엔진의 녹스 저감 장치
GB2557910A (en) Supercharger with vaned diffuser
KR20030012220A (ko) 내연기관의 흡기 강제 압축 및 냉각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