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565B1 -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565B1
KR102653565B1 KR1020210166586A KR20210166586A KR102653565B1 KR 102653565 B1 KR102653565 B1 KR 102653565B1 KR 1020210166586 A KR1020210166586 A KR 1020210166586A KR 20210166586 A KR20210166586 A KR 20210166586A KR 102653565 B1 KR102653565 B1 KR 102653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tree fruit
vitamin tre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9615A (ko
Inventor
김기섭
송현숙
명경희
태유경
장효재
Original Assignee
(주)다럼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럼앤바이오 filed Critical (주)다럼앤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16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5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7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HK-9(기탁번호: KCCM11254P)로 발효시킨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미백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Liposome comprsings barley sprout extract and vitamin tree fruit extract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 노화는 크게 두 가지로 연구되고 있으며, 누구에게나 생물학적 과정, 피부의 구성단위인 세포의 기능변화에 기인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나타나는 “내적 노화(Intrinsic aging)”와 지속적인 자외선(빛) 노출, 스트레스, 공해(흡연) 등과 같은 외부 환경요인에 노출되어 나타나는 “외적 노화(Besides the aging of the human nature)”로 구분된다.
전술한 요인에 의하여 피부 세포와 세포막이 손상되면, 세포막의 투과성이 변화하여 세포 내의 이온 균형이 깨지게 되고, 이런 변화는 세포 내 대사물의 배출을 막고, 이 대사물을 제독하는 세포의 기능을 감퇴시킨다. 이와 같은 세포 수준의 변화가 지속되면, 피부 조직의 구조가 규칙성을 잃게 되고 진피(dermis)에 국소적인 상흔이 나타나며 콜라겐 섬유나 탄력섬유의 감소로 진피 두께가 줄어든다. 콜라겐 섬유끼리의 가교도 증가하며 탄력섬유의 미세한 구조도 손상되어 전체적으로 피부의 탄력 저하와 함께 피부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피부 진피층 기질을 이루는 중요한 성분인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써 세포 외 간질에 존재하고,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등과 같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노화가 되면 콜라겐 자체의 합성이 줄어들 뿐 아니라 콜라겐을 포함한 결합조직을 분해하는 MMPs(세포외기질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활성이 증가하여 피부조직 내의 콜라겐 분해를 촉진시켜 콜라겐의 함량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MMPs를 억제하는 내재성 억제제인 TIMP(Tissu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가 존재하는데 MMPs와 TIMP의 활성이 균형을 이루어 적절히 조절이 될 때에 생리적인 조직의 재구성과 항상성이 잘 유지되게 된다.
한편, 사람 피부의 색상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 및 분포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이러한 멜라닌은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층에 있는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는데, 멜라노사이트 내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피부 내의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미백 효과를 갖는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피부 개선효능이 우수한 천연물 유래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3204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HK-9(기탁번호: KCCM11254P)로 발효시킨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상성분과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 및 상기 비타민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상성분으로 리포좀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은 70 내지 85 중량%의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은 비타민나무 열매를 25 내지 45 ℃에서 36 내지 60 시간 동안 발효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은 이산화탄소를 초임계 유체로 사용하여, 300 내지 450 bar 압력 및 40 내지 60 ℃ 온도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이 1: 0.5~1.5 : 0.5~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MMP-1 발현을 억제시키며, 타입 Ⅰ 프로콜라겐 단백질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물질로 구성되어 피부에 안전하고, 피부주름 예방 및 개선 효과, 미백효과,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주름의 생성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MMP-1 단백질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타입 Ⅰ 프로콜라겐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하여 피부주름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티로시나아제를 억제시켜 멜라민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미백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포좀화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a) 새싹보리 추출물의 동결건조분, (b)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의 동결건조분과 (c) 이의 TLC 결과, (d)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사진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HK-9(기탁번호: KCCM11254P)로 발효시킨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상성분과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 및 상기 비타민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상성분으로 리포좀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리포좀화 되어 새싹보리 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완전하게 포집되어 효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흡수도와 투과도 또한 향상시켜 유효성분을 피부에 빠르고 깊이 흡수시킬 수 있다.
새싹보리 추출물
새싹보리(어린 보리 잎)는 종자에 싹을 틔워 약 15~20 cm 정도까지 자란 보리를 의미한다. 새싹보리는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등의 무기성분 함량과 비타민 C, 비타민 B1, 비타민 E의 등의 항산화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높다. 또한, 항산화, 항염증, 항암기능을 가지는 사포나린(Saponarin), 루토나린(Lutonarin) 및 아이소비텍신(Isovitexin) 등의 기능성 물질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은 60 내지 90 ℃에서 1 내지 1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30 분 내지 8 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용매는 20 내지 90 중량%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5 중량%의 에탄올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특히, 70 내지 85 중량%의 에탄올을 이용한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 효능이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비타민나무 발효추출물
비타민나무는 산자나무라고도 불리며, 노란색에서 주황색의 열매가 열리는 나무이다. 비타민나무 열매는 비타민 함유량이 다른 과일이나 채소에 비하여 월등하게 높으며 항산화에 효과적인 폴리페놀, 폴라보노이드 성분의 함량 또한 매우 높다.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HK-9(Lactobacillus rhamnosus, 기탁번호: KCCM11254P)로 비타민나무 열매를 발효시켜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을 수득한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산균은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acidophilus MG501, Lactobacillus casei MG311, Lactobacillus rhamnosus MG315, Lactobacillus fermentum MG590, Lactobacillus plantarum MG208 및 Bifidobacterium longum MG723이지만, 이러한 유산균으로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 시 우수한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미백 효과를 얻지 못하므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HK-9(기탁번호: KCCM11254P)를 사용하는 것 바람직하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HK-9(기탁번호: KCCM11254P)를 25 내지 45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에서 36 내지 60 시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시간 동안 배양한 후 1X108 내지 5X109 cfu/mL 농도로 수득하고, 이를 비타민나무 열매에 접종시켜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양 온도 및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발효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고, 반대로 상기 상한치 초과이면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 효능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HK-9(기탁번호: KCCM11254P)가 상기 하한치 미만의 농도를 가지면,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배양 시간을 증가시켜도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은 비타민나무 열매를 분쇄한 분쇄물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HK-9(기탁번호: KCCM11254P)를 혼합하여 25 내지 45 ℃에서 36 내지 60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에서 40 내지 50 시간 동안 발효시켜 수득한다. 발효 온도 및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충분한 발효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반대로 상기 상한치 초과이면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이 변질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은, 초임계 유체로서 이산화탄소, 물, 에탄(ethane), 에틸렌(ethylene) 및 프로판(propane) 등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고, 특히 초임계 유체로서 임계점이 낮고 독성이 없는 이산화탄소를 사용할 때 비타민나무 열매의 지용성 성분에 함유되는 주름개선 유용성분의 추출 및 분리 효율이 현저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은 300 내지 450 bar 압력 및 40 내지 60 ℃ 온도,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400 bar 압력 및 45 내지 50 ℃ 온도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추출의 온도 및 압력 조건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수득되는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의 유효성분 추출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이 혼합된 3종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3종 혼합물일 때 상기 3개의 추출물의 단독 또는 2종으로 혼합한 혼합물보다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 효능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이 1: 0.5~1.5 : 0.5~1.5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9~1.1 :0.9~1.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혼합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않으면,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단독 또는 2종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보다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 효능이 크게 향상되지 못한다는 점에서 상기 중량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총 합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미백”이란 피부를 아름답고 희게하는 것으로서,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층에 있는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는데, 멜라노사이트 내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피부 내의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과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닉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켜 피부 미백 및 피부과색소 침작증 개선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주름”이란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피부주름의 원인으로는 유전자, 콜라겐의 감소, 외부 환경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주름 개선”이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긴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 섬유아세포의 주된 기능으로 세포외기질 합성과 증식을 통한 손상된 피부 조직 재생 등을 들 수 있는데, 광노화와 같은 외인성 노화 요인 또는 유리 산소에 의한 손상 누적, 텔로미어 단절로 인한 세포 노화 등에 따른 내인성 노화 요인들은 진피층 내에 있는 피부섬유아세포의 생리 활성 기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피부 세포외기질 중 95% 이상을 차지하고, 세포의 부착분자(adhesion molecule) 및 세포 골격(cytoskeleton) 등과의 상호 작용과 신호 교류를 통해 섬유아세포의 생리 활성에 매우 주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타입 Ⅰ 콜라겐의 합성이 저하될 경우, 피부 조직 내 콜라겐 양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표면 장력이 감소되어 피부 탄력이 저하되고 피부 주름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세포의 증식 및 재생 기능을 포함하는 생리 활성 기능이 감소하는 악순환의 원인이 된다. 이에 피부섬유아세포의 콜라겐은 피부 탄력, 주름 형성 및 피부 손상 시 조직의 수복 또는 재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즉 피부섬유아세포의 콜라겐 또는 프로콜라겐의 합성이 촉진되거나, 콜라겐을 분해하는 기질 단백질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이하 'MMP'라 함)의 합성이 저해되면,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재생, 피부 주름 개선, 상처 치유, 손상된 피부 조직의 수복 및 재생 및 피부 노화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MMP-1 발현을 억제시키며, 타입 Ⅰ 프로콜라겐 단백질의 생성을 증가시킨다. 이에 본 발명의 리포좀은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재생, 피부 주름 개선, 상처 치유, 손상된 피부 조직의 수복 및 재생 및 피부 노화 방지 등의 효과를 가져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나 추가의 유상성분,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배합성분의 구쳬예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자외선 흡수제, pH 조정제,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품 또는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와 같은 화장품류와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같은 세안제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새싹보리 추출물
새싹보리를 분쇄한 분말에 10 배 중량의 80 중량% 에탄올을 가하여 70 ℃에서 120 분 동안 추출한 후 새싹보리 80%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으며, 그 다음 농축하여 동결건조로 분말화하였다.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100 g을 분쇄한 분말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HK-9(Lactobacillus rhamnosus HK-9, 기탁번호: KCCM11254P)를 55% MRS 배지와 0.5% L-Cysteine hydrochloride를 첨가하여 제조한 배지가 있는 진탕항온배양기에 넣고, 70~100 rpm, 37 ℃에서 48 시간 동안 전배양하였다.
그 다음 2 L 플라스크에 55% MRS 배지로 만든 유산균 배양배지 1 L 및 비타민나무 열매 분말 100 g을 첨가한 후, 상기 전배양된 3X109 cells/mL 농도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HK-9 배양액을 5(v/v)%로 접종한 후 37 ℃에서 48 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그 다음 상기 발효물을 3000 rpm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후 0.45 μM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a) 새싹보리 추출물의 동결건조분, (b)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의 동결건조분과 (c) 이의 TLC 결과, (d)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사진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이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고분자에서 저분자로 전환됨을 알 수 있다.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의 지용성 성분을 선택적으로 수득하기 위하여 비타민나무 열매 분말 100 g을 초임계 추출기에 투입하고 이산화탄소를 초임계 유체로 사용하여 380 bar 압력 및 47 ℃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추출하여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혼합물 제조
상기 새싹보리 80% 에탄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1: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실시예 2.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리포좀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새싹보리 80% 에탄올 추출물 및 상기 실시예 1의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상부를 준비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비타민나무 열매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물 10 중량%, 레시틴 80 중량%, sodium deoxycholate 10 중량%으로 혼합한 후 유상부를 준비하였다.
상기 수상부 및 유상부 각각은 80 ℃로 가열하여 4000 rpm으로 혼합하였다. 그 다음 상기 수상부 및 유상부를 균질기(Homogenizer)에 투입하여 5000 내지 6000 rpm으로 10 분 동안 교반하여 레시틴을 충분히 분산시켰다. 그 다음 30 ℃까지 냉각한 후 초음파 균질기로 40 kHZ로 3 분 동안 처리하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이때 상기 리포좀에는 새싹보리 80% 에탄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물이 1:1:1 중량비로 사용되었다.
비교예 1. 새싹보리 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새싹보리 80% 에탄올 추출물 및 상기 실시예 1의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비교예 2. 새싹보리 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새싹보리 80% 에탄올 추출물 및 상기 실시예 1의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비교예 3.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 포함하는 혼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상기 실시예 1의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시험예 1. 항산화 성분 분석
(1)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시험관에 95% Ethanol 1 ml와 각 시료 1 ml, 50% Folin-Ciocalteu reagent 0.5 m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5 분간 반응시켰다. 그 다음 5% Na2CO3 1 ml를 첨가하여 다시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725 nm에서 흡도를 측정하였다. Gallic acid(Sigma-Aldrich)를 표준물질로 하여 동일하게 실험하여 표준곡선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건조 시료 1 g에서 용출되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gallic acid 기준으로 구하고 1000 ㎍/ml 농도에서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폴리페놀 함량(mg GAE/g)
실시예 1 3.15
실시예 2 2.75
비교예 1 0.07
비교예 2 0.11
비교예 3 0.17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표준물질 대비 3.15 mg GAE/g, 실시예 2는 2.75 mg GAE/g의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은 현저하게 낮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Moreno 등의 방법에 따라 시료 25 μL에 에탄올 75 μL, 증류수 140 μL, 1 M 초산칼륨 5 μL 및 10% aluminum nitrate 5 μL을 차례로 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40 분간 반응시킨 후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다음 Quercetin(Sigma Co.,USA)를 표준물질로 하여 1~500 μg/mL의 농도범위에서 얻어진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mg QE/g)
실시예 1 0.90
실시예 2 1.21
비교예 1 0.03
비교예 2 0.06
비교예 3 0.05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가 상기 비교예 1 내지 3보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시험예 1의 결과를 통해,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두 개 혼합한 2종 혼합물 보다 3가지 모두 혼합하는 것이 총 폴리페놀 및 폴라보노이드 함량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항산화능 평가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과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를 1:1 비율로 혼합하고 30 분간 반응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대조군 아스코브산(ascorbic acid)을 100%로 설정하여 구한 황산화력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항산화력(%, DPPH radical 소거능)
대조군(L-ascorbic acid) 100.0
실시예 1 112.6
실시예 2 125.4
비교예 1 85.2
비교예 2 86.9
비교예 3 86.4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DPPH 소거능이 비교예 1 내지 3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도 그 이상의 DPPH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이의 리포좀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미백효과 평가
티로시나제(Tyrosinase)억제 평가
티로시나제는 인체내의 멜라닌 생합성 경로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 속도결정단계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미백 효능 평가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인 티로시나제 효소 활성 억제능을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료(0.5 mg/mL)를 에탄올이나 적당한 용매에 녹여 tyrosinase활성을 억제하기 위한 적당한 농도 범위로 희석한 것을 시료액으로 하였다. 96 well plate에 10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5) 140 ㎕와 시료액 40 ㎕ 그리고 Mushroom tyrosinase(1000 U/mL)를 20 ㎕를 순서대로 넣고 37 ℃에서 10∼15 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L-Tyrosine를 50 ㎕ 넣고 37 ℃에서 10∼15 분 동안 반응 시킨 것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공시료액으로 시료액 대신 0.1 M 인산염완충액(pH 6.5)을 넣었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는 알부틴을 사용하고 대조군으로는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티로시나제 억제능(%)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티로시나제 억제능(%) = {1-(시료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 100
구분 티로시나제 억제능(%)
시료 처리 농도(mg/mL)
0.005 0.01 0.5 1.0
양성대조군(알부틴) 42.89 44.76 48.57 53.15
실시예 1 45.87 51.23 53.45 58.13
실시예 2 48.54 54.36 58.47 63.25
비교예 1 11.25 15.43 19.15 21.21
비교예 2 11.46 15.89 20.46 25.13
비교예 3 15.87 19.54 23.43 27.46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에서 비교예 1 내지 3보다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2를 비교할 때, 리포좀화된 실시예 2의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 중 2개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2종 혼합물 또는 이의 리포좀(비교예 1 내지 3) 보다 3개의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3종 혼합물 또는 이의 리포좀(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의 티로시나제 억제 효능이 현저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는바, 실시예 1 내지 2는 피부미백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피부주름 개선 효능 평가
HS68 세포 배양
인간에서 유래한 피부 섬유아세포인 HS68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HS68 세포는 DMEM 배지 (Welgene)에 10% fetal bovine serum (FBS), 100 units/mL penicillin과 100 μg/mL streptomycin을 첨가한 세포 배양액 (complete DMEM 배양액)을 사용하여 37 ℃ 습윤한 CO2 배양기 (5% CO2/95% air)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배양접시의 80% 정도 찼을 때, phosphate buffer saline (PBS, pH 7.4)으로 세포 단층을 씻어낸 후 trypsin-2.65 mM EDTA를 첨가하여 세포를 떼어내어 계대 배양하였고, 배지는 2일마다 교환하였다.
HS68 세포의 cell viability 측정
HS68 세포를 1 × 105 cells/well이 되도록 24-well plate에 분주하고 24 시간 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를 24 시간 배양한 후 각각의 시험물질을 다양한 농도로 함유한 serum-free 세포배양액으로 교환하여 세포를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HS68 세포를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한 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세포 생존율 (%) = [시료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구분 세포생존율(%)
시료 처리 농도(mg/mL)
0.005 0.01 0.5 1.0
음성대조군(무첨가) 100
실시예 1 99.1 98.9 98.5 98.3
실시예 2 99.3 98.5 98.3 97.8
비교예 1 93.1 93.7 94.3 94.5
비교예 2 93.5 94.1 94.8 95.6
비교예 3 93.0 93.2 93.8 94.5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혼합물(실시예 1)과 이의 리포좀(실시예 2)은 인간 피부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HS68 세포가 생성 분비한 타입 Ⅰ 프로콜라겐 함량(%) 측정
피부 주름 개선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 단백질 타입 Ⅰ 프로콜라겐 단백질의 생성량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HS68 세포를 1 × 105 cells/well이 되도록 24-well plate에 분주하고 24 시간 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를 24 시간 배양한 후 각각의 시험물질을 다양한 농도로 함유한 serum-free 세포배양액으로 교환하여 세포를 24 시간 배양하였다. HS68 세포를 24 시간 배양한 후 세포 배양액을 수거하여 각각 Procollagen Type I C-Peptide(PIP) EIA Kit(Takara)를 사용하여 제조사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타입 Ⅰ 프로콜라겐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음성대조군(무처리군)을 100%로 하여 비교치로 산출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타입 Ⅰ 프로콜라겐 함량(%)
시료 처리 농도(㎍/mL)
100 500 1000
음성대조군(무처리군) 100
양성대조군(L-ascorbic acid 200 μM) 140.1
실시예 1 95.1 120.4 153.2
실시예 2 98.6 135.1 162.4
비교예 1 81.2 91.2 98.1
비교예 2 78.4 92.4 95.8
비교예 3 77.1 86.1 92.5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 보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타입 1 프로콜라겐의 생성이 현저하게 촉진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 중 두 개를 혼합한 2종 혼합물 또는 이의 리포좀(비교예 1 내지 3)보다 상기 세가지 추출물을 모두 혼합한 3종 혼합물 또는 이의 리포좀에서(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피부주름 개선 효능이 배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MP-1 함량 측정
피부주름 개선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방법에 따라 주름생성에 관여하는 MMP-1의 발현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음성대조군(무처리군)을 100%로 하여 비교치로 산출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HS68 세포를 1 × 105 cells/well이 되도록 24-well plate에 분주하고 24 시간 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를 24 시간 배양한 후 각각의 시험물질을 다양한 농도로 함유한 serum-free 세포배양액으로 교환하여 세포를 24 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24 시간 배양한 후 세포배양액을 수거하여 Human MMP-1 ELISA Kit(Sigma-Aldrich)를 사용하여 제조사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MMP-1 함량을 측정하였다.
구분 MMP-1 함량(%)
시료 처리 농도(㎍/mL)
100 500 1000
음성대조군(무처리군) 100
양성대조군(TGF-β1 10 ng/mL) 36.2
실시예 1 75.1 48.1 35.5
실시예 2 70.5 42.5 32.5
비교예 1 98.5 72.5 67.5
비교예 2 95.4 69.4 62.5
비교예 3 94.5 70.5 65.2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 보다 실시예 1 내지 2가 더욱 우수한 수준으로 MMP-1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생성된 주름을 개선하는 피부주름 개선 용도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의 결과를 통해,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 중 두 개를 혼합한 2종 혼합물 또는 이의 리포좀(비교예 1 내지 3) 대비 3개의 추출물을 모두 혼합한 3종 추출물 또는 이의 리포좀(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피부주름 개선 효능에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리포좀 성능 평가
1. 리포좀(경피 흡수 촉진 미립자)의 안정성 확인
(1) 실험방법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시료 5 μL에 Folin-Ciocalteau phenol reagent 10 μL 와 증류수 100 μL을 가한 후 3 분간 실온에서 혼합하였다. 그 다음 혼합액에 20%에 Na2CO3 용액을 100 μL 가한 다음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반응 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은 Gallic acid를 25~800 μg/mL 농도 범위로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얻은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시료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2) 리포좀 제형의 포집률 측정
실시예 2의 리포좀 현탁액에서 1 mL을 취하여 sephadex G-50 컬럼을 이용하여 포집되지 않은 폴리페놀을 제거하였다. 그 후 과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리포좀의 막을 파괴시킨 후 에탄올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증발시켰다. 그 다음 에탄올 1 mL을 넣어서 용해하여 실시예 2의 리포좀에 포집된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2의 리포좀 제조에 사용된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혼합물의 폴피페놀 함량과 실시예 2의 리포좀에 포집된 폴리페놀의 함량을 하기 수학식 3에 대입하여 리포좀의 포집 효율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3]
포집효율(%) =(리포좀에 포집되어진 폴리페놀의 함량/초기 추출물의 폴리페놀의 함량) x 100
실시예 2의 리포좀 제조에 사용된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혼합물의 폴피페놀 함량은 3.12 mg GAE/g이고, 리포좀으로 포집하였을 때(실시예 2) 폴리페놀 함량은 2.56 mg GAE/g으로 약 82%의 포집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리포좀 제형의 안정성 평가
실시예 2의 리포좀 제조 직후(0개월)와 가속 조건인 온도 40±2℃, 상대습도 75±5%에서 3 달 동안 보관한 후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표 8에 나타내었다.
시료 결과(mg GAE/g)
실시예 2(0개월) 2.56
실시예 2(3개월) 2.50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월 후 리포좀은 폴리페놀의 함량은 2.50 mg GAE/g으로 초기 리포좀 제형의 포집량과 비교하였을 때 98% 이상으로 큰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제형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2. 피부투과도 평가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혼합물과 이의 리포좀 제형의 피부 투과도 평가를 위하여 인공피부막인 Skin pampa를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지표물질인 폴리페놀 함량으로 투과율을 분석하였다.
(1) 평가방법
피부투과도 평가 시험 방법은 skin pampa법으로 수행하였다. 프리즈마 버퍼(prisma buffer)로 블랭크(Blank)를 준비하고 분석(reading)하였다. 딥웰 플레이트(Deep well plate)에 프리즈마 버퍼 1,000 μL를 pH-map에 따라 넣었다. Stock plate의 뚜껑을 열고 8 channel pipette을 이용하여 샘플 5 μL를 따서 딥웰 플레이트로 옮긴 후 Pipette를 500 μL로 맞춘 후 4~6번 혼합하였다. 그 다음 용액의 농도를 측정하거나 계산하여 assay의 <reference>로써 결과 이용하였다.
스킨 테스트 에세이(skin test assay)의 도너 플레이트(donor plate)는 딥웰 플레이트로부터 sample solution 200 μL를 도너 플레이트로 옮기고 뚜껑을 덮어 준비하였다. 그 다음 8 channel pipette을 200 μL로 맞추고 웰(Well)을 hydration(수화)하고 도너 플레이트의 assay를 준비한 후 탑 플레이트(top plate)를 수화 용액 저장고(hydration solution reservoir)로부터 서포터 플레이트(support plate)로 옮겼다. 그리고 억셉터 플레이트(acceptor plate)의 각 웰에 pH7.4의 프리즈마 버퍼 200 μL를 넣고 도너 플레이트의 뚜껑을 벗겼다. bubble 생기지 않게 주의하면서 억셉터 플레이트 bottom row(H)부터 도너 플레이트 위에 천천히 올려 샌드위치를 만들고 억셉터 플레이트 위에 뚜껑을 덮어 도너 플레이트 위에 억셉터 플레이터가 올려진 pampa sandwich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피부막(skin membrane)이 마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4~5분 이내에 끝내고 실험을 시작하여야 한다. 증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높은 상대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젖은 스펀지가 있는 습도 챔버나 gut-box에 sandwich를 놓았으며 sandwich plate는 절대로 기울이지 않도록 하였다. 그 다음 실온에서 교반 없이 5 시간 동안 배양(Incubation)하였다. 배양 후 습도 챔버로부터 PAMPA sandwich를 꺼낸 후 lid를 열고 8 channel pipettor를 이용하여 억셉터 플레이트로부터 150 μL 씩 UV plate로 옮긴 후 spectrophotometer에서 250~498 nm 범위로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2) 평가결과
전술한 skin pampa법으로 투과 전 추출물과 실시예 2의 리포좀 제조시 사용한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3종 혼합물 및 이를 리포좀화한 실시예 2의 리포좀의 투과 후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비교하여 투과율(%)을 얻어 표 9에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mg GAE/g) 투과율(%)
투과전 추출물 3.17  
3종 추출물 0.0327 1.03%
실시예 2 0.1027 3.24%
상기 표 9를 참조하면, 리포좀화되었을 때(실시예 2) 더욱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어, 상기 실시예 2의 리포좀은 피부에 투과하여 효능을 발휘하는데 도움을 줄 것을 예측할 수 있다.
3. 피부적합성 임상평가
실시예 2의 리포좀이 피부 자극이나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첩포 실험을 실시하였다. 선정기준 및 제외기준에 의한 20~60세의 건강한 여성 지원자 33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Frosch & Kligman, ICDRG 및 PCPC guideline에 따라 48 시간 단일첩포 시험(48hr single 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이때 피험자의 평균 연령은 44.6±8.0 세로 최고 연령은 58 세, 최저 연령은 25 세였으며, 하기 조건에 따라 첩포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첩포 부위인 등을 70% ethanol로 소독한 후 실시예 2의 시료(800 ㎍/mL) 20 ㎕가 적용된 Van der Bend(Van der Bend, Netherlands)를 첩포하였다. 48 시간 후 첩포를 제거하고 skin marker(Chemotechnique Diagnostics AB, Sweden)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였으며, 30 분, 24 시간 후에 각 시험 부위의 반응도를 평가하였다. 일차 피부자극 시험(Skin Primary irritation Test)의 평가 기준은 하기 표 10에 제시한 PCPC Guidelines의 판정 기준에 따랐으며, 2회에 걸쳐 평가한 피부 반응의 정도(평균 반응도)를 하기 수학식 4에 따라 점수화하고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4]
평균반응도 = [{(반응도 ×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수)/(총피검자수 × 최고점수(5점))} × 100] × 1/2
반응도 임상증상(반응)
0 무반응
1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2 보통의 홍반 및 첩포 경계에서 가까스로 감지할 수 있는 부종 및/또는 구진 형성
3 보통의 홍반; 및 첩포 부위 전반에 퍼진 부종
4 심한 홍반; 및 심한 부종; 또는 수포 발생
6 첩포 부위를 넘어서서 심각한 반응이 퍼짐
반응이 나타난 피험자 수(명) 반응도
30 분 24 시간 평균
음성대조군 0 0.0 0.0 0.0
실시예 2 0 0.0 0.0 0.0
상기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첩포 실험 결과 모든 피험자들에게서 첩포 제거 후 관찰 시점에서 피실험자 모두 피부 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저자극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를 제시하도록 한다.
제제예 1. 화장수
실시예 1의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수의 제제예는 하기 표 12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5
글리세린 7
1,3-부틸렌글라이콜 3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5
에탄올 10
방부제, 색소 및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2. 로션
실시예 2의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리포좀을 포함하는 로션의 제제예는 하기 표 13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 5
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라이콜 4
유동파라핀 10
스테아린산 1.3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
스쿠알란 2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
방부제, 색소 및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3. 영양크림
실시예 2의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리포좀을 포함하는 로션의 제제예는 하기 표 14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 5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
세테아릴 알코올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소르베이트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스쿠알란 5.0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13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방부제, 색소 및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Claims (8)

  1.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HK-9(기탁번호: KCCM11254P)로 발효시킨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은 이산화탄소를 초임계 유체로 사용하여, 300 내지 450 bar 압력 및 40 내지 60 ℃ 온도에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상성분과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 및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상성분으로 리포좀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은 70 내지 85 중량%의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은 비타민나무 열매를 25 내지 45 ℃에서 36 내지 60 시간 동안 발효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이 1: 0.5~1.5 : 0.5~1.5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MMP-1 발현을 억제시키며, 타입 Ⅰ 프로콜라겐 단백질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66586A 2021-11-29 2021-11-29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3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586A KR102653565B1 (ko) 2021-11-29 2021-11-29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586A KR102653565B1 (ko) 2021-11-29 2021-11-29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615A KR20230079615A (ko) 2023-06-07
KR102653565B1 true KR102653565B1 (ko) 2024-04-03

Family

ID=8676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586A KR102653565B1 (ko) 2021-11-29 2021-11-29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5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954A (ko) * 2009-11-25 2011-06-01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9965B1 (ko) * 2015-03-30 2017-06-23 대한민국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8523B1 (ko) * 2016-11-11 2018-11-15 주식회사 탑사치바이오텍 산자나무 열매 오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복합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45447B1 (ko) * 2018-08-28 2020-08-18 (주)다럼앤바이오 비타민나무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0424B1 (ko) 2018-12-05 2021-11-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615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254B1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2145447B1 (ko) 비타민나무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S2741874T3 (es) Uso de Tiliacora triandra en cosméticos y composiciones de los mismos
KR101176528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4B1 (ko) 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2284A (ko) 다마스크 장미꽃 및 블루베리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5251B1 (ko) 순무, 순무 무청 또는 순무 캘러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수렴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860604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6246A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441596B1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20070021585A (ko) 돌나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20190017084A (ko)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라마이드 생합성 촉진 및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1039531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0371504B1 (ko) 분말 상의 포도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3565B1 (ko)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816267B1 (ko) 천상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256175A (ja) 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