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442B1 -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 - Google Patents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442B1
KR102652442B1 KR1020240009536A KR20240009536A KR102652442B1 KR 102652442 B1 KR102652442 B1 KR 102652442B1 KR 1020240009536 A KR1020240009536 A KR 1020240009536A KR 20240009536 A KR20240009536 A KR 20240009536A KR 102652442 B1 KR102652442 B1 KR 102652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panel
lid frame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정교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정교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09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을 천공하여 네일을 삽입하고, 옹벽패널을 고정하여 시공하는 패널식 옹벽시공방법에 있어서, 가) 옹벽패널(800)이 적층될 위치에 기초블록(500)을 설치하는 단계; 나) 비탈면(1)에 천공홀(2)을 형성하는 단계; 다) 상기 천공홀(2)에 네일(100)을 삽입하는 단계; 라) 상기 천공홀(2)에 그라우트재(21)를 주입하는 단계; 마) 옹벽패널(800)을 적층하면서, 상기 네일(100)의 돌출된 단부에 옹벽패널(800)을 고정하는 단계; 바) 뒷채움부에 토사를 다짐하는 단계; 사) 뚜껑틀(400)에 전면캡(47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된 패널식 옹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Panel typ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cover frame and panel type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네일의 단부를 옹벽패널에 연결, 고정 및 마무리하는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패널식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탈면에 천공홀을 형성하고, 네일을 삽입한 후, 네일의 단부에 옹벽패널을 고정하여 시공하는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앞쪽과 뒤쪽의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로, 옹벽이 시공되는 장소와 인접한 기존 구조물의 안전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옹벽 배면의 토사가 붕괴되지 않도록 건설하는 것이 중요하다.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은 다양한데, 비탈면 내부로 네일을 삽입, 고정하고, 네일의 돌출된 단부에 패널을 고정하여, 패널을 상하좌우로 적층 및 연결하는 방식의 옹벽을 많이 시공하고 있다.
네일링 공법은, 비탈면을 천공하고, 천공홀 내부에 강봉, 철근, 락볼트 등을 삽입한 후 지반의 안정을 도모하는 공법으로,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보강공법 중 하나이다.
네일링 공법은 그라우트재와 부착하고 있는 네일의 인발저항과 전단저항에 의해, 비탈면의 붕괴, 활동, 낙석 등을 방지하게 된다.
네일링 공법으로, 주로 토사로 이루어진 비탈면에 시공하는 소일 네일(soil nali), 주로 암반층으로 이루어진 비탈면에 시공하는 락네일(rock nail), 암반층에 고정하는 락볼트 등이 사용된다.
비탈면 내부에 네일링을 효과적으로 시공하면, 지반 내부에 분리되어 존재하는 암반, 절리, 지층이 네일에 의해 결속되어, 나뉘어진 여러 개의 지층들이 하나의 덩어리로 거동할 수 있게 되어, 비탈면의 안정성, 전단저항력 등이 향상된다.
아울러, 각 지층이 분리되어 있을 경우 지층간의 활동이 발생할 수 있으나, 네일에 의해 결속되고, 결속에 의해 지층간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지층간의 상대적인 이동이 억제된다.
그러나 종래의 네일에 의한 패널식 옹벽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네일의 단부와 옹벽패널 연결부의 부분적인 파손, 네일 단부의 부식, 옹벽패널의 네일 단부 쪽으로 이물질과 수분의 침투 등이 발생하였고, 전면캡을 고정할 때 나사, 피스 등을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작업이 번거롭고, 전면캡의 손상이 불가피하였으며, 전면캡의 탈부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네일과 옹벽패널의 연결 및 고정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고, 전면캡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네일 단부 쪽으로 이물질과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패널식 옹벽시공방법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한국등록특허 10-2428476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뚜껑틀에 의해 네일과 옹벽패널을 쉽고 빠르게 연결 및 고정하여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면캡을 쉽고 빠르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옹벽패널을 지지하는 기초블록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기초블록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마이크로파일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고, 기초블록과 그라우트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탈면을 천공하여 네일을 삽입하고, 옹벽패널을 고정하여 시공하는 패널식 옹벽시공방법에 있어서, 가) 옹벽패널(800)이 적층될 위치에 기초블록(500)을 설치하는 단계; 나) 비탈면(1)에 천공홀(2)을 형성하는 단계; 다) 상기 천공홀(2)에 네일(100)을 삽입하는 단계; 라) 상기 천공홀(2)에 그라우트재(21)를 주입하는 단계; 마) 옹벽패널(800)을 적층하면서, 상기 네일(100)의 돌출된 단부에 옹벽패널(800)을 고정하는 단계; 바) 뒷채움부에 토사를 다짐하는 단계; 사) 뚜껑틀(400)에 전면캡(47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라)단계 후, 비탈면 밖으로 돌출된 네일(100)의 외면에 열수축튜브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옹벽패널(800)에는 네일(100)이 설치되는 관통공(810); 상기 관통공(810)과 연통되도록 옹벽의 전면쪽으로 구비되는 뚜껑틀안착홈(820)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틀안착홈(820)에는 뚜껑틀(400)이 안착되며, 상기 뚜껑틀(400)은, 볼트설치홀(411)이 구비되는 후면판(410); 상기 후면판(410)의 양측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판(420); 상기 측면판(420)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구비되는 한 쌍의 전면판(430); 상기 전면판(430)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판(440); 상기 연결판(440)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구비되는 제1걸림판(451) 및 제2걸림판(452); 상기 전면판(430), 연결판(440) 및 제1걸림판(451)에 의해 둘러 싸이는 제1걸림홈(461); 상기 전면판(430), 연결판(440) 및 제2걸림판(452)에 의해 둘러 싸이는 제2걸림홈(462)을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판(451)의 좌우폭이 제2걸림판(452)의 좌우폭보다 크며, 상기 제1걸림홈(461)과 제2걸림홈(462)의 상하높이가 동일하고, 상기 제1걸림홈(461)의 좌우폭이 제2걸림홈(462)의 좌우폭보다 크며, 상기 마)단계는, 상기 뚜껑틀안착홈(820)에 뚜껑틀(400)이 안착되고, 상기 뚜껑틀(400) 내부에 돌출된 네일(100)의 단부를 고정하되, 상기 옹벽패널(800)의 배면쪽에는 지지판(830)이 설치된 후 고정너트(21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뚜껑틀(400) 내부에는 지압판(480)이 설치된 후 고정너트(21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사)단계에서, 전면캡(470)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걸림홈(461)과 제2걸림홈(462)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상기 제1걸림홈(461)에 먼저 삽입된 후 제2걸림홈(462)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전면캡(470)과 지압판(480) 사이에는 스프링(490)이 설치되어 스프링(490)의 복원력에 의해 전면캡(470)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초블록(500)에는 상하 관통되는 관통공(510)이 구비되되, 상기 관통공(510)은 원형 단면이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초블록(500)의 하부에는 레벨링콘크리트(710)가 타설되고, 레벨링콘크리트(710)의 하부 지반에는 파일설치홀(610)이 구비되어, 상기 가)단계에서, 상기 관통공(510)과 파일설치홀(610)에 마이크로파일(600)이 삽입되고, 그라우팅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관통공(510)에 충전되는 그라우트재는 원형 단면이고,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단계 후, 비탈면(1)과 기초블록(500) 사이에 뒤채움콘크리트(720)를 타설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뚜껑틀에 의해 네일과 옹벽패널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옹벽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다.
둘째, 나사, 피스 등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전면캡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전면캡의 설치와 해체가 간편하고, 전면캡의 손상없이 스프링에 의해 압축을 받은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전면캡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기초블록 및 마이크로파일에 의해 수평 저항력과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지반의 지지력 부족, 절취 중 임시 비탈면의 국부 활동에 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 기초블록의 관통공은 상협하광의 구조를 취하고 있고, 관통공 내부에 충전된 그라우트재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경화되므로, 기초블록 및 마이크로파일과 그라우트재의 분리에 의한 지지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더욱 안전한 파일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시공방법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2, 3, 4는 본 발명에 의한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옹벽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 4의 A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B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뚜껑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뚜껑틀에 전면캡이 삽입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초블록과 마이크로파일이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커플러의 측단면도이다.
도 11, 12는 본 발명의 커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커플러에 삽입되는 웨지부재, 커플러스프링, 스냅링을 설명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비탈면(1)에 복수의 천공홀(2)을 형성하고, 천공홀(2) 내부에 네일(100)을 삽입한 후 그라우팅하고, 네일(100)의 돌출된 단부에 옹벽패널(800)을 고정하여 시공하는 뚜껑틀을 이용한 깎기부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옹벽의 전면 및 패널의 전면은 옹벽패널이 적층되는 옹벽의 정면 쪽을 가리키고, 옹벽의 배면(후면) 및 패널의 배면(후면)은 그 반대쪽을 가리킨다.
즉, 도 2에서 옹벽패널(800)의 좌측이 옹벽의 전면 쪽이고, 그 반대쪽(도면상 오른쪽)이 옹벽의 배면(후면) 쪽이다.
본 발명의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먼저 지반조사를 실시한다.
지반조사를 통해, 토질, 지반 강도, 절리, 균열 상태, 침출수 및 지하수 상태 등을 조사하고, 시공의 편의성, 공사관리,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네일링을 위한 천공 위치, 천공홀의 개수, 직경, 깊이, 천공 각도 및 방향 등을 결정하고, 옹벽의 제원을 결정한다.
설계도서 및 레벨 체크 후 레벨링콘크리트(710)를 타설한다.
옹벽패널(800)이 적층될 위치에 맞춰 레벨링콘크리트(710) 상부에 기초블록(500)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기초블록(500)에는 상하 관통되는 관통공(510)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되, 상기 관통공(510)은 원형 단면이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도록 구비된다.
옹벽패널 하부 지반의 충분한 지지력과 활동저항력을 확보하기 위해, 레벨링콘크리트(710)의 하부 지반에 파일설치홀(610)을 천공한다. 파일설치홀(610)은 연직방향으로 천공한다.
파일설치홀(610)의 천공이 완료되면, 빠른 시간 내에 마이크로파일(600)을 삽입하고 그라우팅을 실시한다. 그라우팅은 무압으로 주입한다.
그라우팅 후 경화되기 전까지 기초블록(500)과 마이크로파일(60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그라우팅은 기초블록(500)의 관통공(510)이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로파일(600)은 강관, 철근, 강봉, 락볼트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 강관 내부에도 그라우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공(510)과 파일설치홀(610)에 마이크로파일(600)이 삽입되고, 그라우팅하고나면, 상기 관통공(510)에 충전되는 그라우트재는 원형 단면이고,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경화된다.
본 발명 기초블록의 관통공(510)과 그 내부에 충전 및 경화되는 그라우트재는 상협하광의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기초블록에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기초블록과 그라우트재가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그 결과 기초블록 및 마이크로파일과 그라우트재의 분리에 의한 지지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비탈면(1)과 기초블록(500) 사이에는 뒤채움콘크리트(720)를 타설하여 기초블록(5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후, 네일링 작업을 위한 절토, 정지 작업 등을 진행한 후, 비탈면(1)에 복수의 천공홀(2)을 형성한다.
비탈면(1)에 천공홀(2)을 형성한 다음, 상기 천공홀(2) 속으로 네일(100)을 삽입한다. 네일의 재질은 SD350 이상이 바람직하다.
네일은 수평선과 5~20°의 경사로 설치할 수 있다.
네일(100)은, 이형철근을 사용할 수도 있고, 외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락볼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네일의 종류, 강도, 직경, 길이 등은 지반조사 결과 및 옹벽의 제원 등을 토대로 결정한다.
네일(100)을 삽입하기 전, 그라우트재 주입을 위한 주입관, 네일의 중심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110)를 미리 네일(100)에 조립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110)는 복수 개를 간격을 두고 네일에 조립한다.
주입관과 스페이서(110)를 조립한 네일(1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천공홀(2)에, 그라우트재(21)를 주입하여, 옹벽패널 지지에 필요한 인발저항력과 전단저항력을 가지도록 한다.
그라우팅할 때, 그라우트재가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밀실하게 채워 넣기 위해, 패킹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주입된 그라우트재가 경화된 후, 네일(100)에 대해 인장시험을 실시하여 필요로 하는 인장강도, 부착강도가 확보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네일(100)의 강도가 확보되면, 비탈면 밖으로 돌출된 네일(100)의 외면에 열수축튜브를 코팅한다.
천공홀 속에 위치하는 네일의 표면은 그라우트재에 의해 보호되고 있어 부식의 우려가 없지만, 비탈면 밖으로 돌출된 네일(100)은 토사 및 수분에 노출되어 부식의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비탈면에서 돌출된 네일의 외면에 난연성 재질의 열수축튜브를 코팅한다.
열수축튜브 내부에 네일을 삽입하고, 토치 등으로 열을 가하여 열수축튜브를 네일에 밀착시켜 방청작업을 완료한다.
종래에는 방청페인트나 아스팔트 도료를 도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완벽한 도포가 어려워 부분적인 부식이 발생하였고, 도포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균일한 방청품질을 확보하기가 어려웠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두께가 일정한 난연성 재질의 열수축튜브를 피복하므로, 방청품질이 균일하고 우수한 효과가 있다.
네일의 방청 작업이 끝나면, 옹벽패널(800)을 적층하면서, 상기 네일(100)의 돌출된 단부에 옹벽패널(800)을 고정한다.
상기 옹벽패널(800)에는 네일(100)이 설치되는 관통공(810), 상기 관통공(810)과 연통되도록 옹벽의 전면쪽으로 구비되는 뚜껑틀안착홈(820)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틀안착홈(820)에는 뚜껑틀(400)이 안착된다.
상기 뚜껑틀(400)은, 볼트설치홀(411)이 구비되는 후면판(410), 상기 후면판(410)의 양측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판(420), 상기 측면판(420)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구비되는 한 쌍의 전면판(430), 상기 전면판(430)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판(440), 상기 연결판(440)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구비되는 제1걸림판(451) 및 제2걸림판(452), 상기 전면판(430), 연결판(440) 및 제1걸림판(451)에 의해 둘러 싸이는 제1걸림홈(461), 상기 전면판(430), 연결판(440) 및 제2걸림판(452)에 의해 둘러 싸이는 제2걸림홈(46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걸림판(451)의 좌우폭이 제2걸림판(452)의 좌우폭보다 크며, 상기 제1걸림홈(461)과 제2걸림홈(462)의 상하높이가 동일하고, 상기 제1걸림홈(461)의 좌우폭이 제2걸림홈(462)의 좌우폭보다 크게 구비된다.
옹벽패널의 고정작업은, 상기 뚜껑틀안착홈(820)에 뚜껑틀(400)이 안착되고, 상기 뚜껑틀(400) 내부에 돌출된 네일(100)의 단부를 고정하되, 상기 옹벽패널(800)의 배면쪽에는 지지판(830)이 설치된 후 고정너트(21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뚜껑틀(400) 내부에는 지압판(480)이 설치된 후 고정너트(210)에 의해 고정된다.
옹벽패널(800)의 배면과 지지판(830) 사이에는 부직포(84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압판(480)과 지지판(830)은 평판으로 구비될 수 있고, 중앙에 네일, 포스볼트는 통과하고, 고정너트는 통과하지 않는 구멍이 형성된다. 지압판의 형상은 평판을 기본으로 하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형상(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아치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지압판은 스틸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옹벽패널의 설치 및 고정이 끝나면, 뒷채움부에 토사를 다짐한다.
옹벽패널의 설치 및 고정, 뒷채움부 다짐 작업이 끝나면, 전면캡(470)으로 뚜껑틀안착홈(820)을 덮어 포스볼트의 단부가 옹벽 전면에서 보이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과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옹벽의 전면을 미려하게 마무리한다.
전면캡(470)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걸림홈(461)과 제2걸림홈(462)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전면캡(470)의 일측 단부를 폭이 큰 제1걸림홈(461)에 먼저 삽입한 후, 전면캡(470)을 밀어 전면캡(470)의 타측 단부를 제2걸림홈(462)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또한, 전면캡(470)을 삽입하기 전에, 전면캡(470)과 지압판(480) 사이에는 스프링(490)이 압축되도록 설치하여, 전면캡(470) 설치 후에는 스프링(490)의 복원력에 의해 전면캡(470)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탈이 방지된다.
전면캡이 일정한 압력에 의해 설치되므로, 뚜껑틀안착홈 속의 포스볼트 단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뒷채움부 다짐 작업과 전면캡 설치 작업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면캡 설치 작업 후 뒷채움부 다짐 작업이 진행될 수도 있다.
뒤채움부를 형성할 때, 옹벽패널의 후면에는 부직포(840)를 구비하여, 배수는 가능하되, 토사는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뒤채움부 토사의 다짐이 완료되고, 필요한 배수로를 설치하고 마무리하면 패널식 옹벽시공이 완료된다.
앞서, 옹벽패널이 네일에 고정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커플러(300)를 사용하여 비탈면 밖으로 돌출된 네일(100)의 단부에 포스볼트(200)를 연결 및 고정하고, 포스볼트(200)의 단부에 옹벽패널을 연결 및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커플러(300)는, 네일(100)이 삽입, 고정되는 본체부(310), 체결홀(321)이 구비되어 포스볼트(200)가 삽입, 고정되는 볼트체결부(320), 상기 본체부(310) 및 볼트체결부(320)와 일체로 구비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310)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삽입공(311)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311)의 상부에는 스냅링삽입홈(312)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공(311)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이다.
상기 삽입공(311) 내부에 스냅링(313), 커플러스프링(314) 및 웨지부재(315)가 삽입되되, 스냅링(313)은 스냅링삽입홈(312)에 삽입되고, 스프링(314)은 스냅링(313)과 웨지부재(315)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구비된다. 즉, 웨지부재(315) 상부에 커플러스프링(314)이 구비되고, 커플러스프링(314) 상부에 스냅링(313)이 구비된다.
상기 웨지부재(315)는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상광하협의 원통형 구조로 내면에는 나사탭이 형성된다.
커플러스프링(314) 역시 상광하협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314)의 외경이 아래로 갈수록 작아진다.
스냅링(313)은 원형의 링 형태로 구비되되, 양 단부가 원으로 이어지지 않고, 양 단부가 마주보는 상태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삽입공(311) 내부에 상광하협 형상의 웨지부재(315)가 먼저 삽입되고, 웨지부재(315)의 상부에 커플러스프링(314)이 위치한 상태에서 스냅링(313)이 커플러스프링(314)을 압축하면서 상기 스냅링삽입홈(3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커플러스프링(314)이 스냅링(313)과 웨지부재(315)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네일(100)을 상기 웨지부재(315)의 내부로 힘을 가하여 삽입하고 놓으면, 커플러스프링(314)의 복원력에 의해 웨지부재(315)가 네일(100)과 삽입공(311)의 내면 사이에 견고하게 끼는 구조가 되므로 원터치에 의해 네일(100)에 커플러(300)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커플러(300)의 체결홀(321)에 포스볼트(200)를 삽입한 후 상기 체결홀(321)의 전후에 고정너트를 결합하여 포스볼트(200)를 고정한다.
상기 포스볼트(20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어, 옹벽패널의 고정작업이 쉽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고, 뒷채움부 다짐작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포스볼트(200)는 커플러에 의해 수평면 내에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옹벽패널의 관통공(810)의 위치가 맞지 않더라도 쉽게 고정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비탈면
2. 천공홀 21. 그라우트재
3. 뒤채움부
100. 네일
110. 스페이서
200. 포스볼트
210. 고정너트
300. 커플러
310. 본체부
311. 삽입공 312. 스냅링삽입홈
313. 스냅링
314. 커플러스프링
315. 웨지부재
320. 볼트체결부
321. 체결홀
330. 보강부
400. 뚜껑틀
410. 후면판 411. 볼트설치홀
420. 측면판
430. 전면판
440. 연결판
451. 제1걸림판 452. 제2걸림판
461. 제1걸림홈 462. 제2걸림홈
470. 전면캡
480. 지압판
490. 스프링
500. 기초블록 510. 관통공
600. 마이크로파일 610. 파일설치홀
710. 레벨링콘크리트 720. 뒤채움콘크리트
800. 옹벽패널
810. 관통공 820. 뚜껑틀안착홈
830. 지지판
840. 부직포

Claims (6)

  1. 비탈면을 천공하여 네일을 삽입하고, 옹벽패널을 고정하여 시공하는 패널식 옹벽시공방법에 있어서,
    가) 옹벽패널(800)이 적층될 위치에 기초블록(500)을 설치하는 단계;
    나) 비탈면(1)에 천공홀(2)을 형성하는 단계;
    다) 상기 천공홀(2)에 네일(100)을 삽입하는 단계;
    라) 상기 천공홀(2)에 그라우트재(21)를 주입하는 단계;
    마) 옹벽패널(800)을 적층하면서, 상기 네일(100)의 돌출된 단부에 옹벽패널(800)을 고정하는 단계;
    바) 뒷채움부에 토사를 다짐하는 단계;
    사) 뚜껑틀(400)에 전면캡(47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옹벽패널(800)에는 네일(100)이 설치되는 관통공(810); 상기 관통공(810)과 연통되도록 옹벽의 전면쪽으로 구비되는 뚜껑틀안착홈(820)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틀안착홈(820)에는 뚜껑틀(400)이 안착되며,
    상기 뚜껑틀(400)은, 볼트설치홀(411)이 구비되는 후면판(410); 상기 후면판(410)의 양측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판(420); 상기 측면판(420)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구비되는 한 쌍의 전면판(430); 상기 전면판(430)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판(440); 상기 연결판(440)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구비되는 제1걸림판(451) 및 제2걸림판(452); 상기 전면판(430), 연결판(440) 및 제1걸림판(451)에 의해 둘러 싸이는 제1걸림홈(461); 상기 전면판(430), 연결판(440) 및 제2걸림판(452)에 의해 둘러 싸이는 제2걸림홈(462)을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판(451)의 좌우폭이 제2걸림판(452)의 좌우폭보다 크며, 상기 제1걸림홈(461)과 제2걸림홈(462)의 상하높이가 동일하고, 상기 제1걸림홈(461)의 좌우폭이 제2걸림홈(462)의 좌우폭보다 크며,
    상기 마)단계는, 상기 뚜껑틀안착홈(820)에 뚜껑틀(400)이 안착되고, 상기 뚜껑틀(400) 내부에 돌출된 네일(100)의 단부를 고정하되, 상기 옹벽패널(800)의 배면쪽에는 지지판(830)이 설치된 후 고정너트(21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뚜껑틀(400) 내부에는 지압판(480)이 설치된 후 고정너트(21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사)단계에서, 전면캡(470)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걸림홈(461)과 제2걸림홈(462)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상기 제1걸림홈(461)에 먼저 삽입된 후 제2걸림홈(462)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전면캡(470)과 지압판(480) 사이에는 스프링(490)이 설치되어 스프링(490)의 복원력에 의해 전면캡(470)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단계 후, 비탈면 밖으로 돌출된 네일(100)의 외면에 열수축튜브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블록(500)에는 상하 관통되는 관통공(510)이 구비되되, 상기 관통공(510)은 원형 단면이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초블록(500)의 하부에는 레벨링콘크리트(710)가 타설되고, 레벨링콘크리트(710)의 하부 지반에는 파일설치홀(610)이 구비되어,
    상기 가)단계에서, 상기 관통공(510)과 파일설치홀(610)에 마이크로파일(600)이 삽입되고, 그라우팅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관통공(510)에 충전되는 그라우트재는 원형 단면이고,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단계 후, 비탈면(1)과 기초블록(500) 사이에 뒤채움콘크리트(720)를 타설하는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6.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

















KR1020240009536A 2024-01-22 2024-01-22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 KR10265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9536A KR102652442B1 (ko) 2024-01-22 2024-01-22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9536A KR102652442B1 (ko) 2024-01-22 2024-01-22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442B1 true KR102652442B1 (ko) 2024-03-28

Family

ID=9048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9536A KR102652442B1 (ko) 2024-01-22 2024-01-22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44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815A (ko) * 2005-03-04 2005-05-11 (주)레코기술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30829B1 (ko) * 2009-05-04 2009-12-10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락볼트 연결용 커플러를 갖는 판넬
KR101284289B1 (ko) * 2013-03-26 2013-07-08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옹벽용 기초블록 결합구조 및 기초블록을 이용한 다단식 옹벽 기초 보강공법
KR101378793B1 (ko) * 2013-10-22 2014-03-27 김정태 나사 조립식 마감캡을 갖는 절토부 패널옹벽
KR20160144111A (ko) * 2015-06-08 2016-12-16 초석엔지니어링(주) 옹벽용 기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의 기초지반 보강공법
KR102428476B1 (ko) 2021-09-06 2022-08-03 박서현 강도 보강형 친환경 옹벽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468702B1 (ko) * 2021-11-19 2022-11-21 주식회사 근영 비탈면 보강용 매립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13969B1 (ko) * 2023-01-10 2023-03-28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깎기부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815A (ko) * 2005-03-04 2005-05-11 (주)레코기술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30829B1 (ko) * 2009-05-04 2009-12-10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락볼트 연결용 커플러를 갖는 판넬
KR101284289B1 (ko) * 2013-03-26 2013-07-08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옹벽용 기초블록 결합구조 및 기초블록을 이용한 다단식 옹벽 기초 보강공법
KR101378793B1 (ko) * 2013-10-22 2014-03-27 김정태 나사 조립식 마감캡을 갖는 절토부 패널옹벽
KR20160144111A (ko) * 2015-06-08 2016-12-16 초석엔지니어링(주) 옹벽용 기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의 기초지반 보강공법
KR102428476B1 (ko) 2021-09-06 2022-08-03 박서현 강도 보강형 친환경 옹벽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468702B1 (ko) * 2021-11-19 2022-11-21 주식회사 근영 비탈면 보강용 매립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13969B1 (ko) * 2023-01-10 2023-03-28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깎기부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70990A1 (en)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KR20170005991A (ko)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US20160326769A1 (en) Lightweight concrete or masonry fence system without concrete footings
KR102234513B1 (ko)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JP5113342B2 (ja) 盛土構造物
EP0070659A1 (en) Retaining wall and in situ method of construction
KR101682510B1 (ko) Pc패널과 영구앵커를 이용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옹벽 시공방법
KR101006963B1 (ko) 보강재 및 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KR102066731B1 (ko) 옹벽 설치 방법
KR102652442B1 (ko) 뚜껑틀을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
JP5683286B2 (ja) 盛土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JP2015183366A (ja) 盛土構造体の構造および構築方法
KR102617795B1 (ko)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
KR102652422B1 (ko) 커플러를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
KR102476068B1 (ko) 다방향 앵커 고정장치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97458B1 (ko) 엄지말뚝 균등 간격 수단 겸 띠장 받침 수단 및 이를 이용하는 cip 흙막이 시공 공법
KR102423816B1 (ko) 연직형 지중파일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2150531B1 (ko) 연직형 지중삽입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82690B1 (ko)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KR20080059951A (ko) 가시설 겸용 파일기초와 지하옹벽 시공방법 및 그를 위한전단마찰 보강재
KR102657300B1 (ko) 컬러패널을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및 옹벽
KR101534058B1 (ko) 하중 지지 영구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US10077539B1 (en) Wall and retaining members and fluidizing installation of retaining members
KR20010028793A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