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366B1 -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2366B1 KR102652366B1 KR1020230118894A KR20230118894A KR102652366B1 KR 102652366 B1 KR102652366 B1 KR 102652366B1 KR 1020230118894 A KR1020230118894 A KR 1020230118894A KR 20230118894 A KR20230118894 A KR 20230118894A KR 102652366 B1 KR102652366 B1 KR 1026523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pet
- unit
- delete delete
- absorb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9000013502 plastic wast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64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4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0 heat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67 nucle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8 plas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29B13/065—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of powder or pel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Storing of extruded material, e.g. by winding up or sta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9—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using a bath, e.g. extruding into an open bath to coagulate or cool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이용하여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 제품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압출부에서 압출되는 밴드의 냉각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이용하여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 제품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압출부에서 압출되는 밴드의 냉각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수지(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이하 '페트'라 함)는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또는 페트(PET)라고 불리는 고분자화합물로서, 열가소성, 결정성, 배향성, 흡습성의 특징을 지닌다.
이때 고분자 수지의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 IV)의 증감에 따라 고분자의 분자량에 차이가 발생하며, 점도는 배향성, 흡습성과 함께 고강성 밴드 생산에 있어서, 인장강도와 신율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고강성을 갖는 포장용 밴드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고유점도(IV)가 0.75 내지 0.9(dl/g) 정도가 요구되나, 일반적인 페트병의 경우 평균 0.6(dl/g)의 고유점도를 형성하여 고강성 밴드로 생산하기에는 화학적 특성이 적합하지 않고, 재활용 원료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낮은 고유점도(IV) 특성을 갖는 재활용 페트 분쇄품 원료와 높은 고유점도(IV) 특성을 이루는 신원료 페트 칩을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재활용 페트 분쇄품 원료는 파쇄된 형태가 각기 다르고, 신원료 페트 칩은 구(球) 형의 펠릿(pellets) 형상으로 가공된 것이어서, 재활용 페트 분쇄품 원료와 신원료 페트칩이 혼합되어 제습장치의 건조 챔버에 유입된다.
제습장치의 건조 챔버에 장시간 머물면서 원료들 간에 무게 및 마찰 저항에 의해 재활용 페트 분쇄품 원료는 상부에 신원료 페트칩은 하부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재활용 페트 분쇄품 원료와 신원료 페트칩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건조챔버에 설치된 교반수단이 재활용 페트 분쇄품 원료와 신원료 페트칩이 섞일 수 있도록 동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페트를 재활용하여 고강성 밴드가 제조되기는 하나 고유점도의 문제로 인해 별도로 제조된 신원료 페트칩이 사용되기 때문에 재활용된 페트의 비율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385268호(2022.04.11.)에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료로 사용한 고강성 밴드 제조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강성 밴드 제조시스템은 압출부에서 압출되는 밴드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이용하여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 제품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압출부에서 압출되는 밴드의 냉각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페트 펠릿을 공급받아 판 형태의 밴드로 압출하는 압출부로부터 압출되는 밴드를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냉각수가 저장되며 상기 압출부에서 압출되는 밴드가 통과되면서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수조; 및 상기 냉각수조를 통과하는 밴드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제거부는 상기 냉각수조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기 냉각수조의 상측 전방부로 안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로 안착되며 상부로 밴드가 통과하는 하부 수분 흡수부재; 상기 하부 수분 흡수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수분 흡수부재; 및 상기 하부 수분 흡수부재와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를 상기 지지판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의 양측 상부로 안착되는 한 쌍의 중량바; 및 상기 한 쌍의 중량바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중량바를 통과하는 연결바; 및 상기 각 중량바의 양측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연결바로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이용함으로써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 제품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출부에서 압출되는 밴드의 냉각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밴드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펠릿 성형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펠릿 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제습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제습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압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가열 공기 공급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고정수단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고정수단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 시스템에서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2에서 높낮이 조절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펠릿 성형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펠릿 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제습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제습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압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가열 공기 공급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고정수단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고정수단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 시스템에서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2에서 높낮이 조절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이하 "밴드 제조시스템"이라 한다)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이하 "밴드 제조시스템"이라 한다)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삭제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은 폐플라스틱을 페트 펠릿으로 제조하는 펠릿 성형부(100), 상기 펠릿 성형부(100)에서 제조된 페트 펠릿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집진부(200), 상기 집진부(200)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페트 펠릿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하는 제습부(300), 상기 제습부(300)로부터 페트 펠릿을 공급받아 판 형태의 밴드로 압출하는 압출부(400), 상기 압출부(400)로부터 압출되는 밴드를 냉각하는 냉각장치(500), 밴드가 권취되는 권취부(900) 및 상기 냉각장치(500)와 상기 권취부(900) 사이에 배치되어 밴드를 연신하는 연신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펠릿 성형부(100)는 폐 페트가 펠릿 형태로 성형되어 제조되고, 제조된 페트 펠릿(P)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집진부(200)는 상기 펠릿 성형부(100)로부터 페트 펠릿(P)을 공급받으면서 페트 펠릿(P)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300)는 페트 펠릿(P)에 포함된 수분을 히팅된 건조 공기 등에 의해 건조,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압출부(400)는 페트 펠릿(P)이 미리 정해진 형태로 압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각장치(500)는 상기 압출부(400)에서 압출된 판 형태의 밴드가 냉각되면서 상기 연신부(600)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신부(600)는 상기 냉각장치(500)를 통과하는 밴드가 연신되면서 상기 권취부(900)에서 귄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권취부(900)는 상기 연신부(600)에서 연신된 밴드가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밴드 제조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펠릿 성형부(100), 상기 집진부(200), 상기 제습부(300), 상기 압출부(400), 상기 냉각장치(500), 상기 연신부(600) 및 상기 권취부(900)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면서 밴드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권취부(900)에서 권취될 수 있다.
종래의 고강성 밴드 제조 시스템은 폐 페트가 분쇄된 칩과 폐 페트가 분쇄된 칩보다 높은 고유 점도를 갖는 신원료 펠릿이 혼합되어 밴드가 제조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은 폐 페트가 펠릿 형태로 성형된 페트 펠릿(P) 만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폐 페트가 많이 소비되면서 종래의 고강성 밴드 제조 시스템보다 친환경적으로 고강성 밴드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폐 페트만 사용할 경우에는 고유 점도가 고강성 밴드를 제조하기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고유 점도를 조절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펠릿 성형부(100)는 폐 페트에 첨가제가 첨가된 후 압출 성형을 통해 고유 점도가 조절된 펠릿을 성형할 수 있다.
상기 펠릿 성형부(100)로 저장되는 펠릿이 어떤 공정을 통해 고유 점도가 조절되는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펠릿 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펠릿 성형부(100)는 분쇄된 폐 페트가 공급되는 페트 수용 챔버(110), 상기 페트 수용챔버(110)의 내부로 공급된 폐 페트가 펠릿 형태로 압출 성형되는 압출 성형부(120), 상기 압출 성형부(120)로부터 압출 성형된 페트 펠릿(P)이 저장되는 페트 펠릿 저장부(130) 및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의 상부에 설치된 첨가제 저장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면서 외부로부터 분새된 폐 페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저장부(111)에 저장된 첨가제는 열 안정제, 가교제, 핵제가 미리 정해진 비율로 혼합되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저장부(111)는 하단에 상기 첨가제 저장부(111)와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 사이를 연결하는 첨가제 이동 유로(1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이동 유로(112)에는 첨가제 저장부 밸브(113)가 설치되어 첨가제가 페트 수용 챔버(110)에 공급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폐 페트의 고유 점도(IV)는 06(dl/g) 내외이며, 이는 고강성 밴드를 제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고유 점도(IV)이다.
고강성 밴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페트의 고유 점도 값이 075(dl/g) 내지 09(dl/g)로 형성되어야 하며, 계절, 날씨 등의 외부 환경에 따라 해당 범위 내에서 고유 점도 값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저장부(111)에 저장된 첨가제는 페트의 고유 점도(IV)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양 만큼 페트 수용 챔버(11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첨가제 저장부 밸브(113)가 상기 첨가제 이동 유로(112)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에 공급된 분쇄된 폐 페트와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로 공급된 첨가제는 혼합되어 고강성 밴드 제조에 적합한 고유 점도 값을 갖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직접 상기 첨가제 저장부 밸브(113)를 조작하여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에 첨가제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지만, 자동으로 필요한 양 만큼 첨가제가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에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첨가제가 투입되어 적합한 고유 점도 값을 가진 폐 페트는 상기 압출 성형부(120)에서 신원료로 제조되는 페트칩과 동일한 형태인 구 또는 펠릿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페 페트가 신원료로 제조되는 페트칩과 동일한 형태인 구 또는 펠릿 형태로 성형됨에 따라 고품질의 고강성 밴드를 제조하기 위해 페트 펠릿(P)에 신원료로 제조된 페트칩을 첨가하고자 할 때, 페트 펠릿(P)과 신원료로 제조된 페트칩이 정확한 비율로 교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압출부(400)로 공급되어 균일한 강성을 갖는 고품질의 고강성 밴드 제조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즉, 고품질의 고강성 밴드를 제조하기 위해 종래에는 플레이크(flake) 형태로 분쇄된 폐 페트에 신원료로 제조된 페트칩을 첨가하였다.
그러나, 폐 페트 플레이크와 신원료 페트 칩은 무게 차이에 의해 건조 챔버 내에서 신원료 페트 칩이 먼저 하부로 내려가게 되어 폐 페트 플레이크와 신원료 페트 칩이 균일한 비율로 교반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폐 페트 플레이크와 신원료 페트 칩이 교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압출부(400)로 공급되면서 균일한 강성을 갖는 고품질의 고강성 밴드 제조가 어려운 것은 물론, 판 형태의 폐 페트 플레이크는 표면력이 높아 수분에 취약하므로 고강성 밴드 제조 시 품질을 낮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은 폐 페트를 신원료 페트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펠릿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고품질의 고강성 밴드를 제조하기 위해 페트 펠릿(P)에 신원료로 제조된 페트칩을 첨가할 경우, 페트 펠릿(P)과 신원료 페트 칩이 균일한 비율로 교반이 이루져 균일한 강성을 갖는 고품질의 고강성 밴드가 제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폐 페트가 신원료 페트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펠릿 형태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결정화가 진행되고, 상기 제습부(300)에서 제습되며 2차 결정화가 진행되어 모양과 크기가 일정한 입자가 생성되어 규칙적인 3차원 배열을 이루기 때문에 표면력이 낮고, 수분에도 취약하지 않은 외부 환경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페트 펠릿(P)을 원료로 사용하여 고강성 밴드가 제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먼저, 폐 페트 유입부(121)를 통해 적절한 고유 점도 값을 가진 폐 페트가 유입되고, 폐 페트는 스크류 형태로 형성되는 고온의 상기 폐 페트 유입부(121)를 통과하며 용융될 수 잇다.
용융된 폐 페트는 폐 페트 압출부(122)로 이송되어 구 또는 펠릿 형태의 금형에 의해 압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폐 페트 압출부(122)에서 압출 성형된 폐 페트는 커팅부(123)로 이송되어 냉각 및 커팅되고, 상기 커팅부(123)에서 커팅된 구 또는 펠릿 형태의 페트 펠릿(P)이 될 수 있다.
페트 펠릿(P)은 페트 펠릿 이송부(124)를 통과하여 상기 페트 펠릿 이송부(124)의 끝단과 연통되는 호퍼 형태의 페트 펠릿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트 펠릿 이송부(124)에는 복수 개의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페트 펠릿 이송부(124)로 공급된 페트 펠릿(P)은 상기 복수 개의 스크류에 의해 외면에 형성된 버(Burr)가 제거되거나 페트 펠릿(P)의 외면이 다듬어질 수 있다.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의 내부로 분쇄되어 공급되는 폐 페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폐 페트 유입부(121)로 공급되어 상기 폐 페트 압출부(122)에서 신원료 PET 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압출될 수 있다.
상기 폐 페트 유입부(121)는 분쇄된 폐 페트를 용융시키기 위해 고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폐 페트 유입부(121)에 수분이 있을 경우, 상기 폐 페트 유입부(121)의 열과 수분에 의해 분쇄된 폐 페트가 역반응이 발생되어 분자량이 낮아짐에 따라 품질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은 상기 첨가제 저장부(111)에 가수분해 방지제가 함께 혼합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가수분해 방지제 저장부가 마련되어 외부와 내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적정량의 가수분해 방지제가 상기 페트 수용 챔버(100)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폐 페트 유입부(121)에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폐 페트가 충분히 가열된 상태에서 공급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폐 페트 유입부(121)에 고온의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수분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은 수분의 발생에 의한 폐 페트의 역반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페트 펠릿(P)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펠릿 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에는 점도 측정부(140), 무게 측정부(150), 온도 센서(160) 및 습도 센서(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점도 측정부(140), 상기 무게 측정부(150), 상기 온도 센서(160) 및 상기 습도 센서(170)는 제어부(190) 및 도출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출부(180)는 고강성 밴드가 제조되기 위한 적절한 고유 점도 값을 도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90)는 첨가제 저장부 밸브(1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점도 측정부(140)는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에 공급된 폐 페트의 고유 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무게 측정부(150)는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에 공급된 폐 페트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160)는 외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습도 센서(170)는 외부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 센서(160)와 상기 습도 센서(170)는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의 외측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센서(160)와 상기 습도 센서(170)로부터 측정된 값은 상기 도출부(180)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도출부(180)는 상기 온도 센서(160)로 부터 측정된 온도 값과 상기 습도 센서(170)로부터 측정된 습도 값을 기반으로 고강성 밴드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고유 점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도출부(180)에서 고유 점도 값이 도출되면 상기 점도 측정부(140)가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 내에 수용된 폐 페트의 점도를 측정하고, 상기 무게 측정부(150)가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 내에 수용된 폐 페트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점도 측정부(140)와 상기 무게 측정부(150)로부터 측정된 값은 상기 도출부(180)로 송신되고, 상기 도출부(180)는 첨가될 첨가제의 양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첨가제 저장부 밸브(113)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첨가제 이동 유로(112)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도출부(180)로부터 도출된 양 만큼 첨가제가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에 공급된 후, 상기 첨가제 저장부 밸브(113)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첨가제 이동 유로(112)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출부(180)로부터 도출된 적절한 고유 점도 값이 080(dl/g), 상기 점도 측정부(140)로부터 측정된 폐 페트의 고유 점도 값이 055(dl/g),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에 수용된 폐 페트의 무게가 50kg이라고 할 때, 상기 도출부(180)로부터 첨가되어야 할 첨가제의 무게가 g이라고 도출되고,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첨가제 저장부 밸브(113)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첨가제 이동 유로(112)가 열리도록 하고 g만큼 첨가제가 상기 페트 수용 챔버(110)에 공급된 후, 첨가제 저장부 밸브(113)의 동작을 제어하여 첨가제 이동 유로(112)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은 외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고강성 밴드의 제조에 적합한 고유 점도 값을 도출할 수 있으며, 폐 페트의 점도와 무게에 따라 첨가제가 첨가될 양이 도출되고, 도출된 양 만큼 자동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높은 품질의 고강성 밴드가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제습부를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습부(300)는 상기 펠릿 성형부(100)로부터 제조된 페트 펠릿(P)이 수용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페트 펠릿(P)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 공정이 진행되는 제습 챔버(31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습 챔버(310)에 히팅된 건조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습 공조 장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 챔버(310)는 상부에 페트 펠릿(P)이 공급되는 페트 펠릿 공급 호퍼(3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펠릿 성형부(100)에서 성형되어 제조된 페트 펠릿(P)은 상기 페트 펠릿 공급 호퍼(330)를 통해 상기 제습 챔버(3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습 챔버(310)의 하부에는 가열 공기 배출 덕트(360)가 상기 제습 공조 장치(32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습 공조 장치(320)로부터 히팅된 건조 공기가 상기 가열 공기 배출 덕트(360)를 통해 배기되어 상기 제습 챔버(310)에 수용된 페트 펠릿(P)을 가열 및 제습할 수 있다.
상기 제습 챔버(310)는 상면이 소정 각도의 경사가 형성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습 챔버(310)는 상면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습 챔버(310)의 상면과 동일한 각도를 갖는 경사가 형성된 판 형태의 유도부(3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페트 펠릿 공급 호퍼(330)는 하부가 상기 제습 챔버(310)의 상면과 유도부(34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부(340)는 상기 제습 챔버(310)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습 챔버(310)의 상면과 상기 유도부(3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간은 습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이 공간을 습공기 유로(350)라 하기로 한다. 습공기는 상기 제습 챔버(310)에 수용된 페트 펠릿(P)에 포함된 수분이 포집된 공기로 이해될 수 있다.
습공기는 상기 제습 공조 장치(320)로 이동되어 습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며 건조 공기가 될 수 있다. 건조 공기는 히팅되어 상기 가열 공기 배출 덕트(360)를 통해 배기되어 다시 상기 제습 챔버(310)의 내부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340)에는 상기 습공기 유로(350)로 습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소정 폭의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입구는 경사가 높은 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공기 유로(350)는 상기 제습 공조 장치(32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되, 경사가 낮은 측의 습공기 유로(350)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도부(340)에 형성되어 상기 습공기 유로(350)에 공급된 습공기는 상기 습공기 유로(35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습 공조 장치(32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습공기 유로(350)는 상기 제습 챔버(310)의 상면 및 상기 유도부(340)가 소정 각도를 갖는 경사가 형성되면서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경사 유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는 습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분리되어 물방울이 형성되더라도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여 제습 공조 장치(320)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물방울이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유도부(340)가 상기 제습 챔버(310)의 내부로 물방울이 이동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기능도 발휘되도록 하여 상기 제습부(300)의 제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습공기 유로(350) 상에는 습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제습부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습부(3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반기(3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교반기(370)는 상기 유도부(340)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습 챔버(3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교반기(370)는 상기 제습 챔버(310)의 내부에 수용된 페트 펠릿(P)이 혼합되도록 교반 날개가 설치되어 페트 펠릿(P)이 빠르게 제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반기(370)는 선택적으로 발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페트 펠릿(P)과 접촉하며 가열하여 페트 펠릿(P)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습시킬 수 있다.
상기 제습 챔버(310)는 내부에 온도 센서가 추가로 구비되어 미리 설정된 온도에서 페트 펠릿(P)이 제습되고 있는지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상기 제습 챔버(310)는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제습 공조 장치(320)에 포함된 히팅 수단이 더 높은 온도로 발열될 수 있도록 하며, 교반기(370) 또한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제습 챔버(310)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제습 공조 장치(320)에 포함된 히팅 수단이 기준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발열될 수 있도록 하며, 교반기(370) 또한 발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압출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습부(300)에서 수분이 제거된 페트 펠릿(P)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출부(400)에서 용융된 후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태의 밴드(B)로 압출되고, 상기 압출부(400)에서 압출된 밴드(B)는 상기 냉각장치(500) 및 상기 연신부(600)를 통과하여 상기 권취부(900)에서 권취되면서 고강성 밴드로 완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출부(400)에서 압출된 밴드(B)에는 수포가 없어야 상기 냉각장치(500), 상기 연신부(600)를 통과하여 상기 권취부(900)에서 권취될 때, 불량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은 상기 압출부(400)에서 압출된 밴드(B)에 수포의 생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스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출부(400)로부터 압출된 밴드(B)의 양측에는 밴드(B)의 측면을 스캔하는 제1스캔부(410)가 설치되며, 밴드(B)의 상부에 설치되어 밴드(B)의 상면을 스캔하는 제2스캔부(42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은 압출부(400)로부터 압출되는 밴드(B)의 정렬 상태를 정렬하기 위해 밴드(B)를 가압하는 가압부(4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430)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하며 밴드(B)를 정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캔부(410)와 상기 제2스캔부(420)는 밴드(B)를 스캔하여 수포 형성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밴드(B)에 수포가 형성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밴드(B)는 상기 냉각장치(500)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밴드(B)에 수포가 형성되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밴드 제조 공정이 일시 중단되고, 작업자의 단말기나 별도로 설치된 관리 서버로 알림이 송신되어 작업자가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신부(600)는 상기 냉각장치(500)를 통과하는 밴드(B)가 연신될 수 있도록 하며, 복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은 상기 연신부(600)를 통과한 밴드(B)를 예열하는 예열부(700) 및 상기 예열부(700)를 통과하는 밴드(B)를 연신하는 재연신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열부(700)는 상기 연신부(600)와 상기 재연신부(800)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연신부(600)를 통과하는 밴드(B)를 일정온도로 예열하여 상기 재연신부(800)에서 밴드(B)의 연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재연신부(800)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예열부(700)에서 일정 온도로 예열된 밴드(B)가 연신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가열 공기 공급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은 상기 연신부(600), 상기 예열부(700) 및 상기 재연신부(800)에 밴드(B)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기 위해 가열 공기 공급부가 설치될 수 있다.
계절이나 날씨에 따라 외부 온도 및 습도는 항상 변화하기 때문에 밴드(B)가 적절한 고유 점도 값을 갖도록 제조되었다고 해도 장마 기간이거나 한파가 지속될 경우에는 외부의 온도 및 습도에 의해 밴드(B)가 영향을 받게 되고, 이는 고강성 밴드의 품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신부(600)의 상부에는 제1 가열 공기 공급부(6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예열부(700)의 상부에는 제2 가열 공기 공급부(7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재연신부(800)의 상부에는 제3 가열 공기 공급부(8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열 공기 공급부는 상기 연신부(600), 상기 예열부(700) 및 상기 재연신부(800)의 상부뿐만 아니라 측부나 하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신부(600), 상기 예열부(700) 및 상기 재연신부(800)에 모두 설치되지 않고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장치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가열 공기 공급부(610), 상기 제2 가열 공기 공급부(710), 상기 제3 가열 공기 공급부(810)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외부 온도 값과 습도 값에 따라 가열 공기의 온도, 가열 공기의 압력, 가열 공기가 공급되는 시간 등이 제어되며, 이는 상기 제1 가열 공기 공급부(610), 상기 제2 가열 공기 공급부(710) 및 상기 제3 가열 공기 공급부(810)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은 상기 제1 가열 공기 공급부(610), 상기 제2 가열 공기 공급부(710), 상기 제 3가열 공기 공급부(81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습도가 높을 경우, 열풍을 배출하여 외부 습도가 높더라도 밴드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온도가 낮을 경우에도 열풍을 배출하여 연신 공정과 예열 공정 중 적절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해 밴드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종래에는 폐 페트를 분쇄하여 플레이크(flake) 형태로 크기를 조정하여 고강성 밴드의 원료로 사용한 것으로, 신원료 페트 칩과 혼합하여 밴드를 압출할 경우, 밴드의 구역에 따라 신원료 페트 칩과 폐 페트 플레이크가 균일한 비율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강성 밴드의 품질이 낮아질 수 있으며, 폐 페트 플레이크는 판 형태이기 때문에 표면력이 높아 수분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은 폐 페트가 신원료 페트 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펠릿 형태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결정화가 진행되고, 상기 제습부(300)에서 제습되며 2차 결정화가 진행되어 모양과 크기가 일정한 입자가 생성되어 규칙적인 3차원 배열을 이루기 때문에 표면력이 낮고 수분에도 취약하지 않아서 외부 환경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페트 펠릿(P)을 원료로 사용하여 고강성 밴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고품질의 고강성 밴드를 제조하기 위해 신원료 페트 칩을 첨가하고자 할 때 폐 페트와 신원료 페트 칩이 균일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은 폐 페트로만 사용하여 고강성 밴드를 제조할 수 있거나 폐 페트에 신원료 페트 칩을 혼합하여 고강성 밴드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폐 페트의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친환경적인 품질 좋은 고강성 밴드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고정수단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고정수단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2에서 높낮이 조절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고정수단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고정수단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에서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2에서 높낮이 조절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냉각장치(500)는 냉각수가 저장되며 상기 압출부(400)에서 압출되는 밴드(B)가 통과되면서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수조(510), 상기 냉각수조(510)를 통과하는 밴드(B)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520) 및 상기 냉각수조(510)로부터 상기 수분제거부(520)로의 밴드(B)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조(51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냉각수가 저장되는 사각 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냉각수조(510)는 밴드(B)의 진행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냉각수는 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각수조(510)는 내측으로 냉각수가 저장되면서 상기 압출부(400)에서 압출되는 밴드(B)가 냉각수와의 접촉에 의해 빠르게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각수조(510)에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각수 온도 조절장치, 외부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기 위한 냉각수 공급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조(510)에는 상기 냉각수조(510)로 저장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냉각수 배출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수 온도 조절장치, 냉각수 공급장치 및 냉각수 배출장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분제거부(520)는 상기 냉각수조(510)의 상부로 안착되는 지지판(521), 상기 지지판(521)의 상부로 안착되며 상부로 밴드(B)가 통과하는 하부 수분 흡수부재(522), 상기 하부 수분 흡수부재(522)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수분 흡수부재(523) 및 상기 하부 수분 흡수부재(522)와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523)를 상기 지지판(521)에 고정하는 고정수단(5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521)은 상기 냉각수조(5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수조(5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측 전방부로 안착되면서 개방된 상기 냉각수조(510)의 상측 전방부를 차단할 수 있다.
밴드(B)는 상기 압출부(400)에서 압출되며 상기 냉각수조(510)의 상측 후방부로 인입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부(5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냉각수조(510)로부터 인출되며 상기 지지판(521)의 상부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분 흡수부재(522)와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523)는 수분 흡수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직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 수분 흡수부재(522)와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523)는 표면에 다수의 보플이 형성된 타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수분 흡수부재(522)와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523)는 양단부가 밴드(B)와 교차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판(52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수분 흡수부재(522)와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523)는 상기 지지판(521)의 상부를 통과하는 밴드(B)와 접촉되면서 밴드(B)에 존재하는 수분을 닦아내며 흡수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524)은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523)의 양측 상부로 안착되는 한 쌍의 중량바(5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바(525)는 밴드(B)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무게를 가지면서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523)의 양단부 상측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중량바(525)는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523)의 양단부 상측으로 안착되면서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523)와 함께 상기 하부 수분 흡수부재(522)가 상기 지지판(521)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523)와 상기 하부 수분 흡수부재(522)는 사이를 통과하는 밴드(B)와 접하면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523)와 상기 하부 수분 흡수부재(522)는 상기 중량바(525)를 들어 올림 즉, 이격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판(521)으로부터 이탈되면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524)은 상기 한 쌍의 중량바(525)를 연결하는 연결수단(5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526)은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523)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중량바(525)를 좌우 방향으로 통과하는 연결바(527), 상기 각 중량바(525)의 양측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연결바(527)로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5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바(525)는 양측을 통과하는 중공(52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527)는 양단부가 밴드(B)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중공(525a)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중량바(525)를 좌우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527)는 상기 지지판(521)으로부터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523)와 접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바(527)는 양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528)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연결바(527)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중량바(525)는 상기 연결수단(526)에 의해 연결되면서 외력 등에 의한 흔들림 등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30)는 상기 수분제거부(5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냉각수조(510)로 수용되어 상기 냉각수조(510)에 저장된 냉각수로 인입되는 밴드(B)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체(531) 및 상기 가이드체(531)가 상기 냉각수조(510)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5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체(531)는 양측판(533), 상기 양측판(533)의 후방부를 연결하며 하부로 밴드(B)가 통과하는 후방 가이드봉(534), 상기 양측판(533)의 중앙부를 연결하며 상부로 밴드(B)가 통과하는 중앙 가이드봉(535) 및 상기 양측판(533)의 전방부를 연결하며 하부로 밴드(B)가 통과하는 전방 가이드봉(536)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B)는 상기 냉각수조(510)의 후방부 상측에서 수직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가이드봉(534)은 상기 냉각수조(510)로 인입되는 밴드(B)와 접하면서 밴드(B)가 'ㄴ'자 형태로 통과하면서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가이드봉(535)은 상부를 통과하는 밴드(B)와 접하면서 밴드(B)를 지지하는 한편, 밴드(B)가 대략 수평을 유지하며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방 가이드봉(536)은 상기 중앙 가이드봉(535)을 통과하는 밴드(B)가 접하면서 역 'ㄴ'자 형태를 이루며 상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체(531)는 상기 양측판(533)의 전단부 상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판(537) 및 상기 한 쌍의 보조판(537)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부로 밴드(B)가 통과하는 보조 가이드봉(5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판(537)은 상기 측판(533)의 전단부 상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냉가수조(510)의 내부로 수용된 냉각수로부터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보조판(537)은 하부가 상기 측판(533)의 전단부 상측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가이드봉(538)은 상부가 상기 지지판(521)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가이드봉(538)은 상기 전방 가이드봉(536)을 통과하는 밴드(B)가 역 'ㄱ'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수분제거부(520)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방 가이드봉(534), 상기 중앙 가이드봉(535), 상기 전방 가이드봉(536) 및 상기 보조 가이드봉(538)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530)는 상기 후방 가이드봉(534), 상기 중앙 가이드봉(535), 상기 전방 가이드봉(536) 및 상기 보조 가이드봉(538)에 의해 밴드(B)가 대략 상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로 상기 냉각수조(510)에 저장된 냉각수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각수와 밴드(B)와의 접촉이 일정 시간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조시스템은 상기 압출부(400)에서 압출되는 밴드(B)에 대한 빠르고 효율적인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532)은 일단부가 상기 양측판(533)에 고정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532a) 및 일단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532a)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냉각수조(510)의 상부로 안착되는 한 쌍의 상부 프레임(53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하부 프레임(532a)은 일단부가 상기 양측판(533)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532a)은 상기 측판(533)과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532a)과 상기 상부 프레임(532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30)는 상기 가이드체(53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540)은 상기 한 쌍의 상부 프레임(532b)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수조(510)의 상부 양측으로 안착되는 안착부재(541), 하부가 상기 안착부재(541)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532b)을 통과하는 조절바(542), 상기 상부 프레임(532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측으로 상기 조절바(542)가 나사결합되는 조절레버(543) 및 하부가 상기 안착부재(541)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532b)을 통과하는 회전 방지바(5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541)는 일정 크기를 가지면서 상기 냉각수조(510)의 상부로의 안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절레버(543)는 하부가 베어링 등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임(532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절레버(54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바(54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조절레버(543)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바(542)는 상기 조절레버(543)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방지바(544)는 하부가 상기 안착부재(541)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532a)을 통과하면서 상기 조절레버(543)의 회전에 따른 상기 조절바(542)의 상하 이동시, 상기 안착부재(541)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540)은 상기 조절레버(543)의 회전을 통해 상기 가이드체(531)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펠릿 성형부 200 : 집진부
300 : 제습부 400 : 압출부
500 : 냉각장치 510 : 지지판
520 : 수분제거부 530 : 가이드부
600 : 연신부 700 : 예열부
800 : 재연신부 900 : 권취부
300 : 제습부 400 : 압출부
500 : 냉각장치 510 : 지지판
520 : 수분제거부 530 : 가이드부
600 : 연신부 700 : 예열부
800 : 재연신부 900 : 권취부
Claims (11)
- 폐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페트 펠릿을 공급받아 판 형태의 밴드로 압출하는 압출부로부터 압출되는 밴드를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냉각수가 저장되며 상기 압출부에서 압출되는 밴드가 통과되면서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수조; 및 상기 냉각수조를 통과하는 밴드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제거부는 상기 냉각수조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기 냉각수조의 상측 전방부로 안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로 안착되며 상부로 밴드가 통과하는 하부 수분 흡수부재; 상기 하부 수분 흡수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수분 흡수부재; 및 상기 하부 수분 흡수부재와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를 상기 지지판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의 양측 상부로 안착되는 한 쌍의 중량바; 및 상기 한 쌍의 중량바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상부 수분 흡수부재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중량바를 통과하는 연결바; 및 상기 각 중량바의 양측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연결바로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40430A KR102675171B1 (ko) | 2023-06-13 | 2024-03-25 |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친환경 밴드 제조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5431 | 2023-06-13 | ||
KR20230075431 | 2023-06-13 | ||
KR20230075953 | 2023-06-14 | ||
KR1020230075953 | 2023-06-14 | ||
KR1020230076743A KR102577611B1 (ko) | 2023-06-13 | 2023-06-15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 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6743A Division KR102577611B1 (ko) | 2023-06-13 | 2023-06-15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 시스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40430A Division KR102675171B1 (ko) | 2023-06-13 | 2024-03-25 |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친환경 밴드 제조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6886A KR20230136886A (ko) | 2023-09-27 |
KR102652366B1 true KR102652366B1 (ko) | 2024-03-29 |
Family
ID=8802055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6743A KR102577611B1 (ko) | 2023-06-13 | 2023-06-15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 시스템 |
KR1020230118893A KR102638833B1 (ko) | 2023-06-13 | 2023-09-07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밴드의 제조시스템 |
KR1020230118894A KR102652366B1 (ko) | 2023-06-13 | 2023-09-07 |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시스템 |
KR1020240040430A KR102675171B1 (ko) | 2023-06-13 | 2024-03-25 |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친환경 밴드 제조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6743A KR102577611B1 (ko) | 2023-06-13 | 2023-06-15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밴드 제조 시스템 |
KR1020230118893A KR102638833B1 (ko) | 2023-06-13 | 2023-09-07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밴드의 제조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40430A KR102675171B1 (ko) | 2023-06-13 | 2024-03-25 |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친환경 밴드 제조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 | KR10257761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3029B1 (ko) * | 2023-11-01 | 2024-05-03 | 주식회사코리아스피드칼라 | 압출물 냉각을 위한 수조 구조체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9203B1 (ko) | 2010-10-18 | 2011-04-13 | 백수안 | 패턴 형성장치 |
KR101940474B1 (ko) | 2018-06-29 | 2019-04-10 | 주식회사 올리브 | 파우치에 포장된 소스 냉각 장치 |
KR102066118B1 (ko) | 2018-12-19 | 2020-01-15 | 대한민국 |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 제조방법 |
KR102384268B1 (ko) | 2021-12-06 | 2022-04-11 | (주)디에스에스 |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료로 사용한 고강성 밴드 제조 시스템 |
KR102530810B1 (ko) | 2022-11-03 | 2023-05-09 | 전성진 | 플라스틱 펠렛 제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7502B1 (ko) * | 2012-12-21 | 2014-07-08 | 주식회사 포스코 | 자성을 이용한 이송장치 |
-
2023
- 2023-06-15 KR KR1020230076743A patent/KR10257761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09-07 KR KR1020230118893A patent/KR1026388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09-07 KR KR1020230118894A patent/KR10265236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4
- 2024-03-25 KR KR1020240040430A patent/KR1026751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9203B1 (ko) | 2010-10-18 | 2011-04-13 | 백수안 | 패턴 형성장치 |
KR101940474B1 (ko) | 2018-06-29 | 2019-04-10 | 주식회사 올리브 | 파우치에 포장된 소스 냉각 장치 |
KR102066118B1 (ko) | 2018-12-19 | 2020-01-15 | 대한민국 |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 제조방법 |
KR102384268B1 (ko) | 2021-12-06 | 2022-04-11 | (주)디에스에스 |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료로 사용한 고강성 밴드 제조 시스템 |
KR102530810B1 (ko) | 2022-11-03 | 2023-05-09 | 전성진 | 플라스틱 펠렛 제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5171B1 (ko) | 2024-06-13 |
KR102577611B1 (ko) | 2023-09-13 |
KR20230136885A (ko) | 2023-09-27 |
KR102638833B1 (ko) | 2024-02-22 |
KR20230136886A (ko) | 2023-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75171B1 (ko) |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친환경 밴드 제조시스템 | |
KR102384268B1 (ko) |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료로 사용한 고강성 밴드 제조 시스템 | |
KR101576022B1 (ko) | 랜스 | |
KR102419982B1 (ko) | 마스터 뱃치 제조용 플라스틱 압출 시스템 | |
ES2963948T3 (es) | Procedimiento para producir un compuesto de moldeo reforzado con fibra de carbono | |
LT5664B (lt) | Gijų granuliavimo būdas ir įrenginys bei jų pagrindu pagamintos granulės | |
TW201609362A (zh) | 製造填充高分子複合材料的裝置及其方法 | |
PT2419255E (pt) | Método e dispositivo para a reciclagem de materiais de plástico | |
PT2286973E (pt) | Método e dispositivo para o processamento de material plástico | |
KR101865747B1 (ko) | 재생폴리프로필렌 펠릿의 제조장치 | |
JP4876037B2 (ja) | 水中カット造粒システム及びペレット製造方法 | |
US5861117A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cooling an extrudate | |
US6039905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ranulating plastic strands | |
CN206416361U (zh) | 一种用于制造塑胶粒的装置 | |
KR101278685B1 (ko) | 마스터배치의 제조장치 | |
KR100824752B1 (ko) | 톱밥 플라스틱 보드,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
CN205326045U (zh) | 一种水环切粒装置 | |
ES2971602T3 (es) | Compactador | |
KR101432739B1 (ko) | 인조목재 배합 조성물을 이용한 인조목재 제조방법 및 장치 | |
CN203393282U (zh) | 一种利用废旧pet生产扁丝的装置 | |
CN111941775A (zh) | 一种热能回收利用型节能注塑机 | |
CN206242296U (zh) | 一种用于软塑料的切粒机 | |
CN101722586A (zh) | 塑料粒料形成装置 | |
CN206825726U (zh) | 塑料拉条吹干机 | |
CN221161434U (zh) | 一种回收再生塑料造粒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