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259B1 - 포대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포대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259B1
KR102652259B1 KR1020230174244A KR20230174244A KR102652259B1 KR 102652259 B1 KR102652259 B1 KR 102652259B1 KR 1020230174244 A KR1020230174244 A KR 1020230174244A KR 20230174244 A KR20230174244 A KR 20230174244A KR 102652259 B1 KR102652259 B1 KR 10265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vacuum
bags
lever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4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대
Original Assignee
대신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신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74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83Construction of suction grippers or their h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06Feeding stacks of articles to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10Reciprocating or oscillating grippers, e.g. suction or gripper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3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65H7/1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Bags, sachets and pouc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포대(1)들의 이송을 위해 형성된 프레임(100)과, 다수의 포대(1)들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이송벨트(200), 상기 이송벨트(200)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포대(1)들을 지지하고 후속 작업을 위한 소정 높이로 승강시키는 리프터(300), 상기 리프터(300)에 의해 승강된 포대(1)들을 승강된 높이에서 지지하는 보조지지장치(400), 상기 리프터(300)에 의해 승강된 포대(1)들의 높이 및 위치를 감지하는 높이위치감지센서(700), 상기 보조지지장치(400)에서 지지되는 포대(1)들을 흡착하여 들어올리는 포대상승장치(500),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의 포대(1)를 흡착하여 앞으로 이동시키는 포대투입장치(600)로 구성되어, 다수의 포대들이 적층된 상태에서 곡물 등의 포장 작업을 위해 포대를 흡착 및 공급하는 과정에서 흡착된 포대의 저면에 다른 포대가 부착되지 않고 포대를 하나씩 이송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포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대 자동 공급장치{A device which automatically supplies sacks}
본 발명은 포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포대들이 적층된 상태에서 곡물 등의 포장 작업을 위해 포대를 흡착 및 공급하는 과정에서 흡착된 포대의 저면에 다른 포대가 부착되지 않고 포대를 하나씩 이송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포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는 곡물 등과 같은 사료, 시멘트 등과 같은 분체물을 담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대는 다수가 적층된 상태에서 포장을 위해 하나씩 이송되고 입구가 벌려진 다음, 포장 대상물이 호퍼로부터 포대로 담겨져 포장되고, 작업효율 향상을 위해 자동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다.
종래의 이송장치로 국내등록특허 제10-1185804호 (2012.09.19. 등록)가 있다. 종래의 이송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상태로 다수매의 포대가 적재되는 포대적재대, 상기 지지대와 포대적재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포대적재대를 상기 지지대에 대해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포대적재대에 적재된 포대들 중 최상층의 포대를 1매씩 진공흡착하여 들어올린 후 안착시키는 진공흡착수단,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포대적재대의 상하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진공흡착수단에 의해 안착되는 상기 포대를 수평이송시키는 무한궤도형 컨베이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진공흡착수단에 의해 포대 상면이 흡착되어 이송될 때, 정전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흡착된 포대의 저면에 인접한 포대가 부착된 상태로 함께 이송됨에 따라 후속 공정인 곡물 등의 포장시에 에러가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 정전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흡착된 포대의 저면에 인접한 포대가 부착된 상태로 함께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지 못한채 이송하여, 곡물의 손실 문제와 포장작업의 지연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185804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송벨트를 통해 이송된 포대뭉치를 리프터로 상승시킨 후, 포대상승장치로 포대를 들어 올리고, 포대상승장치에 의해 상승된 포대를 포대투입장치를 통해 흡착하여 수평으로 이송함에 따라, 포대를 하나씩 이송하도록 개선된 포대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대2장감지장치 및 포대2장감지배출장치를 구비하여 포대가 2장 이상 이동시 이를 감지하고 따로 분리함으로써 다음 작업단계로 이동하여 포대를 1장씩 미싱 및 포장 작업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고장률을 낮추는 포대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다수의 포대(1)들의 이송을 위해 형성된 프레임(100); 및
제1 이송벨트모터(215)와 연결된 제1 이송벨트(210)와, 상기 제1 이송벨트(210)과 일직선으로 연결 형성되며 제2 이송벨트모터(225)와 연결된 제2 이송벨트(220), 이송된 포대(1)를 후속 단계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벨트(230)로 구성되며, 다수의 포대(1)들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이송벨트(200);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부(320)와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다수개의 리프터본체지지구(311)를 구비하는 리프터본체(310)와, 상기 리프터본체(310)와 결합된 랙기어(330), 상기 랙기어(330)와 맞물려 형성된 평기어(340), 상기 평기어(340)가 끼움 결합되어 있는 작동축(350), 상기 작동축(350)과 결합된 작동모터(360) 및 센서(370)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벨트(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벨트(200)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포대(1)들을 지지하고 후속 작업을 위한 소정 높이로 승강시키는 리프터(300);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부(420)와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위치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지지구(411), 일측에 결합된 에어실린더(430)를 구비하는 보조지지대(410)로 구성되며, 상기 리프터(3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실린더(430)의 구동으로 수평 이동을 통해 상기 리프터(300)에 의해 승강된 포대(1)들을 승강된 높이에서 지지하는 보조지지장치(400);
상기 리프터(300)에 의해 승강된 포대(1)들의 높이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리프터(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높이위치감지센서(700);
상기 보조지지장치(400)에서 지지되는 포대(1)들을 흡착하여 들어올리는 포대상승장치(500);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의 포대(1)를 흡착하여 후속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포대투입장치(600);
상기 포대투입장치(600)를 통해 이동된 포대(1)들을 후속 작업을 위한 이동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대배출가이드장치(750);
상기 포대배출가이드장치(750)를 통해 이동된 포대(1)의 장수가 2장인지 감지하는 포대2장감지장치(800);
상기 포대2장감지장치(800)를 통해 감지된 2장의 포대(1)들을 배출시키는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
상기 프레임(100)에 연결된 고정부(955)와, 상기 고정부(955)와 축부(953)를 통해 연결되며 상부가 오픈된 단면이 ‘ㄴ’형상으로 형성된 수거본체(951)로 구성되어, 상기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포대수거장치(950);로 구성되고,
상기 리프터(300)의 센서(370)는 상기 리프터(300)와 보조지지장치(400)의 높이를 감지하는 장치로, 리프터상한점센서(371)와 리프터하한점센서(372), 보조지지대전진센서(373), 보조지지대후진센서(374)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지지장치(400)의 보조지지구(411)는 상기 리프터(300)의 리프터본체지지구(311)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와 포대투입장치(600)는,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의 포대상승용진공호스(513)와 포대투입장치(600)의 포대투입용진공호스(613)와 연결되는 진공분배반(1100)과, 상기 진공분배반(1100)과 연결되어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와 포대투입장치(600)에 진공을 이동시키는 진공호스(1200), 상기 진공호스(1200)와 진공호스니플(1400)을 통해 연결되어 진공을 개폐하는 진공개폐장치(1300), 상기 진공호스(1200)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진공호스니플(1400), 상기 진공호스(1200) 및 진공호스니플(1400)와 후술하는 진공필터(1600)를 서로 연결하는 진공필터연결부재(1500), 상기 진공필터연결부재(1500)와 연결되는 진공필터(1600), 상기 진공필터(1600)와 연결되어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1700)로 구성된 진공구동장치(1000)와 연결되고, 상기 진공구동장치(1000)의 진공펌프(1700) 및 진공개폐장치(1300)의 구동으로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와 포대투입장치(600)의 진공이 개폐되며,
상기 포대배출가이드장치(750)는 제3 이송벨트(2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포대투입장치(600)를 통해 이송된 포대(1)를 가이드하며, 낱장으로 공급되는 포대(1)가 들어올 때 열리고 포대(1)가 다 들어오면 닫힘에 따라 포대(1)의 이송 진행을 돕고,
상기 이송벨트(200)를 통해 다수의 포대(1)들이 적층된 상태로 이동되고,
이동된 다수의 포대(1)들이 리프터(300)를 통해 높이위치감지센서(700)가 감지될 때까지 상부로 이송되고,
상기 리프터(300)를 통해 이송된 다수의 포대(1)들은 포대상승장치(500)를 통해 하나씩 진공되어 상승되고,
상승된 1개의 포대(1)는 제1 캠(560) 및 제2 캠(570)의 회전에 따라 제3 레버(540)가 180°회전하여 가장 높은 부분까지 위치하며 들어올려지며 가장 높은 부분까지 위치한 후엔 진공개폐장치(1300)가 닫혀 진공이 해제되고,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의 진공 해제된 1개의 포대(1)는 포대투입장치(600)에 의해 진공되고,
포대투입장치(600)의 제1 레버(620) 및 제2 레버(630), 제3 레버(640), 제4 레버(650)의 이동에 따라 진공 흡입된 포대(1)가 후진 및 전진하며, 전진 후에 진공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이송벨트(200) 및 리프터(300), 보조지지장치(400), 포대상승장치(500), 포대투입장치(600)를 통해 흡착된 포대의 저면에 다른 포대가 부착되지 않고 포대를 하나씩 이송하여 후속 단계로 공급하고,
이후, 상기 포대2장감지장치(800)와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를 통해 포대가 2장으로 겹쳐져 이송되는지 감지하여 이송되는 2장의 포대를 분류 및 배출하고,
상기 배출포대수거장치(950)가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를 통해 배출된 2장의 포대(1)들을 수거하고, 상기 수거본체(951)에 다수개의 포대(1)들이 위치하면 축부(953)를 통해 위치 각도가 변경되어 다수개의 포대(1)들을 하부 바닥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대상승장치(500)는, 하부에 위치 및 결합하는 포대상승용진공노즐(511)과 일측에 위치 및 결합하는 포대상승용진공호스(513)를 구비하는 포대상승용진공블록(510)과, 연결부(550)을 통해 상기 포대상승용진공블록(510)과 연결된 연결부(555), 상기 연결부(555)와 연결부(550)를 통해 연결된 제1 레버(520), 연결부(550)을 통해 상기 제1 레버(520)와 연결된 제2 레버(530), 연결부(550)를 통해 상기 제2 레버(530)와 연결된 제3 레버(540), 연결부(550)를 통해 상기 제3 레버(540)와 연결된 제2 캠(570), 상기 제2 캠(570)과 벨트(580)로 연결된 제1 캠(560), 다수개의 연결부(550), 제1 캠(560)과 제2 캠(570)을 연결하는 벨트(58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캠(560)의 회전으로 벨트(580)를 통해 연결된 제2 캠(5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레버(520) 및 제2 레버(530), 제3 레버(540)가 상승되었다가 하강되며 포대(1)를 상승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대투입장치(600)는, 하부에 위치 및 결합하는 포대투입용진공노즐(611)과 일측에 위치 및 결합하는 포대투입용진공호스(613)를 구비하는 포대투입용진공블록(610)과, 연결부(675)와 연결부(670)를 통해 상기 포대투입용진공블록(610)과 연결된 제1 레버(620), 연결부(670)를 통해 상기 제1 레버(620)와 연결된 제2 레버(630), 상기 제2 레버(630) 및 프레임(100)과 연결된 제3 레버(640), 상기 제3 레버(640)와 연결된 연결레버(660), 상기 연결레버(660) 및 프레임(100)과 연결된 제4 레버(650), 프레임(100)에 결합된 내부캠(680)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대상승장치(500)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 포대(1)들을 제3 이송벨트(230)로 하나씩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송벨트를 통해 이송된 포대뭉치를 리프터로 상승시킨 후, 포대상승장치로 포대를 들어 올리고, 포대상승장치에 의해 상승된 포대를 포대투입장치를 통해 흡착하여 수평으로 이송함에 따라, 포장을 위해 포대들을 하나씩 공급할 수 있어 포장 작업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캠을 이용한 포대상승장치와 포대투입장치의 구동을 통해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포대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포대2장감지장치 및 포대2장감지배출장치를 구비하여 포대가 2장 이상 이동시 이를 감지하고 따로 분리함으로써 다음 작업단계로 이동하여 포대를 1장씩 미싱 및 포장 작업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고장률을 낮추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이송벨트와 리프터, 보조지지장치의 결합 및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리프터와 보조지지장치의 결합 및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포대상승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포대상승장치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포대투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포대투입장치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포대2장감지장치와 포대2장감지배출장치의 결합 및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포대2장감지장치와 포대2장감지배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포대상승장치와 포대투입장치, 진공구동장치의 결합 및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진공개폐장치의 열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진공개폐장치의 닫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이송벨트와 리프터, 보조지지장치의 결합 및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리프터와 보조지지장치의 결합 및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포대상승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포대상승장치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포대투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포대투입장치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포대2장감지장치와 포대2장감지배출장치의 결합 및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포대2장감지장치와 포대2장감지배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포대상승장치와 포대투입장치, 진공구동장치의 결합 및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a는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진공개폐장치의 열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b는 본 발명의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진공개폐장치의 닫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수의 포대(1)들의 이송을 위해 형성된 프레임(100)과, 다수의 포대(1)들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이송벨트(200), 이송벨트(200)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포대(1)들을 지지하고 후속 작업을 위한 소정 높이로 승강시키는 리프터(300), 상기 리프터(300)에 의해 승강된 포대(1)들을 승강된 높이에서 지지하는 보조지지장치(400), 상기 리프터(300)에 의해 승강된 포대(1)들의 높이 및 위치를 감지하는 높이위치감지센서(700), 상기 보조지지장치(400)에서 지지되는 포대(1)들을 흡착하여 들어올리는 포대상승장치(500),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의 포대(1)를 흡착하여 앞으로 이동시키는 포대투입장치(600), 상기 포대투입장치(600)를 통해 이동된 포대(1)들을 후속 작업을 위한 이동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대배출가이드장치(750), 상기 포대배출가이드장치(750)를 통해 이동된 포대(1)의 장수가 2장인지 감지하는 포대2장감지장치(800), 상기 포대2장감지장치(800)를 통해 감지된 2장의 포대(1)들을 배출시키는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 상기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를 통해 배출된 2장의 포대(1)들을 수거하는 배출포대수거장치(9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송벨트(20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벨트모터(215)와 연결된 제1 이송벨트(210)와 상기 제1 이송벨트(210)과 일직선으로 연결 형성되며 제2 이송벨트모터(225)와 연결된 제2 이송벨트(220), 후술하는 리프터(300)와 포대상승장치(500), 포대투입장치(600)을 통해 이송된 포대(1)를 이송시키는 제3 이송벨트(2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이송벨트(210)와 제2 이송벨트(220)는 일직선으로 연결 형성되어 포대뭉치로 형성된 다수의 포대(1)들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이송벨트(230)는 후술하는 리프터(300)와 포대상승장치(500), 포대투입장치(600)을 통해 이송된 포대(1)를 후속 작업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이송벨트(210)와 제2 이송벨트(220), 제3 이송벨트(2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무한히 회전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이송벨트(210)의 일측에는 제1 이송벨트멈춤센서(217)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벨트(220)의 일측에는 제2 이송벨트멈춤센서(227)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이송벨트(210)와 제2 이송벨트(2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리프터(30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부(320)와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다수개의 리프터본체지지구(311)를 구비하는 리프터본체(310)와, 상기 리프터본체(310)와 결합된 랙기어(330), 상기 랙기어(330)와 맞물려 형성된 평기어(340), 상기 평기어(340)가 끼움 결합되어 있는 작동축(350), 상기 작동축(350)과 결합된 작동모터(360) 및 센서(370)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벨트(200)에 의해 적재된 상태로 이송되는 포대(1)들을 제3 이송벨트(230)의 위치로 승강시킨다.
상기 리프터본체(3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원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부(320)는 상기 리프터본체(310)의 양단에 위치하여 상하로 위치하는 리프터가이드프레임(1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리프터가이드프레임(110)의 크기와 모양에 대응되는 홈을 구비한다.
상기 평기어(340)는 내측에 고정장치(345)가 위치 및 결합하여 작동축(350)과 결합 후 고정된다.
상기 작동축(350)은 일측에 결합된 작동모터(360)를 통해 전달받은 구동력을 평기어(340) 및 랙기어(330), 리프터본체(3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평기어(340)와 랙기어(330)의 맞물림 구조는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리프터(300)의 상하 이동을 구동할 수 있게 하며, 이로써 높은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센서(370)는 상기 리프터(300)와 보조지지장치(400)의 높이를 감지하는 장치로, 리프터상한점센서(371)와 리프터하한점센서(372), 보조지지대전진센서(373), 보조지지대후진센서(37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상한점센서(371)는 상기 리프터(300)의 상한점을 감지하고, 상기 리프터하한점센서(372)는 상기 리프터(300)의 하한점을 감지하여 상기 리프터(300)의 높이 및 위치를 감지하고, 리프터(300)가 리프터가이드프레임(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한다.
상기 보조지지대전진센서(373)는 상기 보조지지장치(400)의 보조지지대(410)의 전진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보조지지대후진센서(374)는 상기 보조지지장치(400)의 보조지지대(410)의 후진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보조지지장치(400)의 위치 및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장치(40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부(420)와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위치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지지구(411), 일측에 결합된 에어실린더(430)를 구비하는 보조지지대(410)로 구성되어, 전후방향으로의 수평 이동된다.
상기 보조지지대(4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원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보조지지구(4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터(300)의 리프터본체지지구(311)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20)는 보조지지장치가이드프레임(120)의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하기 위해 내부에 보조지지장치가이드프레임(120)의 모양과 크기에 대응되는 홈을 구비한다.
상기 에어실린더(430)는 보조지지장치(400)의 전후방향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장치(400)는 좌우 이송 밸런스를 맞추기 위하여 추가로 벨트 연결하여 더욱 원활히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포대상승장치(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 및 결합하는 포대상승용진공노즐(511)과 일측에 위치 및 결합하는 포대상승용진공호스(513)를 구비하는 포대상승용진공블록(510)과, 연결부(550)을 통해 상기 포대상승용진공블록(510)과 연결된 연결부(555), 상기 연결부(555)와 연결부(550)를 통해 연결된 제1 레버(520), 연결부(550)을 통해 상기 제1 레버(520)와 연결된 제2 레버(530), 연결부(550)를 통해 상기 제2 레버(530)와 연결된 제3 레버(540), 연결부(550)를 통해 상기 제3 레버(540)와 연결된 제2 캠(570), 상기 제2 캠(570)과 벨트(580)로 연결된 제1 캠(560), 다수개의 연결부(550), 제1 캠(560)과 제2 캠(570)을 연결하는 벨트(580)로 구성되어, 진공구동장치(1000)의 구동을 통해 진공으로 상기 리프터(300)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 포대(1)들을 하나씩 이송시킨다.
상기 포대상승장치(5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포대상승용진공블록(510)이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포대상승용진공블록(510)이 결합하여 포대상승장치(500)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개수에 있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포대상승용진공블록(510)은 상기 리프터(300)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 포대(1)들을 하나씩 이송시키기 위한 상기 리프터(300)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포대상승용진공노즐(511)은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레버(520) 및 제2 레버(530), 제3 레버(5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원통형의 바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연결부(5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을 구비한 판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캠(560)은 프레임(100)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캠(570)은 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포대상승장치프레임(130)의 내측에 위치함에 따라 더 안정적으로 구동되어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캠(560)과 프레임(100)의 결합 방법 및 상기 제2 캠(570)과 포대상승장치프레임(130)의 결합 방법은 공지된 기술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포대상승장치(500)는 상기 제1 캠(560)의 회전으로 벨트(580)를 통해 연결된 제2 캠(5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레버(520) 및 제2 레버(530), 제3 레버(540)가 상승되었다가 하강되며 포대(1)를 상승 이동시킨다.
상기 포대투입장치(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 및 결합하는 포대투입용진공노즐(611)과 일측에 위치 및 결합하는 포대투입용진공호스(613)를 구비하는 포대투입용진공블록(610)과, 연결부(675)와 연결부(670)를 통해 상기 포대투입용진공블록(610)과 연결된 제1 레버(620), 연결부(670)를 통해 상기 제1 레버(620)와 연결된 제2 레버(630), 상기 제2 레버(630) 및 프레임(100)과 연결된 제3 레버(640), 상기 제3 레버(640)와 연결된 연결레버(660), 상기 연결레버(660) 및 프레임(100)과 연결된 제4 레버(650), 프레임(100)에 결합된 내부캠(680)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대상승장치(500)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 포대(1)들을 진공구동장치(1000)의 구동을 통해 진공으로 제3 이송벨트(230)로 하나씩 이송시킨다.
상기 포대투입장치(6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포대투입용진공블록(610)이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개의 포대투입용진공블록(610)이 결합하여 포대투입장치(600)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개수에 있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포대투입용진공블록(610)은 상기 리프터(300)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 포대(1)들을 하나씩 이송시키기 위한 상기 리프터(300)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의 포대상승용진공블록(510)을 통해 진공된 포대(1)를 후속으로 진공하기 위하여 상기 포대상승용진공블록(510)의 측면에 위치한다.
상기 포대투입용진공노즐(611)은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레버(620) 및 제2 레버(630), 제3 레버(640), 제4 레버(650), 연결레버(660), 연결부(67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을 구비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3 레버(640) 및 제4 레버(650)는 일단이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상기 내부캠(680)은 내부에 일종의 도넛 모양의 홈부(681)를 구비한다.
상기 홈부(681)에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레버(65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651)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 및 고정 방법은 볼트 등의 결합으로 이는 공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포대투입장치(600)는 도 7a 내지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캠(680)의 회전에 따라 전진과 후진을 반복한다.
구체적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대투입장치(600)는 제1 레버(620) 및 제2 레버(630), 제3 레버(640), 제4 레버(650)의 이동에 따라 진공 흡입된 포대(1)와 함께 45mm 후진하고, 이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투입장치(60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진된 위치에서 방향을 바꾸어 진공 흡입된 포대(1)와 함께 135mm 전진하며, 전진이 완료된 후에는 진공이 중단되어 포대(1)를 후속 단계로 투입한다.
이와 같은 포대투입장치(600)의 이송 방법은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와의 이동 경로가 겹쳐지지 않으면서, 상기 포대상승장치(500)를 통해 1차적으로 포대(1) 1장만을 들어올리고 상기 포대투입장치(600)를 통해 2차적으로 포대(1) 1장만을 이동시킬 수 있어 높은 작업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와 포대투입장치(600)와 연결 및 결합되어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와 포대투입장치(600)의 진공을 구동하는 장치인 진공구동장치(1000)는, 도 10 내지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의 포대상승용진공호스(513)와 포대투입장치(600)의 포대투입용진공호스(613)와 연결되는 진공분배반(1100)과, 상기 진공분배반(1100)과 연결되어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와 포대투입장치(600)에 진공을 이동시키는 진공호스(1200), 상기 진공호스(1200)와 진공호스니플(1400)를 통해 연결되어 진공을 개폐하는 진공개폐장치(1300), 상기 진공호스(1200)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진공호스니플(1400), 상기 진공호스(1200) 및 진공호스니플(1400)와 후술하는 진공필터(1600)를 서로 연결하는 진공필터연결부재(1500), 상기 진공필터연결부재(1500)와 연결되는 진공필터(1600), 상기 진공필터(1600)와 연결되어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1700)로 구성되며, 진공을 발생 및 개폐, 포대상승장치(500) 및 포대투입장치(60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공분배반(1100)은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의 포대상승용진공호스(513)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대상승용니플체결부(1111)를 구비하는 포대상승용진공분배반(1110)과, 상기 대투입장치(600)의 포대투입용진공호스(613)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대투입용니플체결부(1121)를 구비하는 포대투입용진공분배반(1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대상승용진공분배반(1110)과 포대투입용진공분배반(1120)은 포대상승용진공호스(513) 및 포대투입용진공호스(613)와 후술하는 진공호스(1200)을 상호 연결하는 것과 같이, 구성요소를 상호 연결하는 부재인 기존에 알려진 부재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포대상승용니플체결부(1111)는 포대상승용진공호스(513) 및 진공호스니플(1400)과 결합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포대투입용니플체결부(1121)는 포대투입용진공호스(613) 및 진공호스니플(1400)과 결합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진공호스(1200)는 상기 포대상승장치(500)로 이동되는 진공을 전달하는 호스인 포대상승용진공호스(1210)와 상기 포대투입장치(600)로 이동되는 진공을 전달하는 호스인 포대투입용진공호스(1220)로 구성된다.
상기 진공개폐장치(1300)는 진공이 이동되는 진공구멍(1311)을 내부에 구비하는 진공개폐몸체(1310)와, 상기 진공개폐몸체(1310)의 일측에 위치 및 결합하는 스프링커버(1320), 상기 진공개폐몸체(13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피스톤작동압축스프링(1330), 상기 진공개폐몸체(13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피스톤작동압축스프링(1330)과 결합하는 진공개폐피스톤(1340), 상기 진공개폐피스톤(1340)과 결합 및 연결되어 진공을 개폐하는 진공개폐레버(1350), 상기 진공개폐레버(1350)와 맞물려 형성되는 진공개폐용캠(1370)으로 구성되며, 상기 진공개폐용캠(1370)의 구동으로 진공을 개폐한다.
상기 진공개폐장치(1300)는 포대상승용진공호스(1210)와 포대투입용진공호스(1220)를 각각 연결하는 진공구멍(1311)을 구비하여 포대상승용진공호스(1210)와 연결된 연결하는 진공구멍(1311) 및 포대투입용진공호스(1220)와 연결된 진공구멍(1311)을 각각 개폐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개폐할 수도 있다.
상기 진공개폐피스톤(1340)은 내부에 통공으로 형성된 진공구멍(1341)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진공펌프(1700)를 통해 발생된 진공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진공개폐레버(1350)는 일측에 레버힌지(1351)가 위치 및 결합하고, 타측에 캠플로와 베어링(1360)이 위치 및 결합한다.
상기 진공개폐용캠(1370)은 일측에 진공개폐용캠(1370)의 위치 조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볼트(137)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137)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진공호스니플(1400)은 진공호스(1200)나 관을 연결하는 이음매로, 철, 신주(황동), SUS(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에 알려진 연결부재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진공필터연결부재(1500)는 상기 포대상승용진공호스(1210) 및 포대투입용진공호스(1220)를 진공필터(1600)와 연결하는 부재로, 상기 포대상승용진공호스(1210) 및 포대투입용진공호스(1220)에 연결된 진공호스니플(1400) 및 진공필터(1600)와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는 기존에 알려진 부재 및 기술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진공필터(1600)는 진공펌프(1700)와 연결되며, 상기 진공펌프(1700)를 통해 형성된 진공을 필터링하는 부재로서, 기존에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진공펌프(1700)는 진공을 발생시키는 부재로, 기존에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구성 및 형성된 진공구동장치(1000)는 다음과 같이 구동한다.
상기 진공펌프(1700)에서 발생된 진공이 진공필터(1600)을 거쳐 포대상승 기능을 위한 포대상승용진공호스(1210)와 포대투입을 위한 포대투입용진공호스(1220)로 나누어 이동한다.
이렇게 나뉘어 이동된 진공은 포대1매당 1회전하는 진공개폐용캠(1370)이 회전을 하며 원주 모양에 따라 진공개폐피스톤(1340)이 좌우 작동하여 도 12a 및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개폐를 한다.
구체적으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개폐용캠(1370)의 원주 모양에 따라 진공개폐레버(1350)를 통해 진공개폐피스톤(1340)과 피스톤작동압축스프링(1330)을 누름에 따라 진공개폐피스톤(1340)의 진공구멍(1341)과 진공개폐몸체(1310)의 진공구멍(1311)의 위치가 이어지면서 진공개폐장치(1300)가 열림 구조로 되고, 포대상승장치(500)과 포대투입장치(600)로 진공이 이동된다.
이후,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개폐용캠(1370)의 회전으로 상기 진공개폐용캠(1370)의 원주 모양이 바뀌면서, 진공개폐레버(1350)를 통해 진공개폐피스톤(1340)과 피스톤작동압축스프링(1330)을 누름 해제됨에 따라 진공개폐피스톤(1340)의 진공구멍(1341)과 진공개폐몸체(1310)의 진공구멍(1311)의 위치가 엇갈리고, 상기 진공구멍(1311)이 진공개폐피스톤(1340)에 의해 막혀지며 진공개폐장치(1300)가 닫힘 구조로 되고, 포대상승장치(500)과 포대투입장치(600)로 진공의 이동되지 않으면서 진공상태가 해제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개폐장치(1300)가 열릴 경우, 진공은 진공펌프(1700)와 진공필터(1600), 포대상승용진공호스(1210) 및 포대투입용진공호스(1220)을 통해 이동된 진공이 진공개폐장치(1300)을 통과하여 상기 진공개폐장치(1300)의 타측에 연결된 포대상승용진공호스(1210) 및 포대투입용진공호스(1220)에 이동되고, 포대상승장치(500) 및 포대투입장치(600)에 이동된다.
상기 높이위치감지센서(700)는 상기 리프터(300)에 의해 승강된 포대(1)들의 높이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리프터(3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포대배출가이드장치(750)는 제3 이송벨트(2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포대투입장치(600)를 통해 이송된 포대(1)를 가이드하며, 낱장으로 공급되는 포대(1)가 들어올 때 열리고 포대(1)가 다 들어오면 닫힘에 따라 포대(1)의 이송 진행을 돕는다.
상기 포대2장감지장치(800)는 상기 포대배출가이드장치(750)를 통과한 포대(1)가 1장이 아닌 2장이 이송될 경우를 감지하는 장치로 형성된다.
상기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는 상기 포대2장감지장치(800)를 통해 감지된 2장의 포대(1)를 후술하는 배출포대수거장치(95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포대2장감지장치(800)를 통해 2장의 포대(1)들이 감지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에어실린더의 구동을 통해 상기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가 상부로 이동하여 열린다.
상기 배출포대수거장치(950)는 프레임(100)에 연결된 고정부(955)와, 상기 고정부(955)와 축부(953)를 통해 연결된 수거본체(951)로 구성되고, 상기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수거본체(951)는 상부가 오픈된 단면이 ‘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거본체(951)에 다수개의 포대(1)들이 위치하면 축부(953)를 통해 위치 각도가 변경되고, 그에 따라 다수개의 포대(1)들을 하부 바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포대배출롤러(790)는 상기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를 통과한 포대(1)들을 이송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포대 자동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송된다.
우선적으로 투입된 포대뭉치는 제1 이송벨트(210)를 지나 제2 이송벨트(220)에 의해 포대기준가이드판(150)까지 이동하게 되며, 제2 이송벨트멈춤센서(227)에 의해 제2 이송벨트(220)는 멈추고 리프터(300)가 상승한다.
상기 리프터(300)가 상승하는 동안 또 투입된 포대뭉치는 제1 이송벨트(210)에 의해 이동이 진행되다 제1 이송벨트멈춤센서(217)에 의해 정지되며, 상기 리프터(300)가 다시 하강하면 제2 이송벨트(220)로 전달된다.
제2 이송벨트(220)로 이송된 포대뭉치는 리프터(300)에 의해서 높이위치감지센서(700)에 감지될 때까지 상승한다. 이때, 낱장으로 1장씩 포대가 포대상승장치(500)와 포대투입장치(600)을 통해 후속 단계로 공급되어 포대(1)들의 높이가 낮아지면, 높이위치감지센서(700)에 의해 감지된 포대가 빠져나간 정도 만큼 리프터(300)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리프터상한점센서(371)는 상기 리프터(300)의 상한점을 감지하고, 상기 리프터하한점센서(372)는 상기 리프터(300)의 하한점을 감지하여 상기 리프터(300)의 높이 및 위치를 감지하고, 리프터(300)가 리프터가이드프레임(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한다.
이후, 리프터(300)는 작동모터(260)의 작동으로 평기어(340)와 랙기어(330)의 맞물림을 통해 상하 작동된다.
상기 평기어(340)와 랙기어(330)의 맞물림 구조는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리프터(300)의 상하 이동을 구동할 수 있게 하며, 이로써 높은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리프터(300)는 포대(1)가 빠져나간 만큼 상승하다가 보조지지대전진센서(373)가 감지되면 보조지지장치(400)의 보조지지대(410)가 전진하여 남아있는 포대(1)들을 임시 지지하게 되며, 그 사이에 리프터본체(310)는 하강하여 포대뭉치를 제1 이송벨트(210)에서 전달받아 다시 상승시키고 포대(1)들을 충전한다.
상기 리프터본체(310)가 다시 상승하여 포대(1)들이 충전되고 보조지지대후진센서(374)가 감지되면 보조지지대(410)는 후진하여 대기한다.
이와 같이 리프터(300)에 의해 상승된 포대(1)들은 포대상승장치(500)를 통해 하나씩 진공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상승용진공블록(510)이 가장 하한점에 위치하여 1장의 포대(1)를 들어올리는 구동이 시작되며 진공개폐장치(1300)가 열려 진공이 투입된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560) 및 제2 캠(570)의 회전에 따라 제3 레버(540)가 90°회전하여 1장의 포대(1)를 진공 흡입하여 들어올린다.
이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560) 및 제2 캠(570)의 회전에 따라 제3 레버(540)가 180°회전하여 가장 높은 부분까지 위치하며 포대(1)를 들어올리며, 가장 높은 부분까지 위치한 후엔 진공개폐장치(1300)가 닫혀 진공이 차단된다.
이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의 일측에 위치한 포대투입장치(600)의 진공개폐장치(1300)가 열림에 따라 진공 흡입이 시작되어 포대(1)가 이동된다.
이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560) 및 제2 캠(570)의 회전에 따라 제3 레버(540)가 270°회전하며 진공이 없는 상태로 가장 낮은 부분으로 복귀한다.
이때, 도 5a 내지 5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체적인 각도의 수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작성 및 설명한 것으로, 각도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투입장치(600)는 제1 레버(620) 및 제2 레버(630), 제3 레버(640), 제4 레버(650)의 이동에 따라 진공 흡입된 포대(1)와 함께 45mm 후진한다.
이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투입장치(60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진된 위치에서 진공 흡입된 포대(1)와 함께 135mm 전진하며, 전진이 완료된 후에는 진공개폐장치(1300)가 닫힘에 따라 진공이 중단된다.
이후,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대투입장치(600)의 위치에 다시 위치하면, 진공개폐장치(1300)가 열림에 따라 진공 흡입이 다시 시작된다.
이와 같은 포대상승장치(500)과 포대투입장치(600)의 진동 흡입 및 진공 흡입해제는 진공구동장치(1000)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진공구동장치(1000)의 구동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상기 진공펌프(1700)에서 발생된 진공이 진공필터(1600)을 거쳐 포대상승 기능을 위한 포대상승용진공호스(1210)와 포대투입을 위한 포대투입용진공호스(1220)로 나누어 이동한다.
이렇게 나뉘어 이동된 진공은 포대1매당 1회전하는 진공개폐용캠(1370)이 회전을 하며 원주 모양에 따라 진공개폐피스톤(1340)이 좌우 작동하여 도 12a 및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개폐를 한다.
구체적으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개폐용캠(1370)의 원주 모양에 따라 진공개폐레버(1350)를 통해 진공개폐피스톤(1340)과 피스톤작동압축스프링(1330)을 누름에 따라 진공개폐피스톤(1340)의 진공구멍(1341)과 진공개폐몸체(1310)의 진공구멍(1311)의 위치가 이어지면서 진공개폐장치(1300)가 열림 구조로 되고, 포대상승장치(500)과 포대투입장치(600)로 진공이 이동된다.
이후,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개폐용캠(1370)의 회전으로 상기 진공개폐용캠(1370)의 원주 모양이 바뀌면서, 진공개폐레버(1350)를 통해 진공개폐피스톤(1340)과 피스톤작동압축스프링(1330)을 누름 해제됨에 따라 진공개폐피스톤(1340)의 진공구멍(1341)과 진공개폐몸체(1310)의 진공구멍(1311)의 위치가 엇갈리고, 상기 진공구멍(1311)이 진공개폐피스톤(1340)에 의해 막혀지며 진공개폐장치(1300)가 닫힘 구조로 되고, 포대상승장치(500)과 포대투입장치(600)로 진공의 이동되지 않으면서 진공상태가 해제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개폐장치(1300)가 열릴 경우, 진공은 진공펌프(1700)와 진공필터(1600), 포대상승용진공호스(1210) 및 포대투입용진공호스(1220)을 통해 이동된 진공이 진공개폐장치(1300)을 통과하여 상기 진공개폐장치(1300)의 타측에 연결된 포대상승용진공호스(1210) 및 포대투입용진공호스(1220)에 이동되고, 포대상승장치(500) 및 포대투입장치(600)에 이동된다.
포대투입장치(600)를 통해 제3 이송벨트(230)로 이송된 포대(1)는 포대배출가이드장치(750)을 통해 가이드되고, 낱장으로 공급되는 포대(1)가 들어올 때 열리고 포대(1)가 다 들어오면 닫힘에 따라 포대(1)의 이송 진행을 돕는다.
상기 포대배출가이드장치(750)를 통과한 포대(1)는 상기 포대2장감지장치(800)를 통해 1장이 아닌 2장이 이송될 경우를 감지하며 이송되며, 상기 포대2장감지장치(800)를 통해 2장의 포대(1)들이 감지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에어실린더의 구동을 통해 상기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가 상부로 이동하여 열린다.
배출된 2장의 포대(1)들은 배출포대수거장치(950)의 수거본체(951)에 위치하며 이후 따로 수거된다.
상기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를 통과한 포대(1)들은 포대배출롤러(790)를 통해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된 포대(1)들은 미싱 단계 등을 거쳐 제조되어 이송된 다음, 포대(1)들은 하나씩 공급되어 밀가루와 같은 곡물, 사료 등과 같은 물품을 수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포대 자동 공급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포대
10: 포대자동공급장치
100: 프레임
110: 리프터가이드프레임
120: 보조지지장치가이드프레임
130: 포대상승장치프레임
135: 가이드부
150: 포대기준가이드판
200: 이송벨트
210: 제1 이송벨트
215: 제1 이송벨트모터
217: 제1 이송벨트멈춤센서
220: 제2 이송벨트
225: 제2 이송벨트모터
227: 제2 이송벨트멈춤센서
230: 제3 이송벨트
300: 리프터
310: 리프터본체
311: 리프터본체지지구
320: 가이드부
330: 랙기어
340: 평기어
345: 고정장치
350: 작동축
360: 작동모터
370: 센서
371: 리프터상한점센서
372: 리프터하한점센서
373: 보조지지대전진센서
374: 보조지지대후진센서
400: 보조지지장치
410: 보조지지대
411: 보조지지구
420: 가이드부
430: 에어실린더
500: 포대상승장치
510: 포대상승용진공블록
511: 포대상승용진공노즐
513: 포대상승용진공호스
520: 제1 레버
530: 제2 레버
540: 제3 레버
550: 연결부
560: 제1 캠
570: 제2 캠
580: 벨트
600: 포대투입장치
610: 포대투입용진공블록
611: 포대투입용진공노즐
613: 포대투입용진공호스
620: 제1 레버
630: 제2 레버
640: 제3 레버
650: 제4 레버
651: 결합부
660: 연결레버
670: 연결부
680: 내부캠
681: 홈부
700: 높이위치감지센서
750: 포대배출가이드장치
790: 포대배출롤러
800: 포대2장감지장치
900: 포대2장감지배출장치
950: 배출포대수거장치
951: 수거본체
953: 축부
955: 고정부
1000: 진공구동장치
1100: 진공분배반
1110: 포대상승용진공분배반
1111: 포대상승용니플체결부
1120: 포대투입용진공분배반
1121: 포대투입용니플체결부
1200: 진공호스
1210: 포대상승용진공호스
1220: 포대투입용진공호스
1300: 진공개폐장치
1310: 진공개폐몸체
1311: 진공구멍
1320: 스프링커버
1330: 피스톤작동압축스프링
1340: 진공개폐피스톤
1341: 진공구멍
1350: 진공개폐레버
1351: 레버힌지
1360: 캠플로와 베어링
1370: 진공개폐용캠
1371: 고정볼트
1400: 진공호스니플
1500: 진공필터연결부재
1600: 진공필터
1700: 진공펌프

Claims (10)

  1. 다수의 포대(1)들의 이송을 위해 형성된 프레임(100); 및
    제1 이송벨트모터(215)와 연결된 제1 이송벨트(210)와, 상기 제1 이송벨트(210)과 일직선으로 연결 형성되며 제2 이송벨트모터(225)와 연결된 제2 이송벨트(220), 이송된 포대(1)를 후속 단계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벨트(230)로 구성되며, 다수의 포대(1)들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이송벨트(200);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부(320)와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다수개의 리프터본체지지구(311)를 구비하는 리프터본체(310)와, 상기 리프터본체(310)와 결합된 랙기어(330), 상기 랙기어(330)와 맞물려 형성된 평기어(340), 상기 평기어(340)가 끼움 결합되어 있는 작동축(350), 상기 작동축(350)과 결합된 작동모터(360) 및 센서(370)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벨트(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벨트(200)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포대(1)들을 지지하고 후속 작업을 위한 소정 높이로 승강시키는 리프터(300);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부(420)와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위치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지지구(411), 일측에 결합된 에어실린더(430)를 구비하는 보조지지대(410)로 구성되며, 상기 리프터(3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실린더(430)의 구동으로 수평 이동을 통해 상기 리프터(300)에 의해 승강된 포대(1)들을 승강된 높이에서 지지하는 보조지지장치(400);
    상기 리프터(300)에 의해 승강된 포대(1)들의 높이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리프터(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높이위치감지센서(700);
    상기 보조지지장치(400)에서 지지되는 포대(1)들을 흡착하여 들어올리는 포대상승장치(500);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의 포대(1)를 흡착하여 후속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포대투입장치(600);
    상기 포대투입장치(600)를 통해 이동된 포대(1)들을 후속 작업을 위한 이동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대배출가이드장치(750);
    상기 포대배출가이드장치(750)를 통해 이동된 포대(1)의 장수가 2장인지 감지하는 포대2장감지장치(800);
    상기 포대2장감지장치(800)를 통해 감지된 2장의 포대(1)들을 배출시키는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
    상기 프레임(100)에 연결된 고정부(955)와, 상기 고정부(955)와 축부(953)를 통해 연결되며 상부가 오픈된 단면이 ‘ㄴ’형상으로 형성된 수거본체(951)로 구성되어, 상기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포대수거장치(950);로 구성되고,
    상기 리프터(300)의 센서(370)는 상기 리프터(300)와 보조지지장치(400)의 높이를 감지하는 장치로, 리프터상한점센서(371)와 리프터하한점센서(372), 보조지지대전진센서(373), 보조지지대후진센서(374)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지지장치(400)의 보조지지구(411)는 상기 리프터(300)의 리프터본체지지구(311)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와 포대투입장치(600)는,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의 포대상승용진공호스(513)와 포대투입장치(600)의 포대투입용진공호스(613)와 연결되는 진공분배반(1100)과, 상기 진공분배반(1100)과 연결되어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와 포대투입장치(600)에 진공을 이동시키는 진공호스(1200), 상기 진공호스(1200)와 진공호스니플(1400)을 통해 연결되어 진공을 개폐하는 진공개폐장치(1300), 상기 진공호스(1200)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진공호스니플(1400), 상기 진공호스(1200) 및 진공호스니플(1400)와 후술하는 진공필터(1600)를 서로 연결하는 진공필터연결부재(1500), 상기 진공필터연결부재(1500)와 연결되는 진공필터(1600), 상기 진공필터(1600)와 연결되어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1700)로 구성된 진공구동장치(1000)와 연결되고, 상기 진공구동장치(1000)의 진공펌프(1700) 및 진공개폐장치(1300)의 구동으로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와 포대투입장치(600)의 진공이 개폐되며,
    상기 포대배출가이드장치(750)는 제3 이송벨트(2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포대투입장치(600)를 통해 이송된 포대(1)를 가이드하며, 낱장으로 공급되는 포대(1)가 들어올 때 열리고 포대(1)가 다 들어오면 닫힘에 따라 포대(1)의 이송 진행을 돕고,
    상기 이송벨트(200)를 통해 다수의 포대(1)들이 적층된 상태로 이동되고,
    이동된 다수의 포대(1)들이 리프터(300)를 통해 높이위치감지센서(700)가 감지될 때까지 상부로 이송되고,
    상기 리프터(300)를 통해 이송된 다수의 포대(1)들은 포대상승장치(500)를 통해 하나씩 진공되어 상승되고,
    상승된 1개의 포대(1)는 제1 캠(560) 및 제2 캠(570)의 회전에 따라 제3 레버(540)가 180°회전하여 가장 높은 부분까지 위치하며 들어올려지며 가장 높은 부분까지 위치한 후엔 진공개폐장치(1300)가 닫혀 진공이 해제되고,
    상기 포대상승장치(500)의 진공 해제된 1개의 포대(1)는 포대투입장치(600)에 의해 진공되고,
    포대투입장치(600)의 제1 레버(620) 및 제2 레버(630), 제3 레버(640), 제4 레버(650)의 이동에 따라 진공 흡입된 포대(1)가 후진 및 전진하며, 전진 후에 진공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이송벨트(200) 및 리프터(300), 보조지지장치(400), 포대상승장치(500), 포대투입장치(600)를 통해 흡착된 포대의 저면에 다른 포대가 부착되지 않고 포대를 하나씩 이송하여 후속 단계로 공급하고,
    이후, 상기 포대2장감지장치(800)와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를 통해 포대가 2장으로 겹쳐져 이송되는지 감지하여 이송되는 2장의 포대를 분류 및 배출하고,
    상기 배출포대수거장치(950)가 포대2장감지배출장치(900)를 통해 배출된 2장의 포대(1)들을 수거하고, 상기 수거본체(951)에 다수개의 포대(1)들이 위치하면 축부(953)를 통해 위치 각도가 변경되어 다수개의 포대(1)들을 하부 바닥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자동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상승장치(500)는, 하부에 위치 및 결합하는 포대상승용진공노즐(511)과 일측에 위치 및 결합하는 포대상승용진공호스(513)를 구비하는 포대상승용진공블록(510)과, 연결부(550)을 통해 상기 포대상승용진공블록(510)과 연결된 연결부(555), 상기 연결부(555)와 연결부(550)를 통해 연결된 제1 레버(520), 연결부(550)을 통해 상기 제1 레버(520)와 연결된 제2 레버(530), 연결부(550)를 통해 상기 제2 레버(530)와 연결된 제3 레버(540), 연결부(550)를 통해 상기 제3 레버(540)와 연결된 제2 캠(570), 상기 제2 캠(570)과 벨트(580)로 연결된 제1 캠(560), 다수개의 연결부(550), 제1 캠(560)과 제2 캠(570)을 연결하는 벨트(58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캠(560)의 회전으로 벨트(580)를 통해 연결된 제2 캠(5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레버(520) 및 제2 레버(530), 제3 레버(540)가 상승되었다가 하강되며 포대(1)를 상승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자동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투입장치(600)는, 하부에 위치 및 결합하는 포대투입용진공노즐(611)과 일측에 위치 및 결합하는 포대투입용진공호스(613)를 구비하는 포대투입용진공블록(610)과, 연결부(675)와 연결부(670)를 통해 상기 포대투입용진공블록(610)과 연결된 제1 레버(620), 연결부(670)를 통해 상기 제1 레버(620)와 연결된 제2 레버(630), 상기 제2 레버(630) 및 프레임(100)과 연결된 제3 레버(640), 상기 제3 레버(640)와 연결된 연결레버(660), 상기 연결레버(660) 및 프레임(100)과 연결된 제4 레버(650), 프레임(100)에 결합된 내부캠(680)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대상승장치(500)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 포대(1)들을 제3 이송벨트(230)로 하나씩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자동 공급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174244A 2023-12-05 2023-12-05 포대 자동 공급장치 KR102652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4244A KR102652259B1 (ko) 2023-12-05 2023-12-05 포대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4244A KR102652259B1 (ko) 2023-12-05 2023-12-05 포대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259B1 true KR102652259B1 (ko) 2024-03-28

Family

ID=9048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4244A KR102652259B1 (ko) 2023-12-05 2023-12-05 포대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2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406A (ko) * 2003-11-03 2005-05-09 주식회사 푸른기술 2매검지장치가 구비된 지로용지 자동처리기
KR20110042967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동명기공 포장용 포대 자동 공급장치
KR101185804B1 (ko) 2010-06-24 2012-10-02 대도계기(주) 자동포장기의 포대공급장치
KR102075058B1 (ko) * 2018-09-28 2020-03-03 신용섭 포장용 포대 자동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406A (ko) * 2003-11-03 2005-05-09 주식회사 푸른기술 2매검지장치가 구비된 지로용지 자동처리기
KR20110042967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동명기공 포장용 포대 자동 공급장치
KR101185804B1 (ko) 2010-06-24 2012-10-02 대도계기(주) 자동포장기의 포대공급장치
KR102075058B1 (ko) * 2018-09-28 2020-03-03 신용섭 포장용 포대 자동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880151U (zh) 一种法兰自动加工生产线
CN108381196A (zh) 一种法兰自动加工生产线
KR101445795B1 (ko)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CN104859895B (zh) 吸袋送袋装置
CN105711899B (zh) 一种可防止取多张非覆膜编织袋的取袋设备
KR101185804B1 (ko) 자동포장기의 포대공급장치
CN112249677B (zh) 一种同步上料流水线
CN108341091A (zh) 一种立式立装装箱机及装箱方法
CN108499884A (zh) 扫码后置式物流分拣系统
CN111409904A (zh) 一种包装袋供袋取袋撑袋设备及其方法
CN101288935B (zh) 一种集装箱门端组装台
CN205873326U (zh) 一种具有复合抓取功能的码垛夹具
KR102652259B1 (ko) 포대 자동 공급장치
CN115416892A (zh) 一种无纺布袋自动化打包处理系统
WO2002004293A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couvercles
JPH06127672A (ja) トレイの移送方法とその装置
KR102075058B1 (ko) 포장용 포대 자동공급장치
CN110356619B (zh) 纸包平口袋自动装袋机及其装袋方法
CN111453374A (zh) 一种自动复合线
CN206202805U (zh) 物料堆放装置
CN215625353U (zh) 一种同步上料流水线
CN215200606U (zh) 一种带视觉检测功能的网片自动点焊生产设备
CN115214934A (zh) 一种自动真空包装机
CN210971731U (zh) 地板打包用翻转模块
CN212267966U (zh) 灌装总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