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119B1 -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119B1
KR102652119B1 KR1020220023292A KR20220023292A KR102652119B1 KR 102652119 B1 KR102652119 B1 KR 102652119B1 KR 1020220023292 A KR1020220023292 A KR 1020220023292A KR 20220023292 A KR20220023292 A KR 20220023292A KR 102652119 B1 KR102652119 B1 KR 102652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reusable beverage
reusable
user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6137A (ko
Inventor
배병철
Original Assignee
배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병철 filed Critical 배병철
Priority to KR102022002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119B1/ko
Publication of KR2023012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용기 대신 다회용용기의 사용을 장려할 수 있도록 하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프렌차이즈 본사가 관리하는 운영자 서버; 상기 프렌차이즈 본사와 가맹계약을 맺은 복수의 가맹점 단말; 상기 운영자 서버와 상기 가맹점 단말과 연동되도록 유저앱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사용자가 상기 유저앱을 통해 회원가입을 한 후 상기 가맹점 단말 중 어느 한 곳에서 다회용 음료용기를 소정의 금액으로 구매하고,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에는 고유의 ID가 기록되어 스캔수단을 통해 읽혀질 수 있는 식별수단이 포함됨으로써 상기 사용자 마다 특정한 다회용 음료용기에 대한 소유권정보가 상기 운영자 서버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는 소유권자 본인은 물론 회원으로 가입된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대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A rental system that induces the use of multi-use beverage containers}
본 발명은 일회용 용기 대신 다회용용기의 사용을 장려할 수 있도록 하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일회용 용기의 사용으로 인한 심각한 환경적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각종 규제가 제안 내지 실행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역시 머지 않아 정책적으로 플라스틱 용기의 사용을 규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플라스틱 용기는 무척이나 다양한데, 각종 공산품을 위한 용기는 물론이고 근래에는 커피숍과 같은 곳에서 테이크 아웃으로 각종 음료를 일회용 용기에 담아 판매함에 따라 일회용 용기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커피와 같은 음료 구매시 사용되는 일회용용기를 대체하고자 하는 많은 시도가 있었으며, 그 중 하나는 음료 구매자가 텀블러를 가지고 가 음료를 구매하는 경우 할인을 해주는 정도이다 보니 획기적인 결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테이크아웃으로 판매되는 각종 음료, 음식의 용기 내지 포장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용기를 일회용 용기가 아닌 반복 사용 가능한 것으로 대체한다면 무분별한 플라스틱 용기의 사용을 대폭 감축할 수 있을 것이나, 현실적으로 반복 사용 가능한 용기에 대한 회수 및 관리가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10-2008-0008694
본 발명에서는 환경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다회용용기의 사용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며, 사용자들이 다회용 용기를 구매한 후 위탁방식으로 다수의 가맹점에서 음료 판매시 실제 사용되게 함으로써 다회용 음료용기의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 및 가맹점에게도 경제적 혜택을 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은, 프렌차이즈 본사가 관리하는 운영자 서버; 상기 프렌차이즈 본사와 가맹계약을 맺은 복수의 가맹점 단말; 상기 운영자 서버와 상기 가맹점 단말과 연동되도록 유저앱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사용자가 상기 유저앱을 통해 회원가입을 한 후 상기 가맹점 단말 중 어느 한 곳에서 다회용 음료용기를 소정의 금액으로 구매하고,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에는 고유의 ID가 기록되어 스캔수단을 통해 읽혀질 수 있는 식별수단이 포함됨으로써 상기 사용자 마다 특정한 다회용 음료용기에 대한 소유권정보가 상기 운영자 서버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는 소유권자 본인은 물론 회원으로 가입된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대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가 상기 가맹점 단말을 통해 음료 판매용으로 대여될 때마다 상기 소유권자 및 구매자에게 소정의 포인트가 지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를 상기 가맹점 단말을 통해 구매할 때 결재하는 금액은 보증금으로 남게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금액에 상당하는 구매쿠폰이 발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에는 일반 광고물이나 NFT 광고물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일반 광고물이나 NFT 광고물에는 QR코드가 포함되어 상기 다회용 용기로 음료를 구매한 사용자가 상기 QR코드를 스캔하여 구매처로 접속후 구매가 이루어지면 상기 소유권자 및 대여가 이루어진 상기 가맹점 단말에게 구매 금액에 비례하는 소정의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의 식별수단은 QR코드, 바코드, RF칩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QR코드 및 상기 바코드는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의 외면 일측에 레이저로 식각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가 대여될 때마다 특정 ID를 갖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횟수 데이터를 블록체인화하여 탄소배출권 인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회용 음료용기로 일회용 음료용기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오염 및 자원재활용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회용 음료용기를 구매하여 가맹점을 통해 위탁관리되게 함으로써 해당 다회용 음료용기가 사용될 때마다 소유권자는 물론 가맹점에도 경제적 혜택을 줄 수 있음으로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의한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은 운영자 서버(100), 가맹점 단말(200),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며,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운영자 서버(100)는 프렌차이즈 본사가 관리하게 되며, 운영자 서버(100)에는 다양한 데이터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들이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회원정보 데이타베이스, 다회용 음료용기 사용이력 데이타베이스, 포인트 관리 데이타베이스 등이 구비된다.
가맹점 단말(200)은 프렌차이즈 본사와 가맹계약을 맺은 복수의 가맹점들에 갖추어지는 장치를 의미한다. 가맹점은 프렌차이즈 본사와 가맹계약을 하게 되며, 전국 단위로 가맹점을 구축하여 다회용 음료용기가 전국 어디서든지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의미하며, 소정의 유저앱을 설치하도록 하며, 유저앱을 통해 회원가입을 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회원가입을 하게 되면 회원정보는 운영자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회원가입 후 다수의 가맹점 단말(200) 중 어느 한 곳에서 다회용 음료용기를 소정의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매한 다회용 음료용기에는 고유의 ID가 존재하게 된다. 특정 사용자가 구매한 다회용 음료용기는 해당 사용자에게 소유권이 있게 된다. 사용자가 어느 가맹점 단말을 통해 다회용 음료용기를 구매하면 해당 다회용 음료용기에 부여된 고유의 ID와 사용자의 회원정보는 서로 매칭되면서 운영자 서버로 전송된다.
즉, 특정 ID를 갖는 다회용 음료용기는 특정한 사용자의 소유가 되며, 특정 ID를 갖는 다회용 음료용기가 어느 가맹점에서 음료용기로 소비자에게 판매될 때마다 해당 다회용 음료용기의 소유권을 갖는 특정 사용자에게는 소정의 경제적 혜택이 부여되도록 한다.
가맹점에서 판매되는 다회용 음료용기는 텀블러 형태가 되는 것이 적합하며, 다회용 음료용기의 어느 한 곳에는 스캔수단을 통해 읽혀질 수 있는 식별수단이 포함되도록 한다. 다회용 음료용기에 구비되는 식별수단은 QR코드, 바코드, RF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다회용 음료용기는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세척도 필요하기 때문에 QR코드나 바코드는 다회용 음료용기 표면에 레이저 가공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F칩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회용 음료용기의 바닥면 등에 RF칩 모듈을 내장되게 할 수 있다.
이처럼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가 어느 가맹점 단말(200)을 통해 다회용 음료용기를 구매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해당 사용자정보와 특정 다회용 음료용기는 서로 매칭되어 다회용 음료용기는 운영자 서버(100)에 저장된다.
특정의 다회용 음료용기를 구매한 사용자는 본인이 해당 다회용 음료용기에 본인이 원하는 음료를 담아 음료를 구매할 수 있으며, 또는 다회용 음료용기를 구매후 가맹점에 바로 다회용 음료용기를 위탁하여 다른 회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보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적용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A"가 본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 "가" 라는 가맹점에서 회원으로 가입하게 된다. "A"는 본인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유저앱을 통해 기본적인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하게 되면 운영자 서버에 구비되는 회원정보 데이타베이스에 기록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 "A"는 가맹점 "가"에서 다회용 음료용기를 구매하도록 하는데, 현금이나 카드 결제를 통해 소정 금액으로 책정되는 다회용 음료용기를 구매한다. 예를 들어 "A"는 "가"라는 가맹점에서 다회용 음료용기를 구매하게 되면 해당 다회용 음료용기에 표시된 고유한 ID는 "A"와 매칭된다. "A" 가 구매한 다회용 음료용기의 고유한 ID가 "0001"이라 가정하면, ID "0001"을 갖는 다회용 음료용기는 "A"에게 소유권이 있는 것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 "A"가 가맹점에서 다회용 음료용기를 구매하면서 지불하는 비용은 소진되는 것이 아니며, 보증금으로 잔존하도록 관리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최초 회원가입을 하면서 다회용 음료용기를 소정금액으로 구매하면 소정금액 상당의 음료구입을 위한 쿠폰이나 포인트를 발급해주도록 한다.
사용자 "A"의 소유권으로 지정된 다회용 음료용기 "0001"의 소유권은 "A"에게 있되, "A"의 허락하에 가맹점들을 통해 대여될 수 있도록 위탁운영되도록 한다. "A"는 다회용 음료용기 구매시 이에 대한 동의절차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0001" 아디를 갖는 다회용 음료용기는 소유권자 본인은 물론 다수의 회원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0001" 이라는 아이디를 갖는 다회용 음료용기가 "가"라는 가맹점에서 "B"라는 사용자에 의해 음료구매시 사용되면, "0001"의 소유권자인 "A"에게 포인트 등의 경제적 혜택이 주어진다. 포인트는 운영자 서버의 포인트 관리데이타베이스에 업데이터되며 사용자 "A"의 포인트 점수는 1점 추가되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포인트라는 것은 "A"가 실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로서 차감될 수 있고, 블록체인에 의해 운영되는 가상화폐가 될 수도 있다. 즉, 여기서 말하는 포인트는 공지의 다양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0001" 이라는 다회용 음료용기를 이용하여 음료를 구매한 사용자 "B" 에게도 소정의 포인트가 지급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적극적인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운영자 서버(100)에 구비되는 다회용 음료용기 사용이력 데이타베이스에는 고유의 아이디를 갖는 다회용 음료용기 각각의 사용이력이 저장 관리된다. 즉 "0001" 이라는 아이디를 갖는 "A"의 다회용 음료용기는 사용될 때마다 운영자 서버의 다회용 음료용기 사용이력 데이타베이스에 기록됨으로써 특정 아이디를 갖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회수 등의 정보가 누적 저장 및 관리된다.
특히, 다회용 음료용기 마다의 누적 사용횟수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개별 ID를 갖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횟수 데이터는 블록체인에 의해 생성되어 누적저장되게 하여 탄소배출권 인정을 위한 확실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회용 음료용기를 사용하는 대신에 다회용 음료용기를 사용하는 것 자체가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며, 이는 탄소배출권으로 인정될 수 있는 바 향후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거래 가능한 탄소배출권을 부여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에서는 다회용 음료용기에 일반 광고물 또는 NFT광고물이 삽입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회용 음료용기는 이중 용기구조로 하여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광고물을 삽입하여 다양한 기업들의 홍보나 물품에 대한 홍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자면 음료가 담기는 내부용기를 두고 그 외면을 감싸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외부용기를 두게 되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로 광고물을 삽입하도록 하는데, 광고물은 인쇄물과 같은 것일 수 있다.
광고를 원하는 기업들은 프렌차이즈 본사와의 계약을 통해 소정의 비용을 지불한 후 가맹점을 통해 사용되는 다회용 음료용기에 광고물을 실을 수 있도록 한다.
광고물에는 QR코드 또는 바코드가 포함되게 하여 사용자들이 QR코드를 통해 쇼핑몰에 접속하여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광고물을 통해 접속하여 소정의 물품을 구매하게 되면 해당 구매자에게는 소정의 할인 또는 쿠폰, 포인트 등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NFT광고물인 경우에는 QR코드를 통해 쇼핑몰에 접속하여 해당 물품을 구매할 수도 있으며, NFT 광고물로는 그림과 같은 예술품이 적합하다.
특히 NFT 광고물을 통해 구매자가 소정의 NFT 예술품을 구매하게 되면 구매금액에 비례하여 다회용 음료용기의 소유권자 및 대여가 이루어진 가맹점 단말측으로 소정의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다회용 음료용기에 삽입된 광고물을 통해 어떤 물품을 사용자가 구매하게 되면 해당 다회용 음료용기의 소유권자와 가맹점 단말에게 구매금액의 1% 에 해당되는 금액이 보상되게 하는 것과 같다.
광고물을 통해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먼저 자신이 음료구매시 사용한 다회용 음료용기의 식별코드를 먼저 스캔한 후 연이어 광고물의 QR코드를 스캔함으로써 다회용 음료용기와 광고물의 QR코드간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여 어떤 다회용 음료용기를 통해 광고물의 물품 구매가 이루어졌는지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가 가맹점에서 다회용 음료용기로 음료를 구매한 후 들고 다니면서 음료를 다 마신 후에는 해당 다회용 음료용기를 반납하게 되는데, 다회용 음료용기의 반납은 가맹점들 중 어느 한 곳에서 하거나 길거리에 설치되는 무인반납기(40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다회용 음료용기를 반납하고자 할 때에는 다회용 음료용기에 구비되는 식별수단을 가맹점 또는 무인반납기에 비치되는 스캔수단을 이용하여 고유한 ID가 읽혀지도록 한다. 스캔수단을 통해 다회용 음료용기에 마련되는 식별수단이 읽혀지게 하면 해당 다회용 음료용기의 정보가 운영자 서버로 전송되며, 다회용 음료용기 데이타베이스에 반납되었음이 기록되고, 다회용 음료용기를 반납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포인트가 지급되도록 포인트 관리 데이타베이스에서 정보가 업데이트 된다.
한편, 다회용 음료용기의 빠른 반납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가 다회용 음료용기로 가맹점에서 음료를 구매한 시점부터 24시간내에 해당 다회용 음료용기가 반납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보증금에서 소정금액이 차감되도록 하는 페널티를 부과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렌차이즈 본사에서는 가맹점 및 무인반납기로 반납된 다회용 음료용기를 수거 및 세척하는 부서 또는 자회사를 두어서 반납된 다회용 음료용기를 깨끗하게 세척한 후 다시 가맹점들에게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가맹점들에서는 프렌차이즈 본사로부터 공급받은 다회용 음료용기가 소진되어 가면 필요한 양만큼의 다회용 음료용기를 프렌차이즈 본사에 배송하여줄 것을 요청하게 되며, 이런 배송요청에 따라 프렌차이즈 본사에서는 각 가맹점에서 요청한 수량만큼의 다회용 음료용기를 공급하게 된다.
가맹점에서 프렌차이즈 본사로 다회용 음료용기의 공급을 요청할 때에는 책정된 금액을 결재토록한다. 즉, 가맹점에서 결재하게 되는 비용은 요청하는 다회용 음료용기 수량에 단위공급가격을 곱한 금액이 된다.
예를들어, "가" 라는 가맹점에서 프렌차이즈 본사로 다회용 음료용기 공급을 요청하면서 다회용 음료용기 100개를 요청한다고 가정한다. 프렌차이즈 본사가 가맹점으로 공급하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단위공급가격이 100원이라 하면, "가" 가맹점에서 지불해야 하는 금액은 10000원이 된다.
가맹점들과 프렌차이즈 본사간의 원활한 다회용 음료용기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운영자 서버에는 다회용 음료용기 주문 데이타베이스가 구비되게 하고, 각 가맹점으로 요청한 수량의 다회용 음료용기를 공급할 때에는 각각의 다회용 음료용기의 식별수단을 스캔수단으로 읽혀지게 한 후 공급함으로써 어떤 ID를 갖는 다회용 음료용기가 어떤 가맹점으로 공급되었는지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포인트는 프렌차이즈 본사에서 제공하는 것뿐 아니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정책적으로 다회용 음료용기의 활성화를 위해 지급되는 보조금일 수도 있다. 즉, 국가 정책상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은 탄소배출을 감소시키는 실질적인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에 대한 장려 및 보상책으로서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자 등에게 보상으로 지급되는 포인트는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횟수가 조작 불가능한 형태의 데이타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탄소배출권과 같은 형태의 보조금이 지급되게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은 일상 생활에서 실질적으로 일회용 음료용기를 대체하여 수거 및 세척하여 재사용하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위한 기반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100 : 운영자 서버
200 : 가맹점 단말
300 : 사용자 단말
400 : 무인 반납기

Claims (6)

  1. 프렌차이즈 본사가 관리하는 운영자 서버;
    상기 프렌차이즈 본사와 가맹계약을 맺은 복수의 가맹점 단말;
    상기 운영자 서버와 상기 가맹점 단말과 연동되도록 유저앱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사용자가 상기 유저앱을 통해 회원가입을 한 후 상기 가맹점 단말 중 어느 한 곳에서 다회용 음료용기를 소정의 금액으로 구매하고,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에는 고유의 ID가 기록되어 스캔수단을 통해 읽혀질 수 있는 식별수단이 포함됨으로써 상기 사용자 마다 특정한 다회용 음료용기에 대한 소유권정보가 상기 운영자 서버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는 소유권자 본인은 물론 회원으로 가입된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대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가 상기 가맹점 단말을 통해 음료 판매용으로 대여될 때마다 상기 소유권자 및 구매자에게 소정의 포인트가 지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를 상기 가맹점 단말을 통해 구매할 때 결재하는 금액은 보증금으로 남게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금액에 상당하는 구매쿠폰이 발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에는 일반 광고물이나 NFT 광고물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일반 광고물이나 NFT 광고물에는 QR코드가 포함되어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로 음료를 구매한 사용자가 상기 QR코드를 스캔하여 구매처로 접속후 구매가 이루어지면 상기 소유권자 및 대여가 이루어진 상기 가맹점 단말에게 구매 금액에 비례하는 소정의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의 식별수단은 QR코드, 바코드, RF칩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QR코드 및 상기 바코드는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의 외면 일측에 레이저로 식각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회용 음료용기가 대여될 때마다 특정 ID를 갖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횟수 데이터를 블록체인화하여 탄소배출권 인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
KR1020220023292A 2022-02-22 2022-02-22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 KR102652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292A KR102652119B1 (ko) 2022-02-22 2022-02-22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292A KR102652119B1 (ko) 2022-02-22 2022-02-22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137A KR20230126137A (ko) 2023-08-29
KR102652119B1 true KR102652119B1 (ko) 2024-03-27

Family

ID=8780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292A KR102652119B1 (ko) 2022-02-22 2022-02-22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1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840B1 (ko) * 2020-07-17 2020-10-29 김한빛 사용자 인식을 통한 자원절약형 음료판매 시스템
KR102175891B1 (ko) * 2019-07-15 2020-11-06 장성균 블록체인을 이용한 1회용품 대체 사물의 사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1회용품 대체 사물의 사용에 적용되는 블록체인 포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694A (ko) 2006-07-21 2008-01-24 정태훈 재활용 용기의 회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5804B1 (ko) * 2010-07-30 2012-07-13 (주)아트아크앤도어웍스 큐알코드를 매개로 소비자의 사용용품을 광고매체화하여 큐알코드 노출자와 인식자가 광고수익을 얻는 방법
KR20190009529A (ko) * 2017-07-19 2019-01-29 황병하 C2c 렌탈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1965A (ko) * 2019-04-17 2020-10-27 이수민 텀블러 공유 시스템
KR20200105635A (ko) * 2020-04-27 2020-09-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재사용 가능한 컵 사용에 대한 보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891B1 (ko) * 2019-07-15 2020-11-06 장성균 블록체인을 이용한 1회용품 대체 사물의 사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1회용품 대체 사물의 사용에 적용되는 블록체인 포스 시스템
KR102171840B1 (ko) * 2020-07-17 2020-10-29 김한빛 사용자 인식을 통한 자원절약형 음료판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137A (ko)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99055A1 (en) Method of procuring and vending fuel at a discounted price
JP2006511888A (ja) クレジットカード処理のインフラを使用してクーポン割引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00006670A (ko) 인터넷 전자상거래에서 공동구매 방법
US20030036950A1 (en) Discount purchase business method
CN102265316A (zh) 交易装置
EP12246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use of ancillary service facilities
CN105096114A (zh) 基于特定条码实现商品快速交易的方法
KR2000005828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쇼핑몰 프렌차이즈 방법 및 그 광고 수단
WO2011137521A1 (en) Warranty retention system
US20030046154A1 (en) Coupon marketing system
US20060247969A1 (en) Marketing system and method
KR20110038470A (ko)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품확인방법
CN102436627A (zh) 一种营销模式、为此营销模式服务的电子商务经营模式及其商务系统
KR102652119B1 (ko) 다회용 음료용기의 사용을 유도하는 대여 시스템
CN110969508A (zh) 一种线上线下商业购物促销系统
US20030036957A1 (en) Internet related discount coupon rebate business method
KR20010079149A (ko) 웹상에서의 바코드 태그의 인쇄 관리방법 및 액세서리바코드태그를 이용한 고객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0298698A (zh) 一种线上应用服务平台
KR20060121928A (ko) 소매 마케팅 방법
US20210264401A1 (en) Ownership of a marked item outside a shop
KR102597103B1 (ko) 텀블러 공유사용 활성화 시스템
KR20230082114A (ko) 다회용용기의 활성화를 위한 선순환 시스템
JP6322458B2 (ja) 小売店が発行しているポイントカードを利用して広告を見た顧客について広告関連実店舗での買物行動を追跡するアフィリエイト広告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
ITMI20000575A1 (it) Procedimento e sistema automatizzato per la commercializzazione-vendita incrociata di prodotti e servizi venduti in localita' differenti
KR100531500B1 (ko) 복권 판매 시스템 및 복권 판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