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470A -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품확인방법 - Google Patents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품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470A
KR20110038470A KR1020090095770A KR20090095770A KR20110038470A KR 20110038470 A KR20110038470 A KR 20110038470A KR 1020090095770 A KR1020090095770 A KR 1020090095770A KR 20090095770 A KR20090095770 A KR 20090095770A KR 20110038470 A KR20110038470 A KR 20110038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terminal
distribution inform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
Original Assignee
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석 filed Critical 오석
Priority to KR1020090095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8470A/ko
Publication of KR2011003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스키와 같은 주류나 골프채, 보석 등과 같은 고가의 상품에 고유식별번호를 가지는 RFID 태그를 부착하고, 도매상 단말기나 소매상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의 유통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한편 소매상 단말기나 통상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의 진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상품의 유통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상품의 불법유통을 막고 가짜 상품의 거래를 억제할 수 있으며 탈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Figure P1020090095770
주류, 유통, 진품, 동글, RFID 태그.

Description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품확인방법{PRODUCT DISTRIBUTION-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GENUINE ARTICL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위스키와 같은 주류나 골프채, 보석 등과 같은 고가의 상품에 고유식별번호를 가지는 RFID 태그를 부착하고, 도매상 단말기나 소매상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의 유통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한편 소매상 단말기나 통상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의 진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상품의 유통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상품의 불법유통을 막고 가짜 상품의 거래를 억제할 수 있으며 탈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스키, 보드카 등과 같은 고급 양주나 골프채, 보석, 가방, 시계 등과 같은 명품 상품의 가짜 또는 위조 상품이 끊이지 않고 시장에 유통하고 있다. 이는 명품 브랜드를 선망하는 소비자들의 소비심리를 이용하려는 악덕 상술이 맞물렸기 때문이다.
특히 가짜 양주의 경우 공업용 메탄올이나 색소를 섞어 제조하기 때문에 소 비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가 있으며 위조 상품을 불법유통시킴으로써 탈세를 조장하는 문제점도 있다.
최근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와 소비자의 건강을 위해서 위조 상품의 불법유통을 강력히 단속하고 있으나, 당국의 단속으로는 위조상품의 유통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위조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가 육안으로는 가짜 상품을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제조업체가 각종 과학적 기술을 접목하여 상품의 진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위조방지방치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진품의 라벨을 DNA 잉크로 만들어 판별 용액을 묻혀서 도색의 변화로 진품 여부를 확인하게 하고 라벨을 떼어내면 이 같은 기능이 파손되도록 하여 재사용할 수 없게 함으로써 위조 상품이 유통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판별기능을 구비한 주류 매장이나 대형 마트 및 상점에서는 위조 주류의 판매가 어렵게 되었지만 이러한 매장이 아닌 주점 또는 주류판매 음식점에서는 양주 주문시 정품 인증판별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위조방지 시스템이 있더라도, 이를 이해하는 소비자, 특히 주점, 또는 주류를 판매하는 음식점에서 주류를 직접 마시는 소비자가 정작 위조된 주류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 쉽게 이해하지 못하여 위조된 주류를 판별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가짜 양주 및 주류 부정유통을 막고 단속시스템의 효율화를 통해 행정력을 절감하며 RFID 기반으로 위스키 등과 같은 고가 상품의 유통 이력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류 등과 같은 상품의 유통에 RFID 도입을 통한 관련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진품확인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며 유통정보 포털시스템의 고도화를 이루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하고 적용범위 확대 및 이용실태분석을 통한 시스템 도입성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품의 구입 시뿐만 아니라 상품을 구입한 후에도 상품의 진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가짜 상품의 유통을 막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은, 인터넷망이나 전용선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조업체 단말기, 도매상 단말기, 소매상 단말기, 유통정보 관리서버, 결제서버, 국세청 관리서버로 이루어진 상품 유통정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조업체 단말기는, 상품의 출고 시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유식별번호를 읽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제조업체, 제조장소, 출고일자에 대한 상품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결제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에 대한 비용결제 시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번호, 구매자, 판매일시, 판매가격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국세청 관리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도매상 단말기는, 상품이 입고되거나 출고될 때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유식별번호를 읽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입고일자, 출고일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결제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에 대한 비용결제 시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번호, 구매자, 판매일시, 판매가격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국세청 관리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소매상 단말기는,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의 진품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에 대한 비용결제 시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번호, 구매자, 판매일시, 판매가격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국세청 관리서버에 제공하며, 해당 상품에 대한 고유식별번호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결제 영수증에 출력하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제조업체 단말기, 도매상 단말기 및 소매상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품의 유통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소매상 단말기나 소비자로부터 진품 여부에 대한 확인요청이 있을 시 해당 상품의 이력을 검색하여 진품 여부를 판별해 주며, 상기 제조업체 단말기, 도매상 단말기 및 국세청 관리서버에서 상품의 유통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을 시 이를 제공하고,
상기 국세청 관리서버는,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상품의 유통정보와, 상기 결제서버에서 제공하는 상품의 고유식별번호와 판매가격을 근거로 상기 제조업체, 도매상, 소매상에게 부가할 세금을 적정하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조업체 단말기, 도매상 단말기 및 소매상 단말기는,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을 수 있는 고정형 또는 휴대용 RFID 리더와, 상기 결제서버와 연결되어 비용결제를 수행하는 카드결제단말기 또는 주류카드결제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매상 단말기는, 카드결제단말기와 상기 카드결제단말기에 유무선으로 접속되어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을 수 있는 진품확인단말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품확인단말기는, 특정 상품의 RFID를 읽어와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해당 상품의 진품 여부의 판별을 요청한 후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카드결제단말기를 통해 진품확인영수증을 발행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진품확인단말기는, RFID 태그를 읽어낼 수 있는 RFID 리더, 카드결제단말기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부, 상기 카드결제단말기와 RFID 태그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진행상태를 표시하는 LED와, 비용결제를 위한 전자 서명기(또는 터치 스크린), 진품 여부의 확인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는, 소비자가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의 휴대전화 진품 확인시스템에 특정 상품의 RFID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입력하여 해당 상품의 진품 여부의 판별을 요청했을 시 이를 확인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는, RFID 태그 관리나 각종 상품의 이력관리, 거래정보 관리, 통계관리, 단속 관리 및 사용자 관리 등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제조업체나 도매상, 소매상 및 소비자의 요청이 있을 시 제조업체나 도매상, 소매상 및 소비자에게 부여된 권한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는, 각종 상품의 유통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제조업체나 도매상, 소매상의 요청이 있을 시 해당 상품에 대한 프로모션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인터넷망이나 전용선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조업체 단말기, 도매상 단말기, 소매상 단말기, 유통정보 관리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조업체 단말기는 상품의 출고 시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유식별번호를 읽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유통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도매상 단말기는 상품이 입고되거나 출고될 때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유식별번호를 읽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유통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소매상 단말기는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의 진품 여부를 확인하는 상품 유통정보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의 진품 여부를 확인하는 진품확인방법에 있어서,
최종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을 상기 소매상 단말기에 연결된 진품확인단말기에 근접시켜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유식별번호를 읽고 상기 진품확인단말기와 전속된 카드결제단말기를 통해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유통정 보 관리서버에서 해당 상품의 진위 여부를 문의하면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가 상품의 유통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상품의 진품 여부를 확인한 다음 그 결과를 상기 카드결제단말기를 통해 상기 진품확인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최종 소비자가가 결제서버에 접속하는 해당 상품에 대한 비용결제 시 카드영수증에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번호와 진위 여부를 프린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진품확인정보를 상기 카드결제단말기를 통해서 진품확인표 형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진품확인정보는 상기 카드결제단말기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구매자의 휴대전화에 단문 메시지 형식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 영수증, 진품확인표 및 휴대전화에 표시된 상품의 고유식별번호를 근거로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의 휴대전화 진품확인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이 구매한 상품의 진품 여부를 사후에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류 유통에 RFID 도입을 통한 관련산업 활성화 즉, 국내 제조위스키에 RFID 전면 도입으로 수입 위스키와 차별화함으로써 국내 제조 유도하여 일자리 창출 및 관련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고, 위스키 연간 제조량 약 2,400 만병(2007년 출고량 12,150리터) 및 수입위스키 중 희망업체에 대한 RFID태그 수요를 창출함으로써 RFID 관련 시장규모를 확보할 수 있으며, 가짜 양주 제조 방지를 위한 태그 파기기술의 개발을 유도함으로써 RFID 기술의 육성 및 대외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품 확인 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관심고조 즉, 생활수준 및 참살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식품에 대한 안심 소비환경의 기대수준을 증대시킬 수 있고, 물류정보 이력 관리뿐만 아니라 제품정보 확인수단으로서 RFID 기술의 효용성이 입증되면서 의약품, 유제품 및 소고기 등의 진품 확인서비스까지 확산할 수 있으며, 2008년 시범사업을 통해 고가 위스키의 진품서비스를 적극 홍보하여 가짜 양주 근절에 대한 국세청 등의 관련기관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통정보 포털시스템의 고도화 즉, 효율적인 유통이력 추적관리를 위해 시스템 목적에 부합하는 통계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분석기능의 강화로 단순업무의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고, 부정유통 혐의 이력 및 내부 서버의 매출액 정보를 기반으로 한 부정업체 추출기능 및 통계정보의 가시화 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국세청 등과 같은 관련기관의 내부 시스템과의 시스템 코드 통일 및 세적서버와의 연계를 통해 기준정보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인증서 기반의 보안서버 구축 및 관리자 어플리케이션, D/B 내부시스템화를 통해 시스템 전반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사용자의 편의성 강화 즉, 국세청 등과 같은 관련기관 관리자 포털기능을 내부시스템으로 이관하여 국세청 등과 같은 관련기관 사용자의 이용 편의증대로 사용자를 확대할 수 있고, RFID 인식성능을 보강하여 도매업체 담당자의 업무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병 태그 부착과정을 자동화하여 제조업 체의 업무부담을 줄여줄 수 있으며, 진품확인서비스를 모든 이동통신사로 확대하고 운용프로그램을 개선하여 소비자의 이용 편의증대를 통한 시스템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주류, 보석, 의류, 골프채 등과 같은 값비싼 상품의 거래내용 및 진품 여부를 확인해 주고, 소비자나 소매상, 도매상 등에 각종 상품의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상품 중 주류를 중심으로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은, 크게 제조업체 단말기(11), 도매상 단말기(12), 소매상 단말기(13), 유통정보 관리서버(14), 주류카드 결제서버(18), 은행이나 카드사의 결제서버(41), 국세청 관리서버(42)로, 이들 단말기들과 서버들은 인터넷망이나 전용선 또는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제조업체 단말기(11)는 RFID 태그 발생기(19), 고정형 리더기(20)와 이들과 연결된 RFID 태그 발급용 컴퓨터로 이루어진다. 제조업체 단말기(11)는 술병이나 병뚜껑, 술 상자 등에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유식별번호를 읽고, 상기 유통 정보 관리서버(14)에 접속하여 제조업체, 제조장소, 제조일시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상기 제조업체 단말기(11)는 주류카드 결제서버(18)나 은행이나 카드사의 결제서버(41)에 접속하여 상품에 대한 비용결제 시 해당 상품 판매정보를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와 국세청 관리서버(42)에 제공한다. 상기 상품 판매정보에는 출고가격과 출고일자 그리고 구매자의 내역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매상 단말기(12)는 휴대형 또는 고정형 리더기와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이다. 도매상 단말기(12)는 제조업체로부터 배송되어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에 접속하여 입고 및 출고 이력을 등록한다. 또한, 상기 도매상 단말기(12)는 주류구매카드를 이용하여 주류카드 결제서버(18)에 접속하여 상품에 대한 비용결제 시 해당 상품의 판매정보를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와 국세청 관리서버(42)에 제공한다. 상기 판매정보에는 판매가격과 판매일자 그리고 구매자의 내역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매상 단말기(13)는 휴대형 리더기(16)(17)에 연결된 카드결제단말기(31)로 이루어진다. 소매상 단말기(13)는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에 접속하여 도매상으로부터 구입한 양주의 진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각종 은행이나 카드사의 결제서버(41)에 접속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금액을 결제할 때, 카드결제 영수증에 해당 제품의 고유식별번호와 진품 여부를 표시하여 주고, 판매정보를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와 국세청 관리서버(42)에 제공한다. 상기 판매정보에는 판매가격과 판매일자 그리고 구매자의 내역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는 상기 제조업체 단말기(11), 도매상 단말기(12) 및 소매상 단말기(13)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상품의 유통정보를 수집하여 제조업체나 도매상과 국세청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소매상 단말기(13)에서 진품 여부에 대한 확인요청이 있을 시 해당 제품의 이력을 검색하여 진품 여부를 판별해 준다.
상기 주류카드 결제서버(18)는 도매업자가 주류를 판매할 때 사용하는 전용 결제서버이다. 즉, 주류카드는 주류 구매시 사용되는 일종의 직불카드로서, 주류업자와 도매업자가 이 카드의 가맹점이 되고, 소매업자는 카드 이용자가 된다. 따라서 이용자가 주류를 구매할 때 주류카드 전용 단말기로 결제하면 이용자의 계좌에서 판매자의 계좌로 대금이 곧바로 이체된다. 결제계좌는 가맹점과 계약을 체결한 은행에서 개설하면 된다. 따라서 무자료거래나 외상거래를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세금포탈 등의 불법행위를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류카드 결제서버(18)는 은행이나 카드사의 결제서버(41)의 특수한 형태이므로 주류를 제외한 일반 상품의 경우 은행이나 카드사의 결제서버(41)가 기능을 대신한다.
상기 은행이나 카드사의 결제서버(41)는 일반 소비자가 각종 상품을 구입할 때 사용하는 통상의 결제서버로서 통상적으로 소매상이 사용하는 카드결제단말기(31)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카드결제단말기(31)에는 소매상의 휴대형 리더기(16)(17)와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국세청 관리서버(42)는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로부터 제공되는 상품의 유통정보와, 상기 주류카드 결제서버(18) 및 은행이나 카드사의 결제서버(41) 에서 제공하는 판매정보를 수집하여 부과한 세금을 산정한다.
또한,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는 도매상, 소매상 및 소비자가 동의할 경우 자사의 제품을 이용하는 도매상, 소매상 및 소비자에 관한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여, 각종 이벤트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유통정보 관리시스템은, 해당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에 해당 상품이 공장에서 출고될 때부터 최종 사용자에게 판매될 때까지의 모든 유통정보를 유통정보 관리서버(14)에 등록, 저장함으로써 도매상, 소매상 및 소비자가 해당 상품의 진품 여부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상품의 유통정보와 비용 결제 시 결제 내용을 국세청 관리서버(42)에 저장, 등록함으로써 세금징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세금 포탈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매상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매상 단말기(13)는 크게 카드결제단말기(CAT단말기 또는 신용카드결제단말기)(31)와, 상기 카드결제단말기(31)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진품확인단말기(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는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고유식별번호를 식별하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에 접속하여 상품의 고유식별번호를 근거로 상품의 진품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답재된 동글(dongle)로 이루어진다. 또한, 진품확인단말기(30)는 비용결제를 위한 전자 서명기의 기능이 부가될 수도 있다.
상기 카드결제단말기(31)는 통상의 신용카드결제단말기로서,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가지는 마이크로칩, 신용카드에 자기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신용카드 사용자 정보를 읽어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카드리더, 물품 내지 서비스 금액 및 가맹점의 아이디(ID)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상기 마이크로칩의 명령에 따라 영수증 또는 매출전표를 인쇄출력하는 프린터, 사용자 개인정보 및 사용내용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마이크로칩과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액정패널, 신용카드사와 같은 외부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로 이루어지고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는 상기 카드결제단말기(31)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통신 모듈이 구비된다. 또한,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고유식별번호를 읽을 수 있는 리더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는 상기 카드결제단말기(31)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읽어들인 고유식별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진품확인단말기(30)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진행표시 LED(25)와, 각종 기능을 선택하거나 결제를 위한 서명을 하는 전자 서명기(29)과, 진품 여부의 확인 결과나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7) 및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는 비용 결제시 내부에 RFID 태그로부터 RFID를 읽어와 유통정보 관리서버(14)나 국세청 관리서버(42)에 제공하고 소비자의 요청시 해당 상품의 진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되며 은행 또는 카 드사의 결제서버(41)에 실시간으로 접속되어 각종 상품의 비용결제를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는 종래의 카드결제단말기(31)와 분리된 별도의 제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카드결제단말기 내부에 내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진품확인단말기(30)는 각종 상품을 판매하는 가게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카드결제단말기(31)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카드결제단말기(31)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초기 투자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상기 카드결제단말기(31)는 은행이나 카드사의 결제서버(41)와 접속하여 통상의 카드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에서 제공하는 상품의 고유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에 접속하여 상품유통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은행이나 카드사의 결제서버(41)에 상품의 고유식별번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드결제단말기(31)는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에서 진품 여부의 판별을 요청한 후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카드결제단말기(31)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드결제단말기(31)는 상품의 고유식별번호와 진품 여부를 확인하는 문자가 표시된 진품확인표를 발행하거나 비용결제시 카드결제 영수증에 상품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쇄해 준다. 상기 진품확인표나 카드결제 영수증은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상품을 구매하기 전에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를 통해서 진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비용결제시 다시 진품 여부를 재차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드결제 영수증에 인쇄된 상품의 고유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사 후에 자신이 구매한 상품의 진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유통정보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의 진품 여부를 판단하는 진품확인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진품확인은 최종 소비자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소매상 단말기를 이용한 진품확인방법 및 최종 소비자가 휴대전화를 이용한 사후적으로 진품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따라서 도매상과 소매상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으로 자신이 구매한 상품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품확인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을 진품확인단말기(30)에 근접시켜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유식별번호를 읽으면,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는 카드결제단말기(31)를 통해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에 접속하여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에 해당 상품의 진위 여부를 문의한다. 그러면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는 저장하고 있는 상품유통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상품의 진품 여부를 확인한 다음 그 결과를 상기 카드결제단말기(31)를 통해 진품확인단말기(30)에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는 디스플레이(27)에 진품 여부를 나타내는 문자와 상품의 고유식별번호를 표시된다. 따라서 구매자는 상기 디스플레이(27)에 표시된 문자를 보고 진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품 구매자가 진품 여부를 확인한 진품확인표를 요청하면,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는 상기 카드결제단말기(31)에 진품확인표의 출력을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카드결제단말기(31)는 프린터를 이용하여 상품의 고유식별번호가 표시된 진품확인표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에 프린터가 내장된 경우에 는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에서 바로 프린트할 수 있다.
또한, 상품 구매자가 자신의 휴대전화로 구매한 상품의 고유식별번호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하면,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는 상기 카드결제단말기(31)를 통해서 이동통신사의 단문메시지 서버에 접속하여, 구매자의 휴대전화로 단문메시지 형태로 상품의 고유식별번호와 진위여부를 제공한다.
한편, 상품 구매자가 상품의 구매와 동시에 은행이나 카드사의 결제서버(41)에 접속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면, 은행이나 카드사의 결제서버(41)는 결제내용을 국세청 관리서버(42)에 제공하고, 상기 진품확인단말기(30)는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에 접속하여 상품거래내용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카드결제단말기(31)는 카드결제 영수증을 발행할 때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쇄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는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된 상품에 대해서는 더 이상 진품확인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거나, 진품확인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는 국세청이나 은행, 카드사 등과 연계하여, 유통정보 관리서버(14)의 유통정보와 국세청의 세적정보와 그리고 은행이나 카드사의 결제정보를 서로 연계하여 관리함으로써 제조업체나 도매상, 소매상 및 소비자 등의 불법 탈세를 원천 봉쇄할 수 있다.
한편, 구매자는 상품을 구매한 후 일정 시간 내에 자신이 구입한 상품의 진위 여부를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즉,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사정으로 진품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던 구매자가 사후적으로 자신 이 구매한 상품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매상 등이 소비자에게 진품을 확인시킨 다음 가짜 상품으로 바꿔치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에는 휴대전화 진품확인시스템(24)이 구비된다. 이 휴대전화 진품 확인시스템(24)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비자가 휴대전화(15)를 이용하여 유통정보 관리서버(14)의 휴대전화 진품 확인시스템(24)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휴대폰이나 카드영수증에 기재된 상품의 고유식별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상품의 진품 여부의 판별을 요청하는 경우, 그 결과를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는 각종 이동통신사의 서버와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된다. 이때, 소비자가 진품여부를 확인한 결과, 가짜 상품으로 밝혀지면,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는 그 사실을 국세청 관리서버(42)로 전송하여 국세청 담당자에게 단속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14)에는 국세청 휴대용 리더시스템(22)이 더 구비된다. 상기 국세청 휴대용 리더시스템(2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짜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도매점이나 소매점의 리스트가 저장된다. 따라서 국세청 직원은 국세청 휴대용 리더시스템(22)을 통해서 단속 대상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국세청 휴대용 리더시스템(22)은 국세청 직원들이 보유하고 불법 유통을 관리할 때 사용하는 휴대용 리더(16)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진품 여부 확인이나 유통경로 조사 등과 같은 유통조사정보나, 진품 여부 확인 등과 같은 진품조사정보, 주류 등과 같은 상품의 조사결과확인서 등록 전송에 따른 결과등록정보 및 통신방식설정이나 사용자 등록, 비밀번호 등록 등과 같은 환경설정정보 등 을 관리한다. 여기서, 국세청 휴대용 리더시스템(22)에는 국세청 직원이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용 리더(16)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상품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또한, 유통정보 관리서버(14)에는 유통정보 포탈시스템(21)이 구비되어 있는대, 이 유통정보 포탈시스템(2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업체나 도매상, 소매상 및 소비자의 자료 요청시 각각의 권한에 따라 RFID 태그 관리와 상품의 이력관리, 거래정보 관리, 진품정보 관리, 통계관리, 사용자 관리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즉, 제조업체나 도매상, 소매상 및 소비자 기타 유통정보를 필요로 하는 자는 유통정보 관리서버(14)에 회원가입 및 등록하여 특정 권한을 부여받고 이를 근거로 유통정보 관리서버(14)의 각 시스템(21)(22)(23)(24)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휴대전화(15)나 소매상의 도매상 단말기(12) 즉, 진품확인단말기 이용하여 특정 상품의 진품 여부의 판별을 요청하거나 비용을 결제하면서 특정 상품의 진품 여부의 판별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권한을 부여받지 않은 소비자에게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 유통정보 관리서버(14)는 위에서 언급한 상품의 유통정보와 함께 각종 상품에 대한 프로모션 정보를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소정의 권한을 가진 제조업체나 도매상, 소매상 및 소비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제조업체나 도매상, 소매상 그리고 소비자는 이를 상품을 매매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유통정보 관리서버(14)에는 도매상 주류구매 결제 단말시스템(23)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도매상 주류구매 결제 단말시스템(2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별 판매 등록이나 주류판매 계산서 발행, 주류판매 계산서 결제 등과 같 은 영업관리나 상품별 판매현황집계나 공병회수 집계/발행, 주류카드 결제/발행, 소매상별 입금리스트 등과 같은 집계발행, 소매상 주류카드 잔액이나 이전판매 미수금액 등과 같은 금융조회, 주류판매 계산서 양식이나 계산방식, 단말기 신규승인, 단말기 재승인 등과 같은 환경설정, 상품자료 송수신 및 업데이트 등을 위한 정보 및 자료를 관리 및 제공한다.
즉, 도매상은 유통정보 관리서버(14)의 도매상 주류구매 결제 단말시스템(23)으로부터 각종 상품을 거래하기 위한 각종 서류나 거래 내용 등과 같은 각종 양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상품의 유통과정과 판매정보를 관리함으로써 가짜 상품이나 불법거래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구매 선택 시와 결제 시 뿐만 아니라 구매후에도 사후적으로 진위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품 유통질서를 확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상품 유통정보 관리시스템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소매상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개시된 유통정보 관리서버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제조업체 단말기 12: 도매상 단말기
13: 소매상 단말기 14: 유통정보 관리서버
15: 휴대전화 16, 17: 휴대용 리더
18: 주류카드 결제서버 19: RFID 태그 발행키
20: 고정형 리더기 21: 유통정보 포탈시스템
22: 국세청 휴대형 리더시스템 23: 주류구매 결제 단말시스템
24: 휴대전화 진품 확인시스템 25: LED
27: 터치 스크린 30: 진품확인단말기
31: 카드결제단말기 41: 은행이나 카드사의 결제서버
42: 국세청 관리서버

Claims (12)

  1. 인터넷망이나 전용선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조업체 단말기, 도매상 단말기, 소매상 단말기, 유통정보 관리서버, 결제서버, 국세청 관리서버로 이루어진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조업체 단말기는, 상품의 출고 시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유식별번호를 읽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제조업체, 제조장소, 출고일자에 대한 상품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결제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에 대한 비용결제 시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번호, 구매자, 판매일시, 판매가격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국세청 관리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도매상 단말기는, 상품이 입고되거나 출고될 때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유식별번호를 읽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입고일자, 출고일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결제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에 대한 비용결제 시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번호, 구매자, 판매일시, 판매가격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국세청 관리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소매상 단말기는,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의 진품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에 대한 비용결제 시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번호, 구매자, 판매일시, 판매가격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국세청 관리서버에 제공하며, 해당 상품에 대한 고유식별번호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결제 영수증에 출력하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제조업체 단말기, 도매상 단말기 및 소매상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품의 유통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소매상 단말기나 소비자로부터 진품 여부에 대한 확인요청이 있을 시 해당 상품의 이력을 검색하여 진품 여부를 판별해 주며, 상기 제조업체 단말기, 도매상 단말기 및 국세청 관리서버에서 상품의 유통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을 시 이를 제공하고,
    상기 국세청 관리서버는,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상품의 유통정보와, 상기 결제서버에서 제공하는 상품의 고유식별번호와 판매가격을 근거로 상기 제조업체, 도매상, 소매상에게 부가할 세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업체 단말기, 도매상 단말기 및 소매상 단말기는,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을 수 있는 고정형 또는 휴대용 RFID 리더와, 상기 결제서버와 연결되어 비용결제를 수행하는 카드결제단말기 또는 주류카드결제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상 단말기는, 카드결제단말기와 상기 카드결제단말기에 유무선으로 접속되어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을 수 있는 진품확인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품확인단말기는, 특정 상품의 RFID를 읽어와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해당 상품의 진품 여부의 판별을 요청한 후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카드결제단말기를 통해 진품확인표 및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번호가 표시된 카드결제 영수증을 발행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품확인단말기는, RFID 태그를 읽어낼 수 있는 RFID 리더, 카드결제단말기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부, 상기 카드결제단말기와 RFID 태그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진행상태를 표시하는 LED와, 비용결제를 위한 터치 스크린, 진품 여부의 확인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는, 소비자가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의 휴대전화 진품 확인시스템에 특정 상품의 RFID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입력하여 해당 상품의 진품 여부의 판별을 요청했을 시 이를 확인하여 소비자의 휴대 전화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는, RFID 태그 관리나 각종 상품의 이력관리, 거래정보 관리, 통계관리, 단속 관리 및 사용자 관리 등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제조업체나 도매상, 소매상 및 소비자의 요청이 있을 시 제조업체나 도매상, 소매상 및 소비자에게 부여된 권한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는, 각종 상품의 유통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제조업체나 도매상, 소매상의 요청이 있을 시 해당 상품에 대한 프로모션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9. 인터넷망이나 전용선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조업체 단말기, 도매상 단말기, 소매상 단말기, 유통정보 관리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조업체 단말기는 상품의 출고 시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유식별번호를 읽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유통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도매상 단말기는 상품이 입고되거나 출고될 때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유식별번호를 읽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유통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소매상 단말기는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고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의 진품 여부를 확인하는 상품 유통정보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진품확인방법에 있어서,
    최종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을 상기 소매상 단말기에 연결된 진품확인단말기에 근접시켜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유식별번호를 읽고 상기 진품확인단말기와 전속된 카드결제단말기를 통해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서 해당 상품의 진위 여부를 문의하면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가 해당 상품의 유통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상품의 진품 여부를 확인한 다음 그 결과를 상기 카드결제단말기를 통해 상기 진품확인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최종 소비자가가 결제서버에 접속하는 해당 상품에 대한 비용결제 시 카드영수증에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번호와 진위 여부를 프린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품확인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진품확인정보를 상기 카드결제단말기를 통해서 진품확인표 형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품확인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진품확인정보는 상기 카드결제단말기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구매자의 휴대전화에 단문 메시지 형식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품확인방법.
  12.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영수증, 진품확인표 및 휴대전화에 표시된 상품의 고유식별번호를 근거로 상기 유통정보 관리서버의 휴대전화 진품확인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이 구매한 상품의 진품 여부를 사후에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품확인방법.
KR1020090095770A 2009-10-08 2009-10-08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품확인방법 KR20110038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770A KR20110038470A (ko) 2009-10-08 2009-10-08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품확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770A KR20110038470A (ko) 2009-10-08 2009-10-08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품확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470A true KR20110038470A (ko) 2011-04-14

Family

ID=4404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770A KR20110038470A (ko) 2009-10-08 2009-10-08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품확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847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109A3 (ko) * 2011-10-10 2013-07-04 (주)제이브이엠 오토박스 관리 시스템
KR101322484B1 (ko) * 2011-11-22 2013-11-25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Epc 글로벌 네트워크에서의 개별 제품의 비정상 유통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051224A1 (ko) * 2012-09-28 2014-04-03 한미아이티주식회사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력 관리방법
WO2014078400A1 (en) * 2012-11-13 2014-05-22 Tracelink, Inc. Digitally secured electronic titles for products in supply chains
KR101476430B1 (ko) * 2013-06-12 2014-12-24 자바무선기술(주) 주류관리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9260A (ko) 2017-08-17 2019-02-27 최고운 상품 보안 시스템
KR102334353B1 (ko) * 2021-05-21 2021-12-01 김서곤 고가 악세사리의 포장 및 입출고를 위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109A3 (ko) * 2011-10-10 2013-07-04 (주)제이브이엠 오토박스 관리 시스템
KR101322484B1 (ko) * 2011-11-22 2013-11-25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Epc 글로벌 네트워크에서의 개별 제품의 비정상 유통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051224A1 (ko) * 2012-09-28 2014-04-03 한미아이티주식회사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력 관리방법
WO2014078400A1 (en) * 2012-11-13 2014-05-22 Tracelink, Inc. Digitally secured electronic titles for products in supply chains
KR20150084946A (ko) * 2012-11-13 2015-07-22 트레이스링크, 인코퍼레이티드 공급 사슬들에서 제품들에 관해 디지털 방식으로 보안된 전자 타이틀들
JP2015537472A (ja) * 2012-11-13 2015-12-24 トレースリン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サプライ・チェーン製品用のデジタル的に保護された電子タイトル
US9922329B2 (en) 2012-11-13 2018-03-20 Tracelink, Inc. Digitally secured electronic titles for products in supply chains
KR101476430B1 (ko) * 2013-06-12 2014-12-24 자바무선기술(주) 주류관리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9260A (ko) 2017-08-17 2019-02-27 최고운 상품 보안 시스템
KR102334353B1 (ko) * 2021-05-21 2021-12-01 김서곤 고가 악세사리의 포장 및 입출고를 위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5664B2 (en)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US20150032581A1 (en) Use of e-receipts to determine total cost of ownership
US201000575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urchase transactions between a customer and a merchant
KR20110038470A (ko)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품확인방법
WO2006121541A1 (en) Automated rebate system and method
JP2017058745A (ja) 免税処理システム、管理サーバ及び精算装置
US20150032642A1 (en) Use of an e-receipt to verify ownership and service of a product
KR101351352B1 (ko) 위품방지를 위한 판매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69535A (ko) 외국인 쇼핑객을 위한 세금 환급 시스템과 장치 및 운영방법
US201501937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Associated With Sale of a Product
JP4222859B2 (ja) マーケティング情報収集システム
KR20190043108A (ko) 와인 온라인거래 시스템
KR101551148B1 (ko) 결제 이력 관리 방법 및 그의 시스템
JP2009535685A (ja) 新コンセプトカード及び該カードを利用する購入者に基づく販売システムと方法
KR20180026899A (ko) 온라인 사후 면세점의 세금 즉시 환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36303A (ko) 전용 단말기를 이용한 지역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16500867A (ja) 原産地の証明
JPH11175622A (ja) 電子決済システム及び電子決済処理装置
KR20060121928A (ko) 소매 마케팅 방법
JP2014067176A (ja) 精算システム
KR20080044459A (ko) 신용카드 식별정보가 저장된 알에프아이디 이용권을 이용한신용카드 결제시스템 및 방법
JP7357117B2 (ja) 免税処理システム及び精算装置
KR20070011963A (ko) 해외에서 이용 가능한 상품권 관리 시스템과 그에 따른방법과, 상품권 관리서버 및 기록매체
JP4854220B2 (ja) 景品流通正当性判別システムおよび景品流通正当性判別方法
JP2023177090A (ja) 利用券決済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