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869B1 -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의 자동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의 자동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869B1
KR102651869B1 KR1020230144897A KR20230144897A KR102651869B1 KR 102651869 B1 KR102651869 B1 KR 102651869B1 KR 1020230144897 A KR1020230144897 A KR 1020230144897A KR 20230144897 A KR20230144897 A KR 20230144897A KR 102651869 B1 KR102651869 B1 KR 102651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packaging pack
parcel
main body
in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민규
Original Assignee
안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민규 filed Critical 안민규
Priority to KR102023014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4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internal pressure
    • B65B43/3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internal pressure applied pneu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65B5/067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i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05Safety-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65B61/02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for applying, e.g. print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1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tearing along perforations or lines of wea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배물을 비닐의 포장팩에 자동으로 포장하는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구가 개방된 포장팩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포장부재;
상기 포장부재가 내부에 마련되고, 전면에는 포장팩이 배출되는 포장팩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포장팩의 입구를 열압착하여 상기 포장팩을 밀봉하는 열압착수단을 갖는 본체;
택배물의 송장으로부터 해당 택배물의 택배정보를 판독하는 제1 스캔수단;
상기 택배물의 택배정보가 포함된 송장를 출력하고, 본체의 포장팩 토출구로 포장팩이 배출되기 전, 출력된 송장를 포장팩에 부착하는 송장제공수단; 및
상기 열압착수단, 제1 스캔수단 및 송장제공수단으로부터 택배정보를 제공받고, 제1 스캔수단과 송장제공수단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택배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택배정보에 해당하는 송장가 부착된 포장팩을 본체의 포장팩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고, 열압착수단에 작동신호를 송출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의 자동 포장방법{Automatic packaging device for parcel delivery and packaging method for parcel delivery using it}
본 발명은 택배물을 비닐 포장팩으로 빠르게 포장할 수 있는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전면으로 비닐 포장팩이 자동으로 공급되고, 포장팩에 택배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열압착에 의해 포장팩의 입구가 밀봉된 후 포장부재에서 분리되는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의 증가로 택배용 포장박스를 이용한 배송이 널이 활용되고 있으나, 택배용 포장박스의 낭비로 인하여 박스를 대신할 수 있는 택배용 비닐포장이 관심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택배용 박스포장은 박스를 접는 과정 및 테이프로 박스를 밀봉하는 과정 등을 거치게 되는데, 비닐포장에 비하여 더 많은 작업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박스포장을 대신하여 비닐포장으로 대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품을 비닐에 포장하여 배송을 하기 위해서는 비닐 내부에 제품을 투입하는 과정, 비닐을 밀봉하는 과정 및 비닐 외부에 배송정보를 갖는 운송장을 접착하는 과정 등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비닐포장에 상품을 수납하는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인건비의 부담은 물론, 작업 시간도 늘어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1599호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택배물을 포장할 수 있는 비닐 재질의 포장팩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상기 포장팩에 택배물이 수용된 후, 포장팩의 개방된 입구가 자동으로 밀봉되며, 이후 상기 포장팩이 릴 형태의 포장부재(20)에서 자동으로 분리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이 현저히 줄어 들고, 인건비와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작업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는, 입구가 개방된 포장팩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포장부재;
상기 포장부재가 내부에 마련되고, 전면에는 포장팩이 배출되는 포장팩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포장팩 토출구에서 배출된 포장팩의 입구를 열압착하여 상기 포장팩을 밀봉하는 열압착수단이 마련되는 본체;
택배물의 송장으로부터 해당 택배물의 택배정보를 판독하는 제1 스캔수단;
상기 택배물의 택배정보가 포함된 송장를 출력하고, 출력된 송장를 본체의 포장팩 토출구로 배출되기 전의 포장팩에 부착하는 송장제공수단; 및
상기 제1 스캔수단 및 송장제공수단으로부터 택배정보를 제공받고, 제1 스캔수단과 송장제공수단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택배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택배정보에 해당하는 송장가 부착된 포장팩을 본체의 포장팩 토출구로 배출되게 하고, 열압착수단에 작동신호를 송출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압착수단은, 본체의 좌,우측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에서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메인서버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이동하여 포장팩 토출구로 배출된 포장팩의 입구를 열압착에 의해 밀봉하는 압착바; 및
메인서버와 신호연결되고, 누름작동에 의해 상기 압착바가 메인서버의 작동신호에 따라 본체의 전면으로 이동하게 하는 작동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팩 사이에 형성되는 절취부;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가로홈; 및
압착바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로홈에 삽입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팩은, 상기 열압착수단의 압착바에 의해 입구가 밀봉될 때, 상기 가로홈으로 삽입되는 가압돌기에 의해 상부가 가로홈으로 밀려 들어가고, 가압돌기에 의한 하방 압력에 의해 상기 절취부가 절단되어 포장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는, 택배물을 포장할 수 있는 비닐 재질의 포장팩이 본체의 전면에 자동으로 공급되고, 택배물을 해당 포장팩에 빠르게 담을 수 있으며, 택배물이 포장팩에 담겨진 후에는 열압착수단에 의해 해당 포장팩이 자동으로 밀봉되고, 포장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단프라박스까지 컨베어수단을 타고 빠르게 이동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한명의 작업자가 대량의 택배물 포장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어 인건비 및 택배물 포장에 따른 작업시간를 절약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택배물의 송장에 담긴 택배정보와 포장팩에 부착된 송장의 택배정보가 일치할 경우에만 해당 포장팩이 본체의 전면으로 배출되며, 이로 인해 택배물이 해당 포장팩이 아닌 다른 택배정보를 갖는 송장가 붙은 포장팩에 포장되는 오류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압착수단의 작동 시, 작업자의 손 또는 임의 물체가 열압착바의 전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물체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함으로써, 압착바의 작동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를 이용하여 택배물이 자동으로 포장되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를 이용하여 택배물이 자동으로 포장되는 단계별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는, 입구가 개방된 포장팩(21)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포장부재(20); 상기 포장부재(20)가 내부에 마련되고, 전면에는 포장팩(21)이 배출되는 포장팩 토출구(101)가 형성되며, 포장팩 토출구(101)에서 배출된 포장팩(21)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택배물(1)이 포장팩(21)의 내부로 투입된 후, 상기 포장팩(21)의 입구를 열압착하여 상기 포장팩(21)을 밀봉하는 열압착수단(110)을 갖는 본체(100); 택배물(1)의 송장(2)으로부터 해당 택배물(1)의 택배정보를 취득하는 제1 스캔수단(210); 상기 택배물(1)의 택배정보가 포함된 송장(310)을 출력하고, 본체(100)의 포장팩 토출구(101)로 포장팩(21)이 배출되기 전, 출력된 송장(310)을 포장팩(21)에 부착하는 송장제공수단(300); 및 상기 열압착수단(110), 제1 스캔수단(210) 및 송장제공수단(300)과 신호연결되고, 제1 스캔수단(210)에서 입력되는 택배정보와 송장제공수단(30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택배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택배정보를 갖는 송장(310)이 부착된 포장팩(21)을 본체(100)의 포장팩 토출구(101)를 통해 배출되게 하며, 열압착수단(110)에 작동신호를 송출하는 메인서버(10); 및 제1 스캔수단(210)의 택배정보와 송장제공수단(300)의 택배정보를 표시하고, 메인서버(10)에 의한 택배정보의 일치여부 판단결과를 표시하는 모니터(5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압착수단(110)은, 본체(100)의 좌,우측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프레임(111);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의 내측에서 가이드프레임(11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메인서버(10)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전면으로 이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며, 포장팩(21)의 입구를 열압착에 의해 밀봉하는 압착바(112); 및 메인서버(10)와 신호연결되고,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압착바(112)가 메인서버(10)의 작동신호에 따라 본체(100)의 전면으로 이동하게 하는 작동버튼(113);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팩(21) 사이에 형성되는 절취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가로홈(103); 및 압착바(112)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가로홈(103)에 삽입되는 가압돌기(112a);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팩(21)은, 상기 열압착수단(110)의 압착바(112)에 의해 입구가 밀봉될 때, 상기 가로홈(103)으로 삽입되는 가압돌기(112a)에 의해 상부가 가로홈(103)으로 밀려 들어가고, 가압돌기(112a)에 의한 하방 압력에 의해 상기 절취부가 절단되어 포장부재(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되고, 메인서버(10)와 신호연결되며, 택배물(1)의 택배정보가 인쇄된 작업지시서(3)를 스캔하여 상기 택배정보를 메인서버(10)에 제공하는 제2 스캔수단(22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서버(10)는 제2 스캔수단(22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와 제1 스캔수단(21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비교, 판단하며, 상기 택배정보의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모니터(500)에 표시하고, 상기 택배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택배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포장팩(21)이 본체(100)의 포장팩 토출구(101)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10)는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고, 바람을 생성하여 온도를 낮추는 열기순환팬(11)이 구비되며, 본체(100)의 전면에는 포장팩 토출구(101)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기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포장팩 토출구(101)로 배출되는 포장팩(21)의 입구가 상기 통기공(102)을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열기순환팬(11)의 바람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하우징 형태로, 내부에는 릴 형태로 감겨진 포장부재(20)와, 상기 포장부재(20)를 회전시켜 보장팩이 풀리도록 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서버(10)가 마련되고, 전면에는 포장팩(21)이 배출되는 포장팩 토출구(101)와, 포장팩(2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면서 포장팩(21)의 입구를 벌려 팽팽하게 펴치는 지지수단(104), 및 소정 길이의 가로홈(103)이 형성되며, 상기 포장팩 토출구(101)의 상측에는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통기공(10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에는 포장팩(21)의 입구를 열압착에 의해 밀봉한 후 해당 포장팩(21)을 포장부재(20)에서 절단하여 분리시키는 열압착수단(110)이 형성된다.
상기 포장부재(20)는 비닐 또는 폴리팩과 같은 합성수지의 단위 포장팩이 연속적으로 다수 연결되어서 릴 형태로 감겨진 것으로, 상부의 입구가 개방되고, 단위 포장팩(21) 사이에는 포장팩(21)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취선으로 이루어진 절취부가 형성되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어서 포장팩(21)이 풀리거나, 컨베어수단과 같은 이동수단에 포장팩(21)이 펼쳐져 컨베어수단을 타고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포장부재(20)는 바람직하게는 구동모터의 축에 롤 형태로 감겨져 마련될 수 있고,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축의 회전에 의해 풀리면서 일단부의 단위 포장팩(21) 하나가 본체(100)의 포장팩 토출구(101)를 통해 본체(100) 전면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는 후술할 메인서버(10)의 작동신호에 따라 단위 포장팩(21)이 포장팩 토출구(101)로 하나씩 배출되도록 축을 일정 반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부재(20)는 롤러의 상부에 안착되어 롤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포장팩(21)이 풀리도록 구현할 수 있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포장팩 토출구(101) 전, 포장팩(21)이 쉽게 배출되게 하는 회전롤러 또는 회전봉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포장팩 토출구(101)로 배출된 포장팩(21)의 입구를 열압착 또는 열융착시켜 밀봉하고, 상기 포장부재(20)로부터 포장팩(21)을 분리시키는 열압착수단(110)이 마련된다.
상기 열압착수단(110)은, 본체(100)의 좌,우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프레임(111);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의 내측에서 가이드프레임(11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메인서버(10)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전면으로 이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며, 본체(100)의 전면으로 이동하여 포장팩 토출구(101)로 배출된 포장팩(21)의 입구를 열압착에 의해 밀봉한 후 해당 포장팩(21)을 포장부재(20)에서 분리시키는 압착바(112); 및 메인서버(10)와 신호연결되고,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압착바(112)가 메인서버(10)의 작동신호에 따라 본체(100)의 전면으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작동버튼(113);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은 본체(100)의 좌,우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측이 빈 "ㄷ"자 형태로 형성되거나 레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선단부 좌측과 우측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가이드프레임(111) 사이에는 가이드프레임(111)을 따라 본체(100)의 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압착바(112)가 마련된다.
상기 압착바(112)는 가이드프레임(111) 사이에서, 가이드프레임(111)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레일 또는 롤러 등의 이동수단에 의해 가이드프레임(11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후술할 메인서버(10)의 작동신호에 의해 본체(100)의 전방으로 이격된 가이드프레임(111)의 선단부에서 본체(100)의 전면으로 이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압착바(112)는 본체(100)의 전면을 향하는 일면에는 발열부와 가압돌기(112a)가 형성된다.
작동버튼(113)의 누름에 따라, 메인서버(10)에서 열압착수단(110)으로 작동신호가 전송되고, 메인서버(10)의 작동신호에 따라 압착바(112)가 가이드프레임(111)을 따라 본체(100)의 전면으로 이동하며, 상기 압착바(112)가 포장팩 토출구(101)를 통해 본체(100)의 전면으로 배출된 포장팩(21)의 입구를 열압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 밀봉한다. 그리고 압착바(112)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압돌기(112a)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가로홈(103)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포장팩(21)의 상부가 가압돌기(112a)와 함께 가로홈(103)으로 삽입되고, 이로 인해 밀봉된 포장팩(21)의 상단부가 하방으로 잡아당겨져 포장팩(21) 상단부의 절취부가 절단되어 밀봉된 상기 포장팩(21)이 포장부재(20)에서 분리되고 바닥으로 떨어진다.
본 발명은, 포장팩(21) 사이에 절취선으로 이루어지는 절취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가로홈(103); 및 압착바(112)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가로홈(103)에 삽입되는 가압돌기(112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팩(21)은, 상기 열압착수단(110)의 압착바(112)에 의해 입구가 밀봉될 때, 상부가 가압돌기(112a)와 함께 가로홈(103)으로 밀려 들어가고, 가압돌기(112a)에 의한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절취부가 절단되어 포장부재(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택배물(1)이 포장팩(21)에 투입된 후, 열압착수단(110)에 의해 포장팩(21)의 개방된 입구가 자동으로 밀봉되고, 가압돌기(112a)와 가로홈(103)에 의해 해당 포장팩(21)이 포장부재(20)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본체(100)의 전면에서, 포장팩 토출구(101)로 배출된 포장팩(21)의 좌,우 외측에 배치되고, 일단부가 회전에 의해 포장팩 토출구(101)로 배출된 포장팩(21)의 입구로 삽입되어 포장팩(21)이 흔들리지거나 접히지 않도록 지지하며, 포장팩(21)의 입구를 좌,우측으로 잡아당겨 팽팽하게 펼치는 지지수단(104);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수단(104)은 "L"자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100) 전면에서 포장팩(21)의 좌,우 외측에 배치되며, 포장팩(21)이 포장팩 토출구(101)를 통해 배출된 후 또는 열압착수단(110)의 작동에 따라 압착바(112)가 본체(100)의 전면으로 이동할 때, 일단부가 상기 포장팩(21) 방향으로 회전하여 포장팩(21)의 입구로 삽입되고, 포장팩(21)의 입구를 좌,우방향으로 잡아당겨 포장팩(21)의 입구와 상단부가 팽팽하게 펼쳐지게 하거나 입구를 지지하여 접히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포장팩 토출구(101)를 통해 본체(100)의 전면으로 배출된 포장팩(21)의 상부가 상기 지지수단(104)에 의해 팽팽하게 펼쳐지고, 이로 인해 열압착수단(110)에 의해 포장팩(21)의 입구가 밀봉될 때 구겨지거나 접힘 없이 깔끔하게 밀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프레임(111)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압착바(112)와 본체(10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작업자의 손 또는 임의의 물체가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며, 감지신호를 메인서버(10)에 제공하는 물체감지센서(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10)는 상기 물체감지센서(400)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열압착수단(110)의 압착바(112)가 작동하지 않도록 열압착수단(110)으로 작동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즉, 압착바(112)가 이동하기 전, 압착바(112)의 이동구간으로 작업자의 손 또는 물체 등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물체감지센서(400)을 구비함으로써, 발열부를 갖는 압착바(112)의 이동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압착바(112)에 물체가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 또는 소정의 압력이 전달되는 것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접촉감지센서 또는 압력감지센서는 메인서버(10)와 신호연결되며, 압착바(112)가 이동 중 작업자 또는 임의의 물체가 압착바(112)에 접촉하거나 압착바(112)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센서에 의해 압착바(112)의 작동이 멈추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택배물(1)의 송장(2)으로부터 해당 택배물(1)의 택배정보를 취득하는 제1 스캔수단(210); 및 택배물(1)의 택배정보가 포함된 송장(310)을 출력하고, 출력된 송장(310)을 본체(100)의 포장팩 토출구(101)로 포장팩(21)이 배출되기 전, 상기 포장팩(21)에 부착하는 송장제공수단(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열압착수단(110), 제1 스캔수단(210) 및 송장제공수단(300)과 신호연결되고, 제1 스캔수단(210)에서 입력되는 택배정보와 송장제공수단(30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비교 및 판단하며, 상기 택배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택배정보를 갖는 송장(310)이 부착된 포장팩(21)을 본체(100)의 포장팩 토출구(101)를 통해 배출되게 하며, 열압착수단(110)에 작동신호를 송출하는 메인서버(10); 및 제1 스캔수단(210)의 택배정보와 송장제공수단(300)의 택배정보를 표시하고, 메인서버(10)에 의한 택배정보의 일치여부 판단결과를 표시하는 모니터(500);를 포함한다.
상기 택배정보는 운송장번호와, 구매자의 이름, 주소 및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구매자정보와, 판매자의 업체명, 주소 및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판매자정보 및 구매 물품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택배물(1)의 송장(2,310)에 숫자, 바코드, QR코드 또는 이미지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스캔수단(210)은, 상기 바코드, QR코드 또는 이미지 형태를 빛을 이용하여 스캔하여 택배정보를 판독하는 것으로, 바코드 스캐너, 광스캐너, 적외선 스캐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인서버(10)는, 본체(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고, 본체(100)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쿠팡, 네이버쇼핑, G마켓, SSG와 같은 쇼핑몰 플렛폼의 판매자 서버와 연동될 수 있으며, 상기 판매자 서버로부터 고객이 구매한 상품의 택배정보(또는 송장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포장할 택배물(1)과 상기 택배물(1)에 대한 택배정보를 포함하는 송장(2)을 작업자가 본체(100)로 가져와 제1 스캔수단(210)으로 스캔하고, 택배물(1)의 택배정보가 메인서버(10)로 제공된다. 또한, 포장부재(20) 중 상기 택배물(1)을 포장할 순서의 포장팩(21)에는 송장제공수단(300)에서 출력된 택배정보를 갖는 송장(310)이 부착되며, 송장제공수단(300)에서 출력되는 송장(310)의 택배정보는 메인서버(10)로 제공된다. 상기 택배물의 송장(1)과 송장제공수단(300)에서 출력되는 송장(310)은 해당 택배물(1)의 동일한 택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10)는 제1 스캔수단(21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와 송장제공수단(30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택배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택배정보에 대응하는 송장(310)이 부착된 해당 포장팩(21)을 포장팩 토출구(101)를 통해 배출되게 한다.
사기 메인서버(10)는 제1 스캔수단(210)과 송장제공수단(300)에서 제공되는 2개의 택배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할 때, 택배정보에 포함되는 송장번호, 주문번호, 고객명, 고객의 전화번호, 상품명 및 배송주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비교하여 간단히 일치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서버(10)는, 제1 스캔수단(21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와 송장제공수단(30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를 모니터(500)에 출력할 수 있고,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모니터에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일예로, 2개의 택배정보가 일치할 경우, 모니터(500)에 녹색을 표시할 수 있고, 불일치할 경우, 빨간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되고, 메인서버(10)와 신호연결되며, 택배물(1)의 택배정보가 포함된 작업지시서(3)를 스캔하여 상기 택배정보를 메인서버(10)에 제공하는 제2 스캔수단(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10)는 제2 스캔수단(22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와 제1 스캔수단(21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비교 및 판단하고, 상기 택배정보의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모니터(500)에 표시하며, 상기 택배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택배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포장팩(21)이 본체(100)의 포장팩 토출구(101)로 배출되도록 구동모터를 구동시킬 것이다.
상기 작업지시서(3)는 택배물(1)의 포장업체 또는 택배물(1) 운송업체에서 작업을 위해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쇼핑몰에서 제공되는 택배물(1)의 송장(2)과 동일한 택배정보가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은, 택배물(1)의 송장(2)에서 제1 스캔수단(210)을 통해 얻어지는 택배정보와, 작업지시서(3)를 제2 스캔수단(220)으로 스캔하여 얻어지는 택배정보 및 송장제공수단(30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가 메인서버(10)에 제공되고, 상기 메인서버(10)는 3개의 택배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모니터(500) 및/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고, 3개의 택배정보가 일치할 경우에만 상기 택배정보에 해당하는 송장(310)이 부착된 포장팩(21)을 포장팩 토출구(101)를 통해 본체(100) 전면에 배출하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제2 스캔수단(220)에 의해 판독된 작업지시서(3)의 택배정보를 표시하는 별도의 모니터(20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서버(10)는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고, 바람을 생성하여 온도를 낮추는 열기순환팬(11)(또는 냉각팬)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서, 포장팩 토출구(101)의 상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기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102)을 통해 열기순환팬(11)의 바람이 본체(100) 전면으로 배기되며, 포장팩 토출구(101)를 통해 본체(100)의 전면으로 배출된 포장팩(21)은 상기 통기공(102)을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기되는 열기순환팬(11)의 바람에 의해 입구가 쉽게 벌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정전기로 달라붙어 비닐 포장팩(21)이 쉽게 벌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택배물(1)을 포장팩(21)에 투입하는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열기순환팬(11)의 바람은 통기공(102)까지 호스 또는 배관 등을 통해 이동할 수 있을 것이고, 본체(100) 내부의 열이 통기공(10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0)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가이드프레임(111)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택배물(1)이 안착될 수 있고, 일측부에는 열압착수단(110)의 작동버튼(113) 및/또는 제1 스캔수단(210)이 배치되는 작업대(120);을 포함한다.
즉, 작업대(120) 위에 택배물(1)을 안착시키고, 작업대(120)에 안착된 택배물(1)의 송장(2)을 제1 스캔수단(210)으로 쉽고 안전하게 스캔할 수 있으며, 제1 스캔수단(210)의 스캔 후에는 제1 스캔수단(210)을 작업대(120)에 내려 놓고, 작동버튼(113)을 누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0)의 전면 일측에 배치되고, 메인서버(10)와 신호연결되며, 제1 스캔수단(210)에 의해 택배물(1)의 송장(2)이 스캔될 때, 작업자와 택배물(1) 및 택배물(1)이 포장팩(21)에 포장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메인서버(10)에 제공하는 카메라모듈(6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10)는 카메라모듈(600)로부터 제공된 영상과 영상의 촬영시간을 택배물(1)의 고객 단말기에 문자 또는 알림톡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600)이 촬영한 영상은 메인서버(10)에 녹화된 후 고객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실시간으로 고객에게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0)의 전방 바닥면과 본체(100)의 일측면에 택배물(1)을 이동시키는 컨베어수단(700)이 마련되고, 특히 본체(10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컨베어수단(700)은 본체(100)의 후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상향식 컨베어수단(700)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전면에서 열압착수단(110)에 의해 밀봉 및 절단된 택배물(1)이 수용된 포장팩(21)은 바닥면의 컨베어수단(700)을 타고 일측으로 이동 한 후, 본체(100)의 측면에서 상향으로 이동하는 상향식 컨베어수단(700)을 타고 상승하며, 이로 인해 택배물(1)이 담긴 포장팩(21)이 작업자의 허리 높이로 상승하여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단프라박스 등에 쉽게 담겨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를 이용한 택배물의 자동 포장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S-100) 작업자가 택배물(1)과, 택배정보가 포함된 상기 택배물(1)의 송장(2)을 준비하는 단계;
택배물(1)과 상기 택배물(1)의 송장(2)을 작업대(120)에 운송장(2) 순번으로 준비하고, 상기 송장(2)은 택배물(1)에 부착되거나 택배물(1)에 부착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S-200) 작업지시서(3)를 작업지시서 받침대(221)에 올려놓는 단계;
택배물(1)과 함께 작업지시서(3)를 준비하고, 준비된 작업지시서(3)를 작업지시서 받침대(221)에 올려 놓는다.
상기 작업지시서 받침대(221)는 본체(100)의 전면 일측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스캔수단(220)은 작업지시서 받침대(2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지시서(3)가 받침대(221) 위에 올려지면, 제2 스캔수단(220)에 의해 작업지시서(3)의 택배정보가 자동으로 판독되고, 상기 택배정보가 메인서버(10)에 제공된다.
S-300) 작업대(120)에 올려진 택배물(1)의 송장(2)을 제1 스캔수단(210)으로 스캔하고, 제2 스캔수단(220)이 작업지시서(3)를 스캔하며, 제1 스캔수단(210)에 의해 판독된 택배정보와 제2 스캔수단(220)에 의해 판독된 택배정보가 메인서버(10)로 전송되는 단계;
S-400) 송장제공수단(300)에서 운송장 순번으로 택배정보가 포함된 송장(310)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송장의 택배정보를 메인서버(10)에 제공하며, 출력된 송장(310)을 포장팩 토출구(101)로 배출되기 전, 단위 포장팩(21)에 부착하는 단계;
S-500) 메인서버(10)에서 제1 스캔수단(210), 제2 스캔수단(220) 및 송장제공수단(30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며,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모니터(500)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스캔수단(210), 제2 스캔수단(220) 및 송장제공수단(300)의 택배정보는 모니터(500)에 각각 표시될 수 있고, 택배정보에 대한 메인서버(10)의 비교 값 또는 택배정보의 일치여부 판단 값을 모니터(50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모니터(500)를 통해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메인서버(10)는 상기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는 모니터(500)를 확인하지 않고도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통해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600) 택배정보의 일치 시, 메인서버(10)의 작동신호에 의해 구동모터가 작동하고, 구동모터의 축 회전에 의해 포장부재(20)가 회전하여서 상기 택배정보에 해당하는 송장(310)이 부착된 포장팩(21)이 본체(100)의 포장팩 토출구(101)를 통해 본체(100) 전면으로 배출되는 단계;
S-700) 포장팩(21)이 본체(100) 전면으로 배출되면, 상기 포장팩(21)에 대응하는 택배물(1)을 상기 포장팩(21)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포장팩(21) 내부로 투입하는 단계;
포장팩(21)이 포장팩 토출구(101)를 통해 본체(100) 전면으로 배출되면, 포장팩(21)의 입구가 본체(100) 통기공(102)을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열기순환팬(11)의 바람에 의해 벌어지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택배물(1)을 포장팩(21)에 쉽게 담을 수 있게 된다.
S-800) 열압착수단(110)의 작동버튼(113)을 누르고, 이에 따라 열압착수단(110)의 압착바(112)가 본체(100)의 전면으로 이동하여 포장팩(21)의 입구를 열압착에 의해 밀봉하는 단계;
포장팩(21)에 택배물(1)을 담은 후, 열압착수단(110)의 작동버튼(113)을 누르면, 메인서버(10)의 작동신호에 따라 압착바(112)가 본체(100)의 전면으로 이동하고, 물체감지센서(400)가 작동하며, 지지수단(104)이 회전하여 포장팩(21)의 입구가 지지수단(104)에 의해 팽팽하게 펴진다. 그리고 압착바(112)가 포장팩(21)의 입구를 열압착 또는 열융착하여 밀봉한다.
S-900) 압착바(112)에 의해 포장팩(21)이 밀봉될 때, 압착바(112)의 가압돌기(112a)가 포장팩(21)의 상부와 함께 본체(100) 전면의 가로홈(103)에 삽입되고, 밀봉된 포장팩(21)이 포장부재(20)에서 분리되는 단계;
압착바(112)에 의해 포장팩(21)의 입구가 밀봉되면서 압착바(112)의 가압돌기(112a)가 포장팩(21)의 상부와 함께 가로홈(103)에 삽입되는데, 이때 포장팩(21)의 상단부가 가압돌기(112a)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져 포장팩(21)과 포장팩(21)을 연결하는 절취부가 끊어져 밀봉된 포장팩(21)이 포장부재(20)에서 쉽게 분리되어 바닥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포장부재(20)에 분리된 밀봉된 포장팩(21)은 바닥면에 구비되는 컨베어수단(700)으로 떨어지고, 상기 컨베어수단(700)에 의해 본체(100) 일측면방향으로 이동한 후, 본체(100)의 일측면에서 본체(100)의 후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향식 컨베어수단(700)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택배물(1)이 본체(100)의 전면으로 배출되는 포장팩(21)에 빠르게 수용될 수 있고, 택배물(1)이 작업자에 의해 포장팩(21)에 담겨진 후에는, 열압착수단(110)에 의해 해당 포장팩(21)이 자동으로 밀봉된 후 포장부재(20)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며, 단프라박스까지 컨베어수단(700)을 타고 안전하게 이동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한명의 작업자가 대량의 택배물(1) 포장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어 인건비 및 택배물(1) 포장에 따른 작업시간를 절약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택배물(1) 송장(2)의 택배정보와 포장팩(21)에 부착되는 택배정보가 일치할 경우에만 해당 포장팩(21)이 본체(100) 전면으로 배출되며, 이로 인해 택배물(1)이 다른 택배정보를 갖는 송장(310)이 붙은 포장팩(21)에 담겨지는 오류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압착수단(110)의 작동 시, 작업자의 손 또는 임의 물체가 열압착바(112)의 전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400)에 의해 압착바(112)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택배물 2, 301 : 송장
10 : 메인서버 11 : 열기순환팬
20 : 포장부재 21 : 포장팩
100 : 본체 101 : 포장팩 토출구
102 : 통기공 103 : 가로바
104 : 지지수단 110 : 열압착수단
111 : 가이드프레임 112 : 압착바
112a : 가압돌기 113 : 작동버튼
120 : 작업대 210 : 제1 스캔수단
220 : 제2 스캔수단 300 : 송장제공수단
400 : 물체감지센서 500 : 모니터
600 : 카메라모듈 700 : 컨베어수단

Claims (11)

  1. 입구가 개방된 다수의 포장팩(21)이 절취부로 연결되는 포장부재(20);
    상기 포장부재(20)가 내부에 마련되고, 전면에는 포장팩 토출구(101)가 형성되며, 열압착수단(110)으로 상기 포장팩 토출구(101)로 배출된 포장팩(21)의 입구를 밀봉하는 본체(100);
    택배물(1)의 송장(2)으로부터 해당 택배물(1)의 택배정보를 판독하는 제1 스캔수단(210);
    상기 택배물(1)의 택배정보가 포함된 송장(310)을 출력하고, 출력된 송장(310)을 본체(100)의 포장팩 토출구(101)로 배출되기 전의 포장팩(21)에 부착하는 송장제공수단(300); 및
    상기 제1 스캔수단(210) 및 송장제공수단(300)으로부터 택배정보를 제공받고, 제1 스캔수단(210)과 송장제공수단(30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열압착수단(110)을 제어하는 메인서버(1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서버(10)는,
    제1 스캔수단(210)과 송장제공수단(30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택배정보에 해당하는 송장(310)이 부착된 포장팩(21)을 본체(100)의 포장팩 토출구(101)로 배출되게 하고, 열압착수단(110)에 작동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열압착수단(110)은,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프레임(111);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의 내측에서 가이드프레임(11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본체(100)와 마주하는 일면에는 발열부가 형성되며, 메인서버(10)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전면으로 이동하여 포장팩 토출구(101)로 배출된 포장팩(21)의 입구를 열압착에 의해 밀봉하는 압착바(112);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가로홈(103)이 형성되고, 상기 열압착수단(110)의 압착바(112)에는 상기 가로홈(103)에 삽입되는 가압돌기(112a)가 형성되며, 상기 압착바(112)로 포장팩(21)의 개방된 입구를 밀봉할 때, 포장팩(21)의 상부가 상기 가압돌기(112a)에 의해 상기 가로홈(103)으로 밀려 들어가고, 가압돌기(112a)의 압력에 의해 포장팩(21)의 절취부가 절단되어 밀봉된 포장팩(21)이 포장부재(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되고, 메인서버(10)와 신호연결되며, 택배물(1)의 택배정보가 포함된 작업지시서(3)를 스캔하여 상기 택배정보를 메인서버(10)에 제공하는 제2 스캔수단(22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서버(10)는, 제2 스캔수단(22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와 제1 스캔수단(210)에서 제공되는 택배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택배정보의 일치여부 판단결과를 모니터에 표시하며, 상기 택배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택배정보에 해당하는 해당 포장팩(21)이 본체(100)의 포장팩 토출구(101)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0)의 전면에서, 포장팩 토출구(101)의 상측에 형성되는 통기공(102); 및
    메인서버(10)에 구비되고, 상기 통기공(102)으로 바람이 토출되게 하며, 포장팩 토출구(101)로 배출된 포장팩(21)의 입구를 바람에 의해 벌어지게 하는 열기순환팬(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제1 스캔수단(210)과 제2 스캔수단(220) 및 송장제공수단(300)의 택배정보 중 적어도 2개의 택배정보를 표시하고, 메인서버(10)에 의한 상기 택배정보의 일치여부 결과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0)의 전면 일측에 배치되고, 메인서버(10)와 신호연결되며, 제1 스캔수단(210)에 의해 택배물(1)의 송장(2)이 스캔될 때, 작업자와 택배물(1) 및 택배물(1)이 포장팩(21)에 포장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메인서버(10)에 제공하는 카메라모듈(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서버(10)는 카메라모듈(6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및 영상촬영시간을 택배물(1)의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30144897A 2023-10-26 2023-10-26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의 자동 포장방법 KR102651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4897A KR102651869B1 (ko) 2023-10-26 2023-10-26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의 자동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4897A KR102651869B1 (ko) 2023-10-26 2023-10-26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의 자동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869B1 true KR102651869B1 (ko) 2024-03-27

Family

ID=9048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4897A KR102651869B1 (ko) 2023-10-26 2023-10-26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의 자동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8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599B1 (ko) 1993-07-15 2002-02-28 포스베르크 라스-에케 포장용기의밀봉장치
KR20160150170A (ko) * 2015-06-18 2016-12-29 (주)모비프렌 택배 물품 포장 관리 시스템
KR102313213B1 (ko) * 2021-05-14 2021-10-15 디에이치 주식회사 라벨프린터가 구비된 포장용 봉투의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599B1 (ko) 1993-07-15 2002-02-28 포스베르크 라스-에케 포장용기의밀봉장치
KR20160150170A (ko) * 2015-06-18 2016-12-29 (주)모비프렌 택배 물품 포장 관리 시스템
KR102313213B1 (ko) * 2021-05-14 2021-10-15 디에이치 주식회사 라벨프린터가 구비된 포장용 봉투의 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285B1 (ko) 약포 검사시스템
US4909356A (en) Fully self-service check-out counter incorporating an integral apparatus for on demand manufacturing of custom-sized bags conforming to the volume of articles received therein
CN106339880A (zh) 便于用户追溯检视灌装过程的产品生产方法及系统
KR102651869B1 (ko) 택배물 자동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의 자동 포장방법
CN102371391A (zh) 窗帘尺寸确定方法和设备
KR100711932B1 (ko) 약제다발 검사 및 절단장치
US20110056345A1 (en) Window covering sizing method and apparatus
CN112109990B (zh) 瓶装产品生产系统
KR102039295B1 (ko) 커피원두 판매시스템
JP2005512896A (ja) 包装装置
JP2007196129A (ja) 検査情報管理システム
CN104340394B (zh) 一种小袋点包封包装置及控制方法
JP7000663B2 (ja) 小型物品の梱包装置
JP2001357428A (ja) 紙葉類処理装置
JP7061254B2 (ja) 梱包システム
CN218382443U (zh) 一种产品边角质量检测装置
JP3546363B2 (ja) 包装装置及び包装値付装置
JPH11245922A (ja) 商品処理装置
JP2020042430A (ja) 梱包作業装置、及び、梱包作業管理方法
KR200451471Y1 (ko) 티백제조장치
CN116902306B (zh) 自动发药封包机及其控制方法
JP6443665B2 (ja) オリジナル商品提供装置
KR102640031B1 (ko) 폴리백 물류포장 자동 제어시스템
CN111908412B (zh) 瓶装产品生产方法
CN218113153U (zh) 一种木板包装箱包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