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618B1 -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 Google Patents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618B1
KR102651618B1 KR1020200096566A KR20200096566A KR102651618B1 KR 102651618 B1 KR102651618 B1 KR 102651618B1 KR 1020200096566 A KR1020200096566 A KR 1020200096566A KR 20200096566 A KR20200096566 A KR 20200096566A KR 102651618 B1 KR102651618 B1 KR 102651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y
supply pip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6543A (ko
Inventor
신상현
강영록
Original Assignee
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 filed Critical 신용
Priority to KR102020009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6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6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이 개시된다. 상기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상부 영역이 확관된 짧은 길이의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분기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상기 급수배관의 둘레에 용접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용접된 단관의 확관된 상부 영역을 축관하는 단계;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CONNECTION METHOD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PIPING}
본 발명은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설비의 배관들의 연결이 쉬워지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의 건물에는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화설비가 설치되며, 스프링클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소화배관이 연결 설치된다.
예를 들어, 소화배관은 소방용수를 저장하고 있는 공급처로부터 건물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배관 및 주배관에서 분기되어 각 층으로 분기되는 분기배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배관 및 분기배관들은 복수의 소단위 배관을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소화배관은 소단위 배관들을 연결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관 중 어느 하나의 관의 단부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축관하고, 축관된 단부를 다른 관과 맞대어 연결하고, 서로 연결된 관 대 관의 연결부분을 용접하여 소단위 배관들을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소화배관을 구성하는 과정은 배관 대 배관을 직접 용접하여 연결하여야 하므로 배관들을 연결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반복적인 용접에 의한 화재 위험이 있고, 소화설비의 시공에 많은 기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화설비를 구성하는 배관들의 연결 과정이 쉬워지고, 소방시설의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상부 영역이 확관된 짧은 길이의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분기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상기 급수배관의 둘레에 용접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용접된 단관의 확관된 상부 영역을 축관하는 단계;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상부 영역을 확관 후 확관된 영역의 상단을 축관한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분기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상기 급수배관의 둘레에 용접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상부 영역이 확관된 짧은 길이의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의 둘레에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용접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용접된 단관의 확관된 상부 영역을 축관하는 단계;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에 의하면, 소화설비를 구성하는 배관들의 연결 과정이 쉬워지고, 소방시설의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의 S11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1의 S12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1의 S13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d는 도 1의 S14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e는 도 1의 S15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S21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추가 급수배관이 말단에 신축배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추가 급수배관의 하부에 길이조절 가능한 니플 및 스프링클러 헤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5a에 도시된 S110 및 도 5b에 도시된 S120 단계 각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5a에 도시된 S110 및 도 5b에 도시된 S120 단계 각각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길이조절 가능한 니플 및 스프링클러 헤드의 연결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을 통해 설치한 상향식 스프링클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에 도시된 상향식 스프링클러의 연결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확대도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을 통해 설치한 신축관을 구비하는 스프링클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에 도시된 신축관을 구비하는 스프링클러의 연결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확대도들이다.
도 18a 내지 도 18f는 급수배관의 단부를 확관 및 축관하여 추가 급수배관을 연결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소화설비의 배관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구성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는 급수배관(110), 배관 사이 연결관(120) 및 배관 구속 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배관(110)은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관이다.
배관 사이 연결관(120)은 급수배관(110) 및 소화용수의 분기를 위한 추가 급수배관(140)을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로 기능한다. 이를 위해, 배관 사이 연결관(120)은 하단부가 급수배관(110)의 둘레 일측에 용접되어 구비된다.
일 예로, 배관 사이 연결관(120)은 제1 확관부(121), 제2 확관부(122), 제1 테이퍼부(123), 제2 테이퍼부(124), 축관부(125) 및 제3 테이퍼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확관부(121)는 급수배관(110)의 둘레에 용접되는 하단부 위로 형성되고,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외경보다 큰 제1 직경으로 확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확관부(122)는 제1 확관부(121) 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확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축관부(125)는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상단부가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추가 급수배관(140)의 외면에 밀착되는 직경으로 축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테이퍼부(123)는 제1 확관부(121) 및 제2 확관부(122) 사이에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1 테이퍼부(123)는 제2 확관부(122)를 제1 확관부(121)와 이격되는 일정 높이에서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테이퍼부(124)는 제2 확관부(122)로부터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테이퍼부(124)는 축관부(125)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3 테이퍼부(126)는 제1 확관부(121)로부터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하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3 테이퍼부(126)는 제2 축관부(125)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배관 구속 수단(130)은 제2 확관부(122) 및 제2 테이퍼부(124) 내에 수용되어 배관 사이 연결관(120) 내부로 삽입되는 추가 급수배관(140)의 외면 둘레를 감싸서 구속한다.
일 예로, 배관 구속 수단(130)은 환형의 씰링링(131), 환형의 슬리브(133) 및 스프링(132)을 포함할 수 있다.
씰링링(sealing-ring)(131)은 소정의 두께, 예를 들어, 제2 확관부(122)의 내면 및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추가 급수배관(140)의 외면 사이의 간격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배관 사이 연결관(120) 및 추가 급수배관(140) 사이 간격을 실링(sealing)한다. 이러한 씰링링(131)은 제2 확관부(12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씰링링(131)은 플렉시블한 재질,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일 수 있고, 수축하여 배관 사이 연결관(120) 및 추가 급수배관(140) 사이 간격을 실링할 수 있다.
환형의 슬리브(133)는 제2 테이퍼부(124) 내에 수용되어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추가 급수배관(140)의 외면 둘레를 감쌀 수 있다. 일 예로, 환형의 슬리브(133)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고, 외면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서 단면 형상이 삼각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환형의 슬리브(133)는 테이퍼진 외면이 제2 테이퍼부(124)에 밀착하고 내면이 추가 급수배관(140)에 밀착하도록 제2 테이퍼부(124)에 수용될 수 있다.
스프링(132)은 씰링링(131) 및 슬리브(133)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스프링(132)은 환형의 슬리브(133) 및 씰링링(131)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형의 슬리브(133)는 스프링(132)에 의해 제2 테이퍼부(124)의 상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환형의 슬리브(133)가 제2 테이퍼부(124)의 내면 및 추가 급수배관(140)의 외면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는 배관 구속 수단(130)이 환형의 배관 구속 커버(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형의 배관 구속 커버(134)는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추가 급수배관(140)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추가 급수배관(140)의 단부에 결합된다.
일 예로, 환형의 배관 구속 커버(134)는 내측링(1341), 추가 급수배관(140)의 두께만큼 상기 내측링(1341)과 이격되고 내측링(1341)보다 높게 연장되는 외측링(1342), 내측링(1341) 및 외측링(134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링연결부(13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관 구속 커버(134)는 추가 급수배관(140)이 상기 내측링(1341) 및 외측링(1342) 사이에 삽입되면 추가 급수배관(140)의 외면 둘레를 감쌀 수 있고, 추가 급수배관(140)의 외면 둘레를 감싼 상태로 추가 급수배관(140)과 함께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때 추가 급수배관(140)은 배관 구속 커버(134)가 제1 확관부(121) 내에 수용되는 깊이, 즉 배관 구속 커버(134)의 외측링(1342)의 상단이 씰링링(131)의 하단부에 지지될 수 있는 깊이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a는 도 1의 S11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1의 S12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c는 도 1의 S13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d는 도 1의 S14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e는 도 1의 S15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상부 영역이 확관된 짧은 길이의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S110);
이 단계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사이 연결관(120)이 준비되되, 먼저 제1 확관부(121)를 형성한 후 제2 확관부(122)를 형성하여, 제2 확관부(122)까지 형성된 상태로 준비된다.
2)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분기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상기 급수배관의 둘레에 용접하는 단계(S120);
이 단계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구멍(111)에 대응되게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하단부가 급수배관(110)의 둘레에 용접된다.
3)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S130);
이 단계에서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구속 수단(130)을 씰링링(131), 스프링(132) 및 슬리브(133)의 순서로 삽입한다.
4)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용접된 단관의 확관된 상부 영역을 축관하는 단계(S140);
이 단계에서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확관부(122)까지 형성된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상단부를 상기 추가 급수배관(140)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축관하여 축관부(125)를 형성한다.
5)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S150);
이 단계에서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가 급수배관(140)의 단부가 상기 배관 구속 커버(134)의 내측링(1341) 및 외측링(1342) 사이로 삽입되게 배관 구속 커버(134)를 결합한다.
6)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S160);
이 단계에서는, 상기 배관 구속 커버(134)가 결합된 추가 급수배관(140)의 단부를 삽입하되, 상기 배관 구속 커버(134)가 상기 제1 확관부(121) 내에 수용되는 깊이까지 삽입한다. 즉, 배관 구속 커버(134)의 외측링(1342)의 상단이 씰링링(131)의 하단부에 지지될 수 있는 깊이까지 삽입한다.
이와 같이 추가 급수배관(140)이 삽입되면 씰링링(131) 및 슬리브(133)에 의해 추가 급수배관(140)이 구속되고, 이와 함께 배관 구속 커버(134)의 외측링(1342)의 상단이 씰링링(131)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추가 급수배관(140)을 추가로 구속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배관(110) 및 추가 급수배관(140)은 소화설비의 소화배관의 주배관, 가지배관, 교차배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단관의 길이는 급수배관(110) 및 추가 급수배관(140)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 확관부(121), 제2 확관부(122) 및 축관부(125)를 형성할 수 있을 만큼의 길이이면 충분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의 S210 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을 설명한다.
1) 상부 영역을 확관 후 확관된 영역의 상단을 축관한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S210);
이 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사이 연결관(120)이 준비되되, 먼저 제1 확관부(121) 및 제2 확관부(122)를 형성한 후, 상단부를 배관 사이 연결관(120)으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140)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축관하여 축관부(125)를 형성한 상태로 준비한다.
2)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분기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상기 급수배관의 둘레에 용접하는 단계(S220);
이 단계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의 2)의 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3)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S230);
이 단계에서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구속 수단(130)을 씰링링(131), 스프링(132) 및 슬리브(133)의 순서로 삽입하며, 배관 사이 연결관(120)이 축관부(125)까지 형성된 상태로 용접되어 있으므로 씰링링(131), 스프링(132) 및 슬리브(133)를 압축시키면서 삽입한다.
4)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S240);
5)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S250)
상기 4), 5)의 단계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의 5), 6)의 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에서 설명된 급수배관(110)은 소화설비의 소화배관의 주배관, 가지배관, 교차배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추가 급수배관(140)은 주배관, 가지배관, 교차배관, 신축배관, 말단에 신축배관이 연결된 배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급수배관(1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에 신축배관이 연결된 배관일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추가 급수배관이 말단에 신축배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하부에 길이조절 가능한 니플 및 상기 니플에 결합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추가 급수배관의 하부에 길이조절 가능한 니플 및 스프링클러 헤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도2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이용하면 소화설비를 구성하는 배관들의 연결 과정이 쉬워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배관들끼리 직접 용접할 필요 없이 배관 사이 연결관(120)을 미리 용접하여 구비한 후 배관 사이 연결관(120)에 배관을 삽입하면 배관 대 배관이 연결되므로 배관들의 연결이 쉬워질 수 있다.
또한, 배관 대 배관을 직접 용접하지 않고도 배관들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배관들의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며, 이에 따라 소화설비의 시공 기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배관 사이 연결관(120)은 급수배관(110)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에 용접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급수배관(110) 및 추가 급수배관(140)을 서로 평행하게 연결할 때 급수배관(110)의 단부에 구비되는 배관 사이 연결관(120)의 내부로 추가 급수배관(140)을 삽입하면 급수배관(110) 및 추가 급수배관(140)의 연결이 완료되므로 배관들을 평행하게 연결하는 과정 역시 용이하고 신속해질 수 있다.
급수배관(110)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에 배관 사이 연결관(120)이 구비되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배관 사이 연결관(120)을 급수배관(110)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에 용접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은, 상부 영역이 확관된 짧은 길이의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의 둘레에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용접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용접된 단관의 확관된 상부 영역을 축관하는 단계;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상부 영역이 확관된 짧은 길이의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
2)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분기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상기 급수배관의 둘레에 용접하는 단계;
3)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4)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용접된 단관의 확관된 상부 영역을 축관하는 단계;
5)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및
6)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 단계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사이 연결관이 준비되되, 상기 배관 사이 연결관을, 먼저 상기 배관 사이 연결관의 외경보다 큰 제1 직경으로 확관하여 제1 확관부를 형성한 후 이어서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확관하여 제2 확관부를 형성하여, 상기 배관 사이 연결관의 상단부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제3 테이퍼부, 제1 확관부, 제1 테이퍼부, 제2 확관부까지 형성된 상태로 준비되며;
상기 2) 단계는, 분기구멍이 마련된 급수배관의 분기구멍에 대응되게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사이 연결관의 하단부가 급수배관의 둘레에 용접되며;
상기 3) 단계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구속 수단을 씰링링, 스프링 및 슬리브의 순서로 삽입하며;
상기 4) 단계는, 제2 확관부까지 형성된 배관 사이 연결관의 상단부를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축관하여 축관부 및 축관부와 상기 제2 확관부 사이의 제2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상기 씰링링 및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2 확관부의 내에 수용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2 테이퍼부의 상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2 테이퍼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5) 단계는,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가 상기 배관 구속 커버의 내측링 및 외측링 사이로 삽입되게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고;
상기 6) 단계는, 상기 배관 구속 커버가 결합된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되, 상기 배관 구속 커버가 상기 제1 확관부 내에 수용되는 깊이까지 삽입, 즉 배관 구속 커버의 외측링의 상단이 씰링링의 하단부에 지지될 수 있는 깊이까지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삭제
1) 상부 영역이 확관된 짧은 길이의 단관을 준비하는 단계;
2) 소화용수를 일방향으로 급수하는 급수배관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의 둘레에 상기 준비된 단관의 하단부를 용접하는 단계;
3) 상기 용접된 단관의 상부 영역 내부로 배관 구속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4)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삽입될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용접된 단관의 확관된 상부 영역을 축관하는 단계;
5)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에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및
6) 상기 용접된 단관의 내부로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 단계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사이 연결관이 준비되되, 상기 배관 사이 연결관을, 먼저 상기 배관 사이 연결관의 외경보다 큰 제1 직경으로 확관하여 제1 확관부를 형성한 후 이어서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확관하여 제2 확관부를 형성하여, 상기 배관 사이 연결관의 상단부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제3 테이퍼부, 제1 확관부, 제1 테이퍼부, 제2 확관부까지 형성된 상태로 준비되며;
상기 2) 단계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사이 연결관의 하단부가 급수배관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 둘레에 용접되며;
상기 3) 단계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의 배관 구속 수단을 씰링링, 스프링 및 슬리브의 순서로 삽입하며;
상기 4) 단계는, 제2 확관부까지 형성된 배관 사이 연결관의 상단부를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축관하여 축관부 및 축관부와 상기 제2 확관부 사이의 제2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상기 씰링링 및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2 확관부의 내에 수용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2 테이퍼부의 상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2 테이퍼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5) 단계는, 상기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가 상기 배관 구속 커버의 내측링 및 외측링 사이로 삽입되게 배관 구속 커버를 결합하고;
상기 6) 단계는, 상기 배관 구속 커버가 결합된 추가 급수배관의 단부를 삽입하되, 상기 배관 구속 커버가 상기 제1 확관부 내에 수용되는 깊이까지 삽입, 즉 배관 구속 커버의 외측링의 상단이 씰링링의 하단부에 지지될 수 있는 깊이까지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KR1020200096566A 2020-08-03 2020-08-03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KR102651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566A KR102651618B1 (ko) 2020-08-03 2020-08-03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566A KR102651618B1 (ko) 2020-08-03 2020-08-03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543A KR20220016543A (ko) 2022-02-10
KR102651618B1 true KR102651618B1 (ko) 2024-03-26

Family

ID=8025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566A KR102651618B1 (ko) 2020-08-03 2020-08-03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6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205B1 (ko) * 2019-02-26 2019-12-02 신상현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 배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425A (ko) * 2009-06-15 2010-12-23 이윤철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 배관 연결방법
KR101371071B1 (ko) * 2011-09-27 2014-03-13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205B1 (ko) * 2019-02-26 2019-12-02 신상현 소화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화 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543A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30634A (en) Coupler and method of joining conduits
CN107681624B (zh) 一种超导电缆波纹管的端件装置及其使用方法
US20140197633A1 (en) Fitting for Joining Tubes and Method of Joining Tubes
KR970002065A (ko) 지름이 다른 관용 이음매와 지름이 다른 관의 접속방법
US8034211B2 (en) Thermoplastic element for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in the thermofusion coupling of a thermoplastic tube
US605195A (en) John birtwisle
US10486367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a tubular joint sleeve for a pipe comprising an inner lining
US5997219A (en) Tube-formed expansion rock bolt
US7344161B2 (en) Connection of internally lined pipelines
KR102651618B1 (ko)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공법
KR20220016542A (ko) 소화설비용 소화배관 연결 처리 장치
KR102117915B1 (ko)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AU2019339784A1 (en) Corrugated piping assembly and sleeve for same
KR101423435B1 (ko) 신축이음관 제조방법
KR20170002084U (ko) 배관 연결구
KR102310528B1 (ko) Cpvc 연결 배관
JP3347408B2 (ja) 管路の内張り材の端末処理構造
KR200387864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JPH10281372A (ja) 軟質合成樹脂管用継手
JP2008202613A (ja) 止水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管路更生方法
US362205A (en) Joint for gas-mains
KR101794867B1 (ko)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JP4137899B2 (ja) 管路の分岐部の補修方法
KR20180075841A (ko) 어댑터유닛을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연결방법
KR102290701B1 (ko) 배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