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528B1 -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528B1
KR102651528B1 KR1020230068966A KR20230068966A KR102651528B1 KR 102651528 B1 KR102651528 B1 KR 102651528B1 KR 1020230068966 A KR1020230068966 A KR 1020230068966A KR 20230068966 A KR20230068966 A KR 20230068966A KR 102651528 B1 KR102651528 B1 KR 102651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connector
peripheral surface
external conductor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8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원
이세진
임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마
Priority to KR1020230068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잭 커넥터와의 연결 후에 외력이 제거될 시 탄성복원력을 충분히 확보하여 상기 잭 커넥터와 연결될 시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외부 컨덕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외부 컨덕터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경사져서 배치된다.

Description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FOR PREVENTING MISALIGNMENT WITH JACK CONNECTOR}
본 발명은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RF 통신용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잭 커넥터와의 오정렬을 방지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 통신용 커넥터들은 동축의 케이블을 단자에 쉽고 치밀하게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RF 통신용 커넥터들은 두 개의 RF 통신용 전자부품(예를 들어, 두 개의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과 RF필터, 인쇄회로기판을 내부에 수용한 두 개의 함체, 또는 인쇄회로기판을 내부에 수용한 함체와 RF필터를 내부에 수용한 함체)에 각각 커넥터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를 이용하여 동축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들은 서로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터로 구성되는데,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중, 수 커넥터(male connector)인 플러그 커넥터와,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인 잭 커넥터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2687호(2020.06.26. 공고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되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커넥터는 제1 고정 커넥터, 제2 고정 커넥터 및 연결 커넥터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 고정 커넥터 및 상기 연결 커넥터가 결합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 기능하고, 상기 제2 고정 커넥터는 상기 잭 커넥터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래 기술의 상기 연결 커넥터는 외측 구성인 연결 그라운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 그라운드의 하단부가 상기 제1 고정 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된 형태로, 상기 제1 고정 커넥터 및 상기 연결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그라운드의 상단부는 상기 제2 고정 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된 형태로, 상기 제2 고정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그라운드는 상기 제1 고정 커넥터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 그라운드의 상단부가 상기 제2 고정 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될 시, 상기 연결 그라운드는 상기 제1 고정 커넥터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되었다가, 상기 연결 그라운드의 상단부가 상기 제2 고정 커넥터와 연결이 완료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연결 그라운드의 하단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 그라운드는 상기 제1 고정 커넥터에 대해 원위치인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연결 그라운드의 하단부에 상기 탄성복원력이 생성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연결 그라운드의 하단부에 복수개의 연결 슬릿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 그라운드의 하단부는 여러갈래로 갈라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 커넥터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그라운드가 삽입되는 공간의 직경이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연결 그라운드에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연결 그라운드의 하단부는 상기 제1 고정 커넥터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경사부에 접촉되어 내측으로 압축되면서 상기 탄성복원력을 생성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제1 고정 커넥터의 내부에 상기 경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 고정 커넥터의 두께가 증가되어 무게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고, 상기 연결 그라운드의 하단부에 상기 복수개의 연결 슬릿을 가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 슬릿에 의해 상기 연결 그라운드의 하단부의 강성이 저하되어 쉽게 파손될 수 있고, 상기 탄성복원력이 약해 상기 연결 커넥터가 상기 제2 고정 커넥터와 연결될 시 오정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2687호(2020.06.26. 공고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잭 커넥터와의 연결 후에 외력이 제거될 시 탄성복원력을 충분히 확보하여 상기 잭 커넥터와 연결될 시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는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가볍고 간단한 구조로 강성을 확보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바디, 제1 절연체, 제1 내부 컨덕터, 외부 컨덕터, 제2 절연체, 제2 내부 컨덕터 및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절연체는 상기 플러그 바디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내부 컨덕터는 상기 제1 절연체의 중심에 결합된다. 상기 제1 내부 컨덕터의 후단부는 상기 플러그 바디의 후방으로 돌출 배치된다. 상기 외부 컨덕터의 전단부는 상기 플러그 바디의 전방으로 돌출 배치된다. 상기 외부 컨덕터의 후단부는 상기 플러그 바디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절연체는 상기 외부 컨덕터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 내부 컨덕터는 상기 제2 절연체의 중심에 결합된다. 상기 제2 내부 컨덕터의 전단부는 상기 제2 절연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부 컨덕터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내부 컨덕터의 후단부는 상기 제1 내부 컨덕터의 전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플러그 바디 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컨덕터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에는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가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는 상기 외부 컨덕터에 의해 탄성변형된다.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경사져서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에는 링형 결합판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형 결합판부는 상기 플러그 바디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는 상기 링형 결합판부의 내주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링형 결합판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를 후방에서 볼 때,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의 단면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가상의 원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에는 복수개의 제1 슬릿 및 복수개의 절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슬릿은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절개홀은 상기 복수개의 제1 슬릿 각각의 전단에서 원주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컨덕터의 후단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1 밀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컨덕터의 전단 외주면에는 잭 커넥터의 잭 바디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2 밀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컨덕터의 전방부에는 상기 제2 밀착돌기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 슬릿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착돌기는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체의 전면에는 가이드돌기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상기 제1 내부 컨덕터의 전방부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체의 후방부는 상기 가이드돌기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체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 배치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는 제1 대경부 및 제1 소경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대경부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소경부는 상기 제1 대경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의 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소경부는 상기 제1 대경부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체는 제2 대경부 및 제2 소경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대경부는 상기 제2 절연체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소경부는 상기 제2 대경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절연체의 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소경부는 상기 제2 대경부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대경부의 후방부 외주면은 상기 외부 컨덕터의 후방부 내주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소경부의 외주면은 상기 외부 컨덕터의 전방부 내주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는, 탄성부재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경사져서 배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변형판부는 외부 컨덕터에 의해 탄성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외부 컨덕터가 잭 커넥터와의 연결 후에 외력이 제거될 시 탄성복원력을 충분히 확보하여 상기 잭 커넥터와 연결될 시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외부 컨덕터 중 상기 탄성변형판부에 접촉되는 일단부에 상기 탄성복원력을 생성하기 위한 슬릿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탄성복원력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부가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경사져서 배치되어 플러그 바디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므로, 가볍고 간단한 구조로 강성을 확보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를 나타내는 일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를 나타내는 타측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탄성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탄성부재의 배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잭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잭 커넥터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를 나타내는 일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를 나타내는 타측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는 잭 커넥터(200)와 축방향으로 연결되는 동축 커넥터(1)일 수 있다. 즉, 동축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100) 및 잭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100) 및 잭 커넥터(200)는 축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 및 잭 커넥터(2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광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100) 및 잭 커넥터(200)는 연결되었을 때, 서로 통전되거나 통광될 수 있다.
잭 커넥터(200)는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일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100)는 잭 커넥터(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잭 커넥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수 커넥터(male connector)일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 및 잭 커넥터(200)는 서로 연결되어, 두 개의 RF 통신용 전자부품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RF 통신용 전자부품은, 두 개의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과 RF필터, 인쇄회로기판을 내부에 수용한 두 개의 함체, 또는 인쇄회로기판을 내부에 수용한 함체와 RF필터를 내부에 수용한 함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100)는 상기 두 개의 RF 통신용 전자부품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될 수 있고, 잭 커넥터(200)는 상기 두 개의 RF 통신용 전자부품 중 다른 하나에 포함된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플러그 커넥터(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잭 커넥터(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는, 플러그 바디(110)와, 제1 절연체(141)와, 제1 내부 컨덕터(131)와, 외부 컨덕터(120)와, 제2 절연체(142)와, 제2 내부 컨덕터(132)와, 탄성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바디(110), 제1 절연체(141) 및 제1 내부 컨덕터(131)은 서로 결합되어 제1 유닛이 될 수 있고, 외부 컨덕터(120), 제2 절연체(142) 및 제2 내부 컨덕터(132)은 서로 결합되어 제2 유닛이 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00)를 잭 커넥터(200)에 연결할 시, 외부 컨덕터(12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사이드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충격이 흡수되어 외부 컨덕터(120)의 열화가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상기 종래 기술에 기재된 관절 운동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다는 의미는 상기 관절 운동 가능하다는 의미일 수 있다.
플러그 바디(110)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100)에서 가장 외측 구성일 수 있다. 플러그 바디(110)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후방부의 외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플러그 바디(110)의 후단부에는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110)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기는 인쇄회로기판에 인쇄된 그라운드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110) 및 외부 컨덕터(120)는 전도체일 수 있고, 서로 연결되어 그라운드될 수 있다.
제1 절연체(141)는 플러그 바디(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110)의 후단부에는 원형의 절연체 결합홀(115)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절연체(141)는 절연체 결합홀(115)에 삽입 배치되어, 절연체 결합홀(115)의 내주면에 형성된 압입돌기(도면부호 미표기)에 의해 플러그 바디(11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부 컨덕터(131)는 제1 절연체(141)의 중심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부 컨덕터(131)의 후단부는 플러그 바디(110)의 후방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110)의 후방으로 돌출 배치된 제1 내부 컨덕터(131)의 후단부는 RF 통신용 전자부품의 인쇄회로기판에 인쇄된 회로에 납땜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부 컨덕터(131)의 전단부는 제1 절연체(141)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141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컨덕터(120)의 후단부는 플러그 바디(110)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고, 외부 컨덕터(120)의 전단부는 플러그 바디(110)의 전방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를 잭 커넥터(200)에 연결할 시, 외부 컨덕터(120)의 전단부는 잭 커넥터(200)의 잭 바디(210, 도 8 및 도 9 참조) 내부로 삽입되어 잭 바디(210)와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외부 컨덕터(120)의 전단부가 잭 커넥터(200)의 잭 바디(210) 내부로 삽입되어 잭 바디(210)와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때, 제2 내부 컨덕터(132)의 전방부(132C)는 잭 커넥터(200)의 컨덕터(231, 도 8 및 도 9 참조)로 삽입되어 잭 커넥터(200)의 컨덕터(231)와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컨덕터(120)의 후단부는 플러그 바디(1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110)의 전단부에는 외부 컨덕터(120)의 후단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컨덕터(120)의 후단부가 플러그 바디(1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100)를 잭 커넥터(200)에 연결할 시, 외부 컨덕터(12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사이드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충격이 흡수되어 외부 컨덕터(120)의 열화가 방지되므로, 본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는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절연체(142)는 외부 컨덕터(1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체(142)의 중앙부는 외부 컨덕터(120)의 내주면에 압입될 수 있고, 제2 절연체(142)의 양단부는 외부 컨덕터(12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내부 컨덕터(132)는 제2 절연체(142)의 중심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내부 컨덕터(132)의 전단부는 제2 절연체(142)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외부 컨덕터(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부 컨덕터(132)의 후단부는 제2 절연체(142)의 후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42D)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부 컨덕터(132)의 후단부는 제1 내부 컨덕터(131)의 전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50)는 플러그 바디(110) 내에 설치되어 외부 컨덕터(12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50)는, 플러그 커넥터(100)를 잭 커넥터(200)에 연결할 시 탄성 변형되면서 외부 컨덕터(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100)가 잭 커넥터(200)에 연결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외부 컨덕터(12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플러그 바디(110)의 전단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측에 가깝게 경사진 제1 걸림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돌기(111)는 플러그 바디(110)의 둘레방향(원주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컨덕터(120)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제2 걸림돌기(1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돌기(125)는 플러그 바디(110)의 전방 개구를 통해 플러그 바디(110)의 내부로 압입될 수 있다.
제2 걸림돌기(125)는 후방면이 반경방향으로 곧게 형성될 수 있고 전방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내측에 가깝게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돌기(125)는 외부 컨덕터(120)의 둘레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돌기(125)는 제1 걸림돌기(111)에 걸림될 수 있다. 제2 걸림돌기(125)는 제1 걸림돌기(111)에 걸림되어서, 외부 컨덕터(120)가 플러그 바디(110)로부터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 컨덕터(120)의 후단 외주면에는 제1 밀착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고, 외부 컨덕터(120)의 전단 외주면에는 제2 밀착돌기(1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밀착돌기(121)는 원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단일의 링형 돌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밀착돌기(122)는 제2 슬릿(124)에 의해 복수개의 돌기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외부 컨덕터(120)의 전방부에는 제2 밀착돌기(122)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 슬릿(124)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외부 컨덕터(120)의 후방부에는 외부 컨덕터(120)의 전방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슬릿(124)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외부 컨덕터(120)의 후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밀착돌기(121)는, 탄성부재(150)에 형성된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2, 도 5 내지 도 7 참조)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컨덕터(120)의 전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밀착돌기(122)는, 플러그 커넥터(100) 및 잭 커넥터(200)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제2 밀착돌기(122)는 잭 커넥터(200)의 잭 바디(210)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외부 컨덕터(120)의 전방부에는 복수개의 제2 슬릿(124)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슬릿(124)은 제2 밀착돌기(122)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 및 잭 커넥터(200)가 서로 연결될 때, 복수개의 제2 슬릿(124)은 외부 컨덕터(120)의 전단부를 유동 가능하게 하여 외부 컨덕터(120)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절연체(141)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체(141)의 전면 중심에는 가이드돌기(141A)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41A)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41A)에는 제1 내부 컨덕터(131)의 전방부(131C)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체(141)에는 제1 내부 컨덕터(131)가 결합되는 제1 결합홀(141D)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홀(141D)은 제1 절연체(141)의 후면 중심에서부터 가이드돌기(141A)의 전단까지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41A)는 제1 대경부(141B) 및 제1 소경부(14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경부(141B)는 가이드돌기(141A)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소경부(141C)는 가이드돌기(141A)의 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대경부(141B)는 제1 절연체(141)의 전면 중심에서 돌출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고, 제1 소경부(141C)는 제1 대경부(141B)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대경부(141B)의 외경은 제1 소경부(141C)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소경부(141C)의 외경은 제1 대경부(141B)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체(142)의 후방부는 가이드돌기(141A)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절연체(141)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41A)는 제2 절연체(142)의 후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42D)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41A)가 가이드홈(142D)에 삽입 배치되기 때문에, 만약 가이드돌기(141A)에 제1 소경부(141C)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외부 컨덕터(120)의 상기 관절 운동 시 제2 절연체(142)의 후단부가 가이드돌기(141A)에 간섭되어 상기 관절 운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는, 제1 소경부(141C)의 외경이 제1 대경부(141B)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부 컨덕터(120)의 상기 관절 운동 시 제2 절연체(142)의 후단부가 가이드돌기(141A)에 간섭되지 않게 되므로 외부 컨덕터(120)의 상기 관절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1 내부 컨덕터(131)는 제1 중앙부(131A), 제1 후방부(131B) 및 제1 전방부(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앙부(131A)의 후단 외주면에는 제1 압입돌기(131D)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입돌기(131D)는 제1 중앙부(131A)의 둘레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입돌기(131D)는 제1 절연체(141)의 내주면에 압입될 수 있다. 제1 압입돌기(131D)는 제1 절연체(141)의 내주면에 압입되어서, 제1 중앙부(131A)는 제1 절연체(141)에 결합할 수 있다. 제1 중앙부(131A)는 제1 절연체(14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중앙부(131A)의 외주면은 제1 절연체(141)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후방부(131B)는 제1 중앙부(131A)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후방부(131B)는 제1 절연체(141)의 후방 및 플러그 바디(110)의 후방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후방부(131B)의 후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방부(131B)의 직경은 제1 중앙부(131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방부(131C)는 제1 중앙부(131A)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방부(131C)는 제1 절연체(141)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41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방부(131C)의 직경은 제1 중앙부(131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방부(131C)는 가이드돌기(141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방부(131C)의 외주면은 가이드돌기(141A)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전방부(131C)의 전단부에는 제2 내부 컨덕터(132)의 제2 후방부(132B)가 삽입되어 상기 관절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홈(131E)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31E)은 제1 전방부(131C)의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 컨덕터(132)는 제2 중앙부(132A), 제2 후방부(132B) 및 제2 전방부(13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앙부(132A)의 외주면에는 제2 압입돌기(132D)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압입돌기(132D)는 제2 중앙부(132A)의 둘레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압입돌기(132D)는 제2 절연체(142)의 내주면에 압입될 수 있다. 제2 압입돌기(132D)는 제2 절연체(142)의 내주면에 압입되어서, 제2 중앙부(132A)는 제2 절연체(142)에 결합할 수 있다. 제2 중앙부(132A)는 제2 절연체(14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중앙부(132A)의 외주면은 제2 절연체(142)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후방부(132B)는 제2 중앙부(132A)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후방부(132B)는 제2 절연체(142)의 후방부에 형성된 가이드홈(142D)으로 돌출 배치되어, 가이드홈(142D)에 삽입된 가이드돌기(141A) 내에 배치된 제1 전방부(131C)의 삽입홈(131E)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2 후방부(132B)의 직경은 제2 중앙부(132A)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방부(132B)의 후단 외주면에는 제3 밀착돌기(132F)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밀착돌기(132F)는 제1 내부 컨덕터(131)의 제1 전방부(131C)에 형성된 삽입홈(131E) 내에서 제1 전방부(131C)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후방부(132B)에는 복수개의 제3 슬릿(132E)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 슬릿(132E)은 제3 밀착돌기(132F)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후방부(132B)는 제1 내부 컨덕터(131)의 제1 전방부(131C)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 슬릿(132E)은 제2 내부 컨덕터(132)의 제2 후방부(132B)를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하는 실질적인 구성일 수 있다.
제2 전방부(132C)는 제2 중앙부(132A)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전방부(132C)는 제2 절연체(142)의 전면 중심에서 전방으로 돌출 배치되어 외부 컨덕터(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방부(132C)의 직경은 제2 중앙부(132A)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방부(132C)의 전단 외주면에는 제4 밀착돌기(132H)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컨덕터(120)의 전방부가 잭 커넥터(200)의 잭 바디(210) 내에 삽입되어 잭 바디(210)에 연결된 상태일 때, 제2 전방부(132C)는 잭 커넥터(200)의 컨덕터(231, 도 8 및 도 9 참조)의 전방부(231C, 도 8 및 도 9 참조)에 형성된 삽입홈(231E, 도 9 참조)에 삽입된 상태가 되는데, 이 때 제4 밀착돌기(132H)는 전방부(231C)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전방부(132C)에는 복수개의 제4 슬릿(132G)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4 슬릿(132G)은 제4 밀착돌기(132H)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전방부(132C)는 잭 커넥터(200)의 컨덕터(231)의 전방부(231C)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4 슬릿(132G)은 제2 전방부(132C)를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하는 실질적인 구성일 수 있다.
제2 절연체(142)는 제2 대경부(142A) 및 제2 소경부(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대경부(142A)는 제2 절연체(142)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소경부(142B)는 제2 대경부(142A)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2 절연체(142)의 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대경부(142A)의 외경은 제2 소경부(142B)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소경부(142B)의 외경은 제2 대경부(142A)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대경부(142A)의 후방부 외주면은 외부 컨덕터(120)의 후방부 내주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컨덕터(120)의 후방부는 외부 컨덕터(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걸림돌기(125)를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소경부(142B)의 외주면은 외부 컨덕터(120)의 전방부 내주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컨덕터(120)의 전방부는 제2 슬릿(124)을 포함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대경부(142A)의 후방부 외주면이 외부 컨덕터(120)의 후방부 내주면에서 이격되고, 제2 소경부(142B)의 외주면이 외부 컨덕터(120)의 전방부 내주면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외부 컨덕터(120)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절연체(142)에는 제2 내부 컨덕터(132)가 결합되는 제2 결합홀(141C)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홀(142C)은 제2 절연체(142)의 후면 중심에서부터 전면 중심까지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홀(142C)은 제2 대경부(142A)의 후면 중심에서부터 제2 소경부(142B)의 전면 중심까지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 컨덕터(132)의 제1 중앙부(131A) 외주면은 제1 절연체(141)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고, 제1 내부 컨덕터(132)의 제1 전방부(131C) 외주면은 가이드돌기(141A)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제2 내부 컨덕터(132)의 제2 중앙부(132A) 외주면은 제2 대경부(142A)의 전방부 내주면 및 제2 소경부(142B)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에 포함되는 탄성부재(150)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520, 도 5 내지 도 7 참조)가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100)가 잭 커넥터(200)와 연결될 시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520)가 외부 컨덕터(120)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100)가 잭 커넥터(200)와 연결된 후 플러그 커넥터(100)에 외력이 제거되면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520)는 외부 컨덕터(12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150)에 대해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탄성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탄성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탄성부재(150)는 링형 결합판부(151) 및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링형 결합판부(151)는 플러그 바디(110) 내에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110)의 내주면에는 링형 결합판부(151)가 결합되는 결합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17)은 플러그 바디(11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50)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플러그 바디(110)의 전방 개구를 통해 플러그 바디(110) 내로 삽입된 후, 링형 결합판부(151)는 결합홈(117)에 탄성복원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또는, 탄성부재(150) 및 외부 컨덕터(120)를 플러그 바디(110) 내에 설치하기 위해, 플러그 바디(110)를 도면에 개시된 단일 구성이 아닌 두 개 이상의 구성으로 분할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변경 실시될 수도 있다. 또는, 플러그 바디(110)의 후면에 형성된 절연체 결합홀(115)과, 이 결합홀(115)에 결합되는 제1 절연체(141)의 직경을 도면에 개시된 것보다 크게 형성하여, 결합홀(115)을 통해 탄성부재(150) 및 외부 컨덕터(120)를 플러그 바디(110) 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2)는 외부 컨덕터(120)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다.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2)의 내주면은 외부 컨덕터(120)의 후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밀착돌기(121)에 접촉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를 잭 커넥터(200)와 연결할 시 플러그 커넥터(10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외부 컨덕터(12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데, 이 때 제1 밀착돌기(121)가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2)를 가압함으로써,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2)는 외부 컨덕터(120)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다.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2)는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경사져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100)를 잭 커넥터(200)와 연결할 시 플러그 커넥터(10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외부 컨덕터(12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2)는 서로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탄성변형될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100)가 잭 커넥터(200)와 연결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2)는 원위치로 이동되면서 외부 컨덕터(120)에 충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2)는 링형 결합판부(151)의 내주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2)는 링형 결합판부(151)와의 사이에 배치된 절곡부를 기준으로 벌어지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150)를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후방에서 볼 때,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2)의 단면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가상의 원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50)에는 복수개의 제1 슬릿(153) 및 복수개의 절개홀(154)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슬릿(153)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3)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절개홀(154)은 복수개의 제1 슬릿(153) 각각의 전단에서 원주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절개홀(154)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절개홀(154)은 링형 결합판부(151) 및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2) 사이의 절곡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와 연결되는 잭 커넥터(200)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잭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잭 커넥터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잭 커넥터(200)는 잭 바디(210), 절연체(241) 및 컨덕터(231)를 포함할 수 있다.
잭 바디(210)는 잭 커넥터(200)의 가장 외측 구성일 수 있다. 잭 바디(210)는 잭 커넥터(200)의 외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잭 바디(210)의 전단부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 및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플레어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외부 컨덕터(120)의 전방부는 잭 바디(210)의 전방에서 잭 바디(2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데, 플레어부(212)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외부 컨덕터(120)의 전방부가 잭 바디(210)의 내부로 쉽게 삽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절연체(241)는 대경부(241A) 및 소경부(241B)를 포함할 수 있다. 대경부(241A)는 절연체(241)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고, 소경부(241B)는 대경부(241A)의 전면 중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절연체(241)의 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대경부(241A)의 외경은 소경부(241B)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소경부(241B)의 외경은 대경부(241A)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대경부(241A)는 잭 바디(2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잭 바디(210)의 후단부에는 원형의 절연체 결합홀(215)이 형성될 수 있고, 대경부(241A)는 절연체 결합홀(215)에 삽입 배치되어, 절연체 결합홀(215)의 내주면에 형성된 압입돌기(도면부호 미표기)에 의해 잭 바디(21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소경부(241B)는 절연체 결합홀(215)의 전방에 배치되는 잭 바디(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체(241)의 중심에는 컨덕터(231)가 결합되는 결합홀(241C)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241C)은 절연체(241)의 후단 중심에서부터 절연체(241)의 전단 중심까지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홀(241C)은 대경부(241A)의 후단 중심에서부터 소경부(241B)의 전단 중심까지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컨덕터(231)는 절연체(241)를 전후로 관통하여 절연체(241)에 결합될 수 있다. 컨덕터(231)의 후방부(231B)는 잭 바디(210)의 후방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이 돌출 배치된 컨덕터(231)의 후단부는 RF 통신용 전자부품의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되어 결합될 수 있다.
컨덕터(231)는 중앙부(231A), 후방부(231B) 및 전방부(231C)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231A)의 외경은 후방부(231B)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전방부(231C)의 외경은 중앙부(231A)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231A)의 외주면은 절연체(241)의 대경부(241A)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고, 후방부(231B)는 절연체(241)의 대경부(241A) 후방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으며, 전방부(231C)의 외주면은 절연체(241)의 소경부(241B)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중앙부(231A)의 외주면에는 압입돌기(231D)가 형성될 수 있다. 압입돌기(231D)는 중앙부(231A)의 둘레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압입돌기(231D)는 절연체(241)의 대경부(241A) 내주면에 압입될 수 있다. 압입돌기(231D)는 대경부(241A)의 내주면에 압입되어서, 중앙부(231A)는 대경부(241A)에 결합할 수 있다.
후방부(231B)는 중앙부(231A)의 후면 중심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방부(231B)는 절연체(241)의 후방 및 잭 바디(210)의 후방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후방부(231B)의 후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부(231B)의 직경은 중앙부(231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부(231C)는 중앙부(231A)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부(231C)의 전면에는 삽입홈(231E)이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외부 컨덕터(120) 전방부가 잭 커넥터(200)의 잭 바디(210) 내에 삽입되어 잭 바디(210)에 연결된 상태일 때, 플러그 커넥터(100)의 제2 내부 컨덕터(132)의 제2 전방부(132C)는 잭 커넥터(200)의 컨덕터(231)의 전방부(231C)에 형성된 삽입홈(231E)에 삽입되어 컨덕터(23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는, 탄성부재(150)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경사져서 배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152)가 형성되어, 탄성변형판부(152)는 외부 컨덕터(120)에 의해 탄성변형되기 때문에, 외부 컨덕터(120)가 잭 커넥터(200)와의 연결 후에 외력이 제거될 시 탄성복원력을 충분히 확보하여 잭 커넥터(200)와 연결될 시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는, 외부 컨덕터(120) 중 탄성변형판부(152)에 접촉되는 일단부에 상기 탄성복원력을 생성하기 위한 슬릿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탄성복원력을 생성하기 위해 복수개의 탄성변형부(152)가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경사져서 배치되어 플러그 바디(11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므로, 가볍고 간단한 구조로 강성을 확보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플러그 커넥터 110 : 플러그 바디
111 : 제1 걸림돌기 117 : 결합홈
120 : 외부 컨덕터 121 : 제1 밀착돌기
122 : 제2 밀착돌기 124 : 제2 슬릿
125 : 제2 걸림돌기 131 : 제1 내부 컨덕터
132 : 제2 내부 컨덕터 141 : 제1 절연체
141A : 가이드돌기 141B : 제1 대경부
141C : 제2 소경부 142 : 제2 절연체
142A : 제2 대경부 142B : 제2 소경부
142D : 가이드홈 150 : 탄성부재
151 : 링형 결합판부 152 : 탄성변형판부
153 : 제1 슬릿 154 : 절개홀
200 : 잭 커넥터 210 : 잭 바디

Claims (10)

  1. 플러그 바디;
    상기 플러그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절연체;
    상기 제1 절연체의 중심에 결합되고, 후단부가 상기 플러그 바디의 후방으로 돌출 배치되는 제1 내부 컨덕터;
    상기 플러그 바디의 전방으로 전단부가 돌출 배치되고, 후단부는 상기 플러그 바디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 컨덕터;
    상기 외부 컨덕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절연체;
    상기 제2 절연체의 중심에 결합되고, 전단부가 상기 제2 절연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부 컨덕터 내에 배치되며, 후단부는 상기 제1 내부 컨덕터의 전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내부 컨덕터; 및
    상기 플러그 바디 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컨덕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외부 컨덕터의 후단에 내주면이 접촉되어 상기 외부 컨덕터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경사져서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플러그 바디 내에 결합되는 링형 결합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는 상기 링형 결합판부의 내주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후방에서 볼 때,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의 단면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가상의 원상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 사이를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제1 슬릿과,
    상기 복수개의 제1 슬릿 각각의 전단에서 원주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절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슬릿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절개홀은 상기 링형 결합판부 및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 사이의 절곡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링형 결합판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덕터의 후단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판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1 밀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컨덕터의 전단 외주면에는 잭 커넥터의 잭 바디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2 밀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 컨덕터의 전방부에는 상기 제2 밀착돌기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 슬릿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밀착돌기는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의 전면에는 상기 제1 내부 컨덕터의 전방부가 삽입 배치되는 가이드돌기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절연체의 후방부는 상기 가이드돌기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체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 배치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후방부를 형성하는 제1 대경부와,
    상기 제1 대경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의 전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대경부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1 소경부를 포함하는,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체는,
    상기 제2 절연체의 후방부를 형성하는 제2 대경부와,
    상기 제2 대경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절연체의 전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대경부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2 소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대경부의 후방부 외주면은 상기 외부 컨덕터의 후방부 내주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2 소경부의 외주면은 상기 외부 컨덕터의 전방부 내주면에서 이격되는,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KR1020230068966A 2023-05-30 2023-05-30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KR102651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966A KR102651528B1 (ko) 2023-05-30 2023-05-30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966A KR102651528B1 (ko) 2023-05-30 2023-05-30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528B1 true KR102651528B1 (ko) 2024-03-28

Family

ID=9048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966A KR102651528B1 (ko) 2023-05-30 2023-05-30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5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131B1 (ko) * 2018-05-03 2019-08-01 주식회사 엠피디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KR102065525B1 (ko) * 2019-06-04 2020-01-13 주식회사 엠피디 기판연결용 커넥터
KR102122687B1 (ko) 2019-11-08 2020-06-26 주식회사 기가레인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되는 커넥터
KR20230026839A (ko) * 2021-08-18 2023-02-27 주식회사 비마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131B1 (ko) * 2018-05-03 2019-08-01 주식회사 엠피디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KR102065525B1 (ko) * 2019-06-04 2020-01-13 주식회사 엠피디 기판연결용 커넥터
KR102122687B1 (ko) 2019-11-08 2020-06-26 주식회사 기가레인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되는 커넥터
KR20230026839A (ko) * 2021-08-18 2023-02-27 주식회사 비마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5681C (en) Rf module
US991740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entral shield
US7008267B2 (en) Shielded board-mounted electrical connector
CA2756189C (en) Rf connector assembly
JP3153260U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522144B2 (ja) 電気コネクタ
TWI578629B (zh) 插頭連接器及與之對接的插座連接器
US6343951B1 (en) Electrical connector
EP2946444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backplane connector and daughtercard connector
US782419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wo engaging portions
US20070141890A1 (en) Electrical connector
TWM517932U (zh) 連續接地改善串音的高頻連接器
CN113131243A (zh) 电连接器
US1117145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structure and shielding
JP7214837B2 (ja) ヘッダコネクタ
KR102651528B1 (ko)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KR20220133292A (ko) 접촉 조립체의 탄성 암을 스터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US10686270B2 (en) Modular plug with metal shielding cover and communication cable
CN211126180U (zh) 插座及具有该插座的高速背板连接器
KR102584061B1 (ko) 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KR102516102B1 (ko)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US9787041B1 (en)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CN114243387A (zh) 电连接器
JPS5851391B2 (ja) コネクタ
WO2019217521A1 (en) Coaxial connec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