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238B1 -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238B1
KR102651238B1 KR1020230162577A KR20230162577A KR102651238B1 KR 102651238 B1 KR102651238 B1 KR 102651238B1 KR 1020230162577 A KR1020230162577 A KR 1020230162577A KR 20230162577 A KR20230162577 A KR 20230162577A KR 102651238 B1 KR102651238 B1 KR 102651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ble
male connector
water level
hold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진구
최승원
김성진
임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to KR1020230162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외부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커넥터와 커넥터 사이를 체결 상태로 고정시켜, 풀림을 방지하고 체결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원자로 수위 감시를 위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선단에 설치된 수커넥터와, 신호 전송을 위한 외부케이블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커넥터에 끼워져 연결되는 암커넥터의 접속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결합 상태로 고정하는 구조의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1415186556
[과제번호] 20222B10100120
[부처명] 산업통상자원부
[과제관리 전문기관명]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연구사업명] 원전 안전운영을 위한 핵심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기술개발사업
[기여율] 1/1
[과제수행기관명] ㈜우진
[연구기간] 2023-04-01 ~ 2023-12-31

Description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APPARATUS FOR MOUNTING CONNECTOR OF HEATED JUNCTION THERMOCOUPLE PROBE ASSEMBLY}
본 개시 내용은 원자로 수위 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로에는 수위 감시를 위한 수위계측기(HJTC;Heated Junction Thermocouple)가 구비된다. 수위계측기는 열전대와 히터가 구비되고, 전력과 온도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MI cable)이 연결된다. 원자로 상단으로 연장된 케이블은 신호 전송을 위한 외부케이블과 커넥터를 매개로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선단에 구비된 수커넥터(Receptacle)에 외부 케이블의 암커넥터(Plug)가 암수형태로 끼워져 접속될 수 있다. 암수 커넥터들을 끼워 결합하는 것으로 열전대와 외부 제어부 사이를 손쉽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케이블은 전력이나 신호를 전송하는 전선 등을 감싸 보호한다. 커넥터는 케이블 내부에 마련된 전선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를 구비하며 케이블의 선단에 견고하게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케이블과 커넥터 사이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수위계측기 케이블의 커넥터와 외부 케이블의 커넥터 사이는 단순히 암수 형태로 끼워져 결합된 상태로, 진동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이에, 원자로 가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커넥터의 체결력이 저하되면서 신호 전송 불량이나 오작동이 발생되고, 심한 경우 커넥터들이 풀려 분리 이탈되면서 연결이 완전히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과제는 외부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커넥터와 커넥터 사이를 체결 상태로 고정시켜, 풀림을 방지하고 체결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고정장치는, 원자로 수위 감시를 위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선단에 설치된 수커넥터와, 신호 전송을 위한 외부케이블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커넥터에 끼워져 연결되는 암커넥터의 접속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결합 상태로 고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암커넥터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암커넥터가 안착되는 하체, 하체 선단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암커넥터의 하단을 걸어 고정하는 하단플랜지, 하체 상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커넥터가 위치하는 상체를 포함하고, 축방향을 따라 절단되어 두 개로 분할되고 상기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감싸며 설치되는 홀더몸체; 중심부에 수커넥터가 통과하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홀더몸체의 상체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에 나사체결되어 분할된 홀더몸체를 결합하는 너트부재; 중심부에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고 상기 수커넥터는 걸리도록 된 홀을 형성하며, 두 개로 분할되어 상기 케이블 외측을 감싸며 설치되고, 상기 홀더몸체의 상체 선단과 상기 너트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는 외주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몸체의 상체 선단이 끼워지는 슬롯을 형성하는 내경부재와 외경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상체 선단이 상기 내경부재와 외경부재 사이의 슬롯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인서트는 분할 면이 상기 홀더몸체의 분할면과 일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홀더몸체를 결합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의 상체 선단에는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상기 내경부재와 외경부재가 안착되는 내측단턱과 외측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부재와 외경부재 사이 및 상기 내경부재와 상기 수커넥터 사이 간섭을 방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인서트와 상기 너트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너트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적어도 한 겹 이상의 웨이브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구현예에 의하면, 커넥터 사이를 체결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함에 따라 원자로 가동에 따른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도 두 커넥터 사이의 풀림을 방지하고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신호 전송 불량을 방지하고 설비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커넥터를 외부에서 완전히 감싸 보호함으로써, 커넥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분할되어 있는 홀더몸체가 인서트의 슬롯에 끼워져 설치됨으로써, 홀더몸체가 측방향으로 흔들려 벌어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전, 후, 제1, 제2, 일 측, 타 측 등과 같은 표현은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술적 의의가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실시예는 원자로 수위 감지를 위해 구비되는 수위계측기의 케이블과 신호 전송을 위한 외부케이블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설치되어 커넥터를 고정하는 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원자로 외에 진동 등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는 설비에 구비되는 각종 케이블의 커넥터에 대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에서 y축 방향을 축방향이라 하고,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상 또는 상부라 하고 아래쪽을 하 또는 하부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정장치(10)는, 원자로 수위 감시를 위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120)과 신호 전송을 위한 외부케이블(100)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110,130)에 설치되어 커넥터 간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고 그 결합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위계측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위쪽에 위치하고 외부케이블의 커넥터가 아래에 위치하도록 도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수위계측기 케이블(120)의 선단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수커넥터(130)라 하고, 외부케이블(100)의 선단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암커넥터(110)라 한다. 수커넥터(130)과 암커넥터(110)은 예를 들어, 원형의 5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터(110,130)라 함은 서로 끼워져 맞물려 있는 수커넥터(130)과 암커넥터(110)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고정장치(10)는 커넥터(110,130) 외측을 감싸 고정하는 홀더몸체(20), 홀더몸체(20)에 체결되는 너트부재(40), 홀더몸체(20)와 너트부재(40) 사이에 설치되는 인서트(60), 인서트(60)와 너트부재(40) 사이에 설치되는 웨이브와셔(8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몸체(20)는 상하로 관통된 원통 형태로, 상부는 수커넥터(130)가 안착되는 상체(22)를 이루며 하부는 암커넥터(110)가 안착되는 하체(24)를 이룬다. 상체(22)와 하체(24)는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몸체(20)는 축방향을 따라 절단되어 두 개로 분할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두 개로 분할된 홀더몸체(20)를 분리 결합하여, 커넥터(110,130)를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몸체(20)가 커넥터(110,130)를 감싸며 설치될 수 있다.
하체(24)는 암커넥터(11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암커넥터(130)가 안착될 수 있다.
상체(22)는 하체(24) 상부에 축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체(22)는 수커넥터(130)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수커넥터(130)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계측기 케이블(120) 선단에 설치되는 수커넥터(130)은 케이블(1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상체(24) 역시 수커넥터(130)의 직경과 크기에 맞춰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와 케이블 사이에 백셀(back shell)이 구비된 케이블의 경우, 상체(24) 역시 커넥터와 백셀의 직경과 크기에 맞춰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체(24)의 선단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암커넥터(110)의 하단을 걸어 고정하는 하단플랜지(2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에 백셀이 구비된 경우, 하단플렌지는 벡셀의 하단을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에, 홀더몸체(20)가 커넥터를 감싸며 설치되면 하체(24)에 형성된 하단플랜지(21)가 암커넥터(110)의 하단 또는 백셀의 하단에 걸리게 된다. 이에, 암커넥터(110)가 하체(24)에서 아래로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홀더몸체(20)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두 개로 분리된 홀더몸체(20)가 커넥터(110,130)의 외측에서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암커넥터(110)과 수커넥터(130)을 감싸며 설치될 수 있다.
상체(22)의 외주면에는 너트부재(40)와의 체결을 위한 수나사(25)가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60)는 홀더몸체(20)의 상체(22) 선단에 끼워져 설치된다.
인서트(60)는 수커넥터(130)가 암커넥터(110)에서 이탈되어 위쪽으로 이동되어 너트부재(40)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두 개로 분할되어 있는 홀더몸체(20)를 결합하여 홀더몸체(20)가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인서트(60)는 중심부에 외부케이블(100)이 관통되고 수커넥터(130)은 걸리도록 된 홀(61)을 형성하며, 축방향을 따라 절단되어 두 개로 분할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두 개로 분할된 인서트(60)를 분리 결합하여, 외부케이블(100) 외측을 감싸며 설치될 수 있다.
인서트(60) 중심에 형성된 홀(61)은 수커넥터(13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수커넥터(130)은 인서트(60)의 홀(61)에 걸려 위쪽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이에, 수커넥터(130)가 암커넥터(110)에서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계측기 케이블(120) 선단에 설치되는 수커넥터(130)은 케이블(1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수커넥터(130)은 인서트(60)의 홀(61)을 통과하지 못하고 인서트(60)에 걸리게 된다.
인서트(60)는 두 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수커넥터(130)가 홀더몸체(20) 내부로 삽입되어 암커넥터(11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케이블(120) 외측에 용이하게 분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60)의 하부에는 상체(22) 선단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내경부재(62)와 외경부재(64)가 이격 형성된다. 내경부재(62)와 외경부재(64)는 축방향을 따라 아래로 돌출되고 인서트(60)의 외주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격 배치된 내경부재(62)와 외경부재(64) 사이의 공간이 상체(22) 선단이 끼워지는 슬롯(66)을 이룬다.
이에, 인서트(60)는 내경부재(62)와 외경부재(64) 사이의 슬롯(66)에 상체(22)의 선단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60)는 분할면이 홀더몸체(20)의 분할 면과 일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홀더몸체(20)를 결합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인서트(60)는 분할 면이 홀더몸체(20)의 분할면 방향에 대해 90도 각도(R)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홀더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홀더몸체(20)의 유동에 따른 외력이 분할된 두 개의 인서트(60)에 보다 균일하게 전달되어, 큰 외력에도 홀더몸체(20)의 흔들림이나 벌어짐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두 개로 분리되어 있는 홀더몸체(20)는 인서트(60)의 슬롯(66)에 상체(22) 선단이 끼워지면서 측방향으로 유동되거나 흔들려 벌어지지 않고 맞물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몸체(20)의 상체(22) 선단에는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내경부재(62)와 외경부재(64)가 안착되는 내측단턱(32)과 외측단턱(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내경부재(62)는 내측단턱(32)에 놓여 상체(22)의 내주면보다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체(22) 내부에 안착되는 수커넥터(130)과 내경부재(62) 사이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경부재(64) 역시 외측단턱(34)에 놓여 상체(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25)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체(22) 외측의 수나사(25)에 너트부재(4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너트부재(40)와 외경부재(64) 사이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단턱(32)과 외측단턱(34) 사이 상체(22)의 선단 두께는 인서트(60)의 슬롯(66) 폭과 대응될 수 있다. 이에, 상체(22)의 선단이 인서트(60)의 슬롯(66)에 긴밀하게 끼워져 삽입되면서 두 개로 분할되어 있는 홀더몸체(2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60)가 두 개로 분할된 홀더몸체(20)를 맞물려 고정하고 있게 되어, 홀더몸체(20)의 상체(22)가 정확하게 원형을 유지한 상태로 너트부재(40)를 상체(22)의 나사산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인서트가 없는 경우, 홀더몸체를 접합하여 원형으로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고, 너트부재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홀더몸체가 유동되어 어긋나면서 체결 작업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
너트부재(40)는 상체(22)의 수나사(25)에 체결되어 홀더몸체(20)가 고정한다.
본 실시예의 너트부재(40)는 하단이 개방된 원통형태로, 상단 중심부에는 암커넥터(110)이 통과하는 관통홀(41)을 형성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홀더몸체(20)의 상체(22)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25)에 나사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두 개로 분할된 홀더몸체(20)가 너트부재(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관통홀(41)은 대략 수커넥터(13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수커넥터(130)을 관통시켜 외부케이블(100)에 끼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너트부재(40)가 홀더몸체(20)의 상체(22)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홀더몸체(20)와 너트부재(40) 사이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외부 진동에도 홀더몸체(20)에서 너트부재(40)가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60)와 너트부재(40) 사이에는 적어도 한 겹 이상으로 적층된 웨이브와셔(80)가 설치될 수 있다. 웨이브와셔(80)가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인서트(60)와 너트부재(40) 사이에 탄성력을 가함에 따라 너트부재(4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웨이브와셔(80)가 고정장치(10)로 인가되는 진동을 탄성적으로 흡수함에 따라 원자로에서 발생되는 외부 진동이나 충격, 지진 등에 의해 너트부재(40)가 홀더몸체(20)의 상체(22)에서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고정장치(10)를 커넥터(110,130)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너트부재(40)와 웨이브와셔(80)를 수커넥터(130)에 결합되어 있는 케이블(120)에 끼워 놓는다. 너트부재(40)에 형성된 관통홀(41)과 웨이브와셔(80)의 내경은 수커넥터(130)의 직경 보다 크므로, 수커넥터(130)을 관통홀(41)과 웨이브와셔(80) 중심으로 통과시켜 너트부재(40)와 웨이브와셔(80)를 케이블(120)에 끼워 넣을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블(120)의 수커넥터(130)을 외부케이블(100)의 암커넥터(120)에 체결하여 접속한다. 수커넥터(130)와 암커넥터(110)가 결합되면 커넥터(110,130) 외측에 홀더몸체(20)를 감싸 설치한다.
홀더몸체(20)가 커넥터(110,130)를 감싸며 결합되면 인서트(60)를 홀더몸체(20)의 상단에 조립한다. 두 개로 분할되어 있는 인서트(60)를 상체(22) 외측으로 연장된 케이블(120) 외측에서 맞물리고 상체(22)에 끼워줌에 따라 인서트(60)의 내경부재(62)와 외경부재(64) 사이의 슬롯(66)에 상체(22) 선단이 끼워지면서 상체(22)와 인서트(60)가 결합된다.
인서트(60)가 상체(22)에 결합되면, 케이블(120)에 미리 끼워져 있던 웨이브와셔(80)를 인서트(60) 위에 위치시키고 너트부재(40)를 상체(22)의 외주면에 나사체결함으로써, 홀더몸체(20)를 고정한다.
이에, 홀더몸체(20)가 커넥터를 감싸며 고정 설치되고, 홀더몸체(20) 내부에서 결합되어 있는 수커넥터(130)와 암커넥터(110)는 홀더몸체(20)와 인서트(60)에 의해 걸려 있어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외부 진동에 의해 수커넥터(130)와 암커넥터(110)가 상하로 이동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고정장치 20 : 홀더몸체
21 : 하단플랜지 22 : 상체
24 : 하체 25 : 수나사
32 : 내측단턱 34 : 외측단턱
40 : 너트부재 41 : 관통홀
60 : 인서트 61 : 홀
62 : 내경부재 64 : 외경부재
66 : 슬롯 80 : 웨이브와셔

Claims (4)

  1. 원자로 수위 감시를 위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선단에 설치된 수커넥터와 신호 전송을 위한 외부케이블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커넥터에 끼워져 연결되는 암커넥터의 접속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결합 상태로 고정하는 구조의 고정장치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암커넥터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암커넥터가 안착되는 하체, 하체 선단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암커넥터의 하단을 걸어 고정하는 하단플랜지, 하체 상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커넥터가 위치하는 상체를 포함하고, 축방향을 따라 절단되어 두 개로 분할되고 상기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감싸며 설치되는 홀더몸체;
    중심부에 수커넥터가 통과하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홀더몸체의 상체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에 나사체결되어 분할된 홀더몸체를 결합하는 너트부재;
    중심부에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고 상기 수커넥터는 걸리도록 된 홀을 형성하며, 두 개로 분할되어 상기 케이블 외측을 감싸며 설치되고, 상기 홀더몸체의 상체 선단과 상기 너트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인서트;
    를 포함하는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와 상기 너트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너트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적어도 한 겹 이상의 웨이브와셔를 더 포함하는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외주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몸체의 상체 선단이 끼워지는 슬롯을 형성하는 내경부재와 외경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상체 선단이 상기 내경부재와 외경부재 사이의 슬롯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의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의 상체 선단에는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상기 내경부재와 외경부재가 안착되는 내측단턱과 외측단턱이 형성된 구조의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
KR1020230162577A 2023-11-21 2023-11-21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 KR10265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2577A KR102651238B1 (ko) 2023-11-21 2023-11-21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2577A KR102651238B1 (ko) 2023-11-21 2023-11-21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238B1 true KR102651238B1 (ko) 2024-03-26

Family

ID=9047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2577A KR102651238B1 (ko) 2023-11-21 2023-11-21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2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1338A2 (en) * 1987-10-05 1989-04-12 Labinal Components And Systems, Inc.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retaining ratchet
US20020166693A1 (en) * 2000-12-20 2002-11-14 Dancy Kevin Charles Termination coupling for mineral insulated cable
JP3126613U (ja) * 2006-08-22 2006-11-02 光紅建聖股▲分▼有限公司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取外し防止ブッシング
JP2009259419A (ja) * 2008-04-11 2009-11-05 Yukei Hayashi コネクター
KR200468378Y1 (ko) * 2011-12-02 2013-08-09 주식회사 우진 케이블 어셈블리용 커넥터 결합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1338A2 (en) * 1987-10-05 1989-04-12 Labinal Components And Systems, Inc.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retaining ratchet
US20020166693A1 (en) * 2000-12-20 2002-11-14 Dancy Kevin Charles Termination coupling for mineral insulated cable
JP3126613U (ja) * 2006-08-22 2006-11-02 光紅建聖股▲分▼有限公司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取外し防止ブッシング
JP2009259419A (ja) * 2008-04-11 2009-11-05 Yukei Hayashi コネクター
KR200468378Y1 (ko) * 2011-12-02 2013-08-09 주식회사 우진 케이블 어셈블리용 커넥터 결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7064C1 (ru) Кабельный блок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и расходомер, использующий такой кабельный блок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US9847612B2 (en) Connector
JPH0799073A (ja) 電気コネクタ
EP3934037A2 (en) Cable lead-out system
KR102651238B1 (ko) 원자로 수위계측기의 케이블 커넥터 고정 장치
US4906199A (en) Shield grounding connector and method
US4526430A (en) Marine seismic cable connector
EP4129573A1 (en) Bolting device
EP3179287A1 (en) Optical fiber penetration
US20190280427A1 (en) Hinged strain relief backshells,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for strain relief
KR100709277B1 (ko) 단축가속도계를 이용해 횡방향 봉 진동 측정을 위한 봉내삽입형 이축가속도 신호계측 치구
US5442665A (en) Strain gauge instrumentation device for in-core monitor housings
CN205900952U (zh) 用于采集地震数据的电子装置
CN221006549U (zh) 保护接头装置及包括其的称重模块
US20130034987A1 (en) Connection Terminal Block
CN211480377U (zh) 一种连接器
CN208254682U (zh) 一种分体式轴承温度传感器
KR20140091992A (ko) 원자로의 진동 측정 장치
JP3771994B2 (ja) 耐圧防爆型ロードセル
US5131067A (en) Mechanical fuse device for the access cable to a submerged equipment housing
RU2753432C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крышки к корпусу подводного модуля управления
CN220399499U (zh) 阻抗匹配转接装置
CN221077857U (zh) 一种温度传感器的固定组件及连接器
CN220819178U (zh) 线缆穿管保护接头装置及包括其的称重模块
US5975942A (en) Mechanical strain relie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