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164B1 -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164B1
KR102651164B1 KR1020230088695A KR20230088695A KR102651164B1 KR 102651164 B1 KR102651164 B1 KR 102651164B1 KR 1020230088695 A KR1020230088695 A KR 1020230088695A KR 20230088695 A KR20230088695 A KR 20230088695A KR 102651164 B1 KR102651164 B1 KR 102651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ling
player
separation fram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진
김태형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카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카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카타산업
Priority to KR102023008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02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2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에 있어서, 타석과 타석 사이의 공간을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한쌍의 분리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 {Cooling and heating system for driving range}
본 발명은 골프연습장에 설치되어 플레이어에게 쾌적한 연습 환경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쿨링 및 히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냉방 및 난방기능을 제어하는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스포츠 중 하나로, 그 연습을 위한 시설인 골프 연습장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골프 연습장은 대부분 야외에 위치하고 있어, 계절에 따른 기후 영향을 크게 받는다. 특히, 겨울철에는 추위, 여름철에는 더위로 인해 연습자들이 오랜 시간동안 연습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골프 연습장에 난방 및 냉방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난방 및 냉방 장치는 공간 전체를 일률적으로 난방하거나 냉방하는 방식이었기에, 개개인의 체감 온도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연습자가 연습을 잠시 중단하거나, 연습장을 이탈할 경우에도 난방 및 냉방 장치가 계속 작동하게 되어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게다가, 이러한 난방 및 냉방 장치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려면 연습자가 직접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연습에 집중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타석마다의 난방 및 냉방 상태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이 부재하여, 개개인의 필요에 따라 난방 및 냉방을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타석 간 공간을 구분하고, 각각의 타석에서 연습자의 움직임에 따라 개별적으로 난방 및 냉방을 제어하는 골프 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난방 및 냉방 장치는 공간 전체를 일률적으로 냉난방을 진행하지 않고, 개개인의 체감 온도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타석 간 공간을 구분함과 동시에, 각각의 타석에서 연습자의 움직임에 따라 개별적으로 난방 및 냉방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증가하도록 하는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에 있어서, 타석과 타석 사이의 공간을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한쌍의 분리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프레임은 상기 분리프레임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결합되어 타석을 향해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난방부; 상기 분리프레임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타측에 결합되어 타석을 향해 냉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방부; 상기 분리프레임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플레이어를 향해 배치된 거울부; 상기 분리프레임의 타단에 무선충전부; 상기 분리프레임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분리프레임에 구비된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플레이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것을 인식하면, 기 설정된 제1온도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난방부가 동작하고, 제2온도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냉방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가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않는 상태가 기 설정된 제1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난방부 및 상기 냉방부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난방부는 일 영역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열전도율이 상승하도록 마련된 열반사부;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도록 하는 열생성부; 및 상기 열반사부 및 상기 열생성부의 중앙에 각각 볼트와 너트의 형태로 고정 지지하도록 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볼트의 나사선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 제1중앙홀을 포함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볼트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볼트의 두께에 대응하는 제2중앙홀이 마련된 원형링을 포함하며, 상기 원형링은 상기 원형링의 테두리와 상기 제2중앙홀 사이에 상기 열생성부와 연결된 전기케이블 각각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프레임은 하단면에 상기 분리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전동식 모터에 의해 상하이동이 구비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하기 수학식1에 기초하여 도출된 높이로 조정하도록 제어하며,
[수학식1]
상기 수학식1에서 H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상기 분리프레임의 하단면과 지표면 사이에서의 높이를 의미하며, H0는 연령대에 따른 기본높이를 의미하며, L은 플레이어가 연습하는 골프클럽의 길이(cm)를 의미하며, Y는 플레이어가 평균적으로 타격 시 골프공을 보내는 비거리(yard)를 의미하며, w는 타격공간에서의 풍속(m/s)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난방 및 냉방 장치는 공간 전체를 일률적으로 냉난방을 진행하지 않고, 개개인의 체감 온도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타석 간 공간을 구분함과 동시에, 각각의 타석에서 연습자의 움직임에 따라 개별적으로 난방 및 냉방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증가하는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의 구성을 상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에서 난방부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 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의 구성을 상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에서 난방부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은 타석과 타석 사이의 공간을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한쌍의 분리프레임(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프레임(100)은 타석과 타석 사이의 공간을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분리프레임(100)은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 타석에서의 난방과 냉방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게 함으로써 플레이어의 개별적인 온도 조절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맞춤형 난방 및 냉방 환경이 구비된 타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프레임(100)은 높이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어, 각 사용자의 키에 맞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프레임(100)은 골프공이 타석공간 외부로 타격 될 시 인명피해를 감소하기 위한 방어벽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구조적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프레임(100)은 철강,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플라스틱 또는 이와 같은 재질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스테인레스 스틸은 그 뛰어난 내구성과 부식 저항성으로 인해 외부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알루미늄은 가벼운 무게와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므로, 분리프레임(100)의 이동이 필요할 경우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기에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복합적으로 사용한 구성이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프레임(100)은 내부에 보강재를 포함하는 복합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보강재는 철강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되며, 이는 플라스틱이나 기타 합성 물질로 이루어진 외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추가적인 강도와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분리프레임(100)은 더욱 향상된 내구성과 함께 높은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은 난방부(200)를 포함한다. 난방부(200)는 플레이어가 연습 중인 타석에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여 플레이어의 체감 온도를 조절하며, 이는 특히 추운 계절이나 야외에서의 연습 시 불편함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부(200)는 열을 생성하는 열생성부(220)와 이렇게 생성된 열을 적절하게 전달하는 열반사부(2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열생성부(220)는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며, 이는 반사판 등을 통해 플레이어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열생성부(220)는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서, 주로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주로 전류가 통과할 때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전기 저항체, 열선 또는 특정 온도 이상에서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여 열을 생성하는 소재를 사용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열생성부(220)는 일정한 전력을 공급받아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안한 난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반사부(210)는 생성된 열을 플레이어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으로 열반사부(210)는 보통 금속, 특히 알루미늄이나 철강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들은 재질은 열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최적의 난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열반사부(210)가 일정한 굴곡을 가진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이를 통해 열의 전달 범위를 더욱 넓히고, 열전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은 냉방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방부(300)는 주로 높은 온도에서 플레이어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는 선풍기, 에어컨, 또는 서큘레이터와 같은 냉방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냉방부(300)는 플레이어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는 냉방부(300)에 전방향 모터를 구비하여 서큘레이터와 같은 방식으로 냉기를 전방향으로 퍼뜨릴 수 있도록 형설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레이어가 어느 위치에서 든 균일하게 냉각 효과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편, 에어컨 형태의 냉방부(300)를 사용하는 경우, 냉매를 이용한 냉방 방식을 사용하며, 이러한 에어컨은 일반적으로 냉매가 압축, 팽창하는 과정을 통해 주변 공기를 냉각시키며, 선풍기 또는 서큘레이터 형태의 냉방부(300)를 사용하는 경우, 팬이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며, 플레이어에게 냉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은 거울부(500)를 포함한다. 거울부(500)는 플레이어가 스윙 동작을 자가 체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플레이어는 거울을 통해 자신의 자세와 스윙 동작을 직접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부분을 개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플레이어가 골프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500)는 분리프레임(100)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플레이어를 향해 배치되며, 거울의 크기와 위치는 플레이어가 자신의 전체 몸을 잘 보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거울은 강화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은 충격에 강하고 안전성이 높아서 플레이어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울부(500)는 필요에 따라 조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거울부(500)의 거울면은 플레이어의 키나 스윙 동작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레이어가 더욱 정확하고 세밀하게 자신의 스윙 동작을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은 꺾임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꺾임프레임은 골프공이 다른 타석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며, 꺾임프레임은 분리프레임(100)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일정 각도를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 일정 각도는 특히 타격된 골프공의 방향을 바꾸어 주변 타석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꺾임프레임의 구체적인 실시예로는 강화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 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재질의 프레임은 충격에 강하며, 날씨에 따른 외부 환경 변화에도 잘 견디어 골프 연습장에서의 장시간 사용에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꺾임프레임과 분리프레임(100)이 형성하는 각도는 플레이어의 타격 각도, 타격 힘, 공의 크기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꺾임프레임은 플레이어의 안전성을 높이고,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골프공이 다른 타석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은 무선충전부(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부(600)는 플레이어가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하며 보관 및 충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무선충전부(600)는 분리프레임(100)의 타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플레이어는 연습 중에도 자신의 전자기기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무선충전부(600)의 구체적인 실시예로는 Qi(치) 무선 충전 표준과 같은 표준을 따르는 무선 충전 패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드는 플레이어의 휴대폰이나 태블릿 등의 전자기기를 쉽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부(600)는 또한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비나 습기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충전 장치를 보호하며, 플레이어가 여러 가지 기상 조건에서도 안전하게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무선충전부(600)는 플레이어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중요한 구성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은 센서부(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800)는 플레이어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분리프레임(100)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800)의 구체적인 실시예로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비접촉 유형의 인체 감지 센서가 있다. 특히, 이러한 센서는 플레이어가 타석에 진입하거나, 타석에서 이탈하는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 정보를 제어부(700)에 전달하여 시스템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게 한다. 한편, 센서부(800)와 제어부(700)의 동작을 나눠서 설명하였으나 같은 공간에 배치된 하나의 센서장치에 의해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각의 독립된 구성으로 각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외선 센서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며, 이 신호는 제어부(700)로 전달되어 난방부(200)나 냉방부(30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플레이어가 타석에서 이탈하면, 센서부(800)는 움직임을 더 이상 감지하지 못하므로 제어부(700)는 난방부(200)와 냉방부(300)의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센서부(800)는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며, 또한 플레이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한편, 플레이어는 별도의 조작 없이 자신의 움직임에 따라 시스템이 자동으로 작동하거나 중지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이는 골프 연습에 집중할 수 있게 해주며, 또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은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00)는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 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쿨링 및 히팅 시스템 외에도 다른 외부의 전자장치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쿨링 및 히팅 시스템의 제조 시에 쿨링 및 히팅 시스템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쿨링 및 히팅 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쿨링 및 히팅 시스템으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700)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700)는 센서부(800)가 플레이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것을 인식하면, 기 설정된 제1온도조건에 대응하여 난방부(200)가 동작하고, 제2온도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냉방부(3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센서부(800)가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않는 상태가 기 설정된 제1시간 이상이 되면 난방부(200) 및 상기 냉방부(300)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700)는 다양한 환경 변수와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여 시스템의 적절한 동작을 제어하며, 주로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800)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난방부(200)나 냉방부(300)를 동작시키거나 중지시킨다.
한편, 제어부(700)는 기 설정된 온도 조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데, 예컨대, 제1온도조건이 설정되고, 이 조건이 충족될 경우 제어부(700)는 난방부(200)를 동작시키며, 반대로, 제2온도조건이 설정되고, 이 조건이 충족될 경우 제어부(700)는 냉방부(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700)는 각기 다른 온도 조건에 대응하여 난방부(200)와 냉방부(300)의 동작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센서부(800)가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일정 시간 동안 감지하지 않을 경우, 이를 인식하고 난방부(200)와 냉방부(30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제어부(700)는 설정된 시간 조건을 모니터링하여 조건의 충족 시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시간 조건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고, 고정된 값(예를 들어, 1시간)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00)는 또한 골프 연습장의 사용자가 장비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700)는 사용자가 각각의 온도 조건을 개인적인 선호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이러한 조건들은 제어부(700)에 저장되고, 사용자의 다음 방문 시에 자동으로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700)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00)는 또한 무선으로 업데이트되어 시스템의 기능을 개선하거나 버그를 수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연습장을 항상 최적의 상태로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700)는 센서부(800)에 마련된 적외선 센서를 활용하여 골프 연습장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데, 이때 이러한 적외선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플레이어가 존재하나 움직임이 없는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감지될 경우에 플레이어에 대한 위급 상황으로 판단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제3시간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위급 상황으로 판단하며, 이러한 상황에서 제어부(700)는 상황을 인식하고 연습장 관리자에게 알림을 보낼 수 있다. 알림은 휴대전화나 이메일,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등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골프 연습장의 위치, 시간, 그리고 발생한 상황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본 발명은 골프 연습장의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상황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부(200)는 커넥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부(230)는 열반사부(210) 및 열생성부(220)의 중앙에 각각 볼트(231)와 너트의 형태로 고정되어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230)는 볼트(231)의 나사선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 제1중앙홀을 포함하는 가이드부(232)와 볼트(231)와 가이드부(232) 사이에 게재되어 볼트(231)의 두께에 대응하는 제2중앙홀이 마련된 원형링(233)을 포함하며, 원형링(233)은 원형링(233)의 테두리와 제2중앙홀 사이에 열생성부(220)와 연결된 전기케이블 각각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홈(23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232)는 볼트(231)의 나사선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 제1중앙홀을 포함하며, 이는 볼트(231)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232)의 제1중앙홀은 볼트(231)의 두께와 길이, 그리고 나사선의 피치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232) 자체는 강한 내구성과 안정성을 갖추기 위해 금속, 강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232)의 제1중앙홀은 볼트(231)의 두께보다 약 1-2cm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볼트(231)가 원활하게 삽입되고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제1중앙홀의 내부 표면은 볼트(231)의 나사선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부드럽게 마무리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형링(233)은 가이드부(232)와 볼트(231) 사이에 위치하며, 볼트(231)의 두께에 대응하는 제2중앙홀이 마련될 수 있으며, 열생성부(220)와 연결된 전기 케이블이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홈(234)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케이블의 안전성과 높은 전기 전도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형링(233)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제2중앙홀은 볼트(231)의 두께와 일치하도록 마련되어 볼트(231)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관통홈(234)은 원형링(233)의 테두리와 제2중앙홀 사이에 위치하며, 이는 전기 케이블이 원활하게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관통홈(234)의 내부 표면은 케이블의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부드럽게 마무리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프레임(100)은 하단면에 분리프레임(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높이조절부는 전동식 모터에 의해 상하이동이 구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기 저장된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여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는 고정형 높이조절기와 이동형 높이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높이조절기는 분리프레임(100)의 하단면에 고정되어 상하이동을 제어하며, 이동형 높이조절기는 고정형 높이조절기와 연결되어 분리프레임(100)의 높이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부의 동작은 전동식 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전동식 모터는 전기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로서, 회전력을 이용하여 높이조절부의 상하이동을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700)는 높이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700)는 센서부(800)로부터 플레이어에 대하여 연습 중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에 기초하여 해당 플레이어의 움직임 정보와 위치 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정보를 기반으로 분리프레임(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센서부(800)가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어부(700)는 이 정보를 받아서 높이조절부에 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 높이조절부는 분리프레임(100)의 높이를 기 저장된 사용자 설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예컨대, 플레이어가 골프클럽을 휘두를 때마다 센서부(800)는 이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 정보를 제어부(700)에 전달하고, 제어부(700)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분리프레임(100)의 높이를 플레이어의 키에 맞게 조절하도록 높이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레이어는 자신의 키에 맞는 위치로 냉방 및 난방 효과를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어 보다 최적환 환경에서 골프클럽을 휘두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00)는 하기 수학식1에 기초하여 도출된 높이로 높이조절부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수학식1]
상기 수학식1에서 H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분리프레임(100)과 지표면 사이에서의 높이를 의미하며, H0는 연령대에 따른 기본높이를 의미하며, L은 플레이어가 연습하는 골프클럽의 길이(cm)를 의미하며, Y는 플레이어가 평균적으로 타격 시 골프공을 보내는 비거리(yard)를 의미하며, w는 타격공간에서의 풍속(m/s)를 의미한다. 예컨대, H0는 연령대에 따라서 0 내지 10세의 경우에는 5cm, 11세 내지 13세에서는 10cm, 14세 내지 17세에서는 15cm, 18세 이상에서는 20cm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골프클럽의 길이(L)가 길어질수록, 골프공의 비거리(Y)가 커질수록 골프공이 띄워지는 각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이를 반영하여 다른 타석공간에 골프공이 진행하는 것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며, 풍속이 강해질수록 분리프레임(100)의 하측방향에서 오는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송풍보다 하측에서 통과되는 외부 바람이 더 많아지는 것을 반영하여, 풍속이 강해질수록 높이가 작아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요인을 반영하여 사용자에 맞춤형 높이로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다른 타석공간에 골프공이 타격되어 진행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00)는 하기 [수학식2]에 기초하여 도출된 높이로 난방부(200)가 따듯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수학식2]
상기 수학식2에서 H'은 사용자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분리프레임(100)과 지표면 사이에서의 높이를 의미하며, P는 현재 골프연습장이 위치한 타격공간에서의 예상되는 대기압(Pa, 파스칼)의 크기를 의미하며, T는 현재 골프연습장이 위치한 타격공간에서의 온도(K)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골프연습장에서의 기압이 큰 경우에는 대체로 공기가 지표면에서 하강하는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높이가 높아지도록 하며, 기압이 작은 경우에는 공기가 지표면에서 상승하는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여 기압 상황에 따라서 냉난방 시스템에서의 송풍되는 바람의 흐름이 최적화되도록 하는 높이를 도출할 수 있고, 또한, 골프연습장에서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높이가 커지도록 하여 더위 또는 추위가 직접적으로 체감되는 높이로 바람이 송풍되도록 하여 냉난방의 체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
100: 분리프레임
200: 난방부
210: 열반사부
220: 열생성부
230: 커넥터부
231: 볼트
232: 가이드부
233: 원형링
234: 관통홈
300: 냉방부
500: 거울부
600: 무선충전부
700: 제어부
800: 센서부

Claims (3)

  1.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에 있어서,
    타석과 타석 사이의 공간을 구분하도록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한쌍의 분리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프레임은
    상기 분리프레임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결합되어 타석을 향해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난방부;
    상기 분리프레임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타측에 결합되어 타석을 향해 냉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방부;
    상기 분리프레임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플레이어를 향해 배치된 거울부;
    상기 분리프레임의 타단에 무선충전부;
    상기 분리프레임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분리프레임에 구비된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플레이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것을 인식하면, 기 설정된 제1온도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난방부가 동작하고, 제2온도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냉방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가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않는 상태가 기 설정된 제1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난방부 및 상기 냉방부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난방부는
    일 영역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열전도율이 상승하도록 마련된 열반사부;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도록 하는 열생성부; 및
    상기 열반사부 및 상기 열생성부의 중앙에 각각 볼트와 너트의 형태로 고정 지지하도록 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볼트의 나사선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 제1중앙홀을 포함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볼트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볼트의 두께에 대응하는 제2중앙홀이 마련된 원형링을 포함하며,
    상기 원형링은 상기 원형링의 테두리와 상기 제2중앙홀 사이에 상기 열생성부와 연결된 전기케이블 각각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홈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프레임은 하단면에 상기 분리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전동식 모터에 의해 상하이동이 구비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하기 수학식1에 기초하여 도출된 높이로 조정하도록 제어하며,


    [수학식1]
    상기 수학식1에서 H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상기 분리프레임의 하단면과 지표면 사이에서의 높이를 의미하며, H0는 연령대에 따른 기본높이를 의미하며, L은 플레이어가 연습하는 골프클럽의 길이(cm)를 의미하며, Y는 플레이어가 평균적으로 타격 시 골프공을 보내는 비거리(yard)를 의미하며, w는 타격공간에서의 풍속(m/s)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30088695A 2023-07-07 2023-07-07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 KR102651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695A KR102651164B1 (ko) 2023-07-07 2023-07-07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695A KR102651164B1 (ko) 2023-07-07 2023-07-07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164B1 true KR102651164B1 (ko) 2024-03-27

Family

ID=9048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695A KR102651164B1 (ko) 2023-07-07 2023-07-07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1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140A (ko) * 2001-12-12 2003-06-25 손호장 이동식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KR101717257B1 (ko) * 2015-02-25 2017-03-16 김주원 골프연습장 타석분리대
KR20190139733A (ko) * 2018-06-08 2019-12-18 남진윤 좌우 각도 및 방향 조절이 가능한 절전형 전기히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140A (ko) * 2001-12-12 2003-06-25 손호장 이동식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KR101717257B1 (ko) * 2015-02-25 2017-03-16 김주원 골프연습장 타석분리대
KR20190139733A (ko) * 2018-06-08 2019-12-18 남진윤 좌우 각도 및 방향 조절이 가능한 절전형 전기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35571B2 (ja) 空調システム
US8905705B2 (en) Omni-directional fan device
CN102865240B (zh) 一种智能移动塔扇及其控制方法
ES2898366T3 (es) Acondicionador de aire
JP6068280B2 (ja) 空気調和機
WO2018209741A1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处理器
JP2016061446A (ja) 空気調和機
JP5396223B2 (ja) 空気調和機
KR20140072787A (ko) 공기 조화기
CN103968496A (zh) 空调器的控制方法及空调器
KR20120119127A (ko) 버스 부스용 의자 히팅 시스템
JP2013231550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651164B1 (ko) 골프연습장용 쿨링 및 히팅 시스템
JPWO2017203584A1 (ja) 空気調和装置
KR101920155B1 (ko) 냉각 및 가열 복합 팬 구조체
JP2017106678A (ja) 空気調和装置
CN107166685A (zh) 空调系统及其的除湿控制方法和装置
CN112984748B (zh) 一种送风方法及控制装置、存储介质、送风系统
KR20180027661A (ko) 이동형 공조장치
JP2015025574A (ja) 空気調和機
KR101651459B1 (ko) 다기능 발받침대
WO2006135308A8 (en) A device for active temperature equilisation in a sauna room
KR101725845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자동충전식 에어매트
CN205866123U (zh) 智能鞋
JP2009257700A (ja) 天井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