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943B1 -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943B1
KR102650943B1 KR1020220158177A KR20220158177A KR102650943B1 KR 102650943 B1 KR102650943 B1 KR 102650943B1 KR 1020220158177 A KR1020220158177 A KR 1020220158177A KR 20220158177 A KR20220158177 A KR 20220158177A KR 102650943 B1 KR102650943 B1 KR 102650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charging plug
plug connector
electric vehicl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서
Original Assignee
(주)엠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엠디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158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26B25/12Walls or side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53Resistance heating, e.g. us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as an electrical res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송출하는 충전기와 전선 케이블을 매개로 충전기에 일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기 자동차의 충전기에 연결되는 충전 플러그 커넥터가 충전기 보관함 본체에 내장되어 있으며, 충전기 보관함 본체 내부에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가 설치되어 있고,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의 송풍기 장착홀에 송풍기가 부착되어 있어 전기자동차의 충전 서비스 중에 충전 플러그 사용을 편리하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묻어있는 물기나 수분을 제거하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묻어있는 먼지나 오염물을 제거하여 쾌적하게 할 수 있으며 충전 플러그의 오염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ㅓ.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A safe keeping apparatus of electronic motor vehicle recharger}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송출하는 충전기와 전선 케이블을 매개로 충전기에 일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기 자동차의 충전기에 연결되는 충전 플러그 커넥터가 충전기 보관함 본체에 내장되어 있으며, 충전기 보관함 본체 내부에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가 설치되어 있고,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의 송풍기 장착홀에 송풍기가 부착되어 있어 전기자동차의 충전 서비스 중에 충전 플러그 사용이 편리하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묻어있는 물기나 수분을 제거하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묻어있는 먼지나 오염물을 제거하여 크린 상태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용 충전기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충전기는 도로변이나 주차장 등에 입식 설치되어 전기자동차 사용자가 필요시 충전기에 접근하여 충전서비스를 받는다.
전기자동차 충전기 사용자는 충전기에 설치된 충전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에 충전 커넥터를 접속한 후 충전을 한다. 충전이 완료되고 나면 사용자는 충전 커넥터를 다시 충전기의 제 위치에 안전하게 거치하여야 한다.
종래의 충전 커넥터는 충전기에 거치할 경우 그 접속 케이블을 충전기의 측부에 설치된 거치대에 감거나 걸쳐놓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충전 완료 후 충전기 커넥터를 방치할 경우에는 충전기 커넥터가 바닥에 놓여 있게 되어 충전기 커넥터의 오염 또는 파손의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6-134283호에 의하면 충전기 커넥터의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5 m 내외의 긴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충전 작업 완료 후 케이블이 바닥에 방치될 경우 바닥의 오염물에 의해 케이블이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충전 사용자가 충전 커넥터를 사용하고자 할 때 불쾌함을 초래할 수 있다. 충전기 커넥터의 케이블이 파손된 상태에서 바닥에 방치될 경우 높은 전류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도 배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송출하는 충전기와 전선 케이블을 매개로 충전기에 일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기 자동차의 충전기에 연결되는 충전 플러그 커넥터가 충전기 보관함 본체에 내장되어 있으며, 충전기 보관함 본체 내부에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의 송풍기 장착홀에 송풍기가 부착되어 있어 전기자동차의 충전 서비스 중에 충전 플러그 사용을 편리하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묻어있는 물기나 수분을 제거하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묻어있는 먼지나 오염물을 제거하여 쾌적하게 할 수 있으며 충전 플러그의 오염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송출하는 충전기와 전선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충전기에 일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기에 연결되는 충전 플러그 커넥터가 충전기 보관함 본체에 내장된 상태로 보관함 커버가 경첩으로 결합되어 있는 일체형 충전기 보관함; 상기 충전기 보관함 본체에 내장되어 있으며, 출력전기선과 연결되어 출력전기선 케이블이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 외측면에 감겨진 상태로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의 아래쪽에 부착되어 있으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 고정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브라켓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출력전기선 케이블이 감겨질 수 있도록 브라켓 외측면이 형성되어 있고, 출력전기선 케이블이 감겨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브라켓 상단에 돌출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가 관통될 수 있도록 브라켓 외측면 한쪽에 개폐구가 형성되어 되도록 충전 플러그 커넥터 고정지지대를 설치하여 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구의 상대편에 송풍기 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 상기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의 브라켓 바닥면에 설치 고정되어 있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가 좌우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지지대의 위쪽에 안착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가 좌우 방향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구의 상단에 좌,우측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고정홀에 고정구로 고정된 충전 플러그 커넥터 고정지지대; 전기자동차의 충전 서비스 중에 충전 플러그 커넥터의 오염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의 송풍기 장착홀에 부착되어 있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송출하는 충전기와 전선 케이블을 매개로 충전기에 일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기 자동차의 충전기에 연결되는 충전 플러그 커넥터가 충전기 보관함 본체에 내장되어 있으며, 충전기 보관함 본체 내부에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가 설치되어 있고,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의 송풍기 장착홀에 송풍기가 부착되어 있어 전기자동차의 충전 서비스 중에 충전 플러그 사용이 편리하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묻어있는 물기나 수분을 제거하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묻어있는 오염물을 제거하여 크린상태로 유지관리가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를 나타낸 개폐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에서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에서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에서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에서 송풍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에서 송풍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에서 송풍기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보관함의 커버를 투명과 각각 분리된 커버를 형성한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와 차단기가 안전보관함에 내장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보관장치에 있어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송출하는 충전기(200)와 전선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충전기에 일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기(200)에 연결되는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가 충전기 보관함 본체(110)에 내장된 상태로 보관함 커버(120)가 경첩(130)으로 결합되어 있는 일체형 충전기 보관함(100); 상기 충전기 보관함 본체(110)에 내장되어 있으며, 출력전기선(210)과 연결되어 출력전기선 케이블(220)이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 외측면(310)에 감겨진 상태로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에 연결되어 있는 충전기(200);
상기 충전기(200)의 아래쪽에 부착되어 있으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 고정지지대(4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브라켓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출력전기선 케이블(220)이 감겨질 수 있도록 브라켓 외측면(310)이 형성되어 있고, 출력전기선 케이블(220)이 감겨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브라켓 상단에 돌출가이드(3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브라켓 외측면(310) 한쪽에 개폐구(340)가 형성되어 있는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300); 상기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300)의 브라켓 바닥면(320)에 설치 고정되어 있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가 좌우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지지대의 위쪽에 안착구(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가 좌우 방향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구(410)의 상단에 좌,우측돌기(420, 42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고정홀(440)에 고정구(450)로 고정된 충전 플러그 커넥터 고정지지대(400); 로 이루어지도록 달성하였다.
상기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300)는,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의 습기제거와 냉각을 위해 송풍기(6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구(340)의 상대편에 송풍기 장착홀(350)이 형성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송풍기는 모터(610)에 송풍팬(621)이 연결되고, 송풍팬 전면에 히터케이스(630)가 연결되며, 히터케이스(630) 전면에 전방가이드노즐(660)과 보호망(650)이 연결되고, 상기 히터케이스(630) 내부에 히터부(670)와 열선(640)이 내장되어 있으며, 고정피스(690)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기의 체결구조는,
송풍팬(621)과 연결되는 모터(622)와 전방에 고정돌기(623)가 형성된 프레임(624)을 포함하는 송풍부(620); 상기 송풍부의 전방의 고정돌기(623)와 결합되는 끼움홈(631)과 후방에는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열선이 배열된 히터케이스를 포함하는 히터부(630); 상기 히터부의 끼움돌기(632)에 결합되도록 끼움홈(661)을 형성한 전방가이드노즐(660)로 형성하여 결합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보관함 커버(120)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와 차단기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와 차단기를 분리하여 보관함 커버(120)를 각각 형성하거나 상기 보관함 커버(120)를 투명 또는 일정한 부분만을 투명으로 형성하여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121)을 더 형성한 특징이 있다.
특히 충전기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형성시에는 특히 투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송출하는 충전기(200)와 전선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충전기에 일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기(200)에 연결되는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가 충전기 보관함 본체(110)에 내장된 상태로 보관함 커버(120)가 경첩(130)으로 결합되어 있는 일체형 충전기 보관함(100)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기자동차의 충전 서비스 중에 충전 플러그 사용이 편리하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묻어있는 물기나 수분을 제거하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묻어있는 먼지나 오염물을 제거하여 쾌적하게 할 수 있으며 충전 플러그의 오염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충전기(200)는 충전기 보관함 본체(110)에 내장되어 있으며, 출력전기선(210)과 연결되어 출력전기선 케이블(220)이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 외측면(310)에 감겨진 상태로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에 연결되어 있어 전기자동차의 충전 서비스 중에 충전 플러그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300)은 충전기(200)의 아래쪽에 부착되어 있으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 고정지지대(4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브라켓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출력전기선 케이블(220)이 감겨질 수 있도록 브라켓 외측면(310)이 형성되어 있고, 출력전기선 케이블(220)이 감겨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브라켓 상단에 돌출가이드(3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브라켓 외측면(310) 한쪽에 개폐구(3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송풍기(6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구(340)의 상대편에 송풍기 장착홀(350)이 형성되어 있어 전기자동차의 충전 서비스 중에 충전 플러그 사용이 편리하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묻어있는 물기나 수분을 제거하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묻어있는 먼지나 오염물을 제거하여 쾌적하게 할 수 있으며 충전 플러그의 오염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충전 플러그 커넥터 고정지지대(400)는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300)의 브라켓 바닥면(320)에 설치 고정되어 있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가 좌우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지지대의 위쪽에 안착구(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가 좌우 방향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구(410)의 상단에 좌,우측돌기(420, 42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고정홀(440)에 고정구(450)로 고정되어 있어 전기자동차의 충전 서비스 중에 충전 플러그 사용이 편리하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묻어있는 물기나 수분을 제거하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에 묻어있는 먼지나 오염물을 제거하여 쾌적하게 할 수 있으며 충전 플러그의 오염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300)의 송풍기 장착홀(350)에 부착되어 있는 송풍기(60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서비스 중에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의 오염 및 파손으로 충전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단자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고,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에방할 수 잇는 매우 유용한 특징이 있다..
100:.충전기 보관함 200: 충전기
300: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 400: 충전 플러그 커넥터 고정지지대
500: 충전 플러그 커넥터 600: 송풍기

Claims (5)

  1.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와 충전중 과부하가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가 안전보관함에 내장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송출하는 충전기(200)와 전선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충전기에 일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기(200)에 연결되는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가 충전기 보관함 본체(110)에 내장된 상태로 보관함 커버(120)가 경첩(130)으로 결합되어 있는 일체형 충전기 보관함(100); 상기 충전기 보관함 본체(110)에 내장되어 있으며, 출력전기선(210)과 연결되어 출력전기선 케이블(220)이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 외측면(310)에 감겨진 상태로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에 연결되어 있는 충전기(200);
    상기 충전기(200)의 아래쪽에 부착되어 있으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 고정지지대(4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브라켓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출력전기선 케이블(220)이 감겨질 수 있도록 브라켓 외측면(310)이 형성되어 있고, 출력전기선 케이블(220)이 감겨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브라켓 상단에 돌출가이드(3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브라켓 외측면(310) 한쪽에 개폐구(340)가 형성되며,
    상기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의 습기제거와 냉각을 위해 송풍기(6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송풍기 장착홀(350)과 상기 송풍기 장착홀(350)에 송풍기(600)를 형성하고, 상기 송풍기는, 모터(610)에 송풍팬(621)이 연결된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의 전면에 히터케이스(630)가 연결되며, 히터케이스(630) 전면에 전방가이드노즐(660)과 보호망(650)이 연결되고, 상기 히터케이스(630) 내부에 히터부(670)와 열선(640)이 내장되어 있으며, 고정피스(690)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300);
    상기 전기선 가이드 브라켓(300)의 브라켓 바닥면(320)에 설치 고정되어 있고,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가 좌우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지지대의 위쪽에 안착구(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 플러그 커넥터(500)가 좌우 방향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구(410)의 상단에 좌,우측돌기(420, 42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고정홀(440)에 고정구(450)로 고정된 충전 플러그 커넥터 고정지지대(4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송풍팬(621)과 연결되는 모터(622)와 전방에 고정돌기(623)가 형성된 프레임(624)을 포함하는 송풍부(620); 상기 송풍부의 전방의 고정돌기(623)와 결합되는 끼움홈(631)과 후방에는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열선이 배열된 히터케이스를 포함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의 끼움돌기에 결합되도록 끼움홈을 형성한 전방가이드노즐로 형성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
  5. 삭제
KR1020220158177A 2022-11-23 2022-11-23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 KR102650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177A KR102650943B1 (ko) 2022-11-23 2022-11-23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177A KR102650943B1 (ko) 2022-11-23 2022-11-23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943B1 true KR102650943B1 (ko) 2024-03-26

Family

ID=9047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177A KR102650943B1 (ko) 2022-11-23 2022-11-23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9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2573A (ja) * 2011-08-11 2013-02-28 Panasonic Corp 電気車両用充電装置
KR102070237B1 (ko) * 2018-09-13 2020-01-29 씨티아이코리아 주식회사 습도감지기능이 구비된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KR20220058807A (ko) * 2020-11-01 2022-05-10 (주)현대이브이씨 전기운송장치의 충전기
KR200495835Y1 (ko) * 2022-02-03 2022-08-30 (주)엠디시스템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2573A (ja) * 2011-08-11 2013-02-28 Panasonic Corp 電気車両用充電装置
KR102070237B1 (ko) * 2018-09-13 2020-01-29 씨티아이코리아 주식회사 습도감지기능이 구비된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KR20220058807A (ko) * 2020-11-01 2022-05-10 (주)현대이브이씨 전기운송장치의 충전기
KR200495835Y1 (ko) * 2022-02-03 2022-08-30 (주)엠디시스템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0766B2 (en) Vehicle with a storage device that can be recharged by way of a charging cable and an external power supply
US9070925B2 (en) Battery charger and battery charger attaching structure
US9132740B2 (en) Automotive exterior lamp assembly with charge port
CN106660459B (zh) 用于机动车的充电连接装置和具有充电连接装置的机动车
US9461488B2 (en) Battery with integrated power inverter
ES2947090T3 (es) Patinete eléctrico con paquete extraíble de baterías
WO2010117594A2 (en) Charging connecting device for an electrically powered motor vehicle
JP5467635B2 (ja) 充電自動車用充電装置
JP5387024B2 (ja) 車両用充電ケーブル
US20130206528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vehicle with a socket
EP2613418B1 (en) Charger
KR20170099670A (ko) 배터리 팩용 전장 박스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구조체
JP5402539B2 (ja) 充電器冷却構造および車載機器冷却システム
KR102650943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건조 및 안전 보관장치
JP3676226B2 (ja) 電動の乗り物用の電池パック
JP3169528U (ja) 電気自動車用充電器収納ボックス
US20050118862A1 (en) Battery hookup assembly
JPH04299029A (ja) 電気自動車
JP2013223362A (ja) 車両用充電装置
JPH11227548A (ja) 電源装置付きルーフバッグ
JP2012014969A (ja) 自動車充電装置
KR102667422B1 (ko) 전동 스쿠터의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US11130417B2 (en)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N219420204U (zh) 高压接线盒及具有其的电池箱和电动车辆
CN214647625U (zh) 用于电动车辆充电设备的容器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