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893B1 -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893B1
KR102650893B1 KR1020200164289A KR20200164289A KR102650893B1 KR 102650893 B1 KR102650893 B1 KR 102650893B1 KR 1020200164289 A KR1020200164289 A KR 1020200164289A KR 20200164289 A KR20200164289 A KR 20200164289A KR 102650893 B1 KR102650893 B1 KR 102650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ship
track
time
w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5801A (ko
Inventor
전해숙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64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8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2Analysing tachograph ch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에 구비된 항해 장비로부터 항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항적 데이터를 기설정된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포맷으로 변환된 항적 데이터를 하나의 전자 해도 상에 오버레이(OVERLAY) 또는 사고 재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의 사고 당시 항적을 브리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ARATUS FOR BRIEFING TRACK OF ACCIDENT SHIP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고 선박의 항적을 브리핑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항적이 있는 항해 장비를 갖는 사고 선박의 항적 데이터 디스플레이하여 사고 상황을 재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GPS-Plotter,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V-PASS(Vessel-PASS, 한국전용장비),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VDR(Voyage Data Recorder)와 같이 항적을 갖는 해양장비는 장비별, 회사별, 모델별로 항적을 저장하는 좌표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시스템 및 저장 방법 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항적을 기록하는 장비를 갖춘 선박이 사고를 당한 경우, 장비에 기록된 항적을 추출하여 사고를 분석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D 카드를 통해서 장비의 항적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또는 해양 포렌식을 통해서 항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추출된 항적 데이터는 장비별, 회사별, 모델별로 그 데이터의 형식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선박의 항적 사고 데이터 분석을 통한 항적 디스플레이와 재연을 하기 위해서는 브리핑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0-0041516호, 2010년 4월 22일 공개(명칭: 선박 위치 감시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적을 갖는 해양장비를 갖는 선박이 사고를 당한 경우, 선박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자 해양장비로부터 항적을 추출하고, 추출된 항적을 전자 해도에 디스플레이 또는 재연하는 브리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이 탑재한 이기종의 항해 장비에서 추출된 다양한 형식의 항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 선박의 항적을 브리핑 시스템의 전자해도 상에 오버레이함으로써 선박 사고 상황을 재연하기 위한 브리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항적을 기록하는 다양한 종류의 해양 장비들로부터 획득한 항적을 표준 해도 상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장비들의 항적을 표준 해도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사고 상황을 재연하기 위해서, 최소로 위경도 좌표를 포함하는 표준 포맷의 기본 데이터에 각 선박의 항적 데이터를 추가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GPS-Plotter,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V-PASS(Vessel-PASS, 한국전용장비),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VDR(Voyage Data Recorder) 등 항적을 갖는 장비들에서 추출된 항적 데이터를 하나의 표준 해도 상에 나타낼 수 있는 브리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에 구비된 항해 장비로부터 항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항적 데이터를 기설정된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포맷으로 변환된 항적 데이터를 하나의 전자 해도 상에 오버레이(OVERLAY) 및 사고 재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의 사고 당시 항적을 브리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항적 데이터의 항적 저장 방식을 상기 표준 포맷에 상응하는 항적 저장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저장 방식은 좌표계, 시간 정보 및 암호 방식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표준 포맷은 선박 구분자, 항해장비명, 항해장비 제조사명, 항해장비 모델명 및 총 블록 수를 포함하는 헤더(HEADER)와 블록 내부의 항적 포맷을 포함하는 바디(BODY)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항적 포맷은 상기 블록 내부의 시퀀스 번호, 시간, 경도, 위도, COG(COURSE OVER GROUND), SOG(SPEED OVER GROUND) 및 HEADING 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항적 데이터는 위도 및 경도로 구성되는 위치 정보와 함께 시간 정보, 속도 정보 및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항적 데이터에 상기 시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의 외부 시스템에서 획득한 참조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참조 시간 정보는 출항 시간, 입항 시간, 선박 장비의 온/오프 시간 및 항적 저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에 구비된 항해 장비로부터 항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항적 데이터를 기설정된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표준 포맷으로 변환된 항적 데이터를 하나의 전자 해도 상에 오버레이(OVERLAY) 또는 사고 재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의 사고 당시 항적을 브리핑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항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항적 데이터의 항적 저장 방식을 상기 표준 포맷에 상응하는 항적 저장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저장 방식은 좌표계, 시간 정보 및 암호 방식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표준 포맷은 선박 구분자, 항해장비명, 항해장비 제조사명, 항해장비 모델명 및 총 블록 수를 포함하는 헤더(HEADER)와 블록 내부의 항적 포맷을 포함하는 바디(BODY)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항적 포맷은 상기 블록 내부의 시퀀스 번호, 시간, 경도, 위도, COG(COURSE OVER GROUND), SOG(SPEED OVER GROUND) 및 HEADING 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항적 데이터는 위도 및 경도로 구성되는 위치 정보와 함께 시간 정보, 속도 정보 및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항적 데이터에 상기 시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의 외부 시스템에서 획득한 참조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참조 시간 정보는 출항 시간, 입항 시간, 선박 장비의 온/오프 시간 및 항적 저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적을 갖는 해양장비를 갖는 선박이 사고를 당한 경우, 선박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자 해양장비로부터 항적을 추출하고, 추출된 항적을 전자 해도에 디스플레이 또는 재연하는 브리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이 탑재한 이기종의 항해 장비에서 추출된 다양한 형식의 항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 선박의 항적을 브리핑 시스템의 전자해도 상에 오버레이함으로써 선박 사고 상황을 재연하기 위한 브리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의 항적을 기록하는 다양한 종류의 해양 장비들로부터 획득한 항적을 표준 해도 상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 장비들의 항적을 표준 해도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사고 상황을 재연하기 위해서, 최소로 위경도 좌표를 포함하는 표준 포맷의 기본 데이터에 각 선박의 항적 데이터를 추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GPS-Plotter,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V-PASS(Vessel-PASS, 한국전용장비),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VDR(Voyage Data Recorder) 등 항적을 갖는 장비들에서 추출된 항적 데이터를 하나의 표준 해도 상에 나타낼 수 있는 브리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장비별 항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적 브리핑 장치를 이용하여 장비별 항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준 포맷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시스템은 선박(100-1~100-N), 선박(100-1~100-N)에 구비된 항해 장비(101-1~101-N), 항적 브리핑 장치(110) 및 네트워크(120)를 포함한다.
항적 브리핑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100-1~100-N)에 구비된 항해 장비(101-1~101-N)로부터 항적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때, 항적 데이터는 위도 및 경도로 구성되는 위치 정보와 함께 시간 정보, 속도 정보 및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데이터에 시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100-1~100-N)의 외부 시스템에서 획득한 참조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항적 브리핑 장치(110)를 통해 편집 모드를 제공하여 선박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시간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 때, 참조 시간 정보는 출항 시간, 입항 시간, 선박 장비의 온/오프 시간 및 항적 저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항적 브리핑 장치(110)는 기설정된 표준 포맷으로 변환한다.
이 때, 항적 데이터의 항적 저장 방식을 표준 포맷에 상응하는 항적 저장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저장 방식은 좌표계, 시간 정보 및 암호 방식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표준 포맷은 선박 구분자, 항해장비명, 항해장비 제조사명, 항해장비 모델명 및 총 블록 수를 포함하는 헤더(HEADER)와 블록 내부의 항적 포맷을 포함하는 바디(BODY)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항적 포맷은 블록 내부의 시퀀스 번호, 시간, 경도, 위도, COG(COURSE OVER GROUND), SOG(SPEED OVER GROUND) 및 HEAD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항적 브리핑 장치(110)는 표준 포맷으로 변환된 항적 데이터를 하나의 전자 해도 상에 오버레이 또는 사고 재연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100-1~100-N)의 사고 당시 항적을 브리핑한다.
네트워크(120)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등일 수 있으며,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3세대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 망을 포함하는 3.5세대 이동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4세대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에 구비된 항해 장비로부터 항적 데이터를 수집한다(S210).
이 때, 항적 데이터는 위도 및 경도로 구성되는 위치 정보와 함께 시간 정보, 속도 정보 및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데이터는 선박이 탑재하고 있는 항해 장비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최소한의 정보로써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위경도 좌표로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위경도 좌표에 대한 시간 정보가 추가되거나, COG(course of ground), SOG(speed of ground), HDT(turn heading), ROT(rate of turn) 등의 속도 정보나 방향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이 때, 선박 이름, 선박 길이, 선박 폭, 선박 MMSI와 같이 선박이 제공하는 정적 정보들이 항적 데이터로써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GPS-Plotter는 위치 정보는 제공하지만, 제조 회사에 따라 시간 정보의 제공 유무가 다를 수 있다.
또한, V-PASS는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V-PASS는 한국에만 있는 장비이고, 어선이 탑재하는 장비에 해당한다.
또한,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는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위치 정보와 관련 속도 정보, 방향 정보와 선박의 정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는 별도로 항적을 추출할 수는 없지만, 포렌식을 통해서 항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ECDIS가 탑재된 선박은 AIS를 갖고 있기 때문에, AIS가 제공하는 정보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VDR(votage data recorder)은 선박의 블랙박스 같은 장비로써 ECDIS로부터 획득한 선박의 모든 정보를 주기적으로 저장하는 장비에 해당한다. 따라서, VDR을 통해 ECDIS 또는 AIS가 제공하는 항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데이터에 시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의 외부 시스템에서 획득한 참조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참조 시간 정보는 출항 시간, 입항 시간, 선박 장비의 온/오프 시간 및 항적 저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TV, VHF(very high frequency) 통신 데이터 또는 레이더 정보 등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에 대한 참조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고 선박이 GPS-Plotter, V-PASS를 탑재하였다고 가정했을 때, 장비 회사에 따라서 항적 데이터에 시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는 V-PASS를 통해 획득 가능한 선박의 출항 시간, 입항 시간, 각 시스템의 포렌식을 통해서 획득한 장비의 온, 오프 정보, 항적 저장 주기 정보 또는 VTS에 레이더에 의해 획득한 물표 정보 등의 참조 시간 정보를 참고하여 사고 선박의 시간 정보를 생성하고, 항적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은 항적 데이터를 기설정된 표준 포맷으로 변환한다(S220).
이 때, 기설정된 표준 포맷은 기존에 존재하는 브리핑 시스템과 연동가능한 입력파일 구조에 상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브리핑 시스템에 기준이 되는 좌표계를 기반으로 사고 선박에서 추출한 항적 데이터의 위경도 데이터를 변환하여 하나의 전자해도 상에 나타내기 위한 것이므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브리핑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표준 포맷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에 구비된 항해 장비는 장비의 종류나 장비의 제조사 또는 장비 모델 별로 각각 항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항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이 서로 상이한 항해 장비들로부터 각각 A 장비항적, B 장비항적, C 장비항적을 수집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종래에는 장비별, 회사별, 모델별로 좌표계나 데이터 저장 방식이 상이한 항적들을 하나의 전자 해도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기술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항적을 각각의 전자 해도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선박의 사고는 선박이 혼자 좌초되는 경우 이외에도 2대 이상의 선박들이 충돌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즉, 1개의 선박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고 선박의 항적을 보유한 장비의 항적 정보를 추출하고, 사고 선박이 운항한 항적을 전자 해도에 디스플레이하여 재연할 수는 있었다. 하지만 선박 사고에 관련된 선박이 여러 대일 경우, 각 선박에서 추출된 항적 정보를 복잡한 처리 과정을 통해 통합하여 브리핑 시스템으로 입력해야 하므로 사고 상황을 재연하기 까지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각 선박의 항적을 갖는 선박 장비에서 항적 정보를 추출하고, 이 항적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 사고 상황을 브리핑 할 수 있도록 항적 정보를 항적 브리핑 장치(410)로 입력하여 표준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데이터의 항적 저장 방식을 표준 포맷에 상응하는 항적 저장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저장 방식은 좌표계, 시간 정보 및 암호 방식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포맷의 좌표계는 WGS84의 위도, 경도 정보에 상응하게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위도, 경도 좌표가 시간 별로 저장된 경우에는 해당 시간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 때, 표준 포맷은 선박 구분자, 항해장비명, 항해장비 제조사명, 항해장비 모델명 및 총 블록 수를 포함하는 헤더(HEADER)와 블록 내부의 항적 포맷을 포함하는 바디(BODY)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항적 포맷은 블록 내부의 시퀀스 번호, 시간, 경도, 위도, COG(COURSE OVER GROUND), SOG(SPEED OVER GROUND), HEAD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포맷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헤더(510)와 바디(520)로 구성되어 항적 데이터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포맷은 표준 포맷(500)의 바디(520)를 구성하는 각 블록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은 표준 포맷으로 변환된 항적 데이터를 하나의 전자 해도 상에 오버레이(overlay) 또는 사고 재연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박 사고의 사고 당시 항적을 브리핑한다(S230).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A 장비가 AIS에 상응하고, B 장비와 C 장비가 각각 ECDIS 또는 VDR이라고 가정한다면, 선박의 사고 당시 항적을 브리핑 또는 재연할 때 COG(course of ground), SOG(speed of ground), HDT(turn heading), ROT(rate of turn) 등의 속도 정보와 방향 정보와 함께 VHF 통신 데이터 정보, 레이더 정보 등을 하나의 전자 해도 상에 오버레이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을 통해 항적을 갖는 해양장비를 갖는 선박이 사고를 당한 경우, 선박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자 해양장비로부터 항적을 추출하고, 추출된 항적을 전자 해도에 디스플레이 또는 재연하는 브리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이 탑재한 이기종의 항해 장비에서 추출된 다양한 형식의 항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 선박의 항적을 브리핑 시스템의 전자해도 상에 오버레이함으로써 선박 사고 상황을 재연하기 위한 브리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항적을 기록하는 다양한 종류의 해양 장비들로부터 획득한 항적을 표준 해도 상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장비들의 항적을 표준 해도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사고 상황을 재연하기 위해서, 최소로 위경도 좌표를 포함하는 표준 포맷의 기본 데이터에 각 선박의 항적 데이터를 추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GPS-Plotter,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V-PASS(Vessel-PASS, 한국전용장비),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VDR(Voyage Data Recorder) 등 항적을 갖는 장비들에서 추출된 항적 데이터를 하나의 표준 해도 상에 나타낼 수 있는 브리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는 통신부(610), 프로세서(620) 및 메모리(630)를 포함한다.
통신부(610)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장치들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등일 수 있으며,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3세대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 망을 포함하는 3.5세대 이동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4세대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에 구비된 항해 장비로부터 항적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때, 항적 데이터는 위도 및 경도로 구성되는 위치 정보와 함께 시간 정보, 속도 정보 및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데이터는 선박이 탑재하고 있는 항해 장비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최소한의 정보로써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위경도 좌표로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위경도 좌표에 대한 시간 정보가 추가되거나, COG(course of ground), SOG(speed of ground), HDT(turn heading), ROT(rate of turn) 등의 속도 정보나 방향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이 때, 선박 이름, 선박 길이, 선박 폭, 선박 MMSI와 같이 선박이 제공하는 정적 정보들이 항적 데이터로써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GPS-Plotter는 위치 정보는 제공하지만, 제조 회사에 따라 시간 정보의 제공 유무가 다를 수 있다.
또한, V-PASS는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V-PASS는 한국에만 있는 장비이고, 어선이 탑재하는 장비에 해당한다.
또한,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는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위치 정보와 관련 속도 정보, 방향 정보와 선박의 정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는 별도로 항적을 추출할 수는 없지만, 포렌식을 통해서 항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ECDIS가 탑재된 선박은 AIS를 갖고 있기 때문에, AIS가 제공하는 정보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VDR(votage data recorder)은 선박의 블랙박스 같은 장비로써 ECDIS로부터 획득한 선박의 모든 정보를 주기적으로 저장하는 장비에 해당한다. 따라서, VDR을 통해 ECDIS 또는 AIS가 제공하는 항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데이터에 시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의 외부 시스템에서 획득한 참조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참조 시간 정보는 출항 시간, 입항 시간, 선박 장비의 온/오프 시간 및 항적 저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TV, VHF(very high frequency) 통신 데이터 또는 레이더 정보 등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에 대한 참조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고 선박이 GPS-Plotter, V-PASS를 탑재하였다고 가정했을 때, 장비 회사에 따라서 항적 데이터에 시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는 V-PASS를 통해 획득 가능한 선박의 출항 시간, 입항 시간, 각 시스템의 포렌식을 통해서 획득한 장비의 온, 오프 정보, 항적 저장 주기 정보 또는 VTS에 레이더에 의해 획득한 물표 정보 등의 참조 시간 정보를 참고하여 사고 선박의 시간 정보를 생성하고, 항적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20)는 항적 데이터를 기설정된 표준 포맷으로 변환한다.
이 때, 기설정된 표준 포맷은 기존에 존재하는 브리핑 시스템과 연동가능한 입력파일 구조에 상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브리핑 시스템에 기준이 되는 좌표계를 기반으로 사고 선박에서 추출한 항적 데이터의 위경도 데이터를 변환하여 하나의 전자해도 상에 나타내기 위한 것이므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브리핑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표준 포맷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에 구비된 항해 장비는 장비의 종류나 장비의 제조사 또는 장비 모델 별로 각각 항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항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이 서로 상이한 항해 장비들로부터 각각 A 장비항적, B 장비항적, C 장비항적을 수집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종래에는 장비별, 회사별, 모델별로 좌표계나 데이터 저장 방식이 상이한 항적들을 하나의 전자 해도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기술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항적을 각각의 전자 해도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선박의 사고는 선박이 혼자 좌초되는 경우 이외에도 2대 이상의 선박들이 충돌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즉, 1개의 선박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고 선박의 항적을 보유한 장비의 항적 정보를 추출하고, 사고 선박이 운항한 항적을 전자 해도에 디스플레이하여 재연할 수는 있었다. 하지만 선박 사고에 관련된 선박이 여러 대일 경우, 각 선박에서 추출된 항적 정보를 복잡한 처리 과정을 통해 통합하여 브리핑 시스템으로 입력해야 하므로 사고 상황을 재연하기 까지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각 선박의 항적을 갖는 선박 장비에서 항적 정보를 추출하고, 이 항적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 사고 상황을 브리핑 할 수 있도록 항적 정보를 항적 브리핑 장치(410)로 입력하여 표준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데이터의 항적 저장 방식을 표준 포맷에 상응하는 항적 저장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저장 방식은 좌표계, 시간 정보 및 암호 방식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포맷의 좌표계는 WGS84의 위도, 경도 정보에 상응하게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위도, 경도 좌표가 시간 별로 저장된 경우에는 해당 시간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 때, 표준 포맷은 선박 구분자, 항해장비명, 항해장비 제조사명, 항해장비 모델명 및 총 블록 수를 포함하는 헤더(HEADER)와 블록 내부의 항적 포맷을 포함하는 바디(BODY)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항적 포맷은 블록 내부의 시퀀스 번호, 시간, 경도, 위도, COG(COURSE OVER GROUND), SOG(SPEED OVER GROUND), HEAD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포맷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헤더(510)와 바디(520)로 구성되어 항적 데이터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항적 포맷은 표준 포맷(500)의 바디(520)를 구성하는 각 블록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20)는 표준 포맷으로 변환된 항적 데이터를 하나의 전자 해도 상에 오버레이(overlay) 또는 사고 재연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박 사고의 사고 당시 항적을 브리핑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A 장비가 AIS에 상응하고, B 장비와 C 장비가 각각 ECDIS 또는 VDR이라고 가정한다면, 선박의 사고 당시 항적을 브리핑 또는 재연할 때 COG(course of ground), SOG(speed of ground), HDT(turn heading), ROT(rate of turn) 등의 속도 정보와 방향 정보와 함께 VHF 통신 데이터 정보, 레이더 정보 등을 하나의 전자 해도 상에 오버레이하여 보여줄 수 있다.
메모리(630)는 항적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630)는 상술한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항적을 갖는 해양장비를 갖는 선박이 사고를 당한 경우, 선박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자 해양장비로부터 항적을 추출하고, 추출된 항적을 전자 해도에 디스플레이 또는 재연하는 브리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이 탑재한 이기종의 항해 장비에서 추출된 다양한 형식의 항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 선박의 항적을 브리핑 시스템의 전자해도 상에 오버레이함으로써 선박 사고 상황을 재연하기 위한 브리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항적을 기록하는 다양한 종류의 해양 장비들로부터 획득한 항적을 표준 해도 상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장비들의 항적을 표준 해도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사고 상황을 재연하기 위해서, 최소로 위경도 좌표를 포함하는 표준 포맷의 기본 데이터에 각 선박의 항적 데이터를 추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GPS-Plotter,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V-PASS(Vessel-PASS, 한국전용장비),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VDR(Voyage Data Recorder) 등 항적을 갖는 장비들에서 추출된 항적 데이터를 하나의 표준 해도 상에 나타낼 수 있는 브리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700)은 버스(7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10), 메모리(730), 사용자 입력 장치(740), 사용자 출력 장치(750) 및 스토리지(7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700)은 네트워크(7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730)나 스토리지(7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730) 및 스토리지(7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731)이나 RAM(7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이나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될 때,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한 가지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1~100-N: 선박 101-1~101-N: 항해 장비
110, 410: 항적 브리핑 장치
120: 네트워크 411,500: 표준 포맷
510: 헤더 520: 바디
610: 통신부
700: 컴퓨터 시스템 620, 710: 프로세서
720: 버스 630, 730: 메모리
731: 롬 732: 램
740: 사용자 입력 장치 750: 사용자 출력 장치
760: 스토리지 7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80: 네트워크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에 구비된 이기종의 항해 장비로부터 다양한 형식의 항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다양항 형식의 항적 데이터를 기설정된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포맷으로 변환된 항적 데이터를 하나의 전자 해도 상에 오버레이(OVERLAY) 또는 사고 재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의 사고 당시 항적을 브리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 포맷은
    상기 사고 선박의 사고 당시 항적을 브리핑하는 브리핑 시스템과 연동가능한 입력파일 구조에 상응하고, 선박 구분자, 항해장비명, 항해장비 제조사명, 항해장비 모델명 및 총 블록 수를 포함하는 헤더(HEADER)와 블록 내부의 항적 포맷을 포함하는 바디(BODY)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항적 데이터의 항적 저장 방식을 상기 표준 포맷에 상응하는 항적 저장 방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항적 저장 방식은
    좌표계, 시간 정보 및 암호 방식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적 포맷은
    상기 블록 내부의 시퀀스 번호, 시간, 경도, 위도, COG(COURSE OVER GROUND), SOG(SPEED OVER GROUND) 및 HEADING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적 데이터는
    위도 및 경도로 구성되는 위치 정보와 함께 시간 정보, 속도 정보 및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항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항적 데이터에 상기 시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의 외부 시스템에서 획득한 참조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시간 정보는
    출항 시간, 입항 시간, 선박 장비의 온/오프 시간 및 항적 저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방법.
  9.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에 구비된 이기종의 항해 장비로부터 다양한 형식의 항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다양한 형식의 항적 데이터를 기설정된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표준 포맷으로 변환된 항적 데이터를 하나의 전자 해도 상에 오버레이(OVERLAY) 또는 사고 재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의 사고 당시 항적을 브리핑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항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 포맷은
    상기 사고 선박의 사고 당시 항적을 브리핑하는 브리핑 시스템과 연동가능한 입력파일 구조에 상응하고, 선박 구분자, 항해장비명, 항해장비 제조사명, 항해장비 모델명 및 총 블록 수를 포함하는 헤더(HEADER)와 블록 내부의 항적 포맷을 포함하는 바디(BODY)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항적 데이터의 항적 저장 방식을 상기 표준 포맷에 상응하는 항적 저장 방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항적 저장 방식은
    좌표계, 시간 정보 및 암호 방식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12. 삭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항적 포맷은
    상기 블록 내부의 시퀀스 번호, 시간, 경도, 위도, COG(COURSE OVER GROUND), SOG(SPEED OVER GROUND) 및 HEADING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항적 데이터는
    위도 및 경도로 구성되는 위치 정보와 함께 시간 정보, 속도 정보 및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항적 데이터에 상기 시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고 선박의 외부 시스템에서 획득한 참조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시간 정보는
    출항 시간, 입항 시간, 선박 장비의 온/오프 시간 및 항적 저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KR1020200164289A 2020-11-30 2020-11-30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650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289A KR102650893B1 (ko) 2020-11-30 2020-11-30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289A KR102650893B1 (ko) 2020-11-30 2020-11-30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801A KR20220075801A (ko) 2022-06-08
KR102650893B1 true KR102650893B1 (ko) 2024-03-26

Family

ID=8198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289A KR102650893B1 (ko) 2020-11-30 2020-11-30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644B1 (ko) * 2022-11-28 2024-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포렌식 기반의 이종 항해자료 분석처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135B1 (ko) * 2013-08-28 2014-06-23 주식회사 유니텍 항공관제 데이터를 이용한 관제오류 분석장치
KR102120780B1 (ko) * 2019-11-13 2020-06-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사고 재현 및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961B1 (ko) 2008-10-14 2011-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 위치 감시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02476A (ko) * 2018-02-26 2019-09-04 (주)뉴월드마리타임 선박의 운항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생성되는 전자로그북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135B1 (ko) * 2013-08-28 2014-06-23 주식회사 유니텍 항공관제 데이터를 이용한 관제오류 분석장치
KR102120780B1 (ko) * 2019-11-13 2020-06-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사고 재현 및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801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1578B (zh) 基于探针的人流预警分析方法和系统
JP3882025B1 (ja) 広域用船舶動静監視方法及びシステム
US8411969B1 (en) Method for fusing overhead imagery with automatic vessel reporting systems
EP4227643A1 (en) Three-dimensional data creation method, client device and server
US20200356108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client device
KR101729725B1 (ko) 선박 및 해양플랜트용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N107289947B (zh) 一种船载智能气象导航系统
KR102650893B1 (ko) 사고 선박의 항적 브리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10311740B2 (en) Aggregation and distribution of real-time data
KR102120780B1 (ko) 해양사고 재현 및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80033177A (ko) 미디어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의 확인 및 이용
CN110880235A (zh) 路况信息处理系统中的路侧设备、处理方法及装置
US20190325667A1 (en) Vehicle-related data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3096129A (zh) 多卫星遥感数据远程实时播报系统及方法
CN205621299U (zh) 基于视频识别的辅助报站系统及车载终端
KR102606449B1 (ko) 사용자 행위 흔적정보와 항적정보 복원에 기반한 선박사고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07027044A (zh) 一种无人船监控视频直播方法和系统
CN116309732A (zh) 一种基于数字孪生的船舶运动可视化方法
KR102293570B1 (ko) 객체의 gps 좌표정보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2004297722A (ja) 伝送状態表示方法および装置
Ifrim et al. Methods and techniques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data reduction
CN103426308A (zh) 可兼容和拓展的智能交通系统
US20150052567A1 (en) Apparatus for requesting black box images ove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black box images
Mathew et al. Methodology for Automatically Setting Camera View to Mile Marker for Traffic Incident Management
CN202549058U (zh) 车载智能视频调度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