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322B1 -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322B1
KR102650322B1 KR1020197016024A KR20197016024A KR102650322B1 KR 102650322 B1 KR102650322 B1 KR 102650322B1 KR 1020197016024 A KR1020197016024 A KR 1020197016024A KR 20197016024 A KR20197016024 A KR 20197016024A KR 102650322 B1 KR102650322 B1 KR 102650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etwork slice
terminal device
priority information
sl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7502A (ko
Inventor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77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이 방법은,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에서 송신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이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따라 이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고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이 제 1 기기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단계; 이 제 1 기기가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무선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는 상대단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상대단에서 송신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보다 잘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무선 통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무선 통신의 트래픽 요구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화의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상의 사람과 사람 간의 음성과 데이터 트래픽 뿐만 아니라 사물 인터넷 트래픽도 점차 무선 통신 트래픽의 불가분의 일부가 되고 있다. 미래에는 사물 인터넷과 산업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점점 더 많은 다양화의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부 또는 전부의 능력과 리소스를 사용하여 이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통신 기술의 연구에 있어서 연구자들은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즉 네트워크(코어 네트워크와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함) 기능을 모듈화함으로써 부동한 단말기가 부동한 트래픽 요구 시에 맞춤화된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하게 하며, 이를 통해 해당 단말기의 트래픽 요구를 보다 잘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경기술에 공개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당업자에게 알려진 선행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비추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에서 송신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이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따라 이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고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이 제 1 기기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단계; 이 제 1 기기가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무선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대단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상대단에서 송신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보다 잘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무선 통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제 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가 지원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제 1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것이기도 하고 제 2 기기가 지원하는 것이기도 하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인 경우, 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파악함으로써 단말 기기를 위해 해당 리소스를 보다 잘 선택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방법은, 이 제 1 기기가 제 1 우선 순위 정보 및/또는 제 2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고 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는 이 제 2 기기에서 이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이 제 2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 제 2 우선 순위 정보는 이 제 1 기기에서 이 제 1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따라 이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이 제 1 기기가 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 및/또는 이 제 2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이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 1 기기는 통신 기기 양단에서 각각 처리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하여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제 1 우선 순위 정보 및/또는 제 2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함으로써 기기 양단 사이의 무선 통신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하고, 이 제 1 기기가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이 제 1 기기가 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로부터 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이 제 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며, 이 제 1 기기가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무선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는, 이 단말 기기가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또는, 이 단말 기기가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에 상주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단말 기기는 최적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여 액세스를 진행할 수 있으며 보다 매칭된 상주 셀을 선택할 수 있고, 나아가 단말기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고 이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이 제 1 기기가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무선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는, 이 네트워크 기기가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이 단말 기기에 대해 리소스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 및/또는, 이 네트워크 기기가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이 단말 기기를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로 핸드 오버 또는 리디렉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를 위해 해당 리소스를 보다 잘 선택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단말 기기가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에 상주하는 단계는, 이 단말 기기가 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처리하는 이 네트워크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이 단말 기기에서 처리하는 이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동일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에 상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부동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단말 기기는 재선택의 방식에 의해 다른 네트워크 기기의 셀을 선택하여 상주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이 단말 기기가 이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의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는 확률을 더 포함하고, 이 단말 기기가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이 단말 기기가 이 단말 기기의 트래픽이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는 확률에 따라 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제 1 기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이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이 제 1 기기가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이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이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인증된 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제 1 기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이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이 방법은, 이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서 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가 인증받을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이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이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이 우선 순위 정보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액세스 계층 또는 비 액세스 계층의 시그널링을 통해 우선 순위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고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검증 및 확인을 완료한 후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피드백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직접 액세스 계층을 통해 우선 순위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하여 검증 및 확인을 진행한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제 2 기기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결정하고 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이 제 2 기기가 제 1 기기로 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방법은, 이 제 2 기기가 이 제 1 기기로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송신하고, 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는 이 제 2 기기에서 이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이 제 2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이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며, 이 방법은, 이 단말 기기가 이 단말 기기의 트래픽 요구에 따라 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말 기기의 트래픽 요구에 따라 최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선 통신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이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이 제 1 기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며, 이 제 2 기기가 이 제 1 기기로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이 단말 기기가 이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인증된 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기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 기기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구비한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기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 기기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구비한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기기가 제공되며, 이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송수신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버스 시스템을 구비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상호 접속되며 이 메모리는 명령을 기억하는 데 사용되고 이 프로세서는 이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이 명령이 실행되면 이 프로세서가 제 1 양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고 송수신기가 입력된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고 동작 결과 등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 6 양태에 따르면, 기기가 제공되며, 이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송수신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버스 시스템을 구비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상호 접속되며 이 메모리는 명령을 기억하는 데 사용되고 이 프로세서는 이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이 명령이 실행되면 이 프로세서가 제 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고 송수신기가 입력된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고 동작 결과 등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 7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을 기억하기 위한 컴퓨터 기록 매체가 제공되며, 상술한 양태를 실행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기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및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명칭은 기기 자체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실제 실현에서 이러한 기기는 다른 명칭으로 나타날 수 있다. 각 기기의 기능이 본 발명과 유사한 한, 이들은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 및 그 동등한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 또는 다른 양태는 아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가능한 응용 장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다른 개략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를 나타내는 다른 개략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를 나타내는 또 다른 개략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를 나타내는 또 다른 개략 블록도이다.
하기에 본 발명 실시예의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수단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단순히 "GSM"이라 칭함)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순히 "CDMA"라 칭함)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순히 "WCDMA"라 칭함)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단순히 "GPRS"라 칭함),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단순히 "LTE"라 칭함)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 ency Division Duplex, 단순히 "FDD"라 칭함)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단순히 "TDD"라 칭함),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단순히 "UMTS"라 칭함), 글로벌 상호 접속 마이크로 웨이브 액세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단순히 "WiMAX"라 칭함)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수단은 스파스 코드 다중 접속(Sparse Code Multiple Access, 단순히 "SCMA"라 칭함) 시스템, 저밀도 서명(Low Density Signature, 단순히 "LDS"이라 칭함)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비 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며, 물론 SCMA 시스템 및 LDS 시스템은 통신 분야에서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 수도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수단은 비 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채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단순히 "OFDM"이라 칭함), 필터 뱅크 멀티 캐리어(Filter Bank Multi Carrier, 단순히 "FBMC"라 칭함), 일반적인 주파수 분할 다중화(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단순히 "GFDM"이라 칭함), 필터링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Filtered-OFDM, 단순히 "F-OFDM"이라 칭함) 시스템 등과 같은 비 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채용한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유닛, 사용자 국, 이동국, 모바일 스테이션, 원격 국, 원격 단말기, 이동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휴대 전화, 무선 전화, 세션 설정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국,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계산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키타 처리 기기, 차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진화의 공중 육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 기기 등을 가리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기기일 수 있으며, 이 네트워크 기기는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으나,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또는 미래 진화의 PLMN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응용 장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단말 기기(10) 및 네트워크 기기(20)를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20)는 단말 기기(10)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고, 단말 기기(10)는 네트워크 기기(20)에서 송신한 동기 신호, 브로드캐스트 신호 등을 탐색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진행한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기기(10)와 네트워크 기기(2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진행되는 업/다운 링크 전송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기기(20)는 Slice 1, Slice 2 및 Slice 3을 지원하고 단말 기기(10)는 Slice 1, Slice 2 및 Slice 4를 지원한다.
여기서, 슬라이스 Slice는 하나의 네트워크 기능(코어 네트워크 기능 및/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 그룹의 집합을 가리키고 있으며,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기타의 설명은 모두 동등한 효가를 가져올 수 있다.
미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논리적으로,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어떤 단말 기기의 일 종의 트래픽 요구를 대표하고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의 트래픽 요구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 기능을 선택하여 트래픽과 매칭을 진행하여 해당 슬라이스를 형성한다.
가장 이상적인 방식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의 트래픽 요구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 기기 및/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기능을 동적으로 조합한 후에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물리적 네트워크 단말 기기에 대해 패킷 송신을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네트워크에 대해 랜덤 액세스 기능, 복구 기능을 구성 또는 활성화할 필요가 있으며, 라이센스 스펙트럼 보조 액세스(Licensed-Assisted Access, LAA)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에 대해서는 필요할 경우에 네트워크에 대해 LAA 기능을 구성 또는 활성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에 따르면 네트워크 구성의 복잡도가 비교적 높으며 실현이 매우 번잡하다. 간략화한 수단으로는 네트워크 기기가 지향하는 단말기 유형 및 트래픽 유형에 따라 이와 매칭되도록 복수의 슬라이스를 사전에 형성하고, 단말 기기가 해당 슬라이스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요구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한 후,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해당 슬라이스 요구에 따라 리소스를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하는 것이다.
네트워크의 구성 과정에서 다양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으나, 리소스가 제한되는 조건 하에서 부동한 Slice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상주 및 액세스를 어떤 식으로 처리하는지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고, 이와 동시에 단말 기기가 다양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동시에 지원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단말 기기 역시 어떤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사용하여 상주 및 액세스를 진행할 것인지를 선택하고, 또한 네트워크 기기가 부동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파악하게 하여, 네트워크 기기가 자신을 위해 해당 리소스를 보다 잘 선택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설명의 편의상 우선 도 2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100)의 흐름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방법(100)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S101 : 기기(1)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S102 : 기기(1)가 기기(2)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송신한다.
S103 : 기기(2)가 기기(1)에서 송신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수신한다.
S104 : 기기(1)가 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따라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기기(2)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한다.
S105 : 기기(1)가 S103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한다.
S106 : 기기(1)가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구성 또는 동작을 진행한다.
또한, 여기서 기기(1)는 단말 기기일 수 있으나 네트워크 기기일 수도 있으며, 기기(2)는 단말 기기일 수 있으나 네트워크 기기일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 모두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상호 작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지원하는 기능,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 단말 기기가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는 확률,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 및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우선 순위 등과 같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기기(1)가 지원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1)가 단말 기기로 네트워크 기기(1)가 지원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송신할 수도 있고, 인접한 네트워크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 기기가 재선택을 진행하는 과정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구성 또는 동작은 단말 기기가 셀에 상주하고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며 또는 단말 기기가 셀을 핸드 오버하는 등의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의 행동일 수 있다.
여기서,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상대단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상대단에서 송신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보다 잘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무선 통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에 관련하여 통신 기기 양단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각각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200)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방법(200)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S210 :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에서 송신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S220 :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상기 제 1 기기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한다.
S230 :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무선 통신을 진행한다.
여기서, 제 1 기기가 무선 통신을 진행할 때에는 제 2 기기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나, 제 2 기기를 제외한 다른 기기와 통신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다른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 1 기기는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하여 다른 기기와 무선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제 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며, 네트워크 기기는 복수의 단말 기기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정보를 브로드 캐스트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자신이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에 단말 기기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며, 이를 통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거나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에 상주한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수신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가 Slice1, Slice2, Slice3, Slice4 및 Slice5의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나, 단말 기기가 Slice1, Slice2 및 Slice6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 기기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Slice1 및 Slice2일 수 있으며, 단말 기기에서 Slice1을 처리하는 우선 순위가 Slice2보다 높은 경우, 단말 기기는 Slice1 및 Slice2에서 Slice1을 선택하여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고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자신이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에 네트워크 기기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며, 이를 통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하거나 단말 기기에 대해 핸드 오버 또는 리디렉션할 셀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가 수신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가 Slice1, Slice2, Slice3, Slice4 및 Slice5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나, 네트워크 기기가 Slice1, Slice2 및 Slice6을 지원하는 경우, 네트워크 기기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Slice1 및 Slice2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에서 Slice1을 처리하는 우선 순위가 Slice2보다 높은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Slice1 및 Slice2에서 Slice1을 선택하여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이 제 1 기기가 제 1 우선 순위 정보 및/또는 제 2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는 이 제 2 기기에서 이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이 제 2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이 제 2 우선 순위 정보는 이 제 1 기기에서 이 제 1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따라 이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이 제 1 기기가 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 및/또는 이 제 2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이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로 Slice1, Slice2, Slice3, Slice4 및 Slice5인 5 개의 네트워크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우선 순위 정보를 송신하고 Slice1> Slice2> Slice3> Slice4> Slice5이며, 단말 기기가 Slice1, Slice2, 및 Slice3인 3 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고 또한 Slice1 < Slice3 <Slice2 인 경우, 단말 기기는 Slice1, Slice2 및 Slice3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최우선 적으로 처리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Slice1을 선택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는 Slice1, Slice2 및 Slice3에서 단말 기기가 최우선 적으로 처리해야 네트워크 슬라이스 Slice2을 선택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는 Slice1, Slice2 및 Slice3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처음 두 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Slice1 및 Slice2을 선택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는 Slice1, Slice2 및 Slice3에서 단말 기기가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처음 두 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Slice2 및 Slice3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도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단말 기기도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Slice2를 선택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 및/또는 단말 기기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에 따라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할 수 있고,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우선 순위 정보 및 제 2 우선 순위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 및/또는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 구성된 것일 수 있으나, 네트워크 기기 및/또는 단말 기기가 일정 기간 내의 트래픽 상태에 따라 결정한 것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선 순위 정보의 결정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여기서 제 1 우선 순위 정보 및/또는 제 2 우선 순위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특징과 연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 및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1, 기능 2와 기능 3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가 Slice1이고 기능 2, 기능 3과 기능 4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가 Slice2이며, 기능 1의 우선 순위가 기능 2보다 높고 기능 3보다 높으며 기능 4보다 높은 경우, Slice1의 우선 순위가 Slice2의 우선 순위보다 높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 1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부분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가리킬 수 있으나, 제 1 기기가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가리킬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제 2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부분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가리킬 수 있으나, 제 2 기기가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가리킬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기가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에 상주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처리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처리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동일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에 상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의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는 확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트래픽이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는 확률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 방법(200)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인증된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제 1 우선 순위가 인증받을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우선 순위 정보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는 액세스 계층 또는 비 액세스 계층의 시그널링을 통해 우선 순위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고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검증 및 확인을 완료한 후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단말 기기는 직접 액세스 계층를 통해 우선 순위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필요할 경우에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하여 검증 및 확인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300)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방법(300)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S310 : 제 2 기기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S320 : 상기 제 2 기기가 제 1 기기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기기가 상기 제 1 기기로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제 2 기기에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상기 제 2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트래픽 요구에 따라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Slice1, Slice2 및 Slice3을 지원하고 단말 기기의 현재 트래픽이 기능 1이며, Slice1이 기능 1을 지원하는 한, 단말 기기는 Slice1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현재 트래픽이 기능 2로 업데이트되어 Slice2가 기능 2를 지원하는 한, 단말 기기는 Slice2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 1 기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제 2 기기가 상기 제 1 기기로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인증된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양한 예시는 단지 예시적인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에 두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우선 순위 및 그 사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 셀 네트워크 슬라이스 우선 순위 및 사용
셀에서의 부동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능력을 가지는 단말기의 액세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로 슬라이스 우선 순위를 브로드 캐스트 송신하고 셀이 우선적으로 액세스 및 처리하는 슬라이스 능력을 표기하며, 슬라이스 능력 1을 가지는 단말기가 우선적으로 셀 1에 상주하는 등의 단말기 상주 우선 순위를 포함하고, 단말기가 액세스 시에 일정 확률에 따라 액세스를 발신하는 등의 단말기 슬라이스 액세스 확률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부동한 슬라이스 능력을 사용하여 액세스를 진행할 때 자신이 가지는 슬라이스 능력에 따라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액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유휴 상태 동작 : 단말기의 초기 상주 시, 단말기는 첫 번째 액세스 가능한 셀을 선택하여 상주를 진행하고, 이와 동시에 셀에서 송신한 슬라이스 정보(슬라이스 식별자, 슬라이스 우선 순위(Slice Priority)를 포함함) 등을 수신한다. 이 셀에서 송신한 슬라이스 우선 순위와 단말 기기가 가지는 슬라이스 기능이 매칭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셀 슬라이스 우선 순위가 확장형 모바일 광대역 트래픽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며, 단말기 슬라이스 우선 순위가 대용량 저 소비전력 접속 트래픽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것임), 재선택의 방식에 의해 다른 셀을 선택하여 상주를 진행한다. 이 때 액세스된 셀은 인접 셀의 슬라이스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기가 재선택을 진행하는 과정이 용이해진다.
접속 상태 동작 : 단말기가 어떤 슬라이스의 초기 액세스를 발신할 때에는 슬라이스 정보에 포함된 대응하는 슬라이스의 액세스 확률 등의 정보에 따라 액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시작하려 하는 기능이 복수의 슬라이스에 의해 완성될 수 있는 경우(예를 들어, 패킷 전송이 확장형 모바일 광대역에 의해서도 완성될 수 있고 대용량 저 소비전력 접속에 의해서도 완성될 수 있음), 대응하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슬라이스를 선택하여 이 액세스를 완료한다.
실시예 2 : 단말기의 단말기 슬라이스 우선 순위 및 사용
단말기는 자신의 능력 및/또는 트래픽 요구에 따라 해당 슬라이스 우선 순위를 시작하고 이 우선 순위에 따라 유휴 상태 네트워크 상주를 진행하며, 접속 상태의 경우 네트워크에 이 우선 순위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네트워크가 이 단말기를 지향하는 핸드 오버를 진행하는 것을 돕는다.
유휴 상태 동작 : 단말기가 유휴 상태에서 상주를 진행하는 경우, 복수의 셀이 가지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능 및 자신의 단말기 슬라이스 기능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우선 순위가 높은 슬라이스 기능이 속하는 셀을 선택하여 상주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셀 A가 슬라이스 1, 2를 지원하고 네트워크 셀 B가 슬라이스 2, 3을 지원하며 단말기가 슬라이스 1, 2을 지원하고 또한 슬라이스 1이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경우에 단말기는 우선적으로 네트워크 셀 A에 상주하나, 단말기가 슬라이스 2만 지원하는 경우에는 셀 A 또는 셀 B에 모두 상주할 수 있다.
접속 상태 동작 : 단말 기기가 접속 상태에서 핸드 오버를 진행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단말기에서 보고한 슬라이스 기능 우선 순위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우선 순위가 높은 슬라이스 기능이 속하는 셀을 선택하여 핸드 오버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셀 A와 B가 모두 핸드 오버할 타겟 셀이며, 여기서, 네트워크 셀 A가 슬라이스 1, 2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셀 B가 슬라이스 2, 3을 지원하며 단말기가 슬라이스 1, 3을 지원하고 또한 슬라이스 1이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경우에 네트워크는 우선적으로 단말 기기를 네트워크 셀 A로 핸드 오버하나, 단말기가 슬라이스 2만 지원하는 경우에는 셀 A 또는 셀 B로 모두 핸드 오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상대단에 부동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부동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처리 우선 순위를 통지함으로써 단말기는 최적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여 액세스를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기가 다양한 슬라이스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의 슬라이스 우선 순위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말기의 상주, 액세스 및 핸드 오버 행동에 보다 잘 매칭될 수 있으며, 단말기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각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 측의 단계는 단말 기기 측의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 단독으로 실현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 측의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 측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 단독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방법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일반적으로 기지국이고 단말 기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기기이다.
네트워크 기기 측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의 상호 작용 및 관련 특성, 기능 등은 단말 기기 측의 관련 특성, 기능에 대응하고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흐름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하는 전후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 흐름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부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 흐름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다음은 도 5 내지 도 8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설명하고 방법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음의 장치의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4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기기는 제 1 기기이며, 이 기기(400)는 수신 유닛(410), 결정 유닛(420) 및 통신 유닛(430)을 구비한다.
수신 유닛(410)은 제 2 기기에서 송신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결정 유닛(420)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상기 제 1 기기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한다.
통신 유닛(430)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무선 통신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는 상대단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상대단에서 송신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보다 잘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무선 통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는 획득 유닛(440)을 더 구비한다.
획득 유닛(440)은 제 1 우선 순위 정보 및/또는 제 2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제 2 기기에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상기 제 2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 2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제 1 기기에서 상기 제 1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정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 및/또는 상기 제 2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 유닛(440)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통신 유닛(430)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고 및/또는,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에 상주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상기 통신 유닛(430)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리소스 구성을 진행하고 및/또는,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로 핸드 오버 또는 리디렉션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유닛(430)이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에 상주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처리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처리하는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동일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에 상주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의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는 확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440)이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것은, 상기 단말 기기의 트래픽이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는 확률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상기 획득 유닛(440)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인증된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상기 기기는 송신 유닛(450)을 더 구비한다.
송신 유닛(450)은 상기 제 1 우선 순위가 인증받을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신 유닛(410)은 또한,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우선 순위 정보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는 상대단에 부동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부동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처리 우선 순위를 통지함으로써 단말기는 최적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여 액세스를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기가 다양한 슬라이스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의 슬라이스 우선 순위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말기의 상주, 액세스 및 핸드 오버 행동에 보다 잘 매칭될 수 있으며, 단말기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400)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제 1 기기에 대응할 수 있으며, 기기(400)의 각 유닛의 상기 및 기타의 동작 및/또는 기능의 각각은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방법의 해당 흐름을 실현하는 데 사용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5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기기는 제 2 기기이며, 이 기기(500)는 결정 유닛(510) 및 송신 유닛(520)을 구비한다.
결정 유닛(510)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송신 유닛(520)은 제 1 기기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는 상대단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상대단에서 송신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보다 잘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무선 통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유닛(520)은 또한, 상기 제 1 기기로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제 2 기기에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상기 제 2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기기는 업데이트 유닛(530)을 더 구비한다.
업데이트 유닛(530)은 상기 단말 기기의 트래픽 요구에 따라,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 1 기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송신 유닛(520)이 상기 제 1 기기로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인증된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는 상대단에 부동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부동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처리 우선 순위를 통지함으로써 단말기는 최적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여 액세스를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기가 다양한 슬라이스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의 슬라이스 우선 순위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말기의 상주, 액세스 및 핸드 오버 행동에 보다 잘 매칭될 수 있으며, 단말기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500)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제 2 기기에 대응할 수 있으며, 기기(500)의 각 유닛의 상기 및 기타의 동작 및/또는 기능의 각각은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방법의 해당 흐름을 실현하는 데 사용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기기(600)가 더 제공되며, 이 기기(600)는 제 1 기기이고, 이 기기(600)는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버스 시스템(630) 및 송수신기(640)를 구비하고, 여기서, 이 프로세서(610), 이 메모리(620) 및 이 송수신기(640)는 이 버스 시스템(630)을 통해 상호 접속되며, 이 메모리(620)는 명령을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이 프로세서(610)는 이 메모리(620)에 기억된 명령을 실행하여 이 송수신기(640)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이 프로세서(610)는 제 2 기기에서 송신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상기 제 1 기기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무선 통신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는 상대단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상대단에서 송신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보다 잘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무선 통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프로세서(6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단순히 "CPU"라 칭함)일 수 있으며, 이 프로세서(610)는 또한 기타의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의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 프로세서일 수 있으나,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메모리(62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610)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620)의 일부는 또한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20)는 또한 기기 타입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이 버스 시스템(630)은 데이터 버스 외에, 또한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에서 다양한 버스를 버스 시스템(630)으로 표기한다.
실현 시에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610) 내의 하드웨어의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에 관련하여,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여 실현하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실행하여 실현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당 기술 분야에서의 성숙된 기록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기록 매체는 메모리(620)에 배치되며,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 내의 정보를 읽고 그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실현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제 1 기기 및 기기(40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제 1 기기에 대응할 수 있으며, 기기(600)의 각 유닛의 상기 및 기타의 동작 및/또는 기능의 각각은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방법의 해당 흐름을 실현하는 데 사용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기기(700)가 더 제공되며, 이 기기(700)는 제 1 기기이고, 이 기기(700)는 프로세서(710), 메모리(720), 버스 시스템(730) 및 송수신기(740)를 구비하고, 여기서, 이 프로세서(710), 이 메모리(720) 및 이 송수신기(740)는 이 버스 시스템(730)을 통해 상호 접속되며, 이 메모리(720)는 명령을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이 프로세서(710)는 이 메모리(720)에 기억된 명령을 실행하여 이 송수신기(740)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이 프로세서(710)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 1 기기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는 상대단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상대단에서 송신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보다 잘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무선 통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프로세서(7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단순히 "CPU"라 칭함)일 수 있으며, 이 프로세서(710)는 또한 기타의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의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 프로세서일 수 있으나,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메모리(72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710)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720)의 일부는 또한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20)는 또한 기기 타입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이 버스 시스템(730)은 데이터 버스 외에, 또한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에서 다양한 버스를 버스 시스템(730)으로 표기한다.
실현 시에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710) 내의 하드웨어의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에 관련하여,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여 실현하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실행하여 실현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당 기술 분야에서의 성숙된 기록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기록 매체는 메모리(720)에 배치되며,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 내의 정보를 읽고 그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실현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7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제 2 기기 및 기기(50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제 2 기기에 대응할 수 있으며, 기기(700)의 각 유닛의 상기 및 기타의 동작 및/또는 기능의 각각은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방법의 해당 흐름을 실현하는 데 사용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에 해당하는 B"는 B와 A가 연관되며 A에 의해 B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A에 의해 B를 결정하는 것은 A만에 의해 B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A 및/또는 기타의 정보에 의해 B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및/또는"은 연관 객체를 설명하는 연관 관계에 불과하며,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고 A 및 B가 동시에 존재하며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객체 사이가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흐름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하는 전후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 흐름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부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 흐름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실행되는지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상의 제약 조건에 의존한다. 당업자라면 특정 용도에 따라 부동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재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아니 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조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해당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공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으도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에 따른 구분이며, 실제로 실현할 때는 기타 구분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가 조합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도 있으며, 혹은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나타내거나 설명된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도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도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모듈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고, 또한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공헌한 부분 또는 이 기술 방안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며, 한 대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에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록 매체는 USB 메모리, 모바일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가능한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대체를 용이하게 구상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26)

  1.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에서 송신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임 - 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 -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상기 제 1 기기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 함 - 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무선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상기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인 경우, 상기 제1기기는 초기 액세스 과정에서 제1우선 순위 정보 및 제2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1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상기 제1기기는 핸드 오버 개시 기간에 제1우선 순위 정보 및 제2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 및 상기 제 2 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제 2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제 1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기가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무선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비하는 셀에 상주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무선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리소스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비하는 셀로 핸드 오버 또는 리디렉션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비하는 셀에 상주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동일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비하는 셀에 상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의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는 확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는 확률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부동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는 재선택의 방식에 의해 다른 네트워크 기기의 셀을 선택하여 상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상기 제 1 기기가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인증된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가 인증받을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우선 순위 정보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액세스 계층 또는 비 액세스 계층의 시그널링을 통해 우선 순위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고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검증 및 확인을 완료한 후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피드백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직접 상기 액세스 계층을 통해 우선 순위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하여 검증 및 확인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 기기이며,
    제 2 기기에서 송신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임 - 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 -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상기 제 1 기기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함 - 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무선 통신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 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상기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인 경우, 상기 제1기기는 초기 액세스 과정에서 제1우선 순위 정보 및 제2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1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상기 제1기기는 핸드 오버 개시 기간에 제1우선 순위 정보 및 제2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 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 및 상기 제 2 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제 2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우선 순위 정보는 상기 제 1 기기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기.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 유닛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며,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고 및/또는,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에 상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리소스 구성을 진행하고 및/또는,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로 핸드 오버 또는 리디렉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이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에 상주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처리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처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동일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셀에 상주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의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는 확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이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것은,
    상기 단말 기기의 트래픽이 상기 타겟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는 확률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상기 획득 유닛이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인증된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기.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 2 기기가 단말 기기이며,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가 인증받을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 1 우선 순위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우선 순위 정보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기.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97016024A 2016-11-11 2016-11-11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102650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105436 WO2018086060A1 (zh) 2016-11-11 2016-11-11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502A KR20190077502A (ko) 2019-07-03
KR102650322B1 true KR102650322B1 (ko) 2024-03-25

Family

ID=6210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024A KR102650322B1 (ko) 2016-11-11 2016-11-11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140544B2 (ko)
EP (2) EP3537771B1 (ko)
JP (1) JP6951437B2 (ko)
KR (1) KR102650322B1 (ko)
CN (3) CN112804725B (ko)
ES (1) ES2816053T3 (ko)
TW (1) TWI746683B (ko)
WO (1) WO2018086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2727B4 (de) 2008-06-27 2020-12-17 Brita Gmbh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Wasser, insbesondere Filtervorrichtung, und Kartusche
DE102008040335B4 (de) 2008-07-10 2013-05-08 Brita Gmbh Vorrichtung zur Entkeimung von Wasser und Verwendung derselben
EP3537771B1 (en) * 2016-11-11 2020-08-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slice determination
CN109474967B (zh) * 2017-01-25 2019-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WO2018157439A1 (zh) * 2017-03-01 2018-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业务处理的方法和设备
CN109040322B (zh) * 2018-10-08 2021-05-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车辆通信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CN111447608B (zh) * 2019-01-17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CN112911678A (zh) * 2019-12-04 2021-06-04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网络切片选择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MX2022008669A (es) * 2020-01-18 2022-08-10 Fg innovation co ltd Equipo de usuario y metodo para reseleccion de celula.
CN113556725A (zh) * 2020-04-26 2021-10-26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重选的配置方法、重选方法、装置、网络侧设备及终端
CN111614954A (zh) * 2020-05-15 2020-09-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流媒体的指标采集处理方法、装置、计算机及存储介质
WO2021237623A1 (zh) * 2020-05-28 2021-1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切片选择的方法和终端设备
CN113965463A (zh) * 2020-06-29 2022-01-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切片切换方法和终端、存储介质及电子装置
WO2022080972A1 (en) * 2020-10-16 2022-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systems for enhancing user network slice experience
CN112637934B (zh) * 2020-12-25 2022-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资源确定方法、资源确定装置及存储介质
JP2024506593A (ja) * 2021-02-05 2024-02-14 北京小米移動軟件有限公司 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及び装置、記憶媒体
CN113727399B (zh) * 2021-08-26 2023-08-0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目标小区确定方法及装置
CN113938389A (zh) * 2021-09-30 2022-01-14 天翼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切片网络配置方法、系统、装置与存储介质
WO2023130244A1 (zh) * 2022-01-05 2023-07-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上报方法和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7281B2 (en) * 2009-12-29 2019-03-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ccess policy updates in a dispersed storage network
US8281182B2 (en) * 2010-03-12 2012-10-02 Cleversafe, Inc. Dispersed storage unit selection
US9148846B2 (en) * 2011-06-30 2015-09-2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s for intelligent network selection
US9571384B2 (en) * 2013-08-30 2017-02-14 Futurewei Technologies, Inc. Dynamic priority queue mapping for QoS routing in software defined networks
WO2016150511A1 (en) 2015-03-26 2016-09-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Device and method for allocating communication resources in a system employing network slicing
US10536946B2 (en) * 2015-12-08 2020-01-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network slic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CN105516312B (zh) * 2015-12-09 2019-02-22 重庆邮电大学 一种软件定义网络负载均衡装置与方法
US20180352501A1 (en) * 2015-12-29 2018-12-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ized Network Service Provision
CN116113014A (zh) * 2016-04-23 2023-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接入网切片的生成方法、无线接入网及切片管理器
CN105813195B (zh) * 2016-05-13 2019-05-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按需为终端选择移动性管理机制的方法及装置
CN110691429B (zh) * 2016-05-13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Rrc状态的控制方法和装置
CN106060900B (zh) * 2016-05-13 2019-12-1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网络切片的接入控制方法及装置、终端化小区和sdn控制器
US10278123B2 (en) * 2016-07-04 2019-04-30 Apple Inc. Network slice selection
JP6743283B2 (ja) * 2016-08-12 2020-08-19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ネットワークスライス選択方法、無線アクセス装置、および端末
CN107734708B (zh) * 2016-08-12 2023-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网络的接入控制方法及装置
CN107770794B (zh) * 2016-08-15 2023-05-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片配置方法及装置
CN112996087B (zh) * 2016-09-28 2023-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片选择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08307530B (zh) * 2016-09-30 2023-09-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会话连接建立方法、相关设备及系统
CN108024314B (zh) * 2016-11-03 2021-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选择网络的方法及装置
KR102108871B1 (ko) * 2016-11-03 2020-05-12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EP3952448B1 (en) * 2016-11-04 2023-04-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ter-network change method and terminal
CN108024253B (zh) * 2016-11-04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以及终端、接入网设备、核心网设备
EP3537771B1 (en) * 2016-11-11 2020-08-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slice determination
US20180317134A1 (en) * 2017-04-28 2018-11-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Nssmf nsmf interaction connecting virtual 5g networks and subnet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164599*
3GPP S2-166603*
3GPP S3-16146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40544B2 (en) 2021-10-05
JP6951437B2 (ja) 2021-10-20
US20210409938A1 (en) 2021-12-30
TWI746683B (zh) 2021-11-21
JP2020500478A (ja) 2020-01-09
EP3537771A1 (en) 2019-09-11
KR20190077502A (ko) 2019-07-03
CN112804724A (zh) 2021-05-14
US11864272B2 (en) 2024-01-02
TW201818770A (zh) 2018-05-16
EP3537771B1 (en) 2020-08-05
CN112804725A (zh) 2021-05-14
CN109923903A (zh) 2019-06-21
CN109923903B (zh) 2021-02-02
US20190320314A1 (en) 2019-10-17
WO2018086060A1 (zh) 2018-05-17
EP3739966A1 (en) 2020-11-18
EP3537771A4 (en) 2019-09-11
CN112804724B (zh) 2023-06-16
ES2816053T3 (es) 2021-03-31
CN112804725B (zh)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322B1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102477765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JP2022078267A (ja) 情報伝送方法、端末装置とネットワーク装置
JP2022088396A (ja) 情報伝送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JP2020511088A (ja) 信号伝送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JP2022058811A (ja) 無線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装置
WO2019051707A1 (zh) 用于传输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102410145B1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JP6995880B2 (ja) 無線通信方法、端末装置及び送受信ノード
JP7043590B2 (ja) 無線通信用の方法及び装置
US113372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JP6957636B2 (ja) 通信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