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033B1 - 스크류의 후퇴 방지 기능을 가지는 와이 척 - Google Patents

스크류의 후퇴 방지 기능을 가지는 와이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033B1
KR102650033B1 KR1020220000793A KR20220000793A KR102650033B1 KR 102650033 B1 KR102650033 B1 KR 102650033B1 KR 1020220000793 A KR1020220000793 A KR 1020220000793A KR 20220000793 A KR20220000793 A KR 20220000793A KR 102650033 B1 KR102650033 B1 KR 102650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main body
prevention member
chuck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5427A (ko
Inventor
김성문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이티(주) filed Critical 에스엠에이티(주)
Priority to KR102022000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03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5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4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된 스크류가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와이 척(Chuck)을 제안한다. 본 발명 와이척에 의하면, 본체(14)는, 전동 드라이버가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직선의 관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는 스크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18)을 구비한다. 그리고 공급관(12)이 본체(14)의 일측에 경사를 가지고 본체(14)와 연통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탈방지부재(20)는, 본체(14)의 외측에서 지지핀(2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하부(24a)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14) 내부에서 스크류의 상면에 접촉하여, 지지공(18)에 걸린 스크류의 이탈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스크류의 후퇴 방지 기능을 가지는 와이 척{A Y-chuck having a supporer preventing back move of screw}
본 발명은 에어슈팅으로 공급되는 스크류를 일시적으로 지지하여 전동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체결시키기 위한 와이 척(Y-chuck)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와이 척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 척은, 전체적으로 Y형상을 가지고 있고, 고압의 에어를 이용한 슈팅으로 스크류(S)를 공급하는 스크류 공급관(2)와, 이렇게 공급된 스크류(S)가 특정부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전동드라이버가 삽입되어 체결을 수행할 수 있는 본체(4)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4)는 전동 드라이버가 상하 방향으로 출입하면서 하단(6)의 지지공(8)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S)를 회전시켜 특정 부분에 체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본체(4)는 일자형으로 만들어져서 전동드라이버가 하방으로 들어와서 스크류를 체결한 후 상방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스크류 공급관(2)은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본체(4)과 연통하도록 성형되어 있고, 소정 압력의 에어가 스크류(S)를 그 내부로 슈팅한다. 이렇게 슈팅된 스크류(S)는 본체(4)단부의 지지공(8)에 스크류의 헤드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본체(6)는 지지공(8)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이분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6)는 상부의 일측에서 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분된 하단부가 서로 벌어지거나 근접하게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전동드라이버가 스크류를 체결한 후에는 본체(6)의 하부가 양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와이 척 자체가 외부 장치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형적인 와이 척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세워진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 공급된 스크류(S)가 위로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지는 않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가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스크류 공급관을 통하여 슈팅된 스크류(S)가 수평으로 유지하지 않고 뒤로 후퇴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류가 원래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게 되면 와이 척 자체의 동작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고, 이는 자동화 장치에서 치명적인 단점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슈팅된 스크류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 스크류에 의한 체결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와이 척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스크류 체결을 수행하는 와이 척의 동작 신뢰도를 충분히 높이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 와이 척의 구성에 의하면, 본체는 전동 드라이버가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직선의 관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는 스크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18)을 구비하고 있다. 스크류 공급관은, 본체의 일측에 경사를 가지고 본체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본체 하단부의 지지공에 스크류가 걸리도록 에어를 이용하여 스크류를 공급한다. 그리고 이탈방지부재는, 본체의 외측에서 지지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 내부에서 스크류의 상면에 접촉하여, 지지공에 걸린 스크류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슈팅으로 공급되는 스크류가 본체의 하단부 지지공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장치의 설치 위치 등의 주변 환경에 대하여 정확한 스크류의 안착이 가능한 잇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스크류가 수평 방향으로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상태를 포함한 다양한 자세에서도 안정된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종래의 구성에 의한 와이 척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 척의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 척은, 전체적으로 Y형상을 가지고 있고, 고압의 에어를 이용한 슈팅으로 스크류(S)를 공급하는 스크류 공급관(12)와, 스크류 공급관(12)을 통하여 공급된 스크류(S)가 특정부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전동드라이버가 삽입되어 체결을 수행할 수 있는 본체(14)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본체(14)는 직선상의 관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체(14)는 관체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전동 드라이버가 상하 방향으로 출입하면서 본체(14)의 하단부 지지공(18)에 지지되어 있는 스크류(S)를 회전시켜 특정 부분에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본체(14)는 일자형으로 만들어져서 전동드라이버가 하방으로 들어와서 스크류를 체결한 후 상방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스크류 공급관(12)은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본체(14)과 연통하도록 성형되어 있고, 소정 압력의 에어가 스크류(S)를 그 내부로 슈팅한다. 이렇게 슈팅된 스크류(S)는 스크류 공급관(12)에서 본체(14)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본체(14) 내부로 이동한 스크류는 본체(14)의 하단부의 지지공(18)에 헤드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14)의 일측면에는 바아 형상의 이탈방지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탈방지부재(20)는, 그 하단부가 스크류(S)의 상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스크류(S)가 후방으로(뒤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20)는 수평방향의 지지핀(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지지핀(22)의 하부라고 할 수 있는 이탈방지부재(20)의 하부(24a)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14)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본체(14)의 측면에 슬롯을 형성함으로써 이탈방지부재(20)의 하부(24a)가 본체(14)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탈방지부재(20)의 하부(24a)는 본체(14)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스크류(S)의 헤드 위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이탈방지부재(20)의 하부(24a)가 스크류(S)의 헤드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탈방지부재(20)가 지지핀(2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야 한다. 본체(14)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지지핀(22)이 본체(14)에 대하여 이탈방지부재(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고, 본체의 측면과 이탈방지부재(20)의 상부(24b) 사이에는 스프링(30)이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은 이탈방지부재(20)의 상부(24b)를 외측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이탈방지부재(20)의 하부(24a)는 본체(20)의 내부를 향하여 탄성력을 받게 되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S)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와이 척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와이 척 자체는 생산라인의 자동화 장치에 설치되어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고, 이러한 와이 척 자체의 움직임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과는 무관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크류 공급관(12)을 통하여, 스크류(S)가 공기압에 의하여 공급된다. 이렇게 공급되는 스크류(S)는 본체(14) 하단부의 지지공(18)에 장착된다. 여기서 스크류(S)는 상기 지지공(18)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인데, 스크류(S)의 헤드가 지지공(18)에 걸려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속도로 공급되는 스크류(S)는 이탈방지부재(20)의 하부(24a)에 접촉할 수 있고, 이러한 접촉에 의하여 이탈방지부재(20)의 하부(24a)는 외측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공급되는 스크류(S)는 본체(14) 하단부의 지지공(18)에 안착된다. 이러한 스크류(S)의 안착과 같이, 이탈방지부재(20)의 하부(24a)는 상술한 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본체(14) 내측으로 이동하여, 그 하단부가 스크류(S)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은 이탈방지부재(20) 자체를 지지핀(22)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면 충분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부재(20)의 하부(24a)가 스크류(S)의 헤드에 걸리게 되면, 실질적으로 스크류(S)는 본체(14)의 내부에서 지지공(18)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실질적으로 스크류(S)가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체(14)의 위치 상태에 의하여 스크류(S)의 위치가 변하지 않게 된다.
즉, 스크류(S)는 본체(14)의 내부에서 지지공(18)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후방으로의 이동은 완벽하게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4)의 내부로는 전동 드라이버가 스크류 측으로 이동하여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류를 대상물에 체결하게 된다. 여기서 스크류(S)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이분된 본체(14)가 벌어지는 것은 실질적으로 종래의 동작과 동일하다. 본체(14)가 이분되는 구성은 지지공(18)의 이분을 포함하는 의미이고, 이는 종래의 구성이어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4)의 측면에 이탈방지부재를 지지핀(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이탈방지부재(20)의 하부(24a)를 본체(14)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20)의 하부(24a)는 스크류(S)의 헤드 상에 접촉함으로써 스크류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을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본 발명이 등록되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할 것이다.
12 ..... 스크류 공급관
14 ..... 본체
18 ..... 지지공
20 ..... 이탈방지부재
22 ..... 지지핀
24a ..... 하부
24b ..... 상부
S ..... 스크류

Claims (1)

  1. 전동 드라이버가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직선의 관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는 스크류의 헤드가 걸려서 지지되는 지지공(18)을 구비하는 본체(14);
    본체(14)의 일측에 경사를 가지고 본체(14)와 연통하고, 본체(14) 하단부의 지지공(18)에 스크류(S)가 걸리도록 에어를 이용하여 스크류를 공급하는 스크류 공급관(12); 그리고
    본체(14)의 외측에서 수평방향의 지지핀(2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탈방지부재(20)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 공급관(12)에서 공기압으로 공급되는 스크류(S)는 이탈방지부재(20)의 하부(24a)를 외측으로 밀어서 지지공(18)에 걸리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탈방지부재(20)의 하부(24a)가 본체(14) 내부에서 스크류(S)의 헤드 상면에 접촉하여 스크류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 척.

KR1020220000793A 2022-01-04 2022-01-04 스크류의 후퇴 방지 기능을 가지는 와이 척 KR102650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793A KR102650033B1 (ko) 2022-01-04 2022-01-04 스크류의 후퇴 방지 기능을 가지는 와이 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793A KR102650033B1 (ko) 2022-01-04 2022-01-04 스크류의 후퇴 방지 기능을 가지는 와이 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427A KR20230105427A (ko) 2023-07-11
KR102650033B1 true KR102650033B1 (ko) 2024-03-21

Family

ID=8715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793A KR102650033B1 (ko) 2022-01-04 2022-01-04 스크류의 후퇴 방지 기능을 가지는 와이 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03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287B1 (ko) * 2010-05-19 2012-03-20 (주)엠티알 슈팅형 스크류 체결 장치
KR102202719B1 (ko) * 2019-03-28 2021-01-13 (주)에스엘테크 스크류 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427A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42187B (zh) 螺钉引导装置以及螺钉紧固机器人系统
JP2017136352A (ja) ブラケットデバイス
CA2255513C (en) One-piece swivel clip
KR102650033B1 (ko) 스크류의 후퇴 방지 기능을 가지는 와이 척
US20120285015A1 (en) Retainer assembling apparatus and retainer assembling method
US4741642A (en) Safety joint for robotic arm
US20170304968A1 (en) Robot screw-fastening device and screw-fastening robot system
JP2004249398A (ja) ブッシュ圧入装置
CN205483228U (zh) 称重模块
KR102282728B1 (ko) 자동 나사 체결 장치
KR20130014598A (ko) 플립업식 테이블, 플립업식 테이블용 천판, 플립업식 테이블용 다리, 및 천판의 수납방법
CN210678770U (zh) 一种柔性单元及应用该柔性单元的机械手臂
JP6608867B2 (ja) ねじ部材供給装置のねじ部材取出機構
KR960003720Y1 (ko) 조립용로보트의 그리퍼보상장치
JP6536084B2 (ja) 部品供給装置
SU10651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ки деталей типа вал-втулка
JPH0516089A (ja) ワーク支持装置
KR102399499B1 (ko) 실장 장치 및 실장 방법
CN212734020U (zh) 可随动的管道防弯折机构及自冲铆设备
KR102119654B1 (ko) 배터리의 그리퍼 장치
JPH0561054B2 (ko)
SU1745510A1 (ru) Ориен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5623669B1 (ja) 生タイヤの検出機構
JPH09270594A (ja) 部品供給装置
KR102433597B1 (ko) 기판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