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983B1 -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983B1
KR102649983B1 KR1020230099520A KR20230099520A KR102649983B1 KR 102649983 B1 KR102649983 B1 KR 102649983B1 KR 1020230099520 A KR1020230099520 A KR 1020230099520A KR 20230099520 A KR20230099520 A KR 20230099520A KR 102649983 B1 KR102649983 B1 KR 102649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ispenser
spherical
opening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주완
Original Assignee
홍주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주완 filed Critical 홍주완
Priority to KR1020230099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26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06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ombined with means for drying tow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1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a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 responsive to position or movement of the coating head relative to the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05C5/0237Fluid actuated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3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디스펜서 장치에 적용되어 일정한 주기로 보충이 필요한 액상 물질의 토출로부터 디스펜서 장치의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액상 물질을 토출시켜 주는 디스펜서 장치; 및 액상 물질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장치로 전달되는 액상 물질의 공급을 개폐하는 디스펜서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smart dispenser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다양한 디스펜서 장치에 적용되어 일정한 주기로 보충이 필요한 액상 물질의 토출로부터 디스펜서 장치의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정 및 살균을 위한 용액들이 바람직하게는 제어된 설정에서의 사용자에게 디스펜싱된다(dispensed).
통상적으로, 디스펜서는, 요망되는 용액을 생성하도록 유체, 예컨대 물과 조합되는 고체 생성물 화학물질(solid product chemistry)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고체 생성물 화학물질은 세정 세제(detergent)를 생성하도록 유체와 혼합될 수 있다.
디스펜서는, 이의 단부 사용 적용을 위해 요망되는 농도를 가지는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고체 생성물과 상호작용하는 유체를 가짐으로써, 유효하게 작용한다.
유체는 고체 생성물 화학물질의 저부 또는 다른 표면에 도입될 수 있다.
고체 생성물 화학물질은 디퓨즈 매니폴드(diffuse manifold) 상에 통상적으로 위치되며, 이 디퓨즈 매니폴드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퍽(puck)으로서 때때로 지칭된다.
퍽은, 요망되는 용액 농도를 초래하는 압력 및 유속을 달성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패턴의 일련의 홀들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32555호 (2018.12.27.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가정용 또는 산업용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펜서 장치에 적용되어 일정한 주기로 보충이 필요한 액상 물질의 토출로부터 디스펜서 장치의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은, 액상 물질을 토출시켜 주는 디스펜서 장치; 및 액상 물질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장치로 전달되는 액상 물질의 공급을 개폐하는 디스펜서 밸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은,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은, 상기 개폐 컨트롤러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개폐 제어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개폐 여부에 따른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 컨트롤러는,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 물질의 잔량에 따른 잔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개폐 컨트롤러와 사이의 통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잔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동시에 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펜서 장치의 고장 발생 여부를 판독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상 물질의 특징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 장치로 공급되는 시점을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상 물질의 자료를 수집하며, 수집된 액상 물질의 자료를 이용하여 해당 액상 물질의 위험성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잔량 정보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의 잔량 확인한 뒤 상기 디스펜서 밸브 및 상기 디스펜서 장치의 구동을 상기 개폐 컨트롤러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와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온도 검출하여 상기 디스펜서 밸브 및 상기 디스펜서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으로 상기 디스펜서 장치를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 변화량값을 예측하고, 예측된 토출 변화량값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펜서 장치를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량의 조절값을 설정한 뒤, 상기 디스펜서 장치의 액상 물질의 토출량 조절을 상기 개폐 컨트롤러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디스펜서 장치를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량 확인 및 데이터 수집을 통해 상기 디스펜서 장치의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디스펜서 장치의 이상 상태 발생 시 상기 디스펜서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동시에 원격 기술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디스펜서 장치에 의한 액상 물질의 도포 패턴 확인을 통해 상기 디스펜서 장치를 통한 액상 물질의 도포의 이상 발생 여부 확인하는 동시에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펜서 장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으로 접근한 사용자 신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감지 센서;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상 물질을 저장해 두는 저장 탱크; 및 상기 케이싱으로 사용자의 신체가 접근하면 작동되어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 물질을 토출시켜 주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디스펜서 밸브를 통해 토출되는 액상 물질의 종류 및 액상 물질의 토출 조건에 따른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마모 정도를 수집하여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내구 연한을 액상 물질의 종류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액상 물질의 종류 별로 구축된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내구 연한 데이터베이스를 입력 정보로 하여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사용 연한을 예상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사용 연한 예상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사용 연한 조건을 예상하며, 상기 사용 연한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펜서 장치를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량을 액상 물질의 종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펜서 밸브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액상 물질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액상 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관과,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말단부에 토출구가 구비되어 유입된 액상 물질을 하측으로 토출하는 주입관을 포함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하우징과 주입관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개폐 컨트롤러의 구동 제어에 따른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주입관 말단의 토출구를 개폐하여 주입관을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 작용을 단속하며, 상부 외주면에 상기 밸브하우징의 개구를 커버하는 가요성 다이어프램이 일체로 형성된 샤프트; 상기 다이어프램의 가장자리를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고정하는 컴프레서; 상기 개폐 컨트롤러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샤프트를 승강시키는 엑츄에이터; 상기 밸브바디와 컴프레서의 고정을 위한 보닛; 상기 보닛과 컴프레서의 고정을 위한 보닛락; 및 상기 토출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개폐 컨트롤러의 구동 제어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토출구의 개방 형상을 가변시켜 주는 토출구 가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구 가변 제어부는, 상기 토출구의 내주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주입관의 하단 내측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체 안착홈; 상기 구체 안착홈의 직경에 대응하는 지름의 원형의 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체 안착홈에 안착되는 구체형 밸브; 상기 구체 안착홈의 개구부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체형 밸브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턱; 상기 구체형 밸브를 자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자성을 형성하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을 따라 상승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체형 밸브를 상기 구체 안착홈의 개구부 방향으로 전전 이동시켜 상기 구체형 밸브의 전단이 상기 토출구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승 이동 후 다시 하강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체형 밸브를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으로 삽입 이동시켜 주는 구체 이동 모듈;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체 이동 모듈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개폐 컨트롤러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구체 이동 모듈을 승강 이동시켜 주는 모듈 승강 실린더; 상기 구체형 밸브의 삽입이 제한되도록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구획되는 삽입 제한선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오링 안착홈; 상기 제1 오링 안착홈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구체형 밸브가 더이상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지하는 동시에 상기 구체형 밸브와 상기 구체 안착홈 사이의 간격을 밀폐시켜 주는 제2 오링; 상기 구체형 밸브의 노출이 제한되도록 상기 삽입 제한선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구획되는 노출 제한선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오링 안착홈; 및 상기 제2 오링 안착홈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구체형 밸브의 전단이 더이상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제지하는 동시에 상기 구체형 밸브와 상기 구체 안착홈 사이의 간격을 밀폐시켜 주는 제2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체 이동 모듈은, 상기 구체형 밸브를 자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자성을 형성하는 재질로 제작되며, 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모듈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되는 모듈 블록; 상기 모듈 블록의 상단의 전후 길이가 상기 모듈 블록의 하단의 전후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져 경사지도록 상기 모듈 블록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구체형 밸브가 안착되는 밀착 경사면; 및 상기 구체형 밸브가 안착되어 구르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밀착 경사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구체 이동 유도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펜서 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하측에 설치되며, 젖어 있는 사용자의 손이 밀착되면 구동되어 사용자의 손의 수분을 제거해 주는 손 건조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 건조 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상기 케이싱의 하부 타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무한궤도형 타월;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무한궤도형 타월의 상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무한궤도형 타월을 회전시켜 주는 상단 지지 롤러; 상기 상단 지지 롤러와 대향하면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하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무한궤도형 타월의 하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롤러와 동시에 구동되어 상기 무한궤도형 타월을 회전시켜 주는 하단 지지 롤러; 및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 프레임 사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무한궤도형 타월의 내향면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중단 지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단 지지 롤러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무한궤도형 타월의 내향면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무한궤도형 타월의 내향면을 지지하는 지지 파이프; 상기 제2 수직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파이프 지지부; 및 상기 제1 파이프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파이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파이프는, 상기 무한궤도형 타월과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외측을 따라 가시 형상의 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이프 지지부는,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내향면을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슬라이딩홈; 상기 지지 파이프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평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평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수평 이동 슬라이더; 상기 수평 슬라이딩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수평 이동 슬라이더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1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수평 슬라이딩홈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수평 이동 슬라이더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2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이동 슬라이더는, 상기 지지 파이프의 일측과 대향하는 일측으로 내부 공간이 개방되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박스; 상기 수평 슬라이딩홈의 상측 및 하측을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평 슬라이딩홈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박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돌기; 상기 슬라이딩 박스의 일측 개구부를 덮고 안착되며, 상기 지지 파이프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는 박스 커버; 상기 슬라이딩 박스의 내부 공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박스 커버의 전단 내향면을 지지하는 제1 커버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딩 박스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박스 커버의 후단 내향면을 지지하는 제2 커버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이동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 박스의 내부 공간의 중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박스 커버의 중단 내향면을 지지하며, 상기 박스 커버가 상기 슬라이딩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됨에 따라 압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완충 실린더; 상기 슬라이딩 박스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완충 실린더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신장되며, 상기 수평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박스가 전진 이동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상기 제1 완충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2 완충 실린더; 및 상기 슬라이딩 박스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완충 실린더 또는 상기 제2 완충 실린더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신장되며, 상기 수평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박스가 후진 이동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상기 제1 완충 실린더 및 상기 제2 완충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3 완충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디스펜서 장치에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그리고 모니터링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다양한 액상 물질의 배출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최적에 디스펜서 조건을 찾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펜서 밸브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토출구 가변 제어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3의 구체 이동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디스펜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디스펜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손 건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파이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수평 이동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10)은, 디스펜서 장치(100) 및 디스펜서 밸브(200)를 포함한다.
디스펜서 장치(100)는, 저장 탱크(T)로부터 공급되는 가정용 액상 세정제를 접근하는 사용자의 신체로 토출하거나 또는 산업용 화학 약품 등의 다양한 종류의 액상 물질을 용기에 토출시켜 준다.
디스펜서 밸브(200)는, 개폐 컨트롤러(300)에 의해 구동 제어되어 액상 물질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탱크(T)로부터 디스펜서 장치(100)로 전달되는 액상 물질의 공급을 개폐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10)은, 개폐 컨트롤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컨트롤러(300)는, 디스펜서 밸브(200)의 개폐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개폐 컨트롤러(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디스펜서 밸브(200)의 개폐 제어 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4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그리고,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 컨트롤러(300)는, 디스펜서 밸브(200)의 개폐 여부에 따른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N)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 컨트롤러(300)는, 저장 탱크(T)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 물질의 잔량에 따른 잔량 정보를 네트워크(N)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400)는, 개폐 컨트롤러(300)와 사이의 통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10)은, 통합 관리 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5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잔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동시에 이를 이용하여 디스펜서 장치(100)의 고장 발생 여부를 판독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500)는, 저장 탱크(T)로부터 공급되는 액상 물질의 특징에 따라 디스펜서 장치(100)로 공급되는 시점을 예측하여 사용자 단말기(400)로 통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500)는, 저장 탱크(T)로부터 공급되는 액상 물질의 자료를 수집하며, 수집된 액상 물질의 자료를 이용하여 해당 액상 물질의 위험성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되는 잔량 정보를 통해 저장 탱크(T)의 잔량 확인한 뒤 디스펜서 밸브(200) 및 디스펜서 장치(100)의 구동을 개폐 컨트롤러(300)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되는 잔량 정보를 통해, 저장 탱크(T)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 물질인 레진의 종류 데이터를 수집한 뒤 MSDS, TDS 등에 등록하며, 장치의 사용 기간 및 가혹 조건 노출 등의 데이터를 수집 및 알람 제공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통해 저장 탱크(T)와 디스펜서 밸브(200)의 온도 검출하여 디스펜서 밸브(200) 및 디스펜서 장치(100)의 이상 유무를 판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500)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으로 디스펜서 장치(100)를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 변화량값을 예측하고, 예측된 토출 변화량값을 이용하여 디스펜서 장치(100)를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량의 조절값을 설정한 뒤, 디스펜서 장치(100)의 액상 물질의 토출량 조절을 개폐 컨트롤러(300)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500)는, 디스펜서 장치(100)를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량 확인 및 데이터 수집(예를 들어, 도포 후 밸브 스트로크 횟수, 토출 조건(시간, 압력, 니들 사이즈 등) 등)을 통해 디스펜서 장치(100)의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디스펜서 장치(100)의 이상 상태 발생 시 디스펜서 장치(10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동시에 원격 기술 지원을 요청하는 동시에, 해당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400)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정보의 공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500)는, 디스펜서 장치(100)에 의한 액상 물질의 도포 패턴 확인을 통해 디스펜서 장치(100)를 통한 액상 물질의 도포의 이상 발생 여부 확인하는 동시에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10)은, 디스펜서 장치(100) 등에 부착될 수 있는 QR의 스캔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모니터링 정보의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10)은, IOT, ICT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으로, 탱크에 레진 잔량, 밸브 스트로크 횟수, 유량 토출량 등 통합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액체(레진) 특성에 따른 물성 등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추후 데이터로 사용 할 수 있다
즉, 1) 컨트롤러와 사용자 단말 간 데이터 통신 구조 구현 2) 데이터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제3자에 의한 데이터 탈취를 방지할 수 있는 알고리즘 구현 3) 수집된 데이터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관리를 통한 데이터 수집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1) 수집된 데이터의 특징에 기초하여 고장 부위 예측 2) 토출량, 밸브 스트로크 횟수, 탱크에 저장된 레진 잔량 등과 같이 서로 다른 항목에 대해 수집되는 데이터 특징에 기초하여 분석 신뢰성을 향상 3) 탱크에 저장되는 액체의 특성에 따라 충진 시점을 예측하여 사용자 단말로 알림 4) 사용 되는 레진 자료 수집(TDS, MSDS) 5) 수집 및 분석 데이터 활용 하여 해당 종류 레진에 위험성(예를 들어, 경규제 물질, 인체유해 물질, 레진의 특성에 따른 점도, 비중 필러 함유량 등)에 의한 기술적 분석을 통한 데이터 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500)는, 디스펜서 밸브(200)를 통해 토출되는 액상 물질의 종류 및 액상 물질의 토출 조건에 따른 디스펜서 밸브(200)의 마모 정도(예를 들어, 실리콘 점도 5만cps, 비중 1.5 특성에 실리콘을 5bar 압력으로 디스펜서 밸브(200)를 1년 사용 하였을 경우 디스펜서 밸브(200)에 문제가 발생하는 등)를 수집하여 디스펜서 밸브(200)의 내구 연한을 액상 물질의 종류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액상 물질의 종류 별로 구축된 디스펜서 밸브(200)의 내구 연한 데이터베이스를 입력 정보로 하여 디스펜서 밸브(200)의 사용 연한을 예상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사용 연한 예상 모델을 이용하여 디스펜서 밸브(200)의 사용 연한 조건을 예상하며, 사용 연한 조건을 이용하여 디스펜서 장치(100)를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량을 액상 물질의 종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즉, 토출되는 액상 물질의 종류에 따라 디스펜서 밸브(200)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 물질의 사용 조건(예를 들어, 토출 압력, 토출양, 토출 속도 등)를 제어하여 최적의 디스펜서 조건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펜서 장치(100) 또는 디스펜서 밸브(200)의 최적의 사용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스펜서 밸브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펜서 밸브(200)는, 밸브바디(210), 샤프트(220), 컴프레서(230), 엑츄에이터(240), 보닛(250), 보닛락(260) 및 토출구 가변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밸브바디(21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액상 물질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밸브하우징(211)과, 밸브하우징(211)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액상 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관(212)(120)과,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말단부에 토출구(2131)가 구비되어 유입된 액상 물질을 하측으로 토출하는 주입관(213)을 포함한다.
샤프트(220)는, 밸브하우징(211)과 주입관(213)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개폐 컨트롤러(300)의 구동 제어에 따른 승강 작동에 따라 주입관(213) 말단의 토출구(2131)를 개폐하여 주입관(213)을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 작용을 단속하며, 상부 외주면에 밸브하우징(211)의 개구를 커버하는 가요성 다이어프램(221)이 일체로 형성된다.
컴프레서(230)는, 다이어프램(221)의 가장자리를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고정한다.
엑츄에이터(240)는, 개폐 컨트롤러(3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샤프트(220)를 승강시킨다.
보닛(250)은, 밸브바디(210)와 컴프레서(230)의 고정한다.
보닛락(260)은, 보닛(250)과 컴프레서(230)의 고정한다.
토출구 가변 제어부(700)는, 토출구(2131)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개폐 컨트롤러(3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동되어 토출구(2131)의 개방 형상을 가변시켜 준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토출구 가변 제어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토출구 가변 제어부(700)는, 구체 안착홈(710), 구체형 밸브(720), 분리 방지턱(730), 구체 이동 모듈(740), 모듈 승강 실린더(750), 제1 오링 안착홈(760), 제1 오링(770), 제2 오링 안착홈(780) 및 제2 오링(790)을 포함한다.
구체 안착홈(710)은, 토출구(2131)의 내주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주입관(213)의 하단 내측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구체형 밸브(720)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체형 밸브(720)의 지름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한다.
구체형 밸브(720)는, 구체 이동 모듈(740)에 자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철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구체 안착홈(71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지름의 원형의 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구체 안착홈(710)에 안착되며, 구체 이동 모듈(740)이 하강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 안착홈(710)의 내측으로 후진 이동되고, 구체 이동 모듈(740)이 상승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 안착홈(710)의 개구부 방향으로 전진 이동된다.
분리 방지턱(730)은, 구체 안착홈(710)의 개구부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구체형 밸브(7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 이동 모듈(740)은, 구체형 밸브(720)를 자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자성을 형성하는 영구 자석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구체 안착홈(710)의 내측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모듈 승강 실린더(750)가 신장됨에 따라 구체 안착홈(710)의 내측을 따라 상승 이동함에 따라 구체형 밸브(720)를 구체 안착홈(710)의 개구부 방향으로 전전 이동시켜 구체형 밸브(720)의 전단이 토출구로 노출되도록 하고, 모듈 승강 실린더(750)가 수축됨에 따라 상승 이동 후 다시 하강 이동함에 따라 구체형 밸브(720)를 구체 안착홈(710)의 내측으로 삽입 이동시켜 준다.
모듈 승강 실린더(750)는, 구체 안착홈(710)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어 구체 이동 모듈(740)의 하단을 지지하며, 개폐 컨트롤러(3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어 구체 이동 모듈(740)을 승강 이동시켜 준다.
제1 오링 안착홈(760)은, 구체형 밸브(720)의 삽입이 제한되도록 구체 안착홈(710)의 내주면을 따라 구획되는 삽입 제한선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1 오링(770)은, 제1 오링 안착홈(760)을 따라 설치되어 구체형 밸브(720)가 더이상 구체 안착홈(7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지하는 동시에 구체형 밸브(720)와 구체 안착홈(710) 사이의 간격을 밀폐시켜 준다.
제2 오링 안착홈(780)은, 구체형 밸브(720)의 노출이 제한되도록 삽입 제한선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구체 안착홈(710)의 내주면을 따라 구획되는 노출 제한선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2 오링(790)은, 제2 오링 안착홈(780)을 따라 설치되어 구체형 밸브(720)의 전단이 더이상 구체 안착홈(710)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제지하는 동시에 구체형 밸브(720)와 구체 안착홈(710) 사이의 간격을 밀폐시켜 준다.
도 6은 도 3의 구체 이동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체 이동 모듈(740)은, 모듈 블록(741), 밀착 경사면(742) 및 구체 이동 유도홈(743)을 포함한다.
모듈 블록(741)은, 구체형 밸브(720)를 자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자성을 형성하는 재질로 제작되며, 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모듈 승강 실린더(750)에 의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된다.
밀착 경사면(742)은, 모듈 블록(741)의 상단의 전후 길이가 모듈 블록(741)의 하단의 전후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져 경사지도록 모듈 블록(741)의 전면에 형성되어 구체형 밸브(720)가 안착된다.
구체 이동 유도홈(743)은, 구체형 밸브(720)가 안착되어 구르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밀착 경사면(742)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스펜서 밸브(200)는, 토출구(2131)를 통해 토출되는 액상 물질의 종류에 대응하여 토출구(2131)의 형상을 가변시켜 토출구(2131)를 통해 토출되는 액상 물질의 토출 속도 또는 토출 양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즉, 토출구(2131)로 노출되는 구체형 밸브(720)의 개수를 늘림에 따라 구체형 밸브(720)의 개방 정도가 줄어 들어 구체형 밸브(720)를 통해 토출되는 액상 물질의 토출 속도 또는 토출 양이 도 5의 "L2"과 같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고, 즉, 토출구(2131)로 노출되는 구체형 밸브(720)의 개수를 감소시킴에 따라 구체형 밸브(720)의 개방 정도가 도 5의 "L1"과 같이 증가되어 구체형 밸브(720)를 통해 토출되는 액상 물질의 토출 속도 또는 토출 양이 늘어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디스펜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펜서 장치(100)는, 세정액을 도포하는 디스펜서 장치로서, 케이싱(110), 온도 감지 센서(120), 저장 탱크(130) 및 토출구(140)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온도 감지 센서(120), 저장 탱크(130) 및 토출구(14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온도 감지 센서(120)는, 케이싱(110)으로 접근한 사용자 신체의 체온을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싱(110)는, 온도 감지 센서(120)에서 측정된 사용자 신체의 체온값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저장 탱크(130)는, 디스펜서 밸브(200)를 경유하여 저장 탱크(T)로부터 공급되는 액상 물질을 임시로 저장해 둔다.
토출구(140)는, 케이싱(110)으로 사용자의 신체 또는 화학 약품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등이 접근하면 작동되어 저장 탱크(130)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 물질을 토출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스펜서 장치(100)는, 사용자의 체온의 측정을 통해 사용자의 발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가 접근된 경우에 한하여 액상 물질을 토출시켜 줌으로써 불필요한 액상 물질 등의 낭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디스펜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장치(100a)는, 케이싱(110), 온도 감지 센서(120), 저장 탱크(130), 토출구(140) 및 손 건조 장치(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싱(110), 온도 감지 센서(120), 저장 탱크(130) 및 토출구(140)는, 도 7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스펜서 장치(100)는, 손 건조 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 건조 장치(600)는, 케이싱(110)의 하측에 설치되며, 젖어 있는 사용자의 손이 밀착되면 구동되어 사용자의 손의 수분을 제거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장치(100a)는, 화장실 등에 물을 이용하여 세정한 사용자의 손 등의 신체를 천 형태의 타월을 이용하여 건조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신체를 보다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손 건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손 건조 장치(600)는, 제1 수직 프레임(610), 제2 수직 프레임(620), 무한궤도형 타월(630), 상단 지지 롤러(640), 하단 지지 롤러(650) 및 다수 개의 중단 지지 롤러(660)를 포함한다.
제1 수직 프레임(610)은, 제2 수직 프레임(620)과 대향하면서 케이싱(110)의 하부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단 지지 롤러(640), 하단 지지 롤러(650) 및 다수 개의 중단 지지 롤러(660) 등의 구성들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수직 프레임(620)은, 제1 수직 프레임(610)과 대향하면서 케이싱(110)의 하부 타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단 지지 롤러(640), 하단 지지 롤러(650) 및 다수 개의 중단 지지 롤러(660) 등의 구성들이 연결 설치된다.
무한궤도형 타월(630)은, 무한궤도의 링 형태로 둥글게 감긴 천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지지 롤러(640), 하단 지지 롤러(650) 및 다수 개의 중단 지지 롤러(660) 등에 의해 내향면이 차례로 지지되면서 제1 수직 프레임(610)과 제2 수직 프레임(620) 사이에 설치되며, 상단 지지 롤러(640)와 하단 지지 롤러(65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상단 지지 롤러(640)는, 제1 수직 프레임(610)과 제2 수직 프레임(620)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무한궤도형 타월(630)의 상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무한궤도형 타월(630)을 회전시켜 준다.
하단 지지 롤러(650)는, 상단 지지 롤러(640)와 대향하면서 제1 수직 프레임(610)과 제2 수직 프레임(620)의 하측 사이에 설치되어 무한궤도형 타월(630)의 하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단 지지 롤러(640)와 동시에 구동되어 무한궤도형 타월(630)을 회전시켜 준다.
다수 개의 중단 지지 롤러(660)는, 제1 수직 프레임(610)과 제2 수직 프레임(620) 사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무한궤도형 타월(630)의 내향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중단 지지 롤러(660)는, 지지 파이프(661), 제1 파이프 지지부(662) 및 제2 파이프 지지부(66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파이프(661)는, 제1 파이프 지지부(662) 및 제2 파이프 지지부(663)에 의해 지지되며,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무한궤도형 타월(630)의 내향면에 밀착 배치되어 무한궤도형 타월(630)의 내향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파이프(661)는, 무한궤도형 타월(630)과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외측을 따라 가시 형상의 돌기(661a)가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지지부(662)는, 제2 파이프 지지부(663)와 대향하면서 제2 수직 프레임(620)과 대향하는 제1 수직 프레임(610)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지지 파이프(661)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파이프 지지부(663)는, 제1 파이프 지지부(662)와 대향하면서 제1 수직 프레임(610)과 대향하는 제2 수직 프레임(620)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지지 파이프(661)의 타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손 건조 장치(600)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근하면 구동되어(이를 위해, 접근 감지 센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등이 구비될 수 있음) 화장실 등에 물을 이용하여 세정한 사용자의 손 등의 신체를 천 형태의 타월을 이용하여 건조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신체를 보다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제1 파이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파이프 지지부(662)는, 수평 슬라이딩홈(6621), 수평 이동 슬라이더(6622), 제1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6623) 및 제2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66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파이프 지지부(663)는, 후술하는 제1 파이프 지지부(662)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파이프 지지부(662)의 수평 슬라이딩홈(6621), 수평 이동 슬라이더(6622), 제1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6623) 및 제2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6624)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수평 슬라이딩홈(6621)은, 제1 수직 프레임(610)의 내향면을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수평 이동 슬라이더(6622), 제1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6623) 및 제2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662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수평 이동 슬라이더(6622)는, 지지 파이프(661)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며, 제1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6623) 및 제2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6624)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슬라이딩홈(6621)에 연결 설치되어 수평 슬라이딩홈(66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1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6623)은, 수평 슬라이딩홈(6621)의 전단에 설치되어 수평 슬라이딩홈(6621)에 안착되는 수평 이동 슬라이더(6622)의 전단을 지지한다.
제2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6624)은, 수평 슬라이딩홈(6621)의 후단에 설치되어 수평 슬라이딩홈(6621)에 안착되는 수평 이동 슬라이더(6622)의 후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파이프 지지부(662)는, 지지 파이프(661)를 지지함은 물론, 지지 파이프(661)의 회전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지지 파이프(661)에 의한 무한궤도형 타월(630)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수평 이동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평 이동 슬라이더(6622)는, 슬라이딩 박스(66221), 이탈 방지 돌기(66222), 박스 커버(66223), 제1 커버 지지 스프링(66224) 및 제2 커버 지지 스프링(66225)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박스(66221)는, 지지 파이프(661)의 일측과 대향하는 일측으로 내부 공간이 개방되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 슬라이딩홈(6621)에 안착되며, 이탈 방지 돌기(66222), 박스 커버(66223), 제1 커버 지지 스프링(66224) 및 제2 커버 지지 스프링(6622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이탈 방지 돌기(66222)는, 수평 슬라이딩홈(6621)의 상측 및 하측을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 설치되어 수평 슬라이딩홈(6621)으로부터 슬라이딩 박스(66221)의 이탈을 방지한다.
박스 커버(66223)는, 슬라이딩 박스(66221)의 일측 개구부를 덮고 안착되며, 지지 파이프(661)의 일측이 연결 설치된다.
제1 커버 지지 스프링(66224)은, 슬라이딩 박스(66221)의 내부 공간의 전단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박스(6622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박스 커버(66223)의 전단 내향면을 지지한다.
제2 커버 지지 스프링(66225)은, 슬라이딩 박스(66221)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박스(6622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박스 커버(66223)의 후단 내향면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평 이동 슬라이더(6622)는, 제1 완충 실린더(S1), 제2 완충 실린더(S2) 및 제3 완충 실린더(S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 실린더(S1)는, 슬라이딩 박스(66221)의 내부 공간의 중단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박스(6622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박스 커버(66223)의 중단 내향면을 지지하며, 박스 커버(66223)가 슬라이딩 박스(6622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됨에 따라 압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물 또는 오일 등의 비압축성 유체를 제2 완충 실린더(S2) 및 제3 완충 실린더(S3)로 공급한다.
제2 완충 실린더(S2)는, 슬라이딩 박스(66221)의 전단에 설치되어 제1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6623)에 의해 지지되며, 제1 완충 실린더(S1) 또는 제3 완충 실린더(S3)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신장되며, 수평 슬라이딩홈(6621)을 따라 슬라이딩 박스(66221)가 전진 이동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제1 완충 실린더(S1) 및 제3 완충 실린더(S3)로 공급한다.
제3 완충 실린더(S3)는, 슬라이딩 박스(66221)의 후단에 설치되어 제2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6624)에 의해 지지되며, 제1 완충 실린더(S1) 또는 제2 완충 실린더(S2)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신장되며, 수평 슬라이딩홈(6621)을 따라 슬라이딩 박스(66221)가 후진 이동함에 따라 압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제1 완충 실린더(S1) 및 제2 완충 실린더(S2)로 공급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
100: 디스펜서 장치
200: 디스펜서 밸브
300: 개폐 컨트롤러
400: 사용자 단말기
500: 통합 관리 서버

Claims (11)

  1. 다양한 디스펜서 장치에 적용되어 일정한 주기로 보충이 필요한 액상 물질의 토출로부터 디스펜서 장치의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에 있어서,
    액상 물질을 토출시켜 주는 디스펜서 장치;
    액상 물질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장치로 전달되는 액상 물질의 공급을 개폐하는 디스펜서 밸브;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 컨트롤러;
    상기 개폐 컨트롤러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개폐 제어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개폐 여부에 따른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개폐 컨트롤러는,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 물질의 잔량에 따른 잔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개폐 컨트롤러와 사이의 통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잔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동시에 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펜서 장치의 고장 발생 여부를 판독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상 물질의 특징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 장치로 공급되는 시점을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잔량 정보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의 잔량 확인한 뒤 상기 디스펜서 밸브 및 상기 디스펜서 장치의 구동을 상기 개폐 컨트롤러로 요청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와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온도 검출하여 상기 디스펜서 밸브 및 상기 디스펜서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독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으로 상기 디스펜서 장치를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 변화량값을 예측하고, 예측된 토출 변화량값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펜서 장치를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량의 조절값을 설정한 뒤, 상기 디스펜서 장치의 액상 물질의 토출량 조절을 상기 개폐 컨트롤러로 요청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디스펜서 장치를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량 확인 및 데이터 수집을 통해 상기 디스펜서 장치의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디스펜서 장치의 이상 상태 발생 시 상기 디스펜서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동시에 원격 기술 지원을 요청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디스펜서 장치에 의한 액상 물질의 도포 패턴 확인을 통해 상기 디스펜서 장치를 통한 액상 물질의 도포의 이상 발생 여부 확인하는 동시에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디스펜서 밸브를 통해 토출되는 액상 물질의 종류 및 액상 물질의 토출 조건에 따른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마모 정도를 수집하여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내구 연한을 액상 물질의 종류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액상 물질의 종류 별로 구축된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내구 연한 데이터베이스를 입력 정보로 하여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사용 연한을 예상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사용 연한 예상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펜서 밸브의 사용 연한 조건을 예상하며, 상기 사용 연한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펜서 장치를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량을 액상 물질의 종류에 따라 조절하며,
    상기 디스펜서 밸브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액상 물질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액상 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관과,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말단부에 토출구가 구비되어 유입된 액상 물질을 하측으로 토출하는 주입관을 포함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하우징과 주입관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개폐 컨트롤러의 구동 제어에 따른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주입관 말단의 토출구를 개폐하여 주입관을 통한 액상 물질의 토출 작용을 단속하며, 상부 외주면에 상기 밸브하우징의 개구를 커버하는 가요성 다이어프램이 일체로 형성된 샤프트;
    상기 다이어프램의 가장자리를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고정하는 컴프레서;
    상기 개폐 컨트롤러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샤프트를 승강시키는 엑츄에이터;
    상기 밸브바디와 컴프레서의 고정을 위한 보닛;
    상기 보닛과 컴프레서의 고정을 위한 보닛락; 및
    상기 토출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개폐 컨트롤러의 구동 제어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토출구의 개방 형상을 가변시켜 주는 토출구 가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 가변 제어부는,
    상기 토출구의 내주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주입관의 하단 내측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체 안착홈;
    상기 구체 안착홈의 직경에 대응하는 지름의 원형의 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체 안착홈에 안착되는 구체형 밸브;
    상기 구체 안착홈의 개구부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체형 밸브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턱;
    상기 구체형 밸브를 자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자성을 형성하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을 따라 상승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체형 밸브를 상기 구체 안착홈의 개구부 방향으로 전전 이동시켜 상기 구체형 밸브의 전단이 상기 토출구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승 이동 후 다시 하강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체형 밸브를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으로 삽입 이동시켜 주는 구체 이동 모듈;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체 이동 모듈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개폐 컨트롤러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구체 이동 모듈을 승강 이동시켜 주는 모듈 승강 실린더;
    상기 구체형 밸브의 삽입이 제한되도록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구획되는 삽입 제한선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오링 안착홈;
    상기 제1 오링 안착홈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구체형 밸브가 더이상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지하는 동시에 상기 구체형 밸브와 상기 구체 안착홈 사이의 간격을 밀폐시켜 주는 제1 오링;
    상기 구체형 밸브의 노출이 제한되도록 상기 삽입 제한선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구획되는 노출 제한선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오링 안착홈; 및
    상기 제2 오링 안착홈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구체형 밸브의 전단이 더이상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제지하는 동시에 상기 구체형 밸브와 상기 구체 안착홈 사이의 간격을 밀폐시켜 주는 제2 오링;을 포함하는,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30099520A 2023-07-31 2023-07-31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 KR102649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520A KR102649983B1 (ko) 2023-07-31 2023-07-31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520A KR102649983B1 (ko) 2023-07-31 2023-07-31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983B1 true KR102649983B1 (ko) 2024-03-22

Family

ID=90480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9520A KR102649983B1 (ko) 2023-07-31 2023-07-31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9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555B1 (ko) 2013-10-24 2018-12-27 에코랍 유에스에이 인코퍼레이티드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디스펜서 시스템
KR20190143764A (ko) * 2018-06-21 2019-12-31 조병래 복수 개의 양념 토출 장치가 연동된 양념 공급 어셈블리
KR20210034920A (ko) * 2019-09-23 2021-03-3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커피 디스펜서, 이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20058755A (ko) * 2020-10-30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맥주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555B1 (ko) 2013-10-24 2018-12-27 에코랍 유에스에이 인코퍼레이티드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디스펜서 시스템
KR20190143764A (ko) * 2018-06-21 2019-12-31 조병래 복수 개의 양념 토출 장치가 연동된 양념 공급 어셈블리
KR20210034920A (ko) * 2019-09-23 2021-03-3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커피 디스펜서, 이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20058755A (ko) * 2020-10-30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맥주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83511A1 (en) Dispensing system with material level detector
KR102449857B1 (ko) 세탁기
CN103781379B (zh) 抽吸式化妆品容器
EP2476791B1 (en) Detergent cas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2802735B (zh) 流水检测装置
US20110174021A1 (en) Washing machine
KR102649983B1 (ko)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
US9963864B2 (en) Powerless automatic flushing toilet seat for water tank having air exhaust and intake control functions only through human body weight and powerless automatic flushing toilet seat for water tank
CN106906620B (zh) 一种排水控制机构及洗衣机
US20200361785A1 (en) Hydrogen water generator
KR102020481B1 (ko)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ITRM20150159A1 (it) Macchina erogatrice di bevande
US20080155744A1 (en) Toilet, toilet seat, and cleaning method thereof
US20200131751A1 (en) Intelligent networked toilet system with customizable feature set
WO2013093944A2 (en) Device for dosing chemicals
KR102035340B1 (ko) 잔수배출장치
CN111012259B (zh) 储水装置和具有其的清洁机器人
KR102138139B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장치
CN112098595A (zh) 扩散装置以及门
JP2004300861A (ja) 薬液供給具
JP2021030116A (ja) フィルタプレ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固液分離システム
JP2020110285A (ja) 洗剤供給装置
KR20080091650A (ko) 이동바퀴 장치 및 작동방법
KR101193911B1 (ko) 디스펜서
KR102300750B1 (ko) 용액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