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920A - 커피 디스펜서, 이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커피 디스펜서, 이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920A
KR20210034920A KR1020190116885A KR20190116885A KR20210034920A KR 20210034920 A KR20210034920 A KR 20210034920A KR 1020190116885 A KR1020190116885 A KR 1020190116885A KR 20190116885 A KR20190116885 A KR 20190116885A KR 20210034920 A KR20210034920 A KR 20210034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dispenser
cloud server
wate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철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6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4920A/ko
Publication of KR20210034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무선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따른 온라인 커피 주문이 가능하며, 각종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진단할 수 있는 커피 디스펜서 및 이의 원격 제어 시스템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피 디스펜서는, 클라우드 서버와 IoT 무선망을 통해 통신하는 IoT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커피 주문에 따라 커피 파우치 및 물/음료탱크로부터 각각 정해진 양만큼 액상커피와 물/음료를 토출하는 커피토출 제어모듈, 상기 커피 파우치의 액상커피 토출 후, 세척수를 공급하여 커피 공급유로 및 토출구를 세척하는 커피청소 제어모듈, 필터 및 내부 구성품들의 이상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고장 진단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커피 디스펜서, 이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Coffee dispenser, Remot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커피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IoT 무선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따른 온라인 커피 주문이 가능하며, 각종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진단할 수 있는 커피 디스펜서 및 이의 원격 제어 시스템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 종류로서, 소비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1회용 커피는 냉동건조된 분말 커피에 설탕 등이 혼합된 커피인데, 이러한 1회용 커피는 드립커피나 더치커피(dutch coffer, cold brew), 에소프레소에 비해 맛과 향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종래보다 소비 증가가 더디는 반면 이러한 커피를 찾는 사람들은 증가하고 있다.
사용에 있어서도 커피 원액이 액상으로 담겨있는 액상커피 팩 등을 이용한 액상커피 디스펜서 등이 제품화되어 이전보다는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즉 일련의 버튼 동작만으로 액상커피 팩(커피 파우치)에서 토출된 커피와 정수기에서 토출된 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만들수 있다. 종래에는 뜨거운 물로 우려서 필터에 걸러내거나, 오랜 시간 동안 찬물로 커피를 우려내거나, 뜨거운 온도와 강한 수압을 이용하여 커피를 내리는 것과 같이 실제 커피를 마시기까지 적지않은 시간이 필요했었다.
그러나 이러한 편리함에도 상기 커피 디스펜서는 커피 파우치에 남아있는 커피 원액의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지 못했다. 따라서 커피 파우치를 미리 주문하거나, 커피 파우치의 커피 원액이 모두 소비된 후에 비로서 커피 파우치를 주문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종래 커피 디스펜서의 다른 문제점들로, 커피를 추출할 때 판매자가 직접 디스펜서에 마련된 버튼을 조작해야 했으며 소비자가 커피 농도를 직접 조절할 수 없었다.
또한 세척이나 필터 교환 등과 관련된 작업은 정기적으로 관리자가 직접 방문하여 커피 디스펜서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진행되었다. 따라서 관리자가 제때 방문하지 못하거나 방문이 늦어질 경우, 커피 디스펜서를 청소할 수 없어 위생적인 관리가 쉽지 않았다.
그리고 커피 디스펜서의 기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이 없었다. 이러한 기능 부재는 커피 디스펜서를 관리 운영하는 판매자가 쉽게 고칠 수 있는 간단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서비스 센터에 연락을 해야만 했고 이후 관리자가 직접 커피 디스펜서가 마련된 장소를 방문하여 고장을 수리하기 때문에, 관리적인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또 종래 대부분의 커피 디스펜서는 실질적으로 커피나 음료만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디스펜서와 함께 정수기를 따로 설치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설치 비용 및 설치 장소가 2중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oT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및 고장 진단이 가능한 커피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출할 커피 사이즈 및 농도를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피 파우치의 커피원액의 잔량 정보 및 필터의 교환 시점을 미리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피 추출시마다 세척 및 살균기능이 수행되어 커피 디스펜서를 더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술적 목적들은 실질적으로 커피 디스펜서의 사용 및 운영을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와 IoT 무선망을 통해 통신하는 IoT 무선통신모듈;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커피 주문에 따라 커피 파우치 및 물/음료탱크로부터 각각 정해진 양만큼 액상커피와 물/음료를 토출하는 커피토출 제어모듈; 상기 커피 파우치의 액상커피 토출 후, 세척수를 공급하여 커피 공급유로 및 토출구를 세척하는 커피청소 제어모듈; 및 필터 및 내부 구성품들의 이상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고장 진단모듈을 포함하는 커피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피 디스펜서는, 상기 커피 파우치와 연결되는 커피 공급유로; 상기 물/음료 탱크와 연결되는 물 공급유로; 및 상기 커피 공급유로 및 물 공급유로와 연결되는 방향밸브를 포함하고, 선택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커피 공급유로 또는 물 공급유로 중 하나가 선택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피토출 제어모듈은, 토출된 액상커피량에 따라 실시간 커피잔량을 모니터링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피청소 제어모듈은, 마지막 세척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세척이 필요한 시간을 계산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술한 커피 디스펜서;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커피 디스펜서와 무선 연결되며, 커피량 및 커피농도를 선택하고, 결제정보를 입력하여 커피를 원격 주문하도록 사용자 앱이 설치되는 사용자 기기;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커피 디스펜서와 무선 연결되며, 상기 커피 디스펜서의 기기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관리자 앱이 설치되는 관리자 기기를 포함하는 커피 디스펜서의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 관리자 기기 및 사용자 기기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커피 디스펜서는 IoT 무선망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피 주문에 따라 상기 커피 디스펜서가 커피 제조를 완료하고 서비스 완료 확인 메시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달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요청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로부터 커피량 및 커피농도가 선택되고 결제정보가 입력되어 온라인 주문이 발생하는 단계;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온라인 주문을 전달받아 결제정보를 임시 저장하고, 커피주문 내역은 커피 디스펜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커피 디스펜서가 커피량 및 커피농도에 따라 액상커피 및 물을 토출하는 단계; 상기 커피 디스펜서가 상기 액상커피 및 물의 토출량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커피 제조의 완료를 확인하고, 서비스 완료 확인 메시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서비스 완료 확인 메시지를 확인한 후 임시 저장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요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디스펜서의 원격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피 디스펜서의 커피 잔량, 세척 필요시간, 필터 교체시점 및 이상 발생과 관련된 코드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리포팅 주기가 되면 상기 저장된 모니터링 결과를 IoT 통신모듈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정보는 발생 시점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상기 관리자 기기에 전송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커피 디스펜서, 이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따르면, 소비자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기호에 맞게 커피량과 농도를 직접 선택하여 커피를 주문, 수령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정해진 세척 작업과 별도로 커피 추출시마다 세척수를 이용하여 커피 공급유로를 세척하기 때문에 커피 찌꺼기 등으로 인하여 토출구의 노즐이 막히거나 공급유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 위생적으로 커피 디스펜서를 관리 운영할 수 있다.
또 커피 추출에 따른 커피 잔량 및 필터 교체시점을 알 수 있어, 관리자는 적시에 커피를 보충하고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또 고장발생시 코드정보에 따라 관리자는 현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원격 또는 유선으로 고장조치를 할 수 있어, 기기들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커피 디스펜서는 커피 추출과 함께 정수된 물만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로서의 기능도 제공하기 때문에, 비용절감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디스펜서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디스펜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커피 디스펜서를 원격 제어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커피 디스펜서의 액상커피 잔량정보 확인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커피 디스펜서의 세척 및 살균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커피 디스펜서의 필터 교체 및 고장 진단을 설명하는 흐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를 참조하면, 전체 시스템(10) 구성에는 복수 개의 커피 디스펜서(100)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커피 디스펜서(100)는, 일반적으로 고온의 물과 액상커피를 혼합 배출하는 구조, 또는 차가운 액상커피를 물과 혼합 배출하는 구조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의 기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구조로서 고온의 물과 액상커피를 서로 다른 호스를 통해 커피공급장치로 공급하여 혼합 배출하는 커피 메이커 또는 장시간동안 차가운 물로 추출한 콜드브루 원액을 물과 혼합 배출하도록 구성된 콜드브루 메이커 등의 커피 디스펜서가 모두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디스펜서(100)의 구성은 도 2를 참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무선통신 모듈(110)이 구비된다. IoT 무선통신모듈(110)은 커피 디스펜서(100)가 후술하는 클라우드 서버(120)와 IoT 통신을 위한 구성이다.
커피 토출과 관련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커피토출 제어모듈(120)이 구비된다. 커피토출 제어모듈(120)은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커피량과 커피농도를 조절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동식 정량펌프(126)를 구동시켜 커피 파우치(121)에 있는 액상커피와 물/음료 탱크(122)에 있는 물이나 우유, 시럽등을 혼합한 다음 토출구(127)를 통해 공급하도록 한다.
이러한 커피토출 제어모듈(120)은 액상커피와 물/음료의 토출량을 모니터링하는 역할도 한다. 토출량에 따라 액상커피나 물, 음료 등의 잔량을 체크할 수 있고 체크 결과에 따라 이들을 보충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액상커피 파우치를 교환하거나, 액상커피를 보충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커피토출 제어모듈(120)은 소비자가 온라인 커피 구매시, 그 구매과정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기능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피 파우치(121) 및 물/음료 탱크(122)에서 토출구(127)까지의 커피 공급유로(123) 및 물/음료 공급유로(124)를 수시로 세척 살균하기 위한 커피청소 제어모듈(130)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커피 디스펜서(100)는 주기적으로 작업자가 방문한 후 직접 호스 등의 내부를 청소하는 것 이외에 공급유로(123, 124)에 고온의 세척수를 공급하여 그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수의 공급 시점은 커피 토출 후에 공급하여 상기한 공급유로(123, 124) 및 토출구(127)를 세척한다.
물론 고온 세척수의 공급은 관리자가 공급 시점이나 횟수를 셋팅하는 것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피를 1회 토출한 후 고온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또는 소정 회수 토출 한 후 고온 세척수를 공급하게 한다. 또 커피가 토출된 후가 아니라 커피 토출 전이나, 기기가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고온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상태는 커피 디스펜서가 소정 시간동안 커피 토출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를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는 상기 물/음료 탱크(122)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거나 세척수를 저장하는 세척수 탱크(도면 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커피 파우치(121) 및 물/음료 탱크(122)가 커피 디스펜서(10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커피 디스펜서(100)와는 별도로 외부에 마련하여 별도의 호스를 통해 액상커피나 물이 공급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럴 경우 보다 많은 양의 액상커피나 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커피 디스펜서(100)에는 필터의 교체시점 및 기기의 이상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고장 진단모듈(140)이 구비된다. 상기 고장 진단은, 고장 발생이나 필터 교체가 필요한 시점에 발생하는 일련의 코드정보를 통해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물론 고장 진단에 따른 필터 교체나 고장 수리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모니터링된 정보들은 관리자에게 제공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커피 디스펜서(100)는 커피 또는 물이나 음료를 선택하여 토출할 수 있다. 그러기 때문에 일반 정수기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는 미도시하고 있지만 커피 또는 물/음료를 선택하는 선택버튼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선택버튼의 조작에 따라 커피 공급유로(123) 또는 물 공급유로(124) 중 하나의 유로가 선택되게 방향밸브(125)는 절환된다.
도면부호 150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상술한 커피잔량정보, 세척필요시간, 필터교체시점, 코드정보 등을 일시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저장된 정보들은 미리 정해진 리포팅 주기에 클라우드(200)로 전송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200) 및 관리자 기기(300), 소비자 기기(400)가 구비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관리자 기기(300) 및 소비자 기기(400)와 커피 디스펜서(100)를 무선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관리자 기기(300)는 상기 커피 디스펜서(100)를 운영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나 컴퓨터 장치를 말하고, 소비자 기기(40)는 커피량과 커피농도, 결제정보 입력등을 위한 소비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를 말한다.
본 실시 예에서, 커피 디스펜서(100)와 클라우드 서버(200)는 IoT 무선 기지국(500)에 의해 무선 연결되며, 관리자 기기(300)/소비자 기기(400)와 클라우드 서버(200)는 이동통신 기지국(600)에 의해 무선 연결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을 참고하여 소비자가 자신의 스마트 기기(400)를 이용하여 커피를 주문하는 과정부터 살펴본다.
소비자가 스마트 기기(400)에 설치된 사용자 앱을 실행한다(s100). 그러면 커피 주문을 위한 일련의 메뉴정보가 표시되고, 소비자는 메뉴정보에서 커피량 및 커피농도를 선택하고, 결제정보를 입력한다(s110).
상기 입력된 정보들은 무선망(WiFi, LTE, 5G 등)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결제를 위한 신용카드 정보를 커피 디스펜서(100)로부터 서비스 완료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을 때까지 임시 저장하고, 아울러 커피 사이즈 및 농도 정보를 IoT 기지국(500)을 통해 커피 디스펜서(100)의 IoT 무선통신 모듈(110)로 전송한다(s120).
이때 소비자가 온라인 커피 주문시, 자신이 수령받고자 하는 커피 디스펜서의 정보(예컨대 매장정보)를 함께 입력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버(200)는 커피 주문과 관련된 정보들을 특정 커피 디스펜서에만 전송하게 될 것이다.
상기 IoT 무선통신 모듈(110)은 전달받은 커피량 및 커피농도 정보를 커피 토출 제어모듈(120)로 전달한다. 그러면 커피토출 제어모듈(120)은 진동식 정량펌프(126)를 제어하여 커피 파우치(121)에서 소정량의 액상커피를 추출하고, 아울러 물/음료 탱크(122)에서 선택된 농도에 맞게 물의 양을 추출하여, 이를 혼합하여 토출시킨다(s130).
이후 커피토출 제어모듈(120)은 소비자가 요구한 주문대로 액상커피 및 물이 토출되었음이 확인되면, 커피주문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다고 판단하고(s140), 서비스 완료 확인 메시지를 IoT 무선 통신모듈(11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달한다(s150).
그러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서비스 완료 확인 메시지를 확인하고, 해당 주문서비스의 결제건에 대해 임시 저장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요청을 완료한다(s160).
이처럼 본 실시 예는 소비자가 자신의 스마트 기기(400)를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커피양과 농도를 직접 선택하면서 주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주문에 따라 완성된 커피는 사용자가 해당 매장을 방문하여 수령할 수 있다.
도 4는 커피 디스펜서(100)의 커피 잔량정보를 확인하는 흐름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피를 온라인 주문하고 수령할 경우, 커피토출 제어모듈(120)이 커피 파우치(121) 및 물/음료 탱크(122)에서 토출하는 액상커피량과 물의 양을 알 수 있다(s200).
이러한 액상 커피량은 커피 제조시마다(즉, 액상커피가 토출될 때마다) IoT 무선통신 모듈(11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달되고(s210), 다시 관리자 기기(300)로 전달된다(s220). 물론 매번 정보 전달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일정 주기마다 전달할 수 있도록 커피 제조시마다 남게되는 액상 커피량을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하고, 정해진 리포팅 주기가 되었을 때, 클라우드 서버(200)를 통해 관리자 기기(300)로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액상 커피량의 정보는 관리자 기기(300)가 복수 개의 커피 디스펜서(100)로부터 동시에 전송받을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스마트 기기(300)나 컴퓨터 장치를 통해 소정 장소에 설치된 커피 디스펜서(100)의 액상 커피량의 잔량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정보들을 기초로 잔량이 부족한 커피 디스펜서(100)에 커피 파우치 등의 적시 배송이 가능하게 된다(s230).
이와 같이 커피 파우치 등의 잔량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는 적시에 이를 공급할 수 있고, 따라서 판매자는 액상커피의 부족으로 인하여 커피 판매를 하지 못하거나 액상커피를 추가로 보관해야 하는 문제를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커피 디스펜서의 세척 및 살균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주문에 따라 커피 제조가 이루어지면(s300), 커피 디스펜서(100)의 커피청소 제어모듈(130)은 마지막 세척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세척이 필요한 시간을 추정한다(s310).
추정된 시간은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며, 커피 디스펜서(100)를 이용한 커피 추출에 따라 세척이 필요한 시간은 계속 업데이트된다(s320).
그리고 정해진 리포팅 주기가 되었을 때, 클라우드 서버(200)를 통해 관리자 기기(300)로 전달한다. 그리고 이렇게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관리자는 세척이 필요한 경우(s330), 커피 디스펜서(100)가 설치된 장소를 방문하여 세척작업을 한다(s340). 이때 정해진 리포팅 주기가 되더라도 실제 세척이 필요한 시간이 도래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정해진 리포팅 주기에 세척 필요시간 정보가 전달되더라도 반드시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 예는 다른 세척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커피 주문에 따라 커피토출 제어모듈(120)이 커피 파우치(121) 및 물/음료 탱크(122)에서 각각 액상커피 및 물을 토출하여 주문받은 커피를 제조한다(s300).
이렇게 커피 제조가 완료될 때마다, 커피청소 제어모듈(130)은 세척수 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고온상태로 하여 커피 공급유로(123)에 공급하고 토출구(127)로 토출되게 하여(s350), 세척작업이 수행되게 한다(s360). 따라서 커피 공급유로(123)에는 커피 찌꺼기 등이 남지 않아 항상 청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커피 디스펜서의 필터 교체 및 고장 진단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주문에 따라 커피 제조가 이루어지면(s400), 커피 디스펜서(100)의 고장 진단모듈(140)은 이전 필터 교체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액상커피의 추출 횟수를 모니터링한다(s410). 상기 고장 진단모듈(140)이 모니터링한 추출 횟수정보를 통해 관리자는 필터 교체시점을 인지할 수 있다(s420).
또한 고장 진단모듈(140)은 커피 디스펜서(100)에 구비된 각 구성품들로부터 코드 정보를 모니터링한다(s430). 코드 정보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고장 종류 등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코드 정보에는 단순하게 커피 파우치(121)를 교체하거나 물의 양을 보충하는 것과 같이 순쉬운 작업 정보들이 포함된다.
상기 고장 진단모듈(140)이 코드 정보의 발생을 감지하면(s440), IoT 무선통신모듈(110)은 코드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를 통해 관리자 기기(300)로 전송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코드정보를 확인하고(s450), 코드정보에 따라 원격수리나 유선통화를 통한 수리, 또는 직접 방문을 통한 수리로 구분할 수 있다(s460). 그만큼 불필요한 방문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비자가 스마트 기기를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커피량과 커피농도를 조절하여 온라인 주문을 할 수 있고, 관리자는 커피 디스펜서의 각종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어 실시간 관리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커피 디스펜서는 커피 추출시마다 고온의 세척수를 통한 공급 유로의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커피 찌꺼기 등으로 인하여 토출구의 노즐이 막히거나 공급유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커피 디스펜서 110: IoT 무선통신모듈
120: 커피토출 제어모듈 121: 커피 파우치
122: 물/음료 탱크 123: 커피 공급유로
124: 물 공급유로 125: 방향밸브
126: 전동식 정량펌프 127: 토출구
130: 커피청소 제어모듈 140: 고장 진단모듈
150: 데이터베이스 200: 클라우드 서버
300: 관리자 기기 400: 소비자 기기
500: IoT 무선 기지국 600: 이동통신 기지국

Claims (10)

  1. 클라우드 서버와 IoT 무선망을 통해 통신하는 IoT 무선통신모듈;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커피 주문에 따라 커피 파우치 및 물/음료탱크로부터 각각 정해진 양만큼 액상커피와 물/음료를 토출하는 커피토출 제어모듈;
    상기 커피 파우치의 액상커피 토출 후, 세척수를 공급하여 커피 공급유로 및 토출구를 세척하는 커피청소 제어모듈; 그리고
    필터 및 내부 구성품들의 이상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고장 진단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디스펜서는,
    상기 커피 파우치와 연결되는 커피 공급유로;
    상기 물/음료 탱크와 연결되는 물 공급유로; 및
    상기 커피 공급유로 및 물 공급유로와 연결되는 방향밸브를 포함하고,
    선택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커피 공급유로 또는 물 공급유로 중 하나가 선택되는 커피 디스펜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토출 제어모듈은,
    토출된 액상커피량에 따라 실시간 커피잔량을 모니터링하는 커피 디스펜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청소 제어모듈은,
    마지막 세척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세척이 필요한 시간을 계산하는 커피 디스펜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을 가지는 커피 디스펜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커피 디스펜서와 무선 연결되며, 커피량 및 커피농도를 선택하고, 결제정보를 입력하여 커피를 원격 주문하도록 사용자 앱이 설치되는 사용자 기기;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커피 디스펜서와 무선 연결되며, 상기 커피 디스펜서의 기기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관리자 앱이 설치되는 관리자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피 디스펜서의 원격 제어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 관리자 기기 및 사용자 기기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커피 디스펜서는 IoT 무선망으로 연결되는 커피 디스펜서의 원격 제어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주문에 따라 상기 커피 디스펜서가 커피 제조를 완료하고 서비스 완료 확인 메시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달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요청을 완료하는 커피 디스펜서의 원격 제어시스템.
  8. 사용자 기기로부터 커피량 및 커피농도가 선택되고 결제정보가 입력되어 온라인 주문이 발생하는 단계;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온라인 주문을 전달받아 결제정보를 임시 저장하고, 커피주문 내역은 커피 디스펜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커피 디스펜서가 커피량 및 커피농도에 따라 액상커피 및 물을 토출하는 단계;
    상기 커피 디스펜서가 상기 액상커피 및 물의 토출량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커피 제조의 완료를 확인하고, 서비스 완료 확인 메시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서비스 완료 확인 메시지를 확인한 후 임시 저장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요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디스펜서의 원격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디스펜서의 커피 잔량, 세척 필요시간, 필터 교체시점 및 이상 발생과 관련된 코드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리포팅 주기가 되면 상기 저장된 모니터링 결과를 IoT 통신모듈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피 디스펜서의 원격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는 발생 시점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상기 관리자 기기에 전송되는 커피 디스펜서의 원격 제어방법.
KR1020190116885A 2019-09-23 2019-09-23 커피 디스펜서, 이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10034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885A KR20210034920A (ko) 2019-09-23 2019-09-23 커피 디스펜서, 이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885A KR20210034920A (ko) 2019-09-23 2019-09-23 커피 디스펜서, 이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920A true KR20210034920A (ko) 2021-03-31

Family

ID=7523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885A KR20210034920A (ko) 2019-09-23 2019-09-23 커피 디스펜서, 이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49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846B1 (ko) * 2023-04-12 2023-08-22 주식회사 민성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무인 카페에 구비된 제조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49983B1 (ko) * 2023-07-31 2024-03-22 홍주완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846B1 (ko) * 2023-04-12 2023-08-22 주식회사 민성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무인 카페에 구비된 제조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49983B1 (ko) * 2023-07-31 2024-03-22 홍주완 스마트 디스펜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37419B9 (zh) 用于饮料分配机的自动化清洁系统
US20180251360A1 (en) Beverage dispensing
US10390653B2 (en) Beverage preparation module having additional modules for self-service beverage vending machines
US9884354B2 (en) Water dispenser with a cleaning mechanism
US10202269B2 (en)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for sanitation thereof
RU2577734C2 (ru)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соединенная с сетью
RU2498411C2 (ru) Контроллер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нтегрированной системой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и перемешивания/смешивания ингредиентов напитка
US7564370B2 (en) Beverage communication system
US7770510B2 (en) Shared water reservoir beverage system
US8857667B2 (en) Integrated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beverage ingredients
US9145290B2 (en) Refrigerator with beverage dispenser cleaning system
KR20210034920A (ko) 커피 디스펜서, 이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04582547A (zh) 为饮料机提供液体的装置及其用法
US118829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hospitality water cleansing and monitoring
WO2018131028A1 (en) Kitchen dispensing system for plurality of liquids
CA2410349A1 (en) Vending machine with data collection for billing of product and dilution component
EP3917871A1 (en) Automatic system for dispensing liquid ingredients for instant beverage production
EP4169423A2 (en) Beverage preparation system
CN111402503A (zh) 一种饮料自动智能配方终端售卖机
EP3730008B1 (en) Automatic coffee machine and method of filling a water tank of an automatic coffee machine
JP2024048596A (ja) 汁用ディスペンサー
JP2013162913A (ja) 飲料供給装置
IL224662A (en) Water facility that includes a clean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