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553B1 -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553B1
KR102649553B1 KR1020230062608A KR20230062608A KR102649553B1 KR 102649553 B1 KR102649553 B1 KR 102649553B1 KR 1020230062608 A KR1020230062608 A KR 1020230062608A KR 20230062608 A KR20230062608 A KR 20230062608A KR 102649553 B1 KR102649553 B1 KR 102649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late
terminal
train
electric rail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일
이영수
최일석
홍성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경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경성
Priority to KR102023006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42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individual contact piece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6Single contact pieces along the line for 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60Y2200/31Locomo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철도의 열차 지붕에 플레이트 형태의 전원공급라인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러한 플레이트형 전원공급라인의 선단에 완충형으로 안착 후 활주를 통해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의 전원공급 구성을 전기철도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전기철도의 열차에 대한 전원 공급 구성의 설치 비용이 절감되게 하는 동시에 기존 팬터그래프의 생략을 통해서 열차 주행 시의 저항 감소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는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는 전원공급 플레이트, 전원공급 포스트 구조물, 전원공급유닛 및 플레이트 클리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유닛은 주실린더, 보조실린더, 플레이트 활주유닛, 전원공급단자부 및 전원공급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클리닝부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클리닝 동력발생 유닛, 클리닝 링 패드, 제어부 및 플레이트 오염수준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apparatus for electric railway}
본 발명은 철도 전기 기술 분야 중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철도의 열차 지붕에 플레이트 형태의 전원공급라인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러한 플레이트형 전원공급라인의 선단에 완충형으로 안착한 후 활주를 통해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의 전원공급 구성을 전기철도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전기철도의 열차에 대한 전원 공급 구성의 설치 비용이 절감되게 하는 동시에 기존 팬터그래프의 생략을 통해서 열차 주행 시의 저항 감소와 소음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는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철도의 차량은 전기 케이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전기철도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주가 배열되고, 이러한 전주들에 지지되면서 전기철도 레일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전기 케이블이 설치된다. 그리고 전기철도의 차량 상측에는 상기 전기 케이블과 접속되어 해당 차량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팬터그래프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팬터그래프는 전기철도의 차량 운행시 해당 차량이 전기 케이블과 원활하게 접속되도록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승강과 하강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 전기철도에서의 차량에 대한 전원 공급 방식의 경우, 전기철도 레일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전기 케이블의 안정적인 설치와 지지를 위하여 전주가 비교적 짧은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전주 설치와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의 증가가 초래되었다. 또한, 전기철도 레일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의 전기 케이블을 설치하는데 따른 해당 설치 비용과 유지 및 보수의 비용이 증가되는 것이었다. 이에 더하여 전기철도의 차량 상측에 설치되는 팬터그래프로 인해 전기철도의 차량 운행시 소음과 공기 저항이 증가하는 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17132호(2015.05.13.공고), “철도차량의 전원공급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299807호(2021.09.08.공고), “전기철도 전원공급 시스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55348호(2018.05.09.공고), “전기철도차량 통합형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철도차량”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기철도의 열차 지붕에 플레이트 형태의 전원공급라인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러한 플레이트형 전원공급라인의 선단에 완충형으로 안착 후 활주를 통해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의 전원공급 구성을 전기철도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전기철도의 열차에 대한 전원 공급 구성의 설치 비용이 절감되게 하는 동시에 기존 팬터그래프의 생략을 통해서 열차 주행 시의 저항 감소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는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기철도의 열차 지붕에 설치되는 플레이트형 전원공급라인에 대해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황사 및 기타 이물질의 묻은 정도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고, 이를 기반으로 그 묻은 정도가 소정 수준을 넘어설 경우 플레이트형 전원공급라인에 대한 닦음 작업이 자동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플레이트형 전원공급라인에 대한 전원 인가 구성 및 작용이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는, 전기철도의 열차의 차량들 중 최전방 차량의 지붕에 상기 최전방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 영역에는 전방 쪽으로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곡선형의 완충 활주구간이 형성되는 제1 전원공급 플레이트와, 상기 열차의 상기 최전방 차량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들의 지붕에 각각 해당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 중 맨 앞쪽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전원공급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들 간은 각각 상대 회전을 통한 휨 가능형의 연결 구조로 연결되는 전원공급 플레이트와; 상기 전기철도를 따라 상기 열차의 지붕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에 상기 열차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결합되며 상기 지주별 설치되는 복수의 암을 포함하는 전원공급 포스트 구조물과; 상기 전원공급 포스트 구조물별 상기 암에 상하 이동 가능한 동시에 하방향으로의 복원력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완충 활주구간을 최초 접촉 위치로 하여 상기 전원공급 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활주되는 방식으로 상기 열차에 주행 동력용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유닛은, 실린더로드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암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실린더로드에 하향 압력을 가하기 위한 오일이 충전되고, 상단에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향 이동 시 내부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1 오일통행홀이 형성되는 주실린더와, 상기 제1 오일통행홀과 연결되는 제2 오일통행홀이 하단에 형성되는 상태로 상기 주실린더에 결합되는 보조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단에 수평 방향인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 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배치 상태로 결합되는 휠 결합축, 상기 휠 결합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열차의 주행에 따라 상기 완충 활주구간을 최초 접촉 위치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전원공급 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활주되는 휠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활주유닛과, 상기 플레이트 활주유닛의 휠과 동일 지름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휠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휠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전원공급 플레이트의 상면에 대한 접촉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 플레이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휠 단자, 상기 휠 단자의 일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베어링 단자, 상기 주실린더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수평 방향인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 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배치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 단자에 길이 방향의 타단이 결합되는 회전축 단자, 상기 주실린더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 단자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베어링 단자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단자부와, 상기 전원공급단자부의 제2 베어링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열차에 공급되기 위한 외부 전원을 상기 전원공급단자부에 인가하는 전원공급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철도의 열차 지붕에 플레이트 형태의 전원공급라인이 설치되는 동시에 이러한 플레이트형 전원공급라인의 선단에 완충형으로 안착 후 활주를 통해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의 전원공급 구성이 전기철도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됨으로써, 전기철도의 열차에 대한 전원 공급 구성의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동시에 기존 팬터그래프의 생략을 통해서 열차 주행 시의 저항 감소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철도의 열차 지붕에 설치되는 플레이트형 전원공급라인에 대해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황사 및 기타 이물질의 묻은 정도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고, 이를 기반으로 그 묻은 정도가 소정 수준을 넘어설 경우 플레이트형 전원공급라인에 대한 닦음 작업이 자동적으로 진행됨으로써, 플레이트형 전원공급라인에 대한 전원 인가 구성 및 작용이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를 예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를 도 2의 “A” 방향에서 예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를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를 도 2의 “A” 방향에서 예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는 전원공급 플레이트(100), 전원공급 포스트 구조물(200) 및 전원공급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는 플레이트 클리닝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 플레이트(100)는 제1 전원공급 플레이트(110) 및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전원공급 플레이트(110)는 전기철도의 열차(10)의 차량(11)들 중 최전방 차량(11)의 지붕에 상기 최전방 차량(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전원공급 플레이트(110)는 그 선단 영역에 전방 쪽으로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곡선형의 완충 활주구간(111)이 형성된다.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120)는 열차(10)의 상기 최전방 차량(11)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11)들의 지붕에 각각 해당 차량(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구성이다.
그리고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120) 중 맨 앞쪽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120)와 제1 전원공급 플레이트(110) 그리고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120)들 간은 각각 상대 회전을 통한 휨 가능형의 연결 구조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휨 가능형의 연결 구조는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120)들 간의 연결을 예로 부연 설명하면,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120)의 일측에 볼록부(121)가 형성되는 동시에 타측에 볼록부(121)와 대응되는 오목부(122)가 형성됨으로서, 인접한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120)들이 그 볼록부(121) 및 오목부(122)를 암수형으로 결합시키면서 연결됨에 따라, 열차(10)가 곡선의 전기철도 구간을 통과 시 전원공급 플레이트(100)가 해당 곡률에 맞춰 휘어지는 동시에 그 플레이트들 간의 이격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전원공급 포스트 구조물(200)은 지주(210) 및 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주(210)는 상기 전기철도를 따라 열차(10)의 지붕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구성이다.
암(220)은 지주(210)에 열차(1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결합되는 동시에 지주(210)별 설치되는 복수의 구성이다.
전원공급유닛(300)은 전원공급 포스트 구조물(200)별 암(220)에 상하 이동 가능한 동시에 하방향으로의 복원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구성이며, 이러한 전원공급유닛(300)들 각각은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의 완충 활주구간(111)을 최초 접촉 위치로 하여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의 상면을 따라 활주되는 방식으로 열차(10)에 주행 동력용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의 구성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원공급유닛(300)은 주실린더(310), 보조실린더(320), 플레이트 활주유닛(330), 전원공급단자부(340) 및 전원공급케이블(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실린더(310)는 실린더로드(311)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전원공급 포스트 구조물(200)의 암(220)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실린더로드(311)에 하향 압력을 가하기 위한 오일(312)이 충전된다. 또한, 주실린더(310)는 상단에 실린더로드(311)의 상향 이동 시 내부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1 오일통행홀(313)이 형성된다.
보조실린더(320)는 주실린더(310)의 제1 오일통행홀(313)과 연결되는 제2 오일통행홀(321)이 하단에 형성되는 상태로 주실린더(310)에 결합된다.
플레이트 활주유닛(330)는 휠 결합축(331)과 휠(332)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휠 결합축(331)은 실린더로드(311)의 하단에 수평 방향인 동시에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배치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휠(332)은 휠 결합축(3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열차(10)의 주행에 따라 완충 활주구간(111)을 최초 접촉 위치로 하여 회전하면서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의 상면을 따라 활주된다.
전원공급단자부(340)는 휠 단자(341), 제1 베어링 단자(342), 회전축 단자(343) 및 제2 베어링 단자(3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휠 단자(341)는 플레이트 활주유닛(330)의 휠(332)과 동일 지름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러한 휠(332)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휠(332)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대한 접촉을 통해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베어링 단자(342)는 휠 단자(341)의 일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 단자(343)는 주실린더(310)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수평 방향인 동시에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배치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어링 단자(342)에 길이 방향의 타단이 결합된다.
제2 베어링 단자(344)는 주실린더(310)에 고정되는 동시에 회전축 단자(34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원공급케이블(350)은 전원공급단자부(340)의 제2 베어링 단자(344)에 연결되며, 열차(10)에 공급되기 위한 외부 전원을 전원공급단자부(340)에 인가한다.
플레이트 클리닝부(400)는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대한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황사 및 기타 미세 이물질 제거를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플레이트 클리닝부(400)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10), 클리닝 동력발생 유닛(420), 클리닝 링 패드(43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플레이트 클리닝부(400)는 플레이트 오염수준 측정센서(4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10)는 전원공급 포스트 구조물(200)의 암(220)에 작동로드(411)가 수직 방향을 따라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클리닝 동력발생 유닛(420)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10)의 작동로드(411) 선단에 수평 방향인 동시에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배치 상태로 결합되는 롤러 축(421)과, 이러한 롤러 축(4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클리닝 링 패드(430)는 클리닝 동력발생 유닛(420)의 롤러(422)에 롤러(422)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제어부(400)는 암(220)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어부(400)는 사전 설정된 작동주기 또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10)를 작동시켜 클리닝 링 패드(430)의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에 대한 접촉을 통해 클리닝 동력발생 유닛(420)에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에 따라 클리닝 링 패드(430)가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의 상면을 닦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플레이트 오염수준 측정센서(450)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10)에 설치되며, 이러한 플레이트 오염수준 측정센서(450)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10)의 하부로 열차(10)의 통과 시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빛을 조사하여 빛의 반사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10)의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에 대한 클리닝 작동용의 기준 반사도가 사전에 설정되며, 플레이트 오염수준 측정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빛의 반사도가 상기 기준 반사도 밑으로 떨어지면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10)를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에 대한 클리닝 상태로 작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전기철도의 열차(10) 지붕에 전원공급 플레이트(100)를 통한 플레이트형의 전원공급라인이 제공되고, 이렇게 전원공급라인을 형성하는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의 선단에 완충 활주구간(111)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에 안착되는 전원공급유닛(300)의 휠 단자(341)가 오일 충전형 실린더 구조물의 완충 기능을 제공받게 됨에 따라, 휠 단자(341)가 완충 활주구간(111)을 통해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에 부드럽게 안착 후 전원공급 플레이트를 따라 활주되는 동작을 함에 따라, 전원공급 플레이트 및 전원공급유닛의 전원공급단자부 간 전원 인가를 위한 연계 구성이 보다 안정적인 형태를 이루는 동시에 이를 통해 해당 전원 공급 작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철도의 열차에 대한 전원 공급이 해당 열차에 설치되는 전원공급 플레이트 및 해당 열차의 전체 길이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원공급유닛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기철도의 열차에 대한 전원 공급 구성의 설치 비용이 기존 방식에 비해 절감될 수 있는 동시에 기존 팬터그래프의 생략을 통해서 열차 주행 시의 저항 감소 및 소음 발생 방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전기철도의 열차 지붕에 설치되는 전원공급 플레이트에 대해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황사 및 기타 이물질의 묻은 정도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고, 이를 기반으로 그 묻은 정도가 소정 수준을 넘어설 경우 전원공급 플레이트에 대한 닦음 작업이 자동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전원공급 플레이트 및 이에 대한 전원공급유닛의 전원 인가 구성 및 작용이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열차 11 : 차량
100 : 전원공급 플레이트 110 : 제1 전원공급 플레이트
111 : 완충 활주구간 120 :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
121 : 볼록부 122 : 오목부
200 : 전원공급 포스트 구조물 210 : 지주
220 : 암 300 : 전원공급유닛
310 : 주실린더 311 : 실린더로드
312 : 오일 313 : 제1 오일통행홀
320 : 보조실린더 321 : 제2 오일통행홀
330 : 플레이트 활주유닛 331 : 휠 결합축
332 : 휠 340 : 전원공급단자부
341 : 휠 단자 342 : 제1 베어링단자
343 : 회전축 단자 344 : 제2 베어링단자
350 : 전원공급케이블 400 : 플레이트 클리닝부
410 :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411 : 작동로드
420 : 클리닝 동력발생 유닛 421 : 롤러 축
422 : 롤러 430 : 클리닝 링 패드
440 : 제어부 450 : 플레이트 오염수준 측정센서

Claims (2)

  1. 삭제
  2. 전기철도 열차(10)의 차량(11)들 중 최전방 차량(11)의 지붕에 상기 최전방 차량(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 영역에는 전방 쪽으로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곡선형의 완충 활주구간(111)이 형성되는 제1 전원공급 플레이트(110)와, 상기 열차(10)의 상기 최전방 차량(11)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11)들의 지붕에 각각 해당 차량(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120)를 포함하며,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120) 중 맨 앞쪽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120)와 상기 제1 전원공급 플레이트(110) 그리고 상기 제2 전원공급 플레이트(120)들 간은 각각 상대 회전을 통한 휨 가능형의 연결 구조로 연결되는 전원공급 플레이트(100): 상기 전기철도를 따라 상기 열차(10)의 지붕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210)와, 상기 지주(210)에 상기 열차(1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결합되며 상기 지주(210)별 설치되는 복수의 암(220)을 포함하는 전원공급 포스트 구조물(200): 및 상기 전원공급 포스트 구조물(200)별 상기 암(220)에 상하 이동 가능한 동시에 하방향으로의 복원력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완충 활주구간(111)을 최초 접촉 위치로 하여 상기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의 상면을 따라 활주되는 방식으로 상기 열차(10)에 주행 동력용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공급유닛(300)을 포함하는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유닛(300)은
    실린더로드(311)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암(220)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실린더로드(311)에 하향 압력을 가하기 위한 오일(312)이 충전되고, 상단에는 상기 실린더로드(311)의 상향 이동 시 내부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1 오일통행홀(313)이 형성되는 주실린더(310);
    상기 제1 오일통행홀(313)과 연결되는 제2 오일통행홀(321)이 하단에 형성되는 상태로 상기 주실린더(310)에 결합되는 보조실린더(320);
    상기 실린더로드(311)의 하단에 수평 방향인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배치 상태로 결합되는 휠 결합축(331)과, 상기 휠 결합축(3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열차(10)의 주행에 따라 상기 완충 활주구간(111)을 최초 접촉 위치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의 상면을 따라 활주되는 휠(332)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활주유닛(330);
    상기 플레이트 활주유닛(330)의 휠(332)과 동일 지름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휠(332)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휠(332)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대한 접촉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휠 단자(341)와, 상기 휠 단자(341)의 일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베어링 단자(342)와, 상기 주실린더(310)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수평 방향인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 플레이트(10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배치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 단자(342)에 길이 방향의 타단이 결합되는 회전축 단자(343)와, 상기 주실린더(310)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 단자(34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베어링 단자(344)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단자부(340); 및
    상기 전원공급단자부(340)의 제2 베어링 단자(344)에 연결되며, 상기 열차(10)에 공급되기 위한 외부 전원을 상기 전원공급단자부(340)에 인가하는 전원공급케이블(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
KR1020230062608A 2023-05-15 2023-05-15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 KR102649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608A KR102649553B1 (ko) 2023-05-15 2023-05-15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608A KR102649553B1 (ko) 2023-05-15 2023-05-15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553B1 true KR102649553B1 (ko) 2024-03-20

Family

ID=9048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608A KR102649553B1 (ko) 2023-05-15 2023-05-15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5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1566A (ko) * 2009-12-23 2012-09-13 프로테라 인크 전기 차량용 충전소
KR20150025305A (ko) * 2013-08-28 2015-03-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전원공급장치
KR101855348B1 (ko) 2016-08-16 2018-05-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기철도차량 통합형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철도차량
KR102299807B1 (ko) 2021-01-11 2021-09-08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전기철도 전원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1566A (ko) * 2009-12-23 2012-09-13 프로테라 인크 전기 차량용 충전소
KR20150025305A (ko) * 2013-08-28 2015-03-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전원공급장치
KR101517132B1 (ko) 2013-08-28 2015-05-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전원공급장치
KR101855348B1 (ko) 2016-08-16 2018-05-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기철도차량 통합형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철도차량
KR102299807B1 (ko) 2021-01-11 2021-09-08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전기철도 전원공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01382B (zh) 一种充电系统
JP2016534695A (ja) 搭載器、接触装置、及び、接触装置を搭載器に搭載する方法
CN108571200B (zh) 一种立体泊车装置及泊车方法
KR102649553B1 (ko) 전기철도의 전원 공급 장치
JP7359946B2 (ja) 位置決めユニットと接触方法
CN202575899U (zh) 一种接触网检修装置
CN208118958U (zh) 一种新型伞状垂直升降受电弓弓体
CN105346399A (zh) 一种受电弓升降装置
CN203947412U (zh) 一种桥梁梁底检查车
KR20130075577A (ko) 고속철도용 팬터그래프의 양력조절장치
KR101549047B1 (ko)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CN208774784U (zh) 一种工艺转向架驱动结构以及工艺转向架
CN206108842U (zh) 一种检修平台
CN205893814U (zh) 一种高铁路基沉降治理工程中底座板抬升装置
CN110052360A (zh) 一种接触轨用滑移式导电膏涂抹装置
CN210476512U (zh) 一种接触轨用滑移式除锈装置
KR100483323B1 (ko) 전철보수용 고소작업차
CN103213924A (zh) 一种接触网检修装置
CN104309615B (zh) 一种底开门漏斗车运输线及其开关门装置
KR102007774B1 (ko) 롤러형 전차선 결빙 방지제 도포장치
KR102083004B1 (ko) 스프레이 노즐형 전차선 결빙 방지제 도포장치
CN205524299U (zh) 矿井风门闭锁阻车器
KR102636557B1 (ko)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CN219406469U (zh) 一种车辆检修装置
CN110000678A (zh) 一种接触轨用滑移式除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