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481B1 -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481B1
KR102649481B1 KR1020230048589A KR20230048589A KR102649481B1 KR 102649481 B1 KR102649481 B1 KR 102649481B1 KR 1020230048589 A KR1020230048589 A KR 1020230048589A KR 20230048589 A KR20230048589 A KR 20230048589A KR 102649481 B1 KR102649481 B1 KR 102649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flow
hoistway
flat member
opening surface
passag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휘
박재현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가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는, 승강로로 유입되는 기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승강로를 향하는 개구면이 형성된 통로 영역을 구비하는 벽 구조체에 대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구면의 면적을 커버하는 규격으로 구비되는 평판 부재 및 상기 기류가 투입되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평판 부재가 상기 개구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평판 부재를 지지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AIR CONTROL DEVICE IN HOISTWAY}
본원은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난용 승강기 및 비상용 승강기의 경우 승강로는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방화 구획되어 화재로부터 안전하여야 하며, 특히, 승강로를 급기풍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내화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승강기가 설치된 건축물 내외부를 유동하는 기류가 승강로로 유입되는데, 이러한 기류의 풍량, 풍속, 풍압 등이 과하게 형성되는 경우 승강기 로프에 과도한 흔들림이 유발되는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강로로 유입되는 기류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기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9168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로로 유입되는 기류의 풍량, 풍속, 풍압 등을 적정 수준으로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는, 승강로로 유입되는 기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승강로를 향하는 개구면이 형성된 통로 영역을 구비하는 벽 구조체에 대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구면의 면적을 커버하는 규격으로 구비되는 평판 부재 및 상기 기류가 투입되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평판 부재가 상기 개구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평판 부재를 지지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판 부재와 상기 개구면 간에 간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기류가 상기 통로 영역으로부터 상기 간격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승강로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기류의 풍속, 풍량 및 풍압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수준에 부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판 부재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평판 부재의 코너부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판 부재에는 상기 승강로로 유입되는 상기 기류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통과 가능하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는, 상기 기류가 통과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벽 구조체에 대하여 배치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평판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벽 구조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평판 부재와 상기 개구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는, 상기 기류가 통과하도록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 영역에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의 후단에 결합되는 덕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는, 상기 평판 부재와 상기 개구면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간격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류 조절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 대한 화재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승강로로 유입되는 기류의 풍량, 풍속, 풍압 등을 적정 수준으로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승강로 기류 조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의 벽 구조체에 대한 설치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의 벽 구조체에 대한 설치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의 벽 구조체에 대한 설치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고정 부재의 구조 및 벽 구조체에 대한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의 실제 설치도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에 관련된 용어(전방, 후방, 후단부, 상부, 상향, 하향, 폭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2 내지 도 4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은 2시에서 8시방향, 폭방향은 4시에서 10시방향, 상하 방향은 12시에서 6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은 3시에서 9시방향, 상하 방향은 12시에서 6시 방향, 폭방향은 도면의 법선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향 설정은 본원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는 도 2 내지 도 4 기준 상향이 수평 방향(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도 2 내지 도 4 기준 상향이 비스듬한 경사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은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승강로 기류 조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기류 조절 시스템(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기류 조절 장치(100)(이하, '기류 조절 장치(100)'라 한다.), 통합 관리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류 조절 장치(100), 통합 관리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3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기류 조절 장치(100)를 통해 승강로(1)로 유입되는 기류의 공기 흐름 특성(예를 들면, 풍속, 풍압, 풍량 등)을 상황에 맞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명령)를 기류 조절 장치(100)로 전송하는 서버 내지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200)에서 승강로(1)로 유입되는 기류의 공기 흐름 특성(예를 들면, 풍속, 풍압, 풍량 등)을 상황에 맞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명령)를 기류 조절 장치(100)로 전송하면 기류 조절 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신호(명령)에 맞게 동작하여 승강로(1)에 유입되는 기류의 공기 흐름 특성(풍속, 풍압, 풍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관리 서버(200)는 후술하는 기류 조절 장치(100)의 평판 부재(110)의 통로 영역(2)의 개구면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간격)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평판 부재(110)와 통로 영역(2)의 개구면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간격)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기류 조절 장치(100) 측으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에 평판 부재(110)와 통로 영역(2)의 개구면으로 부터의 이격거리(간격)를 입력하면 통합 관리 서버(200)를 통해 기류 조절 장치(100)로 이격 거리(간격)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전송되고, 기류 조절 장치(100)는 수신된 이격 거리(간격) 제어신호에 맞게 통로 영역(2)의 개구면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간격)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합 관리 서버(200)는 기류 조절 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예를 들면, 건축물 등)에 대한 화재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공간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평판 부재(110)와 통로 영역(2)의 개구면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간격)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기류 조절 장치(100) 측으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200)를 통해 기류 조절 장치(100)로 이격 거리(간격)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전송되고, 기류 조절 장치(100)는 수신된 이격 거리(간격) 제어신호에 맞게 통로 영역(2)의 개구면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간격)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기류 조절 장치(100)의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100)는 승강로(1)로 유입되는 기류를 형성하도록 승강로(1)를 향하는 개구면이 형성된 통로 영역(2)을 구비하는 벽 구조체(11)에 대하여 배치되고, 통로 영역(2)의 개구면의 면적을 커버하는 규격으로 구비되는 평판 부재(110) 및 기류가 투입되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평판 부재(110)가 통로 영역(2)의 개구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벽 구조체(11)에 결합되어 평판 부재(110)를 지지하는 고정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100)는 평판 부재(110)가 고정 부재(120)에 의해 통로 영역(2)의 개구면의 외측의 벽 구조체(11) 영역에 대하여 고정되는 앙카(Anchor) 결합 방식에 의해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기류 조절 장치(100)의 평판 부재(110)에는 승강로(1)로 유입되는 기류 중 적어도 일부가 전후 방향을 따라 통과 가능하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 부재(110)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타공망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100)는 승강로(1)로 유입되는 기류를 형성하도록 승강로(1)를 향하는 개구면이 형성된 통로 영역(2)을 구비하는 벽 구조체(11)에 대하여 배치되고, 통로 영역(2)의 개구면의 면적을 커버하는 규격으로 구비되는 평판 부재(110), 기류가 투입되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평판 부재(110)가 통로 영역(2)의 개구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평판 부재(110)를 지지하는 고정 부재(120) 및 승강로(1)로 유입되는 기류가 통과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벽 구조체(11)에 대하여 배치되는 프레임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100)는 평판 부재(110)가 고정 부재(120) 및 프레임 부재(130)에 의해 통로 영역(2)의 개구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결합 방식에 의해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부재(130)는 평판 부재(110)와 통로 영역(2)의 개구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100)는 승강로(1)로 유입되는 기류를 형성하도록 승강로(1)를 향하는 개구면이 형성된 통로 영역(2)을 구비하는 벽 구조체(11)에 대하여 배치되고, 통로 영역(2)의 개구면의 면적을 커버하는 규격으로 구비되는 평판 부재(110), 기류가 투입되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평판 부재(110)가 통로 영역(2)의 개구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평판 부재(110)를 지지하는 고정 부재(120) 및 승강로(1)로 유입되는 기류가 통과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14)를 형성하고, 통로 영역(2)에 삽입되는 덕트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100)는 평판 부재(110)가 고정 부재(120)에 의해 통로 영역(2)의 개구면과 이웃한 벽 구조체(11)에 결합되고, 평판 부재(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덕트 부재(140)가 통로 영역(2) 내측으로 삽입되어, 기류가 덕트 부재(140)를 통과한 후 승강로(1)로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덕트 결합 방식에 의해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기류 조절 장치(100)의 설치 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의 벽 구조체에 대한 설치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의 벽 구조체에 대한 설치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의 벽 구조체에 대한 설치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기류 조절 장치(100)에 의할 때, 평판 부재(110)와 통로 영역(2)의 개구면 간에 간격 공간이 형성되고, 기류가 통로 영역(2)으로부터 간격 공간을 통과하여 승강로(1)로 유입됨으로써, 유입되는 기류의 풍속, 풍량 및 풍압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수준에 부합하도록 조정됨으로써, 승강로(1)로 유입되는 기류가 적정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승강기의 로프가 유입되는 기류에 의해 과하게 흔들리는 등의 위험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검은색 화살표는 통로 영역(2)으로부터 기류 조절 장치(100)에 의해 형성되는 간격 공간으로 유입되는 기류의 흐름을 나타내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흰색 화살표 중 6시 방향 또는 12시 방향을 향하도록 표시된 화살표는 간격 공간을 통과하여 승강로(1)로 유입되는 기류의 흐름을 나타내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흰색 화살표 중 9시 방향을 향하도록 표시된 화살표는 평판 부재(110)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통과하여 승강로(1)로 유입되는 기류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판 부재(110)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평판 부재(110)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120)는 다각형 형상의 평판 부재(110)의 코너부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평판 부재(110)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고정 부재(110)는 평판 부재(110)의 네 개의 코너부에 대응하여 벽 구조체(11)에 결합되는 네 개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평판 부재(110)와 통로 영역(2)의 개구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공간은 고정 부재(120)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개의 통과 영역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통로 영역(2)으로부터 유입되는 기류는 구획 형성된 통과 영역을 각각 통과하도록 분산되는 형태로 승강로(1)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부재(110)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 부재(120)가 평판 부재(110)의 각 코너부에 배치되는 네 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간격 공간은 평판 부재(110)의 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 방향, 하측 방향, 폭방향 일방향 및 폭방향 타방향의 네 방향으로 구분되는 네 개의 통과 영역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기류가 상측 방향, 하측 방향, 폭방향 일방향 및 폭방향 타방향의 네 방향으로 각각 균일한 풍량을 보전하면서 유입될 수 있어 기류에 의해 형성되는 전후 방향으로의 풍압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로(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평판 부재(110)는 통로 영역(2)의 개구면을 커버할 수 있는 규격(달리 말해, 개구면의 개구 면적 대비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구비되고, 기류과 통과하는 간격 공간을 형성하도록 통로 영역(2)의 개구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이렇게 평판 부재(110)가 통로 영역의 개구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 부재(120)가 평판 부재(110)의 일 부분(예를 들면, 코너부 등)을 관통하여 통로 영역(2)의 개구면과 이웃(근접)한 벽 구조체(11) 영역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부재(130)는 통로 영역(2)으로 삽입되도록 통로 영역(2)의 개구면 대비 작은 단면적으로 가지는 내측 부재(131) 및 통로 영역(2)의 개구면 대비 넓은 단면적을 가져 통로 영역(2)의 개구면과 이웃(근접)한 벽 구조체(11) 측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외측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120)가 평판 부재(110) 및 내측 부재(131)를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내측 부재(131)가 통로 영역(2)의 개구면에 대하여 끼움 결합됨으로써 기류 조절 장치(100)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전술한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100)의 설치 방식과 마찬가지로 고정 부재(120)가 평판 부재(110) 및 프레임 부재(130)(예를 들면, 외측 부재(132)의 일 부분 등)를 관통하여 통로 영역(2)의 개구면과 이웃(근접)한 벽 구조체(11) 영역에 결합되는 방식 역시 적용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120)는 평판 부재(110) 및 프레임 부재(13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벽 구조체(11)에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120)는 평판 부재(110) 및 프레임 부재(13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벽 구조체(11)에 고정되고, 프레임 부재(130)의 후단에 덕트 부재(140)가 결합(달리 말해, 프레임 부재(130) 및 덕트 부재(14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덕트 부재의 단부(보다 구체적으로 도 7 기준 9시 방향 단부)가 통로 영역(2)의 개구면과 이웃한 벽 구조체(11)에 거치되도록 통로 영역(2)의 개구면으로부터 개구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덕트 부재(140)의 단부 및 평판 부재(110)를 관통하도록 고정 부재(120)가 삽입됨으로써 평판 부재(110) 및 덕트 부재(140)가 프레임 부재(130)를 구비하지 않고도 벽 구조체(11)에 대하여 고정(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8은 고정 부재의 구조 및 벽 구조체에 대한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100)의 고정 부재(120)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8의 (b)는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100)의 고정 부재(120)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8의 (c)는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류 조절 장치(100)의 고정 부재(120)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앙카 결합 방식에 의하면, 벽 구조체(11)의 내측으로 볼트 부재(121)(보다 구체적으로, 앙카 볼트(Anchor bolt) 부재)가 삽입되고, 평판 부재(110)의 전방에 제1너트 부재(123a)가 배치되고, 볼트 부재(121)가 삽입된 벽 구조체(11)의 표면에 제2너트 부재(123b)가 배치되고, 볼트 부재(121) 및 너트 부재(123a, 123b)를 관통하도록 슬리브 부재(122)가 삽입됨으로써 고정 부재(120)가 평판 부재(110)를 벽 구조체(11)에 대하여 간격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20)는 평판 부재(110)의 후면에서 슬리브 부재(122)에 결합되는 와셔 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결합 방식에 의하면, 슬리브 부재(122)가 평판 부재(110)와 프레임 부재(130)의 내측 부재(131) 및 외측 부재(132)를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평판 부재(110)의 전방에 볼트 부재(121)가 결합되고, 외측 부재(132)의 후방에 너트 부재(123)가 결합됨으로써 평판 부재(110)와 프레임 부재(130)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간격 공간을 형성하고, 프레임 부재(130)가 통로 영역(2)의 개구면에 대하여 결합(삽입)됨으로써 기류 조절 장치(100)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120)는 평판 부재(110)와 프레임 부재(130)를 소정의 간격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결합하도록 기능하고, 기류 조절 장치(100)를 벽 구조체(11)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결합 수단(예를 들면, 외측 부재(132)를 통로 영역(2)의 개구면과 이웃한 벽 구조체(11)에 대하여 고정하는 부재 등)이 추가로 도입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 8의 (c)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덕트 결합 방식에 의하면, 슬리브 부재(122)가 평판 부재(110) 및 프레임 부재(13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평판 부재(110)의 전방에 볼트 부재(121)가 결합되고, 프레임 부재(130)의 후방에 너트 부재(123)가 결합됨으로써 평판 부재(110)와 프레임 부재(130)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간격 공간을 형성하고, 프레임 부재(130)의 후단에 결합된 덕트 부재(140)가 통로 영역(2)의 개구면에 대하여 결합(삽입)됨으로써 기류 조절 장치(100)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120)는 덕트 부재(140)의 전단에 결합된 프레임 부재(130)와 평판 부재(110)를 소정의 간격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결합하도록 기능하고, 기류 조절 장치(100)를 벽 구조체(11)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결합 수단(예를 들면, 덕트 부재(140)를 통로 영역(2)의 내벽에 대하여 고정하는 부재 등)이 추가로 도입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류 조절 장치(100)는 평판 부재(110)와 통로 영역(2)의 개구면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간격 조절 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류 조절 장치(100)의 간격 조절 부재(미도시)는 승강로(1)로 유입되는 기류의 특성(예를 들면, 풍압, 풍량, 풍속 등)을 미리 설정된 수준으로 조정하도록 평판 부재(110)와 통로 영역(2)의 개구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공간의 체적(부피)을 가변하기 위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간격 조절 부재(미도시)는 슬리브 부재(122)에 결합되는 볼트 부재(121) 및 너트 부재(131) 사이의 결합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평판 부재(110)와 통로 영역(2)의 개구면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간격 조절 부재(미도시)는 고정 부재(120)의 벽 구조체(11)에 대한 삽입 깊이를 조정하거나, 평판 부재(110)를 전후 방향을 따라 거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 및 메커니즘을 폭넓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기류 조절 장치(100)의 간격 조절 부재(미도시)는 평판 부재(110)와 통로 영역(2)의 개구면 간의 이격 거리(간격)를 조정하기 위한 걸림턱 구조, 레일 구조, 슬라이딩 수단, 전동 수단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격 조절 부재(미도시)는 복수 개 구비되는 고정 부재(120) 각각에 대하여 마련되어, 각각의 고정 부재(120)에 의해 형성되는 평판 부재(110)와 통로 영역(2)의 개구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개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통로 영역(2)으로부터 승강로(1)로 유입되는 기류가 특정 방향으로 가이드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의 상측에 도시된 고정 부재(120)의 길이(보다 구체적으로, 평판 부재(110)와 벽 구조체(11) 사이의 슬리브 부재(122)가 노출된 길이 등)가 상대적으로 하측에 도시된 고정 부재(120)의 길이 대비 짧게 조정되는 경우, 평판 부재(110)가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비스듬한 형상(예를 들면, ' / ' 형상)으로 거동하여 통로 영역(2)으로부터 유입되는 기류가 상대적으로 하측 방향으로 개구된 통과 영역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개구된 통과 영역 대비 많은 풍량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격 조절 부재(미도시)는 기류 조절 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예를 들면, 건물 등)에 대한 화재 발생 정보, 공기질 정보, 재실자 분포 정보, 통로 영역(2) 및/또는 승강로(1)에서 계측된 풍량, 풍속, 풍압 등에 대한 센싱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공간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필요한 기류 특성에 부합하도록 맞춤형 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간격 조절 부재(미도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 시에는 평판 부재(110)가 통로 영역(2)의 개구면을 덮어 통로 영역(2)으로부터의 기류가 평판 부재(110)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승강로(1)로 유입되도록 평판 부재(110)와 통로 영역(2)의 개구면 간의 이격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조정되되, 건물 내 마련된 화재 감지 센서(미도시)로부터 획득한 화재 감지 신호(화재 발생 정보)를 기초로 하여 통합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의해 통로 영역(2)으로부터 유입되는 기류가 전술한 간격 공간을 통과하여 승강로(1)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평판 부재(110)와 통로 영역(2)의 개구면 간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9a 및 도 9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의 실제 설치도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승강로 기류 조절 시스템
100: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
1: 승강로
2: 통로 영역
11: 벽 구조체
110: 평판 부재
120: 고정 부재
121: 볼트 부재
122: 슬리브 부재
123: 너트 부재
124: 와셔 부재
130: 프레임 부재
140: 덕트 부재
200: 통합 관리 서버
300: 사용자 단말
20: 네트워크

Claims (10)

  1.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에 있어서,
    승강로로 유입되는 기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승강로를 향하는 개구면이 형성된 통로 영역을 구비하는 벽 구조체에 대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구면의 면적을 커버하는 규격으로 구비되는 평판 부재;
    상기 기류가 투입되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평판 부재가 상기 개구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평판 부재를 지지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평판 부재와 상기 개구면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간격 조절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 부재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평판 부재의 코너부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간격 조절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 부재 각각에 대하여 구비되며, 상기 통로 영역으로부터 상기 승강로로 유입되는 기류의 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평판 부재와 상기 개구면 사이의 이격 거리의 개별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류 조절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 대한 화재 발생 정보, 공기질 정보, 재실자 분포 정보와, 상기 통로 영역 및 상기 승강로 중 적어도 하나에서 계측된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상태 정보에 따라 요구되는 기류 특성에 부합하도록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각각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부재와 상기 개구면 간에 간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기류가 상기 통로 영역으로부터 상기 간격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승강로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기류의 풍속, 풍량 및 풍압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수준에 부합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공간은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개의 통과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기류는 상기 통과 영역을 각각 통과하도록 분산되어 상기 승강로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부재에는 상기 승강로로 유입되는 상기 기류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통과 가능하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것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가 통과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벽 구조체에 대하여 배치되는 프레임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평판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벽 구조체에 고정되는 것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평판 부재와 상기 개구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가 통과하도록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 영역에 삽입되는 덕트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가 통과하도록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 영역에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의 후단에 결합되는 덕트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48589A 2022-12-01 2023-04-13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 KR102649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743 2022-12-01
KR20220165743 2022-1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481B1 true KR102649481B1 (ko) 2024-03-20

Family

ID=9048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589A KR102649481B1 (ko) 2022-12-01 2023-04-13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4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629A (ja) * 1994-04-11 1995-10-24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JPH10185289A (ja) * 1996-12-25 1998-07-14 Taiki:Kk 空気吹出し装置
JP2010058946A (ja) * 2008-09-05 2010-03-1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629A (ja) * 1994-04-11 1995-10-24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JPH10185289A (ja) * 1996-12-25 1998-07-14 Taiki:Kk 空気吹出し装置
JP2010058946A (ja) * 2008-09-05 2010-03-1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9481B1 (ko) 승강로 내 기류 조절 장치
US20170318519A1 (en) Augmented reality visual wi-fi signal
US9736960B2 (en) Framework for electronic or network cabinets
US11707689B2 (en) Recirculating vertical wind tunnel
CN105992505B (zh) 网络设备
KR102053724B1 (ko) 가로등용 분전반
JP2000302361A (ja) 耐火エレベータシャフトドア
KR101180902B1 (ko) 방충망이 형성되어 있는 아케이드용 갤러리 창호
EP1878975A1 (en) Air conditioner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JP2011006908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2096593B1 (ko) 워크웨이 구조물 및 워크웨이 구조물 설치 방법
FI63282C (fi) Doerrkarm foer ett stroemfoerdelningssystem
KR102081793B1 (ko) 자동차 시트의 통풍 장치
US201801768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device power consumption through usage context operation
KR102205645B1 (ko) 특수 효과 발생 장치
KR200489817Y1 (ko) 원활한 공기 흐름과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통신장비 보관용 랙
KR102106799B1 (ko)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JP4414538B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装置
KR20180077815A (ko)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CN107010501A (zh) 电梯控制柜
KR100639305B1 (ko) 해충 침입 방지용 갤러리 창호
JP6506594B2 (ja) 建具
KR20190130113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JP6118658B2 (ja) 乗客コンベア
JP2015113640A (ja) 防火戸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