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470B1 -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470B1
KR102649470B1 KR1020230124271A KR20230124271A KR102649470B1 KR 102649470 B1 KR102649470 B1 KR 102649470B1 KR 1020230124271 A KR1020230124271 A KR 1020230124271A KR 20230124271 A KR20230124271 A KR 20230124271A KR 102649470 B1 KR102649470 B1 KR 102649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bracket
motor
fixing
au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긴트
Priority to KR102023012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3Steering in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조향축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하는 오토 스티어링 휠에서 상부의 스티어링 휠은 회전하지만 하부의 모터는 고정되도록 할 때 간편하게 고정이 가능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대시보드에 장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조향축과 결합하여 동일한 회전을 하도록 하는 스티어링 휠과, 상부 중앙에 상기 스티어링 휠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조향축 또는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는 오토 스티어링 휠이 상기 조향축과 스티어링 휠이 회전할 때 모터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긴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장홀이 형성되어 한 쌍이 고정볼트에 의하여 상기 모터의 저면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장홀에 의한 경로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밀어 넣었을 때 대시보드에 밀착되어 모터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 밀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The bracket for fixing auto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조향축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하는 오토 스티어링 휠에서 상부의 스티어링 휠은 회전하지만 하부의 모터는 고정되도록 할 때 간편하게 고정이 가능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대시보드에 장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일반인에게도 무선조정이나 자율주행이라는 것에 대한 관심과 관련 지식의 전달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것은 각각 드론과 자동차에 대표적으로 적용되고 개발되고 있으나 자동차에 적용하기에는 발생하는 돌발상황에서의 대처 및 책임에 대한 문제로 적용이 늦어지고 있다.
하지만 각종 농산물에서 넓게 사용되는 다양한 농기계의 경우 이러한 돌발생황이 발생할 우려가 극히 적으며 단순 반복이 대부분인 작업 환경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무선 또는 자율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중에 조향장치 즉 방향을 결정하는 스티어링 휠 혹은 핸들에 장착하여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오토 스티어링 휠의 경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다.
이러한 오토 스티어링 휠은 조향축에 장착되어 모터에 의하여 스티어링 휠과 조향축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조향축을 관통하여 회전시키는 모터와 스티어링 휠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농기계의 경우 제조단계에서 일반 스티어링 휠이 장착되어 판매되고 있으므로, 전술한 오토 스티어링 휠의 경우 기존의 스티어링 휠을 분리하고 그 자리에 조립하고 모터가 회전하지 않게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농기계의 종류나 생산 업체 등에 따라 조향축의 외측을 감싸는 대시보드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오토 스티어링 휠을 조립하고 모터를 고정하는 작업이 상이하여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고정하는 번거러운 과정을 필요로 한다.
또한 평상시에는 일반 스티어링 휠을 사용하고 자동 또는 무선 작업시에만 오토 스티어링 휠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하나의 오토 스티어링 휠을 이용하여 다양한 농기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면서 간단하게 조립하고 모터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2000-0006121호 (2000년04월06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89568-0000호 (2012년10월04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일반 스티어링 휠을 분리한 후 그 자리에 오토 스티어링 휠을 조립하고 모터가 최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작업이 간편하면서도 다양한 형태의 대시보드에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향축과 결합하여 동일한 회전을 하도록 하는 스티어링 휠과, 상부 중앙에 상기 스티어링 휠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조향축 또는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는 오토 스티어링 휠이 상기 조향축과 스티어링 휠이 회전할 때 모터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긴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장홀이 형성되어 한 쌍이 고정볼트에 의하여 상기 모터의 저면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장홀에 의한 경로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밀어 넣었을 때 대시보드에 밀착되어 모터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 밀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평부와 수직 밀착부의 사이에는 상기 수평부의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는 수직 절곡부와, 상기 수직 절곡부의 하단에서 대시보드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절곡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수직 절곡부의 중앙에서 하부로 연장 절개되어 상기 경사 절곡부와 수직 밀착부를 각각 두 개로 분기하는 절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일면에는 상기 수직 밀착부의 끝단이 안착되도록 함몰되어 있는 두 개의 함몰 안착부를 구비하는 고정밴드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고정밴드가 대시보드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브라켓을 모터의 저면에 장착하고 조향축에 모터를 포함하는 오토 스티어링 휠을 조립한 후 브라켓을 밀어 대시보드에 밀착하도록 하면 모터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모터의 회전을 방지하고 다양한 형태의 대시보드에도 손쉽게 오토 스티어링 휠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 스티어링 휠과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형태의 대시보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 스티어링 휠과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조향축(100)과 결합하여 동일한 회전을 하도록 하는 스티어링 휠(11)과, 상부 중앙에 상기 스티어링 휠(11)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조향축(100) 또는 스티어링 휠(11)을 회전시키는 모터(12)로 구성되는 오토 스티어링 휠(1)이 상기 조향축(100)과 스티어링 휠(11)이 회전할 때 모터(12)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은 긴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장홀(211)이 형성되어 한 쌍이 고정볼트(212)에 의하여 상기 모터(12)의 저면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장홀(211)에 의한 경로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평부(21)와;
상기 수평부(21)의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밀어 넣었을 때 대시보드(3)에 밀착되어 모터(12)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 밀착부(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오토 스티어링 휠(1)이 장착되는 조향축(100)은 과거에는 차체 하부에서 관통되어 운전석 전방으로 길게 노출되어 연장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 다양한 보조장치를 연결하고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조향축(100)은 상단 일부를 제외하고 노출되지 않고 대시보드(2)가 감싸는 형태로의 농기계가 주로 출시되고 있다.
이에 본원은 대시보드를 이용하여 오토 스티어링 휠(1)의 모터(12)를 고정하는 수단인 브라켓(2)을 제시한 것으로, 기존의 스티어링 휠을 제거한 후 브라켓(2)을 장착한 오토 스티어링 휠(1)을 조향축(100)과 결합하도록 하고 브라켓(2)을 밀어 수직 밀착부(22)가 대시보드(3)에 밀착하도록 하면 간단하게 모터(12)의 회전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고정볼트(212)를 조여 고정하거나 사전에 브라켓(2)의 위치를 고정한 후 조립하는 두 가지의 방법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조향축(100)과 대시보드(3)의 오면 사이의 거리가 다른 경우에도 가이드 장홀(211)에 의하여 얼마든지 위치를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하나의 오토 스티어링 휠(1)을 이용하여 파종, 수확, 운반 등 다양한 종류의 농기계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무선 조정뿐만 아니라 자율작동도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원은 상기 수평부(21)와 수직 밀착부(22)의 사이에는 상기 수평부(21)의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는 수직 절곡부(23)와, 상기 수직 절곡부(23)의 하단에서 대시보드(3)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절곡부(2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단순히 'ㄱ'의 형상으로 절곡되었을 경우 전체적인 면이 밀착되지 않고 수직 밀착부(22)가 벌어져 하단은 밀착되지 않거나 모터(12)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유동할 수 있는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 절곡부(23)와 경사 절곡부(24)는 수직 밀착부(22)가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밀착하도록 하여 모터(1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형태의 대시보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대시보드(3)의 수직 밀착부(22)와 밀착하는 부분이 평면이아닌 곡면이거나 두개 이상의 면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수직 밀착부(22)에 의한 모터(12)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브라켓(2)에는 상기 수직 절곡부(23)의 중앙에서 하부로 연장 절개되어 상기 경사 절곡부(24)와 수직 밀착부(22)를 각각 두 개로 분기하는 절개부(25)를 구비하도록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즉 밀착하는 지점이 한곳이 아닌 두 지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평면이 아닌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모터(1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일면에는 상기 수직 밀착부(22)의 끝단이 안착되도록 함몰되어 있는 두 개의 함몰 안착부(261)를 구비하는 고정밴드(26)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고정밴드(26)가 대시보드(3)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시 예는 상기 브라켓(2)이 보다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으로 밴드로 대시보드(3) 감아 조일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함몰 안착부(261)를 구비한 고정밴드(26)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때 고정밴드(26)는 접착 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별도의 볼트나 나사에 의하여 대시보드(3)에 고정될 수 있다.
1 : 오토 스티어링 휠
11 : 스티어링 휠 12 : 모터
2 : 브라켓
21 : 수평부
211 : 가이드 장홀 212 : 고정볼트
22 : 수직 밀착부
23 : 수직 절곡부
24 : 경사 절곡부
25 : 절개부
26 : 고정밴드
261 : 함몰 안착부
3 : 대시보드
100 : 조향축

Claims (4)

  1. 조향축(100)과 결합하여 동일한 회전을 하도록 하는 스티어링 휠(11)과, 상부 중앙에 상기 스티어링 휠(11)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조향축(100) 또는 스티어링 휠(11)을 회전시키는 모터(12)로 구성되는 오토 스티어링 휠(1)이 상기 조향축(100)과 스티어링 휠(11)이 회전할 때 모터(12)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은 긴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장홀(211)이 형성되어 한 쌍이 고정볼트(212)에 의하여 상기 모터(12)의 저면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장홀(211)에 의한 경로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평부(21)와;
    상기 수평부(21)의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밀어 넣었을 때 대시보드(3)에 밀착되어 모터(12)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 밀착부(22)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부(21)와 수직 밀착부(22)의 사이에는 상기 수평부(21)의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는 수직 절곡부(23)와, 상기 수직 절곡부(23)의 하단에서 대시보드(3)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절곡부(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에는 상기 수직 절곡부(23)의 중앙에서 하부로 연장 절개되어 상기 경사 절곡부(24)와 수직 밀착부(22)를 각각 두 개로 분기하는 절개부(25)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
  4. 제 3항에 있어서, 일면에는 상기 수직 밀착부(22)의 끝단이 안착되도록 함몰되어 있는 두 개의 함몰 안착부(261)를 구비하는 고정밴드(26)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고정밴드(26)가 대시보드(3)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
KR1020230124271A 2023-09-18 2023-09-18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 KR102649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4271A KR102649470B1 (ko) 2023-09-18 2023-09-18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4271A KR102649470B1 (ko) 2023-09-18 2023-09-18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470B1 true KR102649470B1 (ko) 2024-03-20

Family

ID=9048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4271A KR102649470B1 (ko) 2023-09-18 2023-09-18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47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121U (ko) 1998-09-09 2000-04-06 홍종만 스티어링 휠의 브라켓 패드 체결장치
KR101189568B1 (ko) 2010-12-01 201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레벨러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CN106314528A (zh) * 2016-08-24 2017-01-11 上海交通大学 基于双出轴电机农机方向盘自动化装置及使用方法
CN107933684A (zh) * 2017-11-22 2018-04-20 山东理工大学 农业机械用电动自动转向系统
CN109291989A (zh) * 2018-10-24 2019-02-01 山东农业大学 一种用于农业机械的电动方向盘及自动驾驶方法
JP2019043221A (ja) * 2017-08-30 2019-03-2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US20210129907A1 (en) * 2019-10-30 2021-05-06 Shandong University Of Technology An automatic steering device of an agricultural machi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121U (ko) 1998-09-09 2000-04-06 홍종만 스티어링 휠의 브라켓 패드 체결장치
KR101189568B1 (ko) 2010-12-01 201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레벨러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CN106314528A (zh) * 2016-08-24 2017-01-11 上海交通大学 基于双出轴电机农机方向盘自动化装置及使用方法
JP2019043221A (ja) * 2017-08-30 2019-03-2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CN107933684A (zh) * 2017-11-22 2018-04-20 山东理工大学 农业机械用电动自动转向系统
CN109291989A (zh) * 2018-10-24 2019-02-01 山东农业大学 一种用于农业机械的电动方向盘及自动驾驶方法
US20210129907A1 (en) * 2019-10-30 2021-05-06 Shandong University Of Technology An automatic steering device of an agricultural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1774B2 (ja) 車両用ワイパー装置
KR102649470B1 (ko) 오토 스티어링 휠 고정용 브라켓
EP2436579B1 (fr) Ensemble de traverse de planche de bord pour véhicule automobile.
EP3126209B1 (fr) Structure de vehicule automobile renforcee
WO2003097419A1 (fr) Agencement pour le positionnement et la fixation des moyens d'entraînement d'un mecanisme d'essuie-glace
KR102350867B1 (ko) 탄성중합체 베어링용 정지 디스크
EP3752376B1 (fr) Systeme de butée supérieure à billes d'une suspension de train avant d'un véhicule
KR102451989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FR2886894A1 (fr) Systeme de fixation d'une console centrale de vehicule
EP1407946B1 (fr) Mécanisme d'actionnement de balais d'essuie-glace de véhicule automobile et procédé de montage sur une partie de caisse de véhicule
EP2571744A1 (fr) Ensemble de direction de véhicule automobile
FR2870197A1 (fr) Module frontal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de montage temporaire dans une position de montage intermediaire
FR2975352A1 (fr)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relatif d'un module de retroviseur et d'un support.
EP2643169B1 (fr) Element de liaison au sol d'un vehicule formant un corps creux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element de liaison au sol
JP2017044636A (ja) レーダの搭載構造
WO2019172259A1 (ja) アクスルビーム
FR2914618A1 (fr) Procede de montage d'un element de soubassement transversal et d'une face avant technique
EP1819558B1 (fr) Dispositif amortisseur de vibrations comportant une collerette apte a venir en butee contre un bloc amortisseur
EP1190934B1 (fr) Ensemble de direction volant, coussin central, coquille d'habillage et vé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s
EP3792153B1 (fr) Véhicule doté d'un déflecteur
EP0289397B1 (fr) Pare-chocs pour véhicule automobile et véhicule équipé d'un tel pare-chocs
KR100324692B1 (ko)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바의 고정구조
EP1468894B1 (fr) Ensemble de direction à fréquence propre de vibration accrue et vé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WO2011161352A1 (fr) Systeme de suspension de vehicule conprenant un support de roue
EP2033848A1 (fr) Ensemble enjoliveur de pare-brise/grille d'auv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