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953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953B1
KR102648953B1 KR1020177029218A KR20177029218A KR102648953B1 KR 102648953 B1 KR102648953 B1 KR 102648953B1 KR 1020177029218 A KR1020177029218 A KR 1020177029218A KR 20177029218 A KR20177029218 A KR 20177029218A KR 102648953 B1 KR102648953 B1 KR 102648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pace
skin
superabsorbent polym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464A (ko
Inventor
사토코 코나와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12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Abstract

[과제] 체액의 확산성을 향상하고,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피부 쪽으로 배치된 상층 시트(10)와 피부가 아닌 쪽으로 배치된 하층 시트(11)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12)가 배치된 흡수체(4)를 포함하는 생리용 냅킨(1)이다. 상기 상층 시트(10)는,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충전용 제 1 공간부(13)를 형성하는 제 1 돌출부(14)와, 상기 제 1 공간부(13)보다 작은 용적의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충전용 제 2 공간부(15)를 형성하는 제 2 돌출부(16)가 각각 복수 설치되며, 상기 제 2 공간부(15)에 충전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1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상기 제 1 공간부(13)에 충전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12)의 단위 면적당 중량보다 작게 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하며, 상세하게는 상층 시트와 하층 시트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다.
종래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으로서 폴리에틸렌시트 또는 폴리에틸렌시트라미네이트 부직포 등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부직포 또는 투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의 투액성 표면 시트 사이에, 체액을 흡수하고 유지하는 기능을 갖춘 흡수체를 개재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도 여러 가지 개량이 더해져 상기 흡수체로서 2층의 시트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배치한 구조를 갖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시트 단면이 물결형태로 복수의 홈 모양 구조로 성형한 제 1 시트 재료의 홈 모양 구조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20~200g/m2이 되도록 충전되며,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를 충전한 제 1 시트 재료의 각 홈 모양 구조의 물결형태의 정점에서 제 2 시트 재료가 접착되어 있는 흡수성 시트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톱 시트와 백 시트와 이들 사이에 설치된 흡수성 적층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흡수성 적층체는, 상측 시트 모양 흡수층과 섬유집합층과 하측 시트 모양 흡수층을 톱 시트 측에서부터 이 순서로 가지며, 상기 섬유집합층은 펄프 섬유를 가지며, 상기 상측 시트 모양 흡수층과 상기 하측 시트 모양 흡수층은 각각 부직포 시트 사이에 흡수성 수지를 갖는 펄프 섬유를 갖지 않으며, 상기 상측 시트 모양 흡수층과 상기 하측 시트 모양 흡수층은 각각 부직포 시트 사이에 흡수성 수지가 매치된 복수의 흡수성 수지 존재 영역과 상기 흡수성 수지 존재 영역에 인접해서 흡수성 수지 비존재 영역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수지 비존재영역에서 부직포끼리 접합해서 봉지부(封止部)를 형성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8-29938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5318747호 공보
2층 시트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 흡수체는, 펄프 등의 흡수성 섬유집합체로 이루어지는 흡수체에 비해 박형화를 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고흡수성 폴리머는 펄프에 비해 흡수속도가 늦고 체액의 확산성도 떨어지기 때문에 한 번에 대량의 체액이 배출된 경우에는 체액이 신속하게 흡수되지 않음과 동시에, 일정 부분으로 체액이 집중해서 흘러나오게 되는 누출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런 점에 대해서, 상기 특허문헌 1 기재의 흡수성 시트 재료에서는, 복수의 홈 모양 구조로 고흡수성 폴리머를 충전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의 거의 전면에 걸쳐 거의 평균적인 양의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됨으로써 대량의 체액이 배출된 경우에는 고흡수성 폴리머에 체액이 신속하게 흡수되지 않고 누출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았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 기재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고흡수성 수지 비존재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체액이 이 고흡수성 수지 비존재 영역을 투과하여 하층의 섬유집합층에 흡수되도록 되어 있지만, 시트 모양 흡수층의 단일체에 효율 좋게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는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에 주요한 과제는, 상층 시트와 하층 시트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체액의 확산성을 향상시키고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피부 쪽으로 배치된 상층 시트와 피부가 아닌 쪽으로 배치된 하층 시트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상층 시트는,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충전용 제 1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공간부보다 작은 용적의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충전용 제 2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2 돌출부가 각각 복수 설치되며, 상기 제 2 공간부에 충전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상기 제 1 공간부에 충전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면적당 중량보다 작고, 각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에 인접하는 부분과 상기 제2 돌출부에 인접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흡수체의 피부 쪽 면은,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의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상기 제 2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피부 쪽으로 배치된 상층 시트와 비피부 쪽으로 배치된 하층 시트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상기 상층 시트는,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충전용 제 1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공간부보다 적은 용적의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충전용 제 2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2 돌출부가 각각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의 경계 부분을 따라 체액이 확산하기 쉽고, 넓은 영역의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체액이 신속하게 흡수되도록 된다.
또한, 제 2 돌출부 내부의 제 2 공간부가 제 1 돌출부 내부의 제 1 공간부보다 작은 용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의 평면 형상을 동일하게 한 경우에는 제 2 돌출부 쪽이 피부 쪽으로의 팽출 높이가 낮아지는 까닭에 이 높이가 낮은 제 2 돌출부를 따라 체액이 확산하기 쉽게 된다. 또한 제 2 돌출부의 평면 형상을 제 1 돌출부보다 작게 한 경우에는, 이 작은 평면 형상의 제 2 돌출부를 따라 체액이 확산하기 쉽게 된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용적으로 형성된 제 2 돌출부를 따라 체액이 확산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넓은 영역의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체액이 신속하게 흡수되도록 된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를 따른 체액의 확산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제 2 공간부에 충전되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제 1 공간부에 충전되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면적당 중량보다 작게 하고 있다. 이로써 제 2 돌출부를 따른 체액의 확산이 양호해지며, 체액이 일정 부분에 집중함으로써 흘러나오게 되는 누출 문제가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의 주위에 상기 제 1 돌출부가 배치됨과 동시에, 인접하는 상기 제 2 돌출부 사이에 상기 제 1 돌출부가 개재되지 않는 부분이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1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제 2 돌출부의 주위에 상기 제 1 돌출부가 배치됨과 동시에, 인접하는 제 2 돌출부 사이에 제 1 돌출부가 개재되지 않는 부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제 1 돌출부가 개재하지 않는 부분을 통해서 인접하는 상기 제 2 돌출부를 따라 체액이 확산하기 쉬워지며, 상기 제 2 돌출부에 충전된 고흡수성 폴리머에 체액이 신속하게 흡수되게 된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제 2 돌출부가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높이를 상기 제 1 돌출부가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높이보다 작게 하든가, 상기 제 2 돌출부의 평면 형상의 면적을 제 1 돌출부의 평면 형상의 면적보다 작게 하든가, 혹은 상기 제 2 돌출부가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높이를 상기 제 1 돌출부가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높이보다 작게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돌출부의 평면 형상의 면적을 제 1 돌출부의 평면 형상의 면적보다 작게함으로써, 상기 제 2 공간부의 용적을 상기 제 1 공간부의 용적보다 작게 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공간부의 용적을 제 1 공간부의 용적보다 작게 하는 수단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2 돌출부가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높이를 상기 제 1 돌출부가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높이보다 작게 하든가, 상기 제 2 돌출부의 평면 형상의 면적을 제 1 돌출부의 평면 형상의 면적보다 작게 하든가, 이들을 동시에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공간부의 용적을 작게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제 1 공간부에 충전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50~300g/m2이며, 상기 제 2 공간부에 충전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150g/m2인 청구항 1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서는, 제 1 공간부에 충전되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면적당 중량과 제 2 공간부에 충전되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면적당 중량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제 1 공간부와 제 2 공간부의 용적비는, 제 1 공간부 : 제 2 공간부 = 2~10 : 1인 청구항 1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서는 제 1 공간부와 제 2 공간부의 용적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가 상호 다른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청구항 1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상호 다르게 격자 모양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돌출부의 전후좌우가 제 1 돌출부로 둘러싸임과 동시에, 경사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2 돌출부끼리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된다. 이렇게 해서 체액이 인접하는 제 2 돌출부를 따라 경사방향으로 확산하기 쉬워진다.
청구항 6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평면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돌출부가 격자 모양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돌출부에서 네 구석이 둘러싸인 영역이 상기 제 2 돌출부로 되어 있는 청구항 1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서는, 평면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돌출부를 격자 모양으로 배치하고, 이 제 1 돌출부에서 네 구석이 둘러싸인 영역, 즉 네 구석의 제 1 돌출부의 사분의 일 원 부분에 의해 주위가 구획된 영역을 상기 제 2 돌출부로 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제 2 돌출부 내부의 제 2 공간부가 상대적으로 적은 용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제 2 공간부를 따라 체액이 확산하기 쉬워진다.
청구항 7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의 외주가 각각 상기 하층 시트와의 접합부로 됨과 동시에, 인접한 상기 제 1 돌출부 또는 제 2 돌출부의 상기 접합부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1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의 외주에 하층 시트와의 접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인접한 상기 제 1 돌출부 또는 제 2 돌출부의 접합부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상기 접합부를 따른 체액의 흐름이 일어나도록 되며, 체액의 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접한 상기 제 1 돌출부 또는 제 2 돌출부의 상기 접합부가 연속적으로 설치된다>는 것은 제 1 돌출부끼리, 제 2 돌출부끼리 또는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의 외주에 형성된 인접한 접합부끼리의 일부가 겹쳐져 있는 또는 접속하고 있는 것이며, 이 접속한 부분에 있어서 접합부끼리의 피부 쪽 면의 높이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8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흡수체의 피부가 아닌 쪽 또는 피부 쪽으로 흡수성 섬유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집합체층이 배치되어 있는 청구항 1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흡수체를 섬유집합체층과 조합함으로써 체액 흡수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체액의 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생리용 냅킨(1)의 일부 파단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A)는 흡수체(4)의 평면도, (B)는 (A)의 B-B 선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흡수체(4)의 제조장치(2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A)~(D)는 흡수체(4)의 제조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연속하는 흡수체(4, 4)의 제단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다른 형태 예에 관한 흡수체(4)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A)의 B-B선에서 바라본 도면, (C)는 (A)의 C-C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형태 예에 관한 생리용 냅킨(1)의 단면도(그것의 1)이다.
도 9는 다른 형태 예에 관한 생리용 냅킨(1)의 단면도(그것의 2)이다.
도 10은 다른 형태 예에 관한 흡수체(4)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생리용 냅킨(1)의 기본 구성>
본 발명에 관한 생리용 냅킨(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폴리에틸렌 시트, 폴리프로필렌 시트 등으로 이루어진 불투액성 이면 시트(2)와, 경혈이나 대하 등을 신속하게 투과시키는 투액성 표면 시트(3)와, 이들 양 시트(2, 3) 사이에 개재된 2층의 시트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 흡수체(4)와, 표면 양 측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배설된 사이드 부직포(7, 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수체(4)의 주위에 있어서, 그 냅킨 길이방향의 전후 단연부에서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 투액성 표면 시트()의 외연부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실링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접합되며, 또한 그 양 측연부에서는 흡수체(4)의 측연보다도 측방으로 연출하여 있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와 상기 사이드 부직포(7)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실링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접합되며, 외주(外周)에 흡수체(4)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 플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 생리용 냅킨(1)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시트 등의 적어도 차수성을 갖는 시트재가 사용될 수 있지만, 그 밖에 폴리에틸렌시트 등에 부직포를 적층한 라미네이트 부직포나 또한 방수 필름을 개재하여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다음에 부직포 시트(이 경우에는 방수 필름과 부직포로 불투액성 이면 시트를 구성한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근년에는 통풍이 안 되어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투습성을 갖는 것이 사용되는 경향이다. 이 차수·투습성 시트재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으로 무기충전제를 용융혼련하여 시트를 형성한 후에, 일축 또는 이축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微多孔性) 시트이다.
다음으로,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는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이 호적으로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로 할 수 있으며,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셔멀본드법, 멜트브론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의의 가공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공법 중에서 스판레이스법은 유연성, 스판본드법은 드레이프성이 풍부하다는 점에서 우수하며, 서멀본드법 및 에어쓰루법은 굵고 압축복원성이 높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는 후단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흡수체(4)의 상층 시트(10)가 피부 당접면층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와 투액성 표면 시트(3) 사이에 개재되는 흡수체(4)는 피부 측에 배치된 상층 시트(10)와 비피부 측으로 배치된 하층 시트(11)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12)가 배치된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상층 시트(10)로서는,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이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서는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로 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가공법은 상관이 없지만, 고흡수성 폴리머(12)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스판레이스법, 멜트브론법, 니들펀치법 등, 얻어지는 제품의 섬유 밀도가 커지는 가공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의 개공 지름은, 고흡수성 폴리머(12)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고흡수성 폴리머(12)의 외형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단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것처럼, 상층 시트(10)는 소정의 요철가공이 이루어지기 이뤄지기 때문에 열가소성을 지니는 소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층 시트(11)로서는,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외에, 차수성을 갖는 시트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층 시트(10)와 마찬가지로, 부직포의 가공법은 상관이 없지만, 고흡수성 폴리머(12)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스판본드법, 멜트브론법, 니등펀지법 등, 얻어지는 제품의 섬유 밀도가 커지는 가공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의 개공 지름은 고흡수성 폴리머(12)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고흡수성 폴리머(12)의 외형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수성 시트재로서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와 마찬가지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12)로서는, 예컨대 폴리아크릴산염가교물, 자기가교한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산에스테르-초산비닐공중합체가교물의 비누화물, 이소부틸·무수말레산공중합체가교물, 폴리술폰산염가교물이나, 폴리에틸렌옥시돌,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수팽윤성 폴리머를 부분 가교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흡수량, 흡수속 도에서 뛰어난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염계의 것이 호적이다. 상기 흡수성능을 가지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가교밀도 및 가교밀도구배를 조정함으로써 흡수력과 흡수속도의 조정이 가능하다.
한편, 본 생리용 냅킨(1)의 표면 측의 양 측부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고 또한 냅킨(1)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사이드 부직포(7, 7)가 설치되며, 이 사이드 부직포(7, 7)의 일부가 측방으로 연재됨과 동시에, 동일하게 측방으로 연재된 불투액성 이면 시트(2)의 일부에 의해 날개 모양 플랩(W, W)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부직포(7)로서는, 중요시하는 기능점으로부터 발수처리 부직포 또는 친수처리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경혈이나 대하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혹은 피부 접촉감을 높이는 등의 기능을 중시한다면, 실리콘계, 파라핀계, 알킬크로믹클로리드계 발수제 등을 코팅한 발수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개 모양 플랩(W, W)에서의 경혈 등의 흡수성을 중시하는 것이라면, 합성섬유의 제조과정에서 친수기를 갖는 화합물,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산화생성물 등을 공존시켜 중합시키는 방법이나, 염화제2주석과 같은 금속염으로 처리하고 표면을 부분 용해하여 다공성으로 하고 금속 수산화물을 침착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합성섬유를 팽윤 또는 다공성을 하고, 모세관 현상을 응용하여 친수성을 부여한 친수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 부직포(7)의 내방 측은,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사이드 부직포(7)를 거의 이중으로 접음과 동시에, 이 이중 시트 내부에, 그 높이 방향 중간부에 양단 또는 길이방향의 적의 위치가 고정된 1 또는 복수의, 도시 예에서는 2개의 실모양 탄성신축부재(8, 8)가 배설되며, 그 수축력에 의해 상기 이중 시트 부분을 피부 측으로 기립시킨 입체 개더(BS, BS)가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4)에 대해서>
이하, 상기 흡수체(4)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흡수체(4)는, 도 1~도 3에 나타난 것처럼, 피부 측(투액성 표면 시트(3) 측)에 배치된 상층 시트(10)와 비피부 측(불투액성 이면 시트(2) 측에 배치된 하층 시트(11)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12)가 배치된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상층 시트(10)는, 피부 측으로 팽출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12) 충전용의 제 1 공간부(13)를 형성하는 제 1 돌출부(14)와, 상기 제 1 공간부(13)보다 작은 용적의 피부 측으로 팽출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12) 충전용의 제 2 공간부(15)를 형성하는 제 2 돌출부(16)가 각각 복수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층 시트(10)는, 피부 측으로 팽출하는 다수의 상기 제 1 돌출부(14, 14…) 및 제 2 돌출부(16, 16…)이 형성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층 시트(11)는, 평탄한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상층 시트(10)의 비피부 측으로 상기 하층 시트(11)를 적층한 상태로, 상기 상층 시트(10)와 하층 시트(11) 사이에, 상기 제 1 돌출부(14)의 내부에 상기 제 1 공간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돌출부(16) 내부에 상기 제 2 공간부(15)가 형성되게 된다. 이들 제 1 공간부(13) 및 제 2 공간부(15)에 각각 소정량의 고흡수성 폴리머(12)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제 2 공간부(15)는 제 1 공간부(13)보다 작은 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공간부(13)의 용적이라는 것은 피부 측으로 팽출하는 제 1 돌출부(14) 내부의 상층 시트(10)와 하층 시트(11)에 의해 구획돼서 이루어진 공간의 용적이다. 또한 상기 제 2 공간부(15)의 용적이라는 것은 피부 측으로 팽출하는 제 2 돌출부(16) 내부의 상층 시트(10)와 하층 시트(11)에 의해 구획돼서 이뤄진 공간의 용적이다. 제 2 공간부(15)를 제 1 공간부(13)보다 작은 용적으로 하기에는, 도 3(A)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돌출부(14)와 제 2 돌출부(16)를 같은 평면형상(면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동일 도면 3(B)에 나타난 것처럼, 제 2 돌출부(16)가 피부 측으로 팽출하는 높이를 제 1 돌출부(14)가 피부 측으로 팽출하는 높이보다 작게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제 2 돌출부(16)가 제 1 돌출부(14)보다 작은 평면형상(면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제 1 돌출부(14)와 제 2 돌출부(16)의 피부 측으로 팽출하는 높이를 같게 하든가 제 2 돌출부(16)를 상대적으로 낮게 함으로써 제 2 공간부(15)를 제 1 공간부(13)보다 작은 용적으로 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제 2 공간부(15)에 충전되는 고흡수성 폴리머(1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상기 제 1 공간부(13)에 충전되는 고흡수성 폴리머(12)의 단위 면적당 중량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제 2 공간부(15)에는 제 1 공간부(13)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고흡수성 폴리머(12)가 수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공간부(13)에 충전되는 고흡수성 폴리머(12)의 중량은 50~300g/m2, 바람직하게는 100~200g/m2으로 하는 것이 좋고, 제 2 공간부(15)에 충전되는 고흡수성 폴리머(12)의 중량은 20~150g/m2, 바람직하게는 30~100g/m2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처럼 상기 흡수체(4)에서는 내부의 용적이 상이한 다수의 제 1 돌출부(14) 및 제 2 돌출부(16)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제 1 돌출부(14) 및 제 2 돌출부(16)의 경계부분을 따라 체액이 확산하기 쉬워지며, 넓은 영역의 고흡수성 폴리머(12)에 의해 체액이 신속하게 흡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공간부(15)를 제 1 공간부(13)보다 작은 용적으로 함과 아울러, 제 2 공간부(15)에 충전되는 고흡수성 폴리머(1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제 1 공간부(13)에 충전되는 고흡수성 폴리머(12)의 단위 면적당 중량보다 작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돌출부(14)와 제 2 돌출부(16)의 평면형상이 동일하다면 제 2 돌출부(16) 쪽이 피부 측으로의 팽출 높이가 낮아지기 때문에 이 높이가 낮은 제 2 돌출부(16)를 따라 체액이 확산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 2 돌출부(16)의 평면형상을 제 1 돌출부(14)보다 작게 한 경우에는 이 작은 평면형상의 제 2 돌출부(16)를 따라 체액이 확산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용적의 제 2 돌출부(16)를 따라 체액이 확산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넓은 영역의 고흡수성 폴리머(12)에 의해 체액이 신속하게 흡수되게 된다.
상기 제 1 공간부(13)와 제 2 공간부(15)의 용적비는, 구체적으로, 제 1 공간부(13) : 제2공간부(15) = 2~10 : 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공간부(15)의 용적은, 제 1 공간부(13)의 용적에 대해, 1/2~1/10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제 2 공간부(15)가 제 1 공간부(13)에 대해 충분히 작은 용적이 되며, 제 2 돌출부(16)를 따라 체액이 확산하기 쉬워진다.
상기 제 1 공간부(13) 및 제 2 공간부(15)에 충전되는 고흡수성 폴리머(12)의 충전율(각 공간부(13, 15)의 용적에 대한 수용하는 고흡수성 폴리머(12)의 용적의 비율)은, 10% 이상 70%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율이 10%보다 낮으면 고흡수성 폴리머(12)와 체액의 접촉기회가 작아지며, 체액을 재빠르게 흡수할 수 없다. 또한 충전율이 70%보다 크면 흡수하여 팽윤할 때에 공간부가 너무 팽출해 버려서 체액의 역류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제 1 공간부(13)와 제 2 공간부(15)의 충전율은 동일하게 해도 좋고 다르게 해도 좋다. 예컨대 제 2 공간부(15)의 체액의 신속한 흡수를 도모함과 아울러, 제 1 공간부(13)에서 충분한 흡수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제 2 공간부(15)의 충전율을 제 1 공간부(13)의 충전율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14) 및 제 2 돌출부(16)는,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각각의 평면형상을 정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각각 서로 다른 격자모양으로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체스판 모양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체액이 제 2 돌출부(16)를 따라 경사방향으로 확산하게 된다.
상기 제 1 돌출부(14) 및 제 2 돌출부(16)의 단면 형상은,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표면이 거의 평탄한 직사각형 단면이어도 좋고, 피부 측으로 돔 모양으로 팽출하는 곡선상 단면이나 피부 측을 향해 직선상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뿔체 모양의 단면(도 7 참조)여도 좋다. 또한 제 1 돌출부(14)와 제 2 돌출부(16)의 단면형상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제 1 돌출부(14)는, 제 1 공간부(13) 내에 의해 많은 고흡수성 폴리머(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정상부가 평탄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돌출부(16)는 제 2 공간부(15) 내에 수용되는 고흡수성 폴리머(12)의 양을 상대적으로 적게 하기 위해 정상부가 좁아진 뿔체 모양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돌출부(16)의 주위에는 복수의 제 1 돌출부(14, 14…)가 배치됨과 아울러, 인접하는 상기 제 2 돌출부(16, 16) 사이에, 상기 제 1 돌출부(14)가 개재하지 않는 부분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나타난 예에서는, 1개의 제 2 돌출부(16)의 길이방향 및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인접해서 제 1 돌출부(14, 14…)가 배치됨과 아울러, 경사방향으로 인접하여 제 2 돌출부(16)가 배치되며, 인접하는 제 2 돌출부(16, 16) 사이에 상기 제 1 돌출부(14)가 개재하지 않는 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이 제 1 돌출부(14)가 개재하지 않는 부분을 통해 인접하는 제 2 돌출부(16, 16)를 따라 체액이 경사방향으로 확산하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14) 및 제 2 돌출부(16)의 외주는 각각 하층 시트(11)와의 접합부(17)으로 되어 있다. 이 접합부(17)는 상기 제 1 돌출부(14) 및 제 2 돌출부(16)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둘레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상층 시트(10)와 하층 시트(11)이 접합되어 있다. 상기 접합부(17)로서는 히트실링, 초음파, 접착제 등 공지의 접합수단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접착제의 경우는 상층 시트(10)와 하층 시트(11)과의 접합부에 고흡수성 폴리머(12)가 들어가는 것에 의해 접합강도가 저하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그다지 바람직하지는 않고, 히트실링이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돌출부(14) 및 제 2 돌출부(16)의 외주에 설치된 상기 접합부(17)는, 인접하는 접합부(17, 17…)가 연속적으로 설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접합부(17)를 따라 체액이 흘러가 쉬워지며, 체액의 확산성이 향상된다. 도 3(A)에 나타난 예에서는, 흡수체(4)의 거의 전면에 걸쳐서 연속하는 격자모양의 접합부(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접합부(17)에서는, 상층 시트(10)가 압밀화되든가, 비투수성의 접합제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을 침투하는 효과가 아주 낮고, 체액의 확산성이 우수하게 되며, 이렇게 확산한 체액이 더욱 넓은 범위의 제 1 돌출부(14) 또는 제 2 돌출부(16)로 침투하여 내부의 고흡수성 폴리머(12)에 신속하게 흡수되게 된다.
상기 제 1 돌출부(14) 및 제 2 돌출부(16)는, 내부에 수용된 고흡수성 폴리머(12)의 단연에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층 시트(10) 및 하층 시트(11)의 길이방향 및 폭 방향의 단부까지 이르지 않는 중간 영역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 시트(10) 및 하층 시트(11)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제 1 돌출부(14) 및 제 2 돌출부(16)의 접합부(17)보다 외연의 상층 시트(10) 및 하층 시트(11)는 상호 접합하지 않아도 좋지만, 생리용 냅킨의 제조시나 사용시에 내부에 수용된 고흡수성 폴리머(12)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상층 시트(10) 및 하층 시트(11)를 접합제, 히트실링, 초음파 등의 접합수단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체(4)를 제조하는 것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돌출부(14)에 대응하는 다수의 볼록모양부(21a, 21a…) 및 상기 제 2 돌출부(16)에 대응하는 다수의 볼록모양부(21b, 21b…)가 배열된 제 1 엠보스 롤(21)과, 상기 볼록모양부(21a)에 대응하는 다수의 오목모양부(22a, 22a…) 및 상기 볼록모양부(21b)에 대응하는 다수의 오목모양부(22b, 22b)가 배열된 제 2 엠보스 롤(22)과의 사이에, 상층 시트(10)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볼록모양부(21a)와 오목모양부(22a)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 1 돌출부(14)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볼록모양부(21b)와 오목모양부(22b)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 2 돌출부(16)를 형성하는 제조장치(2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상층 시트(10)가 배치된 상기 제 2 엠보스 롤(22)의 표면에 고흡수성 폴리머(12)를 산포하고, 오목부에 고흡수성 폴리머(12)를 수용함과 아울러, 제 2 엠보스 롤(22)과 플랫 롤(23) 사이에, 별도의 경로에서 반송된 하층 시트(11)를 적층한 상태로 통과시킴으로써 상층 시트(10)와 하층 시트(11)를 접합해서 일체화시킨다. 이러한 접합에는 상기 제 2 엠보스 롤(22)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상층 시트(10)의 외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해 두서 하층 시트(11)를 접합하든가, 상기 플랫 롤(23)과의 맞물림 시에 상기 제 2 엠보스 롤(22)의 볼록부를 가열 또는 초음파 방사에 의해 상기 상층 시트(10)와 하층 시트(11)를 융착시켜도 좋다.
상기 제 2 엠보스 롤(22)의 오목모양부(22a, 22b)의 저부에 흡인구를 설치함으로써 엠보스 시에 상층 시트(10)를 흡인하여 엠보스하기 쉽게 함과 아울러, 고흡수성 폴리머(12)의 산포 시에 흡인하여 폴리머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12)의 산포 후에 스크레버 등으로 표면을 고르게 함으로써 제 1 공간부(13) 및 제 2 공간부(15)에 수용되는 고흡수성 폴리머(12)의 양을 조정해도 좋다.
그렇게 한 후에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흡수체(4, 4…)를 제 1 돌출부(14) 및 제 2 돌출부(16)가 설치되지 않은 상층 시트(10)와 하층 시트(11)와의 접합부에서 재단한다.
다음으로, 상기 흡수체(4)의 변형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공간부(15)의 용적을 제 1 공간부(13)의 용적보다 작게 하는 것에는,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돌출부(14)와 제 2 돌출부(16)를 동일 평면형상(면적)으로 형성한 조건 하에서 제 2 돌출부(16)가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높이를 제 1 돌출부(14)가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높이보다 작게 하든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2 돌출부(16)의 평면형상의 면적을 제 1 돌출부(14)의 평면형상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한 조건 하에서 제 1 돌출부(14)와 제 2 돌출부(16)가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높이를 동일하게 하든가, 제 2 돌출부(16) 쪽이 상대적으로 작게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예에서는, 평면형상이 원형상 또는 타원형상, 도시 예에서는 냅킨 길이방향으로 긴 타원형상으로 이뤄지는 제 1 돌출부(14)가 격자모양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돌출부(14, 14…)에서 네 구석이 둘러싸인 영역이 제 2 돌출부(16)로 되어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14)의 단면형상은 동일 도면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돔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2 돌출부(16)의 단면형상은 동일 도면 7(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뿔체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상기 제 2 돌출부(16)를 따라 체액이 확산하기 쉬워진다.
도 7의 형태에서 제 1 돌출부(14) 및 제 2 돌출부(16)를 배치한 경우, (A)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제 1 돌출부(14)의 평면형상은, 냅킨 길이방향으로 긴 타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이 제 1 돌출부(14)에서 네 구석이 둘러싸인 제 2 돌출부(16)가 냅킨 길이방향으로 긴 평면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돌출부(16)를 따라 냅킨 길이방향으로 체액을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체액의 횡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수체(4)는,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투액성 표면 시트(3)과 불투액성 이면 시트(2) 사이에, 단일체로 개재되어도 좋고,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흡수체(4)의 비피부 측 또는 피부 측으로 배치된 펄프 등의 흡수성 섬유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집합체층(18)과의 적층체로 해서 개재시켜도 좋다. 상기 섬유집합체층(18)은 적어도 흡수성 섬유집합체로 구성되며,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입해도 좋다.
도 8에서는 흡수체(4)의 비피부 측으로 섬유집합체층(18)를 배치하고, 이들 흡수체(4)와 섬유집합체층(18)과의 적층체를 투액성 표면 시트(3)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2)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다. 이렇게 하여 상층의 흡수체(4)를 투과한 체액이 하층의 섬유집합체층(18)에 흡수돼 유지되게 된다. 이 경우 흡수체(4)를 구성하는 하층 시트(11)로서는 투수성 시트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는 흡수체(4)의 피부 측으로 섬유집합체층(18)을 배치하고, 이들 흡수체(4)와 섬유집합체층(18)과의 적층체를 투액성 표면 시트(3)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2)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다. 이렇게 하여 섬유집합체층(18)에서 확산한 체액을 흡수체(4)에서 신속하게 흡수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섬유집합체층(18)의 폭방향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슬릿(19)를 설치해도 좋다. 이로써 이 슬릿(19)이 체액의 일시 저류공간으로 작용하며, 이 슬릿(19)을 따라 체액을 길이방향으로 확신시키며, 흡수체(4)의 표면에서 상기 제 2 돌출부(16)를 따라 체액을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확산성이 뛰어나며 효율 좋게 빠르게 흡수체(4)로 흡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흡수체(4)와 섬유집합체층(18)의 적층체로 한 경우, 흡수체(4)는 섬유집합체층(18)의 전체 면에 배치할 필요는 없고, 예컨대 배혈구부를 포함하는 냅킨 중앙 영역에만 배치한다거나 배혈구부를 둘러싸는 환상 영역에만 배치한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섬유집합체층(18)은 상기 외주 플랩부를 남겨 둔 생리용 냅킨(1)의 외주부까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는 반드시 필수 요소는 아니며, 흡수체(4)의 상층 시트(10)를 피부 당접면층으로 하여 작용시킨 경우에는 투액성 표면 시트(3)를 배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렇게 해서 생리용 냅킨(1)이 더욱 박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재수의 감소에 의해 코스트 삭감이 가능해진다.
[다른 형태예]
(1) 상기 형태 예에서는, 제 1 공간부(13)를 형성하는 제 1 돌출부(14)와, 상기 제 1 공간부(13)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용적의 제 2 공간부(15)를 형성하는 제 2 돌출부(16)으로 이루어지는 2 종류의 돌출부를 설치하고 있지만, 또한 상기 제 2 공간부(15)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용적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설치해도 좋다. 이렇게 하여 상기 돌출부를 통해 체액이 확산하며, 더욱 체액의 확산성이 향상하게 된다.
(2) 상기 형태 예에서는, 제 1 돌출부(14) 및 제 2 돌출부(16)를 서로 다르게 격자모양으로 배치하는 경우,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돌출부(14) 및 제 2 돌출부(16)의 평면형상을 정방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도 10에 나타난 것처럼 원형상 또는 타원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1: 생리용 냅킨, 2: 불투액성 이면 시트, 3: 투액성 표면 시트, 4: 흡수체, 7: 사이드 부직포, 10: 상층 시트, 11: 하층 시트, 12: 고흡수성 폴리머, 13: 제 1 공간부, 14: 제 1 돌출부, 15: 제 2 공간부, 16: 제 2 돌출부, 17: 접합부

Claims (9)

  1. 피부 쪽으로 배치된 상층 시트와 피부가 아닌 쪽으로 배치된 하층 시트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상층 시트는,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충전용 제 1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공간부보다 작은 용적의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충전용 제 2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2 돌출부가 각각 복수 설치되며, 상기 제 2 공간부에 충전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상기 제 1 공간부에 충전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면적당 중량보다 작고, 각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에 인접하는 부분과 상기 제2 돌출부에 인접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흡수체의 피부 쪽 면은, 상대적으로 상기 제 2 돌출부보다 높은 높이의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대적으로 상기 제 1 돌출부보다 낮은 높이의 상기 제 2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가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높이를 상기 제 1 돌출부가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높이보다 작게 하든가, 상기 제 2 돌출부의 평면 형상의 면적을 제 1 돌출부의 평면 형상의 면적보다 작게 하든가, 혹은 상기 제 2 돌출부가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높이를 상기 제 1 돌출부가 피부 쪽으로 팽출하는 높이보다 작게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돌출부의 평면 형상의 면적을 제 1 돌출부의 평면 형상의 면적보다 작게함으로써, 상기 제 2 공간부의 용적을 상기 제 1 공간부의 용적보다 작게 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부에 충전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50~300g/m2이며, 상기 제 2 공간부에 충전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150g/m2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부와 제 2 공간부의 용적비는, 제 1 공간부 : 제 2 공간부 = 2~10 : 1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가 서로 다르게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평면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돌출부가 격자 모양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돌출부에서 네 구석이 둘러싸인 영역이 상기 제 2 돌출부로 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의 외주가 각각 상기 하층 시트와의 접합부로 됨과 동시에, 인접한 상기 제 1 돌출부 또는 제 2 돌출부의 상기 접합부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피부가 아닌 쪽 또는 피부 쪽으로 흡수성 섬유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집합체층이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9. 삭제
KR1020177029218A 2015-03-16 2016-03-16 흡수성 물품 KR102648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51894 2015-03-16
JP2015051894A JP6001713B2 (ja) 2015-03-16 2015-03-16 吸収性物品
PCT/JP2016/058326 WO2016148194A1 (ja) 2015-03-16 2016-03-16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464A KR20170128464A (ko) 2017-11-22
KR102648953B1 true KR102648953B1 (ko) 2024-03-18

Family

ID=5691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218A KR102648953B1 (ko) 2015-03-16 2016-03-16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20291B2 (ko)
EP (1) EP3272322B1 (ko)
JP (1) JP6001713B2 (ko)
KR (1) KR102648953B1 (ko)
CN (1) CN107405238B (ko)
RU (1) RU2717789C2 (ko)
WO (1) WO20161481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7566B1 (ja) * 2015-03-27 2016-07-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60540B2 (ja) * 2016-11-29 2018-07-1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16961B2 (ja) * 2017-03-21 2018-10-3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
JP6379248B1 (ja) * 2017-03-21 2018-08-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
JP6382384B1 (ja) * 2017-03-29 2018-08-2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758332B2 (ja) * 2018-01-10 2020-09-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585751B2 (ja) * 2018-02-26 2019-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低体重児用おむつ
US10918762B2 (en) * 2018-03-19 2021-02-16 Melissa Haskins Magnetic panty liner assembly
US20190350769A1 (en) * 2018-05-18 2019-11-21 Ingrim Roberson-Mitchem Sanitary pad
CN109009684A (zh) * 2018-09-05 2018-12-18 露乐健康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超薄复合吸收芯体
USD917692S1 (en) * 2019-03-19 2021-04-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USD919084S1 (en) * 2019-03-19 2021-05-11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CA194819S (en) * 2019-05-20 2021-03-03 Hygiene Oederan Produktionsgesellschaft Mbh Herstellung Von Damen Und Erwachsenenhygiene Sanitary towel
JP7129382B2 (ja) * 2019-06-28 2022-09-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D978342S1 (en) * 2019-09-06 2023-0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eminine pad
CN110840659A (zh) * 2019-10-13 2020-02-28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高保水亲水性芯体及其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7384A (ja) 2004-07-28 2008-03-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コア構造体の製造方法
JP2008142220A (ja) 2006-12-08 2008-06-26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1526812A (ja) * 2008-07-02 2011-10-2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粒子状ポリマー材料の様々な配布を伴う使い捨て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5541B2 (en) * 1994-08-01 2004-03-31 THE PROCTER &amp;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an upper layer and a lower layer of absorbent gelling material p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such a structure
US5938650A (en) * 1995-08-09 1999-08-17 Fibertech Group, Inc. Absorbent core for absorbing body liquids and method
DE60335456D1 (de) * 2003-06-30 2011-02-03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 Artikel enthaltend beschichtete superabsorbierende Partikel
US7311968B2 (en) * 2004-06-30 2007-12-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s comprising coated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PL2292199T3 (pl) * 2004-07-28 2013-03-29 Procter & Gamble Pośredni nadruk agm
CN101790606B (zh) * 2007-08-28 2012-09-05 花王株式会社 赋形片材及使用了该赋形片材的吸收性物品
JP4944743B2 (ja) * 2007-11-26 2012-06-06 花王株式会社 複合シート
US9044359B2 (en) * 2008-04-29 2015-06-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distributed for improved isolation of body exudates
JP5417133B2 (ja) * 2009-06-17 2014-02-1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383227B2 (en) * 2010-01-28 2013-02-26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Transfer layer for absorbent article
EP2674140B1 (en) * 2011-02-10 2019-04-10 Zuik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granular material
MX2013014585A (es) * 2011-06-10 2014-03-31 Procter & Gamble Pañales desechables.
EP2535027B1 (en) * 2011-06-17 2022-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absorption properties
JP6038456B2 (ja) * 2012-01-20 2016-1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液層を有する使い捨て着用物品
WO2013187375A1 (ja) * 2012-06-11 2013-12-19 花王株式会社 吸収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US9566198B2 (en) * 2013-03-15 2017-02-14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US9789014B2 (en) * 2013-03-15 2017-10-17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PL3254656T3 (pl) * 2013-06-14 2022-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i wkład chłonny tworzący kanały w stanie mokrym
US10413455B2 (en) * 2016-02-22 2019-09-17 Nicole Castrogiovanni Disposable absorbent pants with containmen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7384A (ja) 2004-07-28 2008-03-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コア構造体の製造方法
JP2008142220A (ja) 2006-12-08 2008-06-26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1526812A (ja) * 2008-07-02 2011-10-2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粒子状ポリマー材料の様々な配布を伴う使い捨て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7134346A3 (ko) 2019-09-20
EP3272322A4 (en) 2018-09-05
JP2016168300A (ja) 2016-09-23
JP6001713B2 (ja) 2016-10-05
US20180049929A1 (en) 2018-02-22
WO2016148194A1 (ja) 2016-09-22
KR20170128464A (ko) 2017-11-22
CN107405238A (zh) 2017-11-28
RU2717789C2 (ru) 2020-03-25
EP3272322A1 (en) 2018-01-24
CN107405238B (zh) 2020-10-27
EP3272322B1 (en) 2020-08-05
US11020291B2 (en) 2021-06-01
RU2017134346A (ru)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8953B1 (ko) 흡수성 물품
CN108366894B (zh) 吸收性物品
EP3275414B1 (en) Absorbent article
JP6360540B2 (ja) 吸収性物品
JP6371814B2 (ja) 吸収性物品
JP2017104263A5 (ko)
JP6047606B2 (ja) 吸収性物品
JP6382384B1 (ja) 吸収性物品
JP2018050987A5 (ko)
JP6441621B2 (ja) 吸収性物品
JP6158872B2 (ja) 吸収性物品
WO2017090542A1 (ja) 吸収性物品
JP6207557B2 (ja) 吸収性物品
JP2017093828A5 (ko)
JP6169656B2 (ja) 吸収性物品
JP201702935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