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628B1 - 유기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628B1
KR102648628B1 KR1020220143508A KR20220143508A KR102648628B1 KR 102648628 B1 KR102648628 B1 KR 102648628B1 KR 1020220143508 A KR1020220143508 A KR 1020220143508A KR 20220143508 A KR20220143508 A KR 20220143508A KR 102648628 B1 KR102648628 B1 KR 102648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substrate
light emitting
thickness
display device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976A (ko
Inventor
신주환
김봉철
박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6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3Metallic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변형될 수 있는 제1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플렉서블 기판 및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제2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렉서블 기판의 탄성계수와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으며, 상기 제2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flexible)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휨 스트레스에 의한 변형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장치에 대해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 전력화 등의 성능을 개발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습윤 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로서, 액정 표시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응답 속도, 시야각 및 명암비(Contrast Ratio)도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수분 및 산소에 특히 취약한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표시장치들에 비해서 신뢰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했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애노드(anode),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cathode)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애노드에서 제공된 정공(hole)과 캐소드에서 제공된 전자(electron)이 결합되어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층은 수분 또는 산소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밀봉 구조가 요구된다.
한편, 최근에는 플렉서블(flexible) 소재인 플라스틱(plastic)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기판에 표시영역(display area), 배선 등을 형성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제조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가 차세대 표시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컴퓨터의 모니터 및 TV 뿐만 아니라 개인 휴대 기기까지 그 적용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넓은 표시 면적을 가지면서도 감소된 부피 및 무게를 갖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157362호)
본 발명의 발명자는 두루마리(scroll)처럼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다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이러한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보관 시 두루마리 형태로 장시간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다시 펼칠 때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는 장시간 보관에 따른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유기적 관계를 분석하여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시간 보관 시 변형이 저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두루마리 형태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가 두루마리처럼 말릴 수 있도록 각 기판들의 두께가 조절된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봉지부의 탄성계수(Young's-modulus)값을 조절하여 장시간 말려 있어도, 변형되지 않을 수 있는 원복력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충격에 대한 강성 즉, 소정의 충격에 파손되지 않을 수 있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봉지부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변형될 수 있는 제1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플렉서블 기판 및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제2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렉서블 기판의 탄성계수와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으며, 상기 제2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가 두루마리처럼 말려서 장시간 보관될 때의 변형이 최소화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봉지부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가 말릴 수 있는 한계인 임계 곡률반경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1 플렉서블 기판의 임계 곡률반경에 따른 두께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와 접착층의 두께에 따른 스트레스 완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탄성계수, 스트레스, 압력, 점도, 접착력, 강성 등의 다양한 물성 값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온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상온은 예를 들면, 약 15℃내지 35℃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20℃내지 25℃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25℃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접착력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유리 접착력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는 제1 플렉서블 기판(102),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 봉지부(106), 접착층(108) 및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을 포함한다.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1 플렉서블 기판(102)상에는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가 배치되며,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를 통해 영상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상에는 봉지부(106)가 배치되어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를 산소 및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접착층(108)은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봉지부(106)과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을 합착하도록 구성된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는 두루마리 형태로 말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의 제1 플렉서블 기판(102)과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은 서로 상이한 물질로 구성된 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는 제1 플렉서블 기판(102) 방향으로 말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은 두루마리 형태일 때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을 인가 받도록 구성된다. 이 때,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는 중립면(NP; neutral plane)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봉지부(106)는 두루마리 형태로 보관될 때 휨 스트레스에 의해서 변형되지 않도록, 소정의 탄성계수 이상의 값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은 두루마리 형태일 때 인장 응력(tensile stress)를 인가 받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은 제1 플렉서블 기판(102)보다 상대적으로 인장 응력에 대한 파단강도(breaking strength)가 더 높은 물질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1 플렉서블 기판의 임계 곡률반경에 따른 두께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식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1 플렉서블 기판의 임계 곡률반경과 두께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식이다.
이하 도1, 도 2 및 식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가 두루마리처럼 말릴 수 있도록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두께를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은 예를 들면, 유기물 또는 무기물 재질의 광학적으로 투명성을 가지고,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고,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고온의 증착 공정이 가능한 기판일 수 있다.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은 예를 들면, 수분 투습 차단 성능(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VTR)이 매우 우수하면서 플렉서블하고 가시광선 대역에 대해서 투명성을 가지는 유리일 수 있다. 상술한 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제1 플렉서블 기판(102)에 적용되는 유리는 두께가 박형이어야 한다. 다만 유리는 충격에 깨지기 쉬운 성질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분한 강성을 가지면서 두루마리처럼 말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유리 기판의 두께를 결정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가 원형으로 두루마리처럼 말릴 때,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가 가장 작은 크기로 말릴 수 있는 원의 반지름을 100mm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곡률반경(curvature ratio R)은 100R이 된다.
또는, 원의 반지름을 50mm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곡률반경(curvature ratio R)은 50R이 된다.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두께는 제1 임계 벤딩 파손점(bending stress threshold; σTH㎫) 및 탄성계수(Young's modulus; E) 값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때 제1 임계 벤딩 파손점(σTH) 및 탄성계수(E)의 값은 제1 플렉서블 기판(102)에 적용되는 물질의 상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이 유리일 때,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제1 임계 벤딩 파손점(σTH)은 50㎫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계수(E)는 71.5㎬일 수 있다. 이때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곡률반경(R)이 100R이면, 아래의 수식을 이용하여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최대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식 1]
식 1에서, σTH는 제1 임계 벤딩 파손점을 의미한다. E는 탄성계수를 의미한다. T는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두께를 의미한다. RTH는 임계 곡률반경을 의미한다.
식 1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의 임계 곡률반경(RTH)을 100R로 결정할 때. 제1 임계 벤딩 파손점(σTH)은 50㎫이고 탄성계수(E)는 71.5㎬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두께(thickness; T)는 대략 0.14mm 이하가 되어야 한다.
식 1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의 임계 곡률반경(RTH)을 50R로 결정할 때. 제1 임계 벤딩 파손점(σTH)은 50㎫이고 탄성계수(E)는 71.5㎬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두께(thickness; T)는 대략 70㎛ 이하가 되어야 한다.
정리하면,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두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의 임계 곡률반경(RTH)와 비례한다.
예를 들면,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은 목표하는 임계 곡률반경(RTH)을 달성하기 위해서 식각된 기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렉서블 기판(102)상에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를 형성하는 공정 중에는 기판의 평탄도 유지를 위해서 기판의 두께가 1mm 이상 이어야 한다. 하지만 유기 발광 화소(104)가 형성된 후에는 임계 곡률반경(RTH)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두께가 얇아져야 한다. 따라서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은 유기 발광 화소(104)의 형성 후에 식각될 수 있는 공정상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두께는 임계 곡률반경(RTH)을 고려하여 30㎛ 내지 100㎛의 두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은 제2 플렉서블 기판(110)보다 상대적으로 압축 응력에 대한 파단강도가 더 높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은 유기 발광 화소(104)를 형성할 때는 식각되지 않은 제1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유기 발광 화소(104)가 형성된 후에는 제1 두께보다 얇은 식각된 제2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는 소정의 임계 곡률반경(RTH)을 고려하여 결정된 두께(T)를 가지는 제1 플렉서블 기판(102)상에 배치된다.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는 적어도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및 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적어도 애노드(anode),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cathode)를 포함한다. 각각의 유기 발광 화소를 구분하도록 배치된 각각의 유기 발광 화소들 사이에 뱅크(bank)가 배치될 수 있다. 애노드는 각각의 유기 발광 화소에 대응되도록 패터닝(patterning)될 수 있으며, 애노드의 외곽은 뱅크에 덮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수송층(ETL), 발광층(EML) 및 전공 수송층(HTL)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소드 상에는 캡핑층(capping layer)이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 회로부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각각의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배선으로 형성된 게이트 전극, 데이터 배선으로 형성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비례하여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는 예를 들면, 두께가 1㎛ 내지 1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두께에는, 상술한 구동 회로부의 배선들 및 각각의 배선들을 절연 시키는 패시배이션층 및 평탄화층들의 적층 두께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뱅크의 높이가 포함될 수 있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의 중립면(NP)은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가 형성된 면에 인접하도록 구성된다. 중립면(NP)이란 예를 들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가 휘게 되면 중립면(NP)을 경계로 하여 한쪽면에는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이 생기고, 다른 쪽면에는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가 생긴다. 그래서 중간에는 신축이 없는 면이 생기는데 이 면을 중립면(NP)이라고 정의한다. 이론적으로는 중립면(NP)에서는 휨 응력(bending stress)이 발생하지 않는다.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가 배치된 위치에 중립면(NP)이 형성되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가 휠 때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에 응력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중립면(NP)은 유기 발광 화소(104)와 접착층(108) 사이의 계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유기 발광 화소(104)와 접착층(108) 사이의 계면에서 응력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각 계면에서 박리(delamination)가 발생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중립면(NP)의 위치는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104)로 부터 ±15㎛ 이내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중립면(NP)의 위치가 유기 발광 화소(104)로부터 상당히 이격되면, 응력이 유기 발광 화소(104)에 인가가 되어 유기 발광 화소(104)에 스트레스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립면(NP)의 위치는 유기 발광 화소(104) 주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봉지부(106)는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질화 실리콘(SiNx), 산화 실리콘(SiOx), 또는 산화 알루미늄(Al2O3)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분 투습 성능(WVTR)이 우수한 물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지부(106)는 중립면(NP)에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봉지부(106)에 인가되는 휨 응력이 저감될 수 있기 때문에, 봉지부(106)를 구성하는 무기물층에 크랙이 발생되거나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의 휨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봉지부(106)는 단일 무기막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봉지부(106)는 제1 무기막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이물을 보상할 수 있는 오버 코팅층을 배치하고, 오버 코팅층 위에 배치된 제2 무기막이 제1 무기막과 밀봉되어 이물 불량을 보상할 수 있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접착층(108)은 봉지부(106) 상에 배치된다. 접착층(108)은 제1 플렉서블 기판과(102)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접착층(108)은 소정의 접착력으로 제1 플렉서블 기판(102)과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을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두루마리 상태로 장시간 말려서 보관되었다가 다시 평편하게 펴질 수 있도록, 복원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외부 충격에 대해서 파손되지 않을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구성된다.
첫째, 접착층(108)은 소정의 접착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접착층(108)은 경화과정을 통해서 접착력이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경화 후 접착층(108)의 접착력은 적어도 450gf/10mm이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만약 접착력이 너무 낮으면 제1 플렉서블 기판(102)과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이 서로 박리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108)은 두루마리 형태로 말릴 때, 접착면에 박리가 발생하지 않은 정도의 충분한 접착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둘째, 접착층(108)은 소정의 탄성계수(E)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접착층(108)의 탄성계수는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탄성계수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접착층(108)의 탄성계수가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탄성계수보다 작을 경우, 접착층(108)은 제1 플렉서블 기판(102)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접착층(108)의 경화 후 탄성계수(E)는 900㎫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계수(E)가 너무 낮으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가 쉽게 변형이 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탄성계수(E)가 낮으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가 쉽게 변형이 되고, 장시간 두루마리 형태로 보관될 경우, 접착층(108)이 휨 응력을 흡수하여,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두루마리 형태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치명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층의 경화 후 탄성계수(E)가 800㎫ 정도로 낮을 경우 접착층(108)은 응력을 잘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휨 특성의 관점에서 보면 장점이 있다. 하지만 두루마리 형태로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에는, 장시간 인가된 응력에 의해서 접착층(108)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탄성계수(E)가 800㎫ 이하의 접착층은 두루마리 형태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셋째, 접착층(108)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이 유리이면, 외부 충격에 잘 깨지는 특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이 식각된 유리일 경우 외부 충격에 더 취약해 진다. 그리고 제1 플렉서블 기판(102)에 크랙 및 손상이 발생하면, 유기 발광 화소(106)로 수분 및 산소가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이 유리일 경우, 제조 과정에서 생성된 표면 결함(flaw), 흠집(scratch) 또는 표면 손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유리 기판이 휠 때 인장 응력은 표면 결함 또는 흠집 또는 표면 손상에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파손은 결함, 흠집 또는 표면 손상에서 발생된다. 하지만 식각 공정을 통하면, 이러한 표면 결함, 흠집 또는 손상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플렉서블 기판(102)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인장 응력에 대한 신뢰성이 증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와 접착층의 두께에 따른 스트레스 완화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식 2는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와 접착층의 두께에 따른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식이다.
이하 도 3 및 식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의 접착층(108)의 두께를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접착층(108)은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강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ball drop test가 있다. Ball drop test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쇠구슬을 소정의 높이에서 자유낙하 하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에 손상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임계 곡률반경(RTH)과 상관 관계가 있다. 즉, 임계 곡률반경(RTH)의 저감을 위해서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의 강성은 이에 반비례하여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식 2]
식 2에서, UT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쇠구슬이 자유낙하 하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와 충돌 시 발생되는 총 에너지 값을 의미한다. Eg는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탄성계수(E)를 의미한다. hg는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두께를 의미한다. R은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이 외부 충격에 의해서 변형된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변형된 곡률반경 정도를 의미한다. Ep는 접착층(108)의 탄성계수(E)를 의미한다. hp는 접착층(108)의 두께를 의미한다. 도 3 및 식 2에서 a는 변형된 제1 플렉서블 기판(102)영역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도 3 및 식 2에서 d는 쇠구슬의 자유낙하에 의한 제1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가 접착층(108) 방향으로 들어간 자국의 깊이를 의미한다. 식 2에 따르면, 전체 에너지 UT는 제1 플렉서블 기판(102) 및 접착층(108)이 변형되면서 분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UT값이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이 감당할 수 있는 임계 값 이상이 될 때 파괴된다.
식 2를 이용하면, 접착층(108)의 탄성계수(Ep)를 저감하거나 접착층(108)의 두께(hp)를 저감하여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접착층(108)의 탄성계수(Ep)가 낮아지게 되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를 두루마리 형태로 장시간 보관 시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층(108)의 탄성계수는 소정의 탄성계수 이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접착층(108)의 탄성계수(Ep)는 900㎫ 이상이 되도록 구성한다.
접착층(108)의 두께는 탄성계수(Ep)에 대응되어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접착층(108)의 두께는 적어도 40㎛이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접착층(108)의 두께가 일정 이상 두꺼워지게 되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의 두께 또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두께는 60㎛이하가 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은 제1 플렉서블 기판(102)보다 상대적으로 파단강도가 더 높은 물질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은 금속판일 수 있다.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판 또는 포일(foil)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가 제1 플렉서블 기판(102) 방향으로 말리도록 구성되면,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은 언제나 인장 응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만약 제1 플렉서블 기판(102)과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이 동일한 재질의 유리일 경우, 제1 플렉서블 기판(102)은 압축 응력을 받도록 구성되고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은 인장 응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유리는 압축 응력에 쉽게 파손되지 않는 특성이 있으나, 인장 응력에 쉽게 파손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이 유리일 경우, 두루마리 상태로 말릴 경우,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이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판 일 경우, 상술한 물질들은 인장 응력에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가 제1 플렉서블 기판(102)방향으로 말리도록 구성될 경우, 제1 플렉서블 기판(102)과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은 응력에 의해서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제2 플렉서블 기판(110)의 두께는 10㎛ 내지 120㎛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2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와 비교하여 차별화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1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200)의 접착층(208)은 적어도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접착층(208)의 제1 접착층(218)은 제1 플렉서블 기판(202)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제2 접착층(228)은 제2 플렉서블 기판(210)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제2 접착층(228)은 흡습제(23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층은 제1 플렉서블 기판의 휨 특성과 강성을 고려하여 두께가 종래의 접착층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층(208)은 투습 방지 효과가 제2 플렉서블 기판(210) 보다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측면 투습 경로가 될 수 있다. 특히 접착층(208)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측면 투습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접착층(228)은 흡습제(23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흡습제(238)는 봉지부(206)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제1 접착층(218)은 흡습제(238)로부터 봉지부(206)을 보호하도록 소정의 거리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 플렉서블 기판(202)상에는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204)가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층(218)은 제2 접착층(228)의 흡습제(238)로부터 봉지부(206)을 보호하기 위해서 5㎛ 내지 8㎛의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접착층(228)은 제1 플렉서블 기판(202)의 강성과 측면 투습을 지연시키기 위해서 제1 접착층(218)의 두께와 제2 접착층(228)의 두께의 합이 적어도 40㎛ 내지 60㎛ 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가 두루마리 형태로 말릴 수 있는 기구물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일 측면은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에 고정되어, 원기둥의 회전에 의해서 감기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아래와 같이 다시 한번 정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가 배치된 제1 플렉서블 기판, 제1 플렉서블 기판의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플렉서블 기판 및 제1 플렉서블 기판과 제2 플렉서블 기판을 합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가 제1 플렉서블 기판 방향으로 말릴때 휨에 의한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중립면이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유기 발광 화소를 응력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1 플렉서블 기판은 두루마리 상태에서 펴질 때 평편해지기 위해서 탄성계수가 높은 물질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1 플렉서블 기판은 식각된 유리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유기 발광 화소 형성 시, 기판의 평탄도를 유지하여 수율 및 공정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유기 발광 화소 형성 후, 기 설정된 두께로 식각되기 때문에 목표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목표 임계 곡률반경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접착층은 두루마리 상태에서 변형되지 않도록 소정의 탄성계수 값 이상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플렉서블 기판의 압축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제1 플렉서블 기판의 탄성계수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탄성계수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즉, 접착층의 탄성계수 값은 제1 플렉서블 기판의 탄성계수 값보다는 작으면서 장시간 두루마리 형태로 보존 시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소정의 탄성계수 값 이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접착층은 제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와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강성을 고려하여 두께가 결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접착층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원하는 강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소정의 두께 이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접착층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임계 곡률반경을 고려하여 소정의 두께 이하가 되도록 구성된다. 즉, 접착층의 두께는 제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에서 원하는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면서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임계 곡률반경이 증가되지 않을 수 있는 범위내에서 결정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2 플렉서블 기판은 두루마리 상태에서 펴질 때 평편해지기 위해서 탄성계수가 높은 물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플렉서블 기판은 말릴 때 인장 응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플렉서블 기판은 제1 플렉서블 기판보다 인장 응력에 대한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물질이 적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1 플렉서블 기판은 금속성 물질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가 두루마리 형태로 말릴 때 인장 응력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탄성 변형(elastic deformation)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곡률반경 이상으로 말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렉서블 기판은 탄성 변형을 유지할 수 있는 곡률반경 이상으로 말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 플렉서블 기판은 탄성 변형을 유지할 수 있는 곡률반경 이상으로 말리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의미하는 “탄성 변형”은 장 시간 말린 상태로 보관되더라도, 응력이 제거되는 순간, 변형이 원복 되는 특성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플렉서블 기판 및 제2 플렉서블 기판 사이의 접착층은 의탄성 변형(anelastic deformation)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의미하는 “의탄성 변형”은 장 시간 말린 상태로 보관될 경우, 응력을 제거하더라도, 변형이 원복되지 않거나, 특정 시간이 지난 후 원복되는 특성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플렉서블 기판 및 제2 플렉서블 기판의 탄성계수는 접착층의 탄성계수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1 플렉서블 기판 및/또는 제2 플렉서블 기판은 유리, 금속, 및 세라믹 중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접착층은 폴리머(polymer)로 이루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장시간 말린 상태로 보관되더라도, 제1 플렉서블 기판 및 제2 플렉서블 기판은 탄성 변형을 유지할 수 있는 곡률반경 이상으로 말려있기 때문에, 탄성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층은 의탄성 변형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장시간 말린 상태로 보관될 경우,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플렉서블 기판과 제2 플렉서블 기판의 탄성계수가 접착층의 탄성계수보다 크기 때문에, 접착층은 제1 플렉서블 기판과 제2 플렉서블 기판에 의해서 평편하게 복원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취성 특성과 소성 변형 특성을 가지면서 탄성 변형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렉서블 기판은 탄성 변형 특성을 가지면서 특정 값 이상의 응력이 인가될 때 취성(brittle)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제2 플렉서블 기판은 탄성 변형 특성을 가지면서 특정 값 이상의 응력이 인가될 때 소성 변형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의미하는 “취성”은 응력에 의해서 변형 시 소성 변형이 거의 없이 파괴되는 특성을 의미한다.
제1 플렉서블 기판은 취성 발생 응력값 이하로 말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 플렉서블 기판은 소성 변형 발생 응력값 이하로 말리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1 플렉서블 기판은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렉서블 기판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장시간 말린 상태로 보관되더라도, 제1 플렉서블 기판 및 제2 플렉서블 기판은 탄성 변형을 유지할 수 있는 곡률반경 이상으로 말려있기 때문에, 탄성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플렉서블 기판이 취성 특성을 가질 경우, 원복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장시간 말린 상태로 보관하더라도,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변형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접착층은 탄성체(elastomer)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의미하는 “탄성체”는 고무와 같은 탄성변형(예를 들면, 낮은 응력 수준에서 회복이 가능한 매우 큰 변형)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탄성체인 접착층의 탄성계수(Ep)는 5㎫ 내지 100㎫일 수 있다. 즉 탄성체는 약간의 응력에도 쉽게 변형되고, 복원력도 상당히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접착층이 탄성체일 경우, 탄성계수 값이 매우 작기 때문에,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변형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플렉서블 기판의 적어도 일 면은 식각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렉서블 기판의 제1 면을 식각하여, 제 1면 상에 형성된 표면 결함, 흠집 또는 표면 손상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식각된 면은 인장 응력이 인가되면 면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1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만 식각하더라도,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플렉서블 기판의 양 면은 식각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렉서블 기판의 제1 면 및 제2 면을 식각하여, 제1 면 및 제2 면상에 형성된 표면 결함, 흠집 또는 표면 손상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1 플렉서블 기판의 양면을 식각하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형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02: 제1 플렉서블 기판
104: 유기 발광 화소
106: 봉지부
108, 208: 접착층
218: 제1 접착층
228: 제2 접착층
238: 흡습제
110: 제2 플렉서블 기판

Claims (15)

  1.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화소;
    상기 복수의 발광 화소를 덮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부의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위에 배치되는 제2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플렉서블 기판 각각은 상기 접착층의 탄성 계수(Young's modulus; E)보다 큰 탄성 계수를 가지며,
    상기 표시 장치의 중립면은 상기 복수의 발광 화소로부터 ±15㎛ 떨어진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제2 플렉서블 기판보다 압축 응력에 대한 파단 강도가 더 높은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보다 인장 응력에 대한 파단 강도가 더 높은 물질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는, 제1 임계 벤딩 파손점(bending stress threshold; σTH) 및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의 탄성 계수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T)는, 식 1에 의해 결정되는, 표시 장치.
    [식 1] T = 2σTHxRTH/E, 여기서 RTH는 임계 곡률반경을 의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는 상기 임계 곡률반경에 비례하는, 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는, 상기 임계 곡률반경(RTH)이 100R이고, 상기 제1 임계 벤딩 파손점(σTH)이 50Mpa이며, 상기 탄성 계수(E)가 71.5Gpa일 때, 0.14mm 이하의 값을 가지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발광 화소를 형성하기 전에는 1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발광 화소를 형성한 후에는 30μm 내지 100μm의 두께를 가지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화소는 1μm 내지 10μm의 두께를 가지는, 표시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상기 접착층의 탄성 계수에 비례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900Mpa 이상의 탄성 계수를 가지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40μm 내지 60μm의 두께를 가지는, 표시 장치.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은 유리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플렉서블 기판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판 또는 포일 형태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렉서블 기판은 10μm 내지 120μm의 두께를 갖는, 표시 장치.
  15. 제1 두께를 가지는 제1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유기 발광 화소;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플렉서블 기판; 및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제2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두께보다 두꺼운 제3 두께를 가지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플렉서블 기판 각각은 상기 접착층의 탄성 계수(Young's modulus; E)보다 큰 탄성 계수를 갖는, 표시 장치.
KR1020220143508A 2015-08-31 2022-11-01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648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3243 2015-08-31
KR1020150123243 2015-08-31
KR1020220063254A KR102463601B1 (ko) 2015-08-31 2022-05-24 유기 발광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254A Division KR102463601B1 (ko) 2015-08-31 2022-05-24 유기 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976A KR20220152976A (ko) 2022-11-17
KR102648628B1 true KR102648628B1 (ko) 2024-03-18

Family

ID=5840398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885A KR102028008B1 (ko) 2015-08-31 2015-12-23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190117407A KR102222499B1 (ko) 2015-08-31 2019-09-24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210025154A KR102402905B1 (ko) 2015-08-31 2021-02-24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220063254A KR102463601B1 (ko) 2015-08-31 2022-05-24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220143508A KR102648628B1 (ko) 2015-08-31 2022-11-01 유기 발광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885A KR102028008B1 (ko) 2015-08-31 2015-12-23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190117407A KR102222499B1 (ko) 2015-08-31 2019-09-24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210025154A KR102402905B1 (ko) 2015-08-31 2021-02-24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220063254A KR102463601B1 (ko) 2015-08-31 2022-05-24 유기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028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265B1 (ko) * 2017-06-23 2023-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9300857A (zh) * 2018-08-30 2019-02-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装置
KR20210076600A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두산 잉크젯용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4141149B (zh) * 2021-12-17 2024-01-23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6425B2 (en) 2002-03-05 2005-06-14 Resolution Performance Products Llc Attachment of surface mount devices to printed circuit boards using a thermoplastic adhesiv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2030A1 (en) 2004-12-22 2006-06-22 Zhanjun Gao Display element stress free at the critical layer
KR100927653B1 (ko) * 2007-08-06 2009-1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0917649B1 (ko) * 2007-11-12 2009-09-17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플렉시블 기판의 평탄화 방법 및 평탄화 장치
JP5583140B2 (ja) * 2008-12-02 2014-09-03 アリゾナ・ボード・オブ・リージェンツ,フォー・アンド・オン・ビハーフ・オブ・アリゾナ・ステート・ユニバーシティ フレキシブル基板アセンブリを準備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準備されたフレキシブル基板アセンブリ
KR101843199B1 (ko) * 2011-12-15 2018-03-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21000A (ko) * 2013-08-19 2015-02-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KR102176719B1 (ko) * 2013-10-14 2020-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45329A (ko) * 2013-10-18 2015-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KR102138753B1 (ko) * 2013-11-22 2020-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6425B2 (en) 2002-03-05 2005-06-14 Resolution Performance Products Llc Attachment of surface mount devices to printed circuit boards using a thermoplastic adhes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976A (ko) 2022-11-17
KR102028008B1 (ko) 2019-10-02
KR20170026055A (ko) 2017-03-08
KR102463601B1 (ko) 2022-11-04
KR102402905B1 (ko) 2022-05-30
KR20210023956A (ko) 2021-03-04
KR20220075289A (ko) 2022-06-08
KR102222499B1 (ko) 2021-03-03
KR20190110986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71141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KR102648628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CN109509769B (zh)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424597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458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909968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80034001A1 (en) Window for a display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95036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976841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1603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929373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13007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23629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11944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0492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3884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69118A (ko) 표시 장치
US9271371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in film encapsul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1186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3334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