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653B1 -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653B1
KR100927653B1 KR1020070078449A KR20070078449A KR100927653B1 KR 100927653 B1 KR100927653 B1 KR 100927653B1 KR 1020070078449 A KR1020070078449 A KR 1020070078449A KR 20070078449 A KR20070078449 A KR 20070078449A KR 100927653 B1 KR100927653 B1 KR 100927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support
adhesive
substrate
flexibl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475A (ko
Inventor
김기현
김용해
김철암
서경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78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653B1/ko
Priority to US12/119,020 priority patent/US20090038749A1/en
Publication of KR2009001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조용 접착 필름을 제공한다. 이 접착 필름은 플렉시블 기판이 접착되는 제 1 면 및 제 1 면에 대향하면서 지지 기판이 접착되는 제 2 면을 갖는 지지체, 지지체의 제 1 면에 제공된 제 1 접착층, 및 지지체의 제 2 면에 제공된 제 2 접착층을 포함한다.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은 동일한 접착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기판, 지지 기판, 접착 필름, 분리

Description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Adhesive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Displa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기판의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 기판으로부터 플렉시블 기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070-03, 과제명: Flexible 디스플레이].
현대 산업사회가 고도의 정보화시대로 발전함에 따라, 각종 장치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인간에게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상단 기간 지속되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정보화의 심화, 보편화 및 대중화에 따라, 인간의 정보에 대한 욕구도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보 전달의 매체(man-machine interface)인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장소 및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인간의 시각적인 감각을 만족시키도록 자연에 가까운 색 및 자연에 가까운 정교함을 표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는 텔레비전, 모니터 또는 모바일폰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볍고, 표시 면적이 넓고, 해상도가 우수하고, 그리고 표시 속도가 빠른 디스플레이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기판의 밀도 및 두께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의 안정성 및 신뢰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함에 따라, 기술적으로 한계에 직면해 있다.
또한,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축소는 대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와 상충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연성, 경량화 및 휴대성 등과 같은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선 및 소자를 플렉시블 기판 상에 형성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플렉시블 기판의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휨 현상으로 인해 기존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양산 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기판에 대한 전용 설비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양산 설비를 대폭 변경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디스플레이 제조 업체들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 플렉시블 기판을 취급하기 위한 전용 척(chuck)을 고안하여 기존의 양산 설비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적용들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양산 설비를 사용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휨 방지를 위해 사용된 지지 기판으로부터 플렉시블 기판을 용이하게 분리하게 하는 접착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기존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양산 설비를 사용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휨 방지를 위해 사용된 지지 기판으로부터 플렉시블 기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조용 접착 필름을 제공한다. 이 접착 필름은 플렉시블 기판이 접착되는 제 1 면 및 제 1 면에 대향하면서 지지 기판이 접착되는 제 2 면을 갖는 지지체, 지지체의 제 1 면에 제공된 제 1 접착층, 및 지지체의 제 2 면에 제공된 제 2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은 동일한 접착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지지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올레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은 금속 호일, 박형 유리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은 유리 기판 또는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은 0.2~60N/100mm 범위의 접착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은 아크릴레이트계 접착 물질, 실리콘계 접착 물질 및 에폭시계 접착 물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플렉시블 기판이 접착되는 제 1 면 및 제 1 면에 대향하면서 지지 기판이 접착되는 제 2 면을 갖는 지지체, 지지체의 제 1 면에 제공된 제 1 접착층, 및 지지체의 제 2 면에 제공된 제 2 접착층을 포함하는 접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지지체의 제 2 면에 지지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 지지체의 제 1 면에 플렉시블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 지지체의 제 1 면에 대향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에 구동 소자 및 디스플레이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플렉시블 기판을 지지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은 동일한 접착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지지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올레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은 금속 호일, 박형 유리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 중에서 선택 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은 유리 기판 또는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은 0.2~60N/100mm 범위의 접착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은 아크릴레이트계 접착 물질, 실리콘계 접착 물질 및 에폭시계 접착 물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소자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비정질 박막 트랜지스터 및 다결정질 박막 트랜지스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는 액정 소자, 유기 발광 소자 및 전자 종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는 색 화소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은 컬러 필터 기판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을 지지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식일 수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을 지지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화학 용매가 제공된 화학용액조를 준비하는 단계, 및 구동 소자 및 디스플레이 소자가 형성된 접착 구조물을 화학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 용매는 유기 용매일 수 있다. 유기 용매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아세 톤 및 알데히드기를 갖는 화학 용액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다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플렉시블 기판이 접착되는 제 1 면 및 제 1 면에 대향하면서 지지 기판이 접착되는 제 2 면을 갖는 지지체, 지지체의 제 1 면에 제공된 제 1 접착층, 및 지지체의 제 2 면에 제공된 제 2 접착층을 포함하는 접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지지체의 제 2 면에 지지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 지지체의 제 1 면에 플렉시블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 지지체의 제 1 면에 대향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에 구동 소자 및 디스플레이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의 접착 강도를 동시에 저하시켜 플렉시블 기판을 지지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의 접착 강도를 동시에 저하시키는 단계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식일 수 있다.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의 접착 강도를 동시에 저하시키는 단계는 화학 용매를 사용하는 방식일 수 있다.
화학 용매를 사용하는 방식은 화학 용매가 제공된 화학용액조를 준비하는 ㄷ단계, 및 구동 소자 및 디스플레이 소자가 형성된 접착 구조물을 화학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플렉시블 기판의 휨 현상이 최소화됨으로써, 기존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양산 설비의 변경 없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의 안정성이 확보됨으로써,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막이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의 접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의 접착 구조물(100)은 지지 기판(10), 접착 필름(20) 및 플렉시블 기판(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1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서 플렉시블 기판(30)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판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지지 기판(10)은 유리 기판 또는 실리콘(silicon) 기판일 수 있다.
접착 필름(2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서 플렉시블 기판(30)을 지지 기판(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접착 필름(2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서 플렉시블 기판(30)과 지지 기판(10) 사이의 열 팽창 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 CTE)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서 플렉시블 기판(30)의 휨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접착 필름(20)은 지지 기판(10) 및 플렉시블 기판(30)을 서로 밀착시키기 위해 양면 모두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 필름(20)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자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플렉시블 기판(3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을 통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 의해 접착 필름(20)과 플렉시블 기판(30)의 경계면에 대향하는 플렉시블 기판(30)의 표면에는 구동 소자(미도시) 및 디스플레이 소자(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30)은 금속 호일(metal foil), 박형 유리 기판(0.3mm 이하의 두께) 및 플라스틱 기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착 필름(20)은 지지체(22), 제 1 접착층(26) 및 제 2 접착층(2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22)는 플렉시블 기판(도 1의 30 참조)이 접착되는 제 1 면 및 제 1 면에 대향하면서 지지기판(도 1의 10 참조)이 접착되는 제 2 면을 가질 수 있다. 지지체(22)는 접착 필름(20)의 제 1 접착층(26) 및 제 2 접착층(24)이 도포되는 코어 물질(core material)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체(22)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s terephtha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및 폴리올레핀(polyolefin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polyeth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체(22)는 폴리이미드일 수 있다. 이는 폴리이미드가 우수한 내열성 및 내화학성 등과 같은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제 1 접착층(26)은 플렉시블 기판이 접착되도록 지지체(22)의 제 1 면에 도포될 수 있다. 제 1 접착층(26)은 0.2~60N/100mm 범위의 접착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제 1 접착층(26)은 아크릴계(acrylic) 접착 물질, 실리콘계(silicon based) 접착 물질 및 에폭시계(epoxy based) 접착 물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접착층(26)은 실리콘계 접착 물질일 수 있다.
제 2 접착층(24)은 지지 기판이 접착되도록 지지체(22)의 제 2 면에 도포될 수 있다. 제 2 접착층(24)은 제 1 접착층(2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0.2~60N/100mm 범위의 접착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제 2 접착층(24)은 아크릴계 접착 물질, 실리콘 계 접착 물질 및 에폭시계 접착 물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접착층(24)은 실리콘계 접착 물질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 필름은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의 접착 강도가 0.2~60N/100mm 범위 내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접착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플렉시블 기판 및 지지 기판을 각각 접착하는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을 화학적으로 동시에 분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의 접착 강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제 1 접착층과 제 2 접착층 사이의 접착 강도 차이는 무시할 정도의 근소한 오차 범위 안에 속한다는 것일 수 있다.
만일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의 접착 강도가 0.2N/100mm 미만일 경우, 플렉시블 기판과 제 1 접착층 및/또는 지지 기판과 제 2 접착층 사이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 중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의 접착 강도가 60N/100mm 초과일 경우, 플렉시블 플렉시블 기판을 지지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에서 플렉시블 기판에 형성된 소자들이 화학적 또는/및 물리적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기판(30)이 접착되는 제 1 면 및 제 1 면에 대향하면서 지지 기판(10)이 접착되는 제 2 면을 갖는 지지체(도 2의 20 참조), 지지체의 제 1 면에 제공된 제 1 접착층(도 2의 26 참조), 및 지지체의 제 2 면에 제공 된 제 2 접착층(도 2의 24 참조)을 포함하는 접착 필름(20)을 준비한다. 접착 필름(20)의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은 동일한 접착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지지체의 제 2 면에 제 2 접착층을 개재하여 지지 기판(10)을 접착한다. 지지체의 제 1 면에 제 1 접착층을 개재하여 플렉시블 기판(30)을 접착한다. 이에 따라, 지지 기판(10), 접착 필름(20) 및 플렉시블 기판(30)을 포함하는 접착 구조물(10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의 제 1 면에 대향하는 플렉시블 기판(30)의 표면에 구동 소자(미도시) 및 디스플레이 소자(미도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구동 소자 및 디스플레이 소자가 형성된 접착 구조물(100)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소자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비정질 박막 트랜지스터 및 다결정질 박막 트랜지스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3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는 액정 화상 표시 소자(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 e-paper)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소자는 색 화소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인 색 화소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30)은 컬러 필터 기판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30)을 지지 기판(10)으로부터 분리한다. 플렉시블 기판(30)을 지지 기판(10)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자외선(Ultraviolet : UV-ray)을 조사하는 것일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30) 및 지지 기판(10)을 서로 밀착시키는 접착 필름(20)에 포함된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은 조사된 자외선에 의한 화학 반응으로 인해 접착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기판(30)이 지지 기판(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화학 용매(45)가 제공된 화학용액조(chemical bath, 40)를 준비한다. 화학 용매(45)는 유기 용매일 수 있다. 유기 용매는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아세톤(acetone) 및 알데히드기(aldehyde group, -CHO)를 갖는 화학 용액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도 3a에서 설명된 구동 소자 및 디스플레이 소자가 형성된 접착 구조물(100)을 화학용액조(40)에 제공된 화학 용매(45)에 침지시킨다. 플렉시블 기판(30) 및 지지 기판(20)을 서로 밀착시키는 접착 필름(도 1의 20 참조)이 화학 용매(45)와의 화학 반응으로 인해 제거됨에 따라, 접착 필름의 접착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는, 접착 필름에 포함된 제 1 접착층(도 2의 26 참조) 및 제 2 접착층(도 2의 24 참조)이 화학 용매(45)와의 화학 반응으로 인해 제거됨에 따라,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의 접착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기판(30)이 지지 기판(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를 제조함으로써, 플렉시블 기판의 휨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양산 설비의 변경 없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의 휨 방지를 위해 사용된 지지 기판으로부터 플렉시블 기판을 화학적으로 분리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의 접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접착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 기판 20 : 접착 필름
22 : 지지체 24 : 지지 기판용 접착층
26 : 플렉시블 기판용 접착층 30 : 플렉시블 기판
40 : 화학용액조 45 : 화학 용매
100 : 적찹 구조물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플렉시블 기판이 접착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면서 지지 기판이 접착되는 제 2 면을 갖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기 제 1 면에 제공된 제 1 접착층; 및
    상기 지지체의 상기 제 2 면에 제공된 제 2 접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은 동일한 접착 강도를 가지되,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조용 접착 필름과 상기 플렉시블 기판 및 상기 지지기판의 분리 공정시,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의 접착 강도가 동시에 저하되어, 상기 플렉시블 기판 및 상기 지지기판이 동시에 분리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조용 접착 필름.
  4. 플렉시블 기판이 접착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면서 지지 기판이 접착되는 제 2 면을 갖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기 제 1 면에 제공된 제 1 접착층 및 상기 지지체의 상기 제 2 면에 제공된 제 2 접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은 동일한 접착강도를 갖는 접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지지체의 상기 제 2 면에 상기 지지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
    상기 지지체의 상기 제 1 면에 상기 플렉시블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
    상기 지지체의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에 구동 소자 및 디스플레이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을 상기 지지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플렉시블 기판을 상기 지지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화학 용매가 제공된 화학 용액조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소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형성된 접착 구조물을 상기 화학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은 0.2~60N/100mm 범위의 접착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은 아크릴레이트계 접착 물질, 실리콘계 접착 물질 및 에폭시계 접착 물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색 화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컬러 필터 기판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용매는 유기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아세톤 및 알데히드기를 갖는 화학 용액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14. 플렉시블 기판이 접착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면서 지지 기판이 접착되는 제 2 면을 갖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기 제 1 면에 제공된 제 1 접착층 및 상기 지지체의 상기 제 2 면에 제공된 제 2 접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은 동일한 접착강도를 갖는 접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지지체의 상기 제 2 면에 상기 지지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
    상기 지지체의 상기 제 1 면에 상기 플렉시블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
    상기 지지체의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에 구동 소자 및 디스플레이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의 접착 강도를 동시에 저하시켜 상기 플렉시블 기판 및 상기 지지 기판을 상기 접착 필름으로부터 동시에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의 상기 접착 강도를 동시에 저하시키는 단계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의 상기 접착 강도를 동시에 저하시키는 단계는 화학 용매를 사용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용매를 사용하는 방식은:
    상기 화학 용매가 제공된 화학용액조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소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형성된 접착 구조물을 상기 화학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KR1020070078449A 2007-08-06 2007-08-06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0927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449A KR100927653B1 (ko) 2007-08-06 2007-08-06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US12/119,020 US20090038749A1 (en) 2007-08-06 2008-05-12 Adhesive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displa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449A KR100927653B1 (ko) 2007-08-06 2007-08-06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475A KR20090014475A (ko) 2009-02-11
KR100927653B1 true KR100927653B1 (ko) 2009-11-20

Family

ID=4034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449A KR100927653B1 (ko) 2007-08-06 2007-08-06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38749A1 (ko)
KR (1) KR100927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02B1 (ko) * 2005-11-22 2007-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US20120118510A1 (en) * 2010-11-15 2012-05-17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for debonding components in a chamber
US20130114219A1 (en) * 2011-11-08 2013-05-09 Sean Matthew Garner Opto-electronic frontplane substrate
WO2013073846A1 (ko) * 2011-11-14 2013-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KR102148471B1 (ko) * 2012-12-12 2020-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부재, 유연한 표시장치 및 유연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10521181B2 (en) * 2013-06-28 2019-12-31 Amazon Technologies, Inc. Reducing discoloration of a display stack
KR20150069078A (ko) 2013-12-12 2015-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KR102034002B1 (ko) * 2014-08-26 2019-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788198B1 (ko) 2015-04-28 2017-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KR102028008B1 (ko) * 2015-08-31 2019-10-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0920A (ko) * 2001-08-03 2004-04-09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ic 칩의 제조 방법
KR20060126209A (ko) * 2005-06-03 2006-12-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반도체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필름
KR20070016772A (ko) * 2005-08-05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용 접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가요성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9842A (en) * 1985-10-17 1987-10-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broad useful temperature range
US5214119A (en) * 1986-06-20 1993-05-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lock copolymer, method of making the same, dimaine precursors of the same, method of making such diamines and end products comprising the block copolymer
US5972152A (en) * 1997-05-16 1999-10-26 Micron Communications, Inc. Methods of fixturing flexible circuit substrates and a processing carrier, processing a flexible circuit and processing a flexible circuit substrate relative to a processing carrier
JP4493273B2 (ja) * 2003-01-29 2010-06-30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0920A (ko) * 2001-08-03 2004-04-09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ic 칩의 제조 방법
KR20060126209A (ko) * 2005-06-03 2006-12-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반도체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필름
KR20070016772A (ko) * 2005-08-05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용 접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가요성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7046053A (ja) 2005-08-05 2007-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可撓性表示装置用接着テープ及びこれを利用した可撓性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38749A1 (en) 2009-02-12
KR20090014475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653B1 (ko)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0721702B1 (ko)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KR101458901B1 (ko)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7018469B2 (ja) フィルム型ディスプレイ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フィルム型ディスプレイ基板製造用工程フィルム
US904844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055669B2 (en) Display device package and packaging process thereof
TWI231739B (en) Laminates for encapsulating devices
TWI421607B (zh) 可撓性裝置上的滲透阻障
US9510459B2 (en) Environmental sensitive electronic device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64092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array substrate
KR20070027348A (ko)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KR20140009920A (ko) 표시 패널 제조 방법
KR20140049372A (ko)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141865A (ko)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079057A (ja) 液晶表示基板搬送用ジグ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18027757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display device
US20110315989A1 (en) Display device, laser transfer printing method and laser transfer color donor sheet
KR20160043190A (ko) 칩-온-필름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1023732B1 (ko) 반송용 플렉시블 기판의 제조방법
JP2000338454A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KR102023925B1 (ko)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70072145A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N113823654B (zh) 一种驱动基板、发光装置及其制作方法
JP2011003668A (ja) 素子の転写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KR20080000246A (ko) 전사필름,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