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607B1 -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 - Google Patents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607B1
KR102648607B1 KR1020220188964A KR20220188964A KR102648607B1 KR 102648607 B1 KR102648607 B1 KR 102648607B1 KR 1020220188964 A KR1020220188964 A KR 1020220188964A KR 20220188964 A KR20220188964 A KR 20220188964A KR 102648607 B1 KR102648607 B1 KR 102648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ap
flange
plat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신
Priority to KR102022018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형의 수용부를 가지며, 사각형 수용부를 이루는 각각의 벽면에 걸림홈(N)이 형성된 외용기(110); 중앙에 원통형의 홀더(121)가 형성되고, 홀더(121) 상부 외주에는 상기 외용기(110)의 상단에 안착되는 사각형의 중간용기플레이트(122)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용기플레이트(122)에는 하향되어 상기 외용기(110) 벽면에 밀착되면서 삽입되는 외용기플랜지(123)가 형성되고, 상기 외용기플랜지(123) 외벽면에 상기 외용기(110)의 걸림홈(V)에 대응되는 걸림돌기(P)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중간용기플레이트(122) 위로 돌출된 부분의 홀더(121)에 상호 대향되어 한 쌍의 개구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홈(124) 저부에는 각각 물림홈(125)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용기플레이트(122)의 상면에는 대향되어 한 쌍의 회전제한스토퍼(126)가 형성된 중간용기(120); 상기 중간용기(120)의 홀더(121)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의 리필조(131)가 형성되고, 상기 리필조(131) 상단 외주에는 중간용기플레이트(122) 위로 돌출된 홀더(1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리필조(131) 외주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내용기플랜지(132)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기플랜지(132) 외측에는 수나사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내용기플랜지(132)는 상기 개구홈(124)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설부(134)가 형성되며, 상기 설부(134)의 외측 하단에는 상기 물림홈(125)에 끼워지는 물림돌기(135)가 형성되며, 형성된 내용기(130); 상기 내용기(130) 위에 화장품내용물 수용공간을 덮도록 형성된 덮개(C);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부(13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142)가 형성된 내캡조(141)가 구비되고, 내캡조(141) 하단 벽면에는 회전제한스토퍼(126)에 걸려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이 형성되며,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의 일측에는 회전제한스토퍼(126)에 가압되면서 타고 넘어간 뒤 특정량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둥근가압턱(144()이 형성되고, 상기 내캡조(141) 하단 외주에는 상기 중간용기플레이트(122))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포개어지면 모양이 일치되는 내캡플레이트(145))가 형성되며, 상기 내캡플레이트(145)의 외주에는 상향되는 사각형의 내캡플랜지(146)가 형성되고, 상기 내캡플랜지(146)의 외벽에는 각각 걸림홈(N)이 형성된 내캡(140); 및 상기 내캡조(141)와 내캡플랜지(146)가 수용되고 내벽에는 걸림홈(N)에 대응되는 걸림턱(P)이 형성되어 상기 내캡에 결합되는 외캡(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Square Cosmetic Refillable Containers}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관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구성부를 가졌지만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화장품의 내용물을 필요에 따라 리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용기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원형이 가장 많고,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 각형으로 이루어진 것도 있다. 화장품 용기를 분해 조립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나사부를 형성하는데, 나사부는 두 개 이상의 상대적 구조물을 회전을 시켜 결합시킬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원형을 채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시장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원형이다. 사각형은 사각형 나름대로 미적인 요소가 있고, 개인차에 따라 사각형의 미감을 선호하는 소비자도 많으므로 사각형 화장품 용기도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사각형 화장품 용기도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 후 재 충전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해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외관은 사각형 이더라도 내부 구조를 보면, 두 개 이상의 상대적 구조물을 나사부를 형성하여 결합하고자 할 때 원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각형의 리필용 화장품 용기는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화장품 용기는 재료가 합성수지나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는데, 가벼워야 하므로, 체적은 크지만, 얇은 박판으로 구성된다. 화장품 용기는 다량 제조해야 하므로 금형 제작이 이루어지고, 금형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쉬우며 성형품의 자동 낙하가 용이하도록 2단 금형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2단 금형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조를 이루면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해야하는데, 지금 까지 개발된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분해 조립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금형으로 제조하기 용이한 구조로 하며, 분해조립도 용이하여 화장품 내용물의 리필도 사용자가 손쉽게 할 수 있는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각형의 수용부를 가지며, 사각형 수용부를 이루는 각각의 벽면에 걸림홈(N)이 형성된 외용기(110); 중앙에 원통형의 홀더(121)가 형성되고, 홀더(121) 상부 외주에는 상기 외용기(110)의 상단에 안착되는 사각형의 중간용기플레이트(122)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용기플레이트(122)에는 하향되어 상기 외용기(110) 벽면에 밀착되면서 삽입되는 외용기플랜지(123)가 형성되고, 상기 외용기플랜지(123) 외벽면에 상기 외용기(110)의 걸림홈(V)에 대응되는 걸림돌기(P)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중간용기플레이트(122) 위로 돌출된 부분의 홀더(121)에 상호 대향되어 한 쌍의 개구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홈(124) 저부에는 각각 물림홈(125)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용기플레이트(122)의 상면에는 대향되어 한 쌍의 회전제한스토퍼(126)가 형성된 중간용기(120); 상기 중간용기(120)의 홀더(121)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의 리필조(131)가 형성되고, 상기 리필조(131) 상단 외주에는 중간용기플레이트(122) 위로 돌출된 홀더(1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리필조(131) 외주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내용기플랜지(132)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기플랜지(132) 외측에는 수나사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내용기플랜지(132)는 상기 개구홈(124)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설부(134)가 형성되며, 상기 설부(134)의 외측 하단에는 상기 물림홈(125)에 끼워지는 물림돌기(135)가 형성되며, 형성된 내용기(130); 상기 내용기(130) 위에 화장품내용물 수용공간을 덮도록 형성된 덮개(C);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부(13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142)가 형성된 내캡조(141)가 구비되고, 내캡조(141) 하단 벽면에는 회전제한스토퍼(126)에 걸려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이 형성되며,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의 일측에는 회전제한스토퍼(126)에 가압되면서 타고 넘어간 뒤 특정량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둥근가압턱(144()이 형성되고, 상기 내캡조(141) 하단 외주에는 상기 중간용기플레이트(122))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포개어지면 모양이 일치되는 내캡플레이트(145))가 형성되며, 상기 내캡플레이트(145)의 외주에는 상향되는 사각형의 내캡플랜지(146)가 형성되고, 상기 내캡플랜지(146)의 외벽에는 각각 걸림홈(N)이 형성된 내캡(140); 및 상기 내캡조(141)와 내캡플랜지(146)가 수용되고 내벽에는 걸림홈(N)에 대응되는 걸림턱(P)이 형성되어 상기 내캡에 결합되는 외캡(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으로 외캡을 화장품내용물을 손가락으로 찍어 쓰거나 덜어서 쓸 수 있고, 부품 전체가 판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화장품 용기가 매우 가볍고, 조작 방식은 회전되는 방식이지만, 외관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각형의 미려함을 선호하는 고객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으며,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간단하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품내용물을 리필하거나 리필시 구성품 전체를 청소하는데에도 매우 유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리필 용기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리필 용기가 거꾸로 뒤집어진 상태의 분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리필 용기로서 외용기에 중간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나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리필 용기로서 외용기와 중간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다시 내용기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리필 용기로서 외용기와 중간용기와 내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다시 덮개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리필 용기로서 외용기와 중간용기와 내용기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에서 다시 내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리필 용기로서 외용기와 중간용기와 내용기와 덮개와 내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다시 외캡이 결합되어 완성된 화장품 용기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는 외용기(110), 중간용기(120), 내용기(130), 내캡(140), 외캡(150)이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구성된다. 용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은 체적이 있더라도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 열가소성수지를 재료로 하는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플레이트가 얇을수록 재료도 적게 들어 가고, 무게도 가벼워서 좋지만, 구조적 강도가 너무 약해지므로 플레이트의 두께를 줄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열가소성수지는 첨가되는 물질에 따라 플레이트의 유연성이나 경직성을 다르게 할 수 있는데, 경직성을 높게 하면 구조적 강도는 높으나 충격에 쉽게 파손되고, 경직성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하고, 유연성을 너무 강화시키면 구조적 강성이 약해진다.
따라서 구조적 강도가 유연성을 고려하여 열가소성유지에 첨가되는 재료는 결정된다. 또한 용기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들을 플레이트로 구성하면, 신축성이 있으므로 원형이나 사각형 등으로 부품을 만들어도 신축성이 좋다. 이러한 신축성은 부품들을 걸림홈이나 걸림턱 처럼 상대적인 형태로 만들어도 결합할 때 저항을 받으면 신축되었다가 복원되는 재료의 특성이 이용되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는 열려 있고 바닥이 있는 사각형의 외용기(110)가 구비된다. 사각형을 이루는 외용기(110)의 각각의 내벽면에는 걸림홈(N)이 형성된다. 일측의 내벽면에는 위치고정스트퍼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고정스토퍼는 높이 방향으로 선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외용기에 중간용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때 중간용기에 위치고정스토퍼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하여 암수로 맞물려 좌우(수평방향)로 유동되지 않고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한 것이다.
외용기(110)에는 중간용기(120)가 삽입된다. 중간용기(120)는 중앙에 원통형의 홀더(121)가 형성된다. 홀더(121) 상부 외주에는 외용기(110)의 상단에 안착되는 사각형의 중간용기플레이트(122)가 형성된다. 홀더(121) 외벽과 접하는 중간용기플레이트(122)의 일측에는 회전제한스토퍼(126)가 180°대향되어 한 쌍 형성된다. 회전제한스토퍼(126)는 후술하는 내캡(140)이 중간용기(120)에 결합될 때 내캡(140)이 일정량 회전한 후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중간용기플레이트(122)의 외주에는 하향되어 외용기(110) 벽면에 밀착되면서 삽입되는 사각형의 외용기플랜지(123)가 형성된다. 외용기플랜지(123)의 외면 일측에는 외용기(110)의 걸림홈(N)에 대응되는 걸림돌기(P)가 각각 형성되고, 또 다른 일측에는 외용기의 위치고정스토퍼와 맞물리도록 하는 위치고정스토퍼홈을 형성할 수 있다. 중간용기플레이트(122) 위로 돌출된 홀더(121)에는 상호 대향되어 한 쌍의 개구홈(124)이 형성된다. 개구홈(124)의 저부에는 각각 물림홈(125)이 형성된다.
중간용기(120)의 홀더(121)에는 내용기(13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내용기(130)는 가운데에 화장품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리필조(131)가 형성된 것으로, 홀더(121) 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경이 홀더(121)의 내경과 대략 일치되는 원통형이다. 내용기(130)의 상단에는 내용기(130) 외면과 리필조(131) 두께 만큼의 공간이 형성된 내용기플랜지(132)가 형성된다. 내용기플랜지(132)의 외주에는 수나사부(133)가 형성된다. 내용기플랜지(132)의 높이는 중간용기플레이트(122) 위로 돌출된 홀더(121)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하여 내용기(130)가 리필조(131)에 삽입되면 내용기플랜지(132) 하단과 중간용기플레이트(122) 상면이 접하게 되면서 안착된다.
내용기플랜지(132)에는 중간용기(120)의 개구홈(124)에 대응되는 한 쌍의 설부(134)가 형성된다. 설부(134)의 단부에는 물림홈(125)에 삽입되는 물림돌기(135)가 형성된다. 설부(134)는 물림돌기(135)가 물림홈(125)에 삽입될 때 중간용기플레이트(122)에 간섭되더라도 재료가 약간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복귀할 수 있도록 설부 양쪽으로 절개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즉 내용기플랜지(132)에 구속되지 않고 설부가 외력을 받으면 외력을 받은 반대측으로 약간 구부러졌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복귀될 수 있도록 자유단으로 만든 것이다. 즉 물림돌기(135)가 물림홈(125)에 삽입될 때 물림돌기(135)가 중간용기플레이트(122)에 간섭되더라도 설부(134)가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물림돌기(135)가 물림홈(125)에 삽입된 후에는 다시 탄성적으로 바로 복귀 된다. 중간용기(120)에 조립된 내용기(130)는 손으로 잡고 강하게 잡아빼면 물림돌기(135)가 물림홈(125)에서 빠지면서 내용기(130)가 중간용기(120)에서 분리된다.
내용기(130)에는 내캡(140)이 결합된다. 내캡(140)의 내주에 수나사부(133)와 대응되는 암나사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내캡(140)의 외주에는 내캡플레이트(145)가 형성된다. 내캡플레이트(145)는 중간용기플레이트(122)와 폭과 너비 및 모양이 동일하여 맞대어지면 한짝 처럼 된다. 암나사부(142) 하단에는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이 형성된다.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은 내캡(140)이 내용기(130)에 결합될 때 중간용기플레이트(122)와 내캡플레이트(145)가 상호 면이 같은 모양으로 일치되면 회전제한스트퍼핀(143)이 회전제한스토퍼(126)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한 것이다.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의 일측에는 둥근가압턱(144)이 각각 형성된다.
둥근가압턱(144)은 구름다리처럼 형태가 둥글다. 둥근가압턱(144)은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의 회전시 지나가는 경로에 있으므로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이 접촉되면 둥근가압턱(144)의 경사면을 타고 오르면서 가압된다. 따라서 내캡(140)은 내용기(130)에 결합될 때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이 둥근가압턱(144)을 지나서 회전제한스토퍼(126)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멈춘다. 둥근가압턱(144)은 내캡(140)이 특정한 외력 이상이 아니면 역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둥근가압턱과 내캡조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되는데, 공간(S)은 둥근가압턱(144)이 가압될 때 둥근가압턱(144)이 탄성적으로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한 것이다. 공간(S)이 없으면 둥근가압턱(144)이 변형이 잘 되지 않아 내캡(140)이 회전되지 못하고 고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내캡(140)을 내용기(130)에서 분리할 때에는 처음에 내캡(140)을 강한 힘으로 역회전시켜 둥근가압턱(144)을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이 타고 넘게 한 후 그 뒤부터는 약한 힘으로 돌려서 분리할 수 있다.
내캡플레이트(145)의 외주에는 상향하는 내캡플랜지(146)가 형성된다. 내캡플랜지(146)는 후술하는 외캡(150)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사각형의 내캡플랜지(146)의 외면에 각각 걸림턱(P)을 형성한다.
내캡(140)에는 외캡(150)이 결합된다. 외캡(150)은 결합시 외용기와 맞대어져 전체적으로 사각형 육면체가 되도록 함으로써 화장품 용기를 미려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내면에 걸림턱(P)에 대응되는 걸림홈(N)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캡(150)을 내캡플랜지(146)에 삽입되도록 끼우면 걸림턱(P)에 걸림홈(N)이 걸리면서 결합된다. 내캡플랜지(146)에는 조립된 위치를 고정하는 높이방향의 절개홈을 형성하고, 외캡에는 절개홈에 끼워지는 고정핀을 형성하여 고정핀이 절개홈에 삽입되어 좌우(수평방향)로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외캡(150)은 손으로 잡고 강하게 잡아당기면 걸림턱(P)에서 걸림홈(N)이 빠지면서 내캡(140)에서 분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외용기(110)에 중간용기(120)를 끼운다. 중간용기(120)의 중간용기플랜지(123)가 외용기(110)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삽입되다가 외용기(110)의 걸림홈(N)에 중간용기플랜지(123)의 걸림턱(P)이 삽입되면 내용기(130)가 외용기(110)에 결합된다.
중간용기(120)가 결합된 후, 내용기(130)를 중간용기(120)의 홀더(121)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내용기(130)가 홀더(121)에 삽입되면, 내용기(130)의 외주에 내용기플랜지(132)가 삽입되면서 내용기(130)의 설부(134)가 개구홈(124)에 삽입되다가 물림돌기(135)가 물림홈(125)에 삽입되면 내용기(130)의 결합이 완료 된다. 내용기(130)의 화장품내용물 수용공간은 화장품 용기가 넘어지거가 휴대중 화장품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덮개(C)로 덥는다.
내용기(130)가 결합된 후, 내용기(130)에 내캡(140)을 결합한다. 내캡(140)의 암나사부(142)가 내용기플랜지(132)의 수나사부(133)에 대고 돌리면 회전되면서 결합되고, 내캡(140)이 거의 다 회전되면 내캡(140)의 둥근가압턱(144)이 중간용기플레이트(122)의 둥근가압턱(144)을 타고 넘은 후 바로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이 회전제한스토퍼(126)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내캡(140)이 결합되 후, 외캡(150)을 내캡(140)에 결합한다. 외캡(150)을 내캡플랜지(146)의 외주에 끼우면 외캡(150)의 걸림홈(N)과 내캡(140)의 걸림턱(P)이 걸리면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용기(130)의 리필조(131)에 있는 화장품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외용기(110)를 한손으로 잡고, 내캡(140)과 일체로 결합된 외캡(150)을 다른 한손으로 잡은 후 반시계 방향으로 강하게 돌리면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이 둥근가압턱(144)을 타고 넘게 되고, 그 후로는 거의 힘들이지 않고 약하게 돌려도 용이하게 회전되면서 내캡(140)이 내용기(130)에서 완전히 분리된다. 내캡(140)이 분리되면 내용기(130)의 화장품내용물이 들어 있는 수용공간이 노출되므로, 내용기(130)의 수용공간을 덮고 있는 덮개(C)를 열고 수용공간에 있는 화장품내용물을 필요한 양 만큼 손으로 찍거나 덜어서 사용하면 된다.
화장품내용물을 사용한 후 수용공간을 닫고자 할 때에는 덮개(C)로 내용기(130)의 수용공간을 덮은 후 내캡(140)과 일체로 결합된 외캡(150)을 내용기(130)에 결합하면 된다.
이와 같이, 외용기(110)와 중간용기(120)는 걸림홈(N)과 걸림턱(P), 중간용기(120)와 내용기(130)는 개구홈(124)과 설부(134)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내캡(140)과 외캡(150)은 걸림홈(N)과 걸림턱(P)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후 내용기(130)에 내캡(140)이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분해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화장품내용물이 채워지는 내용기(130)는 홀더(121)에서 손으로 잡아빼면 자유단 설부(134)가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물림돌기(135)가 물림홈(125)에서 빠져 분리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화장품내용물을 채워넣을 때 내용기(130)를 빼내어 수용공간을 깨끗히 청소한 후 다시 화장품내용물을 채워 넣은 후 조립하면 된다. 또한 화장품내용물이 충전된 내용기(130)만 별도로 제조하여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조립할 수 있다.
110 : 외용기 120 : 중간용기
121 : 홀더 122 : 중간용기플레이트
123 : 외용기플랜지 124 : 개구홈
125 : 물림홈 126 : 회전제한스토퍼
130 : 내용기 131 : 리필조
132 : 내용기플랜지 133 : 수나사부
134 : 설부 135 : 물림돌기
136 : 절개부
140 : 내캡 141 : 내캡조
142 : 암나사부 143 : 회전제한스토퍼핀
144 : 둥근가압턱 145 : 내캡플레이트
146 : 내캡플랜지
150 : 외캡

Claims (5)

  1. 사각형의 수용부를 가지며, 사각형 수용부를 이루는 각각의 벽면에 걸림홈(N)이 형성된 외용기(110);
    중앙에 원통형의 홀더(121)가 형성되고, 홀더(121) 상부 외주에는 상기 외용기(110)의 상단에 안착되는 사각형의 중간용기플레이트(122)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용기플레이트(122)에는 하향되어 상기 외용기(110) 벽면에 밀착되면서 삽입되는 외용기플랜지(123)가 형성되고, 상기 외용기플랜지(123) 외벽면에 상기 외용기(110)의 걸림홈(V)에 대응되는 걸림돌기(P)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중간용기플레이트(122) 위로 돌출된 부분의 홀더(121)에 상호 대향되어 한 쌍의 개구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홈(124) 저부에는 각각 물림홈(125)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용기플레이트(122)의 상면에는 대향되어 한 쌍의 회전제한스토퍼(126)가 형성된 중간용기(120);
    상기 중간용기(120)의 홀더(121)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의 리필조(131)가 형성되고, 상기 리필조(131) 상단 외주에는 중간용기플레이트(122) 위로 돌출된 홀더(1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리필조(131) 외주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내용기플랜지(132)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기플랜지(132) 외측에는 수나사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내용기플랜지(132)는 상기 개구홈(124)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설부(134)가 형성되며, 상기 설부(134)의 외측 하단에는 상기 물림홈(125)에 끼워지는 물림돌기(135)가 형성되며, 형성된 내용기(130);
    상기 내용기(130) 위에 화장품내용물 수용공간을 덮도록 형성된 덮개(C);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부(13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142)가 형성된 내캡조(141)가 구비되고, 내캡조(141) 하단 벽면에는 회전제한스토퍼(126)에 걸려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이 형성되며, 회전제한스토퍼핀(143)의 일측에는 회전제한스토퍼(126)에 가압되면서 타고 넘어간 뒤 특정량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둥근가압턱(144)이 형성되고, 상기 내캡조(141) 하단 외주에는 상기 중간용기플레이트(122)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포개어지면 모양이 일치되는 내캡플레이트(145))가 형성되며, 상기 내캡플레이트(145)의 외주에는 상향되는 사각형의 내캡플랜지(146)가 형성되고, 상기 내캡플랜지(146)의 외벽에는 각각 걸림홈(N)이 형성된 내캡(140); 및
    상기 내캡조(141)와 내캡플랜지(146)가 수용되고 내벽에는 걸림홈(N)에 대응되는 걸림턱(P)이 형성되어 상기 내캡에 결합되는 외캡(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부(134)의 양측에는 외력이 작용할 때 자유단이 되어 변형이 용이하도록 절개부(1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가압턱은 내캡조 내벽과의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어 둥근가압턱이 가압될 때 변형이 탄성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졌다가 복원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스토퍼의 선단은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둥근가압턱이 타고 넘어갈 때 가압된 상태에서도 부드럽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는 내캡을 분리한 상태에서 손으로 잡아빼면 분리되고, 다시 밀어 밀어 넣으면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내용기의 화장품내용물을 다 사용하더라도 내용기을 분리하여 화장품내용물을 반복적으로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
KR1020220188964A 2022-12-29 2022-12-29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 KR102648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964A KR102648607B1 (ko) 2022-12-29 2022-12-29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964A KR102648607B1 (ko) 2022-12-29 2022-12-29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607B1 true KR102648607B1 (ko) 2024-03-18

Family

ID=9047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964A KR102648607B1 (ko) 2022-12-29 2022-12-29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6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495Y2 (ja) * 1993-04-28 1999-05-31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詰め替え容器
JP2004174199A (ja) * 2002-09-30 2004-06-24 Milbon Co Ltd 内外二重容器
JP2018034836A (ja) * 2016-08-31 2018-03-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2020196493A (ja) * 2019-05-31 2020-12-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付け替え式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495Y2 (ja) * 1993-04-28 1999-05-31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詰め替え容器
JP2004174199A (ja) * 2002-09-30 2004-06-24 Milbon Co Ltd 内外二重容器
JP2018034836A (ja) * 2016-08-31 2018-03-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2020196493A (ja) * 2019-05-31 2020-12-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付け替え式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3925B2 (ja) 飲料容器及びその関連方法
CA2929176C (en) Cap for a receptacle such as a bottle
US7594775B1 (en) Case for cosmetics
US20070095864A1 (en) Dispensing closure for containers
US20050011773A1 (en) Child-resistant dispenser
WO2016015372A1 (zh) 喷液瓶及喷液瓶盖
BR0108262B1 (pt) Mecanismo atuador para um recipiente aerossol de mão
US3252492A (en) Container and pivoted closure
EA019743B1 (ru) Тумблерное выдач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шарнирным задним краем
JP3904603B2 (ja) 大人に扱いやすく子供に耐性のあるパッケージ
KR102648607B1 (ko) 사각형 화장품 리필 용기
NZ210919A (en) Two-piece dispensing closure for a container
KR102648608B1 (ko) 원형 화장품 리필 용기
US3954201A (en) Housing for container
US3776406A (en) Safety closure
KR20120001224U (ko) 이중 병마개의 내,외부마개의 결속구조
KR200497090Y1 (ko)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JPH0619511Y2 (ja) 液体収納容器
JP6826592B2 (ja) 容器
CN210823304U (zh) 积木式包装瓶和用于积木式包装瓶的瓶盖组件
JP2023063922A (ja) 二重容器の内容器組付け機構
JP4177746B2 (ja) 付け替え式容器
US11708200B1 (en) Powder dispensing apparatus for dispensing fixed amount of powder and portable powder storing bottle
JP2013023244A (ja) 詰め替え容器用注出容器、詰め替え容器接続構造及びこれらに用いられる詰め替え容器
KR200207835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