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352B1 - 복공판 - Google Patents

복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352B1
KR102648352B1 KR1020220023457A KR20220023457A KR102648352B1 KR 102648352 B1 KR102648352 B1 KR 102648352B1 KR 1020220023457 A KR1020220023457 A KR 1020220023457A KR 20220023457 A KR20220023457 A KR 20220023457A KR 102648352 B1 KR102648352 B1 KR 102648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member
cover plate
finishing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6376A (ko
Inventor
오진석
Original Assignee
오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진석 filed Critical 오진석
Priority to KR1020220023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352B1/ko
Publication of KR20230126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metallic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H형강, ㄷ형강 및 지주대를 이용하여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키고 비틀림을 방지하는 한편, 복공판의 상부 및 둘레를 커버하는 구조를 통해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100); 상기 측면부재(1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측면부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판(200); 상기 지지판(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단위부재(310)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이루어진 상판부재(300); 상기 측면부재(100)의 하부 중간에 측면부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판(400); 상기 측면부재(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측면부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토퍼(500); 및 상기 측면부재(100)의 전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측면부재(10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마감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공판{Lining board}
본 발명은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H형강, ㄷ형강 및 지주대를 이용하여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키고 비틀림을 방지하는 한편, 복공판의 상부 및 둘레를 커버하는 구조를 통해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지하차도 등의 지하 공사를 위해 지하 굴착하는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복공판은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노면을 복개하는 경우 하부구조물 위에 철제빔을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철제빔 사이에 수십 내지 수백 개가 평평하게 배열되도록 시공되며, 그 위로 차량 등이 지나가게 되므로 강성과 내구성이 요구된다.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복공판은 상판, 상기 상판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측판, 상기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리브판, 상기 리브판 하부에 고정되는 보강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복공판은 다수의 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설치공정이 복잡하며, 이에 따른 설치공사 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며, 테두리를 따라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측벽이 구비되는 상판; 및 일정 길이를 갖는 상,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하부 플랜지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플랜지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개의 형강;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형강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끝단이 폭방향을 따라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상부 플랜지 위에 상판이 설치되므로 복공판의 전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상판의 재료가 많이 소요되며, 용접 개소가 많으므로, 복공판의 중량과 부피가 증가되는 한편 운반이나 설치 및 철거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공판의 표면으로 전달된 소음은 복공판의 표면에서 국부적인 공명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공명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3800호(2010.11.11.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키고 비틀림을 방지하며, 무게의 경량으로 인해 재료비와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복공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복공판의 상부 및 둘레를 커버하는 구조를 통해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공기층에 의해 복공판 위로 차량 통행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가두어 감쇄시키고, 차음패널에 의해 공기층에 잔류하는 소음을 연속적인 회절 발생으로 현저하게 소멸시킬 수 있는 복공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100); 상기 측면부재(1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측면부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판(200); 상기 지지판(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단위부재(310)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이루어진 상판부재(300); 상기 측면부재(100)의 하부 중간에 측면부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판(400); 상기 측면부재(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측면부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토퍼(500); 및 상기 측면부재(100)의 전,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측면부재(10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마감부재(600);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재(100)의 측면 모서리에는 절곡 부분이 측면부재(100)의 모서리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모서리 지주대(72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모서리 지주대(720)들 사이에는 상기 측면부재(100)와의 사이에 공기층(740)을 형성하는 차음부재(730)가 설치되며, 상기 차음부재(730)는, 양쪽에 이웃하는 모서리 지주대(720)와 용접으로 접합되는 마감판(731); 상기 마감판(731)의 일면에 마감판(7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복수의 차음패널(732); 및 상기 마감판(731)의 일면에 설치되어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판(733);을 포함하고, 상기 차음패널(732)은, 중간에 개방슬릿(732a)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슬릿(732a)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의 전달 경로에 회절이 발생하여 소음이 감쇄되도록 하는 제1 간섭부(732b); 상기 제1 간섭부(732b)의 양측 단부에서 "ㄷ"자 형태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마감판(731)에 부착되는 고정부(732c); 및 상기 고정부(732c)의 내면에 다수의 요철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소음을 재차 감쇄되도록 하는 제2 간섭부(732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100)는 H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200)의 상단에는 상기 상판부재(300)가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슬릿(21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부재(300)는 상부면의 양단에서 각각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리브(320)를 갖는 ㄷ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500)의 일측에는 미끄럼 방지 및 충격흡수를 위한 고무패드(5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600)는 직사각형의 판재이며, 상단에 복수의 결합슬릿(61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걸림단턱(6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100)의 외측에는 측면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측면 지주대(710)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부재(100)의 측면 모서리에는 절곡 부분이 측면부재(100)의 모서리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모서리 지주대(72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은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키고 비틀림을 방지하며, 무게의 경량으로 인해 재료비와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공판의 상부 및 둘레를 커버하는 구조를 통해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공기층과 차음패널 구조를 통해 공명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하게 소멸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일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차음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은 경량이면서 공명에 의해 발생된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측면부재(100), 지지판(200), 상판부재(300), 보강판(400), 스토퍼(500) 및 마감부재(60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재(10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다.
상기 측면부재(100)는 상하로 평행한 한 쌍의 플랜지(110)와 그 사이의 중앙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웨브(120)로 구성된 H형강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측면부재(100)는 복공판의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는 가운데, 상부에 이웃하는 상판부재(300)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용접되어 접합된다.
상기 측면부재(100)는 상부 플랜지의 양쪽에 인양구멍(130)이 형성된다. 상기 인양구멍(130)은 복공판의 운반 및 설치를 위해 크레인 작업 시 인양 작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100)는 하부 플랜지의 양쪽에 삽입공(14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40)에는 후술하게 될 고무패드(510)의 결합돌기(511)가 삽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00)은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부재(1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측면부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부연하면, 상기 지지판(2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으로서, 상기 측면부재(100)의 플랜지(110) 및 웨브(120)에 수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용접되어 접합된다. 이러한 지지판(200)은 복수로 구성되며, 상판부재(300)를 지지하여 상판부재(3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판(200)의 상단에는 상기 상판부재(300)가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슬릿(21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210)은 상기 상판부재(300)의 결합리브(320)에 대응하여 이격 형성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부재(300)는 상기 지지판(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단위부재(310)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부재(300)는 상부면의 양단에서 각각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리브(320)를 갖는 ㄷ형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부재(300)는 상호 인접하는 단위부재(310)들을 접합하기 위해 상호 면접된 부분에 용접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부재(300)는 상기 측면부재(10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상판부재(300) 및 측면부재(100)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층은 상기 상판부재(300) 및 측면부재(100)의 상면에 일체로 요철 또는 요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무늬로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층은 MMA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400)은 상기 측면부재(100)의 하부 중간에 측면부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보강판(400)은 한 쌍의 측면부재(100)의 하부 중간에 연결되어 상기 측면부재(100)를 지지한다.
부연하면, 상기 보강판(400)은 상기 측면부재(100)를 서로 연결시켜 측면부재(100)의 하중 저항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용접되어 접합된다.
상기 스토퍼(500)는 상기 측면부재(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측면부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500)는 "L"자 형태로서, 상기 측면부재(100)의 하부에 용접 접합되어 복공판 시공 시 복공판이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토퍼(500)의 일측에는 미끄럼 방지 및 충격흡수를 위한 고무패드(510)가 설치된다.
상기 고무패드(510)의 상부에는 복수의 결합돌기(51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511)는 측면부재(100)의 삽입공(140)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돌기(511)는 상기 삽입공(140)에 삽입될 때 절개부에 의해 수축되면서 삽입되고, 완전하게 삽입된 후에는 결합돌기(511)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이완되면서 측면부재(100)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고무패드(510)는 복공판을 지지하는 구조물과의 결합 시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시공된 복공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통행 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재(600)는 상기 측면부재(100)의 전,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측면부재(10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한다.
상기 마감부재(600)는 직사각형의 판재이며, 상단에 복수의 결합슬릿(61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걸림단턱(62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610)에는 상판부재(300)의 결합리브(320)가 결합된다. 상기 걸림단턱(620)은 상기 측면부재(100)의 전단 및 후단의 플랜지(110)에 각각 걸리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마감부재(600)는 상기 측면부재(10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여 복공판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흙 등의 불순물이 복공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부식을 방지한다. 또한, 복공판의 둘레를 커버하여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재(100)의 외측에는 측면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측면 지주대(710)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H형강으로 이루어진 측면부재(100)의 상,하부 플랜지(110) 사이에는 "L"자 형태의 앵글을 절단하여 형성된 측면 지주대(710)가 양끝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측면부재(100)의 측면 모서리에는 절곡 부분이 측면부재(100)의 모서리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모서리 지주대(72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지주대(720)는 "L"자 형태의 앵글을 절단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복공판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키고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재(100)의 측면 모서리에는 절곡 부분이 측면부재(100)의 모서리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모서리 지주대(72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모서리 지주대(720)들 사이에는 상기 측면부재(100)와의 사이에 공기층(740)을 형성하는 차음부재(730)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복공판은 측면부재(100)와 차음부재(730) 사이에 공기층(740)이 형성되어 소음이 공기층(740)을 통과하면서 감쇄되어 제거되면서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음부재(730)는 상기 모서리 지주대(720)들 사이에 용접되어 접합되며, 마감판(731), 복수의 차음패널(732) 및 흡음판(733)을 포함한다.
상기 마감판(731)은 양쪽에 이웃하는 모서리 지주대(720)와 상호 면접된 부분에 용접되어 접합된다.
상기 마감판(731)은 상기 모서리 지주대(720)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음패널(732)은 상기 마감판(731)의 일면에 마감판(7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특히, 상기 차음패널(732)은 제1 간섭부(732b), 고정부(732c) 및 제2 간섭부(732d)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간섭부(732b)는 중간에 개방슬릿(732a)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슬릿(732a)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의 전달 경로에 회절이 발생하여 소음이 감쇄되도록 한다. 즉, 상기 개방슬릿(732a)을 통해 소음이 통과하면서 넓게 퍼지는 현상인 회절이 발생하여 소음을 감쇄시킨다.
상기 고정부(732c)는 상기 제1 간섭부(732b)의 양측 단부에서 "ㄷ"자 형태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마감판(731)에 부착된다.
상기 제2 간섭부(732d)는 상기 고정부(732c)의 내면에 다수의 요철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소음을 재차 감쇄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차음패널(732)에 의하면, 상기 제1 간섭부(732b)의 개방슬릿(732a)에 의해 소음의 전달 경로에 회절이 발생하여 1차로 소음이 감쇄되고, 이어서 제2 간섭부(732d)에 의해 회절 범위를 확장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상기 흡음판(733)은 상기 마감판(731)의 일면에 설치되어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잔존하는 미세 소음을 흡음하여 소멸시킨다.
상기 흡음판(733)은 상기 마감판(731)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마감판(731)의 내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된다.
상기 흡음판(733)은 부직포 또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음을 흡음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복공판은 측면부재(100)를 기준으로 상판부재(300), 상기 상판부재(300)의 전,후단에 각각 설치된 마감부재(600), 모서리 지주대(720) 및 차음부재(730)에 의해 복공판의 상부 및 둘레를 커버함으로써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측면부재(100)와 차음부재(730)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740)에 의해 복공판 위로 차량 통행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가두어 감쇄시킨다. 또한, 상기 공기층(740)에 잔류하는 소음은 다시 한번 차음패널(732)로 진입하면서 연속적인 회절 발생으로 인하여 현저하게 소멸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측면부재 110 : 플랜지
120 : 웨브 130 : 인양구멍
140 : 삽입공 200 : 지지판
210 : 결합슬릿 300 : 상판부재
310 : 단위부재 320 : 결합리브
400 : 보강판 500 : 스토퍼
510 : 고무패드 511 : 결합돌기
600 : 마감부재 610 : 결합슬릿
620 : 걸림단턱 710 : 측면 지주대
720 : 모서리 지주대 730 : 차음부재
731 : 마감판 732 : 차음패널
732a : 개방슬릿 732b : 제1 간섭부
732c : 고정부 732d : 제2 간섭부
733 : 흡음판 740 : 공기층

Claims (10)

  1.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100);
    상기 측면부재(1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측면부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판(200);
    상기 지지판(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단위부재(310)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이루어진 상판부재(300);
    상기 측면부재(100)의 하부 중간에 측면부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판(400);
    상기 측면부재(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측면부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토퍼(500); 및
    상기 측면부재(100)의 전,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측면부재(10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마감부재(600);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재(100)의 측면 모서리에는 절곡 부분이 측면부재(100)의 모서리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모서리 지주대(72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모서리 지주대(720)들 사이에는 상기 측면부재(100)와의 사이에 공기층(740)을 형성하는 차음부재(730)가 설치되며,
    상기 차음부재(730)는, 양쪽에 이웃하는 모서리 지주대(720)와 용접으로 접합되는 마감판(731);
    상기 마감판(731)의 일면에 마감판(7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복수의 차음패널(732); 및
    상기 마감판(731)의 일면에 설치되어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판(733);을 포함하고,
    상기 차음패널(732)은, 중간에 개방슬릿(732a)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슬릿(732a)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의 전달 경로에 회절이 발생하여 소음이 감쇄되도록 하는 제1 간섭부(732b);
    상기 제1 간섭부(732b)의 양측 단부에서 "ㄷ"자 형태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마감판(731)에 부착되는 고정부(732c); 및
    상기 고정부(732c)의 내면에 다수의 요철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소음을 재차 감쇄되도록 하는 제2 간섭부(732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100)는 H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0)의 상단에는 상기 상판부재(300)가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슬릿(21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재(300)는 상부면의 양단에서 각각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리브(320)를 갖는 ㄷ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00)의 일측에는 미끄럼 방지 및 충격흡수를 위한 고무패드(5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600)는 직사각형의 판재이며, 상단에 복수의 결합슬릿(61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걸림단턱(6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100)의 외측에는 측면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측면 지주대(710)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부재(100)의 측면 모서리에는 절곡 부분이 측면부재(100)의 모서리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모서리 지주대(72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23457A 2022-02-23 2022-02-23 복공판 KR102648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457A KR102648352B1 (ko) 2022-02-23 2022-02-23 복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457A KR102648352B1 (ko) 2022-02-23 2022-02-23 복공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376A KR20230126376A (ko) 2023-08-30
KR102648352B1 true KR102648352B1 (ko) 2024-03-14

Family

ID=8784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457A KR102648352B1 (ko) 2022-02-23 2022-02-23 복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3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042Y1 (ko) * 2007-02-02 2008-01-21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복공판
KR101841493B1 (ko) * 2017-09-05 2018-03-23 주식회사 포유텍 차량 통행용 덮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239460B1 (ko) * 2020-11-06 2021-04-14 김남룡 소음완충장치가 구비된 복공판 및 그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992B1 (ko) * 2004-07-16 2006-08-08 최영덕 복공판
KR100993800B1 (ko) 2008-12-16 2010-11-11 수림산업(주) 복공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042Y1 (ko) * 2007-02-02 2008-01-21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복공판
KR101841493B1 (ko) * 2017-09-05 2018-03-23 주식회사 포유텍 차량 통행용 덮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239460B1 (ko) * 2020-11-06 2021-04-14 김남룡 소음완충장치가 구비된 복공판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376A (ko)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1213B2 (ja) 吸音パネル及び防音壁設備
KR101960917B1 (ko) 방음터널용 방음판 고정장치
KR20130027786A (ko) 전단벽형 제진장치
JPH09111910A (ja) 吸音性制振形材
KR102648352B1 (ko) 복공판
KR102112387B1 (ko) 하로형 철도 교량의 소음 및 진동 저감 장치
KR101163573B1 (ko) 회절간섭형 방음벽
KR102385827B1 (ko) 하중전이 방지형 방음벽
KR20150142969A (ko) 회절소음저감수단을 갖는 방음판
KR100684358B1 (ko) 방음 판넬 어셈블리
JP7175734B2 (ja) 吸音パネル
JP3658644B2 (ja) 上方に放射される交通騒音の低減構造
JP5732341B2 (ja) 吸音パネル
KR101069828B1 (ko) 방음벽
KR102577962B1 (ko) 간섭현상을 이용한 유지보수형 투명방음판을 구비한 방음벽
KR200412606Y1 (ko) 방음 판넬 어셈블리
KR200434105Y1 (ko) 투명판넬이 장착되는 방음벽
JP2020133281A (ja) 吸音パネル
KR102162183B1 (ko) 부식 방지형 방음판
JP4331055B2 (ja) 高架道路の振動音吸音構造
KR102245637B1 (ko) 좌굴방지 기능을 갖는 분리형 투명방음판
KR102302214B1 (ko) 조립식 복공판
CN219096825U (zh) 车身前部结构及具有其的车辆
KR102417249B1 (ko) 흡음형 방음판
KR20050114824A (ko) 요철 음파소산형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