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085B1 - Peeling Device - Google Patents

Peel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085B1
KR102648085B1 KR1020210151270A KR20210151270A KR102648085B1 KR 102648085 B1 KR102648085 B1 KR 102648085B1 KR 1020210151270 A KR1020210151270 A KR 1020210151270A KR 20210151270 A KR20210151270 A KR 20210151270A KR 102648085 B1 KR102648085 B1 KR 102648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gripping
peeling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65568A (en
Inventor
김종필
왕은영
박해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5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085B1/en
Publication of KR20230065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5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085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temming, piercing, or stripping fruit; Removing sprouts of pot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2015/008Sorting of fruit and vegetables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탈피대상물이 공급되고, 복수개의 탈피대상물이 케이스의 내부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동시에 탈피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eling device in which a peeling object is automatically supplied by an input unit, and a plurality of peeling objects ar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side a case, and the pee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탈피장치{Peeling Device}Peeling Device

본 발명은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투입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탈피대상물이 공급되고, 복수개의 탈피대상물이 케이스의 내부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동시에 탈피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eling device, in which a peeling object is automatically supplied by an input unit, and a plurality of peeling objects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side a case and simultaneously peeling is performed. It's about.

일반적으로, 구근류는 알뿌리를 가진 식물을 말하는 것으로, 무, 감자, 당근, 고구마 등을 말한다. 특히 무(Radish: 무우, 무수)는 십자화과의 먹을 수 있는 뿌리 채소이며, 길이는 약 20cm~35cm을 가지며, 지름은 약 5cm~10cm 정도이다.Generally, bulbs refer to plants with bulbs, such as radishes, potatoes, carrots, and sweet potatoes. In particular, radish (radish) is an edible root vegetable of the cruciferous family, with a length of about 20 cm to 35 cm and a diameter of about 5 cm to 10 cm.

무는 크게 월동무, 봄무, 총각무, 열무, 일본무 등으로 구분되며, 특히 총각무는 알타리무라 불려지며, 일반무에 비해 크기가 훨씬 작으며, 전분질이 많고 매운맛이 강한 무우이다.Radish is largely divided into winter radish, spring radish, single radish, young radish, and Japanese radish. In particular, single radish is called Altari radish and is much smaller than regular radish, has a lot of starch, and has a strong spicy taste.

이러한 무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흙을 제거하고 무의 껍질을 벗기기 위한 무 팍피기가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process food using these radishes, a radish peeler is used to first remove the soil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adish and peel the skin of the radish.

종래의 자동으로 근채류의 껍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해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911941에 개시되어 있다.A conventional device for automatically removing the skin of root vegetables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11941.

종래의 근채류 박피장치를 살펴보면, 근채류가 투입되고 실린더로드가 근채류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하면서 근채류를 가압하여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근채류 공급유닛과, 근채류 공급유닛과 연결되며 실린더로드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는 근채류의 외피 둘레를 다수의 칼날부가 차례로 박피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Looking at a conventional root vegetable peeling device, the root vegetable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root vegetable supply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root vegetable supply unit, where the root vegetable is input and the cylinder rod moves linearly back and for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ot vegetable, pressurizing the root vegetable and supplying it in one direction.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blades sequentially peeling the outer skin of the root vegetables.

그러나, 종래의 근채류 박피장치는 다수개의 근채류를 한꺼번에 작업할 수 없으므로 근채류의 탈피 공정이 장시간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근채류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껍질 제거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탈피 공정시 근채류의 회전에 따라 껍질 제거가 완료된 부분에 중복 탈피 공정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oot vegetable peeling device cannot process multiple root vegetables at once, so the peeling process of root vegetables not only takes a long time, but also the peeling process is performed while the root vegetables are not fixed, so the peel is remov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ot vegetables during the peel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a duplicate stripp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area where the is completed.

또한, 종래의 근채류 박피장치는 근채류가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칼날이 각도별로 배치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근채류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박피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박피작업 중 근채류의 걸림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작업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이를 보완해야하므로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oot vegetable peeling device not only has a complex structure as a plurality of blades are arranged at each angl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ot vegetable, but also the peel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root vegetable is moving, which causes the root vegetable to become caught during the peeling operation. In some c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work efficiency is reduced because work must be supplemented while work is stopped.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91194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1194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입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탈피대상물이 공급되고, 복수개의 탈피대상물이 케이스의 내부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동시에 탈피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to be peeled is automatically supplied by the input unit, and the plurality of objects to be peeled ar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side the case. The aim is to provide a stripping device that can perform stripping work while mov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다수의 부품이 고정 및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에서 투입되는 탈피대상물을 케이스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투입유닛과, 상기 투입유닛의 후방측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유닛의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탈피대상물의 외측을 파지하고, 탈피대상물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개의 고정칼날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복수개의 탈피대상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따라 회전 이동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승강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칼날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탈피대상물의 전후방측에 상기 고정칼날를 삽입시키는 칼날고정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필렛칼날부재가 하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의 탈피대상물의 외주면에 동시에 밀착되어 탈피대상물의 외피를 제거하는 필렛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that forms an exterior and has a plurality of parts fixed and installed,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is installed on the outside. An input unit that injects the object to be peel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and an elevating devic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input unit, grips the outside of the object to be shed and moves to the rear of the input unit, and moves the object to be peeled up and down. A unit and a transfer unit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long the inside of the case, has a plurality of fixed blade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rotates and moves a plurality of peeling objects along the inside of the cas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 blade fixing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member and selectively pressing the fixed blade to insert the fixed blade in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object to be peeled,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unit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fillet blade members. 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includes a fillet unit that simultaneously adheres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plurality of peeling objects to remove the outer skin of the peeling objects.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는,On one side of the transfer unit,

상기 고정칼날의 일단에 걸림 고정되며, 탈피대상물에 박혀 있는 상기 고정칼날을 외부로 이탈시키는 칼날배출유닛이 더 구비된다.A blade discharge unit is further provided, which is fixed to one end of the fixed blade and dislodges the fixed blade stuck in the object to be peeled to the outside.

상기 투입유닛은, 상측이 개방된 바스켓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 투입바스켓과, 상기 투입바스켓의 내부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바스켓에 안착되는 탈피대상물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밀어주는 투입바와, 상기 투입바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투입바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투입실린더를 포함한다.The input unit is composed of a basket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an input basket formed long forward and backward, and is install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side the input basket, and pushes the peeling object seated in the input basket into the inside of the case. It includes an input bar and an input cylinder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put bar and moves the input bar back and forth.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케이스 내부로 투입되는 탈피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모듈과, 상기 파지모듈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파지모듈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모듈은, 탈피대상물의 양측에 설치되며, 측면에 "V"자 형상의 파지홈이 형성되는 파지플레이트와, 상기 파지플레이트의 측면 상,하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파지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바와, 상기 파지플레이트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안내바가 좌우로 관통 설치되는 파지안내블럭과,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안내바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파지플레이트와 상기 파지안내블럭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플레이트를 탈피대상물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스프링과, 상기 파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탄성지지스프링이 설치되어 탈피대상물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파지안내블럭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파지안내블럭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지실린더를 포함한다.The lifting unit includes a gripping module for gripping the peeling object introduced into the case, and a lifting cylinder installed at a lower part of the gripping module to move the gripping module up and down, and the gripping module is configured to hold the peeling object. A gripping plate installed on both sides and having a "V" shaped gripping groove formed on the side, a moving guide bar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ripping plate and guid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gripping plate, It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ipping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 gripping guide block through which the moving guide bar is installed to the left and right,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guide bar, and between the gripping plate and the gripping guide block. An elastic pressing spring is installed to elastically press the gripping plate toward the peeling object, and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gripping plate, a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elastic support spring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to elastically press the lower part of the stripping object. It includes a supporting seating plate, and a gripping cylinder that is installed below the seating plate,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gripping guide block, and moves the gripping guide block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 제1이송모듈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 제2이송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모듈는, 복수개 체인의 연속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전방측에 좌우로 길게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이송부재와,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의 회전이동에 따라 회전 이동되는 제1칼날고정플레이트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칼날고정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전후이동안내프레임과, 상기 전후이동안내프레임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전후이동안내프레임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후이동안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칼날고정바와, 상기 칼날고정바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탈피대상물에 삽입되어 탈피대상물을 고정하는 제1고정칼날을 포함한다.The transfer unit includes a first transfer module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rotatably installed, and a second transfer module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rotatably installed, the first transfer module , a first rotational transfer member made by successively combining a plurality of chains, installed on the inside front side of the case to be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for a long time, and a plurality of them fix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al transfer member. A first blade fixing plate that is installed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ry transfer member,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interior, and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guide frame fixed to the first blade fixing plate, and A blade fixing bar installed penetratingly ins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 guiding frame, movable back and forth on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 guiding frame,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 guiding frame, and fixed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blade fixing bar, It includes a first fixing blade that is inserted into the object to be peeled and fixes the object to be peeled.

상기 제2이송모듈는, 복수개 체인의 연속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후방측에 좌우로 길게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이송부재와,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의 회전이동에 따라 회전 이동되는 복수개의 제2칼날고정플레이트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칼날고정플레이트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외주면에 회전기어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칼날회전안내바와,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의 상측을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하부면에 치차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칼날회전안내바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칼날회전안내바의 회전시키는 랙기어부재와, 상기 칼날회전안내바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며, 탈피대상물에 삽입되어 탈피대상물을 고정하는 제2고정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transfer module is made up of a continuous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chains, and includes a second rotary transfer member install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case to be rotatably movable left and right, and a fixed surface on one side of the second rotary transfer member. A plurality of second blade fixing plates are fixedly installed at intervals and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rotary transfer member, have a cylindrical shape,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blade fixing plate, and have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 plurality of blade rotation guide bars on which a rotation gear is formed, are install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otation transfer member, and gear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gears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blade rotation guide bars to guide the blade rota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rack gear member that rotates the bar, and a second fixed blade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and is inserted into the peeling object to fix the peeling object.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투입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탈피대상물이 공급되고, 복수개의 탈피대상물이 케이스의 내부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동시에 필렛유닛의 전후 이동에 의해 복수개의 탈피대상물을 한꺼번에 탈피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eeling object is automatically supplied by an input unit, a plurality of peeling objects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side the case,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peeling objects are peeled at the same time by moving the fillet unit back and forth. It is configured to work.

따라서, 이송유닛에 의해 복수개의 탈피대상물이 회전이동되는 과정에서 한꺼번에 탈피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since the pee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at the same time while a plurality of peeling objects are rotated and moved by the transfer uni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ork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work productivity is improved.

또한, 탈피대상물을 파지하는 복수개의 파지플레이트가 탈피대상물을 탄성 가압함으로써, 탈피대상물의 파지동작에 의해 탈피대상물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grip plates that grip the object to be shed elastically pressurize the object,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object due to the gripping action of the object.

또한, 제2이송모듈의 상측에 랙기어부재가 설치되어 복수개의 칼날회전안내바(562)가 회전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동작됨에 따라 필렛유닛에 의한 탈피 동작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 rack gear memb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transfer module, so that the plurality of blade rotation guide bars 562 rotate at a certain angle in the process of rotation, so that the peeling operation by the fillet unit can be performed more precisely.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입유닛과 승강유닛 그리고 이송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입유닛과 승강유닛 그리고 이송유닛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입유닛과 승강유닛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시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입유닛과 승강유닛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유닛의 일측에 투입유닛과 승강유닛이 설치되어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유닛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유닛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유닛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유닛의 구성을 보인 전방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이송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이송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이송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이송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렛유닛의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렛유닛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렛칼날부재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날배출유닛의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날배출유닛의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날배출유닛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 unit, a lifting unit, and a transfer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 unit, a lifting unit, and a transfer unit that constitu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put unit and the lifting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 unit and a lifting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put unit and the lifting unit are installed and operat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levating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levating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levating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fer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transfer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transfer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cond transfer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cond transfer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let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let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llet blade memb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lade discharg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lade discharg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lade discharg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입유닛과 승강유닛 그리고 이송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입유닛과 승강유닛 그리고 이송유닛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입유닛과 승강유닛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시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입유닛과 승강유닛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유닛의 일측에 투입유닛과 승강유닛이 설치되어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유닛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유닛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유닛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e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Figure 4 shows a rear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shows a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is shown, and Figure 6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unit, lifting unit, and transfer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shows the input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nit, the lifting unit, and the transfer unit is shown. Figure 8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input unit and the lifting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unit and the lifting unit constituting the example is shown, and Figure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input unit and the lifting unit are installed and operat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다수의 부품이 고정 및 설치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에서 투입되는 탈피대상물(P)을 케이스(100)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투입유닛(200)과, 상기 투입유닛(200)의 후방측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유닛(200)의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탈피대상물(P)의 외측을 파지하고, 탈피대상물(P)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300)과,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를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개의 고정칼날(534,574)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복수개의 탈피대상물(P)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를 따라 회전 이동시키는 이송유닛(500)과, 상기 승강유닛(3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칼날(534,574)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탈피대상물(P)의 전후방측에 상기 고정칼날(534,574)를 삽입시키는 칼날고정유닛(400)과, 상기 이송유닛(500)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필렛칼날부재(604)가 하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의 탈피대상물(P)의 외주면에 동시에 밀착되어 탈피대상물(P)의 외피를 제거하는 필렛유닛(600)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1 to 13, the str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e 100 that forms an exterior and has a plurality of parts fixed and installed, and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100, An input unit 200 that inputs the peeling object (P)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00,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input unit 200, and moves to the rear side of the input unit 200. A lifting unit 300 that grips the outside of the peeling object (P) and moves the peeling object (P) up and down, is rotatably installed along the inside of the case 1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xed blades (534,574). )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 transfer unit 500 that rotates and moves a plurality of peeling objects (P) along the inside of the case 100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n upper side of the lifting unit 300 A blade fixing unit 400 that selectively pressurizes the fixing blades 534,574 to insert the fixing blades 534,574 in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eeling object (P), an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unit 500. A fillet unit 600, which is disposed and has a plurality of fillet blade members 604 rotatably install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simultaneously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plurality of peeling objects (P) and removes the outer skin of the peeling objects (P), etc. It consists of

상기 케이스(100)는 도 1과 같이, 전방벽체(102)와 후방벽체(104) 그리고 전방벽체(102)와 후방벽체(104)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플레이트(106)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1, the case 100 consists of a front wall 102, a rear wall 104, and a connection plate 106 connecting the front wall 102 and the rear wall 104 to each other.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설치공간(미도시)이 형성되어, 다수의 부품이 고정 및 설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설치공간(미도시)의 내부에는 탈피대상물(P)의 껍질 제거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다.An installation space (not shown) is formed inside the case 100, where not only are a number of parts fixed and installed, but also a peeling operation of the peeling object (P) is performed inside the installation space (not shown). You can.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커버(108)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108)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108)의 전방 양측에는 힌지(11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108)는 상기 힌지(11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상단을 통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A cover 108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ase 100. The cover 108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elongated from side to side. Hinges 110 are install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cover 108. The cover 108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case 100 by the hinge 110, and serves to open the inside of the case 100 through the top of the case 100.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벅체에는 투입유닛(200)이 설치된다. 상기 투입유닛(200)은 도 8과 같이, 크게 투입바스켓(202), 투입바(204), 푸쉬플레이트(206), 투입실린더(208) 등으로 이루어진다.An input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front buckle of the case 100. As shown in FIG. 8, the input unit 200 largely consists of an input basket 202, an input bar 204, a push plate 206, an input cylinder 208, etc.

상기 투입바스켓(202)은 상측이 개방된 바스켓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투입바스켓(202)의 바닥면 양측은 중심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부로 투입되는 탈피대상물(P)이 바닥면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input basket 202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sket with an open upper side, and is elongated front and back.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put basket 202 ar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so that the peeling object (P) inputted therein can be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bottom surface.

상기 투입바스켓(202)은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벽체(102)에 전후로 관통되는 투입홀(120)의 전방측에 전후로 길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투입바스켓(202)은 상기 투입홀(120)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탈피대상물(P)을 상기 투입홀(120)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input basket 202 is fixed and installed to be long forward and backward on the front side of the input hole 120 that penetrates the front wall 102 of the case 100 forward and backward. The input basket 202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put hole 120 and serves to guide the peeling object (P) toward the input hole 120.

상기 투입바스켓(202)의 내부에는 투입바(204)가 설치된다. 상기 투입바(204)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투입바(204)는 상기 투입바스켓(202)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투입바(204)는 후술할 푸쉬플레이트(206)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n input bar 204 is installed inside the input basket 202. The input bar 204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elongated front and back. The input bar 204 is installed inside the input basket 202 and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The input bar 204 serves to move the push plate 20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ack and forth.

상기 투입바(204)의 선단에는 푸쉬플레이트(206)가 설치된다. 상기 푸쉬플레이트(206)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투입바(204)의 선단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푸쉬플레이트(206)는 상기 투입바(204)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바스켓(202)의 내부로 투입되는 탈피대상물(P)을 상기 투입홀(120)을 통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A push plate 206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input bar 204. The push plate 206 is made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tip of the input bar 204. The push plate 206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input bar 204 and pushes the peeling object (P) input into the input basket 202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00 through the input hole 120. It plays a role of pushing.

상기 투입바스켓(202)의 하부에는 투입실린더(208)가 설치된다. 상기 투입실린더(208)는 일반적인 실린더(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투입실린더(208)는 상기 투입바(204)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바(204)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n input cylinder 208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put basket 202. The input cylinder 208 is a general cylinder,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input cylinder 208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input bar 204 and serves to move the input bar 204 back and forth.

즉, 상기 투입실린더(208)에 의해 상기 투입바(204)가 전후로 이동되어 상기 투입바스켓(202)의 내부에 안착되는 탈피대상물(P)의 투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input bar 204 can be moved back and forth by the input cylinder 208 to insert the peeling object (P) seated inside the input basket 202.

상기 투입유닛(200)의 후방측 하부에는 승강유닛(300)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유닛(300)은 크게 승강실린더(302)와 파지모듈(31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실린더(302)는 일반적인 실린더(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실린더(302)는 상기 투입유닛(200)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어, 후술할 파지모듈(3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 lifting unit 300 is installed at the rear lower part of the input unit 200. The lifting unit 300 largely consists of a lifting cylinder 302 and a gripping module 310. The lifting cylinder 302 is a general cylinder, s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lifting cylinder 302 is installed at the rear lower side of the input unit 200 and serves to move the gripping module 3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up and down.

상기 승강실린더(302)의 상측에는 파지모듈(310)이 설치된다. 상기 파지모듈(310)은 탈피대상물(P)의 양측에 설치되며, 측면에 "V"자 형상의 파지홈(314)이 형성되는 파지플레이트(312)와,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측면 상,하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바(318)와,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안내바(318)가 좌우로 관통 설치되는 파지안내블럭(320)과,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안내바(318)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와 상기 파지안내블럭(3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플레이트(312)를 탈피대상물(P)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스프링(326)과,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안착홈(330)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탄성지지스프링(332)이 설치되어 탈피대상물(P)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는 안착플레이트(328)와, 상기 안착플레이트(328)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파지안내블럭(32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파지안내블럭(320)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지실린더(336) 등으로 이루어진다.A gripping module 3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cylinder 302. The gripping module 31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eeling object (P), includes a gripping plate 312 with a “V”-shaped gripping groove 314 formed on the side, and a gripping plate 312 on the side of the gripping plate 312. , each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 moving guide bar 318 that guides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olding plate 312, and a moving guide bar 318 tha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olding plate 312.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guide bar 318,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gripping plate 312 and the gripping guide block 320,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 elastic pressing spring 326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gripping plate 312 toward the peeling object (P)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gripping plate 312, and a seating groove 3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An elastic support spring 332 is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peeling object (P), a seating plate 328,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ating plate 328,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gripping guide block 320. It is coupled and consists of a gripping cylinder 336 that moves the gripping guide block 320 to the left or right.

상기 파지플레이트(312)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측측면에 "V"자 형상의 파지홈(314)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플레이트(312)는 탈피대상물(P)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탈피대상물(P)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The gripping plate 312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V” shaped gripping groove 314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The gripping plate 312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object to be peeled (P), and a plurality of grip plates 312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bject to be peeled (P).

즉,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파지홈(314)의 내부에 탈피대상물(P)이 삽입됨으로써 탈피대상물(P)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as the gripping plate 312 moves left and right, the peeling object (P) is inserted into the gripping groove 314, so that the peeling object (P) can be firmly fixed.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전면 또는 후면 상,하측에는 각각 완충롤러(316)가 설치된다. 상기 완충롤러(316)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완충롤러(316)의 일부분은 상기 파지홈(314) 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지홈(314)에 탈피대상물(P)이 삽입되는 경우에 탈피대상물(P)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다.Buffer rollers 316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front or rear sides of the grip plate 312, respectively. The buffer roller 316 has a disk shape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grip plate 312. A portion of the buffer roller 316 is installed to protrude toward the gripping groove 314, and can pressuriz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eling object (P) when the peeling object (P) is inserted into the gripping groove (314). there is.

또한, 상기 완충롤러(316)는 탈피대상물(P)의 파지동작시 탈피대상물(P)을 회전 가능하게 파지함으로써 탈피대상물(P)을 파지동작시 탈피대상물(P)을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buffer roller 316 serves to prevent damage to the peeling object (P) by rotatably holding the peeling object (P) during the gripping operation of the peeling object (P). do.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측면에는 이동안내바(318)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안내바(318)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안내바(318)는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측면 상,하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이동안내바(318)는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 moving guide bar 318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grip plate 312. The moving guide bar 318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is elongated left and right. The movement guide bar 318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rip plate 312, respectively. The movement guide bar 318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grip plate 312 and serves to guid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grip plate 312.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파지안내블럭(320)이 설치된다. 상기 파지안내블럭(320)은 단면이 "L"자 형상을 가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좌측 또는 우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파지안내블럭(320)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안내홀(322)이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다.A gripping guide block 320 is install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gripping plate 312. The gripping guide block 320 is made in the form of a block having an “L” shape in cross section, a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gripping plate 312. A plurality of guide holes 322 are formed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gripping guide block 320 at regular intervals.

상기 파지안내블럭(320)은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안내홀(322)에 상기 이동안내바(318)가 관통 설치됨에 따라 상기 이동안내바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안내바(318)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gripping guide block 320 is dispos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gripping plate 312, and not only supports the moving guide bar 318 as it is installed through the guide hole 322. It serves to guid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movement guide bar 318.

상기 이동안내바(318)의 끝단에는 걸림단(32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324)은 상기 이동안내바(318)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일정 거리 만큼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324)은 상기 이동안내바(318)가 상기 안내홀(322)을 이탈하지 못하도록 상기 파지안내블럭(320)에 걸림 고정되는 부분이다. A stopping end 32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moving guide bar 318. The stopping end 324 protrudes radially by a certain distance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moving guide bar 318. The stopping end 324 is a part that is fastened to the gripping guide block 320 to prevent the moving guide bar 318 from leaving the guide hole 322.

상기 이동안내바(318)의 외주면에는 탄성가압스프링(326)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가압스프링(326)은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가압스프링(326)은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와 상기 파지안내블럭(3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플레이트(312)를 탈피대상물(P)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An elastic pressing spring 326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guide bar 318. The elastic pressure spring 326 is a general coil spring,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elastic pressing spring 326 is installed between the gripping plate 312 and the gripping guide block 320 and serves to elastically press the gripping plate 312 toward the peeling object (P).

즉, 상기 탄성가압스프링(326)에 의해 상기 파지플레이트(312)가 탈피대상물(P)에 탄성 가압됨에 따라 탈피대상물(P)에 일정 이상의 파지력이 탈피대상물(P)에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탄성가압스프링(326)이 수축되어 탈피대상물(P)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gripping plate 312 is elastically pressed to the peeling object (P) by the elastic pressing spring 326 and a gripping force of a certain level or more is applied to the peeling object (P), the elastic The pressure spring 326 is contracted to prevent damage to the peeling object (P).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사이에는 안착플레이트(328)가 설치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328)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328)의 상부면에는 원호면을 가지는 안착홈(33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328)는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홈(330)에 탈피대상물(P)의 하부면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A seating plate 328 is installed between the grip plates 312. The seating plate 328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disposed below the gripping plate 312. A seating groove 330 having an arcuate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328. A plurality of the seating plates 328 are disposed on the lower part of the gripping plate 312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eeling object (P)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eating groove 330.

상기 안착플레이트(328)의 하부면에는 양측에는 탄성지지스프링(332)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32)은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32)은 상기 안착플레이트(328)를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Elastic support springs 332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328. The elastic support spring 332 is a general coil spring,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elastic support spring 332 serves to elastically support the seating plate 328 in an upward direction.

즉, 상기 안착플레이트(328)는 상기 파지플레이트(312)가 탈피대상물(P)을 파지하는 경우에 탈피대상물(P)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안착플레이트(328)가 탈피대상물(P)의 하부면에 탄성 가압됨에 따라 탈피대상물(P)에 일정 이상의 파지력이 탈피대상물(P)에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32)이 수축되어 탈피대상물(P)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eating plate 328 is not only tight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eeling object (P) when the gripping plate 312 grips the peeling object (P), but also the seating plate 328 holds the peeling object (P). When a certain or more gripping force is applied to the peeling object (P) due to elastic pressur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eeling object (P), the elastic support spring 332 is contracted to prevent damage to the peeling object (P). You can.

상기 안착플레이트(328)의 하부에는 지지판(334)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334)은 소정두께를 가지는 사각 판재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안착플레이트(328) 하부면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334)은 상기 안착플레이트(328)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플레이트(328)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support plate 334 is installed below the seating plate 328. The support plate 334 is made of a square pla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eating plates 328. The support plate 334 is installed below the seating plate 328 and serves to support the seating plate 328.

상기 지지판(334)의 하부에는 파지실린더(336)가 설치된다. 상기 파지실린더(336)는 일반적인 실린더(cyc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파지실린더(336)는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파지안내블럭(320)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파지안내블럭(320)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 gripping cylinder 336 is installed below the support plate 334. The gripping cylinder 336 is a general cylinder (cyclinder),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grip cylinder 336 is fixedly installed on the grip guide blocks 32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grip plate 312, and serves to move the grip guide blocks 320 to the left or right.

즉, 상기 파지실린더(336)에 의해 상기 파지안내블럭(32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파지플레이트(312)의 탈피대상물(P)에 대한 파지동작 및 파지해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gripping guide block 320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gripping cylinder 336, so that the gripping and releasing operations of the gripping plate 312 on the peeling object (P) can be performed.

상기와 같이 상기 승강유닛(300)의 승강실린더(302)와 파지모듈(310)에 의해 상기 투입유닛(200)에 의해 외부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투입되는 탈피대상물(P)이 견고하게 파지된 상태에서 후술할 칼날고정유닛(400) 측으로 탈피대상물(P)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to be peeled (P), which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case 100 by the input unit 200 by the lifting cylinder 302 and the gripping module 310 of the lifting unit 300, is firmly It serves to move the peeling object (P) to the blade fixing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 tightly held state.

또한, 상기 승강유닛(300)은 후술할 칼날고정유닛(400)에 의해 제1고정칼날(534)를 삽입하는 경우 탈피대상물(P)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unit 300 may also serve to fix the position of the peeling object (P) when the first fixing blade 534 is inserted by the blade fixing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승강유닛(300)의 상측에는 칼날고정유닛(400)이 설치된다. 상기 칼날고정유닛(400)은 도 10과 같이, 크게 가압플레이트(402)와 가압실린더(404) 등으로 이루어진다.A blade fixing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unit 300. As shown in FIG. 10, the blade fixing unit 400 largely consists of a pressure plate 402 and a pressure cylinder 404.

상기 가압플레이트(402)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압플레이트(402)는 상기 승강유닛(300)의 상측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칼날고정바(524)를 전방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The pressure plate 402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The pressing plate 402 is install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on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unit 300 and serves to press the blade fixing bar 5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ward the front.

상기 가압플레이트(402)의 좌측에는 가압실린더(404)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실린더(404)는 일반적인 실린더(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압실린더(404)는 상기 가압플레이트(402)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실린더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 pressure cylinder 404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pressure plate 402. The pressurizing cylinder 404 is a general cylinder, s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pressure cylinder 404 is coupled to the pressure plate 402 and serves to move the pressure cylinder back and forth.

즉, 상기 승강유닛(300)에 의해 탈피대상물(P)이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칼날고정유닛(400)의 후방측에 배치되면, 상기 칼날고정유닛(400)의 가압플레이트(402)가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후술할 칼날고정바(524)를 후방측으로 가압 동작시키고, 이로 인해 탈피대상물(P)의 전방 중심부와 후방 중심부에 각각 후술할 제1,2고정칼날(534,547)이 삽입되어 후술할 이송유닛(500)에 탈피대상물(P)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object to be peeled (P) is held by the elevating unit 300 and placed on the rear side of the blade fixing unit 400, the pressurizing plate 402 of the blade fixing unit 400 moves toward the rear side. The blade fixing bar 5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ved and operated to press the rearward side, and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lades 534 and 54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into the front center and the rear center of the peeling object P, respectively, to form a transfer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object to be peeled (P) can be firmly fixed to (500).

도 1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유닛의 구성을 보인 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이송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이송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이송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이송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4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5 show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transfer modu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shows a front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transfer modu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7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cond transfer modu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cond transfer modu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이송유닛(5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transfer unit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8.

상기 이송유닛(500)은 크게 제1이송모듈(510)와 제2이송모듈(5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송모듈(51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상측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이송모듈(55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상측 후방측에 배치된다.The transfer unit 500 largely consists of a first transfer module 510 and a second transfer module 550. The first transfer module 510 is plac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case 100, and the second transfer module 550 is plac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case 100.

상기 제1이송모듈(510)는 제1회전이송부재(512), 제1스프라켓(514), 제1구동부재(516), 제1칼날고정플레이트(518), 전후이동안내프레임(522), 칼날고정바(524), 제1가이드롤러(528), 제1고정칼날(534)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transfer module 510 includes a first rotation transfer member 512, a first sprocket 514, a first drive member 516, a first blade fixing plate 518,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guide frame 522, It consists of a blade fixing bar 524, a first guide roller 528, and a first fixing blade 534.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512)는 복수개 체인(chain)의 연속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전방 상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512)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제1칼날고정플레이트(518)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rotary transfer member 512 is formed by continuously combining a plurality of chains, and is disposed long left and right on the upper inner front side of the case 100. The first rotational transfer member 512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and serves to rotate the first blade fixing plate 51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512)의 양측에는 제1스프라켓(514)이 설치된다. 상기 제1스프라켓(514)은 일반적인 스프라켓으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스프라켓(514)은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512)에 양측 내부에 치차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512)를 회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First sprockets 514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otating transfer member 512. The first sprocket 514 is a general sprocket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first sprocket 514 is gear-coup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otary transfer member 512, and serves to rotate the first rotary transfer member 512.

상기 제1스프라켓(514)의 후면에는 제1구동부재(516)가 설치된다. 상기 제1구동부재(516)는 일반적인 모터(moto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구동부재(516)는 상기 제1스프라켓(514)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스프라켓(514)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A first driving member 516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irst sprocket 514. The first driving member 516 is a general motor, s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first driving member 516 is coupled to the first sprocket 514 and serves to rotate the first sprocket 514.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512)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제1칼날고정플레이트(518)가 설치된다. 상기 제1칼날고정플레이트(518)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512)의 상,하측 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고정 설치된다.A plurality of first blade fixing plates 518 ar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first rotating transfer member 512. The first blade fixing plate 518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lurality of first blade fixing plates 518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front surfaces of the first rotating transfer member 512 at regular intervals.

또한, 상기 제1칼날고정플레이트(518)의 전면 상측에는 제1장착홀(5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장착홀(520)은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칼날고정플레이트(518)에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장착홀(520)의 내부에는 후술할 전후이동안내프레임(522)이 설치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Additionally, a first mounting hole 520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first blade fixing plate 518. The first mounting hole 520 has a “U” shape and is formed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first blade fixing plate 518. Inside the first mounting hole 520,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guide frame 5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and fixed.

상기 제1장착홀(520)의 내부에는 전후이동안내프레임(522)이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동안내프레임(522)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장착홀(52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동안내프레임(522)의 내부에는 후술할 칼날고정바(524)가 관통 설치되어, 후술할 칼날고정바(524)를 상기 제1칼날고정플레이트(518)이 고정할 뿐만 아니라 후술할 칼날고정바(524)의 삽입 동작시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guide frame 522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mounting hole 520.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guide frame 522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interior, and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first mounting hole 520. A blade fixing bar 5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penetrating ins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guide frame 522, and the first blade fixing plate 518 not only fixes the blade fixing bar 5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ut also holds the bla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serves to guid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during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fixing bar 524.

상기 전후이동안내프레임(522)의 내부에는 칼날고정바(524)가 관통 설치된다. 상기 칼날고정바(524)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칼날고정바(524)는 상기 전후이동안내프레임(522)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된다.A blade fixing bar 524 is installed penetrating ins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guide frame 522. The blade fixing bar 524 is shaped like a round bar and is elongated front and rear. The blade fixing bar 524 is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guide frame 522.

또한, 상기 칼날고정바(524)는 상기 전후이동안내프레임(522)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제1고정칼날(534)을 탈피대상물(P)가 삽입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blade fixing bar 524 is install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o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guide frame 522, and serves to insert and fix the first fixing blade 53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inserting and fixing the peeling object (P).

상기 칼날고정바(524)의 끝단에는 걸림턱(52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26)은 상기 칼날고정바(524)의 끝단에 방사상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26)은 후술할 칼날배출유닛(700)에 걸림 고정되는 부분이다.A locking protrusion 526 is formed at the end of the blade fixing bar 524. The locking protrusion 526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from the end of the blade fixing bar 524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locking protrusion 526 is a part that is caught and fixed to the blade discharge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칼날고정바(524)의 외주면에는 제1가이드롤러(528)가 설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528)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칼날고정바(524)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528)의 외주면에는 제1회전안내홈(5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안내홈(530)은 상기 제1가이드롤러(528)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안내홈(530)은 후술할 제1회전이동가이드판(53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칼날고정바(524)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 first guide roller 528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lade fixing bar 524. The first guide roller 528 has a disk shape and is fixed to the blade fixing bar 524. A first rotation guide groove 53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roller 528. The first rotation guide groove 530 is recessed in an arc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roller 528. The first rotation guide groove 53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guide plate 5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erves to guide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blade fixing bar 524.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512)의 후방측에는 제1회전이동가이드판(532)이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이동가이드판(532)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A first rotation guide plate 532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rotation transfer member 512. The first rotation guide plate 532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to be long from side to side.

또한, 상기 제1회전이동가이드판(532)은 좌,우측단은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이동가이드판(532)은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512)의 상,하측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롤러(528) 사이에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회전 이동되는 복수개의 상기 제1가이드롤러(528)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rotation guide plate 532 are formed to be rounded in an arc shape. The first rotation guide plate 532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guide rollers 528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rotation transfer member 512,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guide rollers 528 that rotat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guide roller 528 is coupled.

즉, 상기 제1회전이동가이드판(532)의 외주면에 상기 제1가이드롤러(528)의 제1회전안내홈(530)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칼날고정바(524)의 회전 이동이 안내된다.That is, as the first rotation guide groove 530 of the first guide roller 528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guide plate 532,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blade fixing bar 524 is guided.

상기 칼날고정바(524)의 후면에는 제1고정칼날(534)이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칼날(534)은 제1칼날몸체부(536)와 제1칼날부(53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칼날몸체부(536)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칼날고정바(524)의 후단에 전후로 길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칼날몸체부(536)는 후술할 제1칼날부(538)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first fixing blade 534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lade fixing bar 524. The first fixed blade 534 consists of a first blade body portion 536 and a first blade portion 538. The first blade body portion 536 has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to be long forward and backward, and is fixed and installed to be long forward and backward at the rear end of the blade fixing bar 524. The first blade body portion 536 serves to support the first blade portion 53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칼날몸체부(536)의 후단에는 제1칼날부(538)가 설치된다. 상기 제1칼날부(538)는 단면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칼날몸체부(536)의 후단에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칼날부(538)는 탈피대상물(P)에 전방 중심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이송유닛(500)에 탈피대상물(P)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A first blade portion 538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blade body portion 536. The first blade portion 538 has a “+” shape in cross section, and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blade body portion 536. The first blade portion 538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ront center of the object P, and serves to fix the object P to the transfer unit 500.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512)의 후방측에는 제1이송커버(54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이송커버(540)는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512)의 후방측과 측면 그리고 상,하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51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A first transfer cover 540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rotating transfer member 512. The first transfer cover 540 is installed to cover the rear side, sides, and top and bottom of the first rotary transfer member 512, and serves to protect the first rotary transfer member 512.

상기 제1이송유닛(500)의 후방측에는 제2이송유닛(500)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이송유닛(500)은, 크게 제2회전이송부재(552), 제2스프라켓(554), 제2구동부재, 제2칼날고정플레이트(558), 제2장착홀(560), 칼날회전안내바(562), 제2가이드롤러(568), 제2회전안내홈(570), 제2회전이동가이드판(572), 제2고정칼날(574) 등으로 이루어진다.A second transfer unit 50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transfer unit 500. The second transfer unit 500 largely includes a second rotation transfer member 552, a second sprocket 554, a second drive member, a second blade fixing plate 558, a second mounting hole 560, and a blade. It consists of a rotation guide bar 562, a second guide roller 568, a second rotation guide groove 570, a second rotation guide plate 572, and a second fixed blade 574.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552)는 복수개 체인(chain)의 연속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후방 상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552)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제2칼날고정플레이트(558)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rotary transfer member 552 is formed by continuously combining a plurality of chains, and is disposed long left and right on the upper inner rear side of the case 100. The second rotational transfer member 552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and serves to rotate the second blade fixing plate 55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552)의 양측에는 제2스프라켓(554)이 설치된다. 상기 제2스프라켓(554)은 일반적인 스프라켓으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스프라켓(554)은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552)에 양측 내부에 치차 결합되며,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552)를 회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Second sprockets 554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otating transfer member 552. The second sprocket 554 is a general sprocket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second sprocket 554 is gear-coupl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otary transfer member 552, and serves to rotate the second rotary transfer member 552.

상기 제2스프라켓(554)의 후면에는 제2구동부재(556)가 설치된다. 상기 제2구동부재(556)는 일반적인 모터(moto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구동부재(556)는 상기 제2스프라켓(554)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스프라켓(554)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A second driving member 556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cond sprocket 554. The second driving member 556 is a general motor, s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second driving member 556 is coupled to the second sprocket 554 and serves to rotate the second sprocket 554.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552)의 후면에는 복수개의 제2칼날고정플레이트(558)가 설치된다. 상기 제2칼날고정플레이트(558)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552)의 상,하측 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고정 설치된다.A plurality of second blade fixing plates 558 ar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rotating transfer member 552. The second blade fixing plate 558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lurality of second blade fixing plates are fixed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and lower front surfaces of the second rotary transfer member 552.

또한, 상기 제2칼날고정플레이트(558)의 전면 상측에는 제2장착홀(56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홀(560)은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칼날고정플레이트(558)에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홀(560)의 내부에는 후술할 전후이동안내프레임(522)이 설치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Additionally, a second mounting hole 560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second blade fixing plate 558. The second mounting hole 560 has a “U” shape and is formed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second blade fixing plate 558. Inside the second mounting hole 560,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guide frame 5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and fixed.

상기 제2장착홀(560)의 내부에는 칼날회전안내바(562)가 설치된다. 상기 칼날회전안내바(562)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장착홀(56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칼날회전안내바(562)의 외주면을 따라 치차 형태의 회전기어(564)가 형성된다. 상기 칼날회전안내바(562)는 상기 제2장착홀(5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술할 랙기어부재(566)에 치차 결합되어, 제2고정칼날(574)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A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mounting hole 560.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rotatably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second mounting hole 560. A gear-shaped rotation gear 564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cond mounting hole 560 and is gear-coupled to a rack gear member 56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erves to rotate the second fixed blade 574. .

상기 칼날회전안내바(562)의 상측에는 랙기어부재(566)가 설치된다. 상기 랙기어부재(566)는 일반적인 랙기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랙기어부재(566)는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552)의 상측을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랙기어부재(566)의 하부면에는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칼날회전안내바(562)의 회전기어(564)가 치차 결합된다.A rack gear member 566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The rack gear member 566 is a general rack gear,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rack gear member 566 is install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otary transfer member 552. Gear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ack gear member 566, and the rotation gear 564 of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is gear-coupled.

상기 랙기어부재(566)와 상기 칼날회전안내바(562)가 치차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552)에 의해 복수개의 칼날회전안내바(562)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동시에 일정한 속도로 상기 칼날회전안내바(562)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the rack gear member 566 and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are gear-coupled, the plurality of blade rotation guide bars 562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the second rotation transfer member 552.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may rotate at a constant speed while moving.

상기 칼날회전안내바(562)의 후면에는 제2가이드롤러(568)가 설치된다. 상기 제2가이드롤러(568)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칼날회전안내바(562)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2가이드롤러(568)의 외주면에는 제2회전안내홈(570)이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안내홈(570)은 상기 제2가이드롤러(568)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안내홈(570)은 후술할 제2회전이동가이드판(57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칼날회전안내바(562)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 second guide roller 568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The second guide roller 568 has a disk shape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A second rotation guide groove 57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roller 568. The second rotation guide groove 570 is recessed in an arc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roller 568. The second rotation guide groove 57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guide plate 57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erves to guide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552)의 후방측에는 제2회전이동가이드판(572)이 설치된다. 상기 제2회전이동가이드판(572)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A second rotation guide plate 572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rotation transfer member 552. The second rotation guide plate 572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to be long from side to side.

또한, 상기 제2회전이동가이드판(572)은 좌,우측단은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이동가이드판(572)은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552)의 상,하측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롤러(568) 사이에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회전 이동되는 복수개의 상기 제2가이드롤러(568)가 결합된다.Additionally,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econd rotation guide plate 572 are formed to be rounded in an arc shape. The second rotation guide plate 572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guide rollers 568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rotation transfer member 552,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rotation guides that rotat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guide roller 568 is coupled.

즉, 상기 제2회전이동가이드판(572)의 외주면에 상기 제2가이드롤러(568)의 제2회전안내홈(570)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칼날회전안내바(562)의 회전 이동이 안내된다.That is, as the second rotation guide groove 570 of the second guide roller 568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guide plate 572,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is guided. .

상기 칼날회전안내바(562)의 전면에는 제2고정칼날(574)이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칼날(574)은 상기 제1이송유닛(500)의 제1고정칼날(534)의 구성과 동일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second fixed blade 574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Since the second fixed blade 574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fixed blade 534 of the first transfer unit 500,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552)의 전방측에는 제2이송커버(576)가 설치된다. 상기 제2이송커버(576)는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552)의 전방측과 측면 그리고 상,하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55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A second transfer cover 576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rotating transfer member 552. The second transfer cover 576 is installed to cover the front side, sides, and top and bottom of the second rotary transfer member 552, and serves to protect the second rotary transfer member 552.

도 1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렛유닛의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렛유닛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렛칼날부재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9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let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show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let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1 shows a configuration of a fillet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llet blade memb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is shown.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필렛유닛(6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illet unit 6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1.

상기 이송유닛(500)의 상측에는 필렛유닛(600)이 설치된다. 상기 필렛유닛(600)은 크게 필렛고정프레임(602), 필렛칼날부재(604), 필렛이송실린더(618), 실린더지지판(620) 등으로 이루어진다.A fillet unit 600 is installed above the transfer unit 500. The fillet unit 600 largely consists of a fillet fixing frame 602, a fillet blade member 604, a fillet transfer cylinder 618, and a cylinder support plate 620.

상기 필렛고정프레임(602)은 각형의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유닛(500)의 상측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필렛고정프레임(602)의 전면에는 후술할 복수개의 필렛부재가 고정 및 지지되는 부분이다.The fillet fixing frame 602 is made of a square steel frame and is installed to the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unit 500. The front of the fillet fixing frame 602 is a portion where a plurality of fillet member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fixed and supported.

상기 필렛고정프레임(602)의 전면에는 필렛칼날부재(604)가 설치된다. 상기 필렛칼날부재(604)는 필렛지지블럭(606), 칼날회동바(612), 회동바작동부재(614), 필렛부(616) 등으로 이루어진다.A fillet blade member 604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fillet fixing frame 602. The fillet blade member 604 consists of a fillet support block 606, a blade rotation bar 612, a rotation bar operating member 614, and a fillet portion 616.

상기 필렛지지블럭(606)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필렛고정프레임(602)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필렛지지블럭(606)은 상기 필렛고정프레임(602)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후술할 칼날회동바(612) 및 회동바작동부재(61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llet support block 606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fillet fixing frame 602. The fillet support block 606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llet fixing frame 602, and serves to support the blade rotation bar 612 and the rotation bar operating member 6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필렛지지블럭(606)의 전면에는 제1회동홀(608)이 형성된다. 상기 제1회동홀(608)은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회동홀(608)의 내부에는 후술할 회동바작동부재(614)의 끝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이다.A first rotation hole 608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llet support block 606. The first rotation hole 608 has a long hole shape and is elongated vertically. Inside the first rotation hole 608, the end of the rotation bar operating member 6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installed.

상기 필렛지지블럭(606)의 하부에는 제2회동홀(610)이 형성된다. 상기 제2회동홀(610)은 상기 필렛지지블럭(606)의 하부면 중앙에 상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2회동홀(610)의 내부에는 후술할 칼날회동바(612)가 끝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부분이다.A second rotation hole 61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llet support block 606. The second rotation hole 610 is recessed upwar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llet support block 606. Inside the second rotating hole 610, a blade rotating bar 6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ixed at its end so that it can rotate.

상기 제2회동홀(610)의 내부에는 칼날회동바(612)가 설치된다. 상기 칼날회동바(612)는 바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칼날회동바(612)의 일단은 상기 제2회동홀(6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필렛부(616)를 전방 상,하측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 blade rotation bar 612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rotation hole 610. The blade rotation bar 612 is shaped like a bar and is elongated front and back. One end of the blade rotation bar 612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second rotation hole 610, and serves to rotate the fillet portion 6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ward and upward and downward.

상기 칼날회동바(612)의 상부에는 회동바작동부재(614)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바작동부재(614)는 일반적인 실린더(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동바작동부재(614)의 일단은 상기 제1회동홀(608)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칼날회동바(612)의 상부면 전방측에 고정 설치되어, 도 20과 같이 상기 칼날회동바(612)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 rotating bar operating member 614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lade rotating bar 612. The rotating bar operating member 614 is a general cylinder, s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One end of the rotating bar operating member 614 is rotatably fixed to the first rotating hole 608, and the other e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blade rotating bar 612, as shown in FIG. 20. It serves to rotate the blade rotation bar (612) up and down.

상기 칼날회동바(612)의 끝단에는 필렛부(616)가 설치된다. 상기 필렛부(616)는 일반적인 필러형 칼날로 자세할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필렛부(616)는 상기 칼날회동바(612)의 상하 회동 동작에 따라 탈피대상물(P)의 상측 외주면에 밀착되어, 탈피대상물(P)의 껍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A fillet portion 616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blade rotation bar 612. The fillet portion 616 is a general filler-type blade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fillet portion 61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eling object (P)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rotation motion of the blade rotation bar 612, and serves to remove the skin of the peeling object (P).

상기 필렛고정프레임(602)의 좌우측 하부에는 필렛이송실린더(618)가 설치된다. 상기 필렛이송실린더(618)는 일반적인 실린더(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필렛이송실린더(618)는 상기 필렛고정프레임(602)의 좌,우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필렛고정프레임(602)의 전후로 이동 시키는 역할을 한다.Fillet transfer cylinders 618 are install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let fixing frame 602. The fillet transfer cylinder 618 is a general cylinder, s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fillet transfer cylinder 618 is install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let fixing frame 602, respectively, and serves to move the fillet fixing frame 602 forward and backward.

즉, 상기 필렛이송실린더(618)에 의해 상기 필렛부(616)가 탈피대상물(P)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후방측으로 상기 필렛고정프레임(602)을 당겨줌으로써, 탈피대상물(P)의 껍질 제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by pulling the fillet fixing frame 602 toward the rear while the fillet portion 61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eling object (P) by the fillet transfer cylinder 618, the shell of the peeling object (P) A removal operation may be performed.

상기 필렛이송실린더(618)의 하부면에는 실린더지지판(620)이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지지판(620)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지지판(620)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좌우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부면에 설치되는 상기 필렛이송실린더(618)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cylinder support plate 62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let transfer cylinder 618. The cylinder support plate 620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and is formed to be long front to back. The cylinder support plate 62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 100, respectively, and serves to support the fillet transfer cylinder 618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도 2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날배출유닛의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날배출유닛의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날배출유닛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22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lade discharg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show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lade discharg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4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lade discharg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이하에서는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칼날배출유닛(7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blade discharge unit 7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24.

상기 칼날배출유닛(700)은 크게 좌우이송실린더(702), 배출프레임(704), 전후이송실린더(706) 그리고 배출플레이트(708)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blade discharge unit 700 largely consists of a left and right transfer cylinder 702, a discharge frame 704, a front and rear transfer cylinder 706, and a discharge plate 708.

상기 좌우이송실린더(702)는 일반적인 실린더(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우이송실린더(702)는 상기 전방벽체(102)의 전면 상측에 고정 설치된다.The left and right transfer cylinders 702 are general cylinders,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left and right transfer cylinders 702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front wall 102.

또한, 상기 좌우이송실린더(702)는 상기 이송유닛(500)은 우측 끝단측에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송실린더(702)는 상기 전방벽체(102)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후술할 배출프레임(704)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Additionally, the left and right transfer cylinders 702 are installed at the right end of the transfer unit 500. The left and right transfer cylinders 702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front wall 102 and serve to transfer the discharge frame 70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좌우이송실린더(702)의 좌측면에는 배출프레임(704)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프레임(704)은 단면이 "┘"자 형상을 가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유닛(500)의 우측단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배출프레임(704)은 상기 좌우이송실린더(702)의 좌측면에 설치되어, 후술할 전후이송실린더(706)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discharge frame 704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left and right transfer cylinders 702. The discharge frame 704 is made in the form of a block having a “┘” shape in cross section, a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ight end of the transfer unit 500. The discharge frame 704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left and right transfer cylinders 702 and serves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transfer cylinders 70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배출프레임(704)의 전면에는 전후이송실린더(706)가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송실린더(706)는 일반적인 실린더(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후이송실린더(706)는 상기 배출프레임(704)에 설치되어, 후술할 배출플레이트(708)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 forward and backward transfer cylinder 706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discharge frame 704. The forward and backward transfer cylinder 706 is a general cylinder,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forward and backward transfer cylinder 706 is installed on the discharge frame 704 and serves to move the discharge plate 70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ack and forth.

상기 전후이송실린더(706)의 후방에는 배출플레이트(708)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플레이트(708)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좌측면 중앙에 "U"자 형상의 배출홀(710)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7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이송모듈(510)의 칼날고정바(524)가 삽입되어, 탈피대상물(P)에 삽입 고정된 제1고정칼날(534)의 배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A discharge plate 708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orward and backward transfer cylinder 706. The discharge plate 708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and a “U” shaped discharge hole 71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eft side. The blade fixing bar 524 of the first transfer module 510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hole 710, so that the first fixing blade 534 inserted and fixed into the peeling object (P) can be discharged. there is.

즉, 상기 칼날배출유닛(700)은 상기 이송유닛(500)의 우측단 끝단에 배치되어, 탈피대상물(P)의 껍질 제거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칼날고정바(524)를 전방측으로 당겨줌으로써, 탈피대상물(P)에 삽입 고정된 제1고정칼날(534)을 제거하는 배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blade discharge unit 700 is disposed at the right end of the transfer unit 500, and pulls the blade fixing bar 524 toward the front after the peeling object P is completely removed, thereby removing the peeling object P. A discharge operation may be performed to remove the first fixed blade 534 inserted and fixed into the object P.

상기 이송유닛(500)의 우측 하부에는 수거부재(800)가 설치된다. 상기 수거부재(800)는 사각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이송모듈(510)와 상기 제2이송모듈(550)의 우측단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수거플레이트(802)와, 상기 수거플레이트(802)의 하부면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탈피대상물(P)의 낙하방향을 안내하는 안내플레이트(804) 등으로 이루어진다.A collection member 800 is installed at the lower right side of the transfer unit 500. The collection member 800 is made of a square plate and includes a collection plate 802 fixed to the lower right end of the first transfer module 510 and the second transfer module 550, and the collection plate 802. I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lower surface of and consists of a guide plate 804 that guides the falling direction of the peeling object (P).

상기 수거플레이트(802)의 일부분은 탈피대상물(P)의 회전 이동 경로상에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수거플레이트(802)에 탈피대상물(P)의 회전이동하는 과정에서 걸림 동작됨에 따라 껍질이 제거된 탈피대상물(P)이 취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 portion of the collection plate 802 is disposed so that a portion protrudes on the rotational movement path of the peeling object (P). As the peeling object (P) is caught in the process of rotational movement on the collection plate 802, the peeling object (P) from which the shell has been removed can be taken out smoothly.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탈피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도 도 24을 참조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rip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examin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24.

먼저, 작업자는 케이스(100)의 투입홀(120)측에 설치되는 투입유닛(200)의 투입바스켓(202)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탈피대상물(P)을 투입한다.First, the worker inputs the peeling object (P) into the input basket 202 of the input unit 200 installed on the input hole 120 side of the case 100 at regular time intervals.

상기 투입바스켓(202)에 탈피대상물(P)의 안착되면, 푸쉬플레이트(206)가 투입실린더(208)에 의해 후방측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탈피대상물(P)이 케이스(100)의 내부로 투입된다.When the object to be peeled (P) is placed in the input basket 202, the push plate 206 is moved rearward by the input cylinder 208, and as a result, the object to be peeled (P) is put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00. do.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투입된 탈피대상물(P)은 승강유닛(300)의 파지모듈(310)에 안착되고, 파지모듈(310)이 작동에 의해 탈피대상물(P)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파지플레이트(312)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탈피대상물(P)의 양측을 파지한다.The peeling object (P) introduced into the case 100 is seated on the gripping module 310 of the lifting unit 300, and the gripping module 310 is operated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eling object (P). A plurality of gripping plates 312, respectively disposed in , are mov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o grip both sides of the peeling object (P).

또한, 상기 파지플레이트(312)는 탄성가압스프링(326)에 의해 탈피대상물(P)의 탄성 가압함으로써, 탈피대상물(P)에 일정 이상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파지동작에 의한 탈피대상물(P)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ing plate 312 elastically pressurizes the object to be peeled (P) by the elastic pressure spring 326, thereby preventing a certain amount of pressing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object to be peeled (P), thereby preventing the object from being peeled by the gripping operation. Damage to (P)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파지모듈(310)에 설치되는 안착플레이트(328)가 탈피대상물(P)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 동작되어 탈피대상물(P)의 하부면에 대한 견고한 파지동작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ating plate 328 installed on the gripping module 310 is elastically pressed from the bottom of the peeling object (P) upward to achieve a firm gripping opera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eeling object (P).

상기 파지모듈(310)에 의한 탈피대상물(P)의 파지동작이 완료되면, 승강실린더(302)가 작동되어 탈피대상물(P)이 상승동작되고, 칼날고정유닛(400)의 후방측에 탈피대상물(P)을 위치된다.When the gripping operation of the object to be peeled (P) by the gripping module 310 is completed, the lifting cylinder 302 is operated to raise the object to be peeled (P), and the object to be peeled is placed on the rear side of the blade fixing unit 400. (P) is located.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상측에서 회전 이동되는 이송유닛(500)의 칼날고정바(524)와 칼날회전안내바(562)가 탈피대상물(P)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동축선상에 위치된다.In addition, the blade fixing bar 524 and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of the transfer unit 500, which rotates on the upper inner side of the case 100, are coaxially position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eeling object (P), respectively. is located in

상기와 같이 탈피대상물(P)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상기 칼날고정바(524)와 칼날회전안내바(562)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칼날고정유닛(400)이 작동되어 상기 칼날고정바(524)가 후방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칼날고정유닛(400)에 의해 상기 칼날고정바(524)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면, 탈피대상물(P)의 전방 중앙에는 상기 칼날고정바(524)의 제1고정칼날(534)이 삽입되고, 탈피대상물(P)의 후방 중앙에는 상기 칼날회전안내바(562)의 제2고정칼날(574)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500)에 탈피대상물(P)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the blade fixing bar 524 and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object P, respectively, the blade fixing unit 400 is operated to operate the blade fixing bar. (524) is moved to the posterior side. When the blade fixing bar 524 is moved to the rear side by the blade fixing unit 400, the first fixing blade 534 of the blade fixing bar 524 is inserted into the front center of the peeling object (P), As the second fixed blade 574 of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is inserted into the rear center of the object P, the object P can be firmly fixed to the transfer unit 500.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이송유닛(500)에 연속적으로 탈피대상물(P)의 고정 동작이 고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the fixing operation of the peeling object P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in the transfer unit 500.

상기 이송유닛(500)에 탈피대상물(P)이 장착되면, 상기 이송유닛(500)의 제1이송모듈(510)와 제2이송모듈(550)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된다.When the peeling object (P) is mounted on the transfer unit 500, the first transfer module 510 and the second transfer module 550 of the transfer unit 500 rotate clockwise.

또한, 상기 제2이송모듈(550)의 칼날회전안내바(562)의 외주면에는 회전기어(564)가 형성되고, 상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되는 랙기어부재(566)와 치차 결합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rotation gear 56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of the second transfer module 550, and is configured to be gear-coupled with the rack gear member 566 disposed long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ide.

따라서, 상기 칼날회전안내바(562)와 상기 랙기어부재(566)의 치차 결합에 의해 상기 이송유닛(500)의 상측 직선구간을 통과하는 복수개의 탈피대상물(P)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됨과 동시에 일정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Therefore, the plurality of peeling objects (P) passing through the upper straight section of the transfer unit 500 are rotated clockwise by the gear coupling of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562 and the rack gear member 566. At the same time, it can be rotated at a certain angle.

이러한 탈피대상물(P)의 회전 이동 및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는 동작 과정에서 필렛유닛(600)의 껍질제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eeling operation of the fillet unit 600 may be performed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eeling object P and the rotation at a certain angle.

즉, 복수개의 탈피대상물(P)의 회전 이동되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탈피대상물(P)의 껍질 제거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다량의 탈피대상물을 연속적으로 탈피작업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rotating and moving a plurality of peeling objects (P), the peeling operation of the peeling objects (P) is continuously performed, so that a large amount of peeling objects can be peeled continuously, which not only improves productivity. Working time may be shortened.

상기 필렛유닛(600)에 의해 탈피대상물(P)의 껍질 제거 작업이 완료되면, 탈피대상물(P)이 상기 이송유닛(500)의 우측 끝단에 위치되고, 칼날배출유닛(700)이 작동되어 상기 칼날고정바(524)의 전방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1고정칼날(534)에서 탈피대상물(P)의 배출동작이 이루어진다.When the peeling object (P) is completed by the fillet unit (600), the peeling object (P) is located at the right end of the transfer unit (500), and the blade discharge unit (700) is operated to operate the peeling object (P). By transferring it to the front side of the blade fixing bar 524, the peeling object P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fixing blade 534.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above,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100. 케이스 120. 투입홀
200. 투입유닛 300. 승강유닛
302. 승강시린더 310. 파지모듈
312. 파지플레이트 336. 파지실린더
400. 칼날고정유닛 500. 이송유닛
510. 제1이송모듈 550. 제2이송모듈
600. 필렛유닛 616. 필렛부
700. 칼날배출유닛 800. 수거부재
100. Case 120. Input hole
200. Insertion unit 300. Elevating unit
302. Elevating cylinder 310. Gripping module
312. Gripping plate 336. Gripping cylinder
400. Blade fixing unit 500. Transfer unit
510. 1st transfer module 550. 2nd transfer module
600. Fillet unit 616. Fillet part
700. Blade discharge unit 800. Collection member

Claims (6)

외관을 형성하며, 다수의 부품이 고정 및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에서 투입되는 탈피대상물을 케이스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투입유닛과;
상기 투입유닛의 후방측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유닛의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탈피대상물의 외측을 파지하고, 탈피대상물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개의 고정칼날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복수개의 탈피대상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따라 회전 이동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승강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칼날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탈피대상물의 전후방측에 상기 고정칼날를 삽입시키는 칼날고정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필렛칼날부재가 하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의 탈피대상물의 외주면에 동시에 밀착되어 탈피대상물의 외피를 제거하는 필렛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케이스 내부로 투입되는 탈피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모듈과;
상기 파지모듈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파지모듈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모듈은,
탈피대상물의 양측에 설치되며, 측면에 "V"자 형상의 파지홈이 형성되는 파지플레이트와;
상기 파지플레이트의 측면 상,하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파지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바와;
상기 파지플레이트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안내바가 좌우로 관통 설치되는 파지안내블럭과;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안내바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파지플레이트와 상기 파지안내블럭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플레이트를 탈피대상물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스프링과;
상기 파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탄성지지스프링이 설치되어 탈피대상물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파지안내블럭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파지안내블럭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지실린더;를 포함하는 탈피장치.
A case that forms the exterior and where a number of parts are fixed and installed;
an input unit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inputs the material to be peel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of the case;
A lifting unit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input unit, grips the outside of the object to be peeled moving toward the rear of the input unit, and moves the object to be peeled up and down;
a transfer unit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long the inside of the case, has a plurality of fixed blade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rotates a plurality of peeling objects along the inside of the cas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 blade fixing unit disposed above the lifting unit and selectively pressing the fixing blade to insert the fixing blade in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object to be peeled;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unit, and includes a fillet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fillet blade members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plurality of peeling objects at the same time to remove the outer skin of the peeling objects;
The lifting unit is,
a gripping module that grips the peeling object input into the case;
It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gripping module and includes a lifting cylinder that moves the gripping module up and down;
The gripping module is,
A gripping plat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object to be peeled and having a “V” shaped gripping groove formed on the side;
a movement guide bar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rip plate and guides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grip plate;
a gripping guide block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ipping plate and through which the moving guide bar is installed to penetrate left and right;
an elastic pressing spr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guide bar, and installed between the gripping plate and the gripping guide block to elastically press the gripping plate toward the peeling object;
A seating plat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grip plate,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elastic support spring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peeling object;
A peeling device comprising: a gripping cylinde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plate,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gripping guide block, and moving the gripping guide block to the left or r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칼날의 일단에 걸림 고정되며, 탈피대상물에 박혀 있는 상기 고정칼날을 외부로 이탈시키는 칼날배출유닛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n one side of the transfer unit,
A pe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one end of the fixed blade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blade discharge unit that dislodges the fixed blade stuck in the object to be peeled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유닛은,
상측이 개방된 바스켓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 투입바스켓과;
상기 투입바스켓의 내부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바스켓에 안착되는 탈피대상물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밀어주는 투입바와;
상기 투입바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투입바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투입실린더;를 포함하는 탈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An input basket consisting of a basket with an open upper side and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an input bar install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side the input basket, and pushing an object to be peeled seated in the input basket into the inside of the case;
A stripping device comprising: an input cylinder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put bar and moves the input bar back and forth.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 제1이송모듈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 제2이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모듈은,
복수개 체인의 연속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전방측에 좌우로 길게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이송부재와;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회전이송부재의 회전이동에 따라 회전 이동되는 제1칼날고정플레이트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칼날고정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전후이동안내프레임과;
상기 전후이동안내프레임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전후이동안내프레임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후이동안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칼날고정바와;
상기 칼날고정바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탈피대상물에 삽입되어 탈피대상물을 고정하는 제1고정칼날;을 포함하는 탈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unit is:
a first transfer module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rotatably installed;
It includes a second transfer module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rotatably installed;
The first transfer module is,
a first rotational transfer member made by continuously combining a plurality of chains and installed to be rotatably movable left and right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case;
A plurality of first blade fixing plates are fixedly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otary transfer member at regular intervals and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rotary transfer member;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guide frame made of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fixed to the first blade fixing plate;
a blade fixing bar installed through the inside of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 guiding fram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 guiding frame,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 guiding frame;
A first fixing blade is fixed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blade fixing bar and is inserted into the peeling object to fix the stripping objec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모듈은,
복수개 체인의 연속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후방측에 좌우로 길게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이송부재와;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의 회전이동에 따라 회전 이동되는 복수개의 제2칼날고정플레이트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칼날고정플레이트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외주면에 회전기어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칼날회전안내바와;
상기 제2회전이송부재의 상측을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하부면에 치차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칼날회전안내바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칼날회전안내바의 회전시키는 랙기어부재와;
상기 칼날회전안내바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며, 탈피대상물에 삽입되어 탈피대상물을 고정하는 제2고정칼날;을 포함하는 탈피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transfer module,
a second rotary transfer member made by continuously combining a plurality of chains and installed to be rotatably movable left and right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case;
A plurality of second blade fixing plates are fixedly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rotary transfer member at regular intervals and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rotary transfer member;
A plurality of blade rotation guide bars having a cylindrical shape,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blade fixing plate, and having a rotation gear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rack gear member that is install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otary transfer member, has gears formed on its lower surface, and is gear-coupled with a plurality of blade rotation guide bars to rotate the blade rotation guide bars;
A second fixed blad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lade rotation guide bar and is inserted into the peeling object to fix the peeling object.



KR1020210151270A 2021-11-05 2021-11-05 Peeling Device KR1026480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270A KR102648085B1 (en) 2021-11-05 2021-11-05 Pee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270A KR102648085B1 (en) 2021-11-05 2021-11-05 Peel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568A KR20230065568A (en) 2023-05-12
KR102648085B1 true KR102648085B1 (en) 2024-03-15

Family

ID=8638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270A KR102648085B1 (en) 2021-11-05 2021-11-05 Peel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08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941B1 (en) * 2017-05-15 2018-10-25 정연선 Apparatus for peeling root vegetables
KR102128243B1 (en) 2018-12-27 2020-06-3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팜텍 Fruit peeling machine
KR102180256B1 (en) 2020-02-26 2020-11-18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Peeling-off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068A (en) * 2010-09-03 2012-03-14 주식회사 삼원테크 Bulbous peelling apparatus
KR102219777B1 (en) * 2019-06-10 2021-02-24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Apparatus for making fishcakes skewered fo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941B1 (en) * 2017-05-15 2018-10-25 정연선 Apparatus for peeling root vegetables
KR102128243B1 (en) 2018-12-27 2020-06-3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팜텍 Fruit peeling machine
KR102180256B1 (en) 2020-02-26 2020-11-18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Peeling-off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568A (en)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86939B1 (en) Automatic meat and/or vegetable kebab making machine
KR101832391B1 (en) Device for Peeling White Radish
DE2246519C2 (en) Device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s
KR102648085B1 (en) Peeling Device
DE3713811A1 (en) DEVICE FOR MECHANICALLY REMOVING LABELS
DE1607234B1 (en) Egg cleaning device
KR102180256B1 (en) Peeling-off Apparatus
US4534085A (en) Fish filleting system
CN111300571B (en) Wooden furniture raw material linkage peeling device
CN112189806B (en) Quail egg sheller
CN110250538B (en) Automatic grapefruit peeler and working method thereof
US5168802A (en) Apparatus for peeling fruits and vegetables
CN110638063B (en) Fruit peeling process convenient for automatic feeding
JP2014239673A (en) Holding tool for peeling device, peeling device and peeling method
PL100436B1 (en) MACHINE FOR CLEANING FRUIT AND VEGETABLES
CN112586768B (en) Radish batch clean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 processing
CN213344125U (en) Beancurd sheet processing equipment
KR102648086B1 (en) Peeling Device
DE2153130C3 (en) DEVICE FOR PEELING ASPARAGUS
CN109907336B (en) Radish peeling equipment based on vertical winding
DE4037216C1 (en) Fruit or vegetable peeling machine for increased output - has several vegetable or fruit holding tanks with cutters which move into position above rotating fixed axis peeling discs with cutters
DE679163C (en) Bottle washing machine
CN218164224U (en) High-efficient peeling apparatus
CN213356349U (en) Beancurd sheet discharging mechanism
CN210445594U (en) Automatic shaddock decort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