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026B1 - 탈취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탈취용 환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8026B1 KR102648026B1 KR1020230085193A KR20230085193A KR102648026B1 KR 102648026 B1 KR102648026 B1 KR 102648026B1 KR 1020230085193 A KR1020230085193 A KR 1020230085193A KR 20230085193 A KR20230085193 A KR 20230085193A KR 102648026 B1 KR102648026 B1 KR 1026480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filter module
- filter
- frame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99 photocata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12 wast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517 Anser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ompound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212 Foot-and-Mouth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10198 Foot-and-mouth disease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4 ceramic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37 hydrogen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며 내외부를 관통하는 개구부 및 배출부가 형성된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내부 중공부로 유입한 후 상기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흡입유닛; 및 상기 외부케이스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내 악취를 포함한 미세물질이 걸러지는 걸림유닛;을 포함하는 탈취용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필터를 적용하여 악취 오염물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제거된 오염물의 제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탈취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소, 돼지, 닭, 오리, 개 등과 같은 각종 가축을 기르는 축사에서는 가축의 배설물, 사료 등에서 특유의 냄새가 결합된 암모니아와 황화수소가 주성분인 악취 유해가스가 발생되고, 이 악취 유해가스는 축사에서 수 km 떨어진 곳까지 전파되어 많은 민원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축사 내부의 공기는 많은 세균성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어 가축이 쉽게 전염병에 노출될 위험성이 있고, 특히 구제역이나 AI와 같은 다양한 전염병은 한 지역에서 발생하게 되면 그 지역 전체의 가축을 도살시켜야 하기 때문에 축산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게 된다.
따라서, 축산 농가에서는 상기의 문제 원인인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탈취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탈취기술로는 물리ㆍ화학적 처리방법과, 생물학적 처리방법들이 적용되며, 물리ㆍ화학적 처리방법은 활성탄흡착법, 약액세정법, 오존산화법, 연소탈취(소각)법 등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술한 물리ㆍ화학적 처리방법은 오염가스의 제거효율은 높지만 시설비, 재료비 등과 같은 조업비가 많이 소요되고, 저농도의 폐가스를 배출 허용기준까지 저감시키는 데 비경제적이고, 특히 2차 오염물질(SOx, CO,NOx)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는 토양미생물처리법, 폭기조탈취법 그리고 바이오필터를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토양미생물처리법과 폭기조탈취법은 전체 시스템의 압력손실이 높고, 장치의 단위면적당 처리 가능한 폐가스의 양이 매우 적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보다 간단한 구성을 취하면서도 탈취 효과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킨 탈취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서도 탈취 효과를 가져오도록 하되 탈취를 하고자 하는 공기 내 악취 오염물을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탈취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된 악취 오염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탈취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며 내외부를 관통하는 개구부 및 배출부가 형성된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내부 중공부로 유입한 후 상기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흡입유닛; 및 상기 외부케이스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내 악취를 포함한 미세물질이 걸러지는 걸림유닛;을 포함하는 탈취용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는 가시광감응성 광촉매물질이 코팅되고,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는 가시광선을 발생하는 조명유닛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유닛은 양측이 개구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둘레프레임과, 상기 둘레프레임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필터모듈과, 상기 둘레프레임 내측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2필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프레임은 하부에 상기 제1필터모듈에 걸러진 먼지가 낙하하여 상기 둘레프레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배출부와, 상기 제2필터모듈에 걸러진 먼지가 낙하하여 상기 둘레프레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배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에 의하면, 외부케이스 내부에도 유입된 공기를 탈취 및 항균할 수 있도록 하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나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원인 이물질들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키어 원천적으로 악취 원인 제거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에 의하면, 분리된 악취 오염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에 적용되는 걸림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걸림유닛에 있어서 제2필터모듈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 및 이물질제거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 및 이물질제거유닛에 적용되는 주요 구성들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 탈취용 환기장치에 적용되는 걸림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걸림유닛에 있어서 진동모터부와 제1필터모듈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에 적용되는 걸림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걸림유닛에 있어서 제2필터모듈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 및 이물질제거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 및 이물질제거유닛에 적용되는 주요 구성들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 탈취용 환기장치에 적용되는 걸림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걸림유닛에 있어서 진동모터부와 제1필터모듈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100)는 외부케이스(110), 송퓽유닛(150) 및 걸림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케이스(110)는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며 양측으로 개방된 배출부가 형성되되 도면상 전방측으로 외부케이스(11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개구부(115)가 한 개 이상 구비된다.
도 1에서는 외부케이스(110)의 일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양측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고 양측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의 외부케이스가 적용되고 있으며, 도면상 외부케이스(110)의 전방측에 두 개의 개구부(115)가 구비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양측 배출부측으로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에는 모터부와 흡입팬부를 포함하는 흡입유닛(150)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의 작동 시 상기 흡입팬부의 회전에 따라 외부케이스(110) 외부 주변 공기를 상기 개구부(115)로 흡입한 후 외부케이스(110) 양측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에는 가시광감응성 광촉매물질이 내면 또는 내부에 설치된 장치들 표면에 코팅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에는 별도의 가시광선을 발생하는 조명유닛(170)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조명유닛(170)을 통하여 발생되는 가시광선이 상기 광촉매물질과의 반응을 일으키어 외부케이스(110) 내부에 유입된 유체의 악취 제거 및 탈취 저감 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이는 공지된 다양한 기술에 따른 광촉매물질과 조명유닛의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걸림유닛(200)은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개구부(115)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내 악취를 포함한 미세한 이물질들이 걸러지는 역할을 하는 구성을 이룬다. 즉, 공기와 함께 유동하는 악취물질이 묻은 먼지나 상당히 가벼운 미세 이물질들이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악취 오염원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걸림유닛(200)은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상기 개구부(115) 각각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개구부(115)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에 적용되는 걸림유닛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걸림유닛에 있어서 제1필터모듈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걸림유닛(200)은 둘레프레임(210), 제1필터모듈(231), 제2필터모듈(242) 및 전방덮개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둘레프레임(210)은 양측이 개구된 형태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개구부(115)의 외형에 대응되어 사각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둘레프레임(210)은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되 외부 유해물질이 표면에 묻더라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항균 및 세라믹 코팅 등이 표면에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모듈(231)은 상기 둘레프레임(210)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필터모듈(231)은 내부가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필터프레임(232)과, 상기 제1필터프레임(232) 내부 관통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제1필터(2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필터(233)는 자동차에 적용되는 에어컨 필터 등과 같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늘리도록 다수의 층상 형태를 이루면서 소정 두께를 가지는 필터 형태가 적용된다.
또한, 상기 제1필터(233)는 활성탄이나 세라믹 분말이 내부나 외부 적절 위치로 코팅되거나 표면 접착된 상태를 이루어 제1필터(233)를 통과하는 악취 이물질의 탈취 효과가 배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모듈(231)도 상기 둘레프레임(210) 내측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둘레프레임(210) 상부에는 장홈 형태의 입출공(212)이 구비되고, 상기 제1필터모듈(231)이 상기 입출공(212)을 통하여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둘레프레임(210)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둘레프레임(210)의 내부 양측부에는 서로 대면되는 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부(218)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218) 사이로 상기 제1필터모듈(231)이 슬라이딩 이동하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18)는 측단면상 상하 수직방향에 소정 각도(θ)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필터모듈(231) 또한 둘레프레임(210)에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경사각도는 유입되는 외부 유체에 접촉되는 상기 제1필터모듈(231)의 외측면이 하향된 상태를 이루는 각도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1필터모듈(231) 상측에는 손잡이부(234)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234)는 상기 제1필터모듈(231)을 둘레프레임(210)에 용이하게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이룬다.
상기 손잡이부(234)도 소정 색상을 가지고 상기 제1필터프레임(232)과 일체된 형태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되 표면에는 내부 색상 파악이 가능한 부직포 등이 감싸지도록 하여 외부에 묻은 이물질 양을 내부 색상이 보이는지 정도를 이용 외부에서 임시적으로 이물질의 쌓이는 정도 파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프레임(210)과 외부케이스(110) 사이로 상기 개구부(115)를 덮어 감싸는 위치로 상기 제2필터모듈(242)이 구비된다.
상기 제2필터모듈(242)은 내부가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필터프레임(244)과, 상기 제2필터프레임(244) 내부 관통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제2필터(248)를 포함한다. 상기 제2필터(248)는 미세한 홀을 가지는 메시망 또는 부직포가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2필터모듈(242)은 상기 둘레프레임(210)의 후방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볼트 결합 또는 억지끼움 결합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프레임(210)의 전방측을 덮어 감싸는 전방덮개부(220)가 구비되되, 상기 전방덮개부(220)는 개방된 루버(228)가 적용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둘레프레임(210)은 하부에 상기 제1필터모듈(231)에 걸러진 이물질이 낙하하여 상기 둘레프레임(210)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배출부(216)와, 상기 제2필터모듈(242)에 걸러진 이물질이 낙하하여 상기 둘레프레임(210)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배출부(2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배출부(216)는 상기 경사져 설치된 제1필터모듈(231)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되 평면상 하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제1필터모듈(231) 상단부가 상기 제1배출부(216) 전방 단부 내측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모듈(231)과 제2필터모듈(242) 사이로 상기 제2배출부(21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배출부(216)와 제2배출부(214)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며 상기 제1배출부(216)와 제2배출부(214)를 통하여 하측으로 낙하하는 악취오염원 이물질을 수용하는 덮개부(290)가 억지끼움 등으로 둘레프레임(210) 하측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에 의하면, 외부케이스(110) 내부로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 시 악취 오염원을 이루는 미세 이물질을 제1필터모듈(231)과 제2필터모듈(242)이 통과되지 못하고 흡착 또는 하측으로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물리적으로 악취를 일으키는 주요 오염원을 직접 분리하여 원천적이면서도 강력한 악취 제거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분리된 악취 이물질을 필요 시 덮개부(290) 청소를 통하여 한 번에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 및 이물질제거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 및 이물질제거유닛을 이루는 주요 구성들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를 이루는 외부케이스(110), 걸림유닛(200) 등의 기본 구조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다른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환기장치(100)는 상기 걸림유닛(200)을 이루는 둘레프레임(210) 하부 일측에 힌지부(281)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280)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부(280)는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를 이루며, 상기 힌지부(181)에 구비된 힌지모터부(185)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280)가 외부 신호에 따라서 회동함으로써 상기 둘레프레임(210) 하측에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제1배출부(216)와 제2배출부(214)가 개방 및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280) 내측에는 상기 둘레프레임(210) 하부에 구비된 제1배출부(216)와 제2배출부(214)를 통하여 낙하하는 이물질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감지부(184)가 구비된다. 상기 중량감지부는 덮개부(280) 내부에 구비되는 받침판(미도시)과, 상기 받침판 하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로드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280)의 타측에는 보조커버부(282)가 상기 덮개부(28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280)의 타측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커버부(282)는 자중에 의하여 회동하도록 상당 질량을 가지는 금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탈취용 환기장치 하측으로 이물질제거유닛(300)이 구비된다.
상기 이물질제거유닛(300)은 양측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덕트부(310)와, 상기 덕트부(3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부(310) 내 이물질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흡입팬유닛(320)과, 상기 흡입팬유닛(320)에 의하여 유동하는 이물질이 포집 저장되는 저장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덕트부(310)는 상측으로 상기 덕트부(310) 내외부를 관통하는 개방부(314)가 구비되되, 상기 개방부(314)는 상기 걸림유닛(200)에 대응되는 위치로 걸림유닛(200)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314)를 개폐하는 커버부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흡입유닛(150), 중량감지부(184), 힌지모터부(185), 흡입팬유닛(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350)가 구비되어, 상기 중량감지부(184)에서 일정량의 이물질이 수용된 상태로 파악 시 상기 힌지모터부(185)가 작동하여 상기 덮개부(280)를 하측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일정한 각도까지 상기 덮개부(280)가 회동하게 되면 자중에 의하여 상기 보조커버부(282)가 열리면서 상기 덮개부(280) 내부 이물질이 하측에 배치된 덕트부(310)의 개방부(314)를 통하여 덕트부(310) 내부로 낙하하여 유입된다.
그리고, 제어부(350)가 흡입팬유닛(320)을 작동시키어 덕트부(310) 내부에 유입된 악취 오염원이 묻은 이물질을 저장부(330)로 이동시키어 저장하고 필요 시 저장부(330) 내부 이물질만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악취 오염원 관리를 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 탈취용 환기장치에 적용되는 걸림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걸림유닛에 있어서 진동모터부와 제1필터모듈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유닛(200)도 둘레프레임(210), 제1필터모듈(231), 제2필터모듈(242) 및 전방덮개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둘레프레임(210), 제1필터모듈(231), 제2필터모듈(242) 및 전방덮개부(220)의 세부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유닛은 상기 둘레프레임(210) 내부 상부 일측으로 상기 제1필터모듈(231)와 제2필터모듈(242) 사이로 진동모터부(252)와, 상기 진동모터부(252)의 회전축에 연장되어 구비되는 회전축부(254)와, 상기 회전축부(25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 간격마다 구비되는 충격편부(256)와, 상기 충격편부(256) 단부에 구비되는 충격부(258)를 포함한다.
상기 충격편부(256)는 상기 진동모터부(252)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부(254)가 회전 시 상기 충격부(258)가 상기 제1필터모듈(231)와 제2필터모듈(242)에 부딪혀 충격을 가할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충격편부(256)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충격부(258)는 소정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필터모듈(231)와 제2필터모듈(242)는 각각 상기 충격부(258)가 부딪히는 영역에 충격판(247, 272)이 상기 제1필터모듈(231)와 제2필터모듈(242)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충격판(247, 272)은 종이나 펄프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필터(238)와 제2필터(248)에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한번에 많은 충격이 가하여지도록 하여 상기 제1필터(238) 및 제2필터(248)에 묻은 이물질이 용이하게 분리되어 낙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충격편부(256)는 소정의 블레이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필터모듈(231)와 제2필터모듈(242) 사이 공기 유동을 일으켜 이물질의 분리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15) 측에는 공기압감지부가 적용되어 중량감지부 이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공기압감지부를 이용 제1필터모듈(231)과 제2필터모듈(242)에 쌓인 이물질로 인한 공기압 정도 측적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탈취용 환기장치
110: 외부케이스
115: 개구부
188: 중량감지부
200: 걸림유닛
210: 둘레프레임
231: 제1필터모듈
242: 제2필터모듈
110: 외부케이스
115: 개구부
188: 중량감지부
200: 걸림유닛
210: 둘레프레임
231: 제1필터모듈
242: 제2필터모듈
Claims (4)
-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며 내외부를 관통하는 개구부 및 배출부가 형성된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내부 중공부로 유입한 후 상기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흡입유닛; 및
상기 외부케이스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내 악취를 포함한 미세물질이 걸러지는 걸림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유닛은 양측이 개구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둘레프레임과,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필터모듈과,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둘레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제2필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둘레프레임은 하부에 상기 제1필터모듈에 걸러진 먼지가 낙하하여 상기 둘레프레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배출부와, 상기 제2필터모듈에 걸러진 먼지가 낙하하여 상기 둘레프레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배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필터모듈은 내부가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필터프레임과, 상기 제1필터프레임 내부 관통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제1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둘레프레임 상부에는 상기 제1필터모듈이 삽입되는 장홈 형태의 입출공이 구비되며,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부 양측부에는 서로 대면되는 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부가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사이로 상기 제1필터모듈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둘레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는 측단면상 상하수직방향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필터모듈이 상기 둘레프레임에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배출부는 상기 경사져 설치된 제1필터모듈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되 평면도상 상기 제1필터모듈 상단부가 상기 제1배출부 전방 단부 내측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둘레프레임 하부 일측에 힌지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를 이루며,
상기 덮개부 내측에는 낙하하는 미세물질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감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에 상기 덮개부를 회동시키는 힌지모터부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케이스 하부에 상기 덮개부의 회동 동작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구비되는 덕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덕트부는 상기 덮개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상부에 개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덕트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부 내 공기와 미세물질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흡입팬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흡입유닛, 상기 중량감지부, 상기 힌지모터부, 상기 흡입팬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탈취용 환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는 가시광감응성 광촉매물질이 코팅되고,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는 가시광선을 발생하는 조명유닛가 구비되는,
탈취용 환기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5193A KR102648026B1 (ko) | 2023-06-30 | 2023-06-30 | 탈취용 환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5193A KR102648026B1 (ko) | 2023-06-30 | 2023-06-30 | 탈취용 환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48026B1 true KR102648026B1 (ko) | 2024-03-15 |
Family
ID=9027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5193A KR102648026B1 (ko) | 2023-06-30 | 2023-06-30 | 탈취용 환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802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8490A (ko) * | 1996-09-20 | 2000-07-25 | 가나이 쓰도무 | 광촉매 박막 및 이것을 구비한 물품 |
KR20120007245U (ko) * | 2011-04-12 | 2012-10-22 | 김계철 | 공기정화유니트 |
KR102083665B1 (ko) | 2019-08-22 | 2020-03-03 | (주)제이엔텍 | 유해공기 살균 및 탈취장치 |
KR20200126515A (ko) * | 2019-04-30 | 2020-11-09 | 서현 | 공기청정 송풍장치 |
KR20220046078A (ko) * | 2020-10-07 | 2022-04-14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실내외 공기 배출과 흡입이 가능한 양방향성 환풍기 |
-
2023
- 2023-06-30 KR KR1020230085193A patent/KR1026480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8490A (ko) * | 1996-09-20 | 2000-07-25 | 가나이 쓰도무 | 광촉매 박막 및 이것을 구비한 물품 |
KR20120007245U (ko) * | 2011-04-12 | 2012-10-22 | 김계철 | 공기정화유니트 |
KR20200126515A (ko) * | 2019-04-30 | 2020-11-09 | 서현 | 공기청정 송풍장치 |
KR102083665B1 (ko) | 2019-08-22 | 2020-03-03 | (주)제이엔텍 | 유해공기 살균 및 탈취장치 |
KR20220046078A (ko) * | 2020-10-07 | 2022-04-14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실내외 공기 배출과 흡입이 가능한 양방향성 환풍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2026B1 (ko) | 습식형 공기청정기 | |
KR101404722B1 (ko) | 공기 정화 처리장치 | |
KR101653544B1 (ko) | 오염공기 탈취장치 | |
KR101414562B1 (ko) | 친환경 환풍기 | |
CN104344467A (zh) | 具有可分流的空气管的空气净化装置 | |
CN108568213A (zh) | 台桌式实验室空气污染物去除机 | |
KR101663962B1 (ko) |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 |
KR20150015880A (ko) |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 |
KR101254750B1 (ko) | 악취물 수집 보관용 콘테이너 | |
KR100715547B1 (ko) | 오염공기 탈취장치 | |
KR102344433B1 (ko) | 축산시설 공기정화 시스템 | |
CN210114923U (zh) | 有机废气光氧复合设备 | |
KR101463216B1 (ko) | 효율이 향상된 악취제거장치 | |
CN109990407B (zh) | 一种水雾空气净化装置 | |
KR102648026B1 (ko) | 탈취용 환기장치 | |
CN106931514A (zh) |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 |
CN219795630U (zh) | 一种有净化结构的自动通风机 | |
KR101595321B1 (ko) |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
JPH10241455A (ja) |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 |
CN105890044A (zh) | 一种空气净化消毒器的消毒净化过滤通道结构 | |
KR101459499B1 (ko) | 가습형 공기 청정기 | |
WO2020052237A1 (zh) | 一种空气净化装置 | |
CN205550043U (zh) | 一种复合式含尘废气净化装置 | |
KR100558273B1 (ko) | 자연 가습 시스템과 이를 구비한 자연 가습형 공기청정기 | |
CN206566667U (zh) | 一种高效空气净化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