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515A - 공기청정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청정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515A
KR20200126515A KR1020190050256A KR20190050256A KR20200126515A KR 20200126515 A KR20200126515 A KR 20200126515A KR 1020190050256 A KR1020190050256 A KR 1020190050256A KR 20190050256 A KR20190050256 A KR 20190050256A KR 20200126515 A KR20200126515 A KR 20200126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ing unit
filter
blowing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675B1 (ko
Inventor
서현
Original Assignee
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 filed Critical 서현
Priority to KR1020190050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67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적인 송풍 기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과 선택적으로 공기청정 기능을 제공하는 착탈 가능한 필터링유닛을 구비하여 장비의 활용도를 높이고, 기기 보관의 불편함과 공간 낭비를 최소화하며,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청정 송풍장치 {Air Blowing System Capable Of Air Cleaning}
본 발명은 공기청정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본적인 송풍 기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과 선택적으로 공기청정 기능을 제공하는 착탈 가능한 필터링유닛을 구비하여 장비의 활용도를 높이고, 기기 보관의 불편함과 공간 낭비를 최소화하며,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 송풍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황사와 미세먼지 등으로 인해 대기질이 현저히 나빠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를 필터링하여 청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다만, 계절적인 풍향의 변화에 따라 동절기와 하절기에 공기청정기의 사용 빈도 또는 필요성의 차이가 발생한다.
하절기에는 선풍기 등의 송풍장치가 많이 사용되며, 동절기에는 송풍장치 또는 공기조화기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나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여 공기청정기의 필요성이 큰 기간이라 할 수 있다.
결국, 가정 등의 생활공간 또는 업무공간에서 공기청정기와 송풍장치 등을 모두 구비하고 필요한 기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계절별로 선풍기 등의 송풍장치와 공기청정기를 함께 구비하여 계절 변화 등에 따라 필요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최선일 수 있으나, 두가지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적 여유 유무 또는 비용적인 이유로 여의치 않은 상황이 많았다.
선풍기는 모터에 의하여 팬을 회전시켜 송풍하는 장치이며, 공기청정기의 경우,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을 갖는 제품이 소개되고 있으나, 공기청정기의 핵심기능은 필터 전후에 공압차를 형성하여 미세먼지 등이 포함된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게 하며, 필터를 통해 오염물질을 수집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종 센서, 하우징 또는 디스플레이 등은 공기청정기의 핵심 구성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공기청정기의 경우, 고급화된 장치를 구입하는 초기 비용 이외에도 전용 필터를 사용하여 교체해야 하므로, 필터 교환 시기가 도래하여 필터를 교환하는 경우에 필터 교체에 따른 비용 부담이 현저히 높아 사용자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의 경우, 계절 변화에 따른 풍향의 의하여 계절별 사용빈도가 차이가 발생되므로,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계절에는 선풍기를 꺼내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큰 부피를 차지하는 공기청정기의 경우 미사용시 보관도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인 송풍 기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과 선택적으로 공기청정 기능을 제공하는 착탈 가능한 필터링유닛을 구비하여 장비의 활용도를 높이고, 기기 보관의 불편함과 공간 낭비를 최소화하며,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필터링유닛을 탈거하여 독립적인 송풍장치로 사용하여 장비 및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공기청정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용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시중에서 비교적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범용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전면에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필터링유닛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측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이물질 제거를 위한 필터;가 장착 가능한 필터링유닛; 및 상기 필터링유닛의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배출홀이 형성된 배출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배출면에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송풍팬과 상기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송풍유닛 하우징을 구비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 및 상기 송풍유닛 하우징은 각각의 두께가 각각의 폭 또는 높이보다 작고, 상기 필터링유닛 및 상기 송풍유닛은 형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링유닛을 구성하는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배출홀이 형성된 측면인 배출면의 단위 배출홀의 크기 또는 면적당 배출홀의 개수로 조절되는 단위 면적당 배출홀 면적의 합는 영역별로 편차가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면의 단위 면적당 배출홀 면적의 합가 낮은 링형상으로 구성되는 풍량감소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풍량감소영역은 상기 송풍유닛의 송풍팬에 의하여 상기 배출면에 가해지는 음압이 큰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링유닛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필터를 장착하거나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일측면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구성되는 도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하여 공기 유로가 상기 필터에 의해 완전히 커버하도록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수용된 필터의 테두리를 탄성 지지하는 밀착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가이드부는 필터의 크기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며 필터의 테두리를 밀착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는 두께가 15 내지 40 밀리미터, 폭 또는 높이는 170 내지 260 밀리미터 범위를 만족하는 차량용 에어컨 필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가이드부는 압축성 있는 송풍이 차단된 압축성 수지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가이드부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에 밀착 지지하는 밀착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가이드부를 감싸 공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유닛을 구성하는 송풍유닛 하우징의 공기 유입면과 공기 배출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 면적이 감소되도록 상기 송풍유닛 하우징의 내측면에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링유닛을 구성하는 필터링유닛 하우징 내에 복수 개의 필터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링유닛은 복수 개가 적층되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유닛과 상기 필터링유닛은 일측에 구비된 장착돌기가 타측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전면에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필터링유닛 하우징; 및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측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의 가장자리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하여 공기 유로가 상기 필터에 의해 완전히 커버하도록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수용된 필터의 테두리를 탄성 지지하는 밀착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송풍팬과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송풍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체결되는 필터링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는 두께가 15 내지 40 밀리미터, 폭 또는 높이는 170 내지 260 밀리미터 범위를 만족하는 차량용 에어컨 필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배출홀이 형성된 측면인 배출면에 단위 배출홀의 크기 또는 면적당 배출홀의 개수로 조절되는 단위 면적당 배출홀 면적의 합이 주변영역보다 작은 링형상으로 구성되는 풍량감소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에 의하며, 기본적인 송풍 기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과 선택적으로 공기청정 기능을 제공하는 착탈 가능한 필터링유닛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송풍유닛을 선풍기 등의 송풍기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유닛을 추가하여 미세먼지 제거 또는 탈취 등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에 의하며, 필요에 따라 필터링유닛을 탈거하여 독립적인 송풍장치로 사용하여 장비 및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에 의하며, 공기청정을 위하여 전용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시중에서 비교적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범용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 송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에 의하며, 계절이 변화되는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므로 장치의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고, 범용 차량용 에어컨 필터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필터 선택의 폭을 극대화하면서도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필터링유닛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공기송풍시스템의 측단면도,
도 5는 필터링유닛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상기 필터링유닛에 장착되는 필터의 사시도,
도 8은 상기 필터링유닛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9는 상기 필터링유닛의 밀착가이드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상기 필터링유닛에 필터를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밀착가이드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1000)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공기청정 송풍장치(10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청정 송풍장치(1000)는 필터(600)를 구비하여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제공하는 필터링유닛(500) 및 상기 필터링유닛(5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필터링된 공기에 음압을 제공하여 송풍시키는 송풍유닛(100)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1000)는 단순 송풍 기능 또는 공기 청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송풍 기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100)과 선택적으로 송풍유닛(100)에 장착되어 공기청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필터링유닛(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유닛(100)은 소위 '박스형 선풍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링유닛(500)은 상기 송풍유닛(100)와 적층 장착 또는 형합되어 밀착 체결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박스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 및 상기 송풍유닛 하우징(110)은 각각의 두께가 각각의 폭 또는 높이보다 작고, 상기 필터링유닛 및 상기 송풍유닛은 형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청정 기능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계절, 예를 들면 하절기 등에는 필터링유닛(500)을 탈거하여 송풍유닛(100)을 선풍기 등의 용도로 사용하고, 공기청정 기능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계절, 예를 들면 동절기 등에는 송풍유닛(100)에 필터링유닛(500)을 더 부가하여 공기청정기로 활용할 수 있다. 물론, 계절변화와 무관하게 송풍유닛(100)에 필터링유닛(500)을 장착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청정 송풍장치(1000)는 상기 필터링유닛(500)과 송풍유닛(100)을 별개로 구비하며, 상기 필터링유닛(500)과 상기 송풍유닛(100)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유닛(100)은 상기 필터링유닛(50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는 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전면에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측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필터링유닛(500); 및 상기 필터링유닛(100)의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배출홀이 형성된 배출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배출면에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송풍팬과 상기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송풍유닛 하우징을 구비하는 송풍유닛(100)을 포함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10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유닛(500)은 상기 송풍유닛(1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압에 의하여 그 후면(54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필터링유닛(500)의 전면(520)으로 필터링된 공기가 제공된다. 나아가, 상기 필터링유닛(500)의 전면(520)에 상기 송풍유닛(100)은 공기정화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를 통과하는 공기는 후방에 배치된 필터링유닛(500)을 거쳐 필터링된 다음, 상기 송풍유닛(100)을 통해 송풍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의 필터는 주변에 음압이 인가되도록, 팬 등을 유로 후방에 배치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 역시 팬 등에 대응되는 송풍장치(100)를 유로 후방에 배치되도록 한다.
만약, 필터링유닛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방식으로 적층되어 송풍유닛 유로 후방에 밀착 체결되는 경우 상기 필터링유닛(500)에 양압이 인가되어, 소음이 증가되고, 풍량이 줄어들거나 필터링유닛의 필터 등에 수집된 먼지가 양압에 의하여 비산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청정 송풍장치(1000)의 경우 공기의 유로를 따라 상기 필터링유닛(500)이 먼저 배치되고, 이어서 상기 송풍유닛(100)을 배치시켜, 상기 필터링유닛(500)과 상기 송풍유닛(100) 사이에 음압이 걸리도록 하여 공기를 원활하게 필터링 및 송풍시키게 된다.
도 3은 상기 필터링유닛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상기 공기송풍시스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링유닛(500)은 후면(540)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528)(도 3 참조)이 형성되고, 전면(520)에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홀(521)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528)과 배출홀(521)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필터링유닛 하우징(510)과,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술하는 필터(6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은 도면에서는 대략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내부에 필터(6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은 제작의 용이성 및 적절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별히 재질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은 송풍유닛(100)의 하우징과 높이를 일치시켜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에 지지부(55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550)는 2개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절히 조절 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부(550)에 바퀴 등을 구비하여 상기 필터링유닛(500)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은 상하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필터(600)를 수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은 대략 상기 필터(6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링유닛(500)의 전체 부피를 줄이고 컴팩트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링유닛(500)의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600)와 대략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600)는 대략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도 상기 필터(600)의 외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하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필터와 하우징의 형상에 차이가 있어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후면(540)에는 주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528)이 형성되고, 전면(520)에는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521)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홀(528)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후면(540)에 형성되며, 주변 공기를 충분히 유입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후면(540)의 적어도 절반 이상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528)은 후술하는 필터의 면적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열과 행으로 하우징의 후면 전체 영역에 고루 분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전면(520)에 구비된 배출홀(521)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전면(520)에 형성되어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송풍유닛(100)을 향해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상부 측면에는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도어부(5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부(512)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에 힌지축(5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부(512)를 회동시켜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상부를 개방하여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부에 상기 필터(600)를 장착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600)를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부를 필터링유닛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전면 또는 후면 자체가 개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전면(520)에는 상기 필터링유닛(500)을 상기 송풍유닛(100)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5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22)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전면(520)에서 상기 송풍유닛(100)을 통해 돌출 형성된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유닛(100)의 공기송풍 하우징(110)의 후면에는 상기 돌기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홈(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가 송풍유닛 측에 구비되어 돌기 등의 삽입부와 삽입홈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돌기와 삽입홈 방식이 아닌 슬라이딩 체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리브와 슬라이딩 삽입홈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송풍유닛(100)은 후면에 필터링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34)가 형성되고, 전면에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32)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34)와 배출구(132)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A)를 제공하는 공기송풍 하우징(110)과, 상기 공기송풍 하우징(110)의 내측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필터링된 공기에 음압을 제공하는 팬유닛(120) 및 팬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1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기송풍 하우징(11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전면에 체결되므로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다. 즉, 상기 공기송풍 하우징(110)도 상하로 연장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기송풍 하우징(110)은 하부에 지지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유닛(500) 역시 지지부 등을 구비하여 송풍유닛과 체결상태에서 공기청정 송풍장치의 쓰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공기송풍 하우징(110)의 전면 등의 일면에는 상기 송풍유닛(100)의 구동을 조작하는 조작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40)는 상기 송풍팬(12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구동조작부(142)와, 상기 송풍팬(120)의 구동시간을 조절하는 구동시간조절부(144) 등 일반적인 선풍기에 구비되는 형태의 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버튼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공기송풍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에서 배출된 필터링된 공기에 음압을 제공하는 팬유닛(1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20)은 상기 공기송풍 하우징(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예를 들어 공기의 흐름 방향과 회전축이 평행한 축류팬(axial-flow fa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풍팬(120)은 회전축(122)과, 상기 회전축(122)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날개(12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120)은 그 후방에 구동모터(140) 등이 구비되어 송풍팬(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송풍 하우징(110)의 배출구(132)에는 송풍되는 공기에서 비교적 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메시 또는 프레임(136)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공기송풍 하우징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유닛(100)의 구동모터(140)의 구동을 위한 전원부(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유닛(500)의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에는 필터(60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600)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에서 필터(600)를 거치지 않고 지나는 공기가 생기지 않도록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에 밀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상부 밀착가이드부(770)와, 하부 밀착가이드부(750)에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밀착가이드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상기 송풍유닛(100)의 공기송풍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팬유닛(120)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기송풍 하우징(110)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34)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32)의 직경을 살펴보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입구(134)의 직경(D2)은 상기 필터링유닛(500)에서 배출되는 필터링된 공기를 저항 없이 가능한 많이 유입시키고, 원형인 송풍팬과 달리 송풍팬보다 크기가 크고 모서리 영역을 갖는 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는 필터의 전영역에 음압이 인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유로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구(132)의 직경(D1)은 일반적인 박스형 선풍기와 마찬가지로 송풍팬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송풍 하우징(110)의 내측에 장착된 송풍팬 또는 팬유닛(120)의 직경과 대략 유사한 크기로 구성되어, 배출구를 통한 충분한 송풍량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유입구(134)의 직경(D2)에 비해 상기 배출구(132)의 직경(D1)이 상대적으로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송풍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상기 배출구(132)와 상기 유입구(134)를 연결하는 유로(A)는 상기 유입구(134)에서 배출구(132)를 향해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입구(134)와 배출구(132) 사이의 유동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유로(A)의 내측면(130)은 단차구조 또는 경사면(경사 평면 또는 경사 곡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실험에 따르면 상기 송풍팬(120)이 회전 구동을 하는 경우에 상기 송풍팬(120)의 회전축(122)에서 반경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링 형상의 영역에서 공기의 풍량이 최대가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때, 전술한 유량이 최대가 되는 영역(이하, '풍량최대영역'이라 함)은 상기 송풍팬(120)의 회전축(122)에서 반경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송풍팬(120)의 직경을 벗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축류팬 등을 구비한 상기 송풍팬(120)이 회전 구동하는 경우에 상기 풍량최대영역에서 공기의 유량이 최대가 되면, 상기 풍량최대영역에 공기의 흐름이 집중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공기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120)의 후방에 필터링유닛(500)이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풍량최대영역에 대응되는 필터 영역에 공기의 흐름이 집중되어 해당 영역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집중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600)의 일부 영역에 공기의 흐름이 집중되어 이물질이 집중적으로 부착되면 필터의 전 영역을 고르게 사용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결국 필터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1000)의 경우 상기 필터링유닛(500)의 배출홀(521)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필터링유닛(500)의 전면(520)에서 단위 면적당 공기 송풍 면적에 차이가 존재하도록 구성하여 필터 전영역에서 먼지가 포집되는 정도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필터링유닛(500)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은 상기 송풍팬(120)의 회전축(122)에서 반경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배출홀의 단위 면적당 공기 송풍 면적이 다른 영역에 비해 더 작은 풍량감소영역(S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풍량감소영역(S1)은 전술한 송풍유닛(100)의 상기 송풍유닛의 송풍팬에 의하여 상기 배출면에 가해지는 음압이 큰 영역, 즉 링형상으로 발생되는 풍량최대영역에 대응되거나 풍량최대영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풍량최대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팬(12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풍량최대영역에서 풍량이 최대가 되는 경우에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전면(520)에서 풍량최대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풍량감소영역(S1)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풍량감소영역(S1)에 형성되는 배출홀(524, 524')은 다른 영역의 배출홀에 비해 단위면적당 공기 송풍 면적이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풍량감소영역(S1)에 형성된 배출홀(524)은 다른 영역의 배출홀(526)에 비해 그 직경이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풍량감소영역(S1)에 형성된 배출홀(524)에 의한 단위 면적당 공기 송풍 면적은 다른 영역에 비해 더 작게 된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풍량감소영역(S1)에 형성된 배출홀(524')은 다른 영역의 배출홀(526')에 비해 그 밀도가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홀(524', 526')의 직경은 동일하지만 상기 풍량감소영역(S1)에 형성된 배출홀(524')의 단위 면적당 밀도가 더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풍량감소영역(S1)에 형성된 배출홀(524')에 의한 단위 면적당 공기 송풍 면적의 합은 다른 영역에 비해 더 작게 된다.
결국, 상기 공기송풍 하우징(110)의 전면(520)에서 상기 풍량감소영역(S1)에 형성된 상기 배출홀(524, 524')은 다른 영역에 비해 그 직경이 더 작거나, 밀도가 더 낮게 형성되어 필터에 형성되는 음압의 편차가 감소되어 필터에 영역별로 고른 음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필터의 영역별 먼지 수집량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필터링유닛을 구성하는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배출홀이 형성된 측면(전면)인 배출면의 단위 배출홀의 크기 또는 면적당 배출홀의 개수로 조절되는 단위 면적당 배출홀 면적의 합은 영역별로 편차가 존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10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링유닛(500)의 전면(520)에 형성된 배출홀(524, 52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풍량감소영역(S1)에서 단위 면적당 공기 송풍 면적이 더 작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상기 풍량감소영역(S1)에 형성된 배출홀(524)이 다른 영역의 배출홀(526)에 비해 그 직경이 더 작도록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다.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유닛(500)의 내부에 장착되는 필터(600)의 일예를 도시한다. 상기 필터링유닛(500)의 내측에 상기 필터(600)가 1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복수개의 필터가 상기 필터링유닛(500)의 내측에 구비되는 구성도 물론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600)는 예를 들어 프리필터, 항균필터, 헤파필터(Hepa Fileter)) 또는 활성탄 등으로 구성된 탈취필터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필터층이 단일화된 필터일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이때, 상기 필터(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높이(H), 너비(W) 및 두께(T)의 사이즈(size)를 가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필터(600)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에서 유로를 모두 커버하도록, 즉 상기 필터(600)를 거치지 않고 지나는 공기가 생기지 않도록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 필터(600)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작은 범위에서 변화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밀착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필터(600)의 가장자리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에 밀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필터(600)의 사이즈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상기 밀착가이드부에 의해서도 상기 필터의 사이즈 변화를 감당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필터(600)의 사이즈에 맞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사의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필터(600)를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필터(600)의 높이(H), 너비(W) 및 두께(T)의 사이즈가 일정 범위 내에 수렴하는 필터를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600)는 두께가 15 내지 40 밀리미터(mm), 폭 또는 높이는 170 내지 260 밀리미터(mm) 범위를 만족하는 차량용 에어컨 필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에 차량용 에어컨 필터를 적용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1000)을 위한 별도의 필터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나아가 필터의 사이즈가 일정 범위 내에 놓이게 되므로 필터링유닛의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사이즈를 상기 필터의 사이즈에 맞추어 제작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의 전용필터와 차량용 에어컨 필터는 가격이 10배 내지 20배까지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즉, 전용 필터를 통해 공기청정기 제조사들이 경쟁없이 필터를 독점 판매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는 필터 결정의 결정권이 거의 없다.
그러나, 차량용 에어컨 필터의 경우, 차종별 크기의 편차는 있으나 가격대가 공기청정기 전용필터에 비해 크게 저렴하므로 자신의 용도, 예를 들면 가격, 프리필터의 유무, 미세먼제 제거 등급, 활성탄 필터층의 유무, 필터층의 개수 및 제조사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가격 및 품질의 필터를 개인 선호 요소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필터는 차종에 따라 그 크기 편차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필터링유닛을 구성하는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크기에 맞게 전용 사이즈의 필터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필터링유닛을 구성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필터링유닛은 다양한 사이즈의 차량용 에어컨 필터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상기 필터링유닛(500)을 구성하는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600)의 가장자리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하여 상기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상기 필터(600)에 의해 완전히 커버하도록 하는 밀착가이드부(710, 730, 750, 7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600)의 가장자리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에 밀착하지 않게 되면, 이격 공간을 통해 공기가 누설되어 상기 필터(600)에 의해 여과되지 않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상기 필터(600)에 의한 필터링 효과를 저하시키므로 상기 필터(600)의 가장자리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하여 상기 필터(600)를 지나지 않는 공기의 흐름을 최소화 또는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밀착가이드부(710, 730, 750, 770)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의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밀착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필터의 크기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 또는 탄성 지지하며 필터의 테두리를 밀착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밀착가이드부(710, 730, 750, 770)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도어부(512)에 구비되는 상부 밀착가이드부(770)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바닥에 구비되는 하부 밀착가이드부(750)와, 양측벽에 구비되는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와 제2측벽 밀착가이드부(7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필터링유닛(500)의 밀착가이드부를 좀더 상세히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밀착가이드부(710, 730, 750, 770)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의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내측면에 대해 소정 거리 변형 또는 변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필터(600)의 가장자리에 밀착하게 된다.
즉, 상기 밀착가이드부(710, 730, 750, 770)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에서 탄성 수축 또는 탄성 변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필터(600)의 가장자리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하며, 나아가 상기 필터(600)의 사이즈가 일정 범위 내에서 변경되더라도 이러한 필터의 사이즈 변화를 흡수하여 상기 필터(600)의 가장자리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한다.
상기 밀착가이드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의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34)와, 상기 탄성부재(734)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73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필터(600)의 가장자리에 밀착하는 밀착플레이트(7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34)는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34)의 단부에는 밀착플레이트(732)가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734)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착플레이트(732)를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600)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734)의 탄성에 의해 상기 밀착플레이트(732)가 상기 필터(600)의 가장자리에 밀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는 상기 탄성부재(734)와 상기 밀착플레이트(732)를 감싸는 커버부(73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736)는 공기가 통하지 않는 수지 또는 합성섬유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736)는 상기 밀착플레이트(732)와 상기 탄성부재(734)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밀착플레이트(732)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필터(600)를 통하지 않고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가 하부에 위치한 하부 밀착가이드부(750)와 접하는 경계에는 경사슬라이딩부(73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의 하단부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슬라이딩부(733)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밀착가이드부(750)의 양단부에도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경사슬라이딩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와 하부 밀착가이드부(750)가 접하는 경계면에 경사슬라이딩부(733)가 형성되면,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가 상기 필터(600)에 의해 밀리는 경우에 상기 경사슬라이딩부(733)의 경사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필터(600)가 제거되어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가 상기 탄성부재(734)에 의해 내측면에서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경사슬라이딩부(733)의 경사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밀착가이드부(770), 제2측벽 밀착가이드부(710) 및 하부 밀착가이드부(750)의 구성은 전술한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밀착가이드부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로 지지되는 방식아 아닌 그 자체로서 탄성을 가지며 수축 팽창이 가능한 수지 재질(예를 들면, 통풍 차단된 스폰지 부재 등)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밀착가이드부는 탄성을 가지며 수축 팽창이 가능한 수지 재질로 구성된 후 전술한 커버부재로 감싸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상기 필터링유닛(500)에 필터(600)를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600)를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에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부(512)를 위쪽으로 회동시켜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상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필터(600)를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하여 장착하게 된다. 물론, 상기 필터는 좌측면, 우측면, 전면 또는 후면으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부(512)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필터(600)의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를 가압하여 추진하게 되고,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734)가 압축되면서 내측면을 향해 후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가 상기 필터(600)에 의해 밀리는 경우에 상기 경사슬라이딩부(733)의 경사를 따라 마찰 또는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변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의 밀착플레이트(732)는 상기 필터(6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밀착하게 된다.
한편, 이 경우 상기 필터(600)의 위치를 보다 확실히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에 가이드홈(772, 752, 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밀착가이드부(770)와 하부 밀착가이드부(750)에는 각각 가이드홈(772, 75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와 제2측벽 밀착가이드부(710)에도 마찬가지로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600)를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필터(600)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와 제2측벽 밀착가이드부(710)의 가이드홈에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에서 상기 필터(600)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도어부(512)를 회동시켜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상부를 개방하고, 상기 필터(600)를 위로 잡아당겨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600)가 제거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73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측벽 밀착가이드부(730)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510)의 내측 방향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1000)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필터링유닛(500)에 2개 이상, 즉 복수개의 필터(600, 610)를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필터(600, 610)는 각각 상부 밀착가이드부(1770, 1770')와 하부 밀착가이드부(1750, 1750')에 의해 밀착된다.
이 경우, 상기 필터(600, 610)는 프리필터, 항균필터, 헤파필터(Hepa Fileter)) 또는 활성탄 등으로 구성된 탈취필터 중에 적어도 2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링유닛(500)의 후면(540)에서 전면(520)을 향해 순차적으로 프리필터, 향균필터를 구비하거나, 프리필터, 헤파필터를 구비하거나, 또는 프리필터와 항균필터가 합쳐진 프리항균필터와 탈취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의 종류는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앞서 설명한 종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는 필요에 따라 송풍유닛을 선풍기 등의 송풍기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유닛을 추가하여 미세먼지 제거 또는 탈취 등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송풍장치는 계절이 변화되는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므로 장치의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고, 범용 차량용 에어컨 필터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필터 선택의 폭을 극대화하면서도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송풍유닛
110 : 공기송풍 하우징
120 : 팬유닛
500 : 필터링유닛
510 : 공기청정하우징
600 : 필터

Claims (18)

  1. 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전면에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필터링유닛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측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이물질 제거를 위한 필터;가 장착 가능한 필터링유닛; 및
    상기 필터링유닛의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배출홀이 형성된 배출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배출면에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송풍팬과 상기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송풍유닛 하우징을 구비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 및 상기 송풍유닛 하우징은 각각의 두께가 각각의 폭 또는 높이보다 작고, 상기 필터링유닛 및 상기 송풍유닛은 형합 또는 적층되어 밀착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유닛을 구성하는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배출홀이 형성된 측면인 배출면의 단위 배출홀의 크기 또는 면적당 배출홀의 개수로 조절되는 단위 면적당 배출홀 면적의 합은 영역별로 편차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면의 단위 면적당 배출홀 면적의 합이 주변영역보다 작은 링형상으로 구성되는 풍량감소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유닛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필터를 장착하거나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일측면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구성되는 도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하여 공기 유로가 상기 필터에 의해 완전히 커버하도록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수용된 필터의 테두리를 탄성 지지하는 밀착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가이드부는 필터의 크기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며 필터의 테두리를 밀착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두께가 15 내지 40 밀리미터, 폭 또는 높이는 170 내지 260 밀리미터 범위를 만족하는 차량용 에어컨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가이드부는 압축성 있는 송풍이 차단된 압축성 수지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가이드부는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에 밀착 지지하는 밀착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가이드부를 감싸 공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을 구성하는 송풍유닛 하우징의 공기 유입면과 공기 배출면 사이의 내측면은 유로가 감소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유닛을 구성하는 필터링유닛 하우징 내에 복수 개의 필터가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유닛은 복수 개가 적층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과 상기 필터링유닛은 일측에 구비된 돌기가 타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16. 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전면에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필터링유닛 하우징;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측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 중 이물질 필터링을 위한 필터;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가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하여 공기 유로가 상기 필터에 의해 완전히 커버하도록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수용된 필터의 테두리를 탄성 지지하는 밀착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송풍팬과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송풍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체결되는 필터링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두께가 15 내지 40 밀리미터, 폭 또는 높이는 170 내지 260 밀리미터 범위를 만족하는 차량용 에어컨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유닛.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배출홀이 형성된 측면인 배출면에 단위 배출홀의 크기 또는 면적당 배출홀의 개수로 조절되는 단위 면적당 배출홀 면적의 합이 주변영역보다 작은 링형상으로 구성되는 풍량감소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
KR1020190050256A 2019-04-30 2019-04-30 공기청정 송풍장치 KR102221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256A KR102221675B1 (ko) 2019-04-30 2019-04-30 공기청정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256A KR102221675B1 (ko) 2019-04-30 2019-04-30 공기청정 송풍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023A Division KR20210023935A (ko) 2021-02-23 2021-02-23 공기청정 송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15A true KR20200126515A (ko) 2020-11-09
KR102221675B1 KR102221675B1 (ko) 2021-03-02

Family

ID=7342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256A KR102221675B1 (ko) 2019-04-30 2019-04-30 공기청정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026B1 (ko) * 2023-06-30 2024-03-15 에스에스씨라이팅 주식회사 탈취용 환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336B1 (ko) * 2010-07-07 2013-05-06 여경록 송풍기용 필터장치
KR200487603Y1 (ko) * 2018-02-01 2018-12-05 백병하 선풍기용 공기정화기구
KR101921274B1 (ko) * 2018-05-03 2019-02-13 주식회사 코어볼트 측부배출형 무지향성 공기청정기
KR20190027160A (ko) * 2017-09-06 2019-03-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스마트 환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336B1 (ko) * 2010-07-07 2013-05-06 여경록 송풍기용 필터장치
KR20190027160A (ko) * 2017-09-06 2019-03-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스마트 환풍기
KR200487603Y1 (ko) * 2018-02-01 2018-12-05 백병하 선풍기용 공기정화기구
KR101921274B1 (ko) * 2018-05-03 2019-02-13 주식회사 코어볼트 측부배출형 무지향성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026B1 (ko) * 2023-06-30 2024-03-15 에스에스씨라이팅 주식회사 탈취용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675B1 (ko)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322B1 (ko) 공기청정 송풍장치
US9914082B2 (en) Air cleaner
EP3330624B1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WO2013047135A2 (ja) 空気清浄機
GB2206482A (en) Upright-type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89757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101906341B1 (ko) 공기청정기
US10207017B2 (en) Deodorizer
KR20170081946A (ko) 공기정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CN105333511A (zh) 除尘模块、净化装置及挂壁式空调器
KR102221675B1 (ko) 공기청정 송풍장치
US20220349595A1 (en) Buried type air purifier
CN105352043A (zh) 挂壁式空调器
KR100256184B1 (ko) 공기처리시스템
CN205279255U (zh) 除尘模块、净化装置及挂壁式空调器
JP2011047592A (ja) 送風装置及び空気清浄機
WO2017092141A1 (zh) 挂壁式空调器
CN105276771A (zh) 控制装置及挂壁式空调器
JP2017058039A (ja) 加湿装置
CN111981594A (zh) 一种空气净化器
US3930818A (en) Air cleaner
CN115013923A (zh) 一种空气净化器
KR20220115903A (ko) 공기청정기
KR102011743B1 (ko) 용량 가변형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
KR200197150Y1 (ko) 가전제품용 먼지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