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245U - 공기정화유니트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245U
KR20120007245U KR2020110003086U KR20110003086U KR20120007245U KR 20120007245 U KR20120007245 U KR 20120007245U KR 2020110003086 U KR2020110003086 U KR 2020110003086U KR 20110003086 U KR20110003086 U KR 20110003086U KR 20120007245 U KR20120007245 U KR 201200072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guide
duc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424Y1 (ko
Inventor
김계철
Original Assignee
김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철 filed Critical 김계철
Priority to KR2020110003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42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4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정화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와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가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의 흡입을 위한 모터 팬이 설치되는 본체; 상기 흡입덕트 쪽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흡입덕트가 삽입되도록 덕트삽입구가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밀착되게 결합되며, 상기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이 형성되는 가이드; 상기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에 각각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내지 제3 필터모듈;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이 위치되는 상기 가이드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주거용, 업소용, 업무용, 식품, 화학, 실험실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소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방사성 물질, 황사, 바이러스, 유해가스,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대규모 공기를 정화하기기 적합하다.

Description

공기정화유니트{Air purification unit}
본 고안은, 공기정화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주거용, 업소용, 업무용, 식품, 화학, 실험실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소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방사성 물질, 황사, 바이러스, 유해가스,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대규모 공기를 정화하기에 적합한 공기정화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공공건물 등에는 실내공기의 환기를 위하여 벽면에 배기용 송풍기를 설치함으로서, 음식냄새 또는 담배연기 등과 같이 오염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연기 등의 실내 오염물질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길이의 연장이 가능한 덕트 등을 외부와 연통시켜 설치함으로써 신속한 공기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근자에 들어서는 공기정화유니트라 하여 외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일화된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현재까지 알려진 공기정화유니트는 구조상 공기를 바로 정화할 수 없거나 소규모 가정용에 국한되어 적용되고 있을 뿐 공장이나 빌딩 등에서 대규모의 공기를 정화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이는 단순히 사이즈만을 크게 제작하는 것으로는 적용에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예측되므로 콤팩트한 구조로서 여러 장소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정화유니트에 대한 구조 개선이 요구된다.
즉, 음식점이나 공공건물과 같은 넓은 공간에서는 종래의 가정용 공기정화기로는 정화능력이 충분하지 못하므로 대용량의 공기정화유니트가 요구되는 실정이지만, 종래 모터 및 팬의 구조로는 이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필터의 정화능력 또한 충분하지 못하고, 필터의 교환작업이 용이하지않으므로 현장에 널리 적용되지못하는 문제점이 있엇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주거용, 업소용, 업무용, 식품, 화학, 실험실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소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방사성 물질, 황사, 바이러스, 유해가스,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대규모 공기를 정화하기기 적합한 공기정화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와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가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의 흡입을 위한 모터 팬이 설치되는 본체; 상기 흡입덕트 쪽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흡입덕트가 삽입되도록 덕트삽입구가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밀착되게 결합되며, 상기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이 형성되는 가이드; 상기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에 각각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내지 제3 필터모듈;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이 위치되는 상기 가이드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유니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모터 팬은 시로코 팬(SIROCCO FAN)일 수 있으며, 상기 덕트삽입구는 상기 시로코 팬과 동축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덕트가 위치되는 상기 본체의 나머지 면과 상기 덕트삽입구가 위치되는 상기 가이드의 나머지 면은 밀착 유지를 위해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와 밀착되는 상기 가이드의 일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본체와의 밀착도 향상을 위한 단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3 필터모듈 각각은, 염화필터 모듈, 프리필터 모듈, 카본필터 모듈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3 필터모듈 각각은, 상기 염화필터, 상기 프리필터, 상기 카본필터가 각각 내부에 위치되도록 외곽을 형성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바깥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의 내벽에 밀폐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 상기 카본필터는 골과 산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톱니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골과 상기 산 사이의 간격은 상기 프리필터가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카본필터는 상대적으로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3 필터모듈 각각은 상기 테두리부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마련되는 금속망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망의 일측에는 다각형 형태의 골조가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주거용, 업소용, 업무용, 식품, 화학, 실험실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소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방사성 물질, 황사, 바이러스, 유해가스,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대규모 공기를 정화하기기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염화필터, 프리필터 모듈, 카본필터 모듈의 사시도,
도 3의 (a), (b)는 각각 도 2의 A-A선, B-B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유니트에서 가이드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염화필터 모듈, 프리필터 모듈, 카본필터 모듈의 사시도, 그리고 도 3의 (a), (b)는 각각 도 2의 A-A선, B-B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공기정화유니트는 주거용, 업소용, 업무용, 식품, 화학, 실험실 등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방사성 물질, 황사, 바이러스, 유해가스,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정화 기능과 정화된 신선한 공기를 내부에 유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체(110), 가이드(120) 및 커버(160)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유니트의 사이즈는 본 제품이 요구되는 장소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111)와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112)가 마련된다.
이때, 흡입덕트(111)와 배기덕트(112)는 서로 교차되는 위치로 배치된다. 이는 본체(110) 내에 마련되는 모터 팬(113)이 시로코 팬(113, SIROCCO FAN)으로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흡입덕트(111)와 배기덕트(112)는 단순한 홀(hole)이 아니라 본체(110)의 표면에서 일정 부분 돌출된 덕트 구조를 갖는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수단으로서 모터 팬(113)이 마련된다. 모터 팬(113)은 모터(113a)와 송풍기(113b)가 결합되어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모터 팬(113)은 시로코 팬(113)으로 적용되고 있다.
시로코 팬(113)은, 날개의 끝부분이 회전방향으로 굽은 전곡형으로 동일 용량에 대해서 다른 형식에 비해 회전수가 상당히 적다.
따라서 동일 용량에 대해서 도 1처럼 송풍기(113b) 크기가 적고, 특히 팬코일유닛(FCU)에 적합하다. 따라서 저속덕트용 송풍기로 다익형송풍기라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시로코 팬(113)은 철(보스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며, 시계,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다. 물론, 시로코 팬(113)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기도 한다.
가이드(120)는 본체(110)와 결합되어 본체(110) 쪽으로 향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가이드(120)는 본체(110)와 직렬로 결합된다.
가이드(120)가 본체(110)에 결합되기 위해 가이드(120)에는 덕트삽입구(121, 도 1의 점선 참조)가 형성된다. 덕트삽입구(121)는 시로코 팬(113)과 동축적인 위치에 배치되며, 시로코 팬(113)의 직경과 대략 유사한 크기를 갖는다.
본체(110)의 흡입덕트(111)는 가이드(120)의 덕트삽입구(121)에 삽입되기 때문에 가이드(120)와 본체(110)는 들뜨지 않고 밀착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흡입덕트(111)가 위치되는 본체(110)의 나머지 면과 덕트삽입구(121)가 위치되는 가이드(120)의 나머지 면은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때문에 가이드(120)와 본체(110)는 들뜨지 않고 밀착 유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체(110)와 밀착되는 가이드(120)의 일측면 테두리에는 본체(110)와의 밀착도 향상을 위한 단턱(122)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와 기능들로 인해 가이드(120)와 본체(110)는 상호 밀착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가이드(120)의 상면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3개의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123a~123c)이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123a~123c)에는 염화필터 모듈(130), 프리필터 모듈(140) 및 카본필터 모듈(150)이 인출 가능하게 조립된다. 염화필터 모듈(130), 프리필터 모듈(140) 및 카본필터 모듈(150)이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123a~123c)으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123a~123c)들은 상호간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염화필터 모듈(130), 프리필터 모듈(140) 및 카본필터 모듈(150)들은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123a~123c) 내의 가이드 돌기(126)들에 의해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123a~123c) 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120)의 일측에는 공기가 최초에 접하는 그릴(125)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가이드에는 그릴(125), 염화필터 모듈(130), 프리필터 모듈(140) 및 카본필터 모듈(150)라는 4중 구조가 적용되고 있는 셈이다.
염화필터 모듈(130), 프리필터 모듈(140) 및 카본필터 모듈(150)의 설명에 앞서, 커버(16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커버(160)는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123a~123c)이 위치되는 가이드(120)의 상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커버(160)가 결합되고 나면 염화필터 모듈(130), 프리필터 모듈(140) 및 카본필터 모듈(150)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커버(160)는 다수의 나비너트(161)에 의해 별도의 공구 없이도 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양단부(160a)는 본체(110) 쪽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
한편, 염화필터 모듈(130), 프리필터 모듈(140) 및 카본필터 모듈(150) 모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화필터(131), 프리필터(141), 카본필터(151)가 각각 내부에 위치되도록 외곽을 형성하는 테두리부(132~152)와, 테두리부(132~152)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33~153)와, 테두리부(132~152)의 바깥면에 결합되어 가이드(120)의 내벽에 밀폐되는 밀폐부재(134~154)를 갖는다. 테두리부(132~152)의 전후면에는 망체(135~15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필터(141), 카본필터(151)는 골과 산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톱니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는 프리필터(141), 카본필터(151)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원활한 정화과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공기정화유니트 작동중에 염화필터(131), 프리필터(141), 카본필터(151)가 변형되지 않고 테두리부(132~152)로부터 이탈되지않도록, 금속재질의 망체(135~155)가 상기 필터들(131~151)의 전후면을 에워싸고 있다.
한편, 골과 상기 산 사이의 간격(L1,L2)은 프리필터(141)의 간격(L1)이 카본필터(151)의 간격(L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염화필터(131)는 염화비닐재질의 조밀한 망으로서 큰 물질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기능을 한다. 염화필터(131)는 그 두께가 약 5mm일 수 있다.
프리필터(141)는 부직포 재질로서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프리필터(141)는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주된 기능을 수행한다. 프리필터(141)는 그 두께가 약 50mm일 수 있다.
카본필터(151)는 프리필터(141)와 같은 부직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카본필터(151)는 프리필터(141)와 달리 그 표면에 활성탄이 코팅 또는 부착된다. 카본필터(151)는 탈취기능을 위한 보조필터일 수 있으며, 그 두께는 약 20mm일 수 있다.
프리필터(141)와 카본필터(151)를 산과 골을 가지는 톱니형상의 단면형태로 구성하는 이유는, 공기가 가이드(120) 내부를 통과할 시에 각 필터에 닿는 면적을 크게해줌으로서 환기 효과를 대폭 향상시켜주기 위함에 있는데,
프리필터(141)는 미세먼지를 걸러주기위한 주된 필터이며, 카본필터(151)는 탈취기능을 위한 보조필터이므로, 상기 프리필터(141)의 산과 골사이의 간격(L1)은 카본필터의 산과 골사이의 간격(L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된다.
밀폐부재(134~154)는 스펀지 등을 가리키며, 공기가 염화필터(131), 프리필터(141), 카본필터(151)를 지나지 않고 그대로 본체(110)로 향하는 현상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시로코 팬(113)이 동작되면 외기는 그릴(125), 염화필터(131), 프리필터(141) 및 카본필터(151)를 차례로 거치면서 정화되며, 이후에는 본체(110)의 흡입덕트(111)를 통해 흡입되어 최종적으로 배기덕트(112)를 통해 실내로 배기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작용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주거용, 업소용, 업무용, 식품, 화학, 실험실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소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방사성 물질, 황사, 바이러스, 유해가스,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대규모 공기를 정화하기기 적합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유니트에서 가이드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120, 도 1 참조)는 대략 사각의 박스(box) 구조로 제작되었다.
하지만, 도 4처럼 가이드(220)는 원형 단면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223a~223c) 역시 원형의 형태를 가져야 하며,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223a~223c)에 인출되는 염화필터 모듈(230), 프리필터 모듈(240) 및 카본필터 모듈(250)들 역시 원반형으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커버(260)의 경우, 반구 형태로 제작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도 4의 경우, 도 1과 대비하여 외형만이 상이할 뿐 기능과 역할을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와 같은 구조의 가이드(220)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주거용, 업소용, 업무용, 식품, 화학, 실험실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소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방사성 물질, 황사, 바이러스, 유해가스,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대규모 공기를 정화하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본체 111 : 흡입덕트
112 : 배기덕트 113 : 모터 팬
120 : 가이드 121 : 덕트삽입구
122 : 단턱 123a~123c : 필터슬롯
125 : 그릴 130 : 염화필터 모듈
131 : 염화필터 140 : 프리필터 모듈
141 : 프리필터 150 : 카본필터 모듈
151 : 카본필터 160 : 커버

Claims (3)

  1.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와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가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의 흡입을 위한 모터 팬이 설치되는 본체;
    상기 흡입덕트 쪽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흡입덕트가 삽입되도록 덕트삽입구가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밀착되게 결합되며, 상기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이 형성되는 가이드;
    상기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에 각각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내지 제3 필터모듈;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필터슬롯이 위치되는 상기 가이드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 팬은 시로코 팬(SIROCCO FAN)이며,
    상기 덕트삽입구는 상기 시로코 팬과 동축적인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덕트가 위치되는 상기 본체의 나머지 면과 상기 덕트삽입구가 위치되는 상기 가이드의 나머지 면은 밀착 유지를 위해 평평한 면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와 밀착되는 상기 가이드의 일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본체와의 밀착도 향상을 위한 단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필터모듈 각각은, 염화필터 모듈, 프리필터 모듈, 카본필터 모듈이며,
    상기 제1 및 제3 필터모듈 각각은,
    상기 염화필터, 상기 프리필터, 상기 카본필터가 각각 내부에 위치되도록 외곽을 형성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바깥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의 내벽에 밀폐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필터, 상기 카본필터는 골과 산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톱니 형상의 단면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골과 상기 산 사이의 간격은 상기 프리필터가 상기 염화필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유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가 원통구조이고, 상기 염화필터 모듈, 프리필터 모듈 및 카본필터 모듈은 상기 가이드 내벽에 일치하도록 모두 원반형태이며, 커버는 상기 가이드 외주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반구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유니트.
KR2020110003086U 2011-04-12 2011-04-12 공기정화유니트 KR200464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086U KR200464424Y1 (ko) 2011-04-12 2011-04-12 공기정화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086U KR200464424Y1 (ko) 2011-04-12 2011-04-12 공기정화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45U true KR20120007245U (ko) 2012-10-22
KR200464424Y1 KR200464424Y1 (ko) 2012-12-31

Family

ID=4751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086U KR200464424Y1 (ko) 2011-04-12 2011-04-12 공기정화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42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301B1 (ko) * 2016-03-25 2016-09-09 주식회사 양영 공기 정화 공조 크레인
CN107998765A (zh) * 2018-01-10 2018-05-08 林德祥 烟气净化结构及烟气净化装置
CN109281590A (zh) * 2018-09-03 2019-01-29 台州智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换气家具门
KR20190119740A (ko) * 2018-04-13 2019-10-23 김형진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과 대기 미세먼지 포집시스템
KR20210020352A (ko) * 2019-08-14 2021-02-24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WO2021185476A1 (de) * 2020-03-17 2021-09-23 Mann+Hummel Life Sciences & Environment Holding Singapore Pte. Ltd. Abscheideelement, filtersyste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bscheideelements
KR102648026B1 (ko) * 2023-06-30 2024-03-15 에스에스씨라이팅 주식회사 탈취용 환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032B1 (ko) 2012-12-27 2014-08-18 주식회사 포스코 씰포트 장치 및 가스 처리 장치
CN104235975B (zh) * 2013-06-24 2017-06-06 江苏香江科技股份有限公司 基站通信热管换热系统
KR101412955B1 (ko) 2014-01-07 2014-06-26 신우공조 주식회사 온도 조절 기능이 우수한 팬 코일 유니트
KR102085298B1 (ko) 2019-05-29 2020-03-05 주식회사 코어볼트 옥외 설치형 공기청정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455B1 (ko) 2005-11-10 2007-05-07 문봉권 공기정화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301B1 (ko) * 2016-03-25 2016-09-09 주식회사 양영 공기 정화 공조 크레인
CN107998765A (zh) * 2018-01-10 2018-05-08 林德祥 烟气净化结构及烟气净化装置
CN107998765B (zh) * 2018-01-10 2023-09-26 林德祥 烟气净化结构及烟气净化装置
KR20190119740A (ko) * 2018-04-13 2019-10-23 김형진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과 대기 미세먼지 포집시스템
CN109281590A (zh) * 2018-09-03 2019-01-29 台州智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换气家具门
KR20210020352A (ko) * 2019-08-14 2021-02-24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WO2021185476A1 (de) * 2020-03-17 2021-09-23 Mann+Hummel Life Sciences & Environment Holding Singapore Pte. Ltd. Abscheideelement, filtersyste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bscheideelements
KR102648026B1 (ko) * 2023-06-30 2024-03-15 에스에스씨라이팅 주식회사 탈취용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424Y1 (ko)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424Y1 (ko) 공기정화유니트
KR101457444B1 (ko) 플라즈마 공기 청정장치
CN203940539U (zh) 一种家用空气消毒净化器
WO2013051460A2 (ja) 空気清浄機
TWI507646B (zh) 空氣清淨機
CN105698296A (zh) 新风智能生态净化器
JP2002059028A (ja) 空気浄化装置
CN212962084U (zh) 一种空气净化设备
KR20130020164A (ko) 푸시팬과 풀팬 혼합형 공기청정시스템
CN205593085U (zh) 新风智能生态净化器
JP2005000740A (ja) デミスタ及び空気清浄機
TW201111718A (en) Air purifier
KR102139306B1 (ko) 공기 청정기용 필터 어셈블리
JP2002345944A (ja) 空気清浄機
JP2012117770A (ja) 加湿空気清浄機
JP2006289169A (ja) 空気清浄機
KR200396850Y1 (ko) 숯 음이온 공기청정기
CN205481395U (zh) 一种高效空气净化器
KR200281132Y1 (ko) 연기 흡입 장치
JP2015205224A (ja) 空気清浄機
CN217057847U (zh) 空气净化器
KR102318087B1 (ko) 축광성 광촉매 반응기가 적용되는 차량용 공기청정기
CN214501607U (zh) 一种具有等离子发生装置的空气净化器
CN213790465U (zh) 一种具有多层过滤结构的空气净化装置
CN213873061U (zh) 壁挂式新风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