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977B1 - 데크-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데크-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977B1
KR102647977B1 KR1020210171167A KR20210171167A KR102647977B1 KR 102647977 B1 KR102647977 B1 KR 102647977B1 KR 1020210171167 A KR1020210171167 A KR 1020210171167A KR 20210171167 A KR20210171167 A KR 20210171167A KR 102647977 B1 KR102647977 B1 KR 102647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ing means
groove
deck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3084A (ko
Inventor
김병권
사공성대
Original Assignee
굿세라 주식회사
김병권
사공성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굿세라 주식회사, 김병권, 사공성대 filed Critical 굿세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977B1/ko
Publication of KR2023008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60Board appendages, e.g. fins, hydrofoils or centre boards
    • B63B32/66Arrangements for fixation to the board, e.g. fin boxes or foil boxes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는, 데크의 일면에 결합되며 결합 수단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삽입된 결합 수단이 내부에서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락킹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결합 베이스와, 상기 결합 베이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외력이 가해질 경우 압축되면서 외력이 제거될 경우 전진되는 락킹부가 구비됨과 더불어 핀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와 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데크-핀 연결 장치{Deck-Fin Connector}
본 발명은 데크-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 베이스와 결합 수단을 통해 데크와 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데크-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프 보드(Surfboard)라 함은, 몸체를 이루는 데크(Deck)와, 데크의 저면에 구비되며 데크에 방향성을 제공하는 핀(Fin)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파도를 이용한 서핑(Surfing)을 즐기기 위한 도구이다.
이러한, 서프 보드는 해상에서 이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데크의 저면에 구비되는 핀이 데크와는 수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바, 운반 과정에서 사람 또는 구조물과 충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핀은 서프 보드의 속력 및 선회력과 연관되는 부품으로, 상황에 따라 잦은 변경이 요구되는 부품에 해당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10-1607197호에서는, 제1슬라이드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부재와, 제1 슬라이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핀을 가지는 커버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베이스 부재에 결합된 커버 부재를 락킹 또는 언락킹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커버 부재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착탈식 핀박스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착탈식 핀박스는, 잠금 부재가 베이스 부재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커버 부재의 반복적인 교체 과정에서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60719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결합 베이스와 결합 수단을 통해 데크와 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데크-핀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데크의 일면에 결합되며 결합 수단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삽입된 결합 수단이 내부에서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락킹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결합 베이스와, 상기 결합 베이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외력이 가해질 경우 압축되면서 외력이 제거될 경우 전진되는 락킹부가 구비됨과 더불어 핀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부는, 상기 결합 수단의 내부에 구비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탄성 부재에 의하여 결합 수단의 외측으로 전진됨으로써 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되는 삽입 몸체와, 상기 삽입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며 삽입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삽입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 몸체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홈으로부터 연장되게 함몰 형성되며 제1 삽입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삽입단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삽입부의 깊이는 삽입단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수단의 후면에는 제1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후면에는 제1 돌출단이 안착되는 제1 안착홈이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수단의 양 측면에는 제2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양 측면에는 제2 돌출단이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이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핀 연결 장치.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 베이스에 결합홈 및 삽입홈이 형성되고, 결합 수단에 탄성체를 포함하는 락킹부가 구비됨에 따라 결합 베이스와 결합 수단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락킹부가 결합 수단에 구비됨에 따라 락킹부의 분실이 방지되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홈의 내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결합 수단에 돌출단이 형성됨에 따라 결합 베이스와 결합 수단의 결합력이 향상되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삽입 부재가 삽입 몸체와 삽입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결합 베이스와 결합 수단의 간섭은 최소화하면서도 지지력은 향상되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 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 수단의 구성을 보인 일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다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 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 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일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 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다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 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 수단의 구성을 보인 일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다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 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 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일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 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다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는, 데크(미도시)의 일면에 결합되며 결합 수단(2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삽입된 결합 수단(20)이 내부에서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100)이 형성됨과 더불어 락킹부(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110)이 형성되는 결합 베이스(10)와, 상기 결합 베이스(1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외력이 가해질 경우 압축되면서 외력이 제거될 경우 전진되는 락킹부(200)가 구비됨과 더불어 핀(미도시)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 수단(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 베이스(10)는, 데크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결합 수단(20)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여기서, 데크는 서프 보드에서 사용자가 탑승하는 면적을 제공하는 부위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결합 베이스(10)는 데크의 저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결합되어 데크의 저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결합 베이스(10)의 저면(도 7에서)에는 결합홈(10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00)은, 결합 베이스(10)의 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 수단(20)의 일부가 결합 베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결합홈(10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수단(20)의 길이(도 2에서 좌우)보다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결합 수단(20)의 일부가 결합홈(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결합홈(100)의 내부에서 결합 수단(20)이 좌우(도 2에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결합홈(100)과 결합 수단(2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결합홈(100)의 내부에는 삽입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10)은, 결합홈(100)의 전면(도 7에서 좌측)으로부터 내측(도 7에서 좌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락킹부(200)를 이루는 삽입 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삽입홈(110)은, 상기 삽입 몸체(221)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제1 삽입부(111)와, 상기 제1 삽입홈(110)으로부터 연장되게 함몰 형성되며, 제1 삽입부(1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삽입단(222)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제2 삽입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삽입 몸체(221)와 삽입단(222)은 삽입 부재(220)를 이루는 구성 요소이며, 아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삽입부(111)는, 결합홈(100)의 전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 몸체(221)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1 삽입부(111)는 삽입 몸체(221)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제1 삽입부(111)의 내부에는 제2 삽입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부(112)는, 제1 삽입부의 전면(도 7에서 좌측)으로부터 내측(도 7에서 좌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단(222)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2 삽입부(112)는 삽입단(222)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2 삽입부(112)의 깊이(도 7에서 좌우)는 삽입단(222)의 길이(도 4에서 좌우)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즉, 삽입 몸체(221)가 제1 삽입부(111)와 밀착된 상태에서도 삽입단(222)은 제2 삽입부(112)와 밀착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삽입단(222)이 제2 삽입부(112)의 내부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삽입 몸체(221) 및 삽입단(222)의 좌측단(도 3에서)은 호(Arc) 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 부재(220)가 결합홈(100)의 내부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삽입홈(110)의 내부에 삽입 부재(220)가 삽입됨으로써 결합 수단(20)은 결합 베이스(10)의 내부에서 설치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결합홈(100)의 내부에는 제1 안착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안착홈(120)은, 결합홈(100)의 후면(도 7에서 우측)으로부터 내측(도 7에서 우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될 제1 돌출단(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안착홈(120)은 제1 돌출단(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결합홈(100)의 후면에는 제1 돌출단(21)이 안착되는 제1 안착홈(120)이 함몰 형성되고, 제1 안착홈(120)에 제1 돌출단(21)이 삽입됨으로써 결합 수단(20)은 결합 베이스(10) 내부에서의 지지력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00)의 내부에는 제2 안착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안착홈(130)은, 결합홈(100)의 양 측면(도 8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내측(도 8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될 제2 돌출단(2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안착홈(130)은 제2 돌출단(2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결합홈(100)의 양 측면에는 제2 돌출단(22)이 안착되는 제2 안착홈(130)이 함몰 형성되고, 제2 안착홈(130) 각각에 제2 돌출단(22)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결합 수단(20)은 결합 베이스(10) 내부에서의 지지력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00)의 내부에는 연장단(140)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단(140)은, 결합홈(100)의 상면(도 7에서)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 수단(20)이 결합홈(100)을 통해 결합 베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를 가이드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러한, 연장단(140)은 결합홈(10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있어서 양 측면(도 7에서 좌우)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장단(140)은 결합홈(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 수단(20)과 접함으로써 경사진 면을 통해 결합 수단(20)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물론, 결합 수단(20)의 상면은 결합홈(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연장단(14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결합 베이스(1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 수단(20)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 수단(20)은, 결합 베이스(10)의 내부(결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합 베이스(10)의 내부에서 지지되는 것으로, 핀과 결합되는 부위이다.
즉, 결합 수단(20)은 핀과 결합되면서도 결합 베이스(10)와 결합됨으로써 핀이 데크와 일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 것이다.
이러한, 결합 수단(20)은 사각 평판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면(도 4에서)은 결합홈(100)의 상면(도 7에서)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결합 수단(20)의 길이(도 2에서 좌우)는 결합홈(100)의 길이(도 2에서 좌우)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 수단(20)에는 락킹홈(23)이 형성된다.
상기 락킹홈(23)은, 결합 수단(20)의 전면(도 4에서 좌측)으로부터 내측(도 4에서 우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락킹부(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결합 수단(20)에는 락킹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락킹부(200)는, 상기 결합 수단(20)의 내부에 구비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10)와, 상기 탄성 부재(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탄성 부재(210)에 의하여 결합 수단(20)의 외측으로 전진됨으로써 삽입홈(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2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 부재(210)는, 락킹홈(23)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탄성체로 이루어져 삽입 부재(220)를 항시 일측으로 가압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탄성 부재(21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물론, 탄성 부재(210)의 우측단(도 4에서)은 락킹홈(23)의 내부에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탄성 부재(210)의 좌측단(도 4에서)에는 삽입 부재(220)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 부재(220)는, 탄성 부재(210)와 결합되는 부위로, 탄성 부재(210)에 의하여 외력이 가해질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시 결합 수단(20)의 외측 방향(도 4에서 좌측)으로 전진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상기 삽입 부재(220)는, 상기 탄성 부재(210)와 결합되는 삽입 몸체(221)와, 상기 삽입 몸체(221)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며 삽입 몸체(2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삽입단(22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 몸체(221)는, 탄성 부재(210)와 결합되는 부위로, 제1 삽입부(11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결합 수단(20)이 결합 베이스(10)의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삽입 몸체(221)는 좌우(도 4에서)로 긴 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삽입 몸체(221)는 탄성 부재(210)에 의하여 락킹홈(23)의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며, 결합 수단(20)의 좌측면(도 4에서)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삽입 몸체(221)에는 삽입단(22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단(222)은, 삽입 몸체(221)의 전면(도 4에서 좌측)으로부터 전방측(도 4에서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 몸체(2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부위이다.
이러한, 삽입단(222)은 삽입 몸체(221)와 함께 삽입홈(110)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결합 수단(20)이 결합 베이스(10)의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처럼, 삽입단(222)의 직경이 삽입 몸체(2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은, 삽입 몸체(221)가 과도하게 길 경우 결합 수단(20)이 결합홈(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되며, 삽입 몸체(221)가 과도하게 짧을 경우 결합 수단(20)이 결합홈(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되지는 않으나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삽입 몸체(221)에 삽입단(222)이 연장 형성되되, 삽입단(222)의 직경이 삽입 몸체(221)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함으로써 결합 수단(20)이 결합홈(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결합홈(100)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삽입 부재(220)에 의한 결합 수단(20)의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삽입 부재(220)에 의하여 결합 수단(20)은 결합 베이스(10)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결합 수단(20)에는 제1 돌출단(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돌출단(21)은, 결합 수단(20)의 후면(도 4에서 우측)으로부터 외측(도 4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 수단(20)이 결합 베이스(10)와 결합될 경우 제1 안착홈(120)과 결합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1 돌출단(21)은 결합 수단(20)의 후면으로부터 반 구(球) 형상으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결합 수단(20)과 결합 베이스(10)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걸림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결합 수단(20)의 후면에는 제1 돌출단(21)이 형성되고, 결합 베이스(10)의 내부에는 제1 안착홈(120)이 형성됨으로써 결합 수단(20)과 결합 베이스(10)의 결합시 제1 돌출단(21)과 제1 안착홈(120)의 결합을 통해 결합 수단(20)의 지지력은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결합 수단(20)에는 제2 돌출단(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돌출단(22)은, 결합 수단(20)의 양 측면(도 5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외측(도 5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 수단(20)이 결합 베이스(10)와 결합될 경우 제2 안착홈(130)과 결합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2 돌출단(22)은 결합 수단(20)의 양 측면으로부터 반 구(球) 형상으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결합 수단(20)과 결합 베이스(10)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걸림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번 더 설명하면, 상기 결합 수단(20)의 양 측면에는 제2 돌출단(22)이 형성되고, 결합 베이스(10)의 내부에는 제2 안착홈(130)이 형성됨으로써 결합 수단(20)과 결합 베이스(10)의 결합시 제2 돌출단(22)과 제2 안착홈(130)의 결합을 통해 결합 수단(20)의 지지력은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에서는 결합 베이스에 결합홈 및 삽입홈이 형성되고, 결합 수단에 탄성체를 포함하는 락킹부가 구비됨에 따라 결합 베이스와 결합 수단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에서는 락킹부가 결합 수단에 구비됨에 따라 락킹부의 분실이 방지되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에서는 결합홈의 내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결합 수단에 돌출단이 형성됨에 따라 결합 베이스와 결합 수단의 결합력이 향상되게 된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한 데크-핀 연결 장치에서는 삽입 부재가 삽입 몸체와 삽입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결합 베이스와 결합 수단의 간섭은 최소화하면서도 지지력은 향상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결합 베이스 20. 결합 수단
21. 제1 돌출단 22. 제2 돌출단
23. 락킹홈 100. 결합홈
110. 삽입홈 111. 제1 삽입부
112. 제2 삽입부 120. 제1 안착홈
130. 제2 안착홈 140. 연장단
200. 락킹부 210. 탄성 부재
220. 삽입 부재 221. 삽입 몸체
222. 삽입단

Claims (5)

  1. 데크의 일면에 결합되며, 결합 수단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삽입된 결합 수단이 내부에서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락킹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결합 베이스;
    상기 결합 베이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외력이 가해질 경우 압축되면서 외력이 제거될 경우 전진되는 락킹부가 구비됨과 더불어 핀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 수단의 양 측면에는 제2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양 측면에는 제2 돌출단이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이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핀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결합 수단의 내부에 구비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탄성 부재에 의하여 결합 수단의 외측으로 전진됨으로써 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핀 연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되는 삽입 몸체;
    상기 삽입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며, 삽입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삽입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 몸체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제1 삽입부;
    상기 제1 삽입부으로부터 연장되게 함몰 형성되며, 제1 삽입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삽입단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삽입부의 깊이는 삽입단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핀 연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의 후면에는 제1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후면에는 제1 돌출단이 안착되는 제1 안착홈;이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핀 연결 장치.
  5. 삭제
KR1020210171167A 2021-12-02 2021-12-02 데크-핀 연결 장치 KR102647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167A KR102647977B1 (ko) 2021-12-02 2021-12-02 데크-핀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167A KR102647977B1 (ko) 2021-12-02 2021-12-02 데크-핀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084A KR20230083084A (ko) 2023-06-09
KR102647977B1 true KR102647977B1 (ko) 2024-03-18

Family

ID=8676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167A KR102647977B1 (ko) 2021-12-02 2021-12-02 데크-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9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913B2 (ja) * 1993-06-16 2001-08-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011527409A (ja) * 2008-07-07 2011-10-27 フィン・クイバ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着脱可能な固定機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4962A (en) * 1998-01-20 1999-08-10 Daum; Terry R. Shallow draft surfboard fin mount
KR101607197B1 (ko) 2014-06-11 2016-03-30 (주)우성아이비 착탈식 핀박스
JP3199913U (ja) * 2015-07-06 2015-09-17 恵里 梅山 フィン固定金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913B2 (ja) * 1993-06-16 2001-08-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011527409A (ja) * 2008-07-07 2011-10-27 フィン・クイバ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着脱可能な固定機構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99913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084A (ko) 202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5620C2 (ru) Сборный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и режущая головка для него
JP4638739B2 (ja) 切削インサートホルダー
US20070053170A1 (en) Card connector
KR102647977B1 (ko) 데크-핀 연결 장치
US20160144933A1 (en) Detachable fins and fin assemblies for watersport boards
US7044299B2 (en) Cleaning apparatus
GB2069254A (en) Electric plug
KR960703697A (ko) 인서트 어댑터를 지닌 밀링 절삭기(milling cutter with insert adapter
JP2008016370A (ja) コネクタ
CN113732327B (zh) 切削工具
US3769680A (en) Connector housing removal tool
CN106797079B (zh) 具有改进导线分离性能的插入式连接器
CN214633924U (zh) 一种多功能游戏控制装置
US4822300A (en) Cable wire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rapid cable connections
CN208189806U (zh) 具有锁扣把手的端子座
CN107528143A (zh) 用于与基板接触的端子、使用了该端子的连接器以及具有该连接器的连接器装置
KR100653332B1 (ko) 가요성 배선덕트의 배선기구 고정구 결합구조
US20190382086A1 (en) Fin Fixing System
KR200469374Y1 (ko) 전기 커넥터
KR102484080B1 (ko) 전선볼트 고정구조
JP3643911B2 (ja) 配線・配管材の布設具及びその布設方法
KR200217569Y1 (ko) 오징어 낚시용 추
CN209526255U (zh) 装配稳定可靠的数据接口独立组合结构
JP4783368B2 (ja) ログハウス用のログ、および、ログの壁構造
JP2006049239A (ja)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